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버트 그레이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영국의 시인, 소설가, 비평가로, 1895년에 태어나 1985년에 사망했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전쟁 시인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이후 역사 소설과 신화 연구로 이름을 알렸다. 대표작으로는 소설 『나는 클라우디우스다』와 『클라우디우스 신』, 신화 연구서 『그리스 신화』 등이 있다.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 시학 교수를 역임하고, 여왕의 시 금메달을 수상하는 등 문학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2. 생애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1895년 런던 남서부 교외 윔블던에서 태어났다. 차터하우스 스쿨에서 시를 쓰기 시작했다.[7] 1914년 졸업 후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 입학이 결정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종군 지원하여 프랑스로 출정했다.[5] 로열 웰치 퓨질리어 연대에 배속되었으며, 벨기에의 중립을 침범한 독일에 대한 분노와 대학 입학을 미루고 싶은 마음이 참전 동기였다고 한다.[5]

1915년 전장에서 Siegfried Sassoon|지크프리트 사순|사순영어과 친분을 맺었다.[5] 1916년 7월 20일 솜 전투에서 포탄 파편에 맞아 중상을 입었으나,[5] 기적적으로 생존하여 귀국 후 요양했다. 1917년 1월, 전장에 복귀했지만 다시 쓰러져 본국으로 송환되어 후방 근무를 하게 되었다.[5]

1918년 1월, 낸시 니콜슨과 결혼했다.[6] 같은 해 11월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사순과 함께 반전 시인으로 활동했으며, 이 두 사람에 로버트 니콜스를 더해 "새로운 삼총사"라고 불렸다.[5]

1919년 옥스퍼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1926년 졸업할 때까지 7년간 12권의 시집과 5권의 시론을 발표했다. 재학 중 에드먼드 블런든, T. E. 로렌스를 알게 되었다.[40] 1926년 카이로 대학교 영문학 교수카이로에 부임했으나,[40] 1927년 사임하고 귀국했다. 1929년 낸시 니콜슨과 이혼 후, 로라 라이딩과 함께 마요르카 섬으로 이주하여 창작 활동에 전념했다.[41]

1936년 스페인 내전으로 인해 1939년까지 유럽과 미국을 방랑했다.[7]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영국으로 귀국, 보병 부대에 지원했으나 후방 근무를 명받았다.[8] 종전 후 다시 마요르카 섬으로 돌아가 영주했으며, 이때부터 그의 시가 인정받기 시작했다.

1954년 왕립 인류학 협회 특별 회원이 되었고, 1955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시를 강의했다. 1961년부터 1966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 시학 교수를 역임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1895년 런던 남부 윔블던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알프레드 퍼시벌 그레이브스는 아일랜드 학교 감독관이자 게일어 학자였으며, 인기 있는 노래 "Father O'Flynn"의 작가였다. 어머니 아말리 엘리자베스 소피 폰 랑케는 저명한 독일 역사학자 레오폴트 폰 랑케의 종손녀였다.[5]

그레이브스는 어린 시절 홍역을 앓은 후 폐렴을 앓아 거의 죽을 뻔했는데, 이는 의사들이 폐 질환으로 절망적이라고 진단한 세 번의 경우 중 첫 번째였다.[6]

그는 킹스 칼리지 학교를 포함한 6개의 예비 학교를 다녔고, 1909년 차터하우스 학교에서 장학금을 받았다.[7] 차터하우스에서 그는 시를 쓰기 시작했고, 권투를 시작하여 웰터급미들급에서 학교 챔피언이 되었다. 그는 자신의 이름에 있는 독일적 요소, 솔직함, 학문적 및 도덕적 진지함, 그리고 다른 소년들에 비해 가난하다는 이유로 박해를 받았다고 주장하며, 권투는 이에 대한 반응이었다고 말했다.[8]

그는 또한 합창단에서 노래를 불렀고, 그곳에서 3살 어린 귀족 소년인 G. H. "피터" 존스톤을 만나 강렬한 낭만적 우정을 시작했다.[9] 그레이브스는 이 관계를 "순결하고 감상적"이며 "원시적 동성애"라고 불렀고, 비록 그가 피터(《굿바이 투 올 댓》에서 "딕"이라는 이름으로 변장)를 사랑했지만, 성적인 관계는 아니었다고 부인했다.[10]

그의 주요 스승 중 한 명은 조지 맬러리였는데, 그는 그에게 현대 문학을 소개했고 방학에 함께 등산을 갔다.[12][13] 차터하우스에서의 마지막 해에 그는 고전 전시에서 세인트 존스 칼리지, 옥스퍼드에 합격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야 입학했다.[14]

2. 2.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그레이브스는 영국이 독일에 선전포고한 이틀 뒤 종군 지원하여 프랑스로 출정했다.[5] 그는 로열 웰치 퓨질리어 연대에 배속되었다.[5] 그레이브스의 자서전 《안녕, 낡은 것들》에 따르면, 옥스퍼드 대학교 입학을 미루고 싶었던 것과 독일이 벨기에의 중립을 침범한 것에 분개한 것이 참전 동기였다고 한다.

1915년 전장에서 Siegfried Sassoon|지크프리트 사순|사순영어과 친분을 맺었다.[5] 1916년 7월 20일 솜 전투에서 포탄 파편에 맞아 중상을 입었으나,[5] 기적적으로 생존하여 귀국 후 요양했다. 1917년 1월, 스스로 원하여 전장에 복귀했지만 다시 쓰러져 본국으로 송환되어 후방 근무를 하게 되었다.[5]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사순과 함께 반전 시인으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이 두 사람에 로버트 니콜스를 더해 "새로운 삼총사"라고 불렸다.[5]

2. 3. 전후 활동과 결혼

1919년 10월, 옥스퍼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1926년에 졸업하기까지 7년 동안 12권의 시집, 5권의 시론을 발표했다. 재학 중에 에드먼드 블런든, T. E. 로렌스를 알게 되었다.[40] 1918년 1월, 낸시 니콜슨과 결혼했으나,[6] 1929년 5월 이혼했다. 1926년에는 아놀드 베넷과 로렌스의 추천을 받아 카이로 대학교영문학 교수가 되어 카이로로 부임했으나, 1927년 사임하고 귀국했다. 이 무렵에는 아내 낸시와의 관계가 악화되어 있었다.

2. 4. 마요르카 이주와 작품 활동

1929년 5월,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낸시 니콜슨과 이혼하고 로라 라이딩과 함께 마요르카 섬으로 이주했다. 그는 이 섬에서 창작 활동에 전념하며, 다시는 영국으로 돌아오지 않겠다는 각오를 다졌다.[41] 같은 해, 자서전 그 모든 것과의 작별(1929)을 출간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지크프리트 사순을 포함한 많은 친구들을 잃게 되었다.[40]

1934년에는 그의 대표작 나는 클라우디우스다를 출간했고, 이듬해 속편 클라우디우스 신(1935)을 발표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나는 클라우디우스다는 로마 황제 클라우디우스의 삶을 다룬 복잡하고 매혹적인 이야기로, 1934년 제임스 테이트 블랙 기념상을 수상했다. 이 작품은 1970년대에 데릭 자코비 경 주연의 TV 시리즈 나는 클라우디우스로 제작되어 영국과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40]

2. 5. 스페인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

1936년 스페인 내전의 영향으로, 영국인의 마요르카 섬 퇴거 명령을 받아 3년간 유럽과 미국을 방랑했다.[7]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영국으로 귀국하여 보병 부대에 지원했지만, 군 당국으로부터 후방 근무를 명받았다.[8]

2. 6. 전후 마요르카 정착과 사망

1970년대 초, 그레이브스는 점차 심각한 기억 상실을 겪기 시작했다. 1975년 그의 80세 생일에 그는 작가로서의 삶을 마감했다.[4] 그는 그 후 10년을 더 살았지만 점점 의존적인 상태가 되었고, 1985년 12월 7일 90세의 나이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다음날 아침 데이아 언덕에 있는 작은 교회 묘지에 묻혔으며, 그곳은 한때 펠리온의 백색 여신에게 신성했던 신전이 있던 자리였다.[4] 그의 두 번째 부인 베릴 그레이브스(Beryl Graves)는 2003년 10월 27일에 사망했으며, 그녀의 시신도 같은 무덤에 안장되었다.[78]

로버트 그레이브스 묘비

3. 주요 작품 및 업적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시, 소설, 평전, 신화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그의 대표적인 소설로는 로마 황제 클라우디우스의 자서전 형식을 취한 『나는 황제 클라우디우스다(I, Claudius)』(1934)와 그 속편인 『신, 클라우디우스와 그의 아내 메살리나』(1935)가 있다. 토머스 에드워드 로렌스와의 친분을 바탕으로 쓴 평전 『아라비아의 로렌스』(1934)와 자서전 『안녕, 나의 모든 것들』(1929)도 주요 작품으로 꼽힌다.

신화 연구 분야에서는 『그리스 신화』(1955)가 대표작이다. 이 책은 그리스 신화를 집대성하고 상세한 주석을 덧붙여 오늘날까지도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으며, 일반 독자를 위한 입문서인 『초역・그리스 신화』(1960)도 저술했다.

3. 1. 시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1916년 첫 시집 『화로 위에서』를 출판하며 전쟁 시인으로 이름을 알렸다. 그는 최전선에서의 경험을 현실적으로 묘사한 시를 쓴 초기 시인 중 한 명이었다.[21] 초기에는 전쟁의 참혹함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시를 썼으나, 이후에는 전쟁 시들이 "전쟁 시 붐의 일부"라는 이유로 자신의 시집에서 제외하기도 했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한 초기 시 외에도, 『골리앗과 다윗』(1916), 『컨트리 센티먼트』(1920), 『깃털 침대』(1923) 등 다양한 주제의 시집을 출간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의 시 세계는 점차 신화와 낭만주의적인 주제로 확장되었다.

다음은 로버트 그레이브스의 주요 시집 목록이다.

제목출판 연도비고
화로 위에서(Over the Brazier)1916
골리앗과 다윗(Goliath and David)1916
컨트리 센티먼트(Country Sentiment)1920
깃털 침대(The Feather Bed)1923
가짜 거지 홀(Mock Beggar Hall)1924
웰치만의 호스(Welchmans Hose)1925
시집(Poems)1925
마모사이트의 잡동사니(The Marmosites Miscellany)1925존 도일(John Doyle) 명의
시집(1914–1926)(Poems (1914–1926))1927
시집(1926–1930)(Poems (1926–1930))1930
그 외 누구에게?(To Whom Else?)1931
시집 1930–1933(Poems 1930–1933)1933
시집(Collected Poems)1938
유령은 이제 그만: 시 선집(No More Ghosts: Selected Poems)1940
핸드 인 워크(Work in Hand)1942노먼 캐머런(Norman Cameron) 및 앨런 호지(Alan Hodge) 공저
시집(Poems)1943
시집 1938–1945(Poems 1938–1945)1945
시집(1914–1947)(Collected Poems (1914–1947))1948
시와 풍자(Poems and Satires)1951
시집 1953(Poems 1953)1953
시집 1955(Collected Poems 1955)1955
자신이 선택한 시(Poems Selected by Himself)1957
로버트 그레이브스의 시집(The Poems of Robert Graves)1958
시집 1959(Collected Poems 1959)1959
페니 피들: 어린이를 위한 시(The Penny Fiddle: Poems for Children)1960
더 많은 시 1961(More Poems 1961)1961
시집(Collected Poems)1961
새로운 시 1962(New Poems 1962)1962
더 가치 있는 경우: 재고를 위한 18개의 옛 시(The More Deserving Cases: Eighteen Old Poems for Reconsideration)1962
남자는 행하고, 여자는 존재한다(Man Does, Woman Is)1964
하이우드 홀의 앤: 어린이를 위한 시(Ann at Highwood Hall: Poems for Children)1964
다시 쓰인 사랑(Love Respelt)1965
시집, 1965(Collected Poems, 1965)1965
"다시 쓰인 사랑"에서 누락된 17편의 시(Seventeen Poems Missing from "Love Respelt")1966
"다시 쓰인 사랑"의 후기(Colophon to "Love Respelt")1967
시집 1965–1968(Poems 1965–1968)1968
사랑에 관한 시(Poems About Love)1969
다시 쓰인 사랑(Love Respelt Again)1969
주는 것 이상(Beyond Giving)1969
시집 1968–1970(Poems 1968–1970)1970
녹색 돛배(The Green-Sailed Vessel)1971
시: 인형과 왕자를 위해 요약됨(Poems: Abridged for Dolls and Princes)1971
시집 1970–1972(Poems 1970–1972)1972
데야, 포트폴리오(Deyá, A Portfolio)1972
영원한 만남: 시(Timeless Meeting: Poems)1973
문에서(At the Gate)1974
시집 1975(Collected Poems 1975)1975
새로운 시집(New Collected Poems)1977
선집(Selected Poems)1986폴 오프레이(Paul O'Prey) 편집
탄생 100주년 기념 시 선집(The Centenary Selected Poems)1995패트릭 퀸(Patrick Quinn) 편집
전집 제1권(Complete Poems Volume 1)1995베릴 그레이브스(Beryl Graves)와 던스턴 워드(Dunstan Ward) 편집
전집 제2권(Complete Poems Volume 2)1996베릴 그레이브스(Beryl Graves)와 던스턴 워드(Dunstan Ward) 편집
전집 제3권(Complete Poems Volume 3)1999베릴 그레이브스(Beryl Graves)와 던스턴 워드(Dunstan Ward) 편집
전집 1권(The Complete Poems in One Volume)2004베릴 그레이브스(Beryl Graves)와 던스턴 워드(Dunstan Ward) 편집
선집(Selected Poems)2012마이클 롱리(Michael Longley) 편집


3. 2. 소설

1934년에 출간된 역사 소설 『나는 클라우디우스다』는 로마 황제 클라우디우스의 삶을 다룬 복잡하고 매혹적인 이야기로, 제임스 테이트 블랙 기념상을 수상했다.[40] 이 소설은 고대 자료를 바탕으로 에어리스 로버츠의 조언을 받아 쓰였으며,[40] 속편 『클라우디우스 신』(1935년)으로 이야기가 이어진다. 『나는 클라우디우스다』는 1970년대에 데릭 자코비 경 주연의 인기 TV 드라마 『나는 클라우디우스』로 제작되어 영국과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그는 또한 비잔틴 제국의 장군 벨리사리우스의 일대기를 그린 『벨리사리우스 백작』(1938년), 예수를 주인공으로 한 『예수왕』(1946년), 호메로스오디세이아를 재해석한 『호메로스의 딸』(1955년) 등 다양한 역사 소설을 발표했다. 1944년에는 『황금 양털』(1945년에 『헤라클레스, 나의 배 동료』라는 제목으로도 출판)을 출간했다. 그 외에도, 과학 소설 『뉴 크레테에서의 7일』(1949년)을 발표하기도 했다.

3. 3. 비평 및 기타 저술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시, 소설, 평론,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1948년 저술한 『백색 여신』에서는 켈트 신화와 고전 신화를 재해석하여 시적 영감의 원천으로서 여성 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48] 1955년 저술한 『그리스 신화』는 그리스 신화를 집대성하고 상세한 주석을 붙여 현재까지도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55]

토머스 에드워드 로렌스의 평전 『아라비아의 로렌스』(1927)를 저술했고,[27] 자서전 『굿바이 투 올 댓(Goodbye to All That)』(1929)에서 자신의 삶과 경험을 솔직하게 기록했다.[29] T. E. 로렌스와 오마르 하이얌의 작품을 번역하는 등 번역가로도 활동했다.[67]

4. 한국과의 관계

로버트 그레이브스의 작품은 한국어로 번역되어 여러 차례 출간되었다. 특히, 소설 『나는 황제 클라우디우스다(I, Claudius)』는 로마 황제 클라우디우스자서전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다수의 번역본이 출간되어 한국 독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대표작 중 하나인 『그리스 신화(The Greek myths)』[1]는 다카스기 이치로가 한국어로 번역하여 키노쿠니야 서점에서 출판되었으며, 학계와 일반 독자 모두에게 중요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초역・그리스 신화』(원제: ''Greek gods and heroes'')는 무쿠타 나오코가 번역하여 PHP 신서에서 발췌본으로 출간되었다.

자서전 『굿바이 투 올 댓』(원제: ''Goodbye to All That'')은 구도 마사시가 번역한 『안녕, 나의 모든 것들』이라는 제목으로 이와나미 문고에서 상하권으로 출간되었다.[2]

5. 평가 및 영향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20세기 영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으로, 시, 소설, 비평 등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역사와 신화를 바탕으로 인간의 본성과 운명, 권력과 사랑 등 보편적인 주제를 탐구했으며, 그의 작품은 현대 문학뿐만 아니라 신화학, 역사학, 여성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79][80][81]

그가 이전에 살았던 런던 윔블던, 브릭스햄, 옥스퍼드셔 이슬립에는 블루 플라크가 부착되어 있다.[79][80][81] 1985년 11월 11일, 그레이브스는 웨스트민스터 사원 시인 코너에 공개된 석판에 기념된 16명의 제1차 세계 대전 시인 중 한 명이었다.[82] 석판에는 윌프레드 오웬의 시 "서문"에서 따온 "나의 주제는 전쟁이며, 전쟁의 연민이다. 시는 연민 속에 있다."[83]라는 구절이 새겨져 있다. 그레이브스는 기념식 당시 생존해 있던 유일한 시인이었지만,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사망했다.

6. 수상 내역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Portrait Gallery – Person – Robert Ranke Graves http://www.npg.org.u[...] Npg.org.uk 2010-12-19
[2] 웹사이트 Review of ''The White Goddess – A Historical Grammar of Poetic Myth'' outlining different editions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James Tait Black Prize winners: Previous winners – fiction http://www.ed.ac.uk/[...] 2010-01-03
[4] 간행물 Graves, Robert von Ranke (1895–1985) http://www.oxforddnb[...]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5
[5] 서적 A Dictionary of Irish Biography, 3rd Edition Gill and MacMillan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C.S. Lewis, poetry, and the Great War: 1914–1918 Lexington Books 2012
[11] 서적 Robert Graves: From Great War Poet to Good-bye to All That (1895–1929)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8-08-09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간행물 London Gazette 1915-03-16
[16] 간행물 London Gazette 1915-03-09
[17] 간행물 London Gazette 1915-06-01
[18] 간행물 London Gazette 1915-11-16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Good-Bye To All That Vintage International Edition 1985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웹사이트 How Wilfred Owen and Siegfried Sassoon Forged a Literary and Romantic Bond https://lithub.com/H[...] 2024-04-16
[29] 간행물 London Gazette 1917-10-26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웹사이트 India's prisoner: a biography of Edward John Thompson, 1886–1946 https://archive.org/[...]
[34] 서적
[35] 간행물 Graves, Robert von Ranke (1895–1985) http://www.oxforddnb[...]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6-10
[36] 웹사이트 Robert Graves https://www.olympedi[...] 2020-07-23
[37] 서적 St. John's College Biographical Register 1919-1975 Oxford: St. John’s College
[38] 서적 Good-Bye to All That New York: Doubleday
[39] 서적 The Birth of New Criticism: Conflict and Conciliation in the Early Work of William Empson, I.A. Richards, Robert Graves, and Laura Riding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14
[40] 뉴스 Obituary: Eirlys Roberts http://www.scotsman.[...] 2017-11-02
[41] 문서
[42] 문서 The Routledge Handbook of Greek Mythology
[43] 서적 The White Goddess Farrar Straus Giroux
[44] 서적 The Original Rubaiyyat of Omar Khayyam
[45] 뉴스 Stuffed Eagle https://web.archive.[...] 1968-05-31
[46] 서적 Robert Graves and the White Goddess: The White Goddess, 1940–1985 https://archive.org/[...] Weidenfeld & Nicolson
[47] 웹사이트 Last Years (1968-1985) https://www.fundacio[...] 2022-06-24
[48] 간행물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newsletter (June 2002) http://www.nla.gov.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002-06
[49] 서적 Good-Bye to All That Penguin Group (Australia)
[50] 문서
[51] 문서
[52] 문서
[53] 문서
[54] 문서
[55] 문서
[56] 문서
[57] 문서
[58] 문서
[59] 문서
[60] 문서
[61] 문서
[62] 문서
[63] 문서
[64] 문서
[65] 문서
[66] 문서
[67] 문서
[68] 문서
[69] 문서
[70] 문서
[71] 서적 Seymour 2003
[72] 서적 Seymour 2003
[73] 서적 Seymour 2003
[74] 서적 Seymour 2003
[75] 서적 Seymour 2003
[76] 서적 Seymour 2003
[77] 서적 Seymour 2003
[78] obituary Beryl Graves: Widow and editor of Robert Graves https://www.independ[...] 2003-10-29
[79] 웹사이트 Robert Graves blue plaque https://www.geograph[...] 2013-01-17
[80] 웹사이트 Novelist and poet Robert Graves (July 24th 1895 – Dec 7th 1985) lived here at Vale House 1940–1946. Vale House (circa 17th century) was originally a farmhouse http://openplaques.o[...] openplaques.org 2013-01-17
[81] 웹사이트 Robert Graves http://oxonblueplaqu[...] Oxfordshire Blue Plaques Board
[82] 웹사이트 Poets http://net.lib.byu.e[...] Net.lib.byu.edu 2010-12-19
[83] 웹사이트 BYU library archive http://net.lib.byu.e[...]
[84] obituary Obituary – Beryl Graves https://www.theguard[...] 2007-05-15
[85] PDF http://www.cabinetof[...] 2022-03
[86] 뉴스 Swedish Academy reopens controversy surrounding Steinbeck's Nobel prize https://www.theguard[...] 2013-01-03
[87] 뉴스 No 10 turned down Larkin, Auden and other poets for laureate job https://www.bbc.co.u[...] 2023-07-19
[88] 간행물 Graves, Robert von Ranke (1895–1985)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4-09
[89] 웹인용 National Portrait Gallery – Person – Robert Ranke Graves http://www.npg.org.u[...] Npg.org.uk 2010-12-19
[90] 웹사이트 Review of The White Goddess – A Historical Grammar of Poetic Myth outlining different editions https://web.archive.[...]
[91] 웹사이트 James Tait Black Prize winners: Previous winners – fiction http://www.ed.ac.u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