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이테쓰 도요카와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테쓰 도요카와선은 아이치현 도요카와시를 운행하는 나고야 철도의 철도 노선이다. 노선 거리는 7.2km이며, 고 역에서 도요카와이나리 역까지 5개의 역이 있다. 전 노선 단선으로, 자동 폐색 방식과 M식 ATS를 사용한다. 평일 아침에는 쾌속 특급과 특급이 운행하며, 급행과 준급은 나고야 본선으로 직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선은 이케부쿠로역과 오기쿠보역을 잇는 본선과 나카노사카우에역에서 호난초역까지 연결되는 지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54년 개통하여 02계 및 2000계 전동차가 운행되고 2024년 12월부터 통신 기반 열차 제어 시스템을 도입한다.
  • 195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가은선
    가은선은 경상북도 문경시의 철도 노선으로, 은성탄광 호황기에 번성했으나 탄광 산업 쇠퇴로 폐선되었고, 현재는 문경시에서 매입하여 레일바이크 코스로 활용되고 있다.
  • 나고야 철도의 철도 노선 -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은 도요하시역과 메이테쓰 기후역을 잇는 나고야 철도의 주요 간선 노선으로, 아이치현과 기후현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며 복선 및 일부 복복선 구간과 전철화된 전 구간에서 다양한 종별의 열차가 운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 나고야 철도의 철도 노선 - 메이테쓰 쓰시마선
    메이테쓰 쓰시마선은 아이치현에 있는 11.8km의 철도 노선으로, 스가구치역에서 나고야 본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복선 및 전철화되어 준급, 급행,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 아이치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 아이치현의 철도 -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본선은 도쿄역과 고베역을 잇는 713.6km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 1872년 일부 개통 후 1889년 전 구간 개통하여 일본의 주요 간선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 의해 지역 수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메이테쓰 도요카와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메이테쓰 도요카와 선 6800계 전동차
메이테쓰 도요카와 선을 운행하는 6800계 전동차
노선도
google_map도요카와 선
개요
노선 이름메이테쓰 도요카와 선
일본어 이름名鉄豊川線
로마자 표기Meitetsu Toyokawa-sen
노선 종류통근 철도
운영 주체나고야 철도
기술 정보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최고 속도85km/h
노선 연혁
노선 정보
역 수5
소재지도요카와시, 아이치현
운행
시스템 색상도요하시 방면
기타 정보
웹사이트도요카와 선

2. 노선 정보

메이테쓰 도요카와선은 7.2km 길이의 단선 노선으로, 전 구간이 직류 1500V로 전철화되어 있다. 궤간은 1067mm이며, 기점과 종점을 포함하여 5개의 역이 있다. 스와초 역을 제외한 각 역과 신호장에서 열차 교환이 가능하다.[1] 최고 속도는 85km/h이다.

도요카와이나리 신사 참배객을 위한 노선으로 연말연시에는 혼잡하다. 전 구간이 철도사업법이 아닌 궤도법에 따라 건설되었지만, 전용 궤도를 사용하고 자동 폐색 방식을 채택하여 철도선과 같은 대형 전동차가 운행된다. 개업 초기에는 "'''도요카와 시내선'''"으로 불렸으며, 노면전차 형태의 전동차가 투입되었다. 2005년 3월 31일, 기후 지역의 기후 시내선, 미노마치선, 다가미선이 폐지되면서 메이테쓰의 유일한 궤도선이 되었다.

운임 계산은 '''C''' 구분이며, 모든 역에서 manaca 등 교통계 IC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나고야 본선의 역이기도 한 코 역을 제외한 도요카와 선의 모든 역은 무인역이다. 도요카와 선 내에서는 특별차를 연결한 쾌속 특급·특급·급행이 운행되며 모든 역에 정차하므로, 각 역의 자동 발매기에서 뮤 티켓을 구매할 수 있다.

철도 요람 상의 기점은 코 역이지만, 열차 운행, 여객 안내, 열차 번호 설정에서는 도요카와이나리역에서 코 역 방향이 하행, 반대 방향이 상행이다.

주 이용객은 나고야 본선 메이테쓰 나고야 방면으로 장거리 통근, 통학하는 승객이다. 낮 시간대 이외에는 직통 열차가 운행되어 수송력이 확보되어 있지만, 하츠모데(새해 첫 참배) 등의 이벤트가 없을 때는 도요카와 선 내에서만 이용하는 승객은 많지 않다.

코 역의 5·6번 승강장을 포함한 중간 역과 종착역인 도요카와이나리 역의 승강장은 6량 편성 기준이므로, 도요카와 선 내에서 8량 편성 열차 운행은 불가능하다.

2. 1. 노선 데이터

3. 역 목록

메이테쓰 도요카와선에는 5개의 역이 있으며, 모든 역은 아이치현 도요카와시에 있다.[4] 각 역에는 보통, 준급, 급행, 특급, 쾌속 특급 열차가 모두 정차한다.[4]

3. 1. 역 목록표

역 번호역명일본어 역명일본어역간 거리누계 거리접속 노선선로
国府일본어-0.0나고야 철도 나고야 본선
야와타八幡일본어2.52.5
스와신미치 신호장諏訪新道信号場일본어-(3.8)
스와초諏訪町일본어1.94.4
이나리구치稲荷口일본어1.66.0
도요카와이나리豊川稲荷일본어1.27.2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 (도요카와 역)



모든 열차는 각 역에 정차한다.

모든 역은 아이치현 도요카와시에 위치한다.

4. 운행 형태

도요카와이나리 참배 노선으로, 연말연시에는 혼잡하다. 전 구간이 궤도법에 근거하여 건설되었지만, 전용 궤도이며 자동 폐색을 채택하여 철도선과 같은 대형 전동차가 운행된다. 과거에는 "도요카와 시내선"으로 불리며 노면전차 타입의 전동차가 투입되기도 했다.

운임 계산 구분은 'C'이며, 모든 역에서 manaca 등의 교통계 IC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코 역을 제외한 모든 역은 무인역이며, 도요카와선 내에서는 특별차를 연결한 쾌속 특급·특급·급행이 운행되어 전 역에서 뮤 티켓을 구입할 수 있다.

열차 운행 및 여객 안내에서는 도요카와이나리역에서 코 역 방향이 하행, 반대 방향이 상행이다. 주 이용객은 나고야 본선 메이테쓰 나고야 방면으로의 장거리 통근 및 통학 수요이다. 낮 시간대 이외에는 직통 열차가 운행되어 수송력이 확보되어 있지만, 하츠모데 등의 이벤트가 없을 때는 선내 이용객은 많지 않다.

중간 역(코 역 5·6번 홈 포함)과 종착역인 도요카와이나리역의 홈은 모두 6량분이기 때문에, 도요카와선 내에서 8량 편성 열차 운행은 불가능하다.

4. 1. 열차 종류 및 운행 간격

본 항목에서는 나고야 본선에 직통하는 관계로 도요카와이나리역에서 고후역으로 향하는 열차를 하행으로 취급한다.

평일 아침 도요카와이나리역 출발 하행 기준 운행 횟수는 다음과 같다.

  • 5시대: 첫차 1편
  • 6시대: 고후역 종착 1편, 나고야 본선 직통 급행 3편
  • 7시대: 쾌속 특급·특급 각 1편, 선내 왕복 보통 2편
  • 8시대: 보통 4편


평일 상행 열차는 고후역 출발 기준으로 7시대에 나고야 방면 직통 급행 1편(2200계로 운전되지만 다른 나고야 본선 급행과 달리 앞 2량도 특별차로 개방되어 뮤 티켓 필요) 외에는 첫차부터 9시 30분까지 보통만 운행한다(토휴일 상행은 첫차부터 7시대까지 모두 보통). 아침 시간대 나고야 방면에서 도요카와선으로 가려면 기본적으로 고후역에서 환승해야 한다.

낮 시간대에는 평일·토휴일 모두 선내 왕복 보통 열차만 매시 2회 왕복 운전하며, 평일 저녁 이후에는 나고야 본선 직통 준급과 선내 왕복 보통 열차가, 토휴일 저녁에는 나고야 본선 직통 급행(아침에는 준급)과 선내 왕복 보통 열차가 교대로 운행되어 매시 4회 왕복 운전된다. 쾌속 특급·특급을 포함한 모든 우등 종별 열차는 선내 각 역에 정차한다. 토휴일 20시 이후에는 나고야 본선 직통 급행 또는 준급만 매시 2편, 22시부터 23시대 막차까지는 평일·토휴일 모두 상행은 준급, 하행은 고후역행 보통만 매시 2편이 되며, 최종 도요카와이나리역행만 고후역 출발 보통이다. 이 열차는 최종 1편 전(최종 도요하시행은 쾌속 특급이므로 고후역 통과)의 특급 도요하시행에서 연결된다(2021년 5월 22일 다이어 개정 이후에도 나고야 방면에서 도요카와선 각 역으로의 막차 시각은 종전과 변함없이, 개정 후 약 17분 늦어진 도요하시역보다 빠르다).

이전에는 차량이 고후역에서 야간 체박을 위해 첫차 전과 막차 후에 회송 열차가 운행되었지만, 현재는 막차 차량(3500계, 3300계, 9500계 등 3000번대·9000번대 차량 6량)이 그대로 도요카와이나리역에서 야간 체박하고 다음 날 첫차가 된다.

현행 다이어에서는 낮~저녁 상하 열차 교행이 야와타역에서 매시 4회(본선 직통 열차끼리·선내 열차끼리), 이나리구치역에서 2회(상행 급행 또는 준급과 하행 보통) 이루어진다. 도요카와선에서는 고후역 장내·원방 신호기를 제외하고 모두 2등식 신호기로, 안전 측선도 없기 때문에 교행 시에는 양 역 및 스스와 신도 신호장 모두 반드시 한쪽 열차가 먼저 도착한 후 대향 열차가 진입한다. 현행 낮 시간대에 보통만(보통 열차 임시 증편 없는 경우) 매시 2편 다이어에서는 이나리구치역에서만 상하 열차가 교행한다.

고후역에서는 나고야 본선에 접속·직통하지만, 급행에 접속·직통하는 예가 많고, 특급·쾌속 특급에 접속·직통하는 예는 적다. 현행 다이어에서는 나고야 방면행 직통 열차는 고후역에서 3분 만에 도요하시행 급행에, 반대로 본선으로부터의 직통 열차는 도요하시발 특급으로부터 5~7분 만에 접속한다. 보통 고후역 종착은 종착역 고후역에서 4분 만에 나고야 방면 특급에 접속하지만, 이 열차만 도요하시행으로의 접속은 없다(급행 도요하시행까지 기다리게 된다). 또한, 보통 고후역 출발은 상하 양 방향 본선 급행에서 접속한다.

2021년 5월 22일 다이어 개정으로 평일 낮 시간대 열차는 나고야 본선으로 직통하지 않게 되어, 선내 왕복 보통 열차로 변경되었다. 급행 대체 보통 열차는 급행의 도요카와선 내 다이어를 답습하여, 도요카와이나리역행은 고후역에서 상하 각 방면 본선 특급에서 접속하고, 고후역행은 급행 도요하시행에 접속한다(나고야 방면으로는 급행 기후행 출발 후 고후역에 도착, 쾌속 특급 통과로 접속 열차 없고, 특급까지 기다리게 된다).

2021년 5월 22일 다이어 개정 이후 종별별 기본 다이어는 다음과 같다.

아침 메이테쓰 기후행 특급(91열차)


평일 아침 7시대 하행 방면에만 일부 특별 차량 쾌속 특급(83열차)과 특급(91열차)이 각각 1편씩 설정되어 있다.[21] 모두 목적지는 나고야 본선 메이테쓰 기후역이다. 당초 2편 모두 쾌속 특급이었지만, 2011년12월 17일 다이어 개정으로 91열차가 특급으로 변경되었다. 2편 모두 2200계로 운행되며, 쾌속 특급은 고후에서 3100계, 3150계, 9100계 중 하나를 연결한 8량으로 운행한다. 이 쾌속 특급은 고후역에서 뒤 2량을 폐쇄하므로, 뒤 2량 특별 차량에서는 홈에 직접 승하차할 수 없어 일반 차량 3호차에서 승하차해야 한다.

쾌속 특급, 특급 모두 도요카와선 내 각 역에 정차하는 것 외에 나고야 본선 혼슈쿠역·미아이역에도 특별 정차하므로, 실질적으로 히가시오카자키역까지(특급은 지류역까지) 급행과 같은 정차역이 되어, 쾌속 특급과 특급 차이는 신안조역 통과 여부뿐이다.[22][23] 설정 당초에는 도요카와선 내 각 역도 특별 정차 취급이었다.[22] 2023년 3월 18일 개정 이후에는 표준 정차역이 되었다.

2011년 3월 이전 상황을 거슬러 올라가면, 2005년 1월 29일 개정부터 2011년 3월 26일 개정까지 평일 아침 2200계 일부 특별 차량 운용 1왕복(상행 신우누마 발, 하행 나고야행) 설정, 등장 시에는 2200계 유일 본선 동부, 도요카와선 정기 운용이었다.[15]

1993년 8월 12일 개정[12] 부터 2008년 12월 27일 개정까지[16] 전차량 특별 차량(전차량 지정석) 특급도 설정, 2005년 1월 29일 개정 전까지 러시 시간대 1시간 1편[24] (1600계 유일 중련 운용) 설정, 말기에는 평일 1왕복(412열차, 283열차)으로 감편되었다.[25] 해당 열차는 1000계 4량 편성으로 운행, 전날 밤 메이테쓰 나고야역에서 도요카와이나리행 운전 후 고후역 숙박, 다음날 아침 도요카와이나리 발 신우누마행(2007년 6월 29일 개정까지 고후역 4량 증결) 운행했다. 선내 중간 정차역은 스와마치역뿐, 나고야 본선 미아이역에도 특별 정차했다.[26]

4. 2. 연선 개황

나고야 본선과 킬로미터 포스트 0.5 지점까지 나란히 달리다가 왼쪽으로 반경 600m 커브를 돌아 본선과 갈라진다. 이후 전원 지대를 빠르게 달리며, 과거 시라토리역이 있던 곳에서 23permil 경사를 올라 1996년에 완성된 고가 구간에 진입하면 주택가가 나타나고, 곧 야하타역에 도착한다.

역 북쪽에는 음식점과 슈퍼마켓이 있고, 남쪽에는 대형 메이커와 지역 기업의 제과 공장이 있는 노지 공업 단지가 펼쳐져 있다. 2013년 5월에는 도요카와 시민 병원이 역 근처로 이전했고, 2023년 4월에는 이온몰 도요카와가 개점했다.

야하타역을 지나 과거 이치다역 부근에서 다시 지상으로 내려와 스와신도 신호장을 통과하면, 양쪽에 도로(현도 스와 정차장선)가 나란히 이어지다가 스와마치역에 도착한다. 이 지역은 전후 공공 시설과 상업 시설 등이 모여 도요카와시의 중심 시가지로 발전했다. 역의 이나리구치역 방면에는 남대통(현도 도요하시 도요카와선)과 교차하는 건널목이 있어 차량 통행이 많다.

스와마치역에서 이나리구치역 사이는 사나카와 교량 부분을 제외하고 선로 양쪽에 도로가 있다. 1960년대까지는 선로와 도로 사이에 울타리가 없었고, 구간 최고 속도는 60km/h로 제한된다. 이나리구치역은 과거 종착역이었으며, 남쪽에 유치선이 있었다.

이나리구치역에서 종착역인 도요카와이나리역까지는 집 사이를 지나가며, 구간 최고 속도는 55km/h이다. 왼쪽으로 반경 200m 급커브를 돌아 JR 이다선 선로에 가까워지고, 히메 가도 건널목을 지나 JR 도요카와역 건물이 보이면 종점인 도요카와이나리역에 도착한다.

5. 역사

1945년, 일본 해군 조선소 수송을 위해 코 시야쿠쇼마에 (현재 스와초)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직류 600V로 전철화되었다.[2] 당시 전시 상황으로 인해 레일은 다른 노선(여러 설이 있음)에서 가져왔고, 도요카와 변전소는 아츠미선 텐파쿠 변전소의 기기를, 차량은 세토선, 이비선, 타니쿠미선의 차량을 활용했다.

종전 후, 1948년도요카와시가 노선 연장 계획을 추진하여 운수성의 허가를 받았으나, 토지 문제로 인해 중단되었다. 1953년에는 전압이 직류 1,500V로 승압되었고, 1954년에는 도요카와이나리까지 노선이 연장되어 코사이 지선은 폐지되었다.

1970년대에는 아침 러시아워 시간에 3880계가 운용되거나, 하츠모데(새해 첫 참배) 특급으로 키하8000계가 운행되기도 했다. 1982년에는 자동 폐색화가 이루어졌고, 이나리구치역을 제외한 중간역과 신호장의 교행 설비 분기기가 원격 조작화되어 연중 사용하게 되었다. 또한, 각 교행 설비에 출발 신호기가 설치되어 교환 시 좌측 통행이 가능하게 되었다.[4]

2000년경에는 대부분의 목제 전주가 PC주로 교체되었다. 2005년까지는 8800계 단체 열차가 한 달에 한 번 운행되기도 했다.

도요카와선은 철도사업법이 아닌 궤도법에 근거한 궤도로 건설되었지만, 전 구간 전용 궤도이며 자동 폐색을 채택하여 철도선과 같은 대형 전동차가 운행된다. 개업 초기에는 '도요카와 시내선'으로 불리며 노면전차 형태의 전동차가 투입되기도 했다.

5. 1. 주요 연혁


  • 1945년: 일본 해군 조선소 수송을 위해 코 시야쿠쇼마에 (현재 스와초)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직류 600V로 전철화되었다.[2] 전시 중이었기 때문에 레일은 다른 노선(여러 설이 있음)에서, 도요카와 변전소는 아츠미선 텐파쿠 변전소 기기를, 차량은 세토선, 이비선, 타니쿠미선의 차량을 전용해서 충당했다.
  • 1948년: 도요카와시에 의해 노선 연장 계획이 진행되어 운수성의 허가를 얻었으나, 토지 문제로 중지되었다.
  • 1953년: 전압이 직류 1,500V로 승압되었다.
  • 1954년: 도요카와이나리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코사이 지선은 폐지되었다.
  • 1970년대: 아침 러시아워 시간에 3880계가 운용되거나, 하츠모데(새해 첫 참배) 특급으로 키하8000계가 운행된 적이 있다.
  • 1982년: 자동 폐색화가 이루어졌다. 이나리구치역을 제외한 중간역과 신호장의 교행 설비 분기기가 원격 조작화되고, 통년 사용하게 되었다. 각 교행 설비에 출발 신호기가 설치되어 교환 시 좌측 통행이 가능하게 되었다.[4]
  • 2000년경: 대부분의 목제 전주가 PC주로 갱신되었다.
  • 2005년까지: 8800계 단체 열차가 한 달에 한 번 운행되었다.

5. 2. 이용 현황

令和3年度일본어까지의 연도별 주요 역의 이용객 수는 다음 표와 같다.[2]

역명개업 연도연도별 이용객 수
1997년2002년2007년2012년2015년2017년2019년2021년
1944년2,6502,7422,8043,1953,4803,5963,5252,581
야와타1972년1,9632,0722,1752,4082,5862,6052,6191,988
스와초1945년1,3821,2851,0811,1631,2321,2771,294978
이나리구치1954년238219193183180162171141
도요카와이나리1954년3,1242,6422,5562,7102,8432,8672,8162,100



도요카와이나리 역은 연말연시에 많은 참배객으로 붐빈다.

참조

[1] 서적 名古屋鉄道 今昔―不死鳥「パノラマカー」の功績 交通新聞社 2017-08
[2] 서적 名鉄の廃線を歩く JTB
[3] 서적 写真アルバム 岡崎・西尾の昭和 樹林舎
[4] 문서
[5] 서적 鉄道辞典 日本国有鉄道 1958-03-31
[6] 간행물 名古屋鉄道 豊川線のあゆみ 電気車研究会 1979-12
[7] 서적 地方鉄道軌道統計年報 白泉社 1955-12-15
[8] 간행물 名古屋鉄道 豊川線のあゆみ 電気車研究会 1979-12
[9] 서적 日本鉄道旅行歴史地図帳 7号 東海―全線全駅全優等列車 新潮社
[10] 서적 名古屋本線東部・豊川線 フォト・パブリッシング
[11] 서적 日本鉄道旅行歴史地図帳 7号 東海―全線全駅全優等列車 新潮社
[12] 간행물 1993年8月 地下鉄鶴舞線全通と名鉄ダイヤ改正 電気車研究会 1993-10
[13] 뉴스 八幡駅付近の高架 14日から使用開始 交通新聞社 1996-12-10
[14] 간행물 名古屋鉄道空港線開業―1月29日名鉄ダイヤ改正 電気車研究会 2005-05
[15] 간행물 名古屋鉄道空港線開業―1月29日名鉄ダイヤ改正 電気車研究会 2005-05
[16] 웹사이트 平成20年12月27日(土)にダイヤ改正を実施 ―もっと身近に ますます便利― http://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14-10-15
[17] 서적 まるごと名古屋の電車 激動の40年: 愛知・三重・岐阜 昭和後期 - 平成 鉄道の記録 河出書房新社
[18] 웹사이트 2011年3月26日(土)から新ダイヤスタート ―朝の特急がより便利に― http://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14-10-15
[19] 웹사이트 一部の急行列車における特別車両券の発売について https://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21-05-06
[20] 간행물 5月22日(土)に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https://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21-03-16
[21] 서적 JTB私鉄時刻表 関西 東海2024 JTBパブリッシング
[22] 서적 名鉄時刻表 Vol.26 2011.12.17号 名古屋鉄道
[23] 문서
[24] 서적 名鉄時刻表 Vol.19 名古屋鉄道
[25] 서적 名鉄時刻表 Vol.22 名古屋鉄道
[26] 문서
[27] 간행물 名古屋鉄道 列車運転の興味 電気車研究会 2009-03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웹사이트 平成 17 年度年末年始輸送について ―空港アクセス特急の増発や車両の増強を実施― ―豊川線、モノレール線で時刻変更と車両の増強などを実施― http://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14-10-15
[32] 문서
[33] 뉴스 名鉄豊川線増便へ イオンモール豊川来春開業に備えて/名鉄八幡駅発着 https://www.tonichi.[...] 東海日日新聞社 2023-01-04
[34] 뉴스 イオンモール豊川 4月4日にグランドオープン http://www.higashiai[...] 2023-02-08
[35] 간행물 「イオンモール豊川」の開業にあわせ豊川線を増発し、輸送力を増強します https://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23-02-08
[36] 간행물 「イオンモール豊川」の開業にあわせた豊川線の増発を延長します。 https://www.meitetsu[...] 名古屋鉄道 2023-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