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슬링겐암네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슬링겐암네카어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슈투트가르트 지역의 중급 중심 도시이다.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정착한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로마 시대에는 창고와 빌라가 건설되기도 했다. 중세 시대에는 시장 도시로 성장했으며, 1229년 도시권을 획득했다. 19세기에는 산업화가 진행되어 섬유, 피혁, 금속 공업 등이 발달했으며, 철도 교통의 요지가 되었다. 20세기에는 노동자 시위와 나치 시대의 영향을 겪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점령 지역에 속했다. 현재는 서비스업, 전자 기기 산업 등이 발달했으며, 자매 도시 결연을 통해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에슬링겐은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도시로, 다양한 건축물과 축제가 열리며, 에슬링겐 응용과학대학교와 같은 교육 시설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하이델베르크
하이델베르크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네카르 강변에 위치한 도시로, 유서 깊은 대학교와 하이델베르크 성, 아름다운 구시가지, 낭만주의 역사를 자랑하는 국제적인 문화 관광 중심지이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바일데어슈타트
바일데어슈타트는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뵈블링겐군에 속한 독일 도시로, 중세 시대 자유제국도시이자 요하네스 케플러와 요하네스 브렌츠의 출생지로 유명하며, 슈투트가르트 S반 종착역과 파스넷 카니발 축제로도 알려져 있다. - 독일의 도시 -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은 독일 헤센주에 있는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자 유럽중앙은행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거지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을 거쳐 유럽 최대의 고층빌딩 도시이자 국제적인 교통 허브로 성장한 다문화 도시이다. - 독일의 도시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에슬링겐암네카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도시 |
위치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행정 구역 | 슈투트가르트 행정관구 |
군 | 에슬링겐군 |
면적 | 46.43 |
해발 고도 | 241 |
좌표 | 48° 44′ N 9° 19′ E |
우편 번호 | 73701–73734 |
지역 번호 | 0711 |
차량 번호 | ES |
시장 | 마티아스 클로프퍼 |
시장 임기 | 2021–29 |
시장 직함 | 오버뷔르거마이스터 (Oberbürgermeister) |
소속 정당 | SPD |
웹사이트 | www.esslingen.de |
행정 | |
자치체 코드 | 08116019 |
행정청 주소 | 라트하우스플라츠 2, 73728 에슬링겐암네카어 |
추가 정보 | |
위치 | 약 14km |
2. 역사
777년 생 드니 수도원장 풀라드가 피핀 3세와 샤를마뉴의 사제로서, 알레만족 귀족 "하프티"에게서 받은 "네카어 강 위의 여섯 번째 셀"을 생 드니 수도원에 유증하면서 에슬링겐이 처음 언급되었다. 성 비탈리스의 유해가 에슬링겐으로 옮겨지면서 순례지가 되어 도시 성장에 기여했다.[18]
800년경 시장 도시가 된 에슬링겐은 866년 시장 권한을 인증받았다. 949년부터 953년까지 슈바벤 공작 리우돌프의 소유였다가, 프리드리히 2세 치하인 1229년 독일 도시법에 따른 도시권을 받았다. 현존하는 네카 다리가 건설되고 이탈리아, 스위스, 북부 독일 사이의 주요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다리와 시장 세금, 와인 수출이 도시 발전에 기여했다.[20]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자유 제국 도시와 뷔르템베르크 백작(후에 뷔르템베르크 공작) 사이에 분쟁이 잦았다. 1618년-1648년 30년 전쟁 동안 뇌르틀링겐 전투 이후 난민 유입과 페스트로 인구 절반이 사망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으나,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독립을 보장받았다.[21]
1802년-1803년 나폴레옹 시대에 독립을 잃고 뷔르템베르크 공작국에 편입되었다. 19세기 초, 장갑 제조, 식품 가공, 섬유, 금속 가공업 중심의 산업화가 진행되었고, 1845년 11월 20일 칸슈타트에서 에슬링겐역까지 첫 기차가 운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 미국 육군에 점령되었으나, 큰 피해 없이 평화롭게 항복하여 중세 도시 모습이 보존되었다.[24][25] 1973년 뉘르팅겐 구 합병으로 구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2. 1. 선사 시대 및 고대
신석기 시대부터 에슬링겐 지역에 사람이 정착했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다. 시 교회 부지에서 발견된 정착 흔적은 기원전 1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서기 1세기, 에슬링겐 지역은 로마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 시기 오버에슬링겐 지역에는 로마의 창고가 있었으며, 베르크하임에는 로마인의 빌라(저택)가 건설되었다. 가장 가까운 주요 로마 정착지와 주둔지는 칸슈타트와 쾨닝겐(그리나리오)이었다.[17]
인근의 필더 고원에서는 초기 알레만족의 유물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뤼데른에서는 동방의 영향을 받은 부유한 무덤이 발견되었다. "-ingen"으로 끝나는 지명은 아칠로, 헤칠로 또는 헤칠로라는 남자가 영주이자 가문의 가장으로서 영향력 있는 역할을 했던 사람들의 집단을 나타낸다. 이는 도시 이름이 원래 "아칠로의 사람들"을 의미했음을 뜻한다. 856년에는 '에즐링가', 866년에는 '헤칠링가'로 처음 기록된 이 이름은 오늘날의 에슬링겐이 되었다.[17]
6세기에는 알레만니족이 클로비스 1세 치하의 메로빙거 왕조에 의해 정복당했다. 그러나 그들은 여전히 행정 업무를 맡았고 프랑크 왕국에서 공작령을 형성했다. 8세기에는 다시 주권을 되찾으려 했지만, 칸슈타트 유혈 재판으로 알레만 공작령은 종말을 맞이했다.
귄터 페링의 발굴 조사에서 성 디오니시우스 교회 아래의 비탈리스-첼라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정착의 증거는 후기 메로빙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오버에슬링겐과 지르나우에 있는 단일 열 무덤은 이보다 더 오래되었다.[18]
에슬링겐의 최초 문헌 기록은 777년이다. 생 드니의 수도원장 풀라드는 과거 하프티라는 귀족에게서 받은 네카어강의 승방을, 순교자 비탈리스의 유골과 함께 메로빙거 왕조의 제국 수도원이었던 파리 근교의 생 드니 수도원에 유증하기로 했다. 784년 수도원장이 사망한 후, 수도원은 비탈리스의 유골을 이탈리아에서 그 승방으로 이송시켰다. 이후 이 마을은 많은 사람이 방문하는 순례지가 되었다.
''Hetsilinga''로서 에슬링겐의 이름이 처음 기록된 것은 866년 독일인 왕 루드비히의 문서였다. 이 문서에서는 비탈리스 승방이 있는 마을의 시장 개최권이 확인되었다. 이 시장 개최권은 아마도 800년경 이미 주어졌으며, 수도원의 수입이 되어 순례의 안전성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었다. 플랑드르에서 상부 이탈리아로 통하며, 에슬링겐 부근에서 네카어강을 건너는 가도에 위치한 좋은 입지는 시장과 순례의 설치를 촉진했다.
950년경부터 1050년까지 에슬링겐에는 화폐 주조소가 설치되었다. 이 시대의 사료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18] 1077년 라인펠덴의 루돌프가 에슬링겐에서 제후 회의를 열었을 때는 이미 에슬링겐이 상당히 발전한 마을이 되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 해 하인리히 4세는 대립왕 루돌프와 싸웠고, 에슬링겐 근교에서 전투를 벌였다. 이 마을은 그전까지 아마도 슈바벤 공의 영토였지만, 아마도 1079년에 슈바벤 공의 작위와 호엔슈타우펜 성이 모두 프리드리히 1세의 소유가 되어, 슈타우펜 가문의 소유가 되었다.

2. 2. 중세 시대
Das frühe Mittelalter|ko|초기 중세 시대de의 알레만니족 시대 유물은 인근 필더 고원에서는 발견되었지만, 에슬링겐암네카어에서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뤼데른에서는 동방의 영향을 받은 유물이 있는 부유한 무덤이 발견되었는데, 예를 들어 세 개의 날개를 가진 창 머리 세트 등이 있다. "-ingen"으로 끝나는 이름은 아칠로, 헤칠로 또는 헤칠로라는 남자가 영주이자 가문의 가장으로서 영향력 있는 역할을 했던 사람들의 집단을 나타낸다. 이는 도시 이름이 원래 "아칠로의 사람들"을 의미했음을 뜻한다. 856년에는 '에즐링가', 866년에는 '헤칠링가'로 처음 기록된 이 이름은 오늘날의 에슬링겐이 되었다.[18]6세기에는 알레만니족이 클로비스 1세 치하의 메로빙거 왕조에 의해 정복당했다. 그러나 그들은 여전히 행정 업무를 맡았고 프랑크 왕국에서 공작령을 형성했다. 8세기에는 다시 주권을 되찾으려 했지만, 칸슈타트 근처에서 실패했다. 알레만 공작령의 종말은 ''칸슈타트 공의회''로 특징지어진다.
귄터 페링의 발굴 조사에서 성 디오니시우스 교회 아래의 비탈리스-첼라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정착의 증거는 후기 메로빙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오버에슬링겐과 지르나우에 있는 단일 열 무덤은 이보다 더 오래되었다. 777년 생 드니 수도원장인 생 풀라드의 유언에 에슬링겐이 처음 언급되었다. 생 풀라드는 피핀 3세와 샤를마뉴의 사제였다. 그는 알레만족 귀족 "하프티"로부터 받은 "네카강 위의 여섯 번째 셀"을 자신의 수도원인 생 드니에 유증했다. 그는 또한 성 비탈리스의 유해를 에슬링겐으로 가져왔고, 이는 에슬링겐을 순례지로 만들었으며 성장을 이끌었다.
800년경 에슬링겐은 시장 도시가 되었으며, 866년에 시장 권한이 인증되었다. 949년부터 953년까지는 슈바벤 공작 리우돌프의 소유였다. 에슬링겐은 황제 프리드리히 2세 치하인 1229년에 독일 도시법에 따른 도시권을 받았다. 같은 시기에 현존하는 네카 다리가 건설되었고, 이탈리아, 스위스, 북부 독일 사이의 주요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 다리와 시장에서 발생하는 세금은 이 지역의 높은 평가를 받는 와인 수출과 함께 도시의 추가 성장을 이끌었다.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자유 제국 도시와 뷔르템베르크 백작(후에 뷔르템베르크 공작) 사이에는 많은 분쟁이 있었다. 1618년부터 1648년까지 30년 전쟁 동안 기근이나 전염병으로 인해 인구의 약 절반이 사망했다. 에슬링겐은 1802년~1803년 나폴레옹 시대에 제국 도시로서의 독립을 잃고 뷔르템베르크 공작국의 일부가 되었다.

이 도시는 방어벽을 가지고 있었고, 그중 일부가 남아 있으며, 도시 위 언덕과 포도원에 세워진 랜드마크인 "뚱뚱한 탑"(Der Dicke Turm)이 있다.
에슬링겐의 최초 문헌 기록은 777년이다. 생 드니의 수도원장은 과거 하프티라는 귀족에게서 받은 네카어강의 승방을, 비탈리스의 유골과 함께 메로빙거 왕조의 제국 수도원이었던 파리 근교의 생 드니 수도원에 유증하기로 했다. 이 수도원장의 사후(784년) 수도원은 비탈리스의 유골을 이탈리아에서 그 승방으로 이송시켰다. 이후 이 마을은 많은 사람이 방문하는 순례지가 되었다. ''Hetsilinga''로서 에슬링겐의 이름이 처음 기록된 것은 866년 독일인 왕 루드비히의 문서였다. 이 문서에서는 비탈리스 승방이 있는 마을의 시장 개최권이 확인되었다. 이 시장 개최권은 아마도 800년경 이미 주어졌으며, 수도원의 수입이 되어 순례의 안전성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었다. 플랑드르에서 상부 이탈리아로 통하며, 에슬링겐 부근에서 네카어강을 건너는 가도에 위치한 좋은 입지는 시장과 순례의 설치를 촉진했다.
950년경부터 1050년까지 에슬링겐에는 화폐 주조소가 설치되었다. 이 시대의 사료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18].[1077년]] 라인펠덴의 루돌프가 에슬링겐에서 제후 회의를 열었을 때는 이미 에슬링겐이 상당히 발전한 마을이 되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 해 하인리히 4세는 대립왕 루돌프와 싸웠고, 에슬링겐 근교에서 전투를 벌였다. 이 마을은 그전까지 아마도 슈바벤 공의 영토였지만, 아마도 1079년에 슈바벤 공의 작위와 호엔슈타우펜 성이 모두 프리드리히 1세의 소유가 되어, 슈타우펜 가문의 소유가 되었다.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로사는 1181년에 에슬링겐의 대관에게 주변의 행정 및 사법 업무를 위탁했으며, 늦어도 이로 인해 에슬링겐은 제국 자유 도시가 되었다.
1213년 12월 30일, 프리드리히 2세는 에슬링겐의 성 디오니시우스 시 교회를 그 맞은편에 위치한 농장과 함께 슈파이어 대성당 참사회에 기증했다. 아프트-풀라트 거리 3번지의 라틴어 학교 앞의 슈타우펜 기둥은 2016년에 이 사건을 기념하여 세워졌다[19]。에슬링겐에서는 13세기에 많은 큰 건물이 건설되기 시작했다. 수도원이 세워졌고, 네카어 강에 놓인 다리가 이 시기에 놓였으며, 성 비탈리스 교회가 확장되었다. 1229년에 처음으로 에슬링겐의 도시 권한과 수장 직책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하인리히 7세나 콘라트 4세를 비롯한 슈타우펜 가문의 많은 당주들이 에슬링겐에 관저를 세웠다. 루돌프 폰 합스부르크는 1284년에 이 도시에 도시법을 부여하여 도시 귀족과 길드에 의한 시의 공동 통치가 인정되었다.
그 풍요로움으로 인해 13세기에는 탁발 수도회가 이 도시에 들어왔다. 그들은 청빈과 속죄를 설파하고 시민의 영혼 구제에 마음을 썼다. 도미니코회, 프란치스코회, 카르멜회는 곧 중요한 기증과 유증을 받아 이를 통해 수도원과 교회를 건립했다.
에슬링겐은 1246년의 에서 에 대항하여 슈타우펜 측에서 싸웠다. 이로 인해 여러 세기에 걸친 뷔르템베르크 가문과의 분쟁이 시작되었다. 이는 하인리히 7세의 에 대한 제국 전쟁에서도 나타났으며, 1312년에 슈투트가르트는 뷔르템베르크의 다른 도시들과 함께 제국과 에슬링겐에 패배했고, 1316년의 평화 협정에서야 에슬링겐의 지배에서 다시 해방되었다. 1356년, 카를 4세는 오랜 기간 지속된 이 불화를 이용하여, 길드의 싸움에 편승하여 에게 에슬링겐을 포위하게 했다. 14세기 후반에 슈바벤의 도시와 뷔르템베르크 간의 분쟁이 재연되어, 1388년의 데핑겐 전투로 겨우 해소되었다.
1448년부터 1454년까지 와의 사이에 발발한 세관 분쟁은 대규모 도시 전쟁을 일으켰고, 뷔르템베르크가 승리했다. 에슬링겐은 처음에는 바덴과 동맹을 맺었으나, 1473년에 뷔르템베르크 영토 내에 존재하는 재산에 대한 세금을 면제하는 협정을 뷔르템베르크 백작과 체결했다. 이 협정은 1477년에 갱신되었고, 제국 직할권이 상실될 때까지 존속되었다.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사망 직후인 1472년/1473년에 일찍이 콘라트 프라이어가 에슬링겐에 최초의 인쇄소 에슬링거 오피친을 개업했다.
1488년에 제국 의회가 에슬링겐에서 개최되었고, 슈바벤 동맹이 여기서 창설되었다. 1519년, 에슬링겐과 뷔르템베르크 간의 마지막 전투가 벌어졌다. 뷔르템베르크 공작 울리히와 여러 도시 간의 전투 과정에서 울리히는 슈바벤 동맹에 의해 국외로 추방되었고, 뷔르템베르크는 1534년까지 오스트리아의 행정권 아래 놓이게 되었다.
1552년에 이 도시에 처음으로 복음주의가 자리 잡았다. 첫 번째 목사는 1526년에 부임했다. 또한 1527년 이후에는 개혁파 재세례파 교회 조직이 형성되었고, 1529년에는 6명의 신자에게 사형 판결이 내려졌다.[20] 1531년부터 자유로운 설교가 허용되었고, 종교 개혁가 가 나타나 1532년에 그의 추천으로 야콥 오터가 목사가 되었다. 같은 해, 성상 파괴로 인해 교회의 내부 장식이 파괴되었다.[21]
에슬링겐은 1531년에 프로테스탄트의 슈말칼덴 동맹에 가입했다. 그 후 카를 5세와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1548년부터 아우크스부르크 잠정 협약에 따라 미사를 드려야 했다. 1551년, 에슬링겐은 다시 복음주의 예배를 드렸다. 시장 마티아스 2세 헬바르트 폰 비텐펠트(1510년 - 1584년)는 1579년에 에슬링겐 시의회를 대표하여 루터교의 일치 신조에 서명했다.
2. 3. 근세 및 산업화
800년경 에슬링겐은 시장 도시가 되었으며, 866년에 시장 권한이 인증되었다. 프리드리히 2세 황제 치하인 1229년에 독일 도시법에 따른 도시권을 받았다. 같은 시기에 현존하는 네카 다리가 건설되었고, 이탈리아, 스위스, 북부 독일 사이의 주요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 다리와 시장에서 발생하는 세금은 이 지역의 높은 평가를 받는 와인 수출과 함께 도시의 추가 성장을 이끌었다.[20]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자유 제국 도시와 뷔르템베르크 백작(후에 뷔르템베르크 공작) 사이에는 많은 분쟁이 있었다. 1618년부터 1648년까지의 30년 전쟁 동안 도시는 극심한 고통을 겪었다. 1634년 뇌르틀링겐 전투 이후 약 12,000명의 난민이 도시로 몰려들었고, 이듬해에는 페스트가 맹위를 떨쳤다. 주민의 약 절반이 기아와 전염병으로 사망했다. 도시는 전쟁 종결 시 경제적으로 완전히 피폐했지만, 베스트팔렌 조약에 의해 독립이 보장되었다.[21] 1802~1803년 나폴레옹 시대에 제국 도시로서의 독립을 잃고 뷔르템베르크 공작국의 일부가 되었다.

팔츠 선제후 계승 전쟁은 1688년에 일어났다. 이 도시는 이 이끄는 프랑스군에 점령되었다. 프랑스군은 무거운 군세를 부과하고, 몇 주 동안 이곳에 주둔했다. 1693년에는 마젤 장군의 병사들이 뒤를 이었다. 1701년, 화재로 시청사를 포함한 약 200채의 가옥이 소실되었다. 그 후, 소실된 지구 전체가 바로크 건축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는 1707년에 빌라르 장군의 군대에 의해 에슬링겐이 다시 점령되었다.
18세기 에슬링겐의 팔름 가문은 3대 만에 에슬링겐 시민에서 제국 제후에까지 올랐지만, 이후 곧 멸망했다. 요한 다비트 팔름(1657년 - 1721년)은 빈의 황제 궁정에서 재무 기술관을 맡았고, 오스트리아의 지도적인 민간 은행가로서 막대한 부를 얻었다. 그는 1687년에 헝가리 귀족의 지위를 계승했고, 1711년에 기사 지위를 얻었다. 그의 아들 카를 요제프 폰 팔름(1698년 - 1770년)은 황제의 외교관을 맡았고, 1729년에 남작 지위를, 1750년에는 백작 지위를 얻었다. 요한 다비트의 손자인 카를 요제프 그라프 폰 팔름은 1774년에 호에글델핑겐의 영주권을 성과 함께 구입했고, 1783년에 제후 지위에 올랐다. 그의 아들 팔름 후작 카를 요제프(1773년 - 1851년)에서 이 가문은 단절되었다. 이 가문의 분가가 에슬링겐에 오벨러 팔름셰스 바우를 건설했다. 이것이 현재의 신 시청사이다. 이 건물은 1747년에 착공되어 1760년대에 완공되었으며, 1840년에 시청사가 되었다.
프랑스 혁명 이후, 라인강 좌안의 독일 영토는 프랑스령이 되었고, 제국 자유 도시와 성직 제후령이 폐지되었으며, 라인강 우안의 해당 영토는 분할되었다. 1803년 제국 대표자 회의 주요 결의 이전인 1802년 9월 6일에 뷔르템베르크의 정부 의회 감시인이 뷔르템베르크 군대와 함께 에슬링겐에 진입하여 이 도시를 뷔르템베르크 영토로 접수했다. 같은 해 11월 23일에 민사 압류가 이루어졌다. 뷔르템베르크 통치 하에 편입된 이 도시는 오버암트 에슬링겐의 행정 기관 소재지가 되었다.
19세기 초는 산업화로 특징지어졌다. 장갑 제조, 식품 가공, 섬유, 금속 가공은 에슬링겐의 초기 산업이었다. 19세기 초, 에슬링겐에는 금속 제품 제조업체 1곳과 윈치 공장 1곳만이 있었다. 이후 급속한 산업화가 일어나 1830년대에 에슬링겐은 노동자 수와 기업 규모 면에서 뷔르템베르크 도시들 중 1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가장 오래된 공장들은 주로 섬유·피혁 산업 분야에 속했으며, 특히 직물 공장과 장갑 공장이었다. 1826년에 설립된 스파클링 와인 제조 업체 케슬러를 비롯한 음·식료품 제조업체와 금속 공업 분야의 기업들이 뒤따랐다. 1842년에는 18개 업체에서 약 1500명의 직원을 고용했다. 1845년 11월 20일, 첫 기차가 칸슈타트에서 에슬링겐역으로 운행되었다.
뷔르템베르크에서 철도 공사가 시작되면서 에슬링겐은 최초의 건설 프로젝트인 루트비히스부르크 - 슈투트가르트 - 에슬링겐 선의 종착역이 되었다. 왕립 뷔르템베르크 국유 철도의 첫 열차는 칸슈타트에서 1845년 11월 20일에 에슬링겐에 도착했다. 간선 철도인 에슬링겐 분기선은 그 직후 울름 방면으로 연장되었다. 그 첫 구간인 에슬링겐 - 프로힝겐 구간은 1846년 12월 14일에 완공되었다. 뷔르템베르크 왕국에 의한 철도 확충은 에슬링겐 기계 공장의 기반이 되었다. 1860년경까지 에슬링겐에서는 금속 공업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금속 제품 공장 외에도 많은 기계, 공구 공장이 설립되었다.
새롭게 일어난 공업 지역이 도시 경관을 만들어냈다. 1805년부터 1811년까지 시벽과 시문 대부분 및 오래된 카타리넨 호스피탈[22]이 철거된 후, 1838년부터 더 많은 해체의 물결이 일어나 성 십자가 예배당, 힌테러 교회의 본당, 프리엔자우뮐레가 철거되었고, 이를 대신하여 공장, 전신 스테이션, 가스 공장 등이 건설되었다. 1865년 네카어 강 좌안에 프리엔자우 포어슈타트가 건설되었다. 1894년에는 독일 최초의 직업 안정소가 에슬링겐에 세워졌다.
산업화로 인해 19세기 중반에는 고용자와 피고용자의 관계에 변화가 일어났다. 대립은 심각해졌고, 독일 연방의 각 영방에서 3월 혁명이 발발한 1848년에 에슬링겐에서는 아우구스트 호흐베르거에 의해 최초의 노동자 협회가 설립되었다. 이 첫 협회는 불과 4년밖에 존속되지 않았지만, 1862년에 "노동자 교육 협회"로 새롭게 설립되어 곧 회원 수 250명으로 이 종류의 협회 중 뷔르템베르크에서 두 번째로 큰 협회가 되었다. 호흐슈테터는 1865년에 소비자 협회도 설립했다. 1869년에는 뷔르템베르크에서 최초의 섬유 노동자 노동 조합이 에슬링겐에서 결성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이 도시는 뷔르템베르크에서 노동 운동의 거점이 되었다.
2. 4. 20세기 이후
에슬링겐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인 1945년 4월부터 미국 육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전쟁 중 도시는 피해를 거의 입지 않았으며, 진격하는 연합군에게 평화롭게 항복하여 도시 중심부의 중세적 특성이 대부분 보존되었다.[24][25]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약 47,000명이 에슬링겐으로 이주했는데, 대부분 동독 출신의 난민과 실향민이었다. 주택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오버에슬링겐과 졸베르크에 주택 개발이 이루어졌다.[27]
1973년 뉘르팅겐 구가 에슬링겐 암 네카어에 합병되면서 에슬링겐은 훨씬 더 확대된 구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1961년 6월 13일, 에슬링겐역과 메팅겐역 사이에서 두 량의 열차가 정면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여 35명이 사망했다.
1979년에 에슬링겐에서 바덴-뷔르템베르크 고향의 날이 개최되었다. 1995년에는 정치적 용기와 성실성을 기리기 위해 테오도어 헤커상을 창설했다.[28]
2020년 12월 31일 기준, 이민자 출신 국가별 최대 그룹은 다음과 같다.
국가 | 인구 |
---|---|
Türkiye|튀르키예tr | 4,182 |
Ελλάδα|그리스el | 3,030 |
Italia|이탈리아it | 2,051 |
Hrvatska|크로아티아hr | 1,711 |
România|루마니아ro | 1,248 |
سوريا|시리아ar | 1,102 |
Kosova|코소보sq | 784 |
Polska|폴란드pl | 713 |
Bosna i Hercegovina|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bs | 708 |
Србија|세르비아sr | 472 |
에슬링겐 시역에는 3개의 자연 보호 구역이 있다.
21세기에 들어와서 가장 큰 도시 개발 프로젝트는 구 화물역과 그에 인접한 식품 회사 "헹스텐베르크"의 부지를 "노이에 베스트슈타트"라는 명칭의 주택 및 산업 지구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2009년에 시작되었으며, 총 투자액은 약 4억유로로 추정된다.[29]
3. 지리
또한, 경관 보호 구역으로는 에슬링겐 경관 보호 구역, 부첸비젠 - 크레프발트 - 퀴할데 - 레텐 경관 보호 구역, 운테레스 켈슈탈 경관 보호 구역, 슐발트란트 알트바흐 - 프로힝겐 - 라이헨바흐 경관 보호 구역이 있다.
이 외에도 에슬링겐에는 FFH-Gebiet|en|Special Area of Conservationde 필더와 슈르발트의 일부가 있다.
3. 1. 위치
에슬링겐암네카어는 슈투트가르트 남동쪽 네카어 계곡의 좁은 지역에 위치해 있다. 네카어 강이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시역을 관통하여 흐르고 있으며, 구시가는 그 북쪽에 있다. 여기에는 에슬링겐 댐도 있다. 알트바흐에서 온 네카어 강은, 먼저 체르 지구에 접하여 흐르고, 메팅겐 지구와 바일 지구 사이에서 시역을 벗어나 슈투트가르트 방면으로 흘러간다. 에슬링겐암네카어는 동쪽에 Schurwald|슈르발트de의 고지가 있으며, 남쪽은 구릉의 지맥이 Filder|필더 분지de까지 이어져 있다.
본 시의 고도는 네카어 계곡의 230m에서 슈르발트의 498m까지 분포한다. 에슬링겐의 면적은 4643ha이다. 이 중 1193ha가 산림이고, 112ha가 수역이다. 93ha에서 포도가 재배되고 있으며, 와인 생산지 뷔르템베르크에 속해 있다. 1662ha가 시가지로, 약 9만 명이 거주하며, 도로, 광장, 도로, 철도가 여기에 포함된다.
2020년 현재 본시의 용도별 토지 면적 및 점유율은 다음과 같다[11]。
용도 | 면적 (ha) | 점유율 (%) |
---|---|---|
주택 용지 | 816 | 17.6 |
상공업 용지 | 348 | 7.5 |
레저 용지 | 135 | 2.9 |
교통 용지 | 504 | 10.9 |
농업 용지 | 1373 | 29.6 |
산림 | 1179 | 25.4 |
수역 | 109 | 2.4 |
기타 | 179 | 3.9 |
합계 | 4643 | 100.0 |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다음의 시, 자치시, 시정촌이 에슬링겐암네카어와 접해 있다. 켈넨 임 렘스탈(렘스-무어 군), 아이히발트, 발트만스바일러, 프로힝겐, 알트바흐, 다이치자우, 덴켄도르프, 오스트필데른(모두 에슬링겐 군), 그리고 슈투트가르트이다.
3. 2. 기후
다음은 1991년부터 2020년까지 에슬링겐암네카어의 기후 자료이다.[57][58][59]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1°C) | 3°C | 5.1°C | 9.5°C | 13.9°C | 18.4°C | 21.4°C | 23.7°C | 23.2°C | 20°C | 14.5°C | 8°C | 4°C |
평균 최저 기온 (1°C) | -2.8°C | -1.9°C | 0.8°C | 4°C | 8°C | 11.2°C | 12.9°C | 12.5°C | 9.4°C | 5.4°C | 1.2°C | -1.6°C |
평균 강수량 (mm) | 46.9mm | 41.4mm | 50.4mm | 45.7mm | 88mm | 86mm | 95.6mm | 80.7mm | 57mm | 60.8mm | 59.5mm | 56.3mm |
평균 강우일 | 13.2 | 11.3 | 14.3 | 14.3 | 19.6 | 18.6 | 17.8 | 16.8 | 11.5 | 12 | 11.5 | 13.4 |
평균 상대 습도 (%) | 90 | 83 | 74 | 69 | 70 | 71 | 69 | 70 | 75 | 81 | 85 | 90 |
평균 월간 일조 시간 | 62 | 90.4 | 136.4 | 174 | 213.9 | 228 | 254.2 | 232.5 | 183 | 130.2 | 75 | 58.9 |
평균 일일 일조 시간 | 2 | 3.2 | 4.4 | 5.8 | 6.9 | 7.6 | 8.2 | 7.5 | 6.1 | 4.2 | 2.5 | 1.9 |
3. 3. 토지 이용
에슬링겐의 면적은 4,643 ha이다. 이 중 1,193 ha가 산림이고, 112 ha가 수역이다. 93 ha에서 포도가 재배되고 있으며, 와인 생산지 뷔르템베르크에 속해 있다. 1,662 ha는 시가지로, 약 9만 명이 거주하며, 도로, 광장, 철도가 여기에 포함된다.2020년 현재 본시의 용도별 토지 면적 및 점유율은 다음과 같다[11]。
용도 | 면적 (ha) | 점유율 (%) |
---|---|---|
주택 용지 | 816 | 17.6 |
상공업 용지 | 348 | 7.5 |
레저 용지 | 135 | 2.9 |
교통 용지 | 504 | 10.9 |
농업 용지 | 1373 | 29.6 |
산림 | 1179 | 25.4 |
수역 | 109 | 2.4 |
기타 | 179 | 3.9 |
합계 | 4643 | 100.0 |
4. 행정
에슬링겐 시의회는 40석으로 구성된다.[34] 에슬링겐암네카어의 행정 수장은 시대에 따라 여러 명의 시장과 시의회로 구성되기도 했으나, 1748년부터는 2명의 시장만 두었다. 뷔르템베르크 시대에는 시 수장을 "슈타트슐타이스", 1930년부터는 "뷔르거마이스터"(시장), 1956년 4월 1일부터는 "오버뷔르거마이스터"(상급 시장)라 불렀다. 상급 시장은 8년마다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시의회 의장을 겸임한다. 2021년 11월 1일부터 마티아스 크롭퍼가 상급 시장을 맡고 있으며, 시의 일반 행정을 관장한다.
1945년 이후 에슬링겐의 역대 시장은 다음과 같다.
- 1945년: 에밀 마크
- 1945년 - 1948년: 프리츠 란덴베르거
- 1948년 - 1956년: 디터 로저 (SPD)
- 1966년 - 1989년: 에버하르트 클라프로트
- 1990년 - 1998년: 울리히 바우어 (SPD)
- 1998년 - 2021년: 위르겐 치거 (SPD)
- 2021년 - : 마티아스 크롭퍼 (SPD)
위르겐 치거는 2021년 3월, 임기 종료 1년 전인 2021년 9월 말에 은퇴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35]。 마티아스 크롭퍼는 2021년 7월 25일에 새로운 상급 시장으로 선출되었고[36][37], 2021년 11월 1일에 취임했다.
에슬링겐 자치 행정의 특징은 주민 위원회이다. 주민 위원은 시 또는 몇 개 시구의 주민들로부터 선출되며, 3년 임기의 명예 대표를 맡는다. 주민 집회에서 공개 선거가 진행되지만, 공식적으로 주민 집회의 일부는 아니다. 주민 위원은 해당 시구 문제에 대한 조언자로서 도시 행정 및 시의회에 기여한다.[38]
에슬링겐암네카어의 문장은 금색 바탕에 적색 발톱과 부리를 가진 흑색 독수리가 그려져 있다. 독수리 가슴에는 녹색과 적색으로 좌우 분할된 소쉴드가 있으며, 소쉴드 안에는 흑색 대문자 "C"와 "E"가 적혀 있다. 13세기(1219년)부터 사용된 제국 독수리를 기반으로 하며, 다른 제국 도시와 구별하기 위해 15세기부터 가슴 방패가 추가되었다. 처음에는 녹색과 갈색, 1600년부터는 녹색과 적색으로 칠해졌으며, 이는 15세기 도시 민병대 제복 색상에서 유래했다. 17세기에 "Civitas Esslingensis"("도시 에슬링겐"의 라틴어 표기)의 약자인 C와 E 문자가 추가되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인영은 1232년의 것이다. 에슬링겐의 시 색상인 녹색과 적색은 문장에서 유래하며, 시의 기는 1601년에 확정되었다. 독수리는 공용 인장, 관공서 통지, 홍보, 시의 기, 기록 및 제복 휘장(예: 에슬링겐 소방대 및 자치 행정 서비스 부서 등)에 사용된다. 시 인쇄물과 출판물에도 독수리와 시 로고가 사용되며, 시 공용 용지에는 휘도 10%의 큰 독수리가 배경으로 그려져 있다.
4. 1. 시의 구성
에슬링겐암네카어시는 32개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12]구역 번호 | 구역명 | 지도 | |
---|---|---|---|
11 | 이넨슈타트(내 시가지) | 이넨슈타트 중앙 | |
12 | 이넨슈타트 서 | ||
14 | 이넨슈타트 동 | ||
13 | 호엔크로이츠 | ||
21 | 네커할데 | ||
22 | 뤼델른 | ||
23 | 술츠그리스 | ||
24 | 크룸멘아커 | ||
31 | 장크트 베른하르트 | ||
32 | 젤라흐 | ||
33 | 오버탈 | ||
34 | 베르덴브론 | ||
35 | 비플링스하우젠 | ||
36 | 리버르스브론 | ||
37 | 케넨부르크 | ||
41 | 헤겐스베르크 | ||
42 | 킴미히스바일러/오버호프 | ||
51 | 오버에슬링겐 | 오버에슬링겐 서 | |
52 | 오버에슬링겐 동 | ||
53 | 오버에슬링겐 공업 지구 | ||
61 | 질나우 | 질나우 | |
62 | 질나우 공업 지구 | ||
63 | 질나우=엔텐네스트 | ||
71 | 프린자우포어슈타트 | ||
72 | 촐베르크 | ||
81 | 바일 | ||
82 | 브뤼엘 | ||
91 | 메팅겐 | 메팅겐 서 | |
92 | 메팅겐 동 | ||
101 | 베르크하임 | 베르크하임 북 | |
102 | 베르크하임 남 | ||
111 | 첼 |
또한 에슬링겐에는 슈투트가르트 시역 내에 "슈타트발트 에슬링겐 암 네카어 슈티프츠발트 카첸바허 호프"라는 월경지가 있다.[13][14]
현재 24개 구역 대부분은 14세기부터 이미 필리알오르트(지집락)로서 에슬링겐의 시역에 속해 있었으며, 일부는 자체 지구장을 가지고 있었다. 다음 구역만이 20세기에 본 시에 합병되었다.
- 1913년: 오버에슬링겐과 오버호프
- 1914년: 헤겐스베르크 (1844년까지는 오버에슬링겐에 속했다가 독립)와 키미히스발러
- 1923년: 브뤼엘 (슈투트가르트-오버튀르크하임에서 분리)
- 1929년: 질나우 (다이치자우에서 획득)
- 1935년: 바일
- 1974년 5월 1일: 베르크하임[27]
- 1974년 7월 1일: 첼 암 네카[27]
4. 2. 자매 도시
에슬링겐암네카어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9]국가 | 도시 | 체결년도 |
---|---|---|
-- 프랑스 | 비엔 | 1958년 |
-- 영국 | 니스포트탤벗 | 1958년 |
-- 이탈리아 | 우디네 | 1959년 |
-- 스웨덴 | 노르셰핑 | 1964년 |
-- 네덜란드 | 스히담 | 1964년 |
-- 미국 | 시보이건 | 1967년 |
-- 슬로베니아 | 벨레네 | 1970년 |
-- 벨라루스 | 말라제치나 | 1987년 |
-- 헝가리 | 에게르 | 1991년 |
-- 폴란드 | 피오트르쿠프트리부날스키 | 1992년 |
-- 인도 | 코임바토르 | 2016년 |
에슬링겐은 1971년 유럽 의회의 명예기를 수여받았고, 2004년 1월 7일에는 "유럽 이념의 보급에 대한 현저한 공적"으로 유럽 의회의 명예 메달을 수여받았다.[39]
5. 경제
이 도시는 서비스업, 전자 기기 산업, 자동차 제조업, 기계 제조업, 미디어 및 출판, 공기 주입 타이어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에슬링겐 전체 고용 인원은 약 56,000명이다.[40]
2005년 1월 1일, 슈투트가르트 지역 상공회의소의 에슬링겐 지부와 뉘르팅겐 지부가 통합되어 회원 수 25,000명의 대규모 지부가 되었다. 이는 슈투트가르트 지구 상공회의소 중 두 번째로 큰 규모이다.
에슬링겐에서는 일간지 "에슬링거 차이퉁"(Esslinger Zeitung)이 발행되며, 1973년부터 시의회 의결에 따라 시의 공식 보고를 싣고 있다.[40]
에슬링겐에 본사를 둔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다.
- 베히틀레 그래피셰 베트리베 운트 페어아르크스게젤샤프트(Bechtle Graphische Betriebe und Veragsgesellschaft mbH & Co. KG): 에슬링거 차이퉁(Esslinger Zeitung)을 발행하며, 에슬링겐 시의 홍보 매체 역할도 한다.
- 다임러 AG: 멧팅겐에 회주철 주조주조소를 운영하며, 축 부품, 변속기 샤프트, 피스톤 연결봉, 연간 870만 개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생산한다.
- 바우어 기어 모터(Bauer Gear Motor): 주파수 변환기 및 구동 모터를 제조한다.
- 에버스페허(Eberspächer): 배기 가스 배기 기술, 차량용 히터, 유리 제조를 주력으로 하며, 2022년 말 에슬링겐 제조소를 폐쇄하고 폴란드로 생산 시설을 이전할 예정이다.[41]
- 페스토(Festo): 자동화 분야 제품 및 솔루션을 제공한다.
- 구스타프 바일러(Gustav Wahler): 연소 장치 온도 관리 및 배기 관리 전문 회사였으나, 2014년 볼크바너 에슬링겐(BorgWarner Esslingen GmbH)에 합병되었다.
- 헹스텐베르크(Hengstenberg): 오이, 야채, 적 양배추 피클, 사우어크라우트, 조미 식초 등을 제조하는 식품 회사이다.
- 뮐러 바이겐텐(Müller Weingarten): 양철 가공용 대규모 기계 설비 개발·제조 회사였으나, 2011년 Schuler (Unternehmen)|en|Schuler Group|label=슐러 AGde에 합병되었다.
- INDEX-베르케(INDEX-Werke): 자동 선반을 제조한다.
- 케슬러 제크트(Kessler Sekt GmbH & Co. KG): 1826년 7월 1일 설립된 독일 최초의 스파클링 와인 양조소이다.
- 에슬링겐 출판 J. F. 슈라이버(Esslinger Verlag J. F. Schreiber): 동화 서적으로 유명하다.
6. 교통
에슬링겐암네카어 시립 전차는 1912년 5월 24일에 개통되어 1944년 7월 7일에 트로리 버스로 대체되었다. 운영 회사는 에슬링겐 시립 노면 철도(ESS)였으며, 트롤리 버스로 전환하면서 에슬링겐암네카어 시립 교통(SVE)으로 개명했다. 에슬링겐 - 네린겐 - 덴켄도르프 노면 철도는 1926년 12월 18일에 영업을 시작하여 1978년 2월에 폐지되기까지 총 1억 5300만 명의 승객을 수송했다.
에슬링겐은 졸링겐, 에버스발데와 함께 현재도 트로리 버스('''에슬링겐 암 네카 트롤리 버스''')가 운행되는 독일 도시 중 하나이다. SVE는 다음 3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 101: 오버에슬링겐 렐헨에커 종점 - 에슬링겐 ZOB - 슈투트가르트-오버튀르크하임역
- 113: 에슬링겐 ZOB - 초르베르크 - 베르크하임 (일부, 배터리 차량으로 운행)
- 118: 에슬링겐 ZOB - 초르베르크 (일부, 배터리 차량으로 운행)
이 노선에서는 폴란드 기업 솔라리스의 배터리-하이브리드 트롤리 버스 10대가 이용되고 있다.[44]
현재 에슬링겐의 도시 교통은 SVE 및 그 자회사 렉서, 슈리엔츠-투어 및 그 자회사 GE 옴니버스, 피슐레 & 슈리엔츠 사에 의해 운영되는 25개의 버스 노선, 1개의 고속 버스 노선, 3개의 야간 버스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6. 1. 도로 교통
에슬링겐은 슈투트가르트에서 쥐센을 거쳐 울름으로 이어지는 연방 고속도로 B10 바로 옆에 있다. B10이 고대 플린자우 다리 아래를 통과한 직후 에슬링겐 출구는 울름 방향으로 복층 도로의 진출입 지점이 두 곳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 덕분에 슈투트가르트에서 에슬링겐 시내로 바로 진입할 수 있고, 신호등 없이 에슬링겐 시내에서 울름 방향 복층 도로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새로운 플린자우 다리와 주변 도로에 6~8개의 차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플린자우포어슈타트 주변 기반 시설과 졸베르크로 가는 경로는 여전히 교통 체증이 잦다.
에슬링겐은 독일 목조 가옥 도로에 위치해 있으며, 연방 도로 10호선(B10호선)에 직접 면해 있다. 이 도로는 슈투트가르트에서 괴핑겐(괴핑겐군)까지 4차선으로 이어지며, 울름까지 뻗어 있다.
카를스루에에서 뮌헨으로 향하는 8호선(A8호선)에는 에슬링겐 분기점이 있다.
에슬링겐에서는 1994년부터 카 셰어링을 이용할 수 있다.
6. 2. 철도 교통
에슬링겐 (네카어)역은 필스 계곡 철도에 있으며, 슈투트가르트 S반의 S1 노선과 지역 열차가 운행된다. 이 도시는 도이치반이 운영하는 슈투트가르트와 울름 사이의 주요 철도 노선에 위치해 있다. 2009년, 도이치반은 고속 열차 '인터시티 익스프레스' 열차 중 하나를 "에슬링겐암네카어"로 명명했다.[1]슈투트가르트 S-Bahn S1 노선은 키르히하임 운터 테크와 Herrenberg|헤렌베르크de 사이를 슈투트가르트 시내를 경유하여 운행하며, 메팅겐, 에슬링겐(네카어), 오버에슬링겐 및 에슬링겐(첼) 역에 정차한다. 슈투트가르트 21 계획에 따른 슈투트가르트 중앙역 철도 재건축 계획에 따라 S1 노선은 키르히하임 운터 테크에서 슈투트가르트 슈바프슈트라세 역까지 단축 운행될 예정이다.[1]
2004년부터 철도역 인근 지역에서 재개발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역 광장의 대규모 재개발에는 약 740만유로가 소요되었으며,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환경교통부는 490.00000000000006만유로의 보조금을 지원했다. 2009년에는 넥카슈트라세(Neckarstraße)가 철도역의 사용하지 않는 부지를 따라 우회되었고, 부지 서쪽으로 연장되었다. 2014년 11월에는 버스 및 철도 환승센터를 만들기 위한 역 광장의 대규모 재개발이 완료되었다.[1]
6. 3. 항공 교통
슈투트가르트 공항은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서 가장 큰 공항으로, 에슬링겐에서 남쪽으로 약 10km 떨어진 라인펠덴-에히터딩겐 시내에 있다.[1] 루프트한자 소유의 에어버스 A321 비행기 한 대가 에슬링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이 기체의 모(母) 공항은 프랑크푸르트 공항이다.[2]슈투트가르트를 경유하지 않고 공항으로 바로 가려면, END사가 운행하는 122번 버스를 이용하면 된다.[4] 이 버스는 에슬링겐 중앙 버스 및 철도 환승역에서 오스트필데른 샤른하우젠을 경유하여 공항으로 바로 운행한다.[5]
7. 문화
에슬링겐에서는 1804년 오틸리엔 광장에 면한 구 에기디엔 예배당에 처음으로 상설 무대가 설치되었으며, 초기에는 단순한 작품이 공연되었다. 당시에는 상설 극단이 없었다. 1982년, 1864년 슈트로 거리에 개관한 극장을 대신하는 새로운 극장이 문을 열었다.
슈트로 거리의 극장 외에도 아동극을 위한 스튜디오 암 브라라플라츠와 소규모 스튜디오 프로덕션에 사용되는 테아터 암 촐베르크가 있다. 이들 극장에서는 현대극, 고전극, 뮤지컬, 아동극이 상연된다.
빌헬름 플라테리우스가 설립한 LIMA-테아터는 문학적인 인형극 문화를 담당하고 있다. "갈겐슈트리케"의 카바레와 2018년 이후 센트럴 극장도 에슬링겐에서 자유 연극을 상연하는 장소이다.[55]
- 겔베스 하우스의 시립 박물관은 중세 시대 초기부터 현대까지의 도시 역사를 전시하고 있다.
- 시 교회 지하에 있는 장크트 디오니스 고고학 박물관은 에슬링겐에서 출토된 중세 시대 유물을 전시한다.
- J.-F.-슈라이버 박물관은 출판의 역사와 제품을 전시한다.
- 빌라 메르켈은 한때 기업가의 저택이었던 곳을 시립 갤러리로 활용하고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향토 박물관, 클럽 박물관, 기업 박물관이 있다.
7. 1. 건축물
림부르크안데어란, 괴팅겐과 더불어 에슬링겐은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군이 보존되어 있어 중세 주거 건축 연구에 중요한 도시이다. 연륜 연대 측정법에 따르면, 1262/63년 건설된 호이게세 3번지, 1266/67년 건설된 베버가세 8번지, 1267년 건설된 베버가세 7번지 건물은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들이다.[52] 에슬링겐의 사례는 알레만 양식 목조 건축의 모든 발전 단계를 보여준다. 최근까지 에슬링겐은 13~14세기 알레만 양식 목조 건축을 보여주는 거의 유일한 도시였으나, 이후 뉘른베르크(1338년), 뇌르틀링겐(1367년), 가이슬링겐안데어슈타이게(1397년)에서도 오래된 건축물들이 발견되었다.하펜마르크트 2번지 건물 철거 과정에서 오래된 건축 구조가 발견되었지만, 이 목조 건축물의 발견은 해체라는 대가를 치렀다. 연륜 연대 측정 결과, 2번지 건물은 1328년에 건설되었고, 2번지부터 10번지까지의 가옥들은 1333년 이전에 건설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 해체로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가옥들이 파괴되었다. 1266/67년에 건설된 베버가세 8번지 건물은 현존하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다.[52] 1200년 이전 건물은 땅에 구멍을 파 기둥을 세우는 굴립주 건축 방식으로 지어져 부식 문제로 남아있기 어렵기 때문이다. 13세기 후반부터는 돌이나 기초 벽 위에 기둥을 세우는 방식으로 바뀌어 건물의 수명이 수 세기로 늘어났다.
1430년보다 조금 전에 건설된 구 시청사는 목조 건축 양식에서 중요한 기념물이다. 기둥 꼭대기와 기저부에 2개의 짧은 지주를 갖는 특징이 있다. 1415년부터 1435년경 사이에 지어진 과도기 양식으로, 에슬링겐 시청사 양식이라고도 불린다. 이 양식은 마르크그뢰닝겐 시청사[53]나 가이슬링겐의 알터 바우(1445년)[54]에서 볼 수 있는 "슈베비셔 만" 양식으로 발전했으며, 슈바벤 지방에서 100년 동안 지속되었다.
7. 2. 축제
에슬링겐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행사들이 열린다.- '''봄'''
- 에슬링겐의 봄, 에슬링겐 정원의 날 행사
- 미술·공예품 시장
- 포디움 에슬링겐
- 록 포 원 월드(Rock for One World), 자선 음악 축제
- '''여름'''
- 시민 축제, 슈베르타크(맹세의 날)와 함께, 7월 첫째 주말
- EZ 레이스, 10km가 넘는 도시 레이스, 7월 초
- 에르트베어페스트(딸기 축제)
- 츠비벨페스트(양파 축제), 2020년부터는 슈테티셔 솜머호크로 개명
- 성채 축제, 야외 영화 및 야외 콘서트 개최
- '''가을'''
- 와인 축제
- 미술·공예품 시장
- '''겨울'''
- 크리스마스 마켓, 중세 시장

시 문화국에서는 매년 다양한 각도에서 하나의 테마에 초점을 맞춘 이벤트 시리즈를 기획하고 있다. 예를 들어 1999년에는 독일 기본법 공포 50주년, 2002년에는 200년 전의 에슬링겐 제국 직할권 상실, 2003년에는 비트 음악 40년, 2004년에는 축구(50년 전 베른의 기적과 30년 전 독일 월드컵)을 테마로 설정하였다.
시민 축제(Bürgerfest)는 슈베르타크(서약의 날)와 연계되어 매년 7월 첫 번째 주말에 개최된다. 거리와 광장에서는 음악이 연주되고, 클럽은 공연을 준비하며, 음식과 음료가 제공된다. 토요일에는 에슬링겐의 대규모 벼룩시장이 열리며, 100개 이상의 개인 노점상이 운영된다.
슈베르타크는 1392년부터 1801년까지 에슬링겐의 주요 행사였다. 엄숙한 법적 행위의 일환으로, 시민 공동체와 시의회 간에 권리 서약이 이루어졌다. "자치체의 최대 공공 헌장"인 법령서가 낭독되었다. 시장, 의회, 시민들이 서로 충성과 복종을 맹세하고 서약함으로써 이를 확인했다. 이는 슈바벤 전역에서 사람들이 모이는 민중 축제와 항상 연계되어 있었다.

1997년, 수년 전부터 개최되었던 크리스마스 마켓과 병행하여 신 시청사 근처에 중세풍 노점이 처음으로 들어섰다. 이윽고 매년 12월 마르크트 광장의 많은 노점에서는 수백 년 전과 같은 상품이 진열되었다. 신·구 시청사나 역사적인 하펜마르크트를 포함한 주변의 목조 건축물들이 그 무대로서 소란에 독특한 분위기를 더했다. 여기에는 오래된 공예 기술이 있다. 에슬링겐의 중세 시장은 해마다 규모를 확대하여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및 주변 주에서 온 관광객들의 즐거움이 되고 있다. 2006년 융성 시장 10주년 이후, 매년 동지에 에슬링겐 성으로의 횃불 행렬이 열리고 있다.
7. 3. 교육
에슬링겐 응용과학대학교(독일어: Hochschule Esslingen)가 있다. 이 대학은 기계 공학 및 자동차 공학 과정으로 유명하며, 에슬링겐 대학원(Esslingen Graduate School)에서 주관하고 전적으로 영어로 진행되는 3개의 국제 석사 과정(국제 산업 경영학 석사(MBA),[5] 자동차 시스템 공학 석사(MEng),[6] 자동차 및 기계 공학 설계 및 개발 석사(MEng))[7]으로도 알려져 있다. [8]에슬링겐에는 기초 과정 학교, 게마인샤프츠슐레, 실과 학교, 김나지움, 특별 교육 교육 및 양호 센터 외에 단과대학도 있다. 에슬링겐 단과대학은 2006년에 공학 단과대학과 사회학 단과대학이 통합되어 설립되었다. 또한, 뷔르템베르크 복음주의 지방 교회의 교회 음악 대학도 있다. 이것은 복음주의 교회 음악 대학 튀빙겐의 시설이다.
다음 학교가 있다(2021년 현재).
이 외에, 교수학 및 교원 교육을 위한 주립 세미나가 있다.
에슬링겐-첼의 에슬링겐 군 직업 학교 센터에는 3개의 독립된 학교가 포함되어 있다. 프리드리히-에버트-슐레(공학 학교), 존-F.-케네디-슐레(상업 학교), 쾨테-콜비츠-슐레(영양학 및 생명 공학 학교)이다.
파울-렘프 재단은 케넨부르크에 복음주의 노인 요양 전문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이 외 시내 교육 시설로는, 자유 발도르프 학교, 시민 대학, 음악 학교가 있다.
8. 인물
에슬링겐암네카어는 수많은 유명 인사와 관련이 있는 도시이다.
하위 섹션인 '출신 인물'과 '관련 인물'에 자세한 정보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주요 인물만 간략하게 언급한다.
- 출신 인물: 미하엘 슈티펠, 카를 데프너, 페르디난트 폰 호흐슈테터, 율리우스 모텔러, 빌헬름 무르 등
- 관련 인물: 암브로시우스 블라러, 하인리히 시크하르트, 토비아스 마이어, 에밀 케슬러, 헤르만 쿠르츠, 아그네스 자퍼, 폴커 하우프 등
8. 1. 출신 인물
- 미하엘 슈티펠(1487년경 ~ 1567년) 신학자, 수학자
- 에른스트 고틀리프 폰 슈토이델 (1783년 - 1856년) 의사, 수학자
- 카를 데프너 (1817–1877), 제조업자, 국회의원
- Immanuel Faißt|임마누엘 파이스트de(1823년 - 1894년) 작곡가, 슈투트가르트 음악학교 공동 설립자
- 빌헬름 크리스티안 호흐슈테터 (1825–1881), 식물학자, 튀빙겐 식물원 정원사 및 감독관
- 페르디난트 폰 호흐슈테터 (1829–1884), 지리학자, 지질학자, 자연 과학자
- 알베르트 귄터 (1830–1914), 영국 동물학자
- 요한 에버하르트 일레 (1727–1814), 화가
- 에밀 폰 케슬러 (1813–1867), 마시넨파브리크 에슬링겐(증기 기관차 공장) 설립자
- 게오르크 크리스티안 폰 케슬러 (1787–1842), 케슬러 젝트(스파클링 와인 셀러) 설립자
- 헤르만 쿠르츠 (1813–1873), 시인, 작가 및 번역가, 이졸데 쿠르츠의 아버지
- Ernst Johann Eitel|에른스트 요한 아이텔de(1838년 - 1908년) 복음주의 선교사
- 율리우스 모텔러 (1838–1907), 초기 독일 노동 운동 지도자, 제국 의회 부의원
- 카를 요제프 슈뢰터 (1855년 - 1939년) 식물학자
- 루이 슐레겔 (1858–1929), 독일 정치인 (SPD), 제국 의회 및 주 의회 의원
- 막스 자일러 (1882–1964), 자동차 경주 드라이버 및 엔지니어
- Adolf Gustav Schneck|아돌프 구스타프 슈넥de(1883년 - 1971년) 건축가, 가구 제작자
- 빌헬름 무르 (1888–1945), 독일 정치인 (NSDAP), 가울라이터
- Otto Ottenbacher|오토 오텐바허de(1888년 - 1975년) 군인,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중장
- 오토 메르츠 (1889–1933), 레이싱 드라이버
- Adolf Fleischmann|아돌프 플라이슈만de(1892년 - 1968년) 화가, 독일 구성주의 및 옵아트의 주요 작가
- 알프레드 라이캄 (1915–1992), 공증인, 정치인, 시장, 열방의 의인
- 리하르트 바움 (1902–2000), 음악학자, 음악 역사학자
- 파울라 뤼스 (1902–1980), 독일 저항군 (프랑스 저항군) 및 페미니스트
- Heinz Maier-Leibnitz|하인츠 마이어-라이프니츠de(1911년 - 2000년) 물리학자, 독일 연구 진흥 협회 회장
- 토마스 루프 (1911–1996), 독일 정치인 (CDU), 에슬링겐 지역구 연방 하원 의원
- 오토 하우저 (1952년 출생), 독일 정치인 (CDU), 전 연방 하원 의원 및 퇴임 국무 장관
- 발터 히를링거 (1926년 출생), 독일 정치인 (SPD), 주 의회 의원, 경제부 장관, 1990–2008년 ''Sozialverband VdK Deutschland'' 회장, 1953년부터 1968년까지 에슬링겐 시의회 의원
- Wolfgang Fritz Haug|볼프강 프리츠 하우크de(1936년 - ) 철학자, 출판자
- 볼커 하우프 (1940년 출생), 독일 정치인, 전 연방 하원 의원, 전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시장(SPD)
- Reimut Reiche|라이무트 라이헤de(1941년 - ) 사회학자, 정신 분석학자, 성 과학 연구자
- Walter Jürgen Schmid|발터 위르겐 슈미트de(1946년 - ) 외교관, 대사
- Eva Heller|에바 헬러de(1948년 - ) 작가, 사회 과학자
- 토미 바이어 (1953년 출생), 작가, 음악가, 화가
- 오토 보르스트 (1924–2001), 독일 역사학자
- Helmut Krausser|헬무트 크라우서de(1964년 - ) 작가, 시인, 각본가, 작곡가
- Ralf Scheepers|랄프 시퍼스de(1965년 - ) 프라이멀 피어의 보컬리스트
- 게오르크 레슬레 (1965년 출생), 언론인
- Tobias Rehberger|토비아스 레베르거de(1966년 - ) 조각가
- 토마스 레쉬 (1968년 - ) 축구 선수
- 이자벨 파우스트 (1972년 출생), 바이올리니스트
- Roger Shah|로저 샤de(1972년 - ) 트랜스 - DJ
- Rüdiger Kauf|뤼디거 카우프de(1975년 - ) 축구 선수
- Cristian Fiél|크리스티안 피엘de(1980년 - ) 독일계 스페인인 축구 선수
- 요하네스 클라이들러 (1980년 - ) 작곡가
- Felix Luz|펠릭스 루츠de(1982년 - ) 축구 선수
- Heiko Nossek|하이코 노세크de(1982년 - ) 수구 선수
- Manuel Hartmann|마누엘 하트만de(1984년 - ) 축구 선수
- Ahmet Kulabas|아흐메트 쿨라바스de(1987년 - ) 독일계 터키인 축구 선수
- 사르다르 타스키 (1987년 - ) 축구 선수
- Ronja Kemmer|론야 켐머de(1989년 - ) 정치인, 독일 연방 하원 의원
- 론자 슈미트 (1989년 출생), 독일 정치인 (CDU), 연방 하원 의원
- David Müller (Fußballspieler, 1991)|다비드 뮐러de(1991년 - ) 축구 선수
- Ruben Reisig|루벤 라이시히de(1996년 - ) 독일계 가나인 축구 선수
- 카를 마이어 (1819–1889), 정치인, 국회의원 및 의회 부대표
- 야콥 페르디난트 슈라이버 (1809–1868), 출판사 J.F.Schreiber 설립자
8. 2. 관련 인물
- 리하르트 바움 (1902–2000), 음악학자, 음악 역사학자
- 토미 바이어 (1953년 출생), 작가, 음악가, 화가
- 오토 보르스트 (1924–2001), 독일 역사학자
- 카를 데프너 (1817–1877), 제조업자, 국회의원
- 크리스티안 피엘 (1980년 출생), 스페인계 독일 축구 선수
- 이자벨 파우스트 (1972년 출생), 바이올리니스트
- 알베르트 귄터 (1830–1914), 영국 동물학자, 에슬링겐 출생
- 볼커 하우프 (1940년 출생), 독일 정치인(SPD), 전 연방 하원 의원, 전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시장
- 볼프강 프리츠 하우크 (1936년 출생), 철학자
- 오토 하우저 (1952년 출생), 독일 정치인 (CDU), 전 연방 하원 의원 및 퇴임 국무 장관
- 발터 히를링거 (1926년 출생), 독일 정치인 (SPD), 주 의회 의원, 경제부 장관, 1990–2008년 ''Sozialverband VdK Deutschland'' 회장, 1953년부터 1968년까지 에슬링겐 시의회 의원
- 빌헬름 크리스티안 호흐슈테터 (1825–1881), 식물학자, 튀빙겐 식물원 정원사 및 감독관
- 페르디난트 폰 호흐슈테터 (1829–1884), 지리학자, 지질학자, 자연 과학자
- 요한 에버하르트 일레 (1727–1814), 화가
- 에밀 폰 케슬러 (1813–1867), 마시넨파브리크 에슬링겐(증기 기관차 공장) 설립자
- 에밀 폰 케슬러 2세 (1841–1895), 독일 기업가이자 정치인, 마시넨파브리크 에슬링겐 이사, 에밀 폰 케슬러의 아들
- 게오르크 크리스티안 폰 케슬러 (1787–1842), 현재까지 존재하는 스파클링 와인 셀러 케슬러 제크트 설립자
- 헤르만 쿠르츠 (1813–1873), 시인, 작가 및 번역가, 이졸데 쿠르츠의 아버지
- 알프레드 라이캄 (1915–1992), 공증인, 정치인, 시장, 열방의 의인
- 카를 마이어 (1819–1889), 정치인, 국회의원 및 의회 부대표
- 오토 메르츠 (1889–1933), 레이싱 드라이버
- 율리우스 모텔러 (1838–1907), 초기 독일 노동 운동 지도자, 제국 의회 부의원
- 빌헬름 무르 (1888–1945), 독일 정치인 (NSDAP), 가울라이터
- 게오르크 레슬레 (1965년 출생), 언론인
- 파울라 뤼스 (1902–1980), 독일 저항군 (프랑스 저항군) 및 페미니스트
- 토마스 루프 (1911–1996), 독일 정치인 (CDU), 에슬링겐 지역구 연방 하원 의원
- 막스 자일러 (1882–1964), 자동차 경주 드라이버 및 엔지니어
- 하인리히 시크하르트 (1558–1635), 건축가
- 루이 슐레겔 (1858–1929), 독일 정치인 (SPD), 제국 의회 및 주 의회 의원
- 론자 슈미트 (1989년 출생), 독일 정치인 (CDU), 연방 하원 의원
- 야콥 페르디난트 슈라이버 (1809–1868), 어린이 책으로 유명한 출판사 J.F.Schreiber 설립자
- Ambrosius Blarer|암브로시우스 블라러de(1492년 - 1564년) 목사, 찬송가 작사가, 1531년 에슬링겐에 종교 개혁을 가져왔다.
- Heinrich Schickhardt|하인리히 시크하르트de(1558년 - 1635년) 뷔르템베르크 공국의 건축가. 1610년 에슬링겐의 만성 예배당을 개축했다.
- 토비아스 마이어(1723년 - 1762년) 지도 제작자, 수학자, 천문학자
- Alexander Christian Friedrich von Württemberg|알렉산더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폰 뷔르템베르크de(1801년 - 1844년) 시인. 에슬링겐에 주둔했던 뷔르템베르크 제3 기병 연대 사령관이기도 했다.
- Emil Keßler|에밀 케슬러de(1813년 - 1867년) 기업가. 에슬링겐 기계 공장 설립자
- Hermann Kurz|헤르만 쿠르츠de(1813년 - 1873년) 작가, 번역가. 1858년부터 1863년까지 오버에슬링겐에 거주했다.
- Albert Dulk|알베르트 둘크de(1819년 - 1884년) 작가, 혁명가, 사회주의자, 자유사상가. 나중에 그의 이름을 따서 둘크호이셴이라고 불리게 될 건물에 여러 번 철수했다.
- 아그네스 자퍼(1852년 - 1929년) 아동 문학 작가. 1888년부터 3년 동안 에슬링겐에 거주했다.
- Frigga Haug|프리가 하우크de(1937년 - ) 사회학자, 철학자.
- Volker Hauff|폴커 하우프de(1940년 - ) 정치인. 연방 교육 연구 장관 (1978년 - 1980년), 연방 교통 장관 (1980년 - 1982년),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시장 (1989년 - 1991년)을 역임했다. 에슬링겐의 김나지움에서 공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Oberbürgermeisterwahl Esslingen 2021
https://www.staatsan[...]
Staatsanzeiger
[2]
웹사이트
Niederschlag: vieljährige Mittelwerte 1991 - 2020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23
[3]
웹사이트
Esslingen monthly weather averages
https://www.weather2[...]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25
[4]
웹사이트
Climate and monthly weather forecast for Esslingen, Germany
https://www.weather-[...]
2024-02-25
[5]
웹사이트
MBA in International Industrial Management
http://www.graduate-[...]
Graduate-school.de
2013-04-16
[6]
웹사이트
MEng in Automotive Systems
http://www.graduate-[...]
Graduate-school.de
2013-04-16
[7]
웹사이트
MEng in Design and Development for Mechanical and Automotive Engineering
http://www.graduate-[...]
Graduate-school.de
2013-04-16
[8]
웹사이트
graduate-school.de
http://www.graduate-[...]
graduate-school.de
2013-04-16
[9]
웹사이트
Esslingen und seine Partnerstädte
https://www.esslinge[...]
Esslingen am Neckar
2019-11-30
[10]
서적
Duden,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
[11]
웹사이트
Fläche seit 1996 nach tatsächlicher Nutzung
https://www.statisti[...]
Baden-Württemberg Statistisches Landesamt
2022-06-09
[12]
웹사이트
1. Stadtgebiet - Stadt Esslingen
https://www.esslinge[...]
2022-06-11
[13]
웹사이트
Ein Vaihinger Wald, der zu Esslingen gehört
http://content.stutt[...]
Stuttgarter Zeitung
2022-06-11
[14]
웹사이트
Historie des Katzenbacher Hofs
https://www.katzenba[...]
2022-06-11
[15]
웹사이트
Daten- und Kartendienst der LUBW
https://udo.lubw.bad[...]
2022-06-11
[16]
간행물
Ältermittelbronzezeitliche Siedlungskeramik von Esslingen am Neckar
[17]
서적
Deutsches Ortsnamenbuch
Walter de Gruyter
[18]
서적
Die Stadtkirche St. Dionysius in Esslingen
Theiss Verlag
[19]
웹사이트
Stauferstelen / ESSLINGEN 2016
https://www.staufers[...]
2022-06-11
[20]
웹사이트
Reformation in Esslingen
https://www.ev-kirch[...]
2022-06-11
[21]
웹사이트
Jakob Otter und die Reformation in Esslinge
https://www.wkgo.de/[...]
2022-06-11
[22]
서적
Städtische Spitalbauten in Südwestdeutschland aus der Sicht der Hausforschung. Tagung in Ravensburg am 30. April 2004
[23]
서적
Gedenkstätten für die Opfer des Nationalsozialismus., Bd. 1., Baden-Württemberg, Bayern, Bremen, Hamburg, Hessen, Niedersachsen, Nordrhein-Westfalen, Rheinland-Pfalz, Saarland, Schleswig-Holstein
Bundeszentrale für Politische Bildung
[24]
서적
Württembergisches Städtebuch
[25]
서적
Historischer Atlas von Baden-Württemberg
Erläuterungen
[26]
뉴스
U-Boot Patenschaft Esslingens / Die letzte Fahrt der U-577
https://www.stuttgar[...]
2022-06-12
[27]
서적
Historisches Gemeindeverzeichnis für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Namens-, Grenz- und Schlüsselnummernänderungen bei Gemeinden, Kreisen und Regierungsbezirken vom 27.5.1970 bis 31.12.1982
W. Kohlhammer
[28]
웹사이트
Theodor-Haecker-Preis / Internationaler Menschenrechtspreis für politischen Mut
https://www.esslinge[...]
2022-06-12
[29]
웹사이트
Klimaneutrales Stadtquartier
https://neue-weststa[...]
2022-06-12
[30]
웹사이트
Rückkehr jüdischen Lebens nach Esslingen
https://www.hagalil.[...]
2022-06-12
[31]
웹사이트
Ergebnisse des Zensus 2011
https://ergebnisse20[...]
2022-06-12
[32]
웹사이트
2. Einwohner - Stadt Esslingen am Neckar
https://www.esslinge[...]
2022-06-12
[33]
웹사이트
2. Einwohner - Stadt Esslingen am Neckar
https://www.esslinge[...]
2022-06-12
[34]
웹사이트
Gemeinderatswahlen 2019 - Stadt Esslingen am Neckar
https://www.statisti[...]
2022-06-12
[35]
뉴스
Esslingens Oberbürgermeister / Jürgen Zieger geht Ende September in den Ruhestand
https://www.esslinge[...]
2021-06-12
[36]
웹사이트
Neuwahl Oberbürgermeister:in - Stadt Esslingen am Neckar - am 2021-07-11, 25
https://wahlergebnis[...]
2022-06-12
[37]
간행물
Matthias Klopfer ist neuer OB - "Wimpernschlagfinale"
https://www.stuttgar[...]
2021-07-25
[38]
웹사이트
Bürgerausschüsse in Esslingen am Neckar
https://www.esslinge[...]
2022-06-12
[39]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en / Unsere Partnerstädte
https://www.esslinge[...]
2022-06-12
[40]
웹사이트
Satzungen und Verordnungen der Stadt Esslingen am Neckar
https://www.esslinge[...]
2022-06-12
[41]
간행물
300 Arbeitsplätze fallen weg / Eberspächer schließt Fertigung von Standheizungen
https://www.esslinge[...]
2020-05-26
[42]
웹사이트
Jetphotos - D-AIDG
https://www.jetphoto[...]
2022-06-13
[43]
웹사이트
VCD-Gemeinschaftsauto Esslingen e. V.
http://www.gemeinsch[...]
2022-06-13
[44]
웹사이트
Fuhrpark
https://www.sve-es.d[...]
SVE
2022-06-18
[45]
웹사이트
Grundschule Sulzgries
https://www.gs-sulzg[...]
2022-06-13
[46]
웹사이트
Freie Evangelische Schule Esslingen
https://www.fes-essl[...]
2022-06-13
[47]
웹사이트
Rohräckerschule Esslingen
https://www.rohraeck[...]
2022-06-13
[48]
웹사이트
Der Esslinger Höhenweg
https://www.esslinge[...]
2022-06-13
[49]
웹사이트
Tour de Zwiebel - einmal rund um Esslingen am Neckar
http://www.tour-de-z[...]
2022-06-13
[50]
웹사이트
Hohenzollern-Radweg
http://www.radtouris[...]
2022-06-13
[51]
웹사이트
Neckartal Radweg
2022-06-13
[52]
서적
Fachwerk in Deutschland
Michael Imhof Verlag
[53]
웹사이트
Rathaus - Arbeitskreis Geshichtsforschung und Denkmalpflege Marktgröningen e.V.
https://www.agd-mark[...]
2022-06-14
[54]
웹사이트
Alter Bau - Geislingen an der Steige
https://www.geisling[...]
2022-06-14
[55]
간행물
Esslingen / Kultur macht Riesensätze vorwärts
https://www.stuttgar[...]
2018-06-20
[56]
문서
http://www.statistik[...]
2013-05-01
[57]
웹인용
Niederschlag: vieljährige Mittelwerte 1991 - 2020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23
[58]
웹인용
Esslingen monthly weather averages
https://www.weather2[...]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25
[59]
웹인용
Climate and monthly weather forecast for Esslingen, Germany
https://www.weather-[...]
2024-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