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에벌린 버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에벌린 버드는 미국의 해군 군인이자 극지 탐험가, 항공 개척자이다. 버지니아 대학교를 중퇴하고 미국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한 그는 해군 장교로 복무하며 다양한 경력을 쌓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1920년대부터 북극과 남극 탐험을 주도하며, 1926년 북극점 비행, 1929년 남극점 상공 비행에 성공했다. 그는 남극 탐험을 여러 차례 지휘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도 참전하여 공로를 인정받았다. 버드는 명예 훈장을 포함한 다수의 훈장을 받았으며, 다양한 기념관과 학교, 지명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리처드 에벌린 버드는 1888년 10월 25일 버지니아 주윈체스터에서 태어났다. 버지니아 군사 대학을 거쳐 버지니아 대학교에 다녔으나, 재정 문제로 미국 해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12년 졸업 후 소위로 임관했다.
전쟁 후, 버드는 1919년 미국 해군의 대서양 횡단 비행에 승무원으로 자원했다. 이 임무는 항공기가 대서양을 처음 횡단한 역사적인 사건이었다. 해외에서 복무하지 않은 사람만 임무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결정되었고, 버드는 뉴펀들랜드에서의 복무가 해외 근무로 간주되어 참여할 수 없었다. 하지만 버드는 항공 항법에 대한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임무의 비행 경로를 계획하는 데 기여했다. 뉴펀들랜드에서 출발한 세 척의 비행정 (NC-1, NC-3, NC-4) 중 앨버트 리드 중령의 NC-4만이 1919년 5월 18일에 항해를 완료하여 최초의 대서양 횡단을 달성했다.
2. 초기 생애 및 해군 경력
전함 USS ''와이오밍''과 장갑순양함 USS ''워싱턴''에서 복무하며 카리브해와 멕시코 해역에서 근무했다. 특히, USS ''와이오밍'' 복무 중에는 두 번이나 물에 빠진 선원을 구조하여 은색 생명 구조 메달을 받았다. 이후 포함 USS ''돌핀''에서 근무하며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당시 해군 차관 등 고위 인사들과 교류했고, 1915년 중위(주니어 그레이드)로 진급했다. 마지막 임무는 대통령 요트 USS ''메이플라워''였다.
1916년 발목 부상으로 퇴역한 후, 로드아일랜드 주 해군 민병대 검사관 및 강사로 활동했다. 1915년에는 마리 에임스 버드와 결혼했으며, 훗날 자신이 발견한 남극 대륙 일부를 마리 버드 랜드로 명명했다.
2. 1. 가문
리처드 에벌린 버드는 버지니아주 윈체스터에서 에스터 볼링(플러드)과 리처드 에벌린 버드 시니어의 아들로 태어났다. 버드는 버지니아의 명문가 후손이었다. 그의 조상에는 플랜테이션 소유주인 존 롤프와 그의 아내 포카혼타스, 웨스트오버 플랜테이션의 윌리엄 버드 2세, 식민지 총독이었던 윌리엄 버드 1세와 로버트 "킹" 카터가 포함된다. 그는 조지 이어들리, 프랜시스 와이어트, 새뮤얼 아갈의 후손이기도 했다. 버드는 버지니아 주지사이자 미국 상원 의원인 해리 F. 버드의 형제였으며, 해리 F. 버드는 192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버지니아 민주당의 주요 인물이었다. 그들의 아버지인 리처드 에벌린 버드 시니어는 한동안 버지니아 하원 의장을 역임했다.
2. 2. 결혼
리처드 에벌린 버드는 1915년 1월 20일에 마리 에임스 버드(1974년 사망)와 결혼했다. 그는 자신이 발견한 남극 대륙의 한 지역을 마리 버드 랜드로, 산맥의 이름은 그녀의 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에임스 산맥이라고 지었다. 이들 부부는 리처드 에벌린 버드 3세, 에블린 볼링 버드 클라크, 캐서린 아그네스 버드 브레이어, 헬렌 버드 스테이블러 등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1924년 말, 버드 가족은 마리의 아버지인 부유한 사업가가 구입한 보스턴의 비컨 힐 지역에 있는 9 브리머 스트리트의 큰 갈색 사암 주택으로 이사했다.[1]
2. 3. 교육 및 초기 해군 경력
버지니아주 윈체스터에서 태어난 버드는 버지니아의 명문가 후손이었다. 그의 조상에는 플랜테이션 소유주인 존 롤프와 그의 아내 포카혼타스, 웨스트오버 플랜테이션의 윌리엄 버드 2세 등이 있었다. 그는 버지니아 주지사이자 미국 상원 의원을 지낸 해리 F. 버드의 형제였다.
리처드 에벌린 버드는 버지니아 군사 대학에서 2년간 수학했고, 버지니아 대학교로 편입했다. 하지만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미국 해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08년 5월 28일 사관후보생으로 임명되었다. 1912년 6월 8일,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했다.
1912년 7월 14일, 전함 USS ''와이오밍''에 배속되었다. 카리브해에서 복무하는 동안, 두 번이나 물에 빠진 선원을 구출하여 표창장과 은색 생명 구조 메달을 받았다. 1914년 4월, 장갑순양함 USS ''워싱턴''으로 전출되었고, 미국의 개입 이후 6월에는 멕시코 해역에서 복무했다.
이후 해군 장관의 요트로 사용되었던 포함 USS ''돌핀''에서 복무하며 당시 해군 차관이었던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등 고위 인사들과 교류했다. 1915년 6월 8일 중위(주니어 그레이드)로 진급했다. 버드가 강제 퇴역하기 전 마지막 임무는 대통령 요트 USS ''메이플라워''였다.
1916년 3월 15일, 발목 부상으로 인해 의학적으로 퇴역했다. 그 직후 로드아일랜드 주 해군 민병대의 검사관이자 강사로 로드아일랜드 주 프로비던스에 배정되었다.
3.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및 전후 활동
1921년, 버드는 찰스 린드버그의 역사적인 비행보다 6년 앞서 대서양 무착륙 단독 횡단에 도전했으나, 당시 해군 장관 대행 테오도어 루즈벨트 주니어는 위험이 잠재적인 보상보다 크다고 판단하여 버드의 도전을 막았다. 이후 버드는 비행선 ''ZR-2''(이전에는 영국 명칭 ''R-38''로 알려짐)에 배정되었으나, 1921년 8월 24일 비행선으로 가는 기차를 놓치는 바람에 사고를 피할 수 있었다. 비행선은 공중에서 분해되어 탑승한 49명의 승무원 중 44명이 사망했고, 버드는 이 사고로 여러 친구를 잃었으며, 이후 수색 작전과 조사에 참여했다. 이 사고는 그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고, 미래의 모든 탐험에서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해군 감축으로 인해 버드는 1921년 말에 중위로 강등되었다. 1923년 여름, 버드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해군 베테랑 자원 봉사자들과 함께 보스턴 근처 스퀀텀 포인트에 있는 해군 예비 항공 기지(NRAS)를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이 기지는 Victory Destroyer Plant 조선소가 부지에 건설된 후 거의 손상되지 않은 제1차 세계 대전 해상 비행기 격납고를 사용했다. NRAS 스퀀텀은 1923년 8월 15일에 정식으로 개설되었으며, 해군 예비 프로그램의 최초의 공군 기지로 여겨진다.
1925년 6월부터 10월까지 버드는 도널드 B. 맥밀란이 이끈 북그린란드 북극 탐험대의 항공 부대를 지휘했다. 탐험은 대체로 성공적이지 못했지만, 버드의 노력과 탐험 중 항공 부대의 성공적인 기여는 버드를 탐험에서 항공기의 선구자로서 명성을 얻게 했다.[4]
이 탐험에서 버드는 해군 수석 항공 조종사 플로이드 베넷과 노르웨이 조종사 번트 발첸과 알게 되었고, 이들은 나중에 버드의 탐험에 기여하게 된다. 베넷은 이듬해 북극 비행에서 조종사로 활약했으며, 북극 비행 작전에 대한 지식이 매우 귀중했던 발첸은 1929년 버드의 남극 비행의 주요 조종사였다.[5]
3. 1.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917년 4월, 미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면서 버드는 로드아일랜드 해군 민병대 동원을 감독했다. 이후 현역으로 복귀하여 해군 훈련 캠프 위원회의 비서이자 조직자로 일했으며, 1917년 가을에는 플로리다 펜사콜라의 해군 항공 학교에서 훈련받았다. 1918년 6월 해군 비행사 자격(번호 608)을 얻었으며, 1918년 7월부터 11월 휴전까지 캐나다 노바스코샤의 핼리팩스 해군 항공 기지에서 해군 항공 부대를 지휘하며 중위 및 임시 중령으로 진급했다.
전쟁 중 공로로 해군 장관 조세푸스 대니얼스에게서 표창장을 받았으며, 이는 후에 해군 표창 메달로 전환되었다.
4. 극지방 탐험
리처드 에벌린 버드는 극지방 탐험으로 유명한 미국의 해군 제독이자 탐험가였다.
1926년 5월 9일, 버드는 플로이드 베넷과 함께 포커 F.VIIa/3m 삼발기 단엽기 ''조세핀 포드''를 타고 북극 상공 비행을 시도하여 성공하였다. 이 비행은 스피츠베르겐에서 출발하여 왕복 15시간 57분이 소요되었다. 버드와 베넷은 이 공로로 명예 훈장을 받았다. 하지만, 이후 이 비행에 대한 진위 논란이 있었다. (1926년 북극점 비행 논란 참조)
1927년에는 대서양 횡단 비행에 도전했지만, 찰스 린드버그에게 선수를 빼앗겼다.
1929년 11월 28일부터 29일에는 남극점 상공 비행에 최초로 성공했다.[20] 남극 대륙 로스 빙붕의 리틀 아메리카 기지에서 남극점까지 왕복 비행을 하였으며, 비행 시간은 15시간 51분이 걸렸다.
이후에도 버드는 1946년부터 1947년까지의 하이 점프 작전을 포함, 여러 차례 남극 탐험을 지휘했다. 그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 등 유력 인사들의 지원을 받았으며, 남극이 미래 과학에 중요한 장소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4. 1. 1926년 북극점 비행 논란

1926년 5월 9일, 버드와 해군 수석 항공 조종사 플로이드 베넷은 포커 F.VIIa/3m 삼발기 단엽기 ''조세핀 포드''를 타고 북극 상공 비행을 시도했다. 이 비행기의 이름은 포드 자동차 회사(Ford Motor Company) 사장 에드셀 포드의 딸 이름을 따서 지었으며, 에드셀 포드는 이 탐험을 후원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존 D. 록펠러 또한 이 탐험에 자금을 지원했다.[6] 비행은 스피츠베르겐 (스발바르)에서 출발하여 이륙 비행장으로 돌아왔으며, 15시간 57분이 소요되었고, 이 중 13분은 최북단에서 선회하는 데 사용되었다. 버드와 베넷은 1,535마일(1,335 해리) 떨어진 북극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미국으로 돌아온 버드는 국민적 영웅이 되었다. 뉴욕 시에서 환영 행사를 가졌고, 의회는 1926년 12월 21일에 특별 법안을 통과시켜 그를 해군 중령으로 진급시키고 플로이드 베넷과 그에게 명예 훈장을 수여했다. ''조세핀 포드''는 전국을 돌며 축하 비행을 했다.[7] 베넷은 준위 계급의 기계공으로 진급했다. 버드와 베넷은 1927년 3월 5일 백악관에서 캘빈 쿨리지 대통령으로부터 티파니 십자 버전의 명예 훈장을 받았다.

1926년 이후 버드가 실제로 북극에 도달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이에 대한 해명과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1958년, 노르웨이계 미국인 비행사이자 탐험가인 번트 발첸은 비행기 속도에 대한 자신의 지식을 바탕으로 버드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다. 발첸은 베넷이 비행 몇 달 후 버드와 자신이 극점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고백했다고 말했다. 베넷은 초기 사고에서 완전히 회복되지 못한 채, 캐나다 그린리 섬에서 추락한 독일 비행사들을 구조하는 비행에 참여한 후 폐렴에 걸려 1928년 4월 25일에 사망했다. 그러나 베넷은 죽기 전에 비행에 대한 회고록을 시작했고, 수많은 인터뷰를 했으며, 항공 잡지에 비행에 대한 기사를 썼는데, 이 모든 것이 버드의 비행 버전을 확인했다.
1996년에 공개된 1926년 5월 9일 비행에 대한 버드의 일기에는, 버드가 나중에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에 제출한 6월 22일의 타자 기록된 공식 보고서와는 크게 다른 지워진 (그러나 여전히 읽을 수 있는) 육분의 관측값이 나타났다. 버드는 협정 세계시(GCT) 7시 7분 10초에 태양의 육분의 관측을 했다. 그의 지워진 일기 기록에는 겉보기(관측) 태양 고도가 19°25'30"로 나타나 있는 반면, 나중에 작성된 공식 타자 기록에는 동일한 7시 7분 10초의 겉보기 태양 고도가 18°18'18"로 보고되었다. 이 데이터와 일기의 다른 데이터를 바탕으로 데니스 롤린스는 버드가 정확하게 조종했고, 엔진 오일 누출로 인해 돌아오기 전까지 극점까지의 약 80% 거리를 비행했지만, 나중에 극점에 도달했다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공식 보고서를 조작했다고 결론지었다.
타자 기록된 보고서의 비행 시간 데이터가 서로 상충되어, 실제로 북쪽과 남쪽 모두 비행기의 85마일/시간의 대기 속도보다 더 빠른 지상 속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하면서, 버드를 옹호하는 측은 서쪽으로 이동하는 고기압이 버드의 지상 속도를 왕복 비행에서 모두 순풍으로 증가시켜 주어진 시간에 이동했다고 주장하는 거리를 가능하게 했다고 주장한다(이 이론은 손으로 쓴 육분의 데이터를 거부하고 타자 기록된 추정 항법 데이터를 선호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이 주장은 데니스 롤린스에 의해 반박되었는데, 그는 오랫동안 구할 수 없었던 원래의 공식 타자 기록 보고서의 육분의 데이터가 모두 1초 단위로 표현되어 있는데, 이는 1926년 해군 육분의로는 불가능한 정밀도이며, 1925년 또는 1926년 비행에 대한 버드의 일기의 육분의 데이터의 정밀도(1각분의 절반 또는 1/4)와 다르다고 덧붙였다.
만약 버드와 베넷이 북극에 도달하지 못했다면, 며칠 후인 1926년 5월 12일에 비행선 ''노르게''가 스피츠베르겐(스발바르)에서 알래스카까지 무착륙 비행을 한 것이 극점을 통과한 최초의 비행이었을 것이다. 이 비행에는 로알 아문센, 움베르토 노빌레, 오스카르 위스팅, 그리고 링컨 엘스워스를 포함한 승무원들이 탑승했다.
4. 2. 1927년 대서양 횡단 비행
1926년 5월 9일 항공기로 최초로 북극점 도달에 성공한 버드는, 1927년 포커 3발기 "아메리카"호로 오르티그 상이 걸린 대서양 횡단 비행에 도전했다.[20] 그러나 사고 등으로 출발이 늦어져, 찰스 린드버그보다 1개월 이상 뒤인 6월 29일 - 7월 1일에 횡단에 성공했다(단, 노르망디에 불시착).[20]4. 3. 남극 탐험




리처드 버드는 1926년 북극점 비행에 성공한 이후, 여러 차례 남극 탐험을 이끌었다.
1928년, 버드는 두 척의 배와 세 대의 비행기를 동원한 첫 번째 남극 탐험을 시작했다. 로스 빙붕에 리틀 아메리카라는 기지를 건설하고, 설피, 개 썰매, 설상차, 비행기를 이용한 과학 탐험을 진행했다. 1929년 11월 28일에는 베른트 발첸 등과 함께 포드 4AT 3발기 "플로이드 베넷"호를 타고 남극점 왕복 비행에 성공했다.[20] 이 업적으로 버드는 1929년 12월 21일 의회 특별 법안에 의해 해군 소장으로 진급했으며, 미국 지리학회의 금메달을 받았다. 당시 그의 나이가 41세에 불과했기 때문에, 이 진급으로 버드는 미국 해군 역사상 최연소 제독이 되었다.
이후에도 버드는 탐험을 계속하여, 1939년부터 1940년까지 미국의 남극 탐험대를 지휘했고, 1946년부터 1947년까지는 하이점프 작전을 이끌었으며, 1955년에는 딥 프리즈 작전에 참여했다. 1954년 12월 8일, 버드는 텔레비전 쇼 ''롱기네스 크로노스코프''(Longines Chronoscope)에 출연하여 래리 르쇠르, 케네스 크로포드와 함께 남극 항해에 대해 인터뷰를 가졌으며, 미래에는 남극이 과학에 있어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장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버드는 탐험 자금 지원과 정치적, 대중적 지지를 얻기 위해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 헨리 포드, 에드셀 포드, 존 D. 록펠러 2세, 빈센트 애스터 등 영향력 있는 인사들과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었다.
4. 3. 1. 제1차 남극 탐험 (1928–1930)
1928년 버드는 그의 첫 번째 남극 탐험을 시작했다. 이 탐험에는 두 척의 배와 세 대의 비행기가 동원되었다. 버드의 기함은 ''뉴욕 시'' (이전 이름은 ''샘슨''으로, ''타이타닉''이 침몰할 때 근처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노르웨이의 물개 잡이 배)였고, ''엘레노어 볼링'' (버드의 어머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이 뒤를 이었다. 사용된 비행기는 포드 트리모터 ''플로이드 베넷'' (버드의 이전 탐험에서 사망한 조종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딘 스미스 조종), 페어차일드 FC-2W2 NX8006 ''별과 줄무늬''(현재 국립 항공우주 박물관의 스티븐 F. 우드바-헤이지 센터에 전시됨), ''버지니아'' (버드의 출생 주)라는 포커 슈퍼 유니버설 단엽기였다. 로스 빙붕에는 "리틀 아메리카"라는 기지가 건설되었고, 설피, 개 썰매, 설상차, 비행기를 이용한 과학 탐험이 시작되었다. 이 탐험에는 19세의 미국 보이스카우트 대원 폴 올먼 시플이 동행했다. 시플은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버드를 제외하고 버드의 다섯 번의 남극 탐험에 모두 참여한 유일한 사람이었다.
사진 탐험과 지질 조사가 여름 동안 진행되었고, 외부 세계와 지속적인 무선 통신이 유지되었다. 첫 번째 겨울을 보낸 후 탐험이 재개되었고, 1929년 11월 28일, 최초의 남극점 왕복 비행이 시작되었다. 버드는 조종사 베른트 발첸, 부조종사 겸 무선 통신사 해롤드 준, 사진 작가 애슐리 맥킨리와 함께 ''플로이드 베넷''을 타고 18시간 41분 만에 남극점을 왕복했다. 그들은 충분한 고도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극지 고원 고도에 도달하기 위해 빈 연료 탱크와 비상 물품을 버려야 했지만, 결국 성공했다.
1929년 11월, 버드는 개인 자금으로 운영되는 탐험을 통해 남극점을 비행한 최초의 항공기 승무원을 이끌었다. 버드는 상당한 운영, 물류, 유지 관리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스키 장착 항공기를 옹호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육상 기지를 건설해야 했다.[9]
버드는 1929년 12월 21일 의회 특별 법안으로 해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당시 41세였던 버드는 미국 해군 역사상 최연소 제독이 되었다. 그의 애나폴리스 동기생들은 1942년, 30년간의 복무를 거친 후에야 제독이 되었다. 버드는 데이비드 딕슨 포터, 도널드 백스터 맥밀란, 프레데릭 R. 해리스와 함께 함장 계급을 거치지 않고 해군 소장으로 진급한 4명 중 한 명이다.
1930년 6월 18일, 탐험대는 북아메리카로 돌아왔다. 1926년 비행과 달리, 이 탐험은 미국 지리학회의 금메달을 받았으며, 버드의 여정을 다룬 영화 ''버드와 함께 남극으로'' (1930)로도 제작되었다.
4. 3. 2. 제2차 남극 탐험 (1933-1934)
1928년 버드는 두 척의 배와 세 대의 비행기를 동원한 첫 번째 남극 탐험을 시작했다. 버드의 기함은 ''뉴욕 시'' (이전 이름은 ''샘슨''으로, ''타이타닉''이 침몰할 때 근처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노르웨이의 물개 잡이 배)였고, ''엘레노어 볼링'' (버드의 어머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이 뒤를 이었다. 사용된 비행기는 포드 트리모터 ''플로이드 베넷'' (버드의 이전 탐험에서 사망한 조종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딘 스미스가 조종), 페어차일드 FC-2W2 NX8006 (''별과 줄무늬''라는 이름으로 현재 국립 항공우주 박물관의 스티븐 F. 우드바-헤이지 센터에 전시됨), 포커 슈퍼 유니버설 단엽기 ''버지니아'' (버드의 출생 주)였다. 로스 빙붕에 "리틀 아메리카"라는 기지가 건설되었고, 설피, 개 썰매, 설상차, 비행기를 이용한 과학 탐험이 시작되었다. 19세의 미국 보이스카우트 대원 폴 올먼 시플이 탐험에 동행하도록 선택되었는데, 그는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버드를 제외하고 버드의 다섯 번의 남극 탐험에 모두 참여한 유일한 사람이었다.
사진 탐험과 지질 조사가 그해 여름 동안 진행되었고, 외부 세계와 지속적인 무선 통신이 유지되었다. 첫 번째 겨울을 보낸 후 탐험이 재개되었고, 1929년 11월 28일, 최초의 남극점 왕복 비행이 시작되었다. 버드는 조종사 베른트 발첸, 부조종사 겸 무선 통신사 해롤드 준, 사진 작가 애슐리 맥킨리와 함께 ''플로이드 베넷''을 타고 18시간 41분 만에 남극점을 왕복했다. 극지 고원 고도에 도달하기 위해 빈 연료 탱크와 비상 물품을 버려야 했지만, 결국 성공했다.
1929년 11월, 버드는 개인 자금으로 운영되는 탐험을 통해 남극점을 비행한 최초의 항공기 승무원을 이끌었다. 버드는 상당한 운영, 물류, 유지 관리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스키 장착 항공기를 강력히 옹호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요한 육상 기지를 건설해야 했다.[9]
1929년 12월 21일, 버드는 의회 특별 법안에 의해 해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41세의 나이로 미국 해군 역사상 최연소 제독이 되었다. 데이비드 딕슨 포터 제독, 북극 탐험가 도널드 백스터 맥밀란 해군 소장, 프레데릭 R. 해리스 해군 소장을 포함하여 함장 계급을 거치지 않고 해군 소장 계급으로 진급한 4명 중 한 명이다.
1930년 6월 18일, 탐험대는 북아메리카로 돌아왔다. 1926년 비행과 달리, 이 탐험은 미국 지리학회의 금메달을 받았다. 또한, 버드의 남극 탐험 여정을 다룬 영화 ''버드와 함께 남극으로'' (1930)에서도 탐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미국의 개척 극지 탐험가이자 비행사였던 버드는 1931년부터 1935년까지 사회 과학 분야의 국제 명예 학회인 파이 감마 무의 명예 전국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자연 과학과 사회 과학의 미지 세계에 대한 모험 정신을 보여주기 위해 첫 번째 남극 탐험 중에 학회 깃발을 들고 다녔다.
버드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 헨리 포드, 에드셀 포드, 존 D. 록펠러 2세, 빈센트 애스터 등 영향력 있는 인사들과 관계를 맺으며 탐험 자금 지원과 정치적, 대중적 지지를 얻었다. 그는 감사의 표시로 남극 지형에 지지자들의 이름을 붙였다.
4. 3. 3. 미국 남극 탐험대 (1939–1940)
1939년부터 1940년까지, 버드는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을 포함한 여러 영향력 있는 인사들의 지원을 받아 미국의 남극 탐험대를 지휘했다.
4. 3. 4. 하이점프 작전 (1946–1947)
1929년 11월 28일부터 29일에 걸쳐, 버드는 남극 대륙 로스 빙붕의 리틀 아메리카 기지에서 남극점까지 왕복 비행과 최초의 남극점 상공 비행에 성공했다.[20] 승무원은 버드를 포함해 4명이었으며, 사용 기종은 포드 4AT 3발기 "플로이드 베넷"호였다. 비행 시간은 15시간 51분이었다.4. 3. 5. 딥 프리즈 작전 (1955–1956)
1954년 12월 8일, 버드는 텔레비전 쇼 ''롱기네스 크로노스코프''(Longines Chronoscope)에 출연하여 래리 르쇠르, 케네스 크로포드와 함께 남극 항해에 대해 인터뷰를 가졌다. 그는 이 인터뷰에서 미래에는 남극이 과학에 있어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장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미국 해군 선임 장교였던 버드는 1942년 3월 26일 현역으로 복귀하여 어니스트 J. 킹 제독의 비밀 고문으로 활동했다.[15]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남태평양 섬 기지 시찰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1942년 5월과 6월에 남태평양 기지를 순회했다. 위원회가 제출한 보고서는 각 기지에서 발견된 상황과 계획 및 장비에 대한 교훈을 분석했으며, 개별 기지에 적용할 수 있는 권고 사항과 미래의 전진 기지 계획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른 사항들이 포함되어 있었다.[15]
1943년 9월, 버드는 동태평양 및 남태평양의 특정 섬에 대한 조사와 관련한 특별 해군 임무를 부여받았다.[15] 같은 해 9월, USS ''Concord''에서 파나마 운하의 발보아를 출발했다. 항해 중이던 10월 7일, 배 후미에서 발생한 휘발유 증기 점화 폭발로 인해 승무원 24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15] 10월 8일 사망자들은 해상에 매장되었고, 10월 23일 버드는 함장 챔버스에게 편지를 보내 그와 승무원들의 용기와 효율성을 칭찬했다.[15] 버드는 12월에 특별 임무를 마치고 1944년부터 1945년까지 미국 전략 폭격 조사 (USSBS)에 참여했다.[15]
1945년 2월 10일, 버드는 도미니카 공화국 정부로부터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훈장을 받았다. 같은 해 9월 2일 도쿄 만에서 열린 일본 항복에 참석했으며, 10월 1일 현역에서 해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공로를 인정받아 버드는 공로 훈장을 두 번 수상했다.
6. 사망
리처드 E. 버드 제독은 1957년 3월 11일, 보스턴 비컨 힐에 있는 자택에서 심장 질환으로 잠을 자던 중 6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알링턴 국립묘지에 묻혔다.[16]
7. 유산
버드는 프리메이슨이었다. 1921년 3월 19일 워싱턴 D.C.의 연방 로지 1번에서 마스터 메이슨으로 승격되었으며, 1928년 9월 18일 뉴욕시의 케인 로지 454번과 제휴했다. 그는 워싱턴의 National Sojourners 제3 챕터의 회원이었다. 1930년 버드는 케인 로지로부터 금메달을 받았다.
1931년 버드는 미국 독립 혁명가 후손회의 테네시 지부 회원이 되었다. 그는 주 회원 번호 605번과 전국 회원 번호 50430번을 받았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공로를 인정받아 이 협회의 전쟁 봉사 메달을 받았다.
그는 탐험가 클럽, 미국 재향군인회,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를 포함한 수많은 다른 애국적, 과학적, 자선 단체의 회원이었다. 자크 발리는 그의 저서 《대결》에서 "버드 제독이 발견했다고 주장하는 '극지방의 구멍'"에 대한 "근거 없는 이야기"를 언급하며, 그는 《구리 치료사》 사건의 클린트 채핀의 말을 인용하여 UFO가 지구 내부에서 왔다고 믿는다고 말한다.[19]
매기 시프스테드의 소설 《대원》에서, 버드와 리틀 아메리카 기지는 마리안 그레이브스가 북극과 남극 상공을 비행하여 지구를 일주하는 여정의 마지막 정거장이다.
8. 수상 내역
리처드 버드는 군사 훈장 외에도 다양한 상과 훈장을 받았다. 뉴욕 시에서 세 번의 댕기열 환영식(1926년, 1927년, 1930년)을 받은 유일한 인물이다.
스미소니언 협회는 항공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기리기 위해 랭글리 금메달을 수여했으며,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는 북극 비행에 대한 공로로 허버드 메달을 수여했다. 로버트 피어리, 로알 아문센, 찰스 린드버그도 허버드 메달을 수상했다.
미국 지리학회의 데이비드 리빙스턴 기념 메달, 헝가리 지리학회의 로치 메달, 스웨덴 지리학회의 베가 메달, 필라델피아 지리학회의 엘리샤 켄트 케인 메달 등 비정부 기구로부터 수많은 메달을 받았다.
1927년, 미국 보이 스카우트는 버드를 명예 스카우트로 임명했다. 1929년에는 미국 보이 스카우트로부터 실버 버팔로 상을, 스미소니언 협회로부터 랭글리 금메달을 받았다.
달 분화구 버드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미국 해군의 건화물 수송선과 유도 미사일 구축함도 마찬가지이다.
1930년 버드는 미국 철학 학회의 회원이 되었다.[17] 1931년에는 뉴저지주 글렌 록에 리처드 E. 버드 학교가 헌정되었다. 1934년 3월 31일, 버드는 CBS로부터 라디오에 대한 뛰어난 공헌으로 CBS 메달을 받았다.
1987년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의 극지 연구소는 버드 극지 연구 센터(BPRC)로 이름을 변경했다. 1958년에는 버지니아주 스프링필드에 리처드 버드 도서관이 개관했다.
뉴질랜드 마운트 빅토리아에는 버드 기념관이 있다.
리처드 E. 버드 초등학교는 1948년 일본 요코하마 네기시에 개교한 국방부 학교이며, 1960년에 R.E. 버드 초등학교로 변경되었다. 버드 기념관은 뉴질랜드의 두 도시 (웰링턴과 더니딘)에서 찾을 수 있다.
1979년 오스트레일리아 남극 영토에서 버드의 최초 남극 비행 50주년을 기념하여 두 개의 우표 세트가 발행되었으며, 기념 깃발이 디자인되었다.[18]
1934년 버드의 남극 탐험에서 송출된 장거리 단파 음성 전송은 2001년 IEEE 마일스톤으로 선정되었다.
버지니아주 프레데릭 카운티에 위치한 리처드 E. 버드 중학교는 2005년에 개교했다. 그는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명예 회원으로 파이 베타 카파에 헌액되었다.
버드는 1968년 샌디에이고 항공우주 박물관에서 국제 항공우주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캘리포니아주 선밸리에 있는 리처드 E. 버드 중학교는 버드 제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8. 1. 군사 훈장
리처드 버드는 사망 당시 22개의 표창과 특별 칭찬을 받았으며, 그중 9개는 용맹함에 대한 것이었고 2개는 타인의 생명을 구한 영웅적인 행동에 대한 것이었다.[17] 그는 명예 훈장, 은색 생명 구조 메달, 해군 공로 훈장, 공군 십자 훈장, 해군 십자 훈장을 받았다.버드는 자신의 초상이 새겨진 훈장을 받을 자격이 있는 역사상 단 4명의 미군 장교 중 한 명이었다. 다른 이들은 조지 듀이 제독, 존 J. 퍼싱 장군, 윌리엄 T. 섐슨 제독이었다. 버드의 초상은 첫 번째와 두 번째 버드 남극 탐험 메달에 모두 새겨져 있어, 자신의 초상이 새겨진 훈장 두 개를 착용할 자격이 있는 유일한 미국인이었다.
그는 미국 해군 역사상 가장 많은 훈장을 받은 장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명예 훈장, 해군 십자 훈장, 공군 십자 훈장, 은색 인명 구조 훈장을 모두 받은 유일한 인물로 추정된다.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남극 탐험에 대해 수여된 세 개의 남극 탐험 훈장을 모두 받은 몇 안 되는 인물 중 한 명이었다.
해군 조종사 뱃지 (1917) | |||||||||
1행 | 명예 훈장 (1926) | ||||||||
---|---|---|---|---|---|---|---|---|---|
2행 | 해군 십자 훈장 (1929) | 해군 공로 훈장 with 상훈장 (1926, 1941) | 공로 훈장 with 상훈장 (1943, 1946) | ||||||
3행 | 수훈 비행 십자 훈장 (1927) | 해군 표창장 with 2개의 별 (1944) | 은성 생명 구조 훈장 (1914) | ||||||
4행 | 버드 남극 탐험 훈장 금장으로 수여 (1930) | 제2차 버드 남극 탐험 훈장 (1937) | 미국 남극 탐험 훈장 금장으로 수여 (1945) | ||||||
5행 | 멕시코 봉사 훈장 (1918) | 제1차 세계 대전 승리 훈장 과 표창장 별 및 2개의 클래스프 (1919) | 미국 방위 봉사 훈장 with 봉사 별 (1940) | ||||||
6행 | 유럽-아프리카-중동 전역 훈장 with 전투 별 (1943) | 아시아-태평양 전역 훈장 with 2개의 전투 별 (1942) |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훈장 (1945) | ||||||
7행 | 남극 봉사 훈장 (1960, 사후 수여) | 레지옹 도뇌르 훈장 사령관 (1931, 프랑스) (1927년 장교)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훈장 (1945, 산토 도밍고) | ||||||
8행 | 아비스 기사단 훈장 사령관 (1921, 포르투갈) | 성 마우리치오와 라자로 기사단 훈장 장교 ( 이탈리아) | 항공 미덕 훈장 장교 ( 루마니아) | ||||||
위 표의 날짜는 훈장을 받은 해이며, 반드시 훈장이 수여된 행동이 있었던 해는 아니다.
버드는 1960년에 제정된 남극 봉사 훈장을 사후에 수여받았는데, 이는 남극 탐험 작전인 하이 점프 작전(1946~1947)과 딥 프리즈 작전(1955~1956)에 참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버드는 미국 정부와 민간 단체로부터 수많은 다른 훈장을 받았다.
;명예 훈장 인용문: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용감하고 용감하게 자신을 구별하여 항공기가 현재 사람이 거주하는 지구의 일부에서 북극 상공을 연속 비행하여 돌아올 수 있음을 입증했다.
버드는 기계공 플로이드 베넷과 함께 1927년 3월 5일 캘빈 쿨리지 대통령으로부터 명예 훈장을 받았다.
;해군 십자 훈장 인용문:
>미합중국 대통령은 리처드 에블린 버드 주니어(NSN: 0–7918), 미국 해군 예비역 제독에게 해군 십자 훈장을 수여하는 것을 기뻐하며, 그는 버드 남극 탐험대 I의 지휘관으로서 그의 직무 수행 중 특별한 영웅적 행위를 했다. 1929년 11월 28일, 그는 탐험대의 기지인 리틀 아메리카에서 그의 "플로이드 베넷"을 타고 이륙하여, 가장 어려운 조건에서 비행을 한 후 1929년 11월 29일 남극점에 도달했다. 이 지점을 넘어 약간의 거리를 더 비행한 후, 그는 리틀 아메리카 기지로 돌아왔다. 이 위험한 비행은 해발 9천에서 1만 피트에 이르는 산맥과 고원을 지나, 극심한 추위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강제 착륙이 발생했을 경우, 인원의 구조가 불가능했을 것이다. 리처드 E. 버드 미국 해군 예비역 제독은 이 비행을 지휘하고, 비행기를 항해했으며, 비행을 위한 필수적인 준비를 했고, 그의 끊임없는 에너지, 뛰어난 리더십, 그리고 훌륭한 판단력을 통해 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해군 공로 훈장 인용문:
>미합중국 대통령은 리처드 에벌린 버드 주니어 해군 중령(NSN: 0–7918), 미 해군에게 뛰어난 용기와 전문적인 능력으로, 중력보다 무거운 항공기가 연속 비행으로 북극까지 왕복할 수 있음을 증명하여 미국 정부에 대한 막중한 책임을 다한 공로를 인정하여 해군 훈공장을 수여한다.
;해군 공로 훈장 두번째 금성장 인용문:
>미국 대통령은 미 해군 후방 제독 리처드 에벌린 버드 주니어(NSN: 0–7918)에게 해군 수훈 십자 훈장의 두 번째 수여에 갈음하여 금성장을 수여하는 것을 기뻐하며, 버드 제독은 미국 정부에 대한 막중한 책임감을 가진 직책, 즉 미국 남극 서비스 사령관으로서 탁월하고 훌륭한 공로와 특별한 업적을 세웠다. 버드 제독은 이 원정을 조직하는 어려운 임무에 크게 기여했으며, 일반적으로 그러한 사업에 필요한 시간의 1/4 만에 이를 완수했다. 짧은 운영 기간에도 불구하고 그는 1,500마일 떨어진 두 개의 남극 기지를 건설하여 귀중한 과학적 및 경제적 조사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 를 이용하여 그는 중요한 발견이 이루어진 알려지지 않은 위험한 바다를 탐험했고, 그 외에도 새로운 산맥, 섬, 10만 평방 마일 이상의 면적, 반도, 그리고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700마일에 달하는 남극 해안선을 발견하는 4번의 주목할 만한 비행을 했다. 남극 서비스의 작전은 미국 정부의 명예를 드높였다. 그의 지도력과 헌신적인 헌신은 미국 해군 봉사의 최고 전통에 부합한다.
;공로 훈장 인용문:
>미국의 대통령은 리처드 에벌린 버드 주니어(NSN: 0–7918) 해군 소장에게 공로 훈장(Legion of Merit)을 수여하는 것을 기뻐하며, 1943년 8월 27일부터 1943년 12월 5일까지 특별 해군 임무의 지휘관으로서 미국 정부에 뛰어난 봉사를 하여 탁월한 공훈을 세운 것을 치하합니다. 이 기간 동안 태평양의 33개 섬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미국의 방어 또는 전후 민간 항공 발전을 위해 가치 있는 공군 기지 부지를 추천하는 목적이었습니다. 버드 제독은 이 임무에서 민간인, 육군 및 해군 전문가들의 단합된 노력을 이끌어내는 훌륭한 리더십을 발휘했습니다. 그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현재와 미래의 국가 방위와 전후 미국의 정부에 큰 가치를 제공할 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에서 용기, 진취성, 선견지명, 그리고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었습니다.
;공로 훈장 두번째 금성장 인용문:
>미국의 대통령은 리처드 에벌린 버드 주니어(NSN: 0–7918) 해군 소장에게 제2 공로 훈장 수여를 대신하여 금성장을 수여함을 기뻐한다. 버드 소장은 1942년 3월 26일부터 1942년 5월 10일까지, 1942년 8월 14일부터 1943년 8월 26일까지, 그리고 1943년 12월 6일부터 1945년 10월 1일까지 미 해군 최고 사령관과 해군 작전 본부장의 기밀 고문으로서 미국 정부에 탁월한 공헌을 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버드 소장은 임무 수행 중 해군 부서에서 복무했으며, 유럽과 태평양의 최전선에서 특별 임무를 수행하며 미국 본토 밖의 다양한 지역에서 활동했다. 모든 임무에서 그의 철저함, 세부 사항에 대한 주의, 예리한 통찰력, 전문적인 판단력과 열정은 매우 성공적인 결과를 낳았다. 그의 현명한 조언, 건전한 충고 및 선견지명은 전쟁 노력과 미국 해군의 성공에 실질적으로 기여했다. 버드 소장의 임무 수행은 항상 최고의 전통을 유지했으며, 본인과 미국 해군에 명예를 안겨주었다.
;수훈 비행 십자 훈장 인용문:
>미국 대통령은 해군 중령 리처드 에벌린 버드 주니어(NSN: 0–7918)에게 공중 비행에 참여하여 뛰어난 업적을 달성한 공로를 인정하여 Distinguished Flying Cross를 수여하는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그는 1927년 6월 29일부터 7월 1일까지 뉴욕 시에서 프랑스까지 비행기 "아메리카"를 지휘하여 대서양을 횡단하는 원정대의 지휘관으로서 용기, 기지, 기술을 발휘했습니다. 파리 착륙을 불가능하게 만든 극도로 악천후 속에서도, 39시간 56분 비행 후 그의 항공기를 프랑스 베르 쉬르 메르에 인명 피해 없이 무사히 착륙시키도록 지휘한 그의 판단력과 용기에 대한 공로를 인정합니다.
8. 2. 기타 훈장 및 상훈
버드는 활동적인 프리메이슨이었다. 1930년 케인 로지로부터 금메달을 받았다. 1931년 미국 독립 혁명가 후손회 테네시 지부 회원으로 가입하여 전쟁 봉사 메달을 받았다. 그는 탐험가 클럽, 미국 재향군인회,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 등 여러 단체의 회원이었다.버드는 사망 당시 22개의 표창과 특별 칭찬을 받았으며, 명예 훈장, 은색 생명 구조 메달, 해군 공로 훈장, 공군 십자 훈장, 해군 십자 훈장을 받았다. 그는 뉴욕 시에서 세 번의 댕기열 환영식(1926년, 1927년, 1930년)을 가진 유일한 인물이다. 버드는 자신의 초상이 새겨진 훈장을 착용할 자격이 있는 역사상 4명뿐인 미국 군 장교 중 한 명이었으며, 자신의 초상이 새겨진 훈장 두 개를 착용할 자격이 있는 유일한 미국인이었다.
그는 항공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기리기 위해 스미소니언 협회에서 수여하는 랭글리 금메달 수상자 중 한 명이었다. 북극 비행에 대한 공로로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에서 수여하는 허버드 메달을 수상했다. 로버트 피어리, 로알 아문센, 찰스 린드버그도 이 메달을 수상했다.
버드는 미국 지리학회의 데이비드 리빙스턴 기념 메달, 헝가리 지리학회의 로치 메달, 스웨덴 지리학회의 베가 메달, 필라델피아 지리학회의 엘리샤 켄트 케인 메달 등 비정부 기구로부터 수많은 메달을 받았다.
1927년, 미국 보이 스카우트는 버드를 명예 스카우트로 임명했다. 1929년 버드는 미국 보이 스카우트로부터 실버 버팔로 상을, 스미소니언 협회로부터 랭글리 금메달을 받았다.
달 분화구 버드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미국 해군의 건화물 수송선 와 유도 미사일 구축함 도 마찬가지이다.
1930년 버드는 미국 철학 학회의 회원이 되었다.[17] 1931년에는 뉴저지주 글렌 록에 리처드 E. 버드 학교가 헌정되었다. 1934년 3월 31일, 버드는 CBS로부터 라디오에 대한 뛰어난 공헌으로 CBS 메달을 받았다.
1987년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의 극지 연구소는 버드 극지 연구 센터(BPRC)로 이름을 변경했다. 1958년에는 버지니아주 스프링필드에 리처드 버드 도서관이 개관했다.
리처드 E. 버드 초등학교는 1948년 일본 요코하마 네기시에 개교한 국방부 학교이다. 학교 이름은 1960년에 R.E. 버드 초등학교로 변경되었다. 버드 기념관은 뉴질랜드의 두 도시 (웰링턴과 더니딘)에서 찾을 수 있다.
1979년 오스트레일리아 남극 영토에서 버드의 최초 남극 비행 50주년을 기념하여 두 개의 우표 세트가 발행되었으며, 기념 깃발이 디자인되었다.[18]
1934년 버드의 남극 탐험에서 송출된 장거리 단파 음성 전송은 2001년 IEEE 마일스톤으로 선정되었다.
버지니아주 프레데릭 카운티에 위치한 리처드 E. 버드 중학교는 2005년에 개교했다. 그는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명예 회원으로 파이 베타 카파에 헌액되었다.
버드는 1968년 샌디에이고 항공우주 박물관에서 국제 항공우주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캘리포니아주 선밸리에 있는 리처드 E. 버드 중학교는 버드 제독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Last Viking: The Extraordinary Life of Roald Amundsen
https://books.google[...]
Douglas and McIntyre (2013) Limited
2012-09-14
[2]
웹사이트
Richard Evelyn Byrd
https://encyclopedia[...]
[3]
서적
Dedham: Historic and Heroic Tales From Shiretown
The History Press
[4]
웹사이트
Inside the MacMillan Arctic Expedition of 1925
https://www.navytime[...]
2019-05-08
[5]
웹사이트
Inside the MacMillan Arctic Expedition of 1925
https://www.navytime[...]
2024-05-11
[6]
웹사이트
North Pole Flight 1926
https://www.admiralb[...]
2024-05-11
[7]
웹사이트
North Pole Flight 1926
https://www.admiralb[...]
2024-05-11
[8]
웹사이트
Charles Lindbergh completes the first solo, nonstop transatlantic flight
https://www.history.[...]
2021-01-11
[9]
간행물
Naval Aviation in the Antarctic
https://www.history.[...]
2006
[10]
문서
Smithsonian National Postal Museum, Byrd Antarctic Expedition II
[11]
문서
Byrd, 1938, Byrd Autobiography
[12]
문서
Byrd, 1938, Byrd Autobiography, p. 81
[13]
웹사이트
https://www.old-time[...]
2024-08
[14]
문서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bulletin, 2004
[15]
웹사이트
Navy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Papers of Rear Admiral Richard E. Byrd 1941-1945"
https://www.history.[...]
[16]
웹사이트
Notable Graves: Explorers
https://www.arlingto[...]
[17]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7-11
[18]
웹사이트
50th anniversary of Byrd's historic flight
https://www.southpol[...]
2021-01-30
[19]
서적
Confrontations: A Scientist's Search for Alien Contact
Souvenir
1990
[20]
서적
北極・南極探検の歴史 極限の世界を体感する19のアクティビティ
丸善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