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르네 게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네 게농은 1886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다양한 오컬트 단체에 참여했으나 이슬람교로 개종한 사상가이다. 그는 소르본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1921년 『힌두교 교리 연구를 위한 일반적 서설』을 출판하며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게농은 서양 문명의 위기를 비판하고 동양의 지혜를 통해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동양과 서양』, 『십자가의 상징』 등 다수의 저서를 통해 형이상학적 원리와 전통 사상을 연구했다. 1930년 카이로로 이주하여 수피즘 수행하며 말년을 보냈고, 1951년 사망했다. 그의 사상은 전통주의 학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미르체아 엘리아데, 앙드레 브르통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한 사람 - 에리크 아비달
    에리크 아비달은 프랑스 출신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수비수로 활약했으며 FC 바르셀로나에서 간암을 극복하고 선수로 복귀하여 프랑스 국가대표팀으로 2006 FIFA 월드컵 준우승을 경험했고, 은퇴 후에는 FC 바르셀로나의 스포츠 디렉터로 활동했다.
  •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한 사람 - 바비 후와에
    바비 후와에는 네덜란드 출신으로 인도네시아에서 배우, 모델, 점성가로 활동했으며, 영화 출연과 걸 그룹 활동, 패션쇼 개최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다가 수카르노 대통령 관련 스캔들에 연루된 후 점성가로 활동하며 사망했다.
  • 20세기 프랑스 철학자 - 폴 비릴리오
    프랑스 철학자이자 도시 계획가인 폴 비릴리오는 '드로몰로지' 개념을 통해 기술, 전쟁, 도시 공간을 분석하고 생 베르나데트 교회 설계에 참여했으며, 그의 사상은 여러 학자에게 영향을 주었으나 과학 용어 오용에 대한 비판도 받았다.
  • 20세기 프랑스 철학자 - 에밀 시오랑
    에밀 시오랑은 루마니아 출신의 프랑스 철학자이자 수필가로, 염세주의적이고 비관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자살, 인간 소외, 역사, 문명 비판 등을 다룬 경구와 에세이를 썼다.
  • 힌두교 철학자 - 차나키야
    차나키야는 고대 인도의 정치가이자 경제학자, 전략가로 마우리아 왕조 건국에 기여했으며, 그의 저서로 추정되는 『아르타샤스트라』는 정치, 경제, 군사 전략에 대한 지침서로서 오늘날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저자 여부와 저술 시기에 대한 학계의 논쟁이 있으며, 그의 삶과 사상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힌두교 철학자 - 비베카난다
    비베카난다는 1863년 벵골에서 태어난 힌두교 승려이자 철학자로서, 시카고 세계 종교 의회에서 힌두교를 대표하여 연설하고 베단타 협회를 설립하여 힌두교 사상을 전파했으며, 힌두교와 민족주의를 결합하여 인도 민족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르네 게농

2. 생애

1886년 프랑스 블루아에서 태어난 르네 게농은 젊은 시절 여러 오컬티즘 그룹과 교류했지만, 후에 오컬티즘을 비판했다.[79] 소르본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알제리에서 잠시 교직 생활을 한 후, 1921년 첫 저서 『힌두교 교리 연구를 위한 일반적 서설』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저술 활동을 시작했다.[2] 이 책에서 그는 힌두교와 동양 사상을 서구에 소개하고, 신지학 등 당시 유행하던 유사 종교를 비판했다.

1920년대에 게농은 자크 마리탱 등 많은 프랑스 지식인들에게 알려졌으며,[81] ''동양과 서양''(1924), ''현대 세계의 위기''(1927) 등을 통해 근대 서양 문명을 비판하고 전통적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930년, 게농은 카이로로 이주하여 샤들리 교단에 입문하고 수피즘을 수행하며 이슬람 문화에 깊이 몰두했다.[5] 그는 이집트에서 저술 활동을 계속하며 ''십자가의 상징''(1931), ''양의 지배와 시대의 징표''(1945) 등 형이상학과 상징주의에 대한 깊이 있는 저작들을 발표했다. 1949년 이집트 시민권을 취득했으며, 1951년 카이로에서 생을 마감할 때까지 이집트인으로서의 삶을 살았다.[10]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886-1912)

1886년 프랑스 중부의 블루아에서 독실한 로마 가톨릭 집안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건축가였으며, 어머니와 이모에게서 읽고 쓰는 법을 배웠다.[79] 1904년 파리로 이주하여 수학과 철학을 공부했으나, 건강 문제로 에콜 폴리테크니크와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진학은 포기했다. 파리에서 파푸스가 감독하는 마르티니스트 교단, 레옹 파브르 데 제사르가 설립한 프랑스 영지주의 교회 등 여러 오컬트 단체와 교류했다.[79] 그러나 이들 단체가 진정한 영적 전승을 받지 못했다고 판단하여 이후 비판적 입장을 취했다.

2. 2. 학문적 활동과 저술 (1912-1930)

게농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소르본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1916년에 철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2] 1917년에는 알제리세티프에서 대학생들에게 철학을 가르치기도 했으나,[2]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글쓰기에 전념하기 위해 교직을 그만두었다.[2]

1912년, 게농은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5] 그는 이슬람교에 대한 이전의 친분을 언급하며, 즉각적인 개종이라는 개념은 자신의 경우에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5]

1921년, 게농은 첫 저서 ''힌두 교리 연구 입문''을 출판했다.[2] 이 책에서 그는 형이상학과 전통의 개념을 일반적인 의미로 언급하며 힌두교의 주제를 독창적이고 통찰력 있게 발전시켰다.[2] 그는 종교, 전통, 외적주의, 내적주의, 신학과 같이 겉보기에 모호하지 않은 용어에 대한 필요한 구별과 정의를 정확하게 제시했다.[2] 게농은 자신의 목적이 힌두교의 모든 측면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정신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위한 필요한 지적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2] 이 책은 또한 힌두교와 전통 전반에 대해 특정 유럽 작가들이 제시한 작품에 대한 비판을 포함했는데, 게농은 그러한 작가들이 그들의 주제와 그 함의에 대한 깊은 이해가 부족하다고 보았다.[2] 마담 블라바츠키의 신지학을 통해 대영 제국이 힌두교(및 인도 자체)에 정치적으로 침투한 것에 대한 비판적 분석도 포함되었다.[2] 이 책의 출판으로 그는 파리 사회에서 빠르게 인정을 받았다.[2] 르네 그루세는 그의 "동양 철학사"(1923)에서 이미 게농의 작품을 "고전"이라고 언급했다.[2]

1920년, 게농은 신지학 협회에 반대하는 책을 써달라는 요청을 받았다.[3] 1921년, 그는 프랑스 Revue de Philosophie|철학 잡지프랑스어에 일련의 기사를 발표했고, 이는 ''신지학: 가짜 종교의 역사''라는 책으로 이어졌다.[3]

1920년대와 1930년대 동안 게농은 더 광범위한 대중적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3] 이 시기에 "동양과 서양" 사이의 "지적 분열"과 현대 문명의 특이한 본질을 설명하는 그의 책들이 출판되었다. ''현대 세계의 위기''와 ''동양과 서양''이 그것이다.[3] 1925년에는 P. 샤코르낙이 편집한 간행물 Le Voile d'Isis|이시스의 베일프랑스어에 기고하기 시작했는데, 1935년 이후에는 게농의 영향으로 Les Études Traditionnelles|전통 연구프랑스어로 알려지게 되었다.[2]

1927년, 그의 주요 교리적 저서 중 하나인 ''베단타에 따른 인간과 그의 생성''이 출판되었고,[3] 1929년에는 ''영적 권위와 세속적 권력''이 출판되었다.[3]

2. 3. 카이로에서의 삶과 죽음 (1930-1951)

1930년, 수피즘 문서를 수집하고 번역하여 출판할 목적으로 카이로를 방문했다.[9] 출판사 측의 사정으로 계획은 좌절되었지만, 게농은 프랑스로 돌아가지 않았다. 날마다 궁핍해지는 경제 상태에도 불구하고, 세계 각지의 친구들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저작 활동을 계속했다. 샤들리 교단에 참여하여 수피로서 수행했고, 검소한 생활을 했다.[5] 1931년, 『십자가의 상징학』, 『존재자의 다양한 상태』를 출판하여 여러 전통 교리의 핵심인 순수 형이상학을 해명했다. 1934년, 셰이크 무함마드 이브라힘의 딸 파티마와 결혼했다.[9]

1945년, 『현대 세계의 위기』의 속편인 『양의 지배와 시간의 징표』를 발표했다. 이 책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토마스 아퀴나스, 데카르트, 라이프니츠, 칸트, 베르그송에 이르는 서양 철학, 수피즘, 도교, 카발라, 헤르메스주의에 관해 논하는 묵시록적 저작이며, 게농의 최고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1946년, 미적분을 이용하여 순수 형이상학을 해설한 『미적분학의 원리』, 주로 도교와 헤르메스주의를 해설한 『위대한 삼부작』, 『입문에 관한 고찰』을 출판했다.

1949년, 이집트 시민권을 취득했다.[10]

1951년 1월 7일, 카이로 교외의 자택에서 사망했다. 임종의 말은 "알라"였다고 전해진다.[11]

3. 사상

르네 게농은 종교학자나 오컬트주의자가 아닌, 비의(에소테리즘)적 차원에서 여러 전통의 궁극적인 일치를 주장하는 사상가였다. 그가 말하는 '전통'은 비인간적인 기원에서 비롯된 원초적 전통 및 그 파생 형태(힌두교, 도교,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를 의미하며, '비의'는 여러 전통의 내적인 형이상학적 핵심을 뜻한다. 게농에 따르면 형이상학이란 "보편적인 것의 앎, 혹은 보편적 차원에 속하는 여러 원리의 앎"이다.[82] 베단타나 이븐 아라비의 존재일원론은 이러한 형이상학을 외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게농은 원초의 시원에서 다양성을 가지고 전개되는 여러 전통 교의와, 전통에서 이탈한 체계를 엄밀히 구별하여 후자를 비판했다.[83] 그는 형이상학적 인식을 실현하기 위한 입문(비의 전수)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이는 정규 전통 조직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고 보았다.[84]

게농은 자신의 저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의 의미를 명확히 정의했다. 그는 "형이상학", "입문", "신비주의", "개성" 등의 단어가 본래 의미를 상실했다고 지적하며, 특히 형이상학 연구에 필수적인 단어의 의미 왜곡 위험성을 강조했다.[14]

게농은 소르본에서 한 강연에서 진정한 "지성"과 "형이상학"을 명확히 했다. 그는 형이상학이 "문자 그대로 물리학 너머에 있는 것"[25], 즉 자연 너머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형이상학은 존재의 영역을 넘어서야 하며, 따라서 존재론을 넘어서야 한다.[26] 또한 "형이상학은 초이성적이고 직관적이며 [주객 이원성을 넘어선] 즉각적인 지식"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지식에 이르는 길은 "단 하나의 필수적인 준비, 즉 [전통적 교리에 의해 암시되는] 이론적 지식"을 필요로 하며, "집중"이라는 가장 중요한 수단 없이는 멀리 갈 수 없다고 강조했다.

''힌두 교리 연구 입문''은 동양 지성을 연구하는 데 개방성을 증진하기 위한 지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힌두 교리에 대한 연구는 ''베단타에 따른 인간과 그의 생성''에서 계속된다. 아디 샹카라의 공식에 따른 베단타 교리의 일부를 설명했으며, 인간의 구성, 상태, 사후 미래, 존재의 목적은 자기와 동일성(아트만(Ātman (Hinduism)) 즉, 존재의 초월적인 원리인 브라만(Brahma)과 동일)으로 제시된다.[15]

미셸 훌린(Michel Hulin)은 ''베단타에 따른 인간과 그의 생성''이 "샹카라 학설에 대한 가장 엄격하고 심오한 해석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21]

3. 1. 주요 저서와 핵심 개념

게농의 저작은 크게 네 가지 주제로 나눌 수 있다.[13]

주제주요 저서내용
기본 형이상학적 원리 설명
입문과 비밀주의 관련 연구
상징주의 연구
현대 세계와 "신영성주의" 비판



게농은 자신의 저서에서 사용하는 단어와 용어의 기본적인 의미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이러한 단어들이 인문 과학 분야에서 본래의 의미를 상실했다고 지적한다. 특히 "형이상학", "입문", "신비주의", "개성", "형태", "물질"과 같은 단어의 의미 왜곡 위험성을 강조한다.[14]

게농의 형이상학적 교리 해설은 다음 저서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 ''힌두 교리 연구 입문'': 동양 지성을 연구하기 위한 지적 기반 제공
  • ''베단타에 따른 인간과 그의 생성'': 아디 샹카라의 베단타 교리 설명. 인간의 구성, 상태, 사후 미래, 존재의 목적 등을 다룸.
  • ''존재자의 다양한 상태'': 존재의 다중 상태에 대한 형이상학적 이론 제시
  • ''십자가의 상징학'': 십자가 상징을 중심으로 다양한 전통 교리의 핵심인 순수 형이상학 해명.
  • ''동양 형이상학''


''베단타에 따른 인간과 그의 생성''은 샹카라 학설에 대한 가장 엄격하고 심오한 해석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21]

''십자가의 상징학''에서 게농은 혼합주의합성을 구별한다. 혼합주의는 외부 요소를 부조화롭게 조립하는 것이고, 합성은 원칙의 통일성 안에서 사물을 고찰하는 것이다. 신지학 협회의 "교리"와 상징은 혼합주의의 예시이다.

4. 영향

르네 게농은 형이상학 및 비의 연구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전통주의 학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간주된다.[85] 전통주의 학파의 주요 인물로는 프리초프 슈온, 아난다 쿠마라스와미, 티투스 부르크하르트, 마틴 링스, 사이드 호세인 나스르 등이 있다.[86]

종교학미르체아 엘리아데는 게농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의 저서에서 게농을 여러 번 언급했다.[87] 앙토냉 아르토, 앙드레 브르통, 조르주 바타유, 레이몽 크노, 앙리 보스코 등의 작가와 시인, 그리고 사상가 시몬 베유와 경제 사상가 에른스트 프리드리히 슈마허도 게농의 영향을 받았다.[89][90][91] 앙드레 지드는 만년에 게농의 사상에 깊이 공감하며 자신의 작품이 붕괴될 수도 있음을 인정했다.[92]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측근이었던 스티븐 배넌도 게농에게 경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93]

5. 한국에서의 수용

한국에서 르네 게농의 이름이 처음 언급된 것은 1968년 M.M. 다비의 『시몬 베유 입문』(다나베 타모츠 번역)으로 추정된다. 이후 불문학자 아리타 타다오가 뤽 브누아의 『비의 전수』(1976)를 번역하고, 『지구 로망』에 게농 관련 논문을 게재하면서 본격적으로 소개되었다.[94] 아라마타 히로시가 편저한 『세계 신비학 사전』에는 게농 항목이 있다.[95] 철학자 이즈츠 토시히코는 게농의 저작을 소장하고 있었다.[96] 이슬람 학자 타케시타 마사타카는 번역서 해설에서 게농과 프리스요프 슈온을 소개했다.[97] 그 후 불문학자 타나카 요시히로가 『현대 세계의 위기』, 『세계의 왕』을 번역하여 헤이카와 출판사에서 출판했다. 불문학자 이와야 쿠니오는 『현대 세계의 위기』 서평을 아사히 신문에 기고했다. 종교학자 나카자와 신이치는 『꿀이 흐르는 박사』, 『정령의 왕』에서 게농을 언급했다.[98] 이슬람 학자 나카무라 코지로[99], 아즈마 나가야스[100]도 게농에 대해 언급했다.

참조

[1] 서적 Rene Guenon and the Future of the West: The Life and Writings of a 20th Century Metaphysician Sophia Perennis
[2] 웹사이트 Archives militaires Loire-et-Cher http://archives.cult[...] Culture41.fr 2021-02-20
[3] 서적 Ésotérisme et christianisme autour de René Guénon Nouvelles Éditions Latines
[4] 간행물 La naissance de la loge "La Grande Triade" dans la correspondance de René Guénon à Frithjof Schuon http://www.frithjof-[...]
[5] 간행물 René Guénon Éditions de l'Herne
[6] 서적 L'Ermite de Duqqi Archè
[7] 서적 La vie simple de René Guénon Les Éditions Traditionnelles
[8] 서적 L'influence de René Guénon dans le monde islamique Cerf (Patrimoines)
[9] 서적 La vie simple de René Guénon Les Éditions Traditionnelles
[10] 서적 La vie simple de René Guénon Les Éditions Traditionnelles
[11] 서적 The simple life of René Guénon
[12] 간행물 René Guénon et l'Hindouisme
[13] 서적 La vie simple de René Guénon Les Éditions Traditionnelles
[14] 간행물 L'oeuvre de René Guénon
[15] 서적 René Guénon Le Courrier du livre
[16] 서적 René Guénon Le Courrier du livre
[17] 서적 René Guénon Le Courrier du livre
[18] 서적 Le sens caché dans l'oeuvre de René Guénon L'âge d'Homme
[19] 서적 Le sens caché dans l'oeuvre de René Guénon L'âge d'Homme
[20] 서적 La vie simple de René Guénon Les Éditions Traditionnelles
[21] 서적 Shankara et la non-dualité Bayard
[22] 서적 The Multiple states of the Being
[23] 서적 The Multiple states of the Being
[24] 서적 The Multiple states of the Being
[25] 서적 La Perspective metaphysique Dervy
[26] 서적 La Perspective metaphysique Dervy
[27] 서적 La Perspective metaphysique Dervy
[28] 서적 René Guénon, Le visage de l'éternité Editions Points
[29] 서적 René Guénon, témoin de la Tradition Guy Trédaniel Éditeur
[30] 서적 René Guénon Le Courrier du livre
[31] 서적 Editorial note Sophia Perenis publishing house
[32] 서적 Perspectives on Initiation
[33] 서적 Perspectives on initiation
[34] 서적 René Guénon Le Courrier du livre
[35] 서적 René Guénon Le Courrier du livre
[36] 서적 René Guénon Le Courrier du livre
[37] 서적 René Guénon. L'appel de la sagesse primordiale
[38] 서적 l'ésotérisme PUF
[39] 서적 Perspectives on initiation
[40] 서적 Perspectives on initiation
[41] 서적 The Esoterism of Dante
[42] 서적 Traditional forms and cosmic cycles
[43] 서적 Some remarks on the doctrine of cosmic cycles Sophia Perennis
[44] 서적 Traditional forms and cosmic cycles Sophia Perennis 2003-12-12
[45] 서적 Crisis of the modern world
[46] 서적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Hindu doctrines
[47] 서적 Islamic esoterism Sophia Perennis
[48] 서적 Maisoneuve et Larose
[49] 서적 L'énigme des "conditions de l'existence corporelle"
[50] 서적 Miscellanea
[51] 서적 Studies in Hinduism
[52] 서적 Studies in Hinduism
[53] 서적 Studies in Hinduism
[54] 서적 The Reign of Quantity and the Signs of the Times
[55] 서적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Hindu doctrines
[56] 서적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Hindu doctrines
[57] 서적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Hindu doctrines
[58] 서적 Panchikaranam
[59] 서적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Introduction à l'archétypologie général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60] 서적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Hindu Doctrines
[61] 서적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Hindu Doctrines
[62] 서적 Perspectives on initiation
[63] 서적 Comtes-rendus Editions Traditionnelles
[64] 서적 General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Hindu doctrines
[65] 서적 Symbols of analogy
[66] 서적 Symbols of analogy
[67] 서적 The Great Triad
[68] 서적 The Great Triad
[69] 서적 The Great Triad
[70] 서적 The Reign of Quantity and the Signs of the Times Sophia Perennis
[71] 논문 Against Blavatsky: Rene Guenon's Critique of Theosophy https://www.theosoph[...] 2010-01-01 # Winter 2010으로 추정
[72] 서적 The Spiritist fallacy
[73] 서적 The Spiritist fallacy
[74] 서적 The Reign of Quantity and the Signs of the Times
[75] 서적 Symbols of Sacred Science
[76] 논문 Hermes trahi
[77] 서적 The Jung Cult: Origins of a Charismatic Move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78] 서적 On Jung 1999
[79] 간행물 La pensée catholique : cahiers de synthèse 1962
[80] 서적 La Vie simple de René Guénon Éditions traditionnelles 1957
[81] 서적 René Guénon : Une politique de l'esprit Pierre-Guillaume de Roux Editions 2013
[82] 서적 ヒンドゥー教義研究のための一般的序説
[83] 서적 現代世界の危機
[84] 서적 イニシエーションに関する考察
[85]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Religion Macmillan Library Reference 1986
[86] 서적 Traditionalism: Religion in the Light of the Perennial Philosophy Sri Lanka Institute of Traditional Studies 2000-04-01
[87] 서적 オカルティズム・魔術・文化流行 未来社 1978
[88] 논문 Esoteric Hermeneutics: The Role of Tradition in the Writings of Mircea Eliade and René Guén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89] 서적 Guénon ou le renversement des clartés : Influence d'un métaphysicien sur la vie littéraire et intellectuelle française (1920–1970) Edidit 2005
[90] 서적 シモーヌ・ヴェイユ入門 勁草書房 1968
[91] 서적 混迷の時代を超えて -人間復興の哲学 佑学社 1980
[92] 간행물 Hommage à André Gide 1869-1951 1951-11-01
[93] 서적 Devil's Bargain Penguin Press 2018-02-13
[94] 간행물 地球ロマン 絃映社 1976
[95] 백과사전 世界神秘学事典 平河出版社 1981
[96] 목록 井筒俊彦文庫目録 慶応義塾図書館
[97] 서적 スーフィー 平凡社 1982
[98] 서적 蜜の流れる博士 せりか書房 1989
[99] 서적 スピリチュアリティの宗教史 下巻 リトン 2012
[100] 서적 イスラームとスーフィズム 名古屋大学出版会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