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부 심벨 신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부 심벨 신전은 람세스 2세 시대에 건설된 이집트의 암굴 신전으로, 대신전과 소신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1813년 재발견된 후, 1960년대 아스완 하이 댐 건설로 인한 수몰 위기에서 유네스코의 지원을 받아 원래 위치에서 65m 위로 이전되었다. 현재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1년에 두 번 태양 광선이 신전 내부를 비추는 현상으로 유명하다. 아부 심벨 신전은 람세스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누비아에 건설된 건축물 중 가장 유명하며, 특히 대신전 입구의 거대한 람세스 2세 조각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부 심벨 신전 | |
---|---|
개요 | |
![]() | |
위치 | |
국가 | 이집트 |
행정 구역 | 아스완 주 |
지역 | 누비아 |
상세 정보 | |
종류 | 신전 |
건설자 | 람세스 2세 |
건설 시기 | 기원전 1264년경 |
시대 | 이집트 신왕국 |
유네스코 지정 정보 | |
명칭 | 아부 심벨에서 필레까지의 누비아 유적 |
유형 | 문화유산 |
지정 기준 | i, iii, vi |
지정 연도 | 1979년 (제3차 세계유산위원회) |
지정 번호 | 88 |
지역 | 아랍 국가 |
지리 | |
거리 | 아스완에서 떨어진 곳에 위치 수단 국경에서 떨어진 곳에 위치 |
2. 역사
람세스 2세 재위 시절 아부 심벨이 건설되었다. 1813년 스위스의 동양학자 요한 루트비히 부르크하르트가 발견했고, 1817년 조반니 바티스타 벨초니가 발굴했다. 아부 심벨 신전은 사암으로 된 암산을 깎아 만든 굴착 신전으로, 대신전과 소신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신전은 태양신(라)을, 소신전은 여신 하토르를 제신으로 하고 있다.
건설 후 오랜 세월 동안 모래에 파묻혀 있었다. 1960년대 나일강에 아스완 하이 댐 건설 계획으로 수몰 위기에 처했으나, 유네스코에 의해 국제적인 구제 활동이 이루어졌다. 1964년부터 1968년까지 정확히 분할되어 약 60m 위, 나일강에서 210m 떨어진 언덕으로 콘크리트 돔을 기반으로 하는 형태로 이전되었다. 현재는 아스완 하이 댐 건설로 생긴 인공호인 나세르 호 기슭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전 비용만 무려 3600만달러가 들었다.[20]
2. 1. 건설
람세스 2세는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와 이집트가 지배하던 누비아 전역에서 광범위한 건축 계획을 시작했다. 누비아는 이집트인들에게 금과 다른 많은 귀중한 무역 상품의 원천이었기 때문에 매우 중요했다. 따라서 그는 누비아인들에게 이집트의 위대함을 각인시키고 누비아인들을 이집트화하기 위해 그곳에 여러 개의 웅장한 사원을 지었다.[3][4] 가장 유명한 사원은 하부 누비아와 상부 누비아의 경계인 제2 나일 폭포 근처, 현대 아부 심벨 마을 근처에 있는 암석 굴착 사원이다.[4] 이 사원은 람세스 2세 자신에게 헌정된 대사원과 그의 주요 부인 네페르타리 여왕에게 헌정된 소사원 두 개로 구성되어 있다.사원 단지의 건설은 기원전 1264년경에 시작되어 기원전 1244년까지 약 20년 동안 지속되었다. 이 사원은 아문이 사랑한 람세스의 사원으로 알려졌다.
아부 심벨 신전은 사암으로 된 암산을 깎아 만든 굴착 신전이다. 대신전과 소신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축주는 신왕국 시대 제19왕조의 왕, 람세스 2세이다. 대신전은 태양신(라)을, 소신전은 여신 하토르를 제신으로 하고 있다(소신전은 왕비 네페르타리를 위해 건설된 것이기도 하다).
2. 2. 재발견
람세스 2세 통치 시기에 건설된 아부 심벨은 시간이 흐르면서 사용되지 않았고, 결국 대부분 모래 언덕에 덮이게 되었다. 기원전 6세기경에는 모래가 이미 본 신전의 조각상 무릎까지 덮었다. 1813년 3월 스위스 연구가 요한 루트비히 부르크하르트가 작은 신전과 본 신전의 상단 프리즈를 발견하기 전까지 유럽인들에게 잊혀졌다. 1813년 요한 루트비히 부르크하르트는 소벽의 일부를 발견하였고, 부르크하르트는 자신의 발견에 대해 이탈리아 탐험가 조반니 바티스타 벨초니와 이야기를 나누었고, 벨초니는 현장을 방문했지만 신전으로 들어가는 입구를 파낼 수 없었다. 1817년 벨초니는 다시 돌아와 복합 단지에 들어가는 데 성공하고 출입구를 발굴했다.[5][6]2. 3. 이전
람세스 2세의 재위 시절 때 건설된 아부 심벨은 1813년 스위스의 동양학자인 요한 루트비히 부르크하르트가 발견하였고, 1817년 발굴이 되었다.[20] 1960년대, 아스완 댐 건설로 수몰 위기에 놓였으나, 1964년부터 1968년까지 세계 50여 개국의 국제적인 원조와 유네스코의 지원으로 원래 위치보다 65m 높은 곳으로 이전되었다. 이전 비용은 3600만달러였다.[20]
1959년, 누비아의 기념물을 구하기 위한 국제 기부 캠페인이 시작되었다. 아스완 하이 댐 건설로 나일 강 수위가 상승하면서 이 고대 문명의 유적들이 위협받고 있었기 때문이다.
신전을 구제하기 위한 초기 계획 중 하나는 신전 주변에 맑은 담수 댐을 건설하여 수중 관람실을 만드는 것이었다. 1962년 건축가 제인 드류와 맥스웰 프라이, 토목 기사 오베 아럽이 이 아이디어를 제안했으나,[7] 사막 바람에 의한 사암 침식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거부되었다.
1964년 유네스코의 지휘 아래 다국적 고고학자, 엔지니어, 중장비 운전사 팀이 아부 심벨 신전 구조 작업을 시작했다. 1964년부터 1968년까지 전체 부지를 큰 블록(최대 30톤, 평균 20톤)으로 절단, 해체하여 강에서 65m 높고 200m 떨어진 새로운 위치에 재조립했다.[8] 이는 역사상 가장 큰 고고학적 엔지니어링 과제 중 하나였다.[8] 일부 구조물은 나세르 호 아래에서 구조되기도 했다.
이러한 대규모 이설 공사는 유적과 자연을 보호하는 세계 유산 창설의 계기가 되었다. 아부 심벨 신전은 세계 유산의 상징적인 유적으로, 문화 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3. 아부심벨 대신전
아부 심벨의 대신전은 람세스 2세 통치 24년경(기원전 1265년)에 완공되었으며, 건설에 약 20년이 소요되었다. 이 사원은 아문, 라-호라크티, 프타 신과 신격화된 람세스 2세에게 헌정되었다.[10] 람세스 2세 재위 기간에 의뢰된 사원 중 가장 웅장하고 아름다운 사원으로 평가받으며, 이집트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원 중 하나로 여겨진다.
대신전 정면에는 람세스 2세를 묘사한 네 개의 거대한 좌상이 있고, 그 앞에는 가족들의 상이 있다. 신전 안쪽에는 프타 신, 아몬 라 신, 라 호르아크티 신, 그리고 람세스 2세의 상이 있으며, 이 상들의 다리에는 누비아 원정을 떠난 그리스인 용병들의 고대 그리스어 낙서가 새겨져 있다.[10]
람세스 2세 상 중 왼쪽에서 두 번째 상은 신전 완공 후 몇 년 뒤 발생한 지진으로 무너져 머리 부분이 상 앞으로 굴러떨어져 있다.
벽면에는 성스러운 배 앞에서 의식을 거행하는 장면과 왕의 업적을 묘사한 부조가 새겨져 있다. 북쪽 벽에는 카데시 전투, 남쪽 벽에는 시리아, 리비아, 누비아와의 전투 장면이 있다.
3. 1. 입구


입구는 높이 20m의 거대한 조각상 4개로 양옆이 호위되어 있는데, 각 조각상은 왕좌에 앉아 이중 왕관을 쓴 상·하 이집트의 람세스 2세를 묘사하고 있다. 입구 바로 왼쪽에 있는 조각상은 지진으로 손상되어 머리와 몸통이 떨어져 나갔다. 이 떨어진 조각들은 이전을 하는 과정에서 조각상에 복원되지 않고 원래 위치인 조각상 발치에 놓였다.[10]
람세스 2세의 다리 옆에는 파라오의 무릎 높이를 넘지 않는 다른 작은 조각상들이 있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묘사되어 있다.
- 그의 첫 번째 부인인 네페르타리 메리트무트
- 그의 어머니인 무트 투야
- 그의 두 아들인 아문헤르케페셰프와 라메세스 B
- 그의 여섯 딸인 빈타나트, 바케트무트, 네페르타리, 메리타멘, 네베타위 및 이세트노프레트[10]
거상 뒤의 정면은 높이 33m, 너비 38m이다. 여기에는 팔을 들고 떠오르는 태양을 숭배하는 22마리의 비비원숭이와, 라메세스와 Ḫattušili III 왕의 딸의 결혼을 기록하여 히타이트와 이집트 간의 평화를 공고히 한 석비가 새겨진 프리즈가 있다.[11]
입구 문 자체는 매가 머리인 라 호라크티를 숭배하는 왕의 부조 이미지로 덮여 있으며, 그의 조각상은 큰 틈새에 서 있다.[10] 라가 오른손에는 상형 문자 ''user''와 깃털을 들고 있고, 왼손에는 마아트 (진실과 정의의 여신)을 들고 있는데, 이것은 라메세스 2세의 왕좌 이름인 ''User-Maat-Re''의 암호문이다.
대신전의 4개의 상은 람세스 2세이며, 그 앞에 늘어서 있는 것은 가족의 상이다. 안쪽에는 프타 신, 아몬-라 신, 라-호라크티 신, 그리고 람세스 2세의 상이 있다. 상의 다리에는 누비아 원정에 나선 그리스인 용병에 의한 고대 그리스어 낙서가 새겨져 있다.
람세스 2세상 중 왼쪽에서 두 번째는 신전 완성 후 수년 후에 일어난 지진으로 무너져 머리 부분 일부가 두 번째 상 앞에 굴러 떨어져 있다.
3. 2. 내부


대신전의 네 구상은 람세스 2세로 그 앞에 나란히 있는 것은 가족상이다. 안쪽에는 프타 신, 아멘 라 신, 라 호르아크티 신, 그리고 람세스 2세의 상이 있다. 상의 다리에는 누비아 원정을 떠난 그리스인 용병의 고대 그리스어 낙서가 새겨져 있다.[10] 람세스 2세 상 중 왼쪽에서 두 번째 상은 신전이 완공된 몇 년 뒤 일어난 지진으로 무너져 내렸으며 머리 부분이 2구 앞으로 나뒹굴고 있다.
벽면에는 성스러운 배 앞에서 의식을 거행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부조로 왕의 업적, 북쪽 벽에는 카데시 전투, 남쪽 벽에는 시리아, 리비아, 누비아와의 싸움이 그려져 있다.
사원 내부 구조는 대부분의 고대 이집트 사원과 마찬가지로 입구에서 성소로 갈수록 크기가 줄어드는 삼각형 구조를 따른다. 이 사원은 구조가 복잡하고 수많은 측면 방 때문에 매우 특이하다. 열주실(때로는 전실이라고도 함)은 18m 길이이며 16.7m 너비로, 파라오의 영원한 본성을 나타내기 위해 다산, 농업, 사후 세계, 죽음, 부활, 생명 및 식물의 신인 오시리스와 연결된 신격화된 라메세스를 묘사하는 8개의 거대한 오시리스 기둥으로 지지된다. 왼쪽 벽을 따라 늘어선 거대한 조상들은 상 이집트의 흰색 왕관을 쓰고 있으며, 반대편에 있는 조상들은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이중 왕관(프스첸트)을 쓰고 있다.[10] 전실 벽의 부조는 라메세스가 벌인 군사 작전의 전투 장면을 묘사한다. 조각의 대부분은 현재 시리아의 오론테스 강에서 일어난 카데시 전투에 할애되었으며, 이집트 왕은 히타이트와 싸웠다.[11] 가장 유명한 부조는 왕이 전차를 타고 도망치는 적들에게 화살을 쏘는 장면을 보여주며, 이들은 포로로 잡히고 있다.[11] 다른 장면들은 리비아와 누비아에서 이집트의 승리를 보여준다.[10]
열주실에서 두 번째 기둥이 있는 홀로 들어가면 신에게 바치는 아름다운 제물을 묘사한 네 개의 기둥이 있다. 아문과 라-호라크티의 신성한 배를 타고 있는 라메세스와 네페르타리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이 홀은 성소 입구가 있는 가로 현관으로 연결된다. 이곳 검은 벽에는 네 개의 앉아 있는 조각상이 암각되어 있다: 라-호라크티, 신격화된 왕 라메세스, 그리고 신 아문 라와 프타. 라-호라크티, 아문 라 그리고 프타는 그 시대의 주요 신이었으며, 그들의 숭배 중심지는 각각 헬리오폴리스, 테베 및 멤피스에 있었다.[10]
이 신전에서는, 10월 22일과 2월 22일, 1년에 두 번 태양 빛이 신전 내부를 통과하여 신전 벽과 안쪽 4개의 조상 중 명계신인 프타를 제외한 3체를 비추도록 설계되었다고 여겨진다. 현재는 그 날짜의 하루 뒤에 이 현상이 관찰되며 관광의 하이라이트가 되고 있다. 신의 화신으로서의 왕의 힘은 태양광의 에너지에 의해 활성화되고 강화되어 람세스 2세는 아몬-라와 라-호라크티에 필적하는 힘을 얻었다고 생각된다.
이 두 날은 각각 왕의 생일과 즉위일이라고 전해지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특정 중요한 이벤트인 시리우스의 헬리아칼 라이징과 발견된 비문에 근거한 계산에 따르면, 이 날짜는 확실히 10월 22일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지구의 지축 세차 운동으로 인해 북회귀선에서의 어긋남이 축적되어, 이 통과하는 일시는 신전이 세워진 3000년 전보다 크게 벗어났다.
3. 3. 태양 광선 현상
고대 이집트 건축가들은 신전의 축을 조정하여 태양 광선이 성소로 들어와 뒷벽의 조각상들을 비추도록 설계한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죽음의 영역과 관련된 신인 프타 신의 조각상은 항상 어둠 속에 남아 있도록 하였다.[10][11] 이 광경을 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아부 심벨에 모인다.이 날짜는 각각 왕의 생일과 즉위일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 그러나 시리우스 (소티스) 별의 출현과 고고학자들이 발견한 비문을 토대로 계산한 결과, 10월 22일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신격화된 람세스 2세는 태양별의 에너지에 의해 강화되고 활력을 얻어 아문-라와 라-호라크티 옆에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10]
지난 3천 년 동안 지구의 세차 운동으로 인해 황도 12궁이 축적되면서, 이 사건의 날짜는 신전이 건설되었을 때와 달라졌을 것이다.[12] 게다가 신전이 원래 위치에서 옮겨졌기 때문에 현재 정렬은 원래 정렬만큼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신전에서는 1년에 두 번, 10월 22일과 2월 22일에 태양 빛이 신전 내부를 통과하여 신전 벽과 안쪽 4개의 조상 중 명계신인 프타를 제외한 3체를 비추도록 설계되었다고 여겨진다. 현재는 그 날짜의 하루 뒤에 이 현상이 관찰되며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신의 화신으로서의 왕의 힘은 태양광의 에너지에 의해 활성화되고 강화되어 람세스 2세는 아몬-라와 라-호라크티에 필적하는 힘을 얻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특정 중요한 이벤트인 시리우스의 헬리아칼 라이징과 발견된 비문에 근거한 계산에 따르면, 10월 22일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지구의 지축 세차 운동으로 인해 북회귀선에서의 어긋남이 축적되어, 이 통과하는 일시는 신전이 세워진 3000년 전보다 크게 벗어났다. 이 문제는 신전이 원래 있던 장소에서 이동했기 때문에 더욱 심해졌다.
4. 아부심벨 소신전
하토르와 네페르타리 신전은 람세스 2세의 대신전에서 북동쪽으로 약 100m 떨어진 곳에 있으며, 하토르 여신과 람세스 2세의 왕비 네페르타리에게 헌정되었다. 이곳은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여왕에게 헌정된 두 번째 신전이다.[10] 첫 번째는 아크나톤이 그의 왕비 네페르티티에게 바친 신전이다.
작은 신전 정면은 바위를 깎아 만들었으며, 큰 정문 양쪽에는 두 쌍의 거상이 있다. 각 거상은 높이가 10m가 조금 넘으며, 왕과 왕비를 나타낸다. 정문 양쪽에는 상 이집트의 백색 왕관을 쓴 람세스 2세(남쪽)와 이중 왕관을 쓴 람세스 2세(북쪽) 조각상이 있고, 그 옆에 각각 네페르타리 조각상이 있다.
고대 이집트 미술에서 왕과 왕비의 조각상이 같은 크기인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10] 람세스 2세는 통치 24년에 네페르타리와 함께 아부 심벨을 방문했다. 대신전처럼 작은 신전 앞에도 왕자와 공주들의 작은 조각상들이 부모 옆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남쪽 (왼쪽) | 북쪽 (오른쪽) | |
---|---|---|
왕자 | 메리움 | 아문-헤르-케페셰프 |
왕자 | 메리레 | 파레르웨네메프 |
공주 | 메리타멘 | 헤누타위 |
4. 1. 내부
하토르와 네페르타리 신전(작은 신전)은 람세스 2세 신전에서 북동쪽으로 약 100m 떨어진 곳에 세워졌으며, 여신 하토르와 람세스 2세의 최고 배우자인 네페르타리에게 헌정되었다. 이것은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여왕에게 헌정된 두 번째 신전이었다. 첫 번째는 아크나톤이 그의 위대한 왕비 네페르티티에게 신전을 바쳤다.[10] 암벽을 깎아 만든 정면은 큰 정문으로 분리된 두 개의 거상 그룹으로 장식되어 있다. 10m가 조금 넘는 조각상들은 왕과 왕비의 모습이다. 정문 양쪽에는 왕의 조각상 두 개가 있는데, 각각 상 이집트의 백색 왕관(남쪽 거상)과 이중 왕관(북쪽 거상)을 착용하고 있으며, 이 조각상 양 옆에는 왕비의 조각상이 있다.고대 이집트 미술에서 왕과 배우자의 조각상이 같은 크기인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이다.[10] 전통적으로 여왕의 조각상은 파라오의 옆에 서 있었지만, 그의 무릎보다 키가 크지는 않았다. 람세스는 통치 24년에 아내와 함께 아부 심벨로 갔다. 왕의 대 신전과 마찬가지로, 그들의 부모 옆에는 왕자와 공주들의 작은 조각상들이 있다. 이 경우 그들은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남쪽 (정문을 마주보고 왼쪽)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왕자 메리움, 메리레, 공주 메리타멘, 헤누타위, 왕자 파레르웨네메프, 아문-헤르-케페셰프가 있고, 북쪽에는 같은 인물들이 반대 순서로 있다. 작은 신전의 평면도는 대 신전의 단순화된 버전이다.
왕에게 헌정된 더 큰 신전과 마찬가지로, 작은 신전의 주실은 6개의 기둥으로 지지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왕을 묘사하는 오시리스 기둥이 아니라, 여왕이 시스트럼(여신 하토르에게 신성한 악기)을 연주하는 장면과 신들 호루스, 크눔, 콘수, 토트, 그리고 여신 하토르, 이시스, 마아트, 아셰르의 무트, 사티스, 타웨레트가 함께 장식되어 있다. 한 장면에서는 람세스가 꽃을 바치거나 향을 피우고 있다.[10] 기둥의 머리 부분에는 여신 하토르의 얼굴이 새겨져 있다. 이 유형의 기둥은 하토릭이라고 알려져 있다. 기둥이 있는 홀의 부조는 왕의 신격화, 북쪽과 남쪽에서 적의 파괴 (이 장면에서 왕은 아내와 동행), 여왕이 여신 하토르와 무트에게 제물을 바치는 장면을 묘사한다.[11] 주실 뒤에는 세 개의 큰 문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현관이 있다. 이 방의 남쪽과 북쪽 벽에는 왕과 그의 배우자가 파피루스 덤불에서 보트를 타고 있는 소의 모습으로 묘사된 하토르에게 파피루스 식물을 바치는 우아하고 시적인 부조 두 개가 있다. 서쪽 벽에는 람세스 2세와 네페르타리가 신 호루스와 폭포의 신들—사티스, 아누비스, 크눔에게 제물을 바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암벽을 깎아 만든 성소와 두 개의 측면 방은 횡단 현관과 연결되어 신전의 축과 일치한다. 작은 성소의 측면 벽에 있는 부조는 파라오 또는 위대한 왕비가 다양한 신에게 희생을 바치는 장면을 나타낸다.[10] 신전의 축을 따라 서쪽에 있는 뒷벽에는 하토르가 신성한 암소로 산에서 나오는 것처럼 보이는 틈새가 있다. 이 여신은 그녀와 여왕 네페르타리에게 헌정된 신전의 여주인으로 묘사되며, 여왕은 이 여신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10]
5.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이곳의 기후는 열대 사막 기후(BWh)로 분류된다.[15]
6. 세계 유산 등재 기준
아부 심벨 신전은 다음과 같은 세계유산(유네스코) 등재 기준을 충족한다.
- (i) 인류의 창의적인 천재성의 걸작을 나타낼 것.
- (iii) 현존하거나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유일하거나 특출한 증거일 것.
- (vi) 보편적인 중요성이 있는 사건이나 살아있는 전통(사상, 신념, 사건, 예술, 문학 등)과 밀접하게 관련된, 뛰어난 보편적 중요성을 지닌 유물일 것.
7. 접근
참조
[1]
웹사이트
Abu Simbel
https://pcma.uw.edu.[...]
2020-08-05
[2]
웹사이트
Nubian Monuments from Abu Simbel to Philae
https://whc.unesco.o[...]
2018-02-24
[3]
서적
Temple of the Word: Sanctuaries, Cults and Mysteries of Ancient Egypt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4]
서적
The Mysteries of Abu Simbel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5]
서적
Travels in Nubia
https://books.google[...]
J. Murray
2023-01-31
[6]
서적
Descriptions of Egypt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7]
서적
''Fry Drew Knight Creamer''
Lund Humphries
[8]
잡지
The Race to Save Abu Simbel Is Won
https://books.google[...]
Life magazine
1966-12-02
[9]
서적
Ramses II: Egyptian Pharaoh, Warrior and Builder
Compass Point Books
[10]
서적
Egypt: temples, people, gods
[11]
서적
Grosse kulturen der welt-Ägypten
[12]
웹사이트
NASA Space Math Abu Simbel Alignment problem with answers
https://spacemath.gs[...]
[13]
웹사이트
king Psammetichus II (Psamtik II)
http://www.touregypt[...]
Touregypt.net
2011-11-20
[14]
백과사전
Britannica
[15]
웹사이트
Climate: Abu Sinbil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3-08-14
[16]
웹사이트
Abu Simbel Climate and Weather Averages, Egypt
http://www.weather2t[...]
Weather to Travel
2013-07-12
[17]
서적
建築物・様式ビジュアルハンドブック
株式会社エクスナレッジ
[18]
웹사이트
Climate: Abu Sinbil – Climate graph, Temperature graph, Climate table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3-08-14
[19]
웹사이트
Abu Simbel Climate and Weather Averages, Egypt
http://www.weather2t[...]
Weather to Travel
2013-07-12
[20]
잡지
The Race to Save Abu Simbel Is Won
http://books.google.[...]
Life magazine
1966-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