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군은 2차 세계 대전 중 사누시 군을 기원으로 하여, 1969년 무아마르 알 카다피의 쿠데타 이후 재편된 리비아의 군대이다. 1951년 리비아 독립 이후 왕립 리비아 군을 거쳐, 카다피 정권 하에서 육해공군과 혁명 경비대, 범아프리카 군단, 이슬람 아랍 군단, 인민 민병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소련제 장비를 주로 사용했으며, 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인해 분열되었다. 현재는 여러 군벌 및 정부 소속 군대로 재편되는 과정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군 | |
---|---|
개요 | |
존속 기간 | 1977년 ~ 2011년 |
군사 정보 | |
군 종류 | 리비아 육군 인민 민병대 |
본부 위치 | 트리폴리 |
병역 제도 | 18개월 징병 |
실질 병력 | 780,000명 |
예비군 | 900,000명 이상 |
지휘부 | |
최고 사령관 | 무아마르 알 카다피 |
최고 사령관 직함 | 형제 지도자 |
국방 장관 | 아담 알 하와즈 (초대), (마지막) |
국방 장관 직함 | 국방 장관 |
재정 | |
예산 | 19억 달러 (2008년 추정) |
GDP 대비 비율 | 1.9% (2008년 추정) |
역사 | |
주요 참전 | 군사사 제3차 중동 전쟁 1969년 리비아 쿠데타 제4차 중동 전쟁 우간다-탄자니아 전쟁 차드-리비아 분쟁 시드라 만 사건 2011년 리비아 내전 |
관련 정보 | |
계급 | 리비아의 군 계급 |
2. 기원 및 역사 (1945-1969)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리비아 아랍군(일반적으로 사누시 군으로 알려짐)은 추축국에 대항하여 영국군과 함께 참전하였으며, 키레나이카의 자발 알 아크다르 지역에서 게릴라전을 수행했다.[6] 이들은 주로 군사 시설과 포로를 경비하는 보조 부대로 사용되었으나, 한 개 대대는 토브루크 전투에 참여했다.[6]
전쟁 후, 사누시 군은 해산을 꺼렸고, 구성원 대다수는 영국 군정 하의 키레나이카 지역 현지 경찰로 전출되었다. 1951년 리비아가 독립하면서, 사누시 군 참전 용사들은 왕립 리비아 군의 핵심을 형성했다.[6] 영국 육군 병력은 중동 사령부의 일부로, 제25 기갑 여단과 잠시 제10 기갑 사단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독립 이후에도 리비아에 주둔하며 적어도 1957년까지 군사 고문 역할을 수행했다.[7]
이드리스 1세는 1962년에 해군을, 1963년에 공군을 창설했다.[8] 그러나 그는 사누시 가문의 혈통을 이어받은 왕립 리비아 군을 불신했다.[8] 1952년 이집트에서 일어난 자유 장교의 쿠데타는 리비아 장교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많은 이들이 가말 압델 나세르의 추종자가 되었다.[8] 이러한 상황은 이드리스가 군대를 훈련시키기 위해 고용한 영국 육군 장교들이 군대를 불신할 정도였으며, 그들은 군대의 효율성을 높이기보다는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겨졌다.[8]
이드리스 1세는 군대의 충성심에 대한 의구심으로 인해 군사력 강화에 소극적이었다.[8] 그는 충성스러운 키레나이카인들을 모든 고위 지휘관 자리에 임명하고, 군대를 6,500명으로 제한했으며, 군대의 무장을 가볍게 유지하고, 국가 보안군과 키레나이카 방위군이라는 두 개의 경쟁적인 준군사 조직을 만들었는데, 이는 사누시에게 충성하는 키레나이카의 베두인족으로부터 모집되었다.[10] 두 부대를 합쳐 헬리콥터, 장갑차, 대전차 무기, 포병으로 무장한 총 14,000명의 병력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들은 1969년 9월 1일, 당시 통신 장교였던 무아마르 알 카다피 대위가 이끄는 일단의 육군 장교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11] 폴락(Pollack)은 1967년 7월 6일 전쟁에서 아랍의 패배가 쿠데타의 중요한 요인이었다고 말하며, 장교들은 리비아가 이집트 및 다른 아랍 국가를 지원하기 위해 병력을 파견했어야 한다고 믿었다. 이드리스 역시 군대를 개혁하려 했지만,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고, 이는 젊은 리비아 장교들을 더욱 좌절시켰다. 쿠데타 직후, 카다피는 군대에서 대령 이상 계급의 모든 장교는 물론, 왕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일부 하위 계급 장교들을 해임, 체포 또는 처형하기 시작했다. 그런 다음 그는 자신의 외교 정책 계획에 맞춰 군대를 재편성하기 시작했다.[11] 군대의 확충과 CDF와 NSF를 군대에 통합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였으며, 1970년까지 병력은 거의 20,000명에 달했다. 또한 공군에도 주력했는데, 쿠데타 이전 400명의 인력과 10대의 노스롭 F-5 '프리덤 파이터' 제트 전투기를 프랑스로부터 대규모의 미라주 III 전투기를 구매하여 보충할 계획이었다.
2. 1. 사누시 군과 영국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리비아 아랍군(사누시 군)은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군의 기원이다.[6] 이탈리아 참전 직후, 이집트 망명 중이던 리비아 지도자들은 동포들에게 추축국에 대항하는 전쟁에 영국과 함께 참여할 것을 요청했다. 키레나이카 자발 알 아크다르 지역에서 게릴라전을 수행하기 위해 5개 대대가 영국 지휘 하에 창설되었고, 리비아군은 주로 군사 시설과 포로를 경비하는 보조 부대로 사용되었으나, 한 개 대대는 토브루크 전투에 참여했다.영국이 리비아 영토를 점령한 후, 사누시 군은 해산을 꺼렸고, 구성원의 대다수는 영국 군정 하에 키레나이카 지역의 현지 경찰로 전출되었다. 1951년 리비아가 독립했을 때, 사누시 군 참전 용사들은 왕립 리비아 군의 핵심을 형성했다.[6] 영국 육군 병력은 중동 사령부의 일부로, 제25 기갑 여단과 제10 기갑 사단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독립 이후에도 리비아에 주둔하며 군사 고문 역할을 수행했다.[7]
새로운 군대는 사누시 가문의 혈통을 이어받았음에도, 이드리스 1세 국왕은 그들을 불신했다.[8] 이집트 자유 장교의 1952년 쿠데타는 많은 리비아 장교들이 가말 압델 나세르의 열렬한 추종자가 되게 했다. 영국 육군 장교들은 군대를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2. 2. 이드리스 1세의 군대 불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리비아 아랍군(일반적으로 사누시 군)은 키레나이카의 자발 알 아크다르 지역에서 게릴라전을 수행하기 위해 영국 지휘 하에 5개 대대가 창설되었다.[6] 이들은 주로 군사 시설과 포로를 경비하는 보조 부대로 사용되었으나, 한 개 대대는 토브루크 전투에 참여했다.[6]이드리스 1세는 사누시 가문의 혈통을 이어받은 왕립 리비아 군을 불신했다.[8] 1952년 이집트에서 일어난 자유 장교의 쿠데타는 리비아 장교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많은 이들이 가말 압델 나세르의 추종자가 되었다.[8] 이러한 상황은 이드리스가 군대를 훈련시키기 위해 고용한 영국 육군 장교들이 군대를 불신할 정도였다.[8]
2. 3. 군대 창설과 카다피의 등장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리비아 아랍군(사누시 군)은 추축국에 대항하여 영국과 함께 참전하였으며, 키레나이카의 자발 알 아크다르 지역에서 게릴라전을 수행했다.[6] 전쟁 후, 사누시 군은 해산을 꺼렸고, 구성원 대다수는 영국 군정 하의 키레나이카 지역 현지 경찰로 전출되었다. 1951년 리비아 독립 후, 사누시 군 참전 용사들은 왕립 리비아 군의 핵심이 되었다.[6][7]이드리스 1세는 1962년 해군, 1963년 공군을 창설했다.[8] 그러나 군대의 충성심에 대한 의구심으로 인해 군사력 강화에 소극적이었다.[8] 그는 충성스러운 키레나이카인들을 고위 지휘관에 임명하고 군대 규모를 6,500명으로 제한했으며, 국가 보안군과 키레나이카 방위군 등 경쟁적인 준군사 조직을 만들었다.[10][9]
1969년 9월 1일, 무아마르 알 카다피 대위가 이끄는 육군 장교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11] 이들은 1967년 6일 전쟁에서 아랍의 패배에 영향을 받아, 리비아가 다른 아랍 국가를 지원했어야 한다고 믿었다.[11] 쿠데타 이후, 카다피는 대령 이상 계급의 장교 등을 해임, 체포 또는 처형하고, 자신의 외교 정책에 맞춰 군대를 재편성했다.[11]
3. 카다피 정권 하의 군대 (1969-2011)
3. 1. 육군
2009년 당시 리비아 육군은 25,000명의 지원병과 25,000명의 징집병으로 구성되어 총 50,000명이었다.[12] 카미스 가다피의 제32여단('카미스 여단')은 정권 보호를 위한 핵심 부대 중 하나였으며, 2009년 미국의 외교관들은 이 부대를 정권을 방어하는 데 가장 유능한 부대로 평가했다. 혁명 근위대 또한 가다피를 위한 여단 규모의 보호 부대로 활동했다. 2009년에는 영국 특수공군 팀이 리비아 특수 부대를 훈련시키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13] 가다피 정권 하에서 징병 기간은 18개월이었다.
3. 1. 1. 육군 장비
리비아 육군은 주로 소련제 장비를 대량으로 운용했다. 이 수치는 2011년 리비아 내전 동안 파괴되거나 노획된 장비는 고려하지 않았다.IISS는 2009년 탱크 수를 2,025대로 추산했다.
러시아 정부는 2010년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T-72를 현대화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IISS는 750대의 BTR-50과 BTR-60도 보고했다.
IISS는 500대의 BRDM-2와 700대의 EE-9 카스카벨 정찰 장갑차, 1,000대의 BMP-1 및 BMD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했다.[17] 기타 운용 중인 바퀴형 차량으로는 1,000대의 EE-11 우루투와 체코슬로바키아의 OT-64 SKOT가 있다.[18]
IISS는 2009년 운용 중인 포병을 총 2,421문으로 추산했다.
444문의 자주포가 보고되었다.
- 122 mm - 130문 2S1 카네이션;
- 152 mm - 140문: 60문 2S3 아카시아; 80문 M-77 다나;
- 155 mm - 174문: 14문 M-109; 160문 VCA 155 팔마리아.
647문 이상의 견인포가 보고되었다.
- 105 mm - 42문 이상 M-101
- 122 mm - 250문: 190문 D-30; 60문 D-74;
- 130 mm - 330문 M-46;
- 152 mm - 25문 ML-20.
- 155 mm - ? M114 155 mm 곡사포
830문의 다연장 로켓포가 보고되었다.
- 107 mm 63식 다연장 로켓포 - 약 300문;
- 122 mm - 530문: ε200문 BM-11; ε230문 BM-21 그라드; ε100문 RM-70 다나 (RM-70 다연장 로켓포?).
IISS는 또한 리비아가 500문의 박격포를 보유한 것으로 추산했다.
- 82 mm - 428문;
- 120 mm - ε48문 120-PM-43 박격포;
- 160 mm - ε24문 160mm 박격포 M1943.
운용 중인 지대지 미사일에는 FROG-7과 SCUD-B (416발)가 포함되었다.
운용 중인 대전차 미사일에는 400발의 프랑스/독일제 MILAN, 620발 이상의 AT-3, AT-4, AT-5가 포함되었으며, 모두 소련에서 제조되었다.
2009년 IISS는 리비아가 육군에서 크로탈, SA-7 그레일, SA-9/SA-13 지대공 미사일뿐만 아니라 대공포도 보유한 것으로 추정했다. 별도의 방공 사령부는 SA-2 가이드라인, SA-3 고아, SA-5 개먼, SA-8b 게코 미사일과 대공포를 보유했다.
보고된 대공포에는 소련제 57 mm S-60, 23 mm 자항 자주포 ZSU-23-4 및 ZU-23-2, 체코제 M53/59 프라가, 스웨덴제 보포스 40 mm 포가 포함되었다.
운용 중인 소형 화기에는 TT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베레타 M12, FN P90, FN FAL, SKS, AK-47, AKM 및 AK-103 돌격 소총, FN F2000, 소련제 RPD 기관총, RPK 기관총, PK 기관총, DShK 중기관총, KPV 중기관총, SG-43 고류노프, 그리고 여러 RPG형 및 대공 미사일 시스템: RPG-2, RPG-7, 9K32 스트렐라-2가 포함되었다.
3. 1. 2. 무기 및 탄약 공급
2005년과 2009년 사이 5년 동안 대량의 무기와 탄약이 리비아로 전달되었다. 어떤 군대 또는 경찰 조직이 무기를 받았는지는 항상 명확하지 않다.[19]- 불가리아는 2006년에 소화기 범주에서 1,850,594 유로 상당의 물품을 인도했다. 2009년에는 탄약 범주에서 373만 유로 상당의 물품 인도를 허가했다. 373만 유로의 모든 물품이 실제로 인도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 세르비아는 2009년에 리비아에 '민간 및 군사 최종 사용자'를 위해 돌격 소총을 포함한 1,920,185 달러 상당의 장비를 수출했다. 2008년에는 자동 소총과 기관단총을 포함한 1,613,280 달러 상당의 장비를 수출했다. 2005년, 2006년, 2007년에는 리비아를 포함한 여러 국가를 위한 중개인 역할을 하는 브로커들에게도 대량의 물품이 인도되었다.
- 몰타는 2009년에 리비아에 '비군사 품목'으로 묘사된 7,936,000 유로 상당의 물품을 인도했다. 원래 보고서에는 7,900만 유로로 표시된 오류가 있었다. '비군사 품목'으로 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선적에는 1,800정의 베넬리 12 게이지 샷건, 7,500정의 반자동 베레타 Px4 스톰 권총, 1,900정의 9xI9mm 구경 베레타 Cx4 스톰 반자동 카빈총이 포함되었다. 이들은 사실상 리비아 내무부인 공공 보안을 위한 일반 인민 위원회로 보내졌다.
3. 2. 공군 및 방공군
리비아 공군은 1963년 창설되었으며, 미국과 영국이 당시 집권자였던 이드리스 국왕에게 중동의 혁명 정권에 더 잘 대처할 수 있도록 군대를 현대화하도록 압력을 가한 결과였다.[8] 2005년 기준 약 22,000명의 병력을 보유했다.[20] 1970년 미군이 리비아를 떠난 후, 과거 미군 기지였던 휠러스 공군 기지는 옥바 벤 나피 공군 기지로 이름이 변경되어 리비아 공군 본부와 주요 훈련 시설로 사용되었다.
리비아 공군은 MiG-21 127기, MiG-23 76기, MiG-25 56기, Su-22 98기, Su-24 36기 등 다양한 종류의 전투기를 운용했다. 또한 G-2 갈레브 16기(G2A-E 버전), 미라주 5 12기, 미라주 F1 19기, 투폴레프 Tu-22 31기를 보유했다. 지대공 미사일로는 알마즈 S-75 볼가 / SA-2 가이드라인, 알마즈 S-125 페초라 / SA-3 고아, 알마즈 S-200VE 베가 / SA-5 감몬 장거리 미사일 시스템, 크로탈, 9K33 오사/ SA-8 게코, 9K38 이글라, 9K34 스트렐라-3, ZSU-23-4실카, ZSU-57-2, 2K12 쿠브 등을 보유했다.
2011년 리비아 내전 중 나토의 폭격으로 리비아 공군의 전투기 대부분이 파괴되었다.[21]
3. 3. 해군
리비아 해군은 1962년 11월에 창설된 리비아의 해상 전력이다. 해안선을 방어하기 위한 몇 척의 미사일 프리깃함, 코르벳함 및 초계정을 갖춘 전형적인 소규모 해군이지만, 자체 방어 능력은 매우 제한적이다.[23] 리비아 해군은 항상 리비아 군대 중 가장 규모가 작았으며 장비, 부품 및 훈련을 외국에 의존해 왔다. 리비아 해군의 총 인원은 약 8,000명이다.첫 번째 군함은 1966년에 인도되었다. 1969년 무아마르 알 카다피 대령의 집권 이후 유럽과 소련에서 무기를 구매하기 시작하면서, 소형 선박으로 제한되었던 초기 전력이 강화되었다. 1970년에는 세관과 항만 경찰이 해군과 통합되어 해군의 임무에 밀수 방지 및 세관 업무가 추가되었다.[23] 1982년 소련으로부터 6척의 잠수함을 받았지만, 잠수함이 여전히 운용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2011년 NATO의 폭격으로 리비아 해군의 상당 부분이 운용 불가능하게 되었으며, 생존한 선박의 정확한 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
3. 3. 1. 혁명 경비대
'''혁명 경비대''' (''Liwa Haris al-Jamahiriya'') 또는 '''자마히리야 경비대'''는 2011년 10월 무아마르 카다피가 사망할 때까지 카다피 정권의 핵심 방위 부대였던 준군사 조직이다.[24] 시르테 지역의 카다피 부족에서 선발된 3,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T-54 및 T-62 전차, 장갑차, 다연장 로켓 시스템, SA-8 및 ZSU-23-4 지대공 미사일을 군대에서 가져와 무장했다.[25][26] 2005년 현재 사령관은 카다피의 사촌인 하산 알-카비르 알-카다피였다.[27][28][29]혁명 경비대는 혁명 위원회에서 발전했으며, 처음에는 직장과 지역 사회에만 도입되었고 군대에는 확대되지 않았다. 그러나 1980년대 초반 이후, 혁명 경비대는 혁명 위원회의 준군사 부대로서 군대 내에 자리 잡았다. 그들은 통제의 병렬 채널, 병영에서의 이념적 세뇌 수단, 의심스러운 행동을 감시하는 장치 역할을 했다. 혁명 경비대는 주요 군사 기지에서 탄약 비축의 열쇠를 쥐고 있으며, 정규군에 필요한 소량의 탄약을 분배했다고 한다. 그들의 영향력은 1985년 5월 쿠데타 시도가 있었던 후 증가했는데, 이는 주로 혁명 경비대가 정규군 부대와 일련의 시가전을 벌인 덕분에 저지되었다.[30]
3. 3. 2. 범아프리카 군단
1980년경, 카다피는 수단, 이집트, 튀니지, 말리, 차드 출신의 반군들을 중심으로 이슬람 범아프리카 군단을 창설했다. 무슬림 인구가 있는 서아프리카 국가들 또한 일부 인력의 공급원이 되었다. 약 7,000명으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진 이 부대는 경험이 풍부한 팔레스타인 및 시리아 교관으로부터 훈련을 받았다. 군단에 징집된 사람들 중 일부는 일자리를 찾아 리비아로 이주한 인접 국가의 국민들 중에서 강제로 징발된 것으로 알려졌다.국제 전략 연구소에서 발행한 『군사 균형』에 따르면, 이 부대는 1개 기갑, 1개 보병, 1개 공수부대/특공 여단으로 편성되었다. T-54 및 T-55 전차, 장갑차, EE-9 장갑차를 보급받았다. 이슬람 범아프리카 군단은 1980년 차드에서 벌어진 전투에 투입되었으며, 그곳에서의 성공으로 카다피의 칭찬을 받았다. 그러나 1987년 3월 차드의 공격에서 도주한 병력 중 다수는 군단의 일원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31]
3. 3. 3. 이슬람 아랍 군단
카다피의 아랍 군대 통합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슬람 아랍 군단 창설 계획이 수시로 발표되었다. 리비아 언론에 따르면, 그 목표는 팔레스타인을 해방하고, 반동 정권을 전복하며, 아랍 조국 간의 국경, 관문 및 장벽을 제거하고, 대양에서 걸프만에 이르는 단일 아랍 자마히리야를 건설하기 위한, 100만 명의 남녀 전투원 부대를 구성하는 것이었다. 1985년 3월, 아랍 국가 혁명군 사령부의 전국 사령부가 카다피를 수장으로 하여 결성되었다고 발표되었다. 레바논, 튀니지, 수단, 이라크, 페르시아만 연안 국가 및 요르단에서 온 여러 소규모 급진 아랍 단체가 창립 회의에 참석했다. 시리아 바트당과 급진 팔레스타인 파벌도 참석했다. 이들 각 단체는 새로운 사령부 휘하에서 복무할 병력의 10%를 배정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1987년 4월 현재, 이러한 민병대의 존재를 확인하는 정보는 없었다.3. 3. 4. 인민 민병대
1987년 당시 45,000명 규모의 인민 민병대의 임무는 영토 방어였으며, 지역 군사 지휘관의 지휘를 받았다. 카다피는 1977년 국경 충돌 당시 이집트의 침략을 막아낸 것은 인민 민병대였다고 주장했지만, 이집트는 자신들의 성공적인 기습 공격이 정규군에 의해 저지되었다고 주장했다. 민병대 병력이 자국 방어 또는 정규군의 지원 부대로서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다른 시험에 직면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지역 지휘관들이 민병대 훈련 및 감독에 대한 책임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지 않았다는 증거도 있었다. 민병대 부대는 무기, 수송, 제복을 충분히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1985년 11월, 낙하 훈련을 받은 "무장 인민"의 첫 번째 부대가 시범 강하를 했다고 발표되었다.[32] 수천 명의 인민 민병대원이 1979년 우간다로 공수된 리비아 원정군에 포함되었다. 리비아군은 카다피의 동맹인 우간다 독재자 이디 아민의 붕괴하는 정권을 우간다-탄자니아 전쟁 속에서 방어하는 것을 돕도록 되어 있었다. 우간다로 파견된 다른 리비아 부대와 마찬가지로 인민 민병대는 준비가 부족했고 (일부 민병대원은 전투에 참여해야 한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순수한 훈련 임무라고 믿었다) 그 결과 루카야 전투와 엔테베 전투에서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이디 아민 정권은 몰락했고, 살아남은 리비아군은 우간다에서 도망쳐야 했다.2011년 내전 당시 이 부대가 여전히 존재했는지는 불분명하다.
4. 2011년 리비아 내전 이후
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인해 리비아군은 분열되었다. 현재는 여러 군벌 및 정부 소속 군대로 재편되는 과정을 겪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리비아의 평화와 안정을 지지하며, 인도적 지원과 재건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주장한다.
5. 군복, 계급 및 휘장 (1987년 기준)
리비아 육군과 해군이 창설되었을 때 채택한 군복은 영국의 군사 및 해군 전통을 반영했다. 그러나 1987년 초 리비아 군복은 다수의 중동 아랍 국가의 군인이 착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변화했다. 리비아 공수부대(육군 특공대)의 표준 야전복은 방수 면으로 제작된 투피스 위장복이었다. 셔츠는 디자인 면에서 미국 육군 피로 셔츠와 유사했다. 셔츠와 바지는 청록색, 연두색, 짙은 갈색으로 위장되었다. 공수부대의 표준 머리 장비는 하늘색 베레모였다. 그러나 공군의 군복은 리비아 공군이 창설될 때 모델로 사용된 미국 공군의 군복과 스타일과 색상 면에서 계속 유사했다.[33]
원래 세 군의 계급 구조는 영국군의 계급 구조와 유사했지만, 리비아 군대의 작은 규모를 감안하여 일부 수정이 이루어졌다. 1979년 초, 법에 의해 규정된 시스템은 여전히 9개의 장교 계급과 5개의 부사관 계급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준위에 해당하는 계급은 없었다. 3개의 장성 계급은 계속 승인되었지만, 1969년 쿠데타 이후 사용되지 않았다. 권력을 잡은 후 대령(aqid)으로 진급한 카다피는 군주의 장군들이 전달했던 호사스러운 대중적 이미지를 피하려는 바람에 따라 장교단의 계급 수준을 제한했다. 1976년 1월, 아랍 사회주의 연합의 국민 회의는 카다피를 소장으로 진급시키려 했다. 리비아 지도자는 동료들의 감사의 표현으로 그 명예를 받아들이겠지만, 대령이라는 칭호는 그의 이름의 일부로 받아들여지고 전통적인 부분이 되었기 때문에 이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33]
6.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서적
A Tragedy of Arms: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 the Maghreb
https://books.google[...]
2023-05-06
[2]
간행물
IISS Military Balance 2011
[3]
간행물
Challenges to Security Sector Governance in the Middle East: The Libyan Case
http://se2.dcaf.ch/s[...]
Geneva Centre for the Democratic Control of Armed Forces
[4]
학술지
Libya defence & security report : including 3-year industry forecasts by BMI
United Nations
[5]
학술지
Like father like son: Libyan civil–military relations before and after 2011
[6]
웹사이트
Libya
http://lcweb2.loc.go[...]
2012-07-14
[7]
학술지
Britain, Libya and the Suez Crisis
2007-04
[8]
문서
[9]
서적
Royal Malta Artillery Centenary (1861–1961) Major A. Samut-Tagliaferro, M.B.E.. R.M.A., A Short historical sketch commemorating the Royal Malta Artillery's first one hundred years as a regular artillery corps of the British Army).
[1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orbat.com/sit[...]
2013-10-13
[11]
문서
[12]
간행물
The Military Balance 2009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13]
뉴스
BBC
http://news.bbc.co.u[...]
2021-04-26
[14]
간행물
Jane's World Armies
2011-03
[15]
웹사이트
Amazigh World Congress for Military General Commander of south Libya region, the Touareg Ali Kenna to join the Libyan rebilion
http://www.amazighwo[...]
2016-05-16
[16]
웹사이트
Britannica.com/EBchecked/topic/31428/Arab-Deterrent-Force
[17]
간행물
IISS 2009
[18]
웹사이트
Middle East Military Balance, (2005)
http://www.tau.ac.il[...]
2007-03-14
[19]
간행물
'Arms Transfers to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Lessons for an Effective Arms Trade Treaty'
[20]
웹사이트
Middle East Military Balance: Libya
http://www.tau.ac.il[...]
2007-03-14
[21]
웹사이트
Libyan air force 'no longer exists'
http://english.aljaz[...]
2016-05-16
[22]
뉴스
Каддафи перехитрил сам себя
https://news.rambler[...]
2011-03-22
[23]
뉴스
Libyan naval vessels bombed in three ports by NATO forces
http://articles.nyda[...]
2011-05-21
[24]
뉴스
Gaddafi killed in hometown, Libya eyes future
https://www.reuters.[...]
2017-06-30
[25]
서적
Arabs at War: Military Effectiveness, 1948–1991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6]
서적
The Military Balance in the Middle East
Greenwood
[27]
학술지
Libya and the U.S.: Qadhafi Unrepentant
http://www.meforum.o[...]
2016-05-16
[28]
학술지
Libya and the U.S.: Qadhafi Unrepentant
http://www.meforum.o[...]
Middle East Forum
2012-02-29
[29]
뉴스
Same Old Kadafi
http://www.aei.org/p[...]
2005-04-15
[30]
서적
Libya
http://lcweb2.loc.go[...]
US GPO
2012-01-01
[31]
웹사이트
Other Paramilitary Forces
http://lcweb2.loc.go[...]
2013-01-27
[3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lcweb2.loc.go[...]
2021-07-03
[33]
웹사이트
Uniforms, Ranks, and Insignia of the Armed Forces
http://lcweb2.loc.go[...]
2009-01-10
[34]
간행물
IISS Military Balance 2011
[35]
간행물
Challenges to Security Sector Governance in the Middle East: The Libyan Case
http://se2.dcaf.ch/s[...]
Geneva Centre for the Democratic Control of Armed Forces
[36]
간행물
Libya defence & security report : including 3-year industry forecasts by BMI
United Nations
[37]
논문
Like father like son: Libyan civil–military relations before and after 2011
[38]
저널
United Nations
[39]
웹사이트
Military Leadership
http://www.globals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