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부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01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갑자사화로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으로 복직하여 강원도도사, 홍문관 교리 등을 거쳤다. 이후 승진을 거듭하여 1537년 우의정에 제수되었고 좌의정을 지냈으나 대간의 탄핵으로 물러났다. 70세에 궤장을 하사받았으며, 영중추부사에 이르렀다. 1544년에 7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류양의 묘갈문을 지었으며, 좌의정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44년 사망 - 윤은보
윤은보는 1468년에 태어나 1544년에 사망한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언관, 춘추관 편수관, 암행어사 등을 거쳐 우의정, 좌의정을 역임하고 영의정에 올랐으며 사후 문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544년 사망 - 윤휘
윤휘는 1577년에 태어나 1644년에 사망한 조선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전후 사관과 병조좌랑 등을 역임하고 광해군 시대에 중립 외교를 지지했으며, 인조반정 이후 외교 활동을 담당하다 병자호란 때 강화 교섭을 이끌었고, 최종적으로 형조판서를 역임했으며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1470년 출생 - 샤를 8세
샤를 8세는 프랑스 발루아 왕가의 왕으로, 브르타뉴 여공작과의 결혼으로 브르타뉴를 프랑스에 통합하고 이탈리아 전쟁을 일으켰으나 큰 성과 없이 사망하여 발루아 왕가의 직계가 단절되었지만, 이탈리아 르네상스 문화를 프랑스에 전파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 1470년 출생 - 마르틴 발트제뮐러
마르틴 발트제뮐러는 독일 출신의 지리학자, 지도 제작자, 사제로, 1507년 세계 지도에서 처음으로 "아메리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신대륙을 명명했으며,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 새로운 판 제작, 유럽 최초의 인쇄된 벽지도 출판 등 지리학과 지도 제작 분야에 기여했다. - 진주 류씨 - 유치환
유치환은 1931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교육자로, 인간 존재의 허무와 의지를 남성적 어조로 노래하며 생명파 시인으로 불렸으나, 일제강점기 친일 행적 논란이 있었고 광복 후에는 교육계에 종사하다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진주 류씨 - 유선호 (정치인)
유선호는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3선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사법고시 합격 후 인권 변호사로 활동하며 주요 시국사건의 변호를 맡았고,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 경기도 정무부지사, 청와대 정무수석,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국토해양위원 등을 역임했다.
류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류부 |
한자 표기 | 柳溥 |
출생일 | 1470년 |
출생지 | 조선 |
사망일 | 1544년 |
사망지 | 조선 |
국적 | 조선 |
직업 | 문신, 정치가 |
자 | 언박(彦博) |
시호 | 문성(文成) |
가족 정보 | |
아버지 | 유첨정(柳添汀) |
어머니 | 홍종(洪琮)의 딸 |
종교 | |
종교 | 유교(성리학) |
관직 정보 | |
직책 | 영중추부사 |
2. 생애
1501년(연산군 7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복직하였다.[1] 이후 여러 관직을 거치며 경연 시강관 등으로 활동하며 학문 진흥에 힘썼다.[1] 조광조의 현량과 실시에 반대하였으며, 기묘사화 이후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오기도 했다.[1]
1524년 당상관에 오른 뒤 여러 요직을 거쳐 1527년에는 전라도 관찰사로 외직에 나갔다가 이듬해 한성부 좌윤으로 내직에 복귀하였다.[1] 이후 이조참판, 홍문관 부제학 등을 지냈고, 정경(正卿)의 반열에 올라 호조판서, 공조판서, 의정부 우참찬, 좌찬성 등을 역임하였다.[1]
1537년(중종 32년) 10월 우의정에 제수되고 11월 좌의정으로 승진하였으나, 곧 대간의 탄핵으로 판중추부사로 체직되었다.[1] 1539년 70세가 되어 궤장(几杖)을 하사받았으며, 관직이 영중추부사에 이르렀다.[1] 1544년 향년 75세로 졸하였다.[1]
2. 1. 관직 생활
1501년(연산군 7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박사를 지냈으며,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으로 복직하였다.[1] 1507년에는 강원도도사가 되었고, 이후 소격서령과 개성군사를 거쳐 사헌부 헌납에 이르렀다.[1] 홍문관 교리와 경연 시강관을 계속 지냈으며, 시독관, 홍문관 교리, 사헌부 지평, 사헌부 장령 등을 거쳐 다시 홍문관 교리가 되었다.[1] 이후 홍문관 부응교, 시강관, 홍문관 응교, 장령, 승정원 사인, 사간원 사간 등을 역임하며 학문 진흥에 힘썼다.[1]홍문관 부응교로 시강관을 겸했고, 응교를 거쳐 사헌부 집의가 되었다.[1] 이후 성균관 사성, 응교 등을 다시 역임하던 중 조광조의 현량과 실시에 반대하였다.[1] 기묘사화 이후에는 세자시강원 보덕을 거쳐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다시 사헌부 집의를 지냈다.[1] 1524년에는 당상관으로 승진하여 홍문관 직제학, 사간원 대사간 등을 역임했다.[1] 1525년에는 승정원 동부승지를 시작으로 좌부승지, 우승지(참찬관 겸임), 좌승지를 거쳐 도승지로 승진하였다.[1]
1527년에는 전라도 관찰사로 외직에 나갔다가, 1528년에는 한성부 좌윤으로 다시 내직으로 돌아와 특진관을 겸했다.[1] 중추부 첨지중추부사 시절에는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1] 이후 이조참판, 홍문관 부제학, 오위도총부 부총관 등을 거쳐 중추부 지중추부사로 풍수학 제조를 겸했다.[1] 또한 수릉관으로서 장례를 감독하기도 했다.[1] 정경(正卿)의 반열에 올라 의금부 지의금부사, 호조판서, 공조판서, 의정부 우참찬, 의정부 우찬성을 거쳐 의정부 좌찬성으로 승진하였다.[1]
1537년(중종 32년) 10월에는 의정부 우의정에 제수되어 정승의 반열에 올랐고, 같은 해 11월 의정부 좌의정으로 승진했으나, 12월 대간의 탄핵을 받아 중추부 판중추부사로 체직되었다.[1] 1539년(중종 34년) 70세가 되어 궤장(几杖)을 하사받았으며, 이후 관직이 중추부 영중추부사에 이르렀다.[1] 1544년(중종 39년) 향년 75세로 졸하였다.[1]
2. 2. 명나라 파견
기묘사화 이후 시강원보덕(輔德)을 거쳐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시절에는 성절사(聖節使)로 다시 명나라에 파견되었다.2. 3. 최고위 관직
1537년 (중종 32년) 10월 우의정에 임명되어 정승의 반열에 올랐다. 같은 해 11월에는 좌의정으로 승진하였으나, 12월 대간의 탄핵을 받아 판중추부사로 체직되었다.1539년 (중종 34년)에는 나이 70세가 되어 궤장을 하사받았다. 이후 관직은 영중추부사에 이르렀다.
2. 4. 사망
1544년(중종 39년)에 향년 75세로 사망하였다.[1]3. 기타
조부인 류양(柳壤한국어)의 묘갈문을 지었다. 본인의 관직이 좌의정으로 기록된 것을 보아 작성 시기는 1537년(중종 32년)으로 추정된다.
4. 가족 관계
- '''증조부''': 류자해(柳子偕) - 부지돈녕부사(副知敦寧府事)를 지냈으며, 사후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었다.
- * '''조부''': 류양(柳壤, 1425년 ~ 1491년) - 서흥도호부사(瑞興都護府使)를 지냈으며, 사후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었다. 류순정(柳順汀, 1459년 ~ 1512년)의 아버지이다.
- ** '''아버지''': 류첨정(柳添汀) - 남원도호부사(南原都護府使)를 지냈으며, 사후 좌의정(左議政)에 추증되었다.
- ** '''어머니''': 직장(直長) 홍종(洪琮)의 딸
'''형''': 류영(柳濚) - 전설사수(典設司守)를 지냈다.
'''전처''': 주계부정(朱溪副正) 이심원(李深源, 1454년 ~ 1504년)의 딸
'''후처''': 월성부수(月城副守) 이의(李儀)의 딸
* '''아들''': 류사상(柳師尙) - 감찰(監察)을 지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