레이저 무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이저 무기는 빛을 이용한 직접 에너지 무기로, 방어 및 공격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1990년대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미사일 요격, 드론 격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레이저 무기는 빛의 속도로 목표물에 도달하고, 반동이 적으며, 비용 효율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기 중의 열꽃 현상, 빔 왜곡, 에너지원 확보 등의 기술적 과제를 안고 있다. 한국, 미국, 이스라엘, 영국, 중국 등 여러 국가에서 레이저 무기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비살상 무기 및 대응 기술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향성에너지 무기 - 지향성 에너지 무기
지향성 에너지 무기는 전자기파, 입자 빔, 음파 에너지를 집중시켜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로, 레이저, 마이크로파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나 인체 위해성 및 윤리적 문제, 국제법 위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 지향성에너지 무기 - 아이언 빔
아이언 빔은 파이버 레이저로 공중 목표물을 파괴하는 지향성 에너지 무기로, 이스라엘 라파엘에서 개발 중이며 2025년 말 아이언 돔에 통합될 예정이다. - 레이저 - 엑시머 레이저
엑시머 레이저는 비활성 기체와 할로겐 혼합물에서 전기 자극으로 생성된 엑시머 분자가 자외선을 방출하는 레이저로, 다양한 파장을 가지며 포토리소그래피, 시력 교정 수술, 피부 질환 치료, 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레이저 - 바코드
바코드는 다양한 폭의 막대와 공백 조합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기호로, 상품 식별, 재고 관리 등에 사용되며 1차원과 2차원 바코드가 존재하고 바코드 스캐너로 판독되어 산업 효율성을 높인다.
| 레이저 무기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유형 | 지향성 에너지 무기 |
| 작동 메커니즘 | 레이저 |
| 에너지원 | 화학 레이저 고체 레이저 자유 전자 레이저 |
| 역사 | |
| 최초 개발 시도 | 1960년대 |
| 실용화 시도 | 미사일 방어 소형 드론 격추 보병용 무기 |
| 기술적 특징 | |
| 작동 방식 | 고출력 레이저를 이용하여 목표물을 파괴 또는 무력화 |
| 주요 구성 요소 | 레이저 발생 장치 빔 조절 장치 조준 장치 |
| 장점 | 높은 정밀도 빠른 속도 발사 비용 절감 |
| 단점 | 기상 조건에 취약 (특히 안개, 구름, 먼지) 대기 중 에너지 손실 높은 전력 요구량 목표물이 반사성이 높은 경우 효과 감소 열 관리의 어려움 |
| 레이저 무기 종류 | |
| 화학 레이저 |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레이저를 생성 (예: 미공군 항공기 탑재 레이저) |
| 고체 레이저 | 고체 매질을 이용하여 레이저를 생성 (예: 미해군 레이저 무기 시스템 (LaWS)) |
| 자유 전자 레이저 | 전자빔을 이용하여 레이저를 생성 |
| 배치 현황 및 전망 | |
| 배치 국가 | 미국 이스라엘 중국 러시아 영국 |
| 주요 활용 분야 | 미사일 방어 드론 방어 대공 방어 근접 방어 보병 지원 항공기 및 함선의 자체 방어 |
| 윤리적 문제 | |
| 위험성 | 눈 손상 유발 가능성 민간 시설 오인 공격 가능성 무분별한 사용시 전쟁 확대 위험 |
| 규제 필요성 | 국제적인 무기 통제 협약 필요성 대두 사용에 대한 엄격한 규제 및 감독 필요 |
| 추가 정보 | |
| 기술 발전 방향 | 레이저 효율 및 출력 향상 소형화 및 경량화 기상 조건 영향 최소화 지능형 제어 시스템 개발 에너지 저장 기술 발전 |
2. 역사
레이저 무기는 20세기 중반부터 개발되기 시작했다. 레이저 기반의 직접 에너지 무기는 방어, 특히 미사일 요격을 위해 개발되었다. YAL-1는 보잉 747에 레이저를 탑재하여 미사일 부스터 단계에서 단거리 및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제거하려는 시도였으나, 2012년에 취소되었다.[10]
전략방위구상(SDI, 일명 "스타워즈")은 지상 또는 우주 기반 레이저 시스템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파괴하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대기 중 장거리 레이저 조준의 어려움, 광산란 및 굴절로 인한 빔 왜곡 문제로 인해 구현이 복잡했다.
SDI 관련 개념으로 핵 펌핑 X선 레이저가 있었다. 이는 궤도 원자폭탄을 유리 막대 형태의 레이저 매질로 둘러싸, 폭발 시 발생하는 고에너지 감마선 광자를 이용해 X선 레이저 빔을 생성하여 ICBM을 파괴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X선 레이저는 활성화 시 자체 파괴되는 일회용 장치였고, 초기 지하 핵실험 결과도 좋지 않아 SDI 프로그램 취소와 함께 연구가 중단되었다.
레이저 무기 개발을 주도하는 서구 기업으로는 보잉, 노스롭 그루먼, 록히드 마틴, 네덜란드 응용과학연구기구, 라인메탈, MBDA 등이 있다.[26][27][28][29][30]
| 이름 | 설명 | 연도 | 상태 | 출처 |
|---|---|---|---|---|
| 엑스칼리버 계획 | 탄도 미사일 방어를 위한 유도 에너지 무기로서 핵 펌핑 X선 레이저를 개발하기 위한 미국 정부의 핵무기 연구 프로그램. | 1980년대 | 취소됨 | [31] |
| 소련 레이저 권총 | 우주 공간에서 우주비행사가 사용할 목적으로 설계된 최초의 휴대용 레이저 무기. | 1984년 |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 | |
| 1K17 샤티에 | 실험적인 소련 자주포 레이저 무기. | 실험 단계를 넘어서지 못함 | ||
| 17F19DM 폴리우스/스키프-DM | 배치 중 실패한 소련의 레이저 무장 궤도 무기. | 1987년 | 실패 | |
| 테라-3 | 강력한 대(反)위성 무기 프로토타입으로 여겨졌던 소련의 레이저 시설; 나중에 제한적인 위성 추적 능력을 가진 시험장으로 밝혀짐. | 폐기됨, 부분적으로 해체됨 | ||
| 미국 육군 미사일 사령부 레이저 | 스펙트럼의 황색-주황색-적색 부분에서 좁은 선폭을 방출하는 견고한 가변 레이저. | 1991년 | 실험 단계를 넘어서지 못함 | [32] |
| 보잉 YAL-1 | 개조된 보잉 747에 장착된 공중 가스 또는 화학 레이저로, 적 지역 상공에서 들어오는 탄도 미사일을 격추하기 위한 목적. | 2000년대 | 취소됨, 폐기됨 | [33][34][35][36][37] |
| 정밀 공중 독립 유도 에너지 무기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2008년 | 취소됨 | |
| ZEUS-HLONS (HMMWV 레이저 탄약 중화 시스템) | 지뢰 및 불발탄을 무력화하기 위해 전장에서 사용된 최초의 레이저 및 에너지 무기. | 틈새 시장 적용 | ||
| 중적외선 고급 화학 레이저(MIRACL) | 공군 위성을 대상으로 실험된 미 해군의 실험용 중수소 플루오르화물 레이저 | 1997년 | 취소됨 | |
| 인원 저지 및 자극 반응(PHaSR) | 표적을 "눈부시게 하거나" 기절시키기 위해 미국 공군 유도 에너지국이 개발한 비살상 휴대용 무기 | 상태 불명 | [41] | |
| 전술 고에너지 레이저 (THEL) | 항공기와 미사일을 격추하기 위해 이스라엘과 미국이 공동 연구 프로젝트로 개발한 무기화된 중수소 플루오르화물 레이저 | 중단됨 | [42] | |
| 베리예프 A-60 | 일류신 Il-76MD 수송기에 장착된 소련/러시아 CO2 가스 레이저. 두 대가 제작되었으며, 그중 한 대는 1LK222 소콜 에셸론 레이저 시스템을 장착하고 있음. | 실험 단계 | [43] | |
| 고에너지 레이저-이동형 시험대 (HEL-MD) | 보잉이 설계한 중장비 확장 이동 전술 트럭(HEMTT)에 장착된 레이저 시스템. 현재 출력은 10kW이며 50kW로 증가될 예정이고, 궁극적으로 100kW로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예상됨. 사격 가능한 표적으로는 박격포탄, 포탄, 로켓, 무인 항공기 및 순항 미사일이 있음. | 상태 불명 | [44] | |
| 자유 전자 레이저 | 자유 전자 레이저 기술은 미 해군에서 대공 및 대미사일 유도 에너지 무기 후보로 평가되고 있음. 토마스 제퍼슨 국립 가속기 시설의 자유 전자 레이저는 14kW 이상의 출력을 시연했음. 소형 다중 메가와트급 자유 전자 레이저 무기가 연구 중임. | 진행 중 | [48][49][50][51][52] | |
| 휴대용 고효율 레이저 시험대 (PELT)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상태 불명 | [53] | |
| 레이저 항공기 대응책 (ACCM)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상태 불명 | [54] | |
| 이동형 급파 고에너지 레이저 (MEHEL) 2.0 | 스트라이커 8x8 장갑차에 통합된 실험용 유도 에너지 무기. | 실험 단계 | [55][56] | |
| 지역 방어 대탄약 (ADAM) | 실험용 유도 에너지 무기. | 실험 단계 | [57] | |
| 고급 시험 고에너지 자산 (ATHENA)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상태 불명 | [58] | |
| 자체 방어 고에너지 레이저 시험대 (SHiELD) | 항공기를 미사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취소됨 | [59] | |
| 러시아 소콜 에셸론 | 러시아가 개발한 실험용 공중 레이저 무기로, 베리예프 A-60에 장착됨. | 실험 단계 | ||
| 러시아 페레스베트 | 근거리 이동식 ICBM 호위로서 운용 시험 중인 이동식 방공 레이저. | 운용 시험 중 | [63] | |
| 레이시온 레이저 | 레이시온 사가 개발한 고에너지 레이저로, MRZR에 장착하여 약 1마일 거리에서 무인 항공 시스템을 무력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 | 상태 불명 | [64] | |
| ZKZM-500 | 레이저를 사용하여 일시적인 실명, 화상 및 통증을 유발하는 단거리 대인용 비살상 무기. | 생산 중 | [65] | |
| 스카이가드 (지역 방어 시스템) | 제안된 지역 방어 시스템. | 제안됨 | ||
| 알마즈 HEL | 러시아 트럭 탑재형 유도 에너지 무기. | [74] | ||
| 보잉 레이저 어벤저 | AN/TWQ-1 어벤저 전투 차량에 장착된 소형 대드론 무기. | 실험 단계 | ||
| 휴대용 고효율 레이저 시험대 (PELT) | 대폭동용 비살상 무기. | 상태 불명 | [75] | |
| 레이저 항공기 대응책 (ACCM)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출처 필요 | ||
| ARMOL | 2019년 수락 시험을 통과한 터키 레이저 무기. | 2019년 | 실험 단계 | [76] |
| 펄스 에너지 발사체 (PEP) | 논란의 여지가 있는 트럭 탑재형 폭동 진압용 비살상 레이저 무기로 민간인을 기절시키도록 설계됨 | |||
| 청왕 블록 I 레이저 | 한국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20kW 대드론 시스템. 2023년 시연되었고, 2024년 10월 4일 공식적으로 실전 배치됨.[89] | 2024년 | 실전 배치 | [90] |
| 10kW급 고출력 레이저 전자전 차량 | 일본의 10kW 대드론 시스템. 2024년 11월 실전 배치됨. | 2024년 | 실전 배치 | [91] |
이러한 프로젝트 대부분은 취소, 중단, 프로토타입 단계에 머무르거나, 제한적인 틈새시장에서만 활용되고 있다. 효과적이고 강력한 레이저 무기는 현재 또는 가까운 미래 기술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것으로 평가된다.[4][3][92]
2. 1. 초기 개발
1999년, 국방과학연구소와 대우중공업 등은 서울 소재 K대학 연구팀과 함께 레이저포를 개발하기 시작해 400m 떨어진 철판을 관통하는 실험에 성공한 바 있다.2. 2. 2000년대 이후
1999년, 국방과학연구소와 대우중공업 등은 서울 소재 K대학 연구팀과 함께 레이저포를 개발하기 시작해 400m 떨어진 철판을 관통하는 실험에 성공했다.21세기에 접어들면서 여러 국가들은 소형 무인 항공기(UAV)의 증가하는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드론 레이저 시스템을 개발해왔다.
- 미국: 록히드 마틴은 2017년에 30킬로와트 ALADIN 레이저를 사용하여 UAV를 겨냥하고 파괴하는 아테나(ATHENA) 레이저 시스템의 성능을 시연했다.[19] 레이시온(Raytheon)은 2019년에 최대 3킬로미터 거리에서 드론을 탐지하고 파괴할 수 있는 고출력 레이저 무기 시스템(HELWS)을 개발했다.[19]
- 터키: 로켓산(Roketsan)은 레이저와 전자기 무기를 결합하여 단일 또는 집단 표적을 무력화하고 파괴하는 알카(ALKA) 시스템을 생산했다.[19] 아셀산(Aselsan)과 투비탁 빌젬(TUBITAK BILGEM)과 같은 기업들도 소형 UAV와 폭발물을 겨냥할 수 있는 레이저 시스템을 시연했다.[19]
- 독일: 라인메탈(Rheinmetall)은 2000년대부터 고에너지 레이저(HEL) 시스템의 고정형 및 이동형 버전을 개발해왔다.[19] 라인메탈의 레이저는 소형 및 중형 UAV, 헬리콥터, 미사일, 지뢰 및 포탄을 포함한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설계되었다.[19]
- 이스라엘: 라파엘 어드밴스드 디펜스 시스템(Rafael Advanced Defense Systems)은 2020년에 UAV와 그 무리를 파괴하도록 설계된 소형 드론 돔(Drone Dome) 시스템을 시연했다.[19] 옵티디펜스(OptiDefense)가 개발한 라이트 블레이드(Light Blade)라는 시스템은 풍선이나 연에 부착된 소형 UAV 및 폭발물과 같은 테러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19]
아이언 빔은 2014년 2월 11일 싱가포르 에어쇼에서 이스라엘 방산업체 라파엘 어드밴스트 디펜스 시스템(Rafael Advanced Defense Systems)이 공개한 레이저 기반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air defense system)이다.[11] 이 시스템은 최대 7km(약 4.3마일)의 사정거리를 가지고 있으며, 아이언돔 시스템이 유효하게 발사체를 요격하기에는 너무 가까운 거리의 단거리 로켓, 포병 및 박격포탄을 파괴하도록 설계되었다.[12][13] 또한, 무인 항공기(UAV)를 요격할 수도 있다.[14] 아이언 빔은 공중 목표물을 파괴하기 위해 섬유 레이저(fiber laser)를 사용하며, 2025년 말까지 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17][18]

| 이름 | 설명 | 연도 | 상태 | 출처 |
|---|---|---|---|---|
| 엑스칼리버 계획 | 탄도 미사일 방어를 위한 유도 에너지 무기로서 핵 펌핑 X선 레이저를 개발하기 위한 미국 정부의 핵무기 연구 프로그램. | 1980년대 | 취소됨 | [31] |
| 소련 레이저 권총 | 우주 공간에서 우주비행사가 사용할 목적으로 설계된 최초의 휴대용 레이저 무기. | 1984년 |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 | |
| 1K17 샤티에 | 실험적인 소련 자주포 레이저 무기. | 실험 단계를 넘어서지 못함 | ||
| 17F19DM 폴리우스/스키프-DM | 배치 중 실패한 소련의 레이저 무장 궤도 무기. | 1987년 | 실패 | |
| 테라-3 | 강력한 대(反)위성 무기 프로토타입으로 여겨졌던 소련의 레이저 시설; 나중에 제한적인 위성 추적 능력을 가진 시험장으로 밝혀짐. | 폐기됨, 부분적으로 해체됨 | ||
| 미국 육군 미사일 사령부 레이저 | 스펙트럼의 황색-주황색-적색 부분에서 좁은 선폭을 방출하는 견고한 가변 레이저. | 1991년 | 실험 단계를 넘어서지 못함 | [32] |
| 보잉 YAL-1 | 개조된 보잉 747에 장착된 공중 가스 또는 화학 레이저로, 적 지역 상공에서 들어오는 탄도 미사일을 격추하기 위한 목적. | 2000년대 | 취소됨, 폐기됨 | [33][34][35][36][37] |
| 정밀 공중 독립 유도 에너지 무기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2008년 | 취소됨 | |
| 레이저 근접 방어 무기 체계 | 팬보로 에어쇼에서 공개된 대공 레이저. | 2010년 | 실험 단계 | [38] |
| ZEUS-HLONS (HMMWV 레이저 탄약 중화 시스템) | 지뢰 및 불발탄을 무력화하기 위해 전장에서 사용된 최초의 레이저 및 에너지 무기. | 틈새 시장 적용 | ||
| 고에너지 액체 레이저 지역 방어 시스템 (HELLADS)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상태 불명 | ||
| 중적외선 고급 화학 레이저(MIRACL) | 공군 위성을 대상으로 실험된 미 해군의 실험용 중수소 플루오르화물 레이저 | 1997년 | 취소됨 | |
| 해상 레이저 시험대 (MLD) | 미국 해군 군함에 탑재하기 위한 레이저 | 2011년 | 상태 불명 | [39][40] |
| 인원 저지 및 자극 반응(PHaSR) | 표적을 "눈부시게 하거나" 기절시키기 위해 미국 공군 유도 에너지국이 개발한 비살상 휴대용 무기 | 상태 불명 | [41] | |
| 전술 고에너지 레이저 (THEL) | 항공기와 미사일을 격추하기 위해 이스라엘과 미국이 공동 연구 프로젝트로 개발한 무기화된 중수소 플루오르화물 레이저 | 중단됨 | [42] | |
| 베리예프 A-60 | 일류신 Il-76MD 수송기에 장착된 소련/러시아 CO2 가스 레이저. 두 대가 제작되었으며, 그중 한 대는 1LK222 소콜 에셸론 레이저 시스템을 장착하고 있음. | 실험 단계 | [43] | |
| 고에너지 레이저-이동형 시험대 (HEL-MD) | 보잉이 설계한 중장비 확장 이동 전술 트럭(HEMTT)에 장착된 레이저 시스템. 현재 출력은 10kW이며 50kW로 증가될 예정이고, 궁극적으로 100kW로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예상됨. 사격 가능한 표적으로는 박격포탄, 포탄, 로켓, 무인 항공기 및 순항 미사일이 있음. | 상태 불명 | [44] | |
| 록히드 마틴이 개발한 광섬유 레이저 | 고출력 출력에서 빔 품질을 유지하면서 고체 레이저보다 전력 소모량이 적은 록히드 마틴이 개발한 60kW 광섬유 레이저. HEMTT에 장착될 예정임. | 2014년 | 상태 불명 | [45][46][47] |
| 자유 전자 레이저 | 자유 전자 레이저 기술은 미 해군에서 대공 및 대미사일 유도 에너지 무기 후보로 평가되고 있음. 토마스 제퍼슨 국립 가속기 시설의 자유 전자 레이저는 14kW 이상의 출력을 시연했음. 소형 다중 메가와트급 자유 전자 레이저 무기가 연구 중임. | 진행 중 | [48][49][50][51][52] | |
| 휴대용 고효율 레이저 시험대 (PELT)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상태 불명 | [53] | |
| 레이저 항공기 대응책 (ACCM)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상태 불명 | [54] | |
| 이동형 급파 고에너지 레이저 (MEHEL) 2.0 | 스트라이커 8x8 장갑차에 통합된 실험용 유도 에너지 무기. | 실험 단계 | [55][56] | |
| 지역 방어 대탄약 (ADAM) | 실험용 유도 에너지 무기. | 실험 단계 | [57] | |
| 고급 시험 고에너지 자산 (ATHENA)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상태 불명 | [58] | |
| 자체 방어 고에너지 레이저 시험대 (SHiELD) | 항공기를 미사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취소됨 | [59] | |
| 사일런트 헌터 (레이저 무기) | 중국의 광섬유 레이저 방공 시스템. 800미터 거리에서 2밀리미터 강판 5장, 1000미터 거리에서 5밀리미터 강판을 관통할 수 있다고 설명됨. | 상태 불명 | [60][61][62] | |
| 러시아 소콜 에셸론 | 러시아가 개발한 실험용 공중 레이저 무기로, 베리예프 A-60에 장착됨. | 실험 단계 | ||
| 러시아 페레스베트 | 근거리 이동식 ICBM 호위로서 운용 시험 중인 이동식 방공 레이저. | 운용 시험 중 | [63] | |
| 레이시온 레이저 | 레이시온 사가 개발한 고에너지 레이저로, MRZR에 장착하여 약 1마일 거리에서 무인 항공 시스템을 무력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 | 상태 불명 | [64] | |
| ZKZM-500 | 레이저를 사용하여 일시적인 실명, 화상 및 통증을 유발하는 단거리 대인용 비살상 무기. | 생산 중 | [65] | |
| 노스롭 그루먼 전기 레이저 | 100킬로와트 광선을 생성할 수 있는 전기 레이저로, 항공기, 선박 또는 차량에 장착될 가능성이 있음. | 2009년 | 실험 단계 | [66][67] |
| 노스롭 그루먼 레이저 건 | 미국 해군이 성공적으로 시험한 레이저 건으로, 전 USS 폴 F. 포스터에 장착되어 고속 순항 표적에 대한 파괴력을 시연했음. | 2011년 | 실험 단계 | [68] |
| 스카이가드 (지역 방어 시스템) | 제안된 지역 방어 시스템. | 제안됨 | ||
| 지역 방어 대탄약 (ADAM) | 록히드 마틴이 개발한 실험용 광섬유 레이저. 로켓에 대해 10킬로와트로 시험됨. | 개발 진행 중 | [70][71] | |
| 해상 레이저 시험대 (MLD) | 미국 해군 군함에 탑재하기 위한 레이저. | 2011년-2014년 | 실전 배치 | [72][73] |
| 알마즈 HEL | 러시아 트럭 탑재형 유도 에너지 무기. | [74] | ||
| 보잉 레이저 어벤저 | AN/TWQ-1 어벤저 전투 차량에 장착된 소형 대드론 무기. | 실험 단계 | ||
| 휴대용 고효율 레이저 시험대 (PELT) | 대폭동용 비살상 무기. | 상태 불명 | [75] | |
| 레이저 항공기 대응책 (ACCM)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출처 필요 | ||
| 고에너지 액체 레이저 지역 방어 시스템 (HELLADS) | DARPA 계약에 따라 제너럴 아토믹스가 개발 중인 대(反)RAM 항공기 또는 트럭 탑재형 레이저. 목표 출력 150킬로와트. | 상태 불명 | ||
| ARMOL | 2019년 수락 시험을 통과한 터키 레이저 무기. | 2019년 | 실험 단계 | [76] |
| AN/SEQ-3 레이저 무기 시스템 (LaWS) | 미국이 개발한 30kW 유도 에너지 무기. 2014년 USS 폰스에서 현장 시험을 거쳤고, 폰스가 퇴역한 후 USS 포틀랜드로 이동함. AN/SEQ-3 개발은 소형 드론 추적 기능이 향상된 HELIOS로 대체됨. | 2014년 | 실전 배치 프로토타입 | [7][77] |
| HELMA-P | CILAS와 아리안 그룹이 설계한 프랑스 군용 2kW 대드론 무기로, 사거리는 최대 1km임. 2017년부터 2019년 사이에 개발되었으며, 2020년과 2021년에 지상 시험이 진행되었고, 2023년 6월 12일부터 14일까지 프랑스 구축함 포르뱅에 선적용기에 장착되어 해상 시험이 실시됨. 개발사는 출력을 5kW로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 2017년 | 프로토타입 | [78] |
| 인도의 레이저 무기 | 2017년 8월 인도 국방 연구개발 기구가 개발한 1킬로와트 레이저 무기. 250미터 거리에 있는 금속판에 36초 만에 구멍을 낼 수 있음. | 2017년 | 실험 단계 | [79] |
| 드래곤파이어 | 소형 보트, 드론 및 포탄/미사일을 대상으로 사용하기 위해 영국이 개발 중인 50kW 확장 가능 레이저 유도 에너지 무기. 2022년에 계획된 4차례의 운용 수락 시험 중 처음 두 차례를 완료함. 23형 호위함에서의 해상 시험은 2023년에 시작되어 2년 동안 진행될 예정임. 지상 차량 탑재형 애플리케이션도 방어 시스템으로 고려되고 있음. | 2017년 | 개발 중 | [80][81] |
| 통합 광학 눈부시게 하는 장치 및 감시 기능이 있는 고에너지 레이저 (HELIOS) | 아리 버크급 구축함에서 시험될 예정이며 소형 보트와 드론을 대상으로 사용하기 위한 60kW 레이저 무기 시스템. 미사일이나 항공기를 표적으로 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해질 미래 버전도 있을 수 있음. 이전 LaWS가 6개의 개별 광섬유 레이저를 하나의 일관된 빔으로 동기화하려고 시도한 것과 달리 HELIOS는 여러 개별 레이저 파장이 단일 광섬유 방출기를 통해 서로 겹쳐지는 스펙트럴 빔 결합을 사용함. 더 이상 축적된 커패시터 에너지의 버스트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드론을 눈부시게 하기 위한 지속적인 저방출 기능이 추가됨. | 2021년 | 프로토타입 | [82] |
| 펄스 에너지 발사체 (PEP) | 논란의 여지가 있는 트럭 탑재형 폭동 진압용 비살상 레이저 무기로 민간인을 기절시키도록 설계됨 | |||
| 기술 성숙 레이저 무기 시스템 시험대 (LWSD) | 2020년 5월 소형 무인 항공기를 성공적으로 파괴한 USS 포틀랜드 (LPD-27)에 설치된 레이저 무기 시스템 | 2020년 | 실험 단계 | [82][83] |
| 아이언 빔 | 대(反)로켓, 대(反)드론 근거리 방어를 위한 이스라엘 레이저 무기 시스템. | 개발 중 | [84][85] | |
| 라이트 블레이드 | 풍선을 격추하기 위해 아이언 돔 방어 시스템의 일부로 배치된 이스라엘 레이저 시스템 | 2020년 | 사용 중 | [86] |
| 미노타우르 | 헬레닉 회사인 수코스 로보틱스가 개발한 SR-42는 무인 BTR 8×8 차량에 장착된 라디오 재머, 마이크로웨이브 재머, 광학 눈부시게 하는 장치, 12.7mm 총과 레이저 무기로 구성된 대형 대드론 시스템으로, 2021년 7월 방위 전시회 아테네(DEFEA)에서 공개됨. 62개의 개별 청자색 레이저가 결합되어 300kW의 출력을 생성하며 2~3초마다 드론을 타격하도록 설계되었고, 사거리는 1~25km, 고도는 최대 10km임. 그러나 열적 특성을 줄이기 위해 온보드 발전 없이 배터리로만 작동하여 최대 작동 시간이 2시간임.[87] SR-32는 동일한 레이저와 마이크로웨이브 재머가 트레일러에 장착된 버전이며, 26개의 레이저가 결합되어 100kW의 출력을 생성하며 사거리는 1~10km, 고도는 1.7km임 | 2021년 | 실험 단계 | [88] |
| 청왕 블록 I 레이저 | 한국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20kW 대드론 시스템. 2023년 시연되었고, 2024년 10월 4일 공식적으로 실전 배치됨.[89] | 2024년 | 실전 배치 | [90] |
| 10kW급 고출력 레이저 전자전 차량 | 일본의 10kW 대드론 시스템. 2024년 11월 실전 배치됨. | 2024년 | 실전 배치 | [91] |
레이저 무기는 작동 원리에 따라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다.
3. 원리 및 기술
열꽃 현상은 레이저 빔이 대기 중에서 약 1 메가줄(MJ)의 에너지 밀도에 도달하면 발생한다. 공기가 플라스마 상태가 되면서 레이저가 탈초점되고 에너지가 분산된다. 안개, 연기, 먼지, 비, 눈 등의 대기 조건은 열꽃 현상을 더욱 심화시킨다.[106]
열꽃 현상을 줄이기 위한 기술은 다음과 같다.
레이저 무기는 고에너지 레이저를 사용하기 때문에 목표물에 순식간에 도달하여 정확도가 높고, 수 초 만에 파괴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미사일과 달리 직선상의 목표물에만 발사할 수 있어 저공을 초속 수 km로 날아오는 고속 미사일에는 대응하기 어렵다. 전투기, 헬리콥터, 드론과 같은 군용기, 박격포탄, 로켓탄 등을 격추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장갑이 두꺼운 전차를 파괴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레이저 무기는 도시, 전차, 함선, 항공기 등에 대한 능동 방어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으며,[101] 차량 탑재형, 함재형, 항공기 탑재형이 있다.
무기로 전용된 기존 레이저의 대부분은 가스 다이나믹 레이저이다. 연료 또는 강력한 터빈에 의해 레이저 매질을 유로 또는 일련의 오리피스로 강제 통과시킨다. 고압과 열에 의해 레이저 매질은 플라스마화되어 레이저 광을 방출한다.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전력을 사용하는 유형은 상당한 전력을 요구한다. 에너지를 축적하고, 전달하고, 변환하여 조준하는 현재의 방법으로는 간편하고 휴대 가능한 레이저 무기를 개발하는 것이 어렵다. 현재의 레이저는 많은 에너지를 열로 낭비하며, 가열에 의한 장치 손상을 피하려면 여전히 대규모 냉각 설비가 필요하다. 공랭식의 경우 사격 간격이 길어진다.
현용 레이저 무기의 실용화를 제한하는 에너지원과 냉각 문제는 다음과 같은 사항으로 상쇄될 가능성이 있다.
전력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지 않는 레이저로는 화학 레이저가 있다. 화학 레이저는 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한다. 과산화수소에 요오드를 결합하는 화학산소요오드 레이저(COIL)와 중수소 원자에 불소를 반응시키는 플루오르화수소 레이저는 메가와트급의 연속적인 레이저 광을 출력할 수 있는 화학 레이저이다. 화학 레이저에 사용하는 화학 물질의 관리에도 몇 가지 문제가 있으며, 냉각 및 전반적인 효율성 저하 문제도 있다.
발전소 근처에 무기를 설치하거나, 대량의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큰 함선 또는 가능하다면 원자력 수상함에 탑재함으로써 에너지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함선에는 냉각용 물이 풍부하다는 장점이 있다.
3. 1. 작동 원리
일렉트로레이저는 표적 경로를 이온화한 다음, 이온화된 플라즈마의 전도성 경로를 따라 전류를 보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는 번개와 비슷하며, 테이저건 또는 전기 충격기의 거대하고 강력한 장거리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20][21]
펄스 에너지 투사체(PEP) 시스템은 적외선 레이저 펄스를 방출하여 표적에 빠르게 팽창하는 플라즈마를 생성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소리, 충격파, 전자기파는 표적을 기절시키고 통증과 일시적인 마비를 유발한다. 이 무기는 군중 제압을 위한 비살상 무기로 개발되었지만, 치명적인 무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다즐러(Dazzler)는 강력한 직접 조사 방사선을 이용하여 표적의 시각을 일시적으로 상실하게 하거나 방향 감각을 잃게 하는 유도 에너지 무기이다. 표적은 센서 또는 인간의 시각일 수 있다. 다즐러는 장기적인 손상을 주지 않도록 설계되었을 경우, 다양한 전자 센서에는 적외선 또는 보이지 않는 빛을, 인간에게는 가시광선을 방출한다. 방출기는 일반적으로 레이저이며, 이를 '레이저 다즐러'라고 한다. 현대 시스템은 대부분 휴대용이며, 적색(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녹색(다이오드 펌핑 고체 레이저, DPSS) 전자기 스펙트럼 영역에서 작동한다.
미 공군 연구소의 유도 에너지국이 개발한 PHASR(인원 저지 및 자극 반응 소총)은 비살상 레이저 다즐러 시제품이다.[22] 그 목적은 표적을 일시적으로 방향 감각을 잃게 하고 시각을 상실하게 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실명 레이저 무기가 시험되었지만, 1995년 유엔 실명 레이저 무기 의정서(Protocol on Blinding Laser Weapons)에 따라 금지되었다.[23] PHASR 소총은 저강도 레이저를 사용하여 실명 효과가 일시적이라는 점에서 이 규정에 따라 금지되지 않는다. 또한 두 가지 파장의 레이저를 사용한다.[24]
현재 군사용 레이저는 주로 조준 및 거리 측정, 총기 사격 목표 지정에 사용되지만, 이 레이저 광선은 표적을 파괴하는 용도는 아니다. 레이저 무기는 일반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고출력 펄스를 생성한다. 메가줄급 출력을 가진 레이저의 한 발은 고성능 폭약 200g과 동일한 에너지를 전달하여, 비슷한 기본적인 파괴 효과를 목표물에 가져온다. 주요 손상 작용은 표면에서 발생하는 폭발적인 증발과 이 반응에 기인한 기계적인 절단이다.
전투 중에 표적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거나 파괴할 수 있는 레이저 무기는 현재 실용화 단계에 있다. 미국 등에서는 이미 실증 실험을 통해 수 km 떨어진 곳을 고속으로 비행하는 표적의 파괴에 성공했다. 이스라엘의 방공 시스템인 아이언빔은 2020년 8월 17일부터 실전 배치되었다.
레이저 빔 무기의 일반적인 개념은 짧은 시간의 광 펄스로 표적을 공격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고출력 레이저 빔을 발사하는 데 필요한 동력으로는 화학적으로 작동하는 가스 다이나믹 레이저가 채택되고 있다. 레이저 무기는 고에너지 레이저를 이용하기 때문에 순식간에 목표물에 도달하여 정확도가 높아 표적을 수 초 만에 파괴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미사일과 달리 직선상에 있는 목표물에만 발사할 수 있기 때문에, 저공을 초속 수 km로 날아오는 고속 미사일에는 대응할 수 없다.
또한, 저속으로 접근하는 전투기나 헬리콥터, 드론과 같은 군용기, 박격포탄, 로켓탄 등을 격추하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장갑이 두꺼운 전차의 파괴에는 적합하지 않다.
레이저 무기는 도시, 전차, 함선, 항공기 등에 대한 능동 방어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으며,[101] 차량 탑재형, 함재형, 항공기 탑재형이 있다.
미국 해군은 소형 무인 항공기, 휴대용 대전차 로켓 발사기, 모터보트 및 헬리콥터의 가시 엔진 등의 표적에 사용하기 위한 초단거리(1.6km), 30kW의 레이저 무기 시스템(LaWS) 실험을 수행했다.[102][103] 이 시스템은 “6대의 레이저 용접 장비를 묶은 것”으로 정의된다. 2020년 시점에서는 60kW 시스템인 “HELIOS”가 구축함급을 위해 개발되고 있다.[104]
실험 시스템의 예로는 ''MIRACL''과 전술 고에너지 레이저가 있지만, 이들은 현재 생산 중단되었다.
전자레이저는 블루밍 현상을 일으킨 후, 잘 형성된 플라스마의 전도성 이온화된 통로로 강력한 전류를 보낸다. 이것은 어느 정도 번개와 유사하며, 테이저건이나 전기충격기의 장거리 버전으로 기능하지만, 그 에너지는 엄청나고 고출력이다.
무기로 전용된 기존 레이저의 대부분은 가스 다이나믹 레이저이다. 연료 또는 강력한 터빈에 의해 레이저 매질을 유로 또는 일련의 오리피스로 강제 통과시킨다. 고압과 열에 의해 레이저 매질은 플라스마화되어 레이저 광을 방출한다.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전력을 사용하는 유형은 상당한 전력을 요구한다. 현재의 레이저는 많은 에너지를 열로 낭비하며, 가열에 의한 장치 손상을 피하려면 여전히 대규모 냉각 설비가 필요하다. 현용 레이저 무기의 실용화를 제한하는 이러한 에너지원과 냉각 문제는 다음과 같은 사항으로 상쇄될 가능성이 있다.
# 저렴한 고온 초전도 물질을 통해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무기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든다.
# 더욱 간편한 대용량 전력 공급/충전 장치. 레이저 광을 발진시키고 남은 에너지의 일부는 장치의 냉각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전력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지 않는 레이저로는 화학 레이저가 있다. 화학 레이저는 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한다. 과산화수소에 요오드를 결합하는 화학산소요오드 레이저(COIL)와 중수소 원자에 불소를 반응시키는 플루오르화수소 레이저는 메가와트급의 연속적인 레이저 광을 출력할 수 있는 화학 레이저이다.
3. 2. 레이저 종류
레이저 무기는 사용되는 레이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 이름 | 종류 | 출력 | 개발 국가 | 비고 |
|---|---|---|---|---|
|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1 | 광섬유 레이저 | 20kW | 대한민국 | 3km 이내의 쿼드콥터 또는 고정익 무인기 요격 가능 | ||||
|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2 | 광섬유 레이저 | 30kW | 대한민국 | | ||||
|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3 | 광섬유 레이저 | 100kW | 대한민국 | | ||||
| AN/SEQ-3 레이저 무기 시스템(LaWS) | 고체 레이저 | 33kW | 미국 | USS 폰스 (LPD-15)에 장착되어 시험, 유효 사거리 1.6km | ||||
| 미국 공군 레이저 무기 | 불명 | 50kW | 미국 | 2018년 시험 발사, 2019년 F-15 등에 탑재하여 시험 운용 | ||||
| HELLADS | 고체 레이저 | 150kW | 미국 | 무게 750kg, 사거리 20km |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레이저 무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출력, 사거리,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3. 3. 기술적 과제
레이저 무기 기술은 여러 가지 기술적 과제를 안고 있다.- 열꽃 현상 (Thermal Blooming): 레이저 빔이 대기를 통과할 때 공기를 가열하여 플라스마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빔이 분산되고 초점이 흐려지는 현상이다. 안개, 연기, 먼지, 비, 눈 등의 대기 조건은 이 현상을 더욱 심화시킨다.[106] 열꽃 현상을 줄이기 위한 기술은 다음과 같다.
- 빔을 넓게 퍼뜨려 에너지 밀도를 낮추는 방법: 크고 정밀한 거울이 필요하며, 거대한 기계 장치로 레이저를 조준해야 한다.
- 위상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는 방법: 수십억 개의 마이크로미터(μm) 크기의 안테나가 필요하며, 현재 구현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탄소 나노튜브가 제안된다.[93]
- 위상 공액 레이저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목표물의 반사 지점에서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양의 피드백 루프에서 역파를 증폭시켜 목표물을 파괴한다. 열꽃 현상으로 인한 왜곡을 자동 수정한다.
- 매우 짧은 펄스를 사용하는 방법: 열꽃 현상이 간섭하기 전에 펄스를 종료하여 많은 에너지를 집중시키는 강력한 레이저가 필요하다.
- 여러 레이저를 단일 목표물에 집중시키는 방법: 시스템의 총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크기가 커진다.
- 목표물 표면의 증발 (어블레이션): 레이저가 목표물 표면에 조사되면 재료가 증발하여 그림자를 형성하고, 레이저의 효과를 약화시킨다.
- 높은 에너지 요구량: 레이저 무기는 상당한 전력을 필요로 하며, 현재의 에너지 저장, 전달, 변환 기술로는 휴대용 레이저 무기 개발이 어렵다. 또한, 레이저는 많은 에너지를 열로 낭비하여 대규모 냉각 설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에도 불구하고 레이저 무기 개발은 계속 진행되고 있다. 국방과학연구소(ADD)는 2021년 5월, 국내 최초로 ‘파장제어 빔 결합기술’을 통해 고품질 광섬유 레이저 발생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진 여러 레이저 광을 하나의 강력한 빔으로 합치는 기술이다.[143]
다음은 레이저 출력에 따른 예시이다.
| 출력 | 내용 |
|---|---|
| 100W | 철판을 자르는 공업용 레이저[144] |
| 33kW | USS 폰스 (LPD-15)에 장착된 AN/SEQ-3 레이저 무기 시스템(LaWS)의 출력, 유효 사거리 1.6km |
| 50kW | 2018년 미국 공군이 시험 발사한 레이저 무기 |
4. 장점 및 단점
레이저 무기는 고에너지 레이저를 이용하여 목표물을 파괴하거나 무력화하는 무기이다. 높은 정확도와 빠른 속도를 자랑하지만, 몇 가지 단점도 존재한다.
'''장점'''
- 광속 도달: 레이저 광선은 광속으로 전파되므로, 발사와 거의 동시에 목표물에 도달한다.[105] 따라서 원거리에서 이동하는 목표물을 조준할 때 도달 시간 및 이동 거리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목표물이 회피할 시간도 없다.
- 간단한 탄도 계산: 레이저 광선은 대기 굴절 외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아 탄도 계산이 단순하다.
- 높은 집속성: 레이저 광선은 매우 작은 점에 에너지를 집중시킬 수 있으며, 초점 거리를 빠르게 변경할 수 있다.
- 무시 가능한 반동: 레이저 발사에 따른 반동은 무시할 수 있다.
- 저렴한 비용: 레이저 무기는 1회 발사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단점'''
- 직선상의 목표물 제한: 레이저 무기는 직선상에 있는 목표물에만 발사할 수 있다.
- 장갑에 약함: 장갑이 두꺼운 전차를 파괴하기는 어렵다.
- 기상 조건의 영향: 레이저 광선은 비, 안개, 눈, 먼지, 연기, 스모그 등에 의해 흡수되거나 산란될 수 있다.
- 높은 전력 요구량: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전력이 필요하며, 대규모 냉각 설비도 필요하다.
- 대응책 개발: 레이저 빔을 편향시키는 특수 코팅이나 기타 대응책이 개발되고 있다.
- 열꽃 현상: 레이저 빔이 대기 중에서 일정 에너지 밀도에 도달하면 플라스마가 발생하여 레이저가 탈초점되고 에너지가 분산되는 열꽃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열꽃 현상을 줄이기 위해 빔 확산, 위상 배열 안테나, 위상 공액 레이저 시스템, 매우 짧은 펄스 사용, 다중 레이저 집중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 실용화 단계에는 이르지 못했다.
미국 해군은 약 1.61km 거리의 30kW급 레이저 무기 시스템(LaWS) 실험을 수행했으며,[102][103] 2020년에는 구축함급 함선용으로 60kW급 HELIOS가 개발되고 있다.[104]
4. 1. 장점
레이저 무기는 실탄 무기에 비해 다음과 같은 주요 장점들을 가진다.- 광속 도달: 레이저 광선은 광속으로 전파되므로, 발사와 거의 동시에 목표물에 도달한다.[105] 따라서 원거리에서 이동하는 목표물을 조준할 때 도달 시간 및 이동 거리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목표물이 회피할 시간도 없다. 이는 미사일과 같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목표물에 특히 효과적이다.
- 간단한 탄도 계산: 포탄은 바람, 중력, 공기 저항 등의 영향을 받아 탄도 계산이 복잡하지만, 레이저 광선은 대기 굴절 외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아(지구상에서 중력 영향은 무시할 만하다) 계산이 단순하다.
- 높은 집속성: 레이저 광선은 위상이 일치하는 빛(간섭성이 높음)이므로, 매우 작은 점에 에너지를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초점 거리를 넓은 범위에서 빠르게 변경할 수 있다.
- 무시 가능한 반동: 빛은 에너지에 대한 운동량의 비율이 매우 작기 때문에(), 레이저 발사에 따른 반동은 무시할 수 있다.
- 저렴한 비용: 레이저 무기는 1회 발사 비용이 수백 엔 정도로 매우 저렴하다.
미국 해군은 소형 무인 항공기, 휴대용 대전차 로켓 발사기, 모터보트, 헬리콥터의 가시 엔진 등을 요격하기 위해 약 1.61km 거리의 30kW급 레이저 무기 시스템(LaWS) 실험을 수행했다.[102][103] 이 시스템은 "레이저 용접 장비 6대를 묶은 것"과 같다고 표현되었다. 2020년에는 구축함급 함선용으로 60kW급 "HELIOS"가 개발되고 있다.[104]
4. 2. 단점
레이저 무기는 높은 정확도로 목표물을 빠르게 파괴할 수 있지만, 몇 가지 단점도 가지고 있다.- 직선상의 목표물 제한: 대부분의 미사일과 달리 레이저 무기는 직선상에 있는 목표물에만 발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저공을 초속으로 비행하는 고속 미사일에는 대응하기 어렵다.
- 장갑에 약함: 저속으로 접근하는 전투기, 헬리콥터, 드론, 박격포탄, 로켓탄 등을 격추하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장갑이 두꺼운 전차를 파괴하기는 어렵다.
- 기상 조건의 영향: 레이저 광선은 비, 안개, 눈, 먼지, 연기, 스모그 등에 의해 흡수되거나 산란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열꽃 현상"이라고 하며, 레이저의 효율을 떨어뜨린다.[107] 적이 의도적으로 화학 물질 등을 살포하여 광학적 장애물을 만들 수도 있다.
- 높은 전력 요구량: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전력이 필요하다. 현재 기술로는 휴대용 레이저 무기를 만들기 어렵고, 대규모 냉각 설비도 필요하다.
- 대응책 개발: 중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레이저 빔을 편향시키는 특수 코팅을 개발하고 있다.[95] 또한, 유전체 거울, 에이브레이티브 코팅, 열 전달 지연, 불투명 물질 등도 레이저 무기에 대한 대응책으로 연구되고 있다.[96]
- 열꽃 현상: 레이저 빔이 대기 중에서 약 1 메가줄(MJ)의 에너지 밀도에 도달하면 플라스마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 현상을 "열꽃 현상"이라고 하며, 레이저가 탈초점되고 에너지가 주변 공기로 분산되는 원인이 된다. 안개, 연기, 먼지, 비, 눈, 스모그, 거품 등이 있으면 열꽃 현상이 더 심해진다.
열꽃 현상을 줄이기 위한 기술은 다음과 같다.
- 빔 확산: 빔을 큰 곡면 거울에 넓게 퍼뜨려 목표물에 집중되는 에너지 밀도를 낮춘다. 하지만 이 방법은 크고 정밀하며 취약한 거울과 조준 장치가 필요하다.
- 위상 배열 안테나: 수십억 개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레이저 빔을 제어한다. 탄소 나노튜브가 제안되었지만, 현재 구현 가능한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위상 배열 안테나는 거울이나 렌즈가 필요 없고 평평하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93]
- 위상 공액 레이저 시스템: 목표물을 비추는 "탐색" 레이저를 사용하고, 목표물의 반사 지점에서 반사되는 빛을 증폭시켜 목표물을 파괴한다. 이 방법은 열꽃 현상을 자동으로 수정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거울이 과열되는 문제가 있다.
- 매우 짧은 펄스 사용: 열꽃 현상이 발생하기 전에 끝나는 매우 짧은 펄스를 사용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매우 강력한 레이저가 필요하다.
- 다중 레이저 집중: 여러 개의 저전력 레이저를 단일 목표물에 집중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아직 개발 중이거나 실용화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5. 주요 국가별 개발 현황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여러 국가들은 소형 무인 항공기(UAV)의 증가하는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對)드론 레이저 시스템을 개발해왔다. 이러한 시스템은 고출력 레이저를 사용하여 드론을 탐지, 추적, 파괴하도록 설계되어 비용 효율적이고 유연한 영공 방호 솔루션을 제공한다.
레이저 무기 개발을 선도하는 서구 기업으로는 보잉, 노스롭 그루먼, 록히드 마틴, 네덜란드 응용과학연구기구, 라인메탈, 그리고 MBDA가 있다.[26][27][28][29][30]
| 이름 | 설명 | 연도 | 상태 | 출처 |
|---|---|---|---|---|
| 엑스칼리버 계획 | 탄도 미사일 방어를 위한 유도 에너지 무기로서 핵 펌핑 X선 레이저를 개발하기 위한 미국 정부의 핵무기 연구 프로그램. | 1980년대 | 취소됨 | [31] |
| 소련 레이저 권총 | 우주 공간에서 우주비행사가 사용할 목적으로 설계된 최초의 휴대용 레이저 무기. | 1984년 |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 | |
| 1K17 샤티에 | 실험적인 소련 자주포 레이저 무기. | 실험 단계를 넘어서지 못함 | ||
| 17F19DM 폴리우스/스키프-DM | 배치 중 실패한 소련의 레이저 무장 궤도 무기. | 1987년 | 실패 | |
| 테라-3 | 강력한 대(反)위성 무기 프로토타입으로 여겨졌던 소련의 레이저 시설; 나중에 제한적인 위성 추적 능력을 가진 시험장으로 밝혀짐. | 폐기됨, 부분적으로 해체됨 | ||
| 미국 육군 미사일 사령부 레이저 | 스펙트럼의 황색-주황색-적색 부분에서 좁은 선폭을 방출하는 견고한 가변 레이저. | 1991년 | 실험 단계를 넘어서지 못함 | [32] |
| 보잉 YAL-1 | 개조된 보잉 747에 장착된 공중 가스 또는 화학 레이저로, 적 지역 상공에서 들어오는 탄도 미사일을 격추하기 위한 목적. | 2000년대 | 취소됨, 폐기됨 | [33][34][35][36][37] |
| 정밀 공중 독립 유도 에너지 무기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2008년 | 취소됨 | |
| 레이저 근접 방어 무기 체계 | 팬보로 에어쇼에서 공개된 대공 레이저. | 2010년 | 실험 단계 | [38] |
| ZEUS-HLONS (HMMWV 레이저 탄약 중화 시스템) | 지뢰 및 불발탄을 무력화하기 위해 전장에서 사용된 최초의 레이저 및 에너지 무기. | 틈새 시장 적용 | ||
| 고에너지 액체 레이저 지역 방어 시스템 (HELLADS)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상태 불명 | ||
| 중적외선 고급 화학 레이저(MIRACL) | 공군 위성을 대상으로 실험된 미 해군의 실험용 중수소 플루오르화물 레이저 | 1997년 | 취소됨 | |
| 해상 레이저 시험대 (MLD) | 미국 해군 군함에 탑재하기 위한 레이저 | 2011년 | 상태 불명 | [39][40] |
| 인원 저지 및 자극 반응(PHaSR) | 표적을 "눈부시게 하거나" 기절시키기 위해 미국 공군 유도 에너지국이 개발한 비살상 휴대용 무기 | 상태 불명 | [41] | |
| 전술 고에너지 레이저 (THEL) | 항공기와 미사일을 격추하기 위해 이스라엘과 미국이 공동 연구 프로젝트로 개발한 무기화된 중수소 플루오르화물 레이저 | 중단됨 | [42] | |
| 베리예프 A-60 | 일류신 Il-76MD 수송기에 장착된 소련/러시아 CO2 가스 레이저. 두 대가 제작되었으며, 그중 한 대는 1LK222 소콜 에셸론 레이저 시스템을 장착하고 있음. | 실험 단계 | [43] | |
| 고에너지 레이저-이동형 시험대 (HEL-MD) | 보잉이 설계한 중장비 확장 이동 전술 트럭(HEMTT)에 장착된 레이저 시스템. 현재 출력은 10kW이며 50kW로 증가될 예정이고, 궁극적으로 100kW로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예상됨. 사격 가능한 표적으로는 박격포탄, 포탄, 로켓, 무인 항공기 및 순항 미사일이 있음. | 상태 불명 | [44] | |
| 록히드 마틴이 개발한 광섬유 레이저 | 고출력 출력에서 빔 품질을 유지하면서 고체 레이저보다 전력 소모량이 적은 록히드 마틴이 개발한 60kW 광섬유 레이저. HEMTT에 장착될 예정임. | 2014년 | 상태 불명 | [45][46][47] |
| 자유 전자 레이저 | 자유 전자 레이저 기술은 미 해군에서 대공 및 대미사일 유도 에너지 무기 후보로 평가되고 있음. 토마스 제퍼슨 국립 가속기 시설의 자유 전자 레이저는 14kW 이상의 출력을 시연했음. 소형 다중 메가와트급 자유 전자 레이저 무기가 연구 중임. | 진행 중 | [48][49][50][51][52] | |
| 휴대용 고효율 레이저 시험대 (PELT)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상태 불명 | [53] | |
| 레이저 항공기 대응책 (ACCM)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상태 불명 | [54] | |
| 이동형 급파 고에너지 레이저 (MEHEL) 2.0 | 스트라이커 8x8 장갑차에 통합된 실험용 유도 에너지 무기. | 실험 단계 | [55][56] | |
| 지역 방어 대탄약 (ADAM) | 실험용 유도 에너지 무기. | 실험 단계 | [57] | |
| 고급 시험 고에너지 자산 (ATHENA)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상태 불명 | [58] | |
| 자체 방어 고에너지 레이저 시험대 (SHiELD) | 항공기를 미사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취소됨 | [59] | |
| 사일런트 헌터 (레이저 무기) | 중국의 광섬유 레이저 방공 시스템. 800미터 거리에서 2밀리미터 강판 5장, 1000미터 거리에서 5밀리미터 강판을 관통할 수 있다고 설명됨. | 상태 불명 | [60][61][62] | |
| 러시아 소콜 에셸론 | 러시아가 개발한 실험용 공중 레이저 무기로, 베리예프 A-60에 장착됨. | 실험 단계 | ||
| 러시아 페레스베트 | 근거리 이동식 ICBM 호위로서 운용 시험 중인 이동식 방공 레이저. | 운용 시험 중 | [63] | |
| 레이시온 레이저 | 레이시온 사가 개발한 고에너지 레이저로, MRZR에 장착하여 약 약 1.61km 거리에서 무인 항공 시스템을 무력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 | 상태 불명 | [64] | |
| ZKZM-500 | 레이저를 사용하여 일시적인 실명, 화상 및 통증을 유발하는 단거리 대인용 비살상 무기. | 생산 중 | [65] | |
| 노스롭 그루먼 전기 레이저 | 100kW 광선을 생성할 수 있는 전기 레이저로, 항공기, 선박 또는 차량에 장착될 가능성이 있음. | 2009년 | 실험 단계 | [66][67] |
| 노스롭 그루먼 레이저 건 | 미국 해군이 성공적으로 시험한 레이저 건으로, 전 USS 폴 F. 포스터에 장착되어 고속 순항 표적에 대한 파괴력을 시연했음. | 2011년 | 실험 단계 | [68] |
| 스카이가드 (지역 방어 시스템) | 제안된 지역 방어 시스템. | 제안됨 | ||
| 지역 방어 대탄약 (ADAM) | 록히드 마틴이 개발한 실험용 광섬유 레이저. 로켓에 대해 10kW로 시험됨. | 개발 진행 중 | [70][71] | |
| 해상 레이저 시험대 (MLD) | 미국 해군 군함에 탑재하기 위한 레이저. | 2011년-2014년 | 실전 배치 | [72][73] |
| 알마즈 HEL | 러시아 트럭 탑재형 유도 에너지 무기. | [74] | ||
| 보잉 레이저 어벤저 | AN/TWQ-1 어벤저 전투 차량에 장착된 소형 대드론 무기. | 실험 단계 | ||
| 휴대용 고효율 레이저 시험대 (PELT) | 대폭동용 비살상 무기. | 상태 불명 | [75] | |
| 레이저 항공기 대응책 (ACCM)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출처 필요 | ||
| 고에너지 액체 레이저 지역 방어 시스템 (HELLADS) | DARPA 계약에 따라 제너럴 아토믹스가 개발 중인 대(反)RAM 항공기 또는 트럭 탑재형 레이저. 목표 출력 150kW. | 상태 불명 | ||
| ARMOL | 2019년 수락 시험을 통과한 터키 레이저 무기. | 2019년 | 실험 단계 | [76] |
| AN/SEQ-3 레이저 무기 시스템 (LaWS) | 미국이 개발한 30kW 유도 에너지 무기. 2014년 USS 폰스 (LPD-15)에서 현장 시험을 거쳤고, 폰스가 퇴역한 후 USS 포틀랜드 (LPD-27)로 이동함. AN/SEQ-3 개발은 소형 드론 추적 기능이 향상된 HELIOS로 대체됨. | 2014년 | 실전 배치 프로토타입 | [7][77] |
| HELMA-P | CILAS와 아리안 그룹이 설계한 프랑스 군용 2kW 대드론 무기로, 사거리는 최대 1km임. 2017년부터 2019년 사이에 개발되었으며, 2020년과 2021년에 지상 시험이 진행되었고, 2023년 6월 12일부터 14일까지 프랑스 구축함 포르뱅에 선적용기에 장착되어 해상 시험이 실시됨. 개발사는 출력을 5kW로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 2017년 | 프로토타입 | [78] |
| 인도의 레이저 무기 | 2017년 8월 인도 국방 연구개발 기구가 개발한 1kW 레이저 무기. 250미터 거리에 있는 금속판에 36초 만에 구멍을 낼 수 있음. | 2017년 | 실험 단계 | [79] |
| 드래곤파이어 | 소형 보트, 드론 및 포탄/미사일을 대상으로 사용하기 위해 영국이 개발 중인 50kW 확장 가능 레이저 유도 에너지 무기. 2022년에 계획된 4차례의 운용 수락 시험 중 처음 두 차례를 완료함. 23형 호위함에서의 해상 시험은 2023년에 시작되어 2년 동안 진행될 예정임. 지상 차량 탑재형 애플리케이션도 방어 시스템으로 고려되고 있음. | 2017년 | 개발 중 | [80][81] |
| 통합 광학 눈부시게 하는 장치 및 감시 기능이 있는 고에너지 레이저 (HELIOS) | 아리 버크급 구축함에서 시험될 예정이며 소형 보트와 드론을 대상으로 사용하기 위한 60kW 레이저 무기 시스템. 미사일이나 항공기를 표적으로 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해질 미래 버전도 있을 수 있음. 이전 LaWS가 6개의 개별 광섬유 레이저를 하나의 일관된 빔으로 동기화하려고 시도한 것과 달리 HELIOS는 여러 개별 레이저 파장이 단일 광섬유 방출기를 통해 서로 겹쳐지는 스펙트럴 빔 결합을 사용함. 더 이상 축적된 커패시터 에너지의 버스트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드론을 눈부시게 하기 위한 지속적인 저방출 기능이 추가됨. | 2021년 | 프로토타입 | [82] |
| 펄스 에너지 발사체 (PEP) | 논란의 여지가 있는 트럭 탑재형 폭동 진압용 비살상 레이저 무기로 민간인을 기절시키도록 설계됨 | |||
| 기술 성숙 레이저 무기 시스템 시험대 (LWSD) | 2020년 5월 소형 무인 항공기를 성공적으로 파괴한 USS 포틀랜드 (LPD-27)에 설치된 레이저 무기 시스템 | 2020년 | 실험 단계 | [82][83] |
| 아이언 빔 | 대(反)로켓, 대(反)드론 근거리 방어를 위한 이스라엘 레이저 무기 시스템. | 개발 중 | [84][85] | |
| 라이트 블레이드 | 풍선을 격추하기 위해 아이언 돔 방어 시스템의 일부로 배치된 이스라엘 레이저 시스템 | 2020년 | 사용 중 | [86] |
| 미노타우르 | 헬레닉 회사인 수코스 로보틱스가 개발한 SR-42는 무인 BTR 8×8 차량에 장착된 라디오 재머, 마이크로웨이브 재머, 광학 눈부시게 하는 장치, 12.7mm 총과 레이저 무기로 구성된 대형 대드론 시스템으로, 2021년 7월 방위 전시회 아테네(DEFEA)에서 공개됨. 62개의 개별 청자색 레이저가 결합되어 300kW의 출력을 생성하며 2~3초마다 드론을 타격하도록 설계되었고, 사거리는 1km~25km, 고도는 최대 10km임. 그러나 열적 특성을 줄이기 위해 온보드 발전 없이 배터리로만 작동하여 최대 작동 시간이 2시간임.[87] SR-32는 동일한 레이저와 마이크로웨이브 재머가 트레일러에 장착된 버전이며, 26개의 레이저가 결합되어 100kW의 출력을 생성하며 사거리는 1km~10km, 고도는 1.7km임 | 2021년 | 실험 단계 | [88] |
| 청왕 블록 I 레이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20kW 대드론 시스템. | 2023년 | 실전 배치 | [89][90] |
| 10kW급 고출력 레이저 전자전 차량 | 일본의 10kW 대드론 시스템. | 2024년 | 실전 배치 | [91] |
이러한 프로젝트의 대부분은 취소되거나 중단되었고, 프로토타입이나 실험 단계를 넘어서지 못했거나, 눈부시게 하거나, 실명시키거나, 지뢰 제거 또는 소형 무방비 표적에 대한 근접 방어와 같은 틈새 시장 애플리케이션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현재 군사용 레이저는 주로 조준 및 거리 측정, 총기 사격 목표 지정에 사용되지만, 이 레이저 광선은 표적을 파괴하는 용도는 아니다. 레이저 무기는 일반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고출력 펄스를 생성한다.
전투 중에 표적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거나 파괴할 수 있는 레이저 무기는 현재 실용화 단계에 있다. 미국 등에서는 이미 실증 실험을 통해 수 킬로미터(km) 떨어진 곳을 고속으로 비행하는 표적의 파괴에 성공했다.
레이저 빔 무기의 일반적인 개념은 짧은 시간의 광 펄스로 표적을 공격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고출력 레이저 빔을 발사하는 데 필요한 동력으로는 화학적으로 작동하는 가스 다이나믹 레이저가 채택되고 있다. 레이저 무기는 고에너지 레이저를 이용하기 때문에 순식간에 목표물에 도달하여 정확도가 높아 표적을 수 초 만에 파괴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미사일과 달리 직선상에 있는 목표물에만 발사할 수 있기 때문에, 저공을 초속 수 킬로미터(km)로 날아오는 고속 미사일에는 대응할 수 없다.
또한, 저속으로 접근하는 전투기나 헬리콥터, 드론과 같은 군용기, 박격포탄, 로켓탄 등을 격추하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장갑이 두꺼운 전차의 파괴에는 적합하지 않다.
레이저 무기는 도시, 전차, 함선, 항공기 등에 대한 능동 방어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으며,[101] 차량 탑재형, 함재형, 항공기 탑재형이 있다.
- '''미국'''
미국 해군은 소형 무인 항공기, 휴대용 대전차 로켓 발사기, 모터보트 및 헬리콥터의 가시 엔진 등의 표적에 사용하기 위한 초단거리 (약 1.61km), 30kW의 레이저 무기 시스템(LaWS) 실험을 수행했다.[102][103] 이 시스템은 “6대의 레이저 용접 장비를 묶은 것”으로 정의된다. 2020년 시점에서는 60kW 시스템인 “HELIOS”가 구축함급을 위해 개발되고 있다.[104]
미국 국방부는 매년 평균 10억달러의 예산을 지향성 에너지 무기 개발에 투입하고 있으며, 다양한 개발 단계에 있는 최소 31개의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대부분은 레이저 무기이다.[109]
미 해군은 초기에는 가스 다이내믹 레이저 방식의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검토했으며, 1980년에 고출력 중수소 레이저포(MIRACL)를 완성했다. 시험에서는 초음속 표적기와 위성의 무력화에 성공했지만, 과도한 출력(최대 출력 2.2MW)과 설비 등의 문제로 육상 기지 방어에만 사용할 수 있고 함재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아 개발이 중단되었다. 2000년대부터는 개함 방어용 레이저포로 전환하여, 파이버 고체 레이저, 슬래브 고체 레이저, 자유 전자 레이저의 개발이 시도되었다.
'''LaWS'''
2009년부터 함재형 파이버 고체 레이저포 '''XN-1 LaWS'''의 개발을 시작했다. 민생용 레이저 용접기 6기를 조합하여 출력은 33kW이다. 2012년, 아레이 버크급 구축함 듀이(USS Dewey)의 헬기 갑판에 탑재되어 해상 시험을 실시했다. 2014년 8월, LaWS는 AN/SEQ-3으로 공식 채택되었고, 트렌턴급 강습상륙함 폰스(USS Ponce)에 탑재되어 페르시아 만에 실전 배치되었다. 2017년, 폰스의 퇴역에 따라 LaWS는 제거되어 HELIOS를 위해 육상에 보관되었다.
2009년 3월, MLD 시제 레이저포가 완성되어 2011년 4월부터 시험함 EDD-964 폴 F. 포스터에서 해상 시험에 들어가, 고속정을 폭발시켰다.
'''NLFoS 계획'''
해군은 현재, 대(對)UAV용 레이저 무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대함탄도미사일 요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NLFoS'''(Navy Laser Family of Systems) 계획으로서, 아래 여러 레이저 무기를 시험 개발하고 있다.[110]
:* '''RHEL'''(Ruggedized High Energy Laser):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이미 개발이 종료되었다.[110]
:* SSL-TM 계획·'''LWSD''' Mk.2 Mod.0: 150kW급의 UAV(무인 항공기)·USV(무인 수상정) 파괴용 레이저포. AN/SEQ-3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2019년, 샌 안토니오급 강습상륙함 포틀랜드(USS Portland)에 탑재되어 2020년, 해상 시험에서 UAV 파괴에 성공했다(2024년에 제거 예정).[111][112]
:* AN/SEQ-4·'''ODIN'''(Optical Dazzling Interdictor, Navy): 30kW급의 ISR용 UAV 센서·제어 장치 파괴용 레이저포로, 출력이 낮기 때문에 광학 센서를 파괴(손상)하여 목표를 무력화한다. 2019년 11월에 아레이 버크급 구축함 「듀이」에 처음 탑재되었고, 현재는 총 8척의 아레이 버크급에 탑재되어 있다.[113]
:* SNLWS 계획·'''HELIOS''' Mk.5 mod.0(High Energy Laser and Integrated Optical-dazzler with Surveillance): 60kW급 레이저와 광학 방해 장치, 감시 장치를 통합한, UAV·USV·ISR 센서 파괴용 레이저포이다. 육군이 개발한 HELMTT의 함재형으로, 이지스 전투 시스템에 통합되어 있다. 2022년에 아레이 버크급 구축함 프레블(USS Preble)에 처음 탑재되었다.[114]
NLFo 계획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대 출력 300kW급의 대함 미사일 요격용 레이저 '''HELCAP'''(High Energy Laser Counter-ASCM Program)도 개발하고 있다.
미 공군은 전구 미사일 방어(TMD) 구상에 따라 1994년부터 탄도 미사일 요격용 레이저 '''ABL'''(Airborne Laser, 공중 발사 레이저) 개발을 시작하여 2002년, B747-400F에 출력 3MW의 화학 산소 요오드 레이저(COIL)를 탑재한 실험기 YAL-1A를 제작했다. 부스트 단계의 탄도 미사일을 파괴하는 계획이었지만, 유효 사거리를 달성할 출력을 얻지 못하여 2011년 개발이 중단되었다. 2006년부터는 C-130H에 COIL을 탑재하여 지상 차량 공격용 레이저 '''ATL'''(Advanced Tactical Laser, 고성능 전술 레이저)을 개발하여 지상 시험과 공중 시험에 성공했지만, 실용화되지는 않았다. 또한 2015년부터는 AC-130J용 대지 레이저포로서 '''AHEL'''(Airborne High Energy Laser) 개발을 시작했지만, 이 또한 2024년 기술적 과제를 이유로 계획 중단이 발표되었다.
전투기 탑재형으로서, '''SHiELD'''(Self-Protect High-Energy Laser Demonstrator, 자체 방어형 고에너지 레이저 실증 장치) 프로그램을 2016년부터 시작했다. 차세대 전투기 NGAD는 물론, 기존의 F-16 등에도 레이저 무기 포드를 장착하여 공대공 미사일, 지대공 미사일, 소형 항공기 요격을 목적으로 하는 60~100kW급 레이저이다.[116] 2025년 비행 시험을 예정했지만, 2024년 개발이 종료되었다.
기지 등의 단거리 방어용으로 개발된 10kW급 팔레트식 레이저 '''H4'''는 2022년 시험에 성공하여 2023년 6월 공군에 인도되었다.
미 육군은 20kW급 레이저 "LOCUST"를 팔레트화된 P-HEL 및 ISV(Infantry Squad Vehicle)에 탑재한 AMP-HEL, 50kW급 레이저를 스트라이커 장갑차에 탑재한 DE-MSHORAD, 300kW급 순항미사일 요격용 레이저 IFPC-HEL 계획 등을 개발하고 있다.
'''DE-MSHORAD'''
DE-SHORAD는 Direct Energy Maneuver Short-Range Air Defense(지향성 에너지 기동 단거리 방공)의 약자이다. 스트라이커 장갑차에 출력 50kW급 레이저 포를 탑재한 무인기(UAV) 요격 시스템이다. 유럽 및 미군의 단거리 방공 능력 부족을 임시적으로 보완하기 위한 IM-SHORAD에 이은 새로운 시스템이다.[119]
2016년에 개발이 시작된 출력 2kW급 '''MEHEL'''(Mobile Expeditionary High Energy Laser, 기동 원정 고출력 레이저) 및 5kW급 출력 강화형 MEHEL 2.0, 2018년에 개발이 시작된 '''MMHEL'''(Multi-Mission High Energy Laser, 다목적 고에너지 레이저)을 기반으로 2019년에 개발이 시작되었다.[120] 2022년 9월, 시제품 4대가 인도되었고, 2024년 3월 모래 폭풍 등 기상 환경 하에서의 시험을 목적으로 중동에 배치되었다.[121]
'''IFPC-HEL 계획·Valkrie'''
IFPC-HEL(Indirect Fire Protection Capability-High Energy Laser, 간접 화력 방호 능력 - 고에너지 레이저) 계획에서 개발 중인 "Valkrie"는 최대 출력 300kW의 순항미사일 요격용 레이저이다.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박격포와 로켓포에 의한 전방 작전 기지 공격 경험을 바탕으로 2007년에 대박격포탄용 레이저로서 '''HELTD'''(High Energy Laser Technology Demonstrator, 고출력 레이저 기술 시험기)의 개발을 시작했다.[122] 이후 '''HEL-MD'''(High Energy Laser Mobile Demonstrator, 고에너지 레이저 기동 실증 차량)로 개칭된 본 시스템은 10kW급 레이저 포를 HEMTT에 탑재한 것이며, 2013년에 1800m~2700m 거리의 무인기 수 대와 박격포탄 90발 이상을 요격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추가적인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었고, 출력 60kW급 레이저를 탑재한 '''HELMTT'''(High Energy Laser Mobile Test Truck, 고에너지 레이저 실증 차량)가 개발되었다. 2017년부터 HELMTT의 출력을 100kW로 향상시키는 동시에 장치를 소형화하여 FMTV 중형 전술 트럭에 탑재함으로써 기동성을 높인 '''HEL-TVD'''(High Energy Laser Tactical Vehicle Demonstrator)가 개발되었다. 2019년, HEL-TVD에서 '''IFPC-HEL''' 실증기로 개발이 이전되었고, 2022년 9월 록히드 마틴이 300kW급 레이저를 육군에 인도했다.[123] 2023년 10월, 육군은 록히드 마틴과 최대 4기의 Valkrie를 개발하여 2025년까지 인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124] 록히드 마틴은 현재 500kW급 레이저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Valkrie의 출력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125]
'''P-HEL'''
P-HEL(Palletized-High Energy Laser, 팔레트식 고출력 레이저)은 BlueHal사의 20kW급 레이저 Locust를 기반으로 한 레이저 시스템이다. Xbox 게임 컨트롤러로 조작하는 "상자형 팔레트 마운트 장치"로 알려져 있다.[126]
2022년 11월에 미국 외 지역에서 운용이 시작되었고, 2024년에 2번째 장비가 배치되었다.[126] 2024년 5월, 미국 국방부는 중동에서 적의 무인기를 요격하는 데 레이저 무기를 처음으로 사용했다고 인정했으며, 미국의 포브스지는 해당 레이저 무기가 P-HEL이라고 보도했다.[127]
'''AMP-HEL'''
AMP-HEL(Army Multi-Purpose High Energy Laser, 육군 다목적 고에너지 레이저)은 보병 분대 차량 ISV(Infantry Squad Vehicle)에 BlueHal사의 20kW급 레이저 Locust를 탑재하는 계획이다. 2023년 4월, 육군은 BlueHal사와 총 7600만달러의 계약을 체결했다.[128]
- '''이스라엘'''
아이언 빔은 2014년 2월 11일 싱가포르 에어쇼에서 이스라엘의 방산업체 라파엘이 공개한 레이저 기반 미사일 방어 시스템이다.[11] 이 시스템은 최대 7km(약 약 6.92km)의 사정거리를 가지며, 단거리 로켓, 포병 및 박격포탄을 파괴하도록 설계되었다.[12][13] 이는 아이언돔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발사체를 요격하기에는 너무 가까운 거리이다. 무인 항공기(UAV)를 요격할 수도 있다.[14] 아이언 빔은 애로우 2, 애로우 3, 다윗의 슬링, 바락 8에 이어 이스라엘의 통합 방공 시스템의 여섯 번째 요소를 구성할 것이다.[12]
아이언 빔은 공중 목표물을 파괴하기 위해 섬유 레이저를 사용한다. 독립형 시스템으로 작동하든, 방공 시스템의 일부로 외부 신호를 이용하든, 감시 시스템이 위협을 감지하고 차량 플랫폼이 추적하여 공격한다.[16] 2025년 말까지 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17][18]
라파엘은 미국 투자를 받아 2012년부터 로켓탄 요격용 레이저 시스템인 아이언빔을 개발 중이다. 2014년 싱가포르 에어쇼에서 공개되었으며, 같은 해 시험에서 100발 이상의 포탄에 효과를 발휘했다고 한다.
5. 1. 한국
1999년, 국방과학연구소와 대우중공업은 서울 소재 K대학 연구팀과 함께 레이저포를 개발하기 시작해 400m 떨어진 철판을 관통하는 실험에 성공했다.한국의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1은 20kW의 출력으로 3km 이내에서 비행하는 쿼드드론 혹은 고정익 무인기를 요격할 수 있다. 보통 20kW 출력 레이저포는 5-10km 사거리를 갖는다. 2020년 9월, 충남 태안에 있는 국과연 안흥시험장에서 20kW 출력 레이저 빔이 1km 거리에 있던 철판 표적을 뚫는 시연이 있었다. 이 표적은 북한 노동미사일이나 2014년 파주에서 발견된 북한 무인기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었다.[143] 한국의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2는 30kW의 출력이다.
2021년 5월 25일, 국방과학연구소(ADD)는 국내 최초로 ‘파장제어 빔 결합기술’을 통해 고품질 광섬유 레이저 발생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파장제어 빔 결합 기술은 각기 다른 파장을 가지는 다수의 레이저 광을 공기 중에서 굴절을 통해 다각도로 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직선 형태로 강한 세기를 갖고 뻗어나가는 하나의 빔으로 합치는 기술이다. 1kW급 레이저 모듈에 이 기술을 적용하여 다섯 개의 1kW급 광섬유 레이저를 하나의 5kW급 고품질 레이저로 구현할 수 있다.[143]
철판을 자르는 공업용 레이저의 출력이 100W급 정도라는 점을 고려하면, 30kW급 레이저는 이보다 300배 이상 강력하다.[144]
| 이름 | 설명 | 연도 | 상태 | 출처 |
|---|---|---|---|---|
| 청왕 블록 I 레이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20kW 대드론 시스템. | 2023년 | 실전 배치 | [89][90] |
| 10kW급 고출력 레이저 전자전 차량 | 일본의 10kW 대드론 시스템. | 2024년 | 실전 배치 | [91] |
5. 2. 미국
2013년 미국 해군은 USS 폰스 (LPD-15)에 AN/SEQ-3 레이저 무기 시스템(LaWS)을 장착해 시험했다. 폰스함 LaWS의 출력은 33kW, 유효 사거리는 1.6km였다. 절단기 등에 쓰이는 고출력 레이저 발진 장치 6개에서 나오는 광선을 한 곳에 집중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7]2018년 미국 공군은 50kW 규모 출력의 레이저 무기를 시험 발사했으며, 2019년 F-15 등의 전투기에 직접 탑재해 시험 운용했다.
미국의 HELLADS는 150kW급의 출력을 가진 전술 레이저 무기다. 무게는 750kg에 불과하다. 사거리는 20km이다.
레이저 기반의 직접 에너지 무기는 방어 목적으로 개발 중이며, 특히 들어오는 미사일을 파괴하기 위해 개발 중이다. 그 한 예로 보잉 747 내부에 설치되어 YAL-1로 명명된 보잉 Airborne Laser이 있다. 이 시스템은 미사일의 부스터 단계에서 단거리 및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제거하도록 설계되었으나,[10] 2012년에 취소되었다.
또 다른 레이저 기반 방어 시스템은 전략방위구상(SDI, 별명 "스타워즈") 및 그 후속 프로그램을 위해 연구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지상 또는 우주 기반 레이저 시스템을 사용하여 들어오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대기 중에서 장거리에 걸쳐 레이저를 조준하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실질적인 문제로 인해 이러한 시스템의 구현이 복잡해졌다. 광산란과 굴절은 레이저 빔을 굴절시키고 왜곡시켜 조준을 어렵게 하고 효율성을 떨어뜨린다.
SDI 프로젝트의 관련 개념은 핵 펌핑 X선 레이저로, 유리 막대 형태의 레이저 매질로 둘러싸인 궤도 원자폭탄이다. 폭탄이 폭발하면 막대는 고에너지 감마선 광자에 노출되어 막대 원자 내에서 자발 방출 및 유도 방출이 발생한다. 이 과정은 X선 광자의 광 증폭을 초래하여 대기 왜곡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비행 중인 ICBM을 파괴할 수 있는 X선 레이저 빔을 생성한다. 그러나 X선 레이저는 활성화 시 자체적으로 파괴되므로 일회용 장치이다. 이 개념에 대한 초기 테스트는 지하 핵실험으로 실시되었지만 결과는 좋지 않았다. SDI 프로그램이 취소된 후 이러한 미사일 방어 접근 방식에 대한 연구는 중단되었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여러 국가들은 소형 무인 항공기(UAV)의 증가하는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드론 레이저 시스템을 개발해왔다. 이러한 시스템은 고출력 레이저를 사용하여 드론을 탐지, 추적, 파괴하도록 설계되어 비용 효율적이고 유연한 영공 방호 솔루션을 제공한다.
미국에서는 록히드 마틴이 2017년에 30kW ALADIN 레이저를 사용하여 UAV를 겨냥하고 파괴하는 아테나(ATHENA) 레이저 시스템의 성능을 시연했다.[19] 또 다른 미국 기업인 레이시온(Raytheon)은 2019년에 최대 3km 거리에서 드론을 탐지하고 파괴할 수 있는 고출력 레이저 무기 시스템(HELWS)을 개발했다.[19]
레이저 무기 개발을 선도하는 서구 기업으로는 보잉, 노스롭 그루먼, 록히드 마틴, 네덜란드 응용과학연구기구, 라인메탈, 그리고 MBDA가 있다.[26][27][28][29][30]
| 이름 | 설명 | 연도 | 상태 | 출처 |
|---|---|---|---|---|
| 엑스칼리버 계획 | 탄도 미사일 방어를 위한 유도 에너지 무기로서 핵 펌핑 X선 레이저를 개발하기 위한 미국 정부의 핵무기 연구 프로그램. | 1980년대 | 취소됨 | [31] |
| 미국 육군 미사일 사령부 레이저 | 스펙트럼의 황색-주황색-적색 부분에서 좁은 선폭을 방출하는 견고한 가변 레이저. | 1991년 | 실험 단계를 넘어서지 못함 | [32] |
| 보잉 YAL-1 | 개조된 보잉 747에 장착된 공중 가스 또는 화학 레이저로, 적 지역 상공에서 들어오는 탄도 미사일을 격추하기 위한 목적. | 2000년대 | 취소됨, 폐기됨 | [33][34][35][36][37] |
| 정밀 공중 독립 유도 에너지 무기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2008년 | 취소됨 | |
| 고에너지 액체 레이저 지역 방어 시스템 (HELLADS)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상태 불명 | ||
| 중적외선 고급 화학 레이저(MIRACL) | 공군 위성을 대상으로 실험된 미 해군의 실험용 중수소 플루오르화물 레이저 | 1997년 | 취소됨 | |
| 해상 레이저 시험대 (MLD) | 미국 해군 군함에 탑재하기 위한 레이저 | 2011년 | 상태 불명 | [39][40] |
| 인원 저지 및 자극 반응(PHaSR) | 표적을 "눈부시게 하거나" 기절시키기 위해 미국 공군 유도 에너지국이 개발한 비살상 휴대용 무기 | 상태 불명 | [41] | |
| 자유 전자 레이저 | 자유 전자 레이저 기술은 미 해군에서 대공 및 대미사일 유도 에너지 무기 후보로 평가되고 있음. 토마스 제퍼슨 국립 가속기 시설의 자유 전자 레이저는 14kW 이상의 출력을 시연했음. 소형 다중 메가와트급 자유 전자 레이저 무기가 연구 중임. | 진행 중 | [48][49][50][51][52] | |
| 휴대용 고효율 레이저 시험대 (PELT)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상태 불명 | [53] | |
| 레이저 항공기 대응책 (ACCM)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상태 불명 | ||
| 이동형 급파 고에너지 레이저 (MEHEL) 2.0 | 스트라이커 8x8 장갑차에 통합된 실험용 유도 에너지 무기. | 실험 단계 | [55][56] | |
| 지역 방어 대탄약 (ADAM) | 실험용 유도 에너지 무기. | 실험 단계 | [57] | |
| 고급 시험 고에너지 자산 (ATHENA)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상태 불명 | [58] | |
| 자체 방어 고에너지 레이저 시험대 (SHiELD) | 항공기를 미사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취소됨 | [59] | |
| 레이시온 레이저 | 레이시온 사가 개발한 고에너지 레이저로, MRZR에 장착하여 약 약 1.61km 거리에서 무인 항공 시스템을 무력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 | 상태 불명 | [64] | |
| 노스롭 그루먼 전기 레이저 | 100kW 광선을 생성할 수 있는 전기 레이저로, 항공기, 선박 또는 차량에 장착될 가능성이 있음. | 2009년 | 실험 단계 | [66][67] |
| 노스롭 그루먼 레이저 건 | 미국 해군이 성공적으로 시험한 레이저 건으로, 전 USS 폴 F. 포스터에 장착되어 고속 순항 표적에 대한 파괴력을 시연했음. | 2011년 | 실험 단계 | [68] |
| 스카이가드 (지역 방어 시스템) | 제안된 지역 방어 시스템. | 제안됨 | ||
| 지역 방어 대탄약 (ADAM) | 록히드 마틴이 개발한 실험용 광섬유 레이저. 로켓에 대해 10kW로 시험됨. | 개발 진행 중 | [70][71] | |
| 해상 레이저 시험대 (MLD) | 미국 해군 군함에 탑재하기 위한 레이저. | 2011년-2014년 | 실전 배치 | [72][73] |
| 보잉 레이저 어벤저 | AN/TWQ-1 어벤저 전투 차량에 장착된 소형 대드론 무기. | 실험 단계 | ||
| 휴대용 고효율 레이저 시험대 (PELT) | 대폭동용 비살상 무기. | 상태 불명 | [75] | |
| 레이저 항공기 대응책 (ACCM) | 유도 에너지 무기 프로젝트. | 출처 필요 | ||
| 고에너지 액체 레이저 지역 방어 시스템 (HELLADS) | DARPA 계약에 따라 제너럴 아토믹스가 개발 중인 대(反)RAM 항공기 또는 트럭 탑재형 레이저. 목표 출력 150kW. | 상태 불명 | ||
| AN/SEQ-3 레이저 무기 시스템 (LaWS) | 미국이 개발한 30kW 유도 에너지 무기. 2014년 USS 폰스 (LPD-15)에서 현장 시험을 거쳤고, 폰스가 퇴역한 후 USS 포틀랜드 (LPD-27)로 이동함. AN/SEQ-3 개발은 소형 드론 추적 기능이 향상된 HELIOS로 대체됨. | 2014년 | 실전 배치 프로토타입 | [7][77] |
| 통합 광학 눈부시게 하는 장치 및 감시 기능이 있는 고에너지 레이저 (HELIOS) | 아리 버크급 구축함에서 시험될 예정이며 소형 보트와 드론을 대상으로 사용하기 위한 60kW 레이저 무기 시스템. 미사일이나 항공기를 표적으로 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해질 미래 버전도 있을 수 있음. 이전 LaWS가 6개의 개별 광섬유 레이저를 하나의 일관된 빔으로 동기화하려고 시도한 것과 달리 HELIOS는 여러 개별 레이저 파장이 단일 광섬유 방출기를 통해 서로 겹쳐지는 스펙트럴 빔 결합을 사용함. 더 이상 축적된 커패시터 에너지의 버스트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드론을 눈부시게 하기 위한 지속적인 저방출 기능이 추가됨. | 2021년 | 프로토타입 | [82] |
| 기술 성숙 레이저 무기 시스템 시험대 (LWSD) | 2020년 5월 소형 무인 항공기를 성공적으로 파괴한 USS 포틀랜드 (LPD-27)에 설치된 레이저 무기 시스템 | 2020년 | 실험 단계 | [82][83] |
미국 해군은 소형 무인 항공기, 휴대용 대전차 로켓 발사기, 모터보트 및 헬리콥터의 가시 엔진 등의 표적에 사용하기 위한 초단거리 (약 1.61km), 30kW의 레이저 무기 시스템(LaWS) 실험을 수행했다.[102][103] 이 시스템은 “6대의 레이저 용접 장비를 묶은 것”으로 정의된다. 2020년 시점에서는 60kW 시스템인 “HELIOS”가 구축함급을 위해 개발되고 있다.[104]
실험 시스템의 예로는 ''MIRACL''과 전술 고에너지 레이저가 있지만, 이들은 현재는 생산 중단되었다.
미국 국방부는 매년 평균 10억달러의 예산을 지향성 에너지 무기 개발에 투입하고 있으며, 다양한 개발 단계에 있는 최소 31개의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대부분은 레이저 무기이다.[109]
미 해군은 초기에는 가스 다이내믹 레이저 방식의 이산화탄소 레이저를 검토했으며, 1980년에 고출력 중수소 레이저포(MIRACL)를 완성했다. 시험에서는 초음속 표적기와 위성의 무력화에 성공했지만, 과도한 출력(최대 출력 2.2MW)과 설비 등의 문제로 육상 기지 방어에만 사용할 수 있고 함재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아 개발이 중단되었다. 2000년대부터는 개함 방어용 레이저포로 전환하여, 파이버 고체 레이저, 슬래브 고체 레이저, 자유 전자 레이저의 개발이 시도되었다.
'''LaWS'''
:2009년부터 함재형 파이버 고체 레이저포 '''XN-1 LaWS'''의 개발을 시작했다. 민생용 레이저 용접기 6기를 조합하여 출력은 33kW이다. 2012년, 아레이 버크급 구축함 듀이(USS Dewey)의 헬기 갑판에 탑재되어 해상 시험을 실시했다. 2014년 8월, LaWS는 AN/SEQ-3으로 공식 채택되었고, 트렌턴급 강습상륙함 폰스(USS Ponce)에 탑재되어 페르시아 만에 실전 배치되었다. 2017년, 폰스의 퇴역에 따라 LaWS는 제거되어 후술하는 HELIOS를 위해 육상에 보관되었다.
:또한 2009년 3월, MLD 시제 레이저포가 완성되어 2011년 4월부터 시험함 EDD-964 폴 F. 포스터에서 해상 시험에 들어가, 고속정을 폭발시켰다.
'''NLFoS 계획'''
:해군은 현재, 대(對)UAV용 레이저 무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대함탄도미사일 요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NLFoS'''(Navy Laser Family of Systems) 계획으로서, 아래 여러 레이저 무기를 시험 개발하고 있다.[110]
:* '''RHEL'''(Ruggedized High Energy Laser)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이미 개발이 종료되었다.[110]
:* SSL-TM 계획·'''LWSD''' Mk.2 Mod.0
::150kW급의 UAV(무인 항공기)·USV(무인 수상정) 파괴용 레이저포. AN/SEQ-3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2019년, 샌 안토니오급 강습상륙함 포틀랜드(USS Portland)에 탑재되어 2020년, 해상 시험에서 UAV 파괴에 성공했다(2024년에 제거 예정)[111][112].
:* AN/SEQ-4·'''ODIN'''(Optical Dazzling Interdictor, Navy)
::30kW급의 ISR용 UAV 센서·제어 장치 파괴용 레이저포. 출력이 낮기 때문에, 광학 센서를 파괴(손상)하여 목표를 무력화한다. 2019년 11월에 아레이 버크급 구축함 「듀이」에 처음 탑재되었고, 현재는 총 8척의 아레이 버크급에 탑재되어 있다.[113].
:* SNLWS 계획·'''HELIOS''' Mk.5 mod.0(High Energy Laser and Integrated Optical-dazzler with Surveillance)
::60kW급 레이저와 광학 방해 장치, 감시 장치를 통합한, UAV·USV·ISR 센서 파괴용 레이저포. 육군이 개발한 HELMTT의 함재형으로, 이지스 전투 시스템에 통합되어 있다. 2022년에 아레이 버크급 구축함 프레블(USS Preble)에 처음 탑재되었다.[114].
NLFo 계획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대 출력 300kW급의 대함 미사일 요격용 레이저 '''HELCAP'''(High Energy Laser Counter-ASCM Program)도 개발하고 있다.
미 공군은 전구 미사일 방어(TMD) 구상에 따라 1994년부터 탄도 미사일 요격용 레이저 '''ABL'''(Airborne Laser, 공중 발사 레이저) 개발을 시작하여 2002년, B747-400F에 출력 3MW의 화학 산소 요오드 레이저(COIL)를 탑재한 실험기 YAL-1A를 제작했다. 부스트 단계의 탄도 미사일을 파괴하는 계획이었지만, 유효 사거리를 달성할 출력을 얻지 못하여 2011년 개발이 중단되었다. 2006년부터는 C-130H에 COIL을 탑재하여 지상 차량 공격용 레이저 '''ATL'''(Advanced Tactical Laser, 고성능 전술 레이저)을 개발하여 지상 시험과 공중 시험에 성공했지만, 실용화되지는 않았다. 또한 2015년부터는 AC-130J용 대지 레이저포로서 '''AHEL'''(Airborne High Energy Laser) 개발을 시작했지만, 이 또한 2024년 기술적 과제를 이유로 계획 중단이 발표되었다.
또한 전투기 탑재형으로서, '''SHiELD'''(Self-Protect High-Energy Laser Demonstrator, 자체 방어형 고에너지 레이저 실증 장치) 프로그램을 2016년부터 시작했다. 차세대 전투기 NGAD는 물론, 기존의 F-16 등에도 레이저 무기 포드를 장착하여 공대공 미사일, 지대공 미사일, 소형 항공기 요격을 목적으로 하는 60~100kW급 레이저[116]이다. 2025년 비행 시험을 예정했지만, 2024년 개발이 종료되었다.
기지 등의 단거리 방어용으로 개발된 10kW급 팔레트식 레이저 '''H4'''는 2022년 시험에 성공하여 2023년 6월 공군에 인도되었다.
미 육군은 20kW급 레이저 "LOCUST"를 팔레트화된 P-HEL 및 ISV(Infantry Squad Vehicle)에 탑재한 AMP-HEL, 50kW급 레이저를 스트라이커 장갑차에 탑재한 DE-MSHORAD, 300kW급 순항미사일 요격용 레이저 IFPC-HEL 계획 등을 개발하고 있다.
'''DE-MSHORAD'''
:DE-SHORAD는 Direct Energy Maneuver Short-Range Air Defense(지향성 에너지 기동 단거리 방공)의 약자이다. 스트라이커 장갑차에 출력 50kW급 레이저 포를 탑재한 무인기(UAV) 요격 시스템이다. 유럽 및 미군의 단거리 방공 능력 부족을 임시적으로 보완하기 위한 IM-SHORAD에 이은 새로운 시스템이다.[119]
:2016년에 개발이 시작된 출력 2kW급 '''MEHEL'''(Mobile Expeditionary High Energy Laser, 기동 원정 고출력 레이저) 및 5kW급 출력 강화형 MEHEL 2.0, 2018년에 개발이 시작된 '''MMHEL'''(Multi-Mission High Energy Laser, 다목적 고에너지 레이저)을 기반으로 2019년에 개발이 시작되었다.[120] 2022년 9월, 시제품 4대가 인도되었고, 2024년 3월 모래 폭풍 등 기상 환경 하에서의 시험을 목적으로 중동에 배치되었다.[121]
'''IFPC-HEL 계획·Valkrie'''
:IFPC-HEL(Indirect Fire Protection Capability-High Energy Laser, 간접 화력 방호 능력 - 고에너지 레이저) 계획에서 개발 중인 "Valkrie"는 최대 출력 300kW의 순항미사일 요격용 레이저이다.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박격포와 로켓포에 의한 전방 작전 기지 공격 경험을 바탕으로 2007년에 대박격포탄용 레이저로서 '''HELTD'''(High Energy Laser Technology Demonstrator, 고출력 레이저 기술 시험기)의 개발을 시작했다.[122] 이후 '''HEL-MD'''(High Energy Laser Mobile Demonstrator, 고에너지 레이저 기동 실증 차량)로 개칭된 본 시스템은 10kW급 레이저 포를 HEMTT에 탑재한 것이며, 2013년에 1800m~2700m 거리의 무인기 수 대와 박격포탄 90발 이상을 요격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추가적인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었고, 출력 60kW급 레이저를 탑재한 '''HELMTT'''(High Energy Laser Mobile Test Truck, 고에너지 레이저 실증 차량)가 개발되었다. 2017년부터 HELMTT의 출력을 100kW로 향상시키는 동시에 장치를 소형화하여 FMTV 중형 전술 트럭에 탑재함으로써 기동성을 높인 '''HEL-TVD'''(High Energy Laser Tactical Vehicle Demonstrator)가 개발되었다. 2019년, HEL-TVD에서 '''IFPC-HEL''' 실증기로 개발이 이전되었고, 2022년 9월 록히드 마틴이 300kW급 레이저를 육군에 인도했다.[123] 2023년 10월, 육군은 록히드 마틴과 최대 4기의 Valkrie를 개발하여 2025년까지 인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124] 록히드 마틴은 현재 500kW급 레이저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Valkrie의 출력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125]
'''P-HEL'''
:P-HEL(Palletized-High Energy Laser, 팔레트식 고출력 레이저)은 BlueHal사의 20kW급 레이저 Locust를 기반으로 한 레이저 시스템이다. Xbox 게임 컨트롤러로 조작하는 "상자형 팔레트 마운트 장치"로 알려져 있다.[126]
:2022년 11월에 미국 외 지역에서 운용이 시작되었고, 2024년에 2번째 장비가 배치되었다.[126] 2024년 5월, 미국 국방부는 중동에서 적의 무인기를 요격하는 데 레이저 무기를 처음으로 사용했다고 인정했으며, 미국의 포브스지는 해당 레이저 무기가 P-HEL이라고 보도했다.[127]
'''AMP-HEL'''
:AMP-HEL(Army Multi-Purpose High Energy Laser, 육군 다목적 고에너지 레이저)은 보병 분대 차량 ISV(Infantry Squad Vehicle)에 BlueHal사의 20kW급 레이저 Locust를 탑재하는 계획이다. 2023년 4월, 육군은 BlueHal사와 총 7600만달러의 계약을 체결했다.[128]
5. 3. 이스라엘
아이언 빔은 2014년 2월 11일 싱가포르 에어쇼에서 이스라엘의 방산업체 라파엘이 공개한 레이저 기반 미사일 방어 시스템이다.[11] 이 시스템은 최대 7km(약 약 6.92km)의 사정거리를 가지며, 단거리 로켓, 포병 및 박격포탄을 파괴하도록 설계되었다.[12][13] 이는 아이언돔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발사체를 요격하기에는 너무 가까운 거리이다. 무인 항공기(UAV)를 요격할 수도 있다.[14] 아이언 빔은 애로우 2, 애로우 3, 다윗의 슬링, 바락 8에 이어 이스라엘의 통합 방공 시스템의 여섯 번째 요소를 구성할 것이다.[12]아이언 빔은 공중 목표물을 파괴하기 위해 섬유 레이저를 사용한다. 독립형 시스템으로 작동하든, 방공 시스템의 일부로 외부 신호를 이용하든, 감시 시스템이 위협을 감지하고 차량 플랫폼이 추적하여 공격한다.[16] 2025년 말까지 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17][18]
이스라엘의 라파엘은 미국 투자를 받아 2012년부터 로켓탄 요격용 레이저 시스템인 아이언빔을 개발 중이다. 2014년 싱가포르 에어쇼에서 공개되었으며, 같은 해 시험에서 100발 이상의 포탄에 효과를 발휘했다고 하지만, 출력이 낮아 사정거리가 짧았다. 그러나 출력을 100kW급으로 높여 사정거리를 늘렸다.[133] 2022년 4월 14일, 이스라엘 국방부 연구본부와 라파엘사의 공동 요격 시험에서 고정익 무인기, 박격포탄, 로켓탄, 대전차 미사일 요격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134] 2025년 실전 배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135]
라파엘과 같은 이스라엘 기업들은 2020년에 UAV와 그 무리를 파괴하도록 설계된 소형 드론 돔 시스템을 시연했다.[19] 옵티디펜스가 개발한 라이트 블레이드는 풍선이나 연에 부착된 소형 UAV 및 폭발물과 같은 테러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19]
5. 4. 영국
MBDA가 주도하는 드래곤파이어 컨소시엄은 영국 국방부의 레이저 지향성 에너지 무기능력 실증 계획(Laser Directed Energy Weapon CDP)에 따라 함정용 근접 방어 무기 체계(CIWS), 무인 항공기(UAV) 요격, 포격 로켓탄 격추 등에 사용되는 출력 50kW급 레이저 '''드래곤파이어'''(Dragonfire)를 개발 중이다.[129][130] 드래곤파이어 컨소시엄에는 레오나르도사, 키네틱사, 아크사, BAE 시스템즈사, 마셜사, GKN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2015년 4월부터 개발을 시작했다.DSEI 2017에서 시험기가 전시되었고, 2019년부터 실증 시험에 들어갔다. 2027년까지 배치를 예정하고 있었으나,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해 계획을 대폭 앞당기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129][130]
5. 5. 중국
중국은 1964년 대전략 미사일용 레이저포 개발을 결정했다. 중국 해군은 2014년부터 미국 해군의 LaWS와 매우 유사한 레이저포를 개발해 왔으며, 2017년 차량에 탑재하여 시험을 실시, 300m 거리의 무인기를 격추시켰다.[136] 육상과 해상 양쪽 배치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함재형은 HHQ-10의 대체로서 장래적으로 055형 구축함에 탑재될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136] 2019년에는 이 무기로 보이는 영상이 중국 국영 방송에서 방영되었다.폴리과기유한공사는 2017년 아부다비에서 개최된 IDEX(국제방위전시회)에서 Silent Hunter|사일런트 헌터영어 방공 시스템을 발표했다. 6×6륜 트럭으로 견인되는 컨테이너에 설치된 광섬유 레이저는 출력 30~100kW급, 최대 사정거리는 4km로 알려져 있다.[137] 2016년 9월 항저우 G20 정상회의에 배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는 사일런트 헌터를 구매하여 2022년 3월에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138]
5. 6. 러시아
러시아는 소련 시절부터 레이저 무기 개발에 적극적이었다. 소련은 실험적인 자주포 레이저 무기인 1K17 샤티에를 개발했지만, 실험 단계를 넘어서지 못했다.[31] 1987년에는 배치에 실패한 레이저 무장 궤도 무기인 17F19DM 폴리우스/스키프-DM을 발사하기도 했다.[31] 테라-3는 강력한 대(反)위성 무기 프로토타입으로 여겨졌던 소련의 레이저 시설이었으나, 나중에는 제한적인 위성 추적 능력을 가진 시험장으로 밝혀졌다.[31]현대에 들어 러시아는 베리예프 A-60에 소콜 에셸론 레이저 시스템을 장착하여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43] 러시아군은 지상 배치형 방공 레이저포 '''페레스베트'''를 2017년부터 배치하여 2018년 가을부터 운용하고 있다.[139] 2022년 5월, 유리 보리소프 부총리는 페레스베트의 발전형인 '''자디라(Zadira)'''의 프로토타입을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했다고 발표했다.[139] 페레스베트는 드론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데 비해, 자디라는 표적을 물리적으로 파괴할 수 있으며, 5km 떨어진 드론을 5초 이내에 소각한다고 한다.[139] 그러나 미국 국방부는 러시아의 레이저 무기 실전 사용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140]
5. 7. 일본
일본은 2024년 11월에 10kW급 고출력 레이저 전자전 차량을 실전 배치했다. 이 차량은 10kW의 대드론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91]6. 비살상 레이저 무기
일렉트로레이저는 표적 경로를 이온화한 다음, 이온화된 플라즈마의 전도성 경로를 따라 전류를 보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는 번개와 유사하며, 거대하고 강력하며 사거리가 긴 테이저건 또는 전기 충격기와 같은 기능을 한다.
펄스 에너지 투사체(PEP, Pulsed Energy Projectile) 시스템은 적외선 레이저 펄스를 발사하여 표적에 빠르게 팽창하는 플라즈마를 만든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소리, 충격파, 전자기파는 표적을 기절시키고 통증과 일시적인 마비를 일으킨다. 이 무기는 개발 중이며, 군중 제압을 위한 비살상 무기로 사용될 수 있지만, 치명적인 무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다즐러(Dazzler)는 강력한 직접 조사 방사선을 사용하여 표적의 시각을 일시적으로 상실하게 하거나 방향 감각을 잃게 하는 유도 에너지 무기이다. 표적은 센서 또는 인간의 시각이 될 수 있다. 다즐러는 장기적인 손상을 주지 않도록 설계되었으며, 다양한 전자 센서에는 적외선 또는 보이지 않는 빛을, 인간에게는 가시광선을 방출한다. 방출기는 일반적으로 레이저이며, 이를 '레이저 다즐러(laser dazzler)'라고 한다. 대부분의 현대 시스템은 휴대용이며, 적색(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녹색(다이오드 펌핑 고체 레이저, DPSS) 전자기 스펙트럼 영역에서 작동한다.
초기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지만, 현재는 법 집행 및 보안 분야에서도 비군사용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20][21]
미 공군 연구소(Air Force Research Laboratory)의 유도 에너지국(Directed Energy Directorate)이 개발한 PHASR(인원 저지 및 자극 반응 소총)은 비살상 레이저 다즐러 시제품이다.[22] 그 목적은 표적을 일시적으로 방향 감각을 잃게 하고 시각을 상실하게 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실명 레이저 무기가 시험되었지만, 미국이 2009년 1월 21일 비준한 1995년 유엔(United Nations) 실명 레이저 무기 의정서(Protocol on Blinding Laser Weapons)에 따라 금지되었다.[23] 저강도 레이저인 PHASR 소총은 실명 효과가 일시적이라는 점에서 이 규정에 따라 금지되지 않는다. 또한 두 가지 파장의 레이저를 사용한다.[24] PHASR은 뉴멕시코 커틀랜드 공군 기지(Kirtland Air Force Base)에서 시험되었다.
7. 대응책
레이저 무기에 대한 대응책은 현재 개발 중이며, 주로 레이저 빔을 방해하거나,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개발 중인 대응책
- 미사일 방어 시스템:
| 시스템 | 설명 | 비고 |
| :--------------------------------------- | :-------------------------------------------------------------------------------------------------------------------------------------------------------------------------------------------------------------------------------------------------------------------------------------------- | :--------------------------------------------------------------------------- |
| YAL-1 | 보잉 747 내부에 설치된 레이저 무기로, 미사일의 부스터 단계에서 단거리 및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제거하도록 설계 | 2012년에 취소[10] |
| 전략방위구상(SDI) | 지상 또는 우주 기반 레이저 시스템을 사용하여 들어오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대기 중 레이저 조준 문제(광산란, 굴절) 등 여러 문제로 인해 구현이 복잡 | |
| 핵 펌핑 X선 레이저 | 궤도 원자폭탄을 이용해 X선 레이저 빔을 생성하여 ICBM을 파괴하는 개념이었으나, 일회용 장치이며 초기 테스트 결과도 좋지 않아 연구 중단 | |
| 아이언 빔 | 이스라엘에서 개발한 레이저 기반 미사일 방어 시스템. 단거리 로켓, 포병, 박격포탄 및 무인 항공기(UAV)를 요격.[11] 아이언돔 시스템이 요격하기 어려운 가까운 거리의 발사체를 파괴하도록 설계[12][13] | 2025년 말까지 운용될 것으로 예상[17][18] |
- 열꽃 현상 대응 기술:
레이저 빔은 높은 에너지 밀도에서 대기 중 플라스마를 발생시켜 "열꽃 현상"을 일으키고, 이는 레이저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이를 줄이기 위한 기술은 다음과 같다.
| 기술 | 설명 | 비고 |
| :--------------------------------------- | :----------------------------------------------------------------------------------------------------------------------------------------------------------------------------------------------------------------------------------------------------------------------------------------------------------------- | :------------------------------------------------------------------------------------------------------------------------------------------------------------------------------------------------------------------------------------------------------------------------ |
| 빔 확산 | 큰 곡면 거울을 사용하여 빔을 넓게 퍼뜨려 에너지 밀도를 낮춘다. | 매우 크고 정밀한 거울과 조준 장치가 필요. |
| 위상 배열 안테나 사용 | 수십억 개의 마이크로미터(μm) 크기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빔을 제어. | 탄소 나노튜브가 제안되었으나, 현재 구현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음.[93] |
| 위상 공액 레이저 시스템 | "탐색" 레이저를 사용하여 목표물의 반사 지점을 찾고, 역파를 증폭시켜 목표물을 파괴. 열꽃 현상에 의한 왜곡을 자동으로 수정 가능. | 고출력에서 거울이 과열되는 문제가 있음. |
| 매우 짧은 펄스 사용 | 열꽃 현상이 발생하기 전에 펄스를 종료하여 영향을 줄인다. | 매우 강력한 레이저가 필요하며, 무기화 가능한 형태는 아직 존재하지 않음. |
| 저전력 레이저 집중 | 여러 개의 저전력 레이저를 단일 목표물에 집중. | 시스템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음. |
- 물질 및 코팅:
참조
[1]
뉴스
US and Israel Shelved Laser as a Defense
https://www.nytimes.[...]
2006-07-30
[2]
웹사이트
Directed Energy
https://www.globalse[...]
[3]
웹사이트
Navy's new laser weapon: Hype or reality?
https://thebulletin.[...]
2020-01-17
[4]
웹사이트
Laser Weapons Not Yet Ready for Missile Defense
https://spectrum.iee[...]
IEEE
2020-01-17
[5]
웹사이트
Here come the helicopters with weaponized lasers
https://www.popsci.c[...]
2020-01-17
[6]
뉴스
Police fight back on laser threat
https://news.bbc.co.[...]
2020-01-17
[7]
뉴스
Navy's New Laser Weapon Blasts Bad Guys From Air, Sea
https://news.yahoo.c[...]
2013-04-09
[8]
웹사이트
The U.S. Army Plans to Field the Most Powerful Laser Weapon Yet
https://www.popularm[...]
2019-08-07
[9]
웹사이트
When it comes to missile-killing lasers, the US Navy is ready to burn its ships
https://www.defensen[...]
2019-05-28
[10]
웹사이트
"Light Warfare"; by Matthew Swibel; 04.23.07;
https://www.forbes.c[...]
2011-09-25
[11]
웹사이트
RAFAEL at Singapore Air Show 2014
http://www.rafael.co[...]
[12]
뉴스
Israel plans laser interceptor 'Iron Beam' for short-range rockets
https://www.reuters.[...]
Reuters
2014-01-21
[13]
웹사이트
Israeli company to unveil laser defense
http://www.utsandieg[...]
[14]
웹사이트
RAFAEL Develops a New High Energy Laser Weapon
http://defense-updat[...]
[15]
웹사이트
Israel's Rafael to unveil laser-based defense system – Diplomacy and Defense Israel News
http://www.haaretz.c[...]
[16]
뉴스
The "Iron Beam": Israel's Anti-Missile Laser
https://nationalinte[...]
2020-09-08
[17]
뉴스
Tomorrow's battlefield: AI, robotic dogs, and drone helicopters
https://www.jewishne[...]
Jewish News
2024-01-18
[18]
웹사이트
Iron Beam, Israel's laser air defense system, could be ready in 2-3 years
https://breakingdefe[...]
Breaking Defense
2022-10-04
[19]
웹사이트
Lasers against drones
https://punisher.com[...]
2021-10-06
[20]
웹사이트
US cops and military to get laser guns
http://www.techradar[...]
Techradar.com
2010-07-28
[21]
웹사이트
Police to experiment with blinding 'Dazer Laser'?
http://news.cnet.com[...]
CNET.com
2010-07-28
[22]
웹사이트
New technology 'dazzles' aggressors
https://archive.toda[...]
The Official Website of the U.S. Air Force
2005-11-02
[23]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http://www.unog.ch/_[...]
www.unog.ch
2009-01-15
[24]
웹사이트
PERSONNEL HALTING and STIMULATION RESPONSE (PHaSR) Fact Sheet
http://www.kirtland.[...]
Air Force Research Laboratory, Office of Public Affairs
2006-04
[25]
웹사이트
Chinese Soldiers Have Laser Guns
http://www.popsci.co[...]
2019-03-18
[26]
웹사이트
Laser voor defensie
https://www.telegraa[...]
2018-04-24
[27]
뉴스
Laser Technology
https://www.northrop[...]
Northrop Grumman
2019-09-27
[28]
뉴스
Lockheed Martin Receives $150 Million Contract To Deliver Integrated High Energy Laser Weapon Systems To U.S. Navy
https://news.lockhee[...]
Lockheed Martin
2019-09-27
[29]
뉴스
DIRECTED ENERGY
https://www.boeing.c[...]
Boeing
2019-09-27
[30]
뉴스
Rheinmetall and MBDA to develop high-energy laser effector system for the German Navy
https://www.rheinmet[...]
Rheinmetall Defence
2022-07-16
[31]
서적
The Dictionary of SDI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988
[32]
논문
Ruggedized narrow-linewidth dispersive dye laser oscillator
1991
[33]
뉴스
Northrop Advance Brings Era of the Laser Gun Closer
https://www.latimes.[...]
2009-03-19
[34]
웹사이트
Missile Defense Umbrella?
http://csis.org/blog[...]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35]
웹사이트
Schwartz: Get those AF boots off the ground
http://www.airforcet[...]
airforcetimes.com
[36]
뉴스
Pentagon Loses War To Zap Airborne Laser From Budget
https://www.wsj.com/[...]
2011-02-11
[37]
잡지
Lights Out for the Airborne Laser
2011-12-21
[38]
웹사이트
BBC News – Anti-aircraft laser unveiled at Farnborough Airshow
https://www.bbc.co.u[...]
Bbc.co.uk
2010-07-19
[39]
웹사이트
MLD Test Moves Navy a Step Closer to Lasers for Ship Self-Defense
http://www.onr.navy.[...]
2011-04-08
[40]
뉴스
Navy tests laser gun by zapping motorboat off California coast
http://latimesblogs.[...]
LA Times
2011-04-11
[41]
웹사이트
Air Force Link
https://web.archive.[...]
2005-11-02
[42]
뉴스
U.S. and Israel Are Said to Talk of a Shield Against Iranian Missiles
https://www.nytimes.[...]
2005-02-20
[43]
웹사이트
Beriev A-60
https://www.globalse[...]
[44]
웹사이트
U.S. Army's vehicle-mounted High Energy Laser Mobile Demonstrator shoots down UAVs, mortar rounds
http://www.laserfocu[...]
2013-12-13
[45]
웹사이트
Lockheed Martin Wins Contract To Develop Weapons Grade Fiber Laser For U.S. Army Field Test
http://www.providenc[...]
2014-04-24
[46]
웹사이트
Army to get laser that can zap drones
https://www.washingt[...]
2017-03-16
[47]
웹사이트
US Army gets world record-setting 60-kW laser
http://www.defensene[...]
2017-08-08
[48]
웹사이트
Jefferson Lab FEL
http://www.jlab.org/[...]
[49]
논문
Airborne megawatt class free-electron laser for defense and security
[50]
웹사이트
Raytheon Awarded Contract for Office of Naval Research's Free Electron Laser Program
http://news.prnewswi[...]
[51]
웹사이트
Boeing Completes Preliminary Design of Free Electron Laser Weapon System
http://boeing.mediar[...]
[52]
뉴스
Breakthrough Laser Could Revolutionize Navy's Weaponry
http://www.foxnews.c[...]
Fox News
2011-01-20
[53]
웹사이트
The Leading Mil Net Site on the Net
http://www.milnet.co[...]
milnet.com
[54]
웹사이트
Dazzle gun will protect US helicopters
https://www.newscien[...]
[55]
웹사이트
U.S. Army demonstrates MEHEL 2.0 laser weapon integrated on Stryker 8x8 armoured vehicle 11803171 | March 2017 Global Defense Security news industry | Defense Security global news industry army 2017 | Archive News year
http://www.armyrecog[...]
[56]
웹사이트
Army demonstrates integration of laser weapon on combat vehicle
https://www.army.mil[...]
2017-03-17
[57]
웹사이트
Media – Lockheed Martin – Releases
http://www.lockheedm[...]
[58]
웹사이트
Media – Lockheed Martin – Releases
http://www.lockheedm[...]
[59]
웹사이트
U.S. Military Laser Weapon Programs Are Facing A Reality Check
https://www.twz.com/[...]
2024-05-21
[60]
웹사이트
IDEX 2017: Poly reveals Silent Hunter fibre-optic laser system | IHS Jane's 360
http://www.janes.com[...]
[61]
뉴스
Drones, lasers, and tanks: China shows off its latest weapons
https://www.popsci.c[...]
[62]
웹사이트
China's Progress with Directed Energy Weapons
https://www.uscc.gov[...]
2017-02-23
[63]
웹사이트
Начальник Генерального штаба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генерал армии Валерий Герасимов встретился с представителями военно-дипломатического корпуса, аккредитованными в России
https://function.mil[...]
2019-12-18
[64]
Youtube
Raytheon CUAS Laser Dune Buggy vs. Drone
https://www.youtube.[...]
YouTube
2018-01-26
[65]
웹사이트
China's new laser-powered rifle can literally set you on fire
https://www.cnet.com[...]
[66]
웹사이트
Joint High Power Solid-State Laser,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2012
http://www.as.northr[...]
[67]
뉴스
Northrop Advance Brings Era Of The Laser Gun Closer
2009-03-19
[68]
웹사이트
Navy Shows Off Powerful New Laser Weapon.
http://www.foxnews.c[...]
Foxnews.com
2010-04-07
[69]
웹사이트
BBC News – Anti-aircraft laser unveiled at Farnborough Airshow
https://www.bbc.co.u[...]
Bbc.co.uk
2010-07-19
[70]
웹사이트
ATHENA Laser Weapon System Prototype
http://www.lockheedm[...]
[71]
웹사이트
Releases
http://www.lockheedm[...]
2012-11-30
[72]
뉴스
MLD Test Moves Navy a Step Closer to Lasers for Ship Self-Defense
http://www.onr.navy.[...]
2011-04-08
[73]
뉴스
Navy tests laser gun by zapping motorboat off California coast
http://latimesblogs.[...]
LA Times
2011-04-11
[74]
논문
Russian / Soviet Point Defence Weapons
2008-05-12
[75]
웹사이트
Home – Veterans Disability Guide
http://www.milnet.co[...]
2011-11-30
[76]
웹사이트
Turkey's laser weapon ARMOL passes acceptance tests
https://www.dailysab[...]
2019-09-30
[77]
웹사이트
The U.S. Is Losing the Hypersonic Arms Race to China—But its High-Powered Lasers are Changing the Game
https://www.popularm[...]
2023-01-13
[78]
웹사이트
French Navy tests HELMA-P Laser Weapon from Horizon Destroyer
https://www.navalnew[...]
2023-06-20
[79]
웹사이트
What Are India's Plans for Directed Energy Weapons?
https://thediplomat.[...]
2020-09-24
[80]
웹사이트
Laser power moves a step closer for UK defence
https://www.gov.uk/g[...]
[81]
웹사이트
UK naval laser programme: Light at the end of the tunnel?
https://www.iiss.org[...]
[82]
뉴스
Navy to Field High-Energy Laser Weapon, Laser Dazzler on Ships This Year as Development Continues
https://news.usni.or[...]
USNI News
2019-05-30
[83]
웹사이트
USS Portland conducts Laser Weapon System Demonstrator Test
https://www.cpf.navy[...]
2020-05-22
[84]
웹사이트
Israel successfully tests new laser missile defense system
https://defensetalks[...]
2022-04-15
[85]
웹사이트
Israel tests innovative, high-powered laser defense system
https://www.al-monit[...]
2022-04-17
[86]
뉴스
Israel Deploys 'Light Saber' Anti-Balloon Laser to Shoot Down Threats from Gaza
https://www.jewishpr[...]
2020-08-11
[87]
웹사이트
DEFEA 2023 - SR-42 star-wars C-UAS system exhibited by Soukos Robots
https://www.edrmagaz[...]
2023-05-18
[88]
뉴스
The Greek laser weapon that hits drones every 2–3 seconds
https://greekcitytim[...]
2021-07-14
[89]
웹사이트
South Korea commissions Cheongwang high-energy laser for military use
https://www.unmanned[...]
2024-10-11
[90]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to Field Counter-drone Laser
https://www.armadain[...]
2024-07-15
[91]
웹사이트
Breaking News: Japan's Groundbreaking 10kW High-Power Laser Weapon Truck Enters Service with Japanese Army
https://armyrecognit[...]
2024-11-10
[92]
웹사이트
How To Waste $100 Billion: Weapons That Didn't Work Out
https://www.forbes.c[...]
2011-12-19
[93]
웹사이트
Atomic Rocket: Space War: Weapons
http://projectrho.co[...]
[94]
웹사이트
The Swiss army knife of smoke screens
https://phys.org/new[...]
[95]
뉴스
US lasers? PLA preparing to raise its deflector shields
http://www.scmp.com/[...]
SCMP.com
2014-03-10
[96]
웹사이트
Drones Fight Back Against Laser Weapons
https://www.popsci.c[...]
2016-11-04
[97]
서적
Strategic Defenses: Two Reports by the Office of Technology Assessment
https://books.google[...]
Office of Technological Assessment
1986
[98]
웹사이트
Science fiction inspires DARPA weapon
https://www.newscien[...]
2008-04-22
[99]
서적
Science in popular culture: a reference guid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00]
웹사이트
Directed Energy
https://www.globalse[...]
[101]
웹사이트
Laser weapons and directed energy
https://www.meta-def[...]
2023-02-07
[102]
뉴스
Navy's New Laser Weapon Blasts Bad Guys From Air, Sea
https://news.yahoo.c[...]
2013-04-09
[103]
웹사이트
The U.S. Army Plans to Field the Most Powerful Laser Weapon Yet
https://www.popularm[...]
2019-08-07
[104]
웹사이트
When it comes to missile-killing lasers, the US Navy is ready to burn its ships
https://www.defensen[...]
2019-05-28
[105]
웹사이트
コラム120 海上自衛隊幹部学校
https://web.archive.[...]
2020-06-30
[106]
웹사이트
Here come the helicopters with weaponized lasers
https://www.popsci.c[...]
2017-06-27
[107]
논문
Economics Drives a Ray-Gun Resurgence
[108]
웹사이트
Atomic Rocket: Space War: Weapons
http://projectrho.co[...]
[109]
웹사이트
Central Command’s Kurilla eyes drone-countering lasers for Middle East
https://www.defensen[...]
2024-03-08
[110]
웹사이트
Navy Shipboard Lasers: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https://sgp.fas.org/[...]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111]
웹사이트
実用化にまた一歩近づく!米海軍、新型150kW級レーザー兵器のテストに成功
https://grandfleet.i[...]
2020-05-23
[112]
웹사이트
USS Portland Uses Its Experimental Laser To Fry A Floating Target In The Middle East
https://www.twz.com/[...]
2021-12-15
[113]
웹사이트
Why High-Powered Laser Guns Are Finally Coming to U.S. Navy Warships
https://www.popularm[...]
2024-01-24
[114]
웹사이트
Here's Our First Look At A HELIOS Laser-Armed Navy Destroyer
https://www.twz.com/[...]
2022-08-23
[115]
웹사이트
USAF scraps plan for laser weapon on AC-130J gunship
https://www.aerotime[...]
2024-03-20
[116]
웹사이트
First Laser Weapon For A Fighter Delivered To The Air Force
https://www.twz.com/[...]
2022-07-11
[117]
웹사이트
U.S. Military Laser Weapon Programs Are Facing A Reality Check
https://www.twz.com/[...]
2024-05-21
[118]
웹사이트
Raytheon Technologies delivers fourth combat-ready laser weapon to U.S. Air Force
https://www.rtx.com/[...]
[119]
웹사이트
Army advances first laser weapon through Combat Shoot-Off
https://www.army.mil[...]
2021-08-10
[120]
웹사이트
A Moment of Truth for the Army's Chief Laser Weapon
https://www.military[...]
2024-03-04
[121]
웹사이트
Army Starts Construction On Prototype Lasers
https://breakingdefe[...]
2020-08-04
[122]
웹사이트
米陸軍、車載式レーザー兵器「HEL MD」の試験に成功
https://www.afpbb.co[...]
2013-12-15
[123]
웹사이트
ロッキード・マーチン社、米陸軍への300kWレーザー納入が決定
https://cuashub.com/[...]
[124]
웹사이트
Ride of the Valkyries: The Army Is Getting the US Military's Most Powerful Laser Weapons Yet
https://www.military[...]
2023-10-12
[125]
웹사이트
Lockheed Martin to Scale Its Highest Powered Laser to 500 Kilowatts Power Level
https://news.lockhee[...]
[126]
웹사이트
米軍がレーザー兵器でドローンを撃墜し始めたもよう AIで識別、弱点見抜く {{!}} Forbes JAPAN 公式サイト(フォーブス ジャパン)
https://forbesjapan.[...]
[127]
웹사이트
米軍が「レーザー兵器」を配備し中東でドローン破壊 イスラエルも本格導入へ(Forbes JAPAN)
https://news.yahoo.c[...]
[128]
웹사이트
BlueHalo Awarded $76M Prototype Other Transaction Authority for Army AMP-HEL Multi-Purpose High Energy Laser Vehicle Program
https://bluehalo.com[...]
2023-04-11
[129]
웹사이트
英、ウクライナにレーザー光線方式の新型防空システムの供与を検討 低コストで露無人機を撃墜可能に
https://www.sankei.c[...]
2024-04-13
[130]
웹사이트
DragonFire: The new British military laser that shoots down drones
https://news.sky.com[...]
[131]
웹사이트
HELMA-P
https://www.cilas.co[...]
2023-07-27
[132]
웹사이트
French Navy tests HELMA-P Laser Weapon from Horizon Destroyer
https://www.navalnew[...]
2023-06-20
[133]
웹사이트
IRON BEAM - High Energy Laser Weapon System
https://www.rafael.c[...]
[134]
웹사이트
レーザーでチュドーン!!現実に イスラエル「アイアンビーム」試験成功 超コスパ防空兵器
https://trafficnews.[...]
2022-04-30
[135]
웹사이트
Rafael expects Iron Beam laser to be active in 2025: Exec
https://breakingdefe[...]
2024-03-08
[136]
웹사이트
China Tests Laser Weapon Similar to U.S. Navy Prototype
https://maritime-exe[...]
[137]
웹사이트
Saudi Arabia Deploys China-made Laser-firing Anti-drone System against Houthi UAVs
https://www.defensem[...]
[138]
웹사이트
Saudi Arabia Deploys China-made Laser-firing Anti-drone System against Houthi UAVs
https://www.defensem[...]
[139]
뉴스
ロシア、ウクライナで次世代レーザー兵器投入=ボリソフ副首相
https://jp.reuters.c[...]
2022-05-18
[140]
웹사이트
Pentagon Press Secretary John F. Kirby Holds a Press Briefing
https://www.defense.[...]
[141]
웹사이트
高出力レーザーシステムの課題と今後のロードマップとは? 防衛装備庁が明かす(高橋浩祐) - エキスパート
https://news.yahoo.c[...]
2024-06-15
[142]
뉴스
Police fight back on laser threat
http://news.bbc.co.u[...]
2009-04-08
[143]
뉴스
드론 잡는 레이저 무기 핵심 기술 개발
서울경제
2021-05-25
[144]
뉴스
美해군 실전배치한 레이저 무기…한국군은?
뉴데일리
2014-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