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티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티프는 알제리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세티프 주의 주도이다. 선사 시대 유적부터 로마, 반달, 비잔틴, 이슬람 시대를 거치며 발전해왔다. 누미디아 왕국의 일부였으며, 로마 시대에는 카에사리안 마우리타니아의 일부로 번성했다. 1945년 5월 8일, 프랑스 식민 당국에 의해 유혈 진압된 세티프 학살이 발생했다. 현재는 알제리에서 8번째로 큰 도시이며, 농업과 산업이 발달한 경제 중심지이다. 깨끗한 도시 환경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문화 시설과 축제를 통해 지역 문화를 발전시키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티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공식 명칭 | سطيف |
| 다른 이름 | 세티프 더 하이 (سطيف العالي) 하이 플레인즈의 수도 (عاصمة الهضاب العليا) |
| 별명 | 세티프 더 하이 (سطيف العالي) 하이 플레인즈의 수도 (عاصمة الهضاب العليا) |
| 위치 | 세티프 주 내 위치 |
| 일반 정보 | |
| 국가 | 알제리 |
| 주 | 세티프 주 |
| 구 | 세티프 구 |
| 시장 | 모하메드 셰리프 부르마니 |
| 면적 | 127.30 제곱킬로미터 |
| 고도 | 1,100 미터 |
| 인구 (2008년) | 288,461 명 |
| 추정 인구 (2015년) | 410,000 명 |
| 인구 순위 | 8위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도시 인구 | 알 수 없음 |
| 인구 명칭 | 세티프인 |
| 우편 번호 | 19000 |
| 지역 번호 | (+213) 036 |
| ISO 코드 | 1901 |
| 시간대 | CET |
| UTC 오프셋 | +1 |
| 지방 자치 의회 | 인민 지방 자치 의회 |
| 역사 | |
| 설립 | 1847년 |
| 기타 | |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 사건 | |
| 관련 사건 | 세티프 학살 |
2. 역사
세티프는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로, 선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았다.
선사 시대귈타 제르카의 아인 엘 아네크 유적에서는 올도와이형 석기 유물이,[4] 아인 부셰리트 유적에서는 190만 년에서 240만 년 전으로 추정되는 석기 산업 유물이 발견되었다.[4] 이는 아프리카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유적으로, 케냐의 로메키 3 (330만 년 전)와 에티오피아의 카다 고나 (255만 년 전) 다음이다. 아인 엘 아네크 유적은 도시 동쪽에 위치하며, 석기 유물의 연대는 약 240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 2018년에는 240만 년 전의 도구가 발견되어 큰 주목을 받았다.[4]
고대 시대세티프는 누미디아 기원으로, 기원전 225년 마사에실리 왕국의 일부였다. 유바 2세가 체르첼을 선호하기 전에는 수도로 여겨지기도 했다. 기원전 105년 세티프 근처에서 유구르타가 마리우스에게 패배하여 로마로 끌려가 처형되었다.
이후 세티프는 로마 카에사리안 마우리타니아의 일부인 세티피아누스 마우리타니아로 알려졌다. 네르바는 기원후 96년 시티피스에 베테랑 식민지를 설치했다.[5] 290년에는 마우리타니아 시티펜시스의 수도가 되었고, 새로운 속주는 아프리카 관구에 속했다.[6]
반달 시대
429년 반달족은 가이세릭 왕의 지휘 아래 스페인에서 아프리카로 건너갔다.[1] 이들은 430년경 세티피스를 거쳐 고대 카르타고까지 진격했다.[1] 반달족 통치 아래에서 세티프는 자바 지역의 주요 도시였다.[1]
비잔틴 시대
533년 비잔티움의 장군 벨리사리우스는 카르타고를 점령하고 반달 왕국을 멸망시켰다. 539년 시티피스는 다시 비잔틴 "로마" 속주인 모리타니아 시티펜시스의 수도가 되었고, 솔로몬은 비잔틴 요새 벽을 건설했다.
이슬람 시대647년 이슬람 세력이 아프리카에 진출했고, 700년경 이 지역은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10세기에는 요새 외곽에 주택이 다시 들어섰다.[13] 알-바크리는 세티프를 크고 중요한 도시로 묘사하며, 번성하는 시장과 풍부한 상품을 언급했다.
이 도시는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아글라비드 왕조, 파티마 왕조, 지리 왕조, 알모아드 왕조, 하프스 왕조, 오스만 왕조 등 북아프리카를 통치한 이슬람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904년 이스마일파 지도자 아부 압달라 알-시이는 아글라비드로부터 세티프를 점령했다. 파티마 왕조는 튀니지와 동부 알제리 일부를 지리 왕조에게 넘겨주었다(972–1148).[15] 바누 힐랄의 침략이 있었고, 세티프 전투는 힐랄 아랍인과 알모아드 베르베르족 사이에서 벌어져 알모아드의 승리로 끝났다.[16]
1980년대 초 발굴된 유물들은 이슬람 시대 도시의 모습을 보여준다. 최초의 이슬람 가옥은 재사용된 석재로 지어졌으며, 탄소 14 연대 측정 결과 655년에서 970년 사이의 시기로 추정된다.
오스만 제국 시대오스만 제국 시대에 세티프는 큰 관심을 받으며 발전했다. 세티프 레크리에이션 공원에는 이슬람교도 거주지가 있었으며, 튀니스와 콘스탄티누스의 베이 사이에 여러 주요 전투가 벌어졌다. 알-아티크 사원과 아부 제르 알-가파리 사원은 오스만 시대에 지어진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11세기 중반 도시 주변에 방어벽이 세워졌다.
프랑스 식민 시대
1838년 프랑스군은 콘스탄틴 점령 작전의 일환으로 세티프를 점령했다. 1843년 도시 계획이 수립되었고, 1846년 유럽인 도시가 형성되었다. 1850년부터 세티프는 식민 정착의 중심지가 되었다. 프랑스 제2제국 시대에 식민지화가 발전했고, 1877년 세티프 역 건설이 결정되었다.
세티프 학살 (1945)1945년 5월 8일, 세티프는 프랑스 식민 당국에 의해 유혈 진압된 민족주의 폭동의 시작점이 되었다. 시위와 폭력 사태는 민족주의 반란 계획에서 비롯되었으나, 메살리 하지의 가택 연금 탈출 실패로 포기되었다. 세티프 폭동은 기수 부지드 사알프랑스어의 사망으로 인한 대중의 분노로 시작되었다.[1]
폭동 소식은 곧 지역 전체로 퍼져나갔고, 세티프의 독립 투사 시위는 격렬한 봉기로 변질되었다. 프랑스는 유럽인 사망자 103명과 알제리인 600명에서 1,500명 사망 또는 부상으로 발표했다. 알제리 정부는 45,000명의 희생자를 집계했다. 2015년, 프랑스 역사학자들은 알제리인 희생자 수를 3,000명에서 8,000명 사이로 추정했다.[1]
알제리 전쟁 (1954-1962)알제리 전쟁 동안 세티프에서는 프랑스 식민 정부에 대한 저항과 정치적, 사회적 불안이 계속되었다. 1956년 벤튼 경관에 대한 특공대 작전, 1957년 페랑 준장 제거, 1958년 카나바 박사 제거, 1960년 틸리잔 지구 기차역 충돌, 1961년 사형수 석방, 1962년 도시 시장 전투 등 여러 사건이 발생했다. 세티프는 많은 순교자들을 배출했다. 1962년 알제리는 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2. 1. 선사 시대
귈타 제르카의 아인 엘 아네크 유적은 올도와이형의 매우 오래된 석기 유물을 포함하는 여러 유적을 포함하지만, 인류 화석은 관련되지 않았다. 아인 부셰리트 유적은 2018년에 190만 년에서 240만 년 사이로 추정되는 석기 산업 유물(조각된 석기)을 발견했다. 2018년 11월 29일, 사이언스 지는 마투야마 대지자기 극성, ESR 연대 측정, 생물 연대 측정(화석 종 집합) 및 퇴적 속도의 4가지 입증 방법으로 유적의 연대를 발표했다.[4] 아인 부셰리트는 케냐의 로메키 3 (330만 년 전)와 에티오피아의 카다 고나 (255만 년 전) 다음으로 아프리카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유적일 수 있다. 아인 엘 아네크의 선사 시대 유적은 도시에서 동쪽으로 몇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석기 유물의 연대는 고지자기학에 의해 약 240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귈타 제르카 코뮌에 위치한 고대 호수이다. 이 유적은 1947년 프랑스 고인류학자 카미유 아람부르 (1885-1969)가 세티프 지역의 대륙 퇴적물에 대한 고생물학적 연구를 진행하던 중 발견되었다. 2018년 11월 29일, 240만 년 전의 도구 발견이 발표되었으며, 이 유적은 발견 당시 탄자니아보다 먼저 인류의 요람이 되었다. 모하메드 사흐누니 교수가 이 발견을 확인했다.2. 2. 고대 시대
세티프는 누미디아 기원으로, 기원전 225년 마사에실리 왕국의 일부였다. 유바 2세가 체르첼을 선호하기 전에는 수도로 여겨지기도 했다.기원전 105년 세티프 근처에서 유구르타가 마리우스와 전투를 벌여 패배했다. 마리우스에게 패배한 유구르타는 로마로 끌려가 툴리아눔 감옥에서 처형되었다. 이 시대의 유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누미디아 왕국 시대에는 작은 규모였다.
세티프는 로마의 카에사리안 마우리타니아의 일부인 세티피아누스 마우리타니아로 알려져 있었다. 유구르타가 인도되었을 때, 시티피스는 보쿠스, 보쿠리스, 유바 2세를 거쳐, 칼리굴라의 사주를 받아 루그두눔에서 암살된 마우리타니아의 프톨레마이오스에게 속하게 되었다.
네르바는 기원후 96년 시티피스가 전략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그곳에 베테랑 식민지인 콜로니아 네르비아나 아우구스타 마르티알리스 베테라노룸 시티펜시움을 설치했다. 이 시대의 건물은 알려진 바 없지만, 1960년대에 발굴된 묘지에서는 초기 식민지 시대의 무덤이 발견된 것으로 보인다.[5] 클라우디우스는 마우리타니아를 로마 속주로 축소하고 두 부분으로 나누어 시티프를 새로운 카에사리안 마우리타니아, 즉 수도 카이사레아(셰르첼)에 귀속시켰다. 290년, 세티프는 마우리타니아 시티펜시스(현재의 동부 알제리)의 수도가 되었고, 마우리타니아 카에사리엔시스에서 분리되었다. 새로운 속주는 이후 아프리카 관구에 속했고, 아프리카 관구는 이탈리아 지사청에 속했다.[6]
2. 2. 1. 누미디아
이 도시는 누미디아 기원으로, 기원전 225년 마사에실리 왕국의 일부였다. 유바 2세가 체르첼을 선호하기 전에는 수도로 여겨지기도 했다.기원전 105년에는 세티프 근처에서 유구르타가 마리우스와 전투를 벌여 패배했다. 마리우스에게 패배한 유구르타는 로마로 끌려가 툴리아눔 감옥에서 처형되었다. 이 시대의 유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 도시는 누미디아 왕국 시대에는 작은 규모였다.
2. 2. 2. 로마 시대
세티프는 로마의 카에사리안 마우리타니아의 일부인 세티피아누스 마우리타니아로 알려져 있었다. 유구르타가 인도되었을 때, 시티피스는 보쿠스, 보쿠리스, 유바 2세를 거쳐, 마지막으로 칼리굴라의 사주를 받아 루그두눔에서 암살된 마우리타니아의 프톨레마이오스에게 속하게 되었다.
시티피스는 전략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네르바는 기원후 96년부터 그곳에 베테랑 식민지인 콜로니아 네르비아나 아우구스타 마르티알리스 베테라노룸 시티펜시움을 설치했다. 이 시대의 건물은 알려진 바 없지만, 1960년대에 발굴된 묘지에서는 초기 식민지 시대의 무덤이 발견된 것으로 보인다.[5] 클라우디우스는 마우리타니아를 로마 속주로 축소하고 두 부분으로 나누어 시티프를 새로운 카에사리안 마우리타니아, 즉 수도 카이사레아(셰르첼)에 귀속시켰다. 290년, 세티프는 마우리타니아 시티펜시스(현재의 동부 알제리)의 수도가 되었고, 마우리타니아 카에사리엔시스에서 분리되었다. 새로운 속주는 이후 아프리카 관구에 속했고, 아프리카 관구는 이탈리아 지사청에 속했다.[6]
2. 3. 반달 시대
476년 서로마 제국의 멸망을 앞두고, 가이세릭(427-477) 왕이 이끄는 반달족은 429년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3세에 반기를 든 로마 총독 보니파티우스의 요청으로 스페인에서 아프리카로 건너갔다.[1] 탕헤르에서 고대 카르타고까지 이어진 반달족의 아프리카 경로는 430년경 세티피스를 거쳤을 것으로 보인다.[1] 가이세릭은 보니파티우스를 격파하고 439년 카르타고에 자신의 왕국을 세웠으며, 황제는 그를 로마 아프리카의 지배자로 인정하게 되었다.[1]
반달족 통치 아래에서 세티프는 자바라고 불리는 지역의 주요 도시였다.[1]
2. 4. 비잔틴 시대
531년, 반달족의 왕 힐데리크는 찬탈자 겔리메르에게 전복되었고, 동로마 제국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로마 제국을 재건하려는 열망을 가지고 개입할 구실을 얻었다. 비잔티움 (콘스탄티노플 / 이스탄불)을 떠난 후, 장군 벨리사리우스는 트리폴리타니아와 무어족의 반란을 이용하여 카르타고를 점령(533년)하고, 겔리메르 자신을 포획(534년)했다.
비잔틴 제국은 반달족의 약탈로 인해 시티피스에서 소규모 인구만을 발견했다. 539년, 시티피스는 다시 비잔틴 "로마" 속주인 모리타니아 시티펜시스의 수도가 되었다. 당시 솔로몬은 비잔틴 요새 벽을 건설했는데, 그 서쪽과 남쪽 벽은 아직도 볼 수 있다.
2. 5. 이슬람 시대
647년(히즈라력 27년)에 아프리카에 대한 첫 번째 이슬람 원정이 이루어졌다. 700년경 이 지역은 정복되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초기 이슬람 도시의 모습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10세기에는 요새 외곽 지역에 다시 주택이 들어섰다. 로마 시대 목욕탕 터에서 12채 이상의 주택이 발굴되었으며, 이들은 길고 좁은 방으로 둘러싸인 넓은 안뜰을 가지고 있었다.[13]지리학자이자 역사가인 알-바크리는 세티프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세티프는 엘-메실라에서 이틀 거리에 있다 (...) 세티프에 도착하는데, 이곳은 크고 중요한 도시이며 그 기원은 고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도시를 둘러싼 성벽은 아부 압달라 아시-시이의 추종자들인 케타마에 의해 파괴되었는데, 그 이유는 아랍인들이 그들로부터 빼앗아 매번 들어갈 때마다 십일조를 지불하도록 강요했기 때문이다. 현재는 성벽이 없지만, 인구가 많고 매우 번창하고 있다. 바자르가 많고 모든 상품이 풍부하다. 세티프는 카이루안에서 열흘, 가즈루나에서 열흘, 그리고 밀라 근처에 위치한 타나겔알트에서 하루 거리에 있다."
이 도시는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아글라비드 왕조, 파티마 왕조, 지리 왕조, 알모아드 왕조, 하프스 왕조, 오스만 왕조 등 북아프리카를 통치한 이슬람 왕조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 역사학자 알-야쿠비가 쓴 《키타브 알-불단》과 A. 두리의 설명에 따르면, 이라크 출신의 아랍인 바누 아사드 이븐 쿠자이마의 일부인 바누 우슬루자 부족이 아글라비드 시대에 호라산 출신의 비아랍인(페르시아 아브나)들과 함께 세티프에 정착했다.
903년, 이프리키야의 아글라비드 아미르인 이브라힘 2세 이븐 아글라브가 사망한 후, 세티프는 그의 아들 무함마드의 본부 역할을 잠시 했다. 무함마드는 쿠타마 베르베르족 사이에서 추종자를 얻었던 이스마일파 지도자 아부 압달라 알-시이에 대한 군사 작전을 이끌려고 했지만, 형제 압달라 2세 이븐 이브라힘가 살해되면서 전투 전에 이를 중단했다. 왕위를 차지하려는 의도로 무함마드는 세티프를 떠나 튀니스로 향했지만, 바가야에서 체포되어 903년 8월에 새로운 아미르 지야다트 알라 3세 이븐 알-아글라브에 의해 지야다트 알라의 형제, 삼촌들과 함께 처형되었다.[14]
이러한 내부 권력 투쟁은 아부 압달라 알-시이가 공세를 펼쳐 아글라비드로부터 세티프를 점령할 수 있게 했다. 그는 이미 요새화된 도시를 두 차례 포위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904년 10월 또는 11월경 도시의 아랍 지배자가 사망한 후, 라히사 부족의 베르베르인이 아부 압달라에게 도시를 항복했고, 아부 압달라는 그가 쿠타마 동맹을 상대로 사용할 수 없도록 요새의 일부를 파괴했다. 그런 다음, 아부 압달라의 군사적 성공에 고무받아, 이스마일파 이맘 압달라 알-마흐디 빌라 (훗날 파티마 칼리파조를 건국함)는 이집트를 떠나 마그레브로 향했다.[14]
카이로를 정복한 후, 파티마 왕조는 튀니지와 동부 알제리 일부를 현지 지리 왕조에게 넘겨주었다(972–1148).[15] 이집트의 파티마 왕조가 북아프리카를 점령하도록 부추긴 호전적인 아랍인 부족인 바누 힐랄의 침략이 있었다.
세티프 전투는 힐랄 아랍인과 알모아드 베르베르족 사이에서 벌어졌으며, 알모아드의 승리로 끝났다.[16]
1980년대 초에 이 아랍-이슬람 시대의 유물이 발굴되었다. 켈리파 압데르라흐만에 따르면, 이 발굴 결과는 매우 흥미롭다. "도시는 완전히 버려지지 않았고, 목욕탕의 잔해는 사람과 가축의 임시 보호소 역할을 했다. 이슬람 도시의 발전은 비잔틴 요새 북쪽에서 먼저 이루어졌을 것이다."
이 발굴을 통해 최초의 이슬람 가옥이 흙벽돌로 덮인 조약돌로 안쪽을 보강한 재사용된 석재로 지어졌음이 밝혀졌다. 탄소 14 연대 측정 결과는 655년에서 970년 사이의 시기를 가리킨다. 이 발굴을 통해 810년(아글라비드 시대)에서 974년(파티마 칼리프 시대) 사이에 건설된 9채의 건물이 발견되었다. 세 번째 층에서는 파티마 칼리프 알-무이즈 리딘 알라의 동전과 형상화된 도자기 조각이 발견되었다. 켈리파 압데라흐만에 따르면, 중요한 점은 이 발굴을 통해 이 지역의 10~11세기 주거 형태를 파악할 수 있었는데, 그 조각들이 폭보다 길이가 더 길다는 것이다. 바니 힐리즈의 아랍 부족이 이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2. 6.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 시대에 세티프는 오스만 제국의 큰 관심을 받으며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세티프 레크리에이션 공원에는 이슬람교도 거주지가 있었으며, 튀니스와 콘스탄티누스의 베이 사이에 여러 주요 전투가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세티프에는 오스만 제국의 여러 기념물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도시 중심부에 위치한 알-아티크 사원과 아부 제르 알-가파리 사원이 있다. 이 두 사원은 모두 오스만 시대에 지어졌으며, 특히 첨탑은 오늘날까지도 이슬람 예술의 화려함을 보여주고 있다.
11세기 중반 이러한 발전은 갑자기 중단되었고, 도시 주변에 방어벽이 세워졌다. 1848년 프랑스군이 중세 도시 성벽과 비잔틴 요새의 선을 따라 그 자리에 자체 요새를 건설할 때까지 세티프에 대해 알려진 바는 거의 없다.
2. 7. 프랑스 식민 시대
1838년, 프랑스군은 콘스탄틴 점령 작전의 일환으로 세티프를 점령했다. 초기에는 군사적 점령이었으나, 곧 민간인 노동자들이 유입되었다. 1843년 법령으로 도시 계획이 수립되었고, 1846년에는 유럽인 도시가 형성되었다. 1847년 2월 11일, 왕실 칙령에 따라 2509ha의 토지를 기증받아 유럽 도시가 건설되었다. 1850년부터 세티프는 이 지역의 농업적 잠재력에 매료된 식민 정착의 중심지가 되었다.
프랑스 제2제국 시대에 식민지화가 발전하여 현재 도시 중심지의 도시 구조를 강화했다. 1877년에는 알제-콘스탄틴 노선에 있는 세티프 역 건설이 시의회에서 결정되었다. 1926년에는 세티프의 알제리인들을 위한 사회 주택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2. 7. 1. 세티프 학살 (1945)
1945년 5월 8일, 유럽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이 공식적으로 종결된 날, 세티프는 프랑스 식민 당국에 의해 유혈 진압된 일련의 민족주의 폭동의 시작점이 되었다. 시위와 그에 수반된 폭력 사태는 "해방 구역"을 만들려는 민족주의 반란 계획에서 비롯되었으며, 이 계획은 메살리 하지가 이끄는 임시 정부를 세우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은 메살리가 가택 연금에서 탈출하려다 실패하고 브라자빌로 이송되면서 포기해야 했다. 세티프 폭동은 기수 부지드 사알|부지드 사알프랑스어의 사망으로 인한 대중의 분노의 결과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23명의 유럽인이 사망하고 80명이 부상당했으며, 알제리 사상자 수는 2,000명에서 40,000명으로 추정되는 실제 무장 봉기였다."[1]폭동 소식은 곧 지역 전체로 퍼져나갔다. 세티프의 독립 투사 시위는 격렬한 봉기로 변질되었다. 반란은 인근 마을로 확산되었다. 이어진 진압은 과도하고 극도로 잔혹하여 수천 명의 시위대를 살해했다. 이 진압은 군대와 민간 민병대에 의해 수행되었다. 세티프 사단에는 3,700명의 병력이 배치되었다(프랑스 행정 구역 2개에 해당). 계엄령을 선포한 사람은 샤테뇨 총독이었다. 그는 북아프리카 주둔 군 사령관인 앙리 마틴 장군에게 "긴급 명령을 복원"할 수 있는 전권을 부여했다.[1]
프랑스는 유럽인 사망자 103명과 부상자 110명(세티프와 그 주변에서 폭동 첫날 13명의 여성을 포함하여 84명 사망), 알제리인 600명에서 1,500명 사망 또는 부상으로 발표했다. 군대에 의한 400명 사망, 250명 부상, 공군에 의한 200명 사망, 해군에 의한 약 10명 사망 외에도, 폭동이 시작되면서 자체 방어 민병대를 조직한 민간인들의 반격으로 인해 2,000명에서 3,000명의 무슬림이 사망했다. 공식적으로 알제리 정부는 45,000명의 희생자를 집계했는데, 이는 알제리 인민당(PPA)이 1945년 여름에 제시한 수치였다. 2015년, 프랑스 역사학자 프랑수아 코셰, 모리스 파브르, 기 페르빌, 로제 베티야르는 최근 10여 명의 프랑스 역사학자들의 연구를 검토하여 알제리인 희생자 수를 3,000명에서 8,000명 사이로 추정했다.[1]
2. 7. 2. 알제리 전쟁 (1954-1962)
알제리 전쟁 동안 세티프에서 일어난 사건들은 프랑스 식민 정부에 대한 폭력 행위 및 저항, 그리고 정치적, 사회적 불안으로 특징지어졌다. 1945년에 시작된 이 갈등은 수년간 지속되었으며, 양측에서 파괴 행위, 게릴라전, 무장 공격이 벌어졌다. 혁명이 발발하는 동안, 이 도시는 다음과 같은 사건들로 특징지어졌다.- 1956년 벤튼 경관에 대한 특공대 작전
- 1957년 페랑 준장 제거
- 1958년 "손" 조직의 일원인 카나바 박사 제거
- 1960년 틸리잔 지구 기차역에서 충돌
- 1961년 사형수 석방
- 1962년 도시 시장 전투
세티프시는 부샤레브 루밀라, 하르치 마사우다, 자루기 카이라, 셉티 나이마, 나르왈 주이나, 모하메드 케로우아니, 셰이크 엘 아이파 등 많은 순교자들을 배출했다.
세티프에서 일어난 사건들은 전국적으로 진행된 독립과 자결을 위한 더 광범위한 투쟁을 반영한다.
결국, 전쟁은 1962년 알제리가 프랑스로부터 독립하면서 끝났다. 알제리 전쟁 중 세티프에서 일어난 사건들은 이 나라의 현대사에서 민감하고 논란이 많은 문제로 남아 있다.
3. 지리
세티프는 알제리 북동부, 알제에서 동쪽으로 270km 떨어진 오트 플레인 지역의 남부 리틀 카빌리아에 위치한다. 해발 1096m 높이로, 알제리에서 두 번째로 높은 주의 주도이다.
세티프의 자연 지형은 북쪽의 텔 아틀라스와 남쪽의 오레스 산맥 사이, 그리고 그 중간에 평원 지대가 위치하여 비균질적인 특성을 보인다. 도시의 고도는 1100m에 달하며, 넓고 고지대인 지형을 갖는다.
세티프의 수문지질학은 기후와 강수 패턴으로 인해 불규칙한 흐름을 보이는 와디(건조한 하천)로 특징지어진다. 주요 수로는 부살렘 와디와 엘 케비르 와디이다.
세티프는 사암, 마르, 석회암으로 주로 구성된 퇴적암 지층 위에 자리 잡고 있다.
| 시대 | 지층 유형 | 특징 | 위치 |
|---|---|---|---|
| 르바이 시대 | 현대 지층 | 토마이, 화강암, 석회암, 침식 활발 | 주요 와디 근처 (특히 보슬람 계곡) |
| 미정형 지층 | 토마이와 화강암의 경사 퇴적물, 농업용 경작지 형성 | 주요 와디를 따라 원형으로 분포, 페르마토 고원과 같은 작은 고원군 형성 | |
| 고대 지층 | 베차르 해의 점토와 필라크론 지층, 세티피안 고원 고지의 융기 | 세티피안 고원 | |
| 제3기 시대 | 시신세 지층 | 모래, 토마이 석회암 및 점토 | 동쪽은 넓은 띠, 서쪽은 좁아짐, 북쪽과 남쪽에 분기, 세티프 도시 기반 형성 |
| 고생대 시대 | 페름기 및 로티안 지층 | 검은 실리카 균열이 있는 흰색 점토 | 도시 북쪽의 좁은 지역 |
| 캄브리아기 및 마스트리히트 지층 | 사암 조각과 검은 셰일이 있는 흰색 점토 | 도시 동부의 제한된 지역 |
세티프는 반건조 기후(쾨펜-가이거 기후 구분 BSk)를 나타내며, 여름은 덥고 건조하며 겨울은 춥고 비가 많이 온다. 고지대에 위치하여 알제리에서 가장 추운 겨울을 보이는 지역 중 하나이며, 매년 최대 40cm의 강설량을 기록하기도 한다.[33]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최고 기온 기록 (°C) | 21.5°C | 21.6°C | 28°C | 29.1°C | 38.4°C | 39.3°C | 40.4°C | 40.2°C | 39°C | 33°C | 26.4°C | 21.8°C |
| 평균 최고 기온 (°C) | 10°C | 11.7°C | 15°C | 17.4°C | 23.5°C | 29.4°C | 33.4°C | 32.9°C | 27.2°C | 21.7°C | 14.7°C | 10.7°C |
| 평균 최저 기온 (°C) | 1.3°C | 1.9°C | 4.1°C | 5.8°C | 10.7°C | 15.3°C | 18.7°C | 18.9°C | 14.8°C | 10.8°C | 5.3°C | 2.3°C |
| 최저 기온 기록 (°C) | -10.5°C | -8.3°C | -5.5°C | -4.5°C | -1.3°C | 1.1°C | 8°C | 8°C | 4.5°C | 0.6°C | -5.5°C | -8.7°C |
| 강수량 (mm) | 36.7mm | 25.6mm | 34.6mm | 42.4mm | 43.2mm | 23.5mm | 17.7mm | 13.4mm | 42.8mm | 30.5mm | 36.4mm | 45mm |
| 강설 일수 (≥ 1cm) | 3 | 3 | 2 | 1 | 0 | 0 | 0 | 0 | 0 | 0 | 0 | 2 |
세티프의 식생 피복은 낮은 비율(전체 윌라야 면적의 25%)이 특징이다. 숲은 식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윌라야 전체 면적의 66.15%를 차지한다. 여기에는 62750ha의 천연림과 39144ha의 조림지가 포함되어 있다.[1]
3. 1. 위치
세티프는 세티프 주의 주도로, 2008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288,461명이 거주하고 있다. 알제리 북동부, 알제에서 동쪽으로 270km, 보르지 부 아레리에서 65km, 콘스탄틴에서 132km 떨어진 오트 플레인 지역의 남부 리틀 카빌리아에 위치한다. 해발 1096m 높이에 위치하여, 알제리에서 두 번째로 높은 주의 주도이다. 세티프시는 와야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엘 우리시아 코뮌, 동쪽으로는 울레드 사베르 코뮌, 서쪽으로는 메즐루그와 아인 아르나트 구 코뮌, 남쪽으로는 기젤 구 코뮌과 접한다.3. 2. 지형
세티프의 자연 지형은 북쪽의 텔 아틀라스와 남쪽의 오레스 산맥 사이, 그리고 그 중간에 평원 지대가 위치하여 비균질적인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지형적 다양성으로 인해 도시의 고도는 1100m에 달하며, 넓고 고지대인 지형을 갖게 되었다. 또한, 세티프는 북쪽의 텔 아틀라스와 남쪽의 사막 지대를 분리하는 독특한 지리적 위치에 있다. 이러한 다양한 지형과 지리적 특성의 결합은 세티프를 독특하고 매력적인 거주지이자 방문지로 만든다.3. 3. 수문
세티프의 수문지질학은 기후 데이터와 강수 패턴으로 인해 불규칙한 흐름을 보이는 와디(건조한 하천)로 특징지어진다. 주요 수로는 부살렘 와디와 엘 케비르 와디이다.세티프의 수문지질학은 도시의 물 관리와 가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와디의 예측 불가능한 흐름은 수자원 접근을 어렵게 만들 수 있지만, 도시와 주변 농지에 물을 공급하는 원천이 되기도 한다. 이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와 보존이 필요하다.
3. 4. 지질
세티프의 지질은 알제리 북동부 리틀 카빌리 지역의 고원 지대에 위치해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 도시는 사암, 마르, 석회암으로 주로 구성된 퇴적암 지층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암석 지층은 철, 납, 아연을 포함한 광물 자원이 풍부하여 이 지역의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또한 이 지역의 지질은 높은 고도로 특징지어져 더 시원한 기후와 주변 산과 계곡의 멋진 전망을 제공한다. 세티프의 지질과 지형은 함께 작용하여 이 지역의 다른 도시와 차별화되는 독특한 환경을 조성한다. 다양하고 변화무쌍한 풍경은 우뚝 솟은 절벽, 완만한 언덕, 비옥한 계곡과 같은 특징을 통해 이 지역의 특징에 기여하는 풍요롭고 흥미로운 환경을 제공한다.이 도시는 시대, 특성, 지질 단위에 대한 소속과 관계없이 지질 구조의 큰 다양성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에 위치해 있다. 이는 도시의 지질도에서 보여지며, 세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뉜다.
| 시대 | 지층 유형 | 특징 | 위치 |
|---|---|---|---|
| 르바이 시대 | 현대 지층 | 토마이, 화강암, 석회암. 침식 활발 | 주요 와디 근처 (특히 보슬람 계곡) |
| 미정형 지층 | 토마이와 화강암의 경사 퇴적물. 농업용 경작지 형성 | 주요 와디를 따라 원형으로 분포, 페르마토 고원과 같은 작은 고원군 형성 | |
| 고대 지층 | 베차르 해의 점토와 필라크론 지층. 세티피안 고원 고지의 융기 | 세티피안 고원 | |
| 제3기 시대 | 시신세 지층 | 모래, 토마이 석회암 및 점토 | 동쪽은 넓은 띠, 서쪽은 좁아짐. 북쪽과 남쪽에 분기. 세티프 도시 기반 형성 |
| 고생대 시대 | 페름기 및 로티안 지층 | 검은 실리카 균열이 있는 흰색 점토 | 도시 북쪽의 좁은 지역 |
| 캄브리아기 및 마스트리히트 지층 | 사암 조각과 검은 셰일이 있는 흰색 점토 | 도시 동부의 제한된 지역 |
이러한 지리적 다양성은 세티프 시와 주변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경제적 풍요로움을 반영하며, 지질 관광의 독특한 목적지로 만들고 있다.
3. 5. 기후
세티프의 기후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결정된다. 해발 고도 약 1,100m, 지중해에서 50km 거리, 동부 오트 플레인에 위치, 주변 산맥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세티프는 반건조 기후(쾨펜-가이거 기후 구분 BSk)를 나타내며, 여름은 덥고 건조하며 겨울은 춥고 비가 많이 온다.세티프는 고지대에 위치하여 알제리에서 가장 추운 겨울을 보이는 지역 중 하나이며, 매년 최대 40cm의 강설량을 기록하기도 한다. 겨울에는 상당한 강수량을 보이며, 드물지만 봄과 가을에 갑작스러운 홍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여름은 비교적 더우며, 특히 7월과 8월에는 극심한 폭염이 자주 발생하여 기온이 때때로 40°C를 넘기도 한다.[33]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최고 기온 기록 (°C) | 21.5°C | 21.6°C | 28°C | 29.1°C | 38.4°C | 39.3°C | 40.4°C | 40.2°C | 39°C | 33°C | 26.4°C | 21.8°C |
| 평균 최고 기온 (°C) | 10°C | 11.7°C | 15°C | 17.4°C | 23.5°C | 29.4°C | 33.4°C | 32.9°C | 27.2°C | 21.7°C | 14.7°C | 10.7°C |
| 평균 최저 기온 (°C) | 1.3°C | 1.9°C | 4.1°C | 5.8°C | 10.7°C | 15.3°C | 18.7°C | 18.9°C | 14.8°C | 10.8°C | 5.3°C | 2.3°C |
| 최저 기온 기록 (°C) | -10.5°C | -8.3°C | -5.5°C | -4.5°C | -1.3°C | 1.1°C | 8°C | 8°C | 4.5°C | 0.6°C | -5.5°C | -8.7°C |
| 강수량 (mm) | 36.7mm | 25.6mm | 34.6mm | 42.4mm | 43.2mm | 23.5mm | 17.7mm | 13.4mm | 42.8mm | 30.5mm | 36.4mm | 45mm |
| 강설 일수 (≥ 1cm) | 3 | 3 | 2 | 1 | 0 | 0 | 0 | 0 | 0 | 0 | 0 | 2 |
3. 6. 식생
세티프의 식생 피복은 낮은 비율(전체 윌라야 면적의 25%)이 특징이다. 숲은 식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윌라야 전체 면적의 66.15%를 차지한다. 여기에는 62750ha의 천연림과 39144ha의 조림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전체 수목 피복의 41.38%를 차지한다.[1] 세티프 시의 낮은 식생 피복은 토양 침식, 대기 질 저하, 생물 다양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우려스럽다.[1] 반면에 윌라야 내의 높은 산림 면적 비율은 탄소 격리, 야생 동물 서식지, 레크리에이션 기회를 포함하여 중요한 생태적 이점을 제공한다.[1] 도시가 낮은 식생 피복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화와 자연 환경 보존 사이의 균형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1]4. 행정
세티프 시는 알제리 독립 직후인 1962년 7월 5일에 설립되었다.
세티프 시에는 시민의 신분과 관련된 활동을 처리하는 12개의 행정 부속 기관이 있다. 각 기관은 다음과 같다.
| 행정 부속 기관 |
|---|
| 시내 |
| 시테 엘 무스타크벨(비르게이) |
| 시테 야하위(탄자) |
| 시테 11월 1일(1014) |
| 부아로우아 |
| 엘 히다브 |
| 엘 하씨 |
| 아인 트릭 |
| 엘 바즈 |
| 춉 레크다드 |
| 치크 엘 아이파 |
| 틀리잔(보 마르셰) |

5. 도시 경관

5. 1. 도시 계획 및 건축

세티프는 1930년부터 1962년 사이에 현대 건축에서 상당한 성장을 보였다. 이는 도시의 도시 역학을 반영하고 재정적 조치, 기술적 과정, 건축가 및 시공업체의 작업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철근 콘크리트의 도입은 도시의 현대 건축 발전에 촉매제가 되었으며, 프랑수아 엔네비크 설계 사무소는 곡물 사일로, 은행, 타운하우스와 같은 다양한 건축물에 이 재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8]
식민지 국가는 20세기 초부터 사회 주택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교외 주택 지구, 정원 도시, 노동자 주택 계획을 만들었다. 세티프의 시내 중심가는 두 번 재투자되었는데, 1930년대에는 공공 사업을 통해 현대 건축이 장려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농업 자본 보유자들이 최고의 위치를 통합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된 고층 건물을 형성했다.[18]
새로운 현대 도시 형태의 지역인 더 파인스는 공공 병원의 남쪽 경계에 위치해 있으며, 건축과 현대적인 편의 시설로 높이 평가받았다. 더 파인스의 건축은 실용적이었으며 기능성과 장식의 부재에 초점을 맞춘 반면, 도시 동쪽 끝에 위치한 부아루아 지구도 비슷한 상황을 보였다. 세티프의 일부 건물은 이슬람 건축을 차용하여 과거로의 회귀를 보여주는 아랍 스타일을 보였으며, 이러한 회귀는 교리보다는 상황주의적 접근으로 여겨졌다.[18]
세티프는 현대 건축 및 건축 기법의 적용과 실험을 통해 현대 운동의 시험장이었으며, 전통적인 요소와 현대적인 요소의 혼합이 도시의 건축 언어에 통합되었다.[18]
5. 2. 환경
세티프는 1980년대부터 "알제리에서 가장 깨끗한 도시"로 알려져 왔으며, 아름다운 외관과 건강한 환경으로 여전히 명성이 높다. 세티프 시는 막대한 예산을 바탕으로 깨끗하고 잘 관리된 거리와 대로를 유지하고 있다. 오늘날에도 세티프는 맑은 공기와 매력적인 공공 조명을 즐기려는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목적지이다. 도심, 버스 터미널, 주요 거리는 잘 정돈되어 방문객에게 매력적이다. 도시의 공원과 녹지 공간은 잘 관리되어 일상의 번잡함 속에서 평화로운 휴식을 제공한다. 세티프의 주지사는 최근 도시의 이미지를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청결 및 공중 보건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 당국 및 환경부와 협력하는 조치를 취했다.[1]2018년 세티프 시의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연간 1.84ton이었으며, 세티프 주의 1인당 배출량은 연간 1.93ton이었다. 이에 비해 알제리의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연간 1.77ton이었다. 이 수치는 세티프 시와 주의 탄소 발자국이 전국 평균보다 상당히 높으며, 이는 이 지역의 환경 악화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당국과 지역 사회는 이러한 배출량을 줄이고 기후 변화의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관행을 장려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2]
6. 인구
| 연도 | 인구 |
|---|---|
| 1900년 (추정) | 21,289명[19] |
| 1950년 (추정) | 37,235명[19] |
| 1966년 (인구 조사) | 89,302명[20] |
| 1977년 (인구 조사) | 130,156명[20] |
| 1987년 (인구 조사) | 179,384명[20] |
| 1998년 (인구 조사) | 232,992명[21] |
| 2008년 (인구 조사) | 288,461명[22] |
| 2015년 (추정) | 410,000명[23] |
2008년 자료에 따르면 세티프의 인구는 288,461명으로, 알제리에서 8번째로 큰 도시였다. 2015년에는 인구가 410,000명으로 추정된다.[23] 이 도시는 알제리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윌라야의 수도 역할을 하며, 수년 동안 상당한 성장을 경험했다. 1900년[19] 세티프의 추정 인구는 21,289명이었고, 1950년에는 연간 1.3%의 증가율을 보이며 37,235명으로 증가하였다.[19]
세티프의 인구는 비교적 젊은 편으로, 중간 연령은 25.9세이다. 여성은 인구의 49.6%를 차지하고 남성은 50.4%를 차지한다.[24] 최근 몇 년 동안 도시가 급격한 성장을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유한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전국 각지에서 사람들을 계속 끌어들이고 있다.
자치구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세티프의 주요 중심지와 자치구 내 모든 측면에서 이를 둘러싼 도시 중심지에서 증가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사회적 규모와 배경을 가진 인구로, 자치구 전체에 분산되어 있으며, 도시 중심부에서 더 뚜렷한 집중을 보인다. 2006년 자치구의 인구는 286,715명이었으며, 이 중 260,910명이 도시 중심부에 거주했다. 이는 독립 이후 연평균 약 5,000명의 인구 증가로 인한 집중 비율(91%)을 나타낸다. 2008년 마지막 인구 조사에서는 세티프 자치구에 300,0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의 90% 이상이 지난 50년 동안 상당한 확장을 경험한 자치구의 도시 중심부에 거주하고 있다.[25]
7. 경제
세티프는 알제리에서 가장 산업화된 도시 중 하나로 손꼽히며, 경제 중심지로서 큰 성장과 투자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 지역은 농업과 산업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많은 중소기업(SME)이 자리 잡아 지속적인 성장의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1]
7. 1. 고용
세티프는 현재 상황에 맞춰 재적응할 수 있는 약 9,000개의 전문 및 특수 훈련 일자리를 제공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5,249명의 학생이 있는 두 개의 대학교를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구직자들은 다양하고 점점 더 높은 자격을 갖추고 노동 시장에 진출할 것이다.중소기업 측면에서, 세티프 주는 산업 부문에서 19,000명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4,384개의 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이 지역은 또한 세티프와 엘 울마에 두 개의 산업 지구, 그리고 19,000개의 일자리를 추가로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오울레드 사베르의 대규모 산업 지구를 가지고 있다. 총 15개의 활동 구역이 중소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공공 당국은 토지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9개의 마이크로 구역을 만들 것을 약속했다.
압델라지즈 켈라프 대통령 경제 고문은 경제 운영자들의 노력과 결단력 덕분에 세티프 주를 이 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거점 중 하나로 칭찬했다. 접수된 2,379건의 투자 신청 중 1,175건이 긍정적인 의견을 받았으며, 이로 인해 산업, 농식품, 건축 자재 및 서비스와 같은 분야에서 81,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되었다. 메르무치 모하메드 산업 및 광산 국장 또한 세티프 주가 투자, 부 창출 및 일자리 증가 측면에서 번영하는 미래를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믿고 있다.[1]
7. 2. 생활비
세티프는 세계에서 생활비가 가장 저렴한 도시 중 하나로 여겨진다. 세티프의 평균 생활비는 282EUR로, 이는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도시 상위 1%에 해당하며, 전 세계 9294개 도시 중 12위를 차지한다.[27] 알제리 내에서는 생활비 측면에서 30개 도시 중 5위를 기록하고 있다.[27]세티프의 세후 중간 소득은 214EUR로, 0.8개월 동안의 생활비를 충당하기에 충분하다.[27] 이는 세티프를 알제리에서 살기 좋은 도시 9위로 만든다.[27] 세티프는 세계의 다른 많은 도시에 비해 생활비가 낮아 비교적 살기 좋은 도시이며, 세후 중간 소득이 한 달의 모든 생활비를 충당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지만, 알제리에서 살기 좋은 곳 중 하나로 선정된 것은 삶의 질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도시임을 강조한다.[27]
7. 3. 농업
세티프의 농업은 주로 주변 지역의 곡물과 가축에 집중되어 있다. 지역에서 생산된 밀은 현지 공장에서 가공되어 세몰리나, 쿠스쿠스, 국수 등이 생산된다.세티프 지역에서 양 사육은 매우 흔하며, 양 개체 수는 전체 가축의 약 85%를 차지한다. 암컷 양은 약 9만 마리이다. 소 사육은 도시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개울을 따라 관개된 사료 작물이나 초원이 있는 교외 지역에서 발달했으며, 이 지역 전체 대형 가축의 약 15%를 차지한다. 염소 사육은 숲과 산악 지역의 농촌에서 주로 이루어지며, 양과 함께 사육되지만 개체 수는 사육자당 10마리를 넘지 않을 정도로 적다.
가금류 사육에서 닭알 사육은 약 62%를 차지하며, 닭고기 사육이 그 뒤를 잇는다. 양봉은 세티프 농업 환경에서 매우 드물게 나타나며, 대부분 농부들의 부수적인 활동이다.[28]
7. 4. 산업
세티프 시는 플라스틱 가공, 식품 가공, 건축 자재를 중심으로 산업이 발달하였다. 세티프는 미래의 통합 산업 개발 구역(ZIDI)을 유치할 최초의 5개 시범 지역 중 하나이다. 상업 활동 또한 매우 활발하여, 12,000개 이상의 중소기업(SME)이 있어 알제 다음으로 전국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스페인, 한국,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기업들이 점점 더 많이 진출하고 있다.[28]다른 산업으로는 목공, 카페트 제조, 금속 수공예 등이 있다. 인근 매장에서는 아연을 채굴하며, 북쪽에서는 수력 발전을 하고 있다. 이곳은 섬유를 생산하고, 인산염을 채굴하며, 곡물을 재배하는 지역의 상업 중심지이다.
8. 관광
세티프는 고고학적 유산이 풍부하여 유네스코(UNESCO)의 자문을 받아 고고학 공원 설치를 권고받았으나, 아직 세계 문화 유산 목록에는 등재되지 않았다. 도시의 상징적인 기념물로는 옛 모스크(El Masdjid el Atik)와 아인 엘 푸아라 분수가 있다.[5]
8. 1. 기념물 및 명소

Ain El Fouara 분수는 세티프 시의 가장 중요한 역사적 기념물 중 하나이다. 1899년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세티프 시로 옮겨졌으며, 독립 광장 중앙, 구 모스크, 유대교 사원, 교회 등 세 개의 종교 기념물 한가운데에 있는 구시가지 중심부에 자리 잡았다. 이 분수는 프랑스 조각가 프란시스 드 생-비달이 제작한 거대한 조각상으로, 이 기념물 건설의 진정한 역사에 대한 이야기는 다양하다. Ain El Fouara의 역사나 조각상에 묘사된 여성의 이야기에 대해 확실하게 아는 사람은 없으며, 이 조각상은 프랑수아 드 생 비달이 정교하게 조각했고, 1898년 세티프로 옮겨지기 전에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었으며, 1999년 11월 3일 국가 유산으로 지정되었다.[1]
세티프의 비잔틴 성채는 6세기 전반, 약 540년에 건설된 비잔틴 제국 요새를 둘러싼, 대체로 보존된 조각된 석조 벽이다. 이 성채는 솔로몬 장군에 의해 비잔틴 진지를 기습 공격으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세티프 시의 이슬람 정복 이후, 성채는 곡물 저장고 및 동물 마구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 동안, 성채는 내부에 군대 막사와 병원이 건설되면서 방어 구조물로서의 원래 기능을 되찾았다. 성채는 두께 2.5m의 거대한 직사각형 모양의 석조 블록으로 건설되었다.[2]

Park Mall Sétif는 2016년 2월부터 개장한 쇼핑몰이다. 동쪽의 윌라야 청사와 서쪽의 놀이공원 사이에 있는 ALN 대로를 따라 위치한 이 대형 건물에는 알제리에서 가장 큰 5층 쇼핑 센터, 비즈니스 센터, 호텔 및 다목적실 The Dome이 포함되어 있다.[3]
세티프 놀이공원은 도시 중심부의 레저 및 관광 공간이다. 그 안에는 호랑이, 사자, 하이에나, 낙타, 마카크, 페넥 등 약 30종의 동물이 서식하는 동물원이 있다.[4]
도시는 관광 및 문화적 목적을 가진 고고학 공원 설치를 권고하도록 유네스코(UNESCO)의 자문을 이끌어낸 고고학적 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까지도 세계 문화 유산 목록에는 등재되지 않았다. 도시의 상징적인 기념물 중 하나는 옛 모스크(El Masdjid el Atik)와 아인 엘 푸아라(Ain El Fouara) 분수이다.[5]
9. 문화
세티프는 다양한 문화 유산을 가진 도시이다.
세티프의 대표적인 요리로는 베르부차, 므페렘사, 초르바 프리크 등이 있다. 베르부차는 양고기, 순무, 근대 등을 넣은 쿠스쿠스 요리이며, 므페렘사는 큰 반죽 시트에 양파, 향신료, 토마토, 병아리콩, 살구, 건포도 등으로 만든 소스를 뿌려 고기와 함께 먹는 요리이다. 초르바 프리크는 프리크(부서진 밀), 양고기, 닭고기, 토마토, 양파, 향신료로 만든 전통 수프이다. 이 외에도 타진, 메슈위, 그라이프(전통 팬케이크) 등 다양한 요리를 맛볼 수 있다. 현지 과자류로는 마크루트, 가젤 혼, 그리우에흐, 음바르자 등이 있다.
세티프에는 현지, 국내 및 국제 요리 메뉴를 제공하는 여러 식당이 있으며, 그 중 '카이마'는 전통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유명한 레스토랑 유형이다. 카이마에서는 샤크슈카, 즈비티, 흐미스, 므파우에르, 케스라 등 다양한 현지 및 국내 요리를 제공하며, 관광객과 현지인 모두에게 인기가 많다.
세티프의 보석 세공 기술은 가장 오래된 전통 수공예 기술 중 하나로, 금과 은판을 사용하여 에스카브, 엘-메즈마, 엘-메키스, 엘-제라르, 엘-켈칼 등과 같은 품목을 생산한다.

세티프 시는 19세기 말부터 박물관의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현재 국립 박물관은 선사 시대, 누미디아 시대, 로마 시대, 비잔틴 시대, 이슬람 시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박물관은 모자이크, 도자기, 유리, 청동, 석재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유물들을 전시하는 5개의 전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비너스 모자이크나 바쿠스 모자이크를 포함한 모자이크 컬렉션이 유명하다.
세티프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축제 및 행사가 열린다.
- 사마 국제 페스티벌: 수피 문화의 성스러운 노래를 선보이는 음악 행사이다.[1]
- 세티프 국제 단편 영화의 날: 알제리 및 해외 단편 영화를 상영하는 문화 행사이다.[2]
- 도시 예술 축제: 도시 예술을 통해 시민 의식을 높이고 평화 문화를 증진하는 행사이다.[3]
- 예나이에 축제: 북아프리카, 특히 알제리에서 1월 12일에 열리는 전통적인 아말라그 (베르베르) 새해 축제이다.[4]
9. 1. 음악
알제리에서 라이와 카빌 음악 다음으로 세 번째로 인기 있는 음악 장르는 스타이피이다. 젠달리 리듬을 기반으로 하며, 원래 콘스탄틴에서 유래되었고 키보드 반주를 사용한다. 이 음악은 현재 모든 마그레브 축제에서 매우 널리 연주된다.초창기에는 Groupe Saada, 그 다음에는 Samir Staifi, Bekhachi, Djamel, Nordine 등이 있었다. 오늘날에는 Editions Charihene (바트나), El Amir (콘스탄틴), Intherlux (세티프) 및 Boualem (마르세유)이 "스타이피" 음악을 매우 대표한다. Katchou, Cheb Farat, Khalasse, Rochdi, Ghania, Fella, Djamal, Hasna, Yamina는 오늘날 "스타이피" 음악의 주축이다.
9. 2. 요리
베르부차 요리는 전형적인 세티프식 요리로, 주로 양고기, 순무, 근대 등을 넣은 쿠스쿠스 요리이다. 므페렘사 요리 또한 이 도시의 전형적인 요리로, 큰 반죽 시트에 양파, 향신료, 토마토, 병아리콩, 살구, 건포도 등으로 만든 달콤하고 짭짤하며 시고 매운 붉은 소스를 뿌려 요리하며, 고기를 곁들여 먹는다. 전통 수프인 초르바 프리크도 세티프에서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는데, 프리크(부서진 밀), 양고기, 닭고기, 토마토, 양파, 향신료로 만든다. 종종 부렉과 함께 제공되는데, 부렉은 고기, 치즈, 시금치, 감자 등 다양한 속을 넣은 얇고 바삭한 반죽으로 만든 알제리식 페이스트리이다. 타진, 메슈위, 그라이프(전통 팬케이크) 등도 이 도시에서 맛볼 수 있는 다른 요리들이다.
현지 과자류로는 마크루트, 가젤 혼, 그리우에흐, 음바르자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세티프의 경제적 활성화는 현지, 국내 및 국제 요리 메뉴를 제공하는 여러 식당의 개업을 촉진했다. 전통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유명한 레스토랑 유형은 현지에서 '카이마'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단순히 "텐트"로 번역된다. 이 레스토랑에서는 샤크슈카, 즈비티, 흐미스, 므파우에르, 케스라 등 다양한 현지 및 국내 요리를 제공한다. 카이마는 관광객과 현지인 모두에게 인기가 많다.
9. 3. 보석
세티프의 보석 세공 기술은 가장 오래된 전통 수공예 기술 중 하나이며, 주로 금과 은판을 사용하여 에스카브, 엘-메즈마, 엘-메키스, 엘-제라르, 엘-켈칼 등과 같은 품목을 생산한다.9. 4. 박물관
세티프 시는 1896년 오를레앙 정원(오늘날 에미르 압델카데르 정원)에 최초의 석비 박물관이 세워지면서 19세기 말부터 박물관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32년에는 알베르티니 고등학교(현재 케루아니 고등학교)에 미술 작품 전시실이 설치되었고, 1965년부터는 구(舊) 빌라야 법원이 문화관광부에 임시 박물관으로 제공되었다. 1985년 4월 30일에는 새로운 박물관이 개관되었으며, 세티프 박물관은 1992년 6월 7일 국립 박물관으로 승격되기 전까지 지역 박물관(현장 박물관)의 감독을 받았다.현재 윌라야 청사 맞은편 구 시타델 동쪽에 세워진 국립 박물관은 이전에는 국립 고고학 박물관으로 불렸으며, 선사 시대, 누미디아 시대, 로마 시대, 비잔틴 시대, 이슬람 시대를 아우르는 고고학 박물관의 전시실 외에도 회의실, 영사실, 도서관, 전시 홀을 갖추고 있다.
이 박물관은 세티프와 그 주변 지역의 역사를 보여준다. 박물관은 모자이크, 도자기, 유리, 청동, 석재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유물들을 전시하는 5개의 전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공간은 이 지역의 가장 초기 시대부터 인간 문명의 존재를 증명하는 선사 시대 유물을 전시한다. 두 번째 공간은 세티프에 많은 흔적을 남긴 로마 및 비잔틴 문명을 전시하며, 비너스 모자이크나 바쿠스 모자이크를 포함한 도자기, 유리, 장례용 비석 및 특히 모자이크 컬렉션을 전시한다.
세 번째 공간은 파티마 도자기 컬렉션과 함께 이슬람 시대를 다룬다. 하마디드 예술은 비문 장식이 있는 도자기 조각으로 표현되며, 기하학적이고 꽃무늬로 장식되어 있으며 조각된 석고 기둥과 주두는 녹색과 빨간색으로 칠해져 있다.
네 번째 공간은 누미디아 및 로마 황제의 초상이 새겨진 주화와 금과 은으로 된 이슬람 주화를 전시하는 화폐 전시실이다. 다섯 번째 공간은 박물관의 방대한 모자이크 컬렉션을 전시한다.
9. 5. 축제 및 행사
세티프의 후아리 부메디엔 문화 센터에서 열리는 음악 행사로, 수피 문화의 성스러운 노래를 선보인다. 여러 국가의 참가자들이 참여하며, 수피 사마의 예술을 더 넓은 청중에게 알리고, 모든 이념을 초월하는 보편적인 인간의 영적 현상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1] 축제 기획자는 이 행사가 젊은 인재들이 성장하고, 지역 알제리 특유의 다양성이 세계적으로 포용될 수 있는 기회로 여긴다.[1]세티프 시내에서 열리는 문화 행사로, 알제리 및 해외 단편 영화 상영과 더불어 영화제에 참여한 알제리 제작 장편 영화도 상영된다.[2] 이 행사의 목표는 영화 분야의 젊은 인재를 발굴하고, 그들의 등장을 장려하며, 지역의 문화적 역동성을 증진시키는 것이다.[2] 행사에는 경쟁 부문이 포함되어 있으며, 알제리 예술가와 감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프로그램에 상영된 영화를 평가하고, 최우수 단편 영화에 황금 스파이크 상을 수여하는 등 다양한 상을 수여한다.[2] 또한 토론 세션, 전문 워크숍, 마스터 클래스와 같은 다양한 활동도 행사 기간 동안 진행된다.[2]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한 행사로, 도시의 여러 지역에서 며칠 동안 열린다.[3] 도시 예술을 시민 의식을 높이고, 평화 문화를 증진하며, 사회적 악을 예방하는 수단으로 삼는 것을 목표로 한다.[3] 이 축제는 청소년 과학 기술 활동 연맹이 주최하며, 청소년 시설 사무국과 협력하여 청소년 및 스포츠 국의 후원하에 진행된다.[3]
북아프리카, 특히 알제리에서 1월 12일에 열리는 전통적인 아말라그 (베르베르) 새해 축제이다.[4] 이 축제는 농업 달력과 관련이 있으며 다양한 의식과 관습을 포함한다. 가장 주목할 만한 전통 중 일부는 공동 저녁 식사 준비, 풍요로운 수확의 상징으로 나무에 밀과 옥수수 곡물을 뿌리는 것, 1세 미만 어린이의 머리카락 자르기, 방문 교환, 공동 게임, 노래 및 기원,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자선 활동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포함한다.[4] 또한 예나이에 축제에서는 아말라그 문자를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워크숍, 그림 그리기, 대중적인 요리 발표, 전통 아말라그 의상, 콘서트, 컨퍼런스, 연극, 후아리 부메디엔 문화 센터와 국립 공공 박물관에서 주로 열리는 전시회도 열린다.[4] 예나이에 축제는 세티프와 국가 전체 문화의 필수적인 부분인 아말라그 문화, 유산 및 전통의 가치를 강조하는 방법으로 여겨진다.[4]
10. 교육
세티프의 학교 시스템은 알제리의 다른 지역과 다르지 않으며, 이 도시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포함한 많은 교육 기관, 통신 교육 기관, 사립 교육 기관이 있다. 세티프 1 파르하트 아바스 대학교, 세티프 2 모하메드 라민 다바긴 대학교와 알제리 교육부 소속의 세티프 교육청이 운영하는 고등 교육 기관 및 학교가 있어 알제리 시민뿐만 아니라 아랍 세계와 아프리카 국가에서 온 사람들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11. 스포츠
세티프에는 축구 클럽인 세티프 스포츠 연합(ESS)이 있다. 이 클럽은 1958년 9월 FLN 혁명 사령부의 지시로 비밀리에 창단되어 피다예(Fidaye) 임무를 수행했다. 그 이후, 세티프 스포츠 연합은 알제리 컵 8회, 챔피언십 8회(2회 더블 포함), 알제리 슈퍼컵 2회 우승 및 아랍 챔피언 클럽 컵 2회, 아프리카 챔피언 클럽 컵 2회, 아프리카-아시아 컵 1회, 아프리카 슈퍼컵 1회 우승을 하며 알제리 축구계의 주요 클럽으로 자리 잡았다.[1]
이 도시에는 1933년에 창단된 세티프 마디넷 스포츠 연합(USMS)(2005년 알제리 컵 준우승)과 1947년에 창단된 세티프 아프리카 경기장(SAS)이라는 두 개의 축구팀도 있다. 2014년에는 엘 베즈에 새로운 올림픽 수영장이 개장했다.[1]
세티프는 두 개의 국제 사이클 대회가 열리는 곳이다.[1]
12. 기반 시설

세티프는 알제리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다양한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시내 중심에서 10km 떨어진 곳에 아인 아르나트 공항이 있다. 이 공항은 국제 민간-군사 공항으로, 세티프주와 인근 도시 및 주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연간 20만 명의 여객을 수용할 수 있다. 알제리 공군의 훈련 헬리콥터 연대, 보병 훈련 센터, 제4 특공 공수 연대가 주둔하는 군 공항이기도 하다. 최근 수하물 컨베이어 교체, 면세점 설치, 상점, 항공사 사무실 및 은행 지점 설치 등 현대화 작업을 거쳤으며[29][30], 터미널 건물은 연간 수용 능력이 25만 명에서 45만 명으로 증가했고, 266대 차량을 수용 가능한 주차장도 갖추고 있다.
세티프는 소넬가즈 그룹(Sonelgaz Group)에 따르면 알제리의 에너지 공급을 선도하고 있다.[31] 인구의 99%가 전기를, 97%가 천연 가스를 사용하며, 에너지 수요를 50% 초과하는 잉여 에너지를 보유하고 있다. 엘 울마 지역에 추가적인 에너지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전 서비스 부족 지역에 전기와 천연 가스를 공급했다. 또한, 모든 산업 지역을 가스와 전기에 연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2. 1. 교통
세티프는 알제리의 주요 도시로, 택시, 공영 및 사설 버스, 철도, 1945년 5월 8일 공항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갖추고 있다.[1] 세티프 트램은 알제리에서 가장 긴 노선(약 22.4km)으로 건설될 예정이다.12. 1. 1. 버스
세티프 시의 교통은 주로 버스가 담당하며, 민간 기업과 정부 기관 모두에서 운영하고 있다. 버스 서비스에는 시 경계 내에서 운행하는 것과 세티프를 알제리 내 다른 지역 및 다른 지역과 연결하는 것,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대규모 인구, 조밀한 네트워크 및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대형 및 소형 도시 교통 버스가 도시에서 널리 사용되며, 민간 및 정부 버스 모두의 티켓 가격은 20DZD로 정해져 있다.[1]12. 1. 2. 택시
세티프의 택시 서비스는 광범위하며, 시내 대중교통, 시내 다른 지역 간 교통, 세티프와 알제리 다른 지역 간 교통의 세 가지 형태로 제공된다.12. 1. 3. 철도
세티프 기차역은 약 118년(1897-2015) 된 것으로 추정된다. 역 건설은 1877년 시 의회 회의에서 합의되었다. 회의에서는 1897년 건설이 완료되면 기차 도착을 기념하기 위해 역 건설이 적절한 방법이라고 결정했다. 이 역은 알제-콩스탕틴 (AC) 노선에 위치해 있으며, 수도 알제로 3대, 콩스탕틴으로 1대, 안나바로 1대, 총 5대의 기차가 운행하고 있다. 세티프 역에는 매일 다양한 장소에서 약 12대의 화물 열차가 도착한다.12. 1. 4. 트램

세티프 트램의 첫 번째 노선은 2018년 5월 8일에 개통되었으며, 26개 역을 갖춘 총 22.4km 거리를 운행한다. 모든 역은 역사적인 이름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노선은 세티프 1 대학교 프라하트 아바스(El Baz Pivot), 중앙 대학교, 1945년 5월 8일 경기장, 여객 환승역, 시내, 그리고 도시의 동부 지역을 연결한다. 두 번째 노선은 아직 완공되지 않았으며, 산업 구역 1, 2, 3, 비자르(bizar) 지역, 바브 비스크라(Bab Biskra), 그리고 시내를 연결할 예정이다. 세티프 트램은 알스톰(Alstom)과 터키 건설 회사 야피 메르케지(Yapı Merkezi)의 합작 회사에 의해 건설 및 설비되었다.
12. 1. 5. 항공
아인 아르나트 공항 문서 참고세티프 공항은 시내 중심에서 1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국제 민간-군사 공항으로, 세티프주와 인근 도시 및 주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공항은 연간 20만 명의 여객 수용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 공항은 알제리 공군의 제9 훈련 헬리콥터 연대(9th RHE)와 보병 훈련 센터, 제4 특공 공수 연대(4th RPC)가 주둔하고 있는 군 공항이기도 하다.
공항은 수하물 컨베이어 교체, 면세점 설치, 8개의 신규 상점, 4개의 항공사 사무실 및 은행 지점 설치 등 전반적인 개조 및 현대화 작업을 거쳤다.[29][30]
터미널에는 10개의 체크인 카운터, 출발 층에 8개의 PAF 필터, 국제선 도착 층에 11개의 부스가 있으며, 이 중 하나는 장애인을 위해 마련되었다.[29][30] 터미널 건물은 연간 25만 명의 승객 수용 능력에서 45만 명으로 증가했다. 또한 266대의 차량을 수용할 수 있는 주차장이 있다.
12. 2. 에너지
세티프는 소넬가즈 그룹(Sonelgaz Group) 관계자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알제리의 에너지 공급을 선도하고 있다.[31] 세티프는 인구의 99%가 전기를, 97%가 천연 가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에너지 수요를 50% 초과하는 잉여 에너지를 보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티프 주는 세티프 시에 60kV 변압기 건설, 엘 울마에 30kV 변압기 건설 등 추가적인 에너지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소넬가즈 그룹의 CEO는 또한 이 지역이 이전에 서비스가 부족했던 지역의 11,900개 이상의 가구에 전기를, 2,250개 가구에 천연 가스를 공급했다고 밝혔다. 생활 여건 개선을 위한 대통령의 정책에 따라 350개 이상의 농장이 전기에 연결되었으며, 국가는 모든 산업 지역을 가스와 전기에 연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소넬가즈가 연결 요금 이전에 지불 조건을 취소했기 때문에 학교와 신규 주택은 에너지 연결에 지연이 없을 것이다.13. 국제 관계
세티프는 5개 대륙의 13개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국가 | 도시 |
|---|---|
| الكويت|쿠웨이트ar | 알아흐마디 |
| مصر|이집트ar | 카이로 |
|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아랍에미리트ar | 두바이 |
| فلسطين|팔레스타인ar | 가자 |
| Malaysia|말레이시아ms | 쿠알라룸푸르 |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리옹 |
| السعودية|사우디아라비아ar | 메디나 |
| United States|미국영어 | 마이애미 |
| 日本|일본일본어 | 오사카 |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렌 (1982) |
| Brasil|브라질pt | 리우데자네이루 |
| ایران|이란fa | 쉬라즈 |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빌프랑슈쉬르손 |
참조
[1]
웹사이트
The Beautiful Cities of Algeria - Setif (3)
http://algeroisement[...]
2024-07-24
[2]
웹사이트
Compagnie genevoise des colonies suisses de Sétif
https://setif.com/Co[...]
2024-07-24
[3]
논문
Le statut de l'espace agricole périurbain à Sétif (Algérie) : réserve foncière ou projet urbain ?
https://revues.cirad[...]
2006-03-01
[4]
논문
1.9-million- and 2.4-million-year-old artifacts and stone tool–cutmarked bones from Ain Boucherit, Algeria
https://www.science.[...]
2023-02-09
[5]
서적
La Necropole orientale de Sitifis: fouilles de 1966–1967
Paris
1985
[6]
서적
Early Christianity in North Africa
James Clarke & Co
2011
[7]
서적
Fouilles de Sétif 1977–1984
Algiers
[8]
서적
Fouilles de Sétif: les basiliques chrétiennes du quartier nord-ouest
Paris
1965
[9]
서적
Early Christianity in North Africa
James Clarke & Co
2011
[10]
간행물
Augustine, Ep., lxxxiv; Serm., xix.
[11]
서적
Early Christianity in North Africa
James Clarke & Co
2011
[12]
간행물
Augustine letter 84.2.
[13]
서적
Fouilles de Sétif 1977–1984
Algiers
[14]
서적
The Empire of the Mahdi: The Rise of the Fatimids (Translated from the German by Michael Bonner)
https://books.google[...]
E.J. Brill
2020-09-03
[15]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Ancient, Medieval, and Modern, Chronologically Arranged
"[[Houghton Mifflin Harcourt]]"
[16]
웹사이트
IBN-ALATHYR : EXTRAITS DE L'Histoire des croisades
http://remacle.org/b[...]
2023-02-09
[17]
웹사이트
Sétif average weather by month
http://www.meoweathe[...]
Meoweather
2013-03-06
[18]
논문
Modern Architecture in Setif (Algeria, 1930–1962). Expression of a Plurality of Approaches
https://docomomojour[...]
2023-02-11
[19]
웹사이트
Setif
https://www.city-fac[...]
2023-02-13
[20]
웹사이트
تأثير النمو السكاني في تغير مورفولوجية المدينة
http://dspace.univ-s[...]
2023-02-13
[21]
웹사이트
Sétif (Province Capital, Sétif, Algeria)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Map and Location
http://www.citypopul[...]
2023-02-13
[22]
웹사이트
Répartition de la population résidente des ménages ordinaires et collectifs, selon la commune de résidence et la dispersion.
https://www.ons.dz/c[...]
2023-02-13
[23]
웹사이트
Commune de Sétif à la Une
https://interieur.go[...]
2023-02-13
[24]
웹사이트
Setif Population 2023
https://worldpopulat[...]
2023-02-12
[25]
웹사이트
Aménagement et valorisation des boisements urbains et périurbains de la ville de Sétif
https://mmagister.un[...]
2023-02-13
[26]
웹사이트
L'investissement dans la wilaya de Sétif : Des entités économiques à valeur ajoutéeL'investissement dans la wilaya de Sétif : Des entités économiques à valeur ajoutée
https://www.elmoudja[...]
2021-03-05
[27]
웹사이트
Cost of Living & Prices in Setif: rent, food, transport
https://livingcost.o[...]
2023-02-11
[28]
웹사이트
Commune de Sétif à la Une
https://interieur.go[...]
2023-02-11
[29]
웹사이트
Sétif : L'aérogare fait peau neuve {{!}} El Watan
https://www.elwatan.[...]
2021-08-27
[30]
웹사이트
Projet d'extension et de reconfiguration de l'aérogare de Sétif
https://setif.info/a[...]
2021-08-27
[31]
웹사이트
La wilaya de Sétif a le plus grand taux de couverture en énergie à l'échelle nationale
https://www.aps.dz/r[...]
[32]
문서
https://archive.is/2[...]
[33]
웹인용
Sétif average weather by month
http://www.meoweathe[...]
"'''Meoweather'''"
2013-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