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테쓰 나고야 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은 일본 아이치현의 도요하시역에서 기후현의 메이테쓰 기후역까지 연결하는 나고야 철도의 간선이다. 총 연장 99.8km로, 60개의 역이 있으며,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 이다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한다. 열차 종류는 뮤 스카이, 쾌속특급, 특급, 급행, 준급, 보통 등 다양하며, 고속 운전을 통해 도카이도 본선과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1914년 비와지마바시역-스카구치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여러 회사의 합병과 노선 연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미전선
미전선은 경부선 부산 방면 열차가 경전선으로 진입하도록 경상남도 밀양시에 건설된 삼각선 형태의 철도 노선으로, 과거 평면교차 문제와 열차 충돌 사고를 겪었으나 입체교차 개량 및 복선화, 전철화를 거쳐 현재는 모든 열차가 통과한다. - 194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가야선
가야선은 부산 사상역과 범일역을 잇는 8.3km의 철도 노선으로, 과거 군수물자 수송에 이용되었으나 현재는 KTX 개통에 맞춰 복선 전철화되었고 사상역, 가야역, 범일역 3개의 역이 운영 중이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기후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 기후현의 철도 -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본선은 도쿄역과 고베역을 잇는 713.6km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 1872년 일부 개통 후 1889년 전 구간 개통하여 일본의 주요 간선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 의해 지역 수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191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191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호남선
호남선은 대전에서 목포를 잇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 쌀 수송을 위해 건설되어 복선화 및 전철화 사업을 거쳐 KTX 운행과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서대전~논산 구간 직선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종류 | 통근 철도 |
노선 상태 | 운영 중 |
관할 구역 | 아이치현 기후현 |
기점 | 도요하시 역 |
종점 | 메이테쓰 기후 역 |
역 수 | 60 |
일일 승차량 | 221,098명 (2008년) |
개업일 | 1944년 9월 1일 (현재 형태) |
운영 주체 | 메이테쓰 |
노선 길이 | 99.8km |
전철화 방식 | 가공 전차선 1,500V 직류 |
최고 속도 | 120km/h |
웹사이트 | 나고야 철도 나고야 본선 |
![]() | |
노선 약칭 | |
다른 이름 | 나고야 선 |
일본어 이름 | 名鉄名古屋本線 |
로마자 표기 | Meitetsu Nagoya Honsen |
한국어 이름 |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 |
기술 정보 | |
차량 | 해당 사항 없음 |
차량기지 | 해당 사항 없음 |
최소 곡선 반지름 | 해당 사항 없음 |
랙 시스템 | 해당 사항 없음 |
노선 번호 | 해당 사항 없음 |
해발 고도 | 해당 사항 없음 |
역사 정보 | |
서부선 개업 | 1914년 1월 23일 |
동부선 개업 | 1917년 3월 7일 |
동서 연락선 개업 | 1944년 9월 1일 |
마지막 연장 | 1948년 4월 18일 |
이전 소유자 | |
이전 소유자 | 나고야 전기 철도 미노 전기 궤도(미노덴) 아이치 전기 철도(아이덴) (구) 나고야 철도 오와리 철도 미노덴 아이덴 메이키 철도 아이덴 나고야 철도 |
2. 노선 정보
- 노선 거리(영업 킬로): 99.8km
- 궤간:
- 역 수: 60개(기점, 종점 포함)
- 복선 구간
- * 이중 복선: 진구 앞 역 - 가나야마 역 (나고야 본선·도코나메 선 열차가 각 2개의 선을 따로 사용)
- * 복선: 히라이 신호장 - 진구 앞 역, 가나야마 역 - 메이테쓰 기후 역
- * 단선: 도요하시 - 히라이 신호장 (JR 이다선과 공용)
- 전철화 구간: 전선 전철화 (직류 1500V)
- 폐색 방식: 자동 폐색식
- 최고 속도: 120km/h (도요하시 역 - 히라이 신호장 구간은 85km/h)
- 최급 경사: 35‰ (산노역 - 메이테쓰 나고야 역 구간)
- 최소 곡선 반경: 160m (히가시비와지마역 - 비와지마 분기점 구간, 가노역 - 메이테쓰 기후 역 구간, 상행선만 히가시비와지마역 - 사코역 구간)
- 최장 노선 구간: 상행선 메이덴 아카사카역 동쪽 - 히라이 신호장 남쪽(도요카와 방수로 교량) 약 8.8km, 하행선 히라이 신호장 북쪽 - 메이덴 아카사카역 동쪽 약 7.8km
- 운행상의 병목 구간: 메이테쓰 기후역 구내 단선 구간, 비와지마 분기점, 메이테쓰 나고야역, 도요하시역 - 히라이 신호장 구간 (JR 도카이와 공동 사용)
2. 1. 도카이 여객철도와의 공동 구간
도요하시역 북서쪽 3.8km 지점에 있는 시모지역에서 고자카이역 구간의 히라이 신호장까지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 이다선과 선로를 공용한다. 하행선(메이테쓰 기후 방면)은 JR 도카이 소유, 상행선(도요하시 방면)은 메이테쓰 소유이다. 후나마치역, 시모지 역은 JR 도카이 전용역으로 메이테쓰 열차는 정차하지 않는다.[1]3. 운행 형태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은 도요하시 역과 기후 역 사이를 잇는 노선으로, 다양한 노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대부분의 열차가 메이테쓰 나고야 역 및 가나야마 방면으로 운행되며, 특히 비와지마 분기점과 가나야마 역 사이 구간은 매우 높은 빈도로 열차가 운행된다.[9]
나고야 본선은 도요하시시 - 나고야시 - 기후시의 각 도시를 잇는 메이테쓰의 간선 노선이며, 유일하게 "본선"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통칭 "메이테쓰 본선"이라고 불린다. 전 구간에서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의 도카이도 본선과 경쟁하고 있다.
메이테쓰 나고야역은 메이테쓰 최대의 터미널역이자 사철에서는 드물게 통과형 터미널역으로[4], 이누야마선, 도코나메선, 공항선(주부 국제공항 방면) 등 다방면의 메이테쓰 열차가 직통 운전을 한다.[5]
고후역에서 도요카와선, 신안조역에서 니시오선, 진구마에역에서 도코나메선(주부 국제공항, 가와와역, 우치우미역 방면)과 직통 운행하며, 가나야마역에서 선로가 합류·분기한다. 쇼나이가와 철교 북쪽의 비와지마 분기점에서는 이누야마선(신가니역 방면), 스케고로역에서는 쓰시마선(사야역 방면)과 직통 운행한다.[8] 이처럼 다양한 노선과 직결 운행하는 열차의 대부분은 메이테쓰 나고야역·가나야마역 방면으로 운행되며, 비와지마 분기점(쇼나이가와 철교) - 진구마에역 간에서는 이른 아침·심야를 제외하고 평균 2 - 3분 간격(일중에도 1시간에 26개)의 고빈도로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나고야 본선은 전통적으로 고속 운전을 해왔다. 1990년 이후에는 선형이 좋은 일부 구간에서 120km/h(증압 브레이크, ABS 장착 차량에 한함) 운전이 가능해졌으며, 이는 궤간이 1067mm인 재래 사철 노선으로는 고속에 속한다. 우등 열차(도요하시 발착 급행 포함)의 최고 속도 120km/h 운전은, 이나역 - 메이덴나가사와역(상행은 실질적으로 메이덴아카사카역 이동), 야하기바시역 - 지류역(실질은 우시다역 이동), 신키요스역 - 기소가와즈쓰미역(묘코지역 - 메이테쓰이치노미야역만 실질적으로 115km/h)의 각 구간에서, 대응 차종에 의해 실시되고 있다.
상행과 하행의 아침 혼잡 시간대 최혼잡 구간 및 평균 혼잡률(2022년도 기준)은 다음과 같다.[52]
최근의 수송 실적은 아래 표와 같다.
3. 1. 열차 종류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뮤 스카이 (μSKY): 전 좌석 특별차로, 주부 국제공항과 기후 역 구간을 운행한다.
- 쾌속특급/특급: 일부 차량은 특별차, 일부 차량은 일반차로 운행된다.
- 도요하시 역 - 기후 역 구간: 하행은 특급, 상행은 쾌속특급으로 운행된다.
- 도요하시 역 - 신우누마 역 구간: 하행은 쾌속특급, 상행은 특급으로 운행되며, 이누야마 선과 직통 운행한다.
- 주부 국제공항 - 기후 역 구간: 특급이 운행된다.
- 니시오 선 직통: 기라요시다 역 - 스카구치 역 구간에 전 차량 일반차 특급이 평일 아침 1편 운행된다.
- 급행: 전 차량 일반차로 운행된다.
- 도요하시 역 - 메이테쓰이치노미야 역 구간에 주로 운행되며, 일부는 도요카와이나리 역 - 메이테쓰이치노미야 역 구간을 운행한다.
- 준급: 전 차량 일반차로 운행된다.
- 도요아케 역 - 진구마에 역·메이테쓰 나고야 역·스카구치 역 - 사야 역·야토미 역 구간등에 운행을 한다.
- 보통: 전 차량 일반차로, 모든 역에 정차한다.
종류 | 운행 구간 | 차량 | 비고 |
---|---|---|---|
뮤 스카이 | 주부 국제공항 - 기후 역 | 전 좌석 특별차 | |
쾌속특급/특급 | 도요하시 역 - 기후 역 도요하시 역 - 신우누마 역 주부 국제공항 - 기후 역 기라요시다 역 - 스카구치 역 | 일부 특별차 (니시오 선 직통은 전 차량 일반차) | |
급행 | 도요하시 역 - 메이테쓰이치노미야 역 등 | 전 차량 일반차 | |
준급 | 도요아케 역 - 진구마에 역·메이테쓰 나고야 역·스카구치 역 - 사야 역·야토미 역 | 전 차량 일반차 | |
보통 | 전 구간 | 전 차량 일반차 | 모든 역에 정차 |
3. 2. 운행 구간 및 특징
메이테쓰 나고야 본선은 도요하시시-나고야시-기후시의 각 도시를 잇는 메이테쓰의 간선 노선이며, 유일하게 "본선"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통칭 "메이테쓰 본선"이라고 불린다. 전 구간에서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의 도카이도 본선과 경쟁하고 있다.나고야 본선은 메이테쓰 최대의 터미널역인 메이테쓰 나고야역을 통과한다. 이 역은 사철에서는 드물게 통과형 터미널역이며[4], 당 노선을 통해 이누야마선이나 도코나메선·공항선(주부 국제공항 방면) 등 다방면의 메이테쓰 열차가 직통 운전을 하고 있다[5].
고후역에서 도요카와선, 신안조역에서 니시오선, 진구마에역에서 도코나메선(주부 국제공항·가와와역·우치우미역 방면으로도 직통 운행), 선로는 가나야마역에서 합류·분기), 쇼나이가와 철교 북쪽의 비와지마 분기점에서 이누야마선(신가니역 방면으로도 직통 운행), 스케고로역에서 쓰시마선(사야역 방면으로도 직통 운행)[8]이 분기·합류하여 많은 열차가 직통 운행한다. 이러한 열차의 대부분이 메이테쓰 나고야역·가나야마역 방면으로 운행되며, 비와지마 분기점(쇼나이가와 철교) - 진구마에역 간에서는, 이른 아침·심야를 제외하고 평균 2 - 3분 간격(일중에도 1시간에 26개)의 고빈도로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이 때문에 사고나 재해에 의한 운행의 혼란이 여러 노선(메이테쓰 나고야역에 들어가지 않는 미카와선·고마키선 등을 제외)에 미치는 경우가 많다[9]。또한 뮤 스카이·특급·쾌속 특급을 제외한 많은 열차가 중간역에서 종별 변경을 실시하고 있다.
주간의 운행 패턴은 다음과 같다. 각 절에서 운행 횟수는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1시간당의 것이다.
- 도요하시 역 - 메이테쓰 기후 역 구간
도요하시역 - 메이테쓰 기후역 간에는 하행은 '''일부 특별차'''의 특급이, 상행은 '''일부 특별차'''의 쾌속 특급이 각각 2편씩 운행되고 있다. 그 외 구간 열차로, 스가구치 종착(평일에 도요하시 발이 2편과 키라요시다 발이 1편 운행), 상행은 코후 종착(심야에 나고야 발. 휴일은 기후 발 1편만), 이나 종착(평일 심야에 1편만 운행, 미아이에도 정차) 및 히가시오카자키 종착이 있다.
기본 정차역에서의 전 구간 표준 소요 시간은 메이테쓰 나고야역을 1분 정차로 하여, 쾌속 특급이 79분(명기 간 29분·명풍 간 49분), 특급이 82분(명기 간 29분·명풍 간 52분)이다.
쾌속 특급·특급 모두, 아침이나 심야에는 도요하시 방면에서 급행을 보완하기 위해, 표준 정차역 외에 이나역이나 코후역에 정차하는 경우가 있다.
평일 아침의 기후 발 특급 도요하시 행 2편은, 나루미에도 정차한다. 2011년 3월 26일 시간표 개정으로 평일에 한해 도요하시 8시 32분 발 기후 행 특급은, 개정 이전에는 본선 특급은 통과하지만, 쓰시마·사야 방면 특급의 정차역인 스가구치에도 정차한다. 2011년 3월 26일 시간표 개정에서는 메이테쓰 나고야역 23시 57분 발 히가시오카자키 행 전 차량 일반차 특급이 설정되어 있다. 마지막 기후 발 쾌속 특급 도요하시 행(2021년 5월 22일 시간표 개정으로 특급 코후 행에서 변경)과 평일 아침 도요하시 6시 51분 발 쾌속 특급 기후 행은, 신안조에도 정차한다.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에서는 급행이 기본적으로 메이테쓰 이치노미야역에서의 회차로 단축되었기 때문에, 낮에 나고야 본선을 통과하는 열차는 이 절에 기재된 쾌속 특급 및 특급의 매시 2편만 되었다.
- 이누야마 선 직통 계통
이누야마선으로 직통하는 특급으로, 도요하시역 - 신우누마역 간에 하행은 '''일부 특별 차량'''의 쾌속 특급으로, 상행은 '''일부 특별 차량'''의 특급으로, 각각 2편씩 운행하고 있다. 이 운행 계통은 1996년부터 도요하시 방면에서 나고야 공항으로의 접근을 목적으로 평일 아침에 1편만 운행하고 있었으며, 도요하시 방면에서 이누야마선으로 유일하게 직통하는 일부 특별 차량 특급으로 알려져 있었다. 2005년 1월의 개정으로 한 번 폐지되었지만, 2007년 6월의 개정으로 시각을 다소 변경하여 부활했으며, 2008년 12월의 개정으로 대폭 증가했다. 평일 아침에는 이누야마행이 1편만 설정되어 있다. 사용 차량은 상기 도요하시 - 기후의 계통과 같다.
- 주부 국제공항 발착 계통
주부 국제공항으로 가는 연락 특급으로, 주부 국제공항역 - 메이테쓰 기후역 간에는 '''전차량 특별차'''인 뮤 스카이 1편(주간 이외), '''일부 특별차''' 특급 2편이 운행되고 있다. 2008년 12월 시간표 개정 이전에는 낮에도 도요하시역 발착 열차가 1시간에 1편 운행되었지만, 주부 국제공항 방면보다 나고야 방면 이용자가 압도적으로 많아 환승의 불편이 두드러져 이를 폐지하고 대신 메이테쓰 기후역 발착 열차를 증편했다(저녁 이후에도 설정). 주부 국제공항역 - 메이테쓰 기후역 간 열차와 도요하시역 - 신우누마역 간 열차는 가나야마역 또는 진구마에역에서 모두 같은 홈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2011년 3월 26일 시간표 개정부터, 종래 운행되던 도요하시 발 주부 국제공항행 일부 특별차 특급(2005년 1월 개정으로 설정. 역 배선의 사정상 가나야마역에서 회차)과 메이테쓰 나고야역 - 메이테쓰 기후역 간의 낮 시간대의 뮤 스카이가 폐지되어, 이 시간대의 뮤 스카이는 주부 국제공항역 - 메이테쓰 나고야역 간의 왕복 운행이 되었다. 또한, 심야에는 도코나메·공항선의 상행 나고야 방면과 나고야 본선의 하행 이치노미야 방면으로의 막차를 겸한 주부 국제공항 발 기후행 전차량 일반차 특급이 설정되어 있다.
현재, 메이기선 - 도코나메선의 일부 특별차 특급은 2200계로 운전되고 있다. 폐차 이전의 1700계도 충당되었다. 또한, 도요하시 발착 열차는 등장 시 1200계, 폐지 시점에서는 2200계로 운전되었다.
- 니시오 선 직통 계통
니시오 선 계통으로, 기라요시다역에서 스가구치역까지의 '''전 차량 일반 차량''' 특급을 평일 아침에 1편만 운행하고 있다. 과거 이 계통은 전 차량 특별 차량으로 사야역 또는 기라요시다역까지 운행되었으며, 1600계나 1000계 4량 편성 등으로 운전되었다. 2008년 6월 29일 시간표 개정으로, 아침의 니시오 발 나고야 행과 야간의 나고야 발 니시오 행 각 1편이 일부 특별 차량화된 외에는 모두 쾌속 급행(현재는 급행)으로 격하되었다.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으로, 일부 특별 차량의 특급이 폐지되어, 전 차량 일반 차량 특급으로 운용하게 되었고, 시발역도 니시오역에서 기라요시다역으로 연장되었다.
- 기타 구간
평일 아침에는 도요카와이나리 발 기후 행 쾌속 특급·특급(2200계 6량, 각 1편만. 혼슈쿠역과 미아이역에 특별 정차)이나, 가와와 발 기후 행(평일은 1200계 8량, 휴일은 2200계 6량) 등의 열차도 있다. 모두 일부 특별 차량으로 운행된다.
가나야마역 - 히가시오카자키역에서는 낮에도 혼잡이 심할 때가 있다. 이는 지류역 이 동쪽에서의 최선착 열차인 것과 지류역에서의 이용객이 많은 것이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나고야-기후 간에서는 쾌속 특급·특급은 모든 열차가 쾌속 급행 정차역인 신키소카와역과 가사마쓰역에도 정차하며(아침의 특별 통과는 2023년 3월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소요 시간이 29분 - 31분이다. 유일하게 두 역을 통과하는 뮤스카이도, 나고야-기후 간은 지연 여유를 감안하여 27 - 28분 걸려 운행한다.
- 급행
- 豊橋역 - 메이테쓰이치노미야역 구간은 시간대에 따라 豊川稲荷駅 - 메이테쓰이치노미야역 구간의 급행이 번갈아 설정되어, 총 2~4편이 매시 운행된다.
- 평일 저녁 이후의 豊川稲荷駅 발착 열차는 오다리역에 특별 정차하며, 히가시오카자키역 - 豊川稲荷駅 구간은 준급으로 종별이 변경되어 후지카와역과 오토가와역에도 정차한다.
- 평일 아침에는 이누야마선이나 쓰시마·비사이선을 발착하는 열차도 운행된다.
- 아침 러시 아워나 심야에는 고후행·이나행도 설정되어 있다.
- 1994년부터 2000년 3월까지 평일, 휴일 모두 저녁에 豊橋역 - 신카니역·미타케역 간 및 도코나메역 - 신기후역(현재의 메이테쓰기후역) 간의 급행이 설정되어 있었다.
- 2003년까지는 아침과 저녁 이후에 야하기바시역에 특별 정차했다.
- 2008년 12월의 다이어 개정 이후, 젠고역·사카에마치역에의 특별 정차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지만, 2011년 3월 다이어 개정에서는, 후술할 준급 감축에 의해, 평일 낮에 豊川稲荷 발착 계통에서, 후타쓰이리역과 아리마쓰역 두 역에서 준급 감축을 보완하는 특별 정차가 실시되었다.
- 2021년 5월 다이어 개정부터, 평일 낮의 豊川稲荷 발착 계통의 운행이 없어졌다. 또한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은 후술할 준급이 거의 운행되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2011년 3월 다이어의 평일 낮에 행해졌던 후타쓰이리역과 아리마쓰역 두 역에의 특별 정차가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로 변경되었다. 또한, 히가시오카자키역 이동에서의 준급으로의 종별 변경과 오다리역에의 특별 정차는 평일 저녁 이후를 제외하고 거의 소멸했다.
- 2021년 10월 다이어 개정부터, 낮에는 豊川선의 본수가 보통 열차만 매시 2편으로 감편되기 때문에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낮의 일부 급행이 豊川선으로 들어가지 않게 되어 고후역에서 회차하게 되었다.
- 2023년 3월 다이어 개정부터,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낮의 豊川稲荷駅·고후역 - 메이테쓰이치노미야역 간의 급행은 후술할 도요아케역 - 스가구치역 간의 준급으로 운행 구간의 단축 및 종별 격하가 이루어졌다. 豊橋역 발착의 급행도 기본적으로 메이테쓰이치노미야역에서의 회차로 단축되어, 낮 이후 기본적으로 급행은 메이테쓰기후역으로 가지 않게 되었다.
- 낮의 豊橋역·豊川稲荷駅·고후역 - 메이테쓰기후역·메이테쓰이치노미야역 간의 급행은 각각 다음 역에서 우등 열차와 연결 또는 통과 대기를 한다.
- 豊橋 발 이치노미야행: 젠고역(快速特急)
- 豊川稲荷 발 이치노미야행: 고후역(快速特急), 호리타역(특급)
- 이치노미야 발 豊川稲荷행: 나루미역(특급)
- 이치노미야 발 豊橋행: 나루미역(快速特急)
- 6량 편성으로의 운행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평일, 휴일 모두 4량으로의 운전이 늘고 있다. 또한, 아침과 심야에는 8량 편성으로의 운전도 있다. 더욱이, 대피역에서 증결 또는 분리를 하는 열차도 있다. 豊橋역 발착의 열차는 특급의 틈새 운용을 제외하고 120km/h 운전 가능한 3100·3150·3300·3500·3700·9100·9500계가 충당된다[10]。豊川稲荷(고후) 발착은 이들 7개 계열에 더해 6000·6500·6800계(豊川선·비사이선 원맨 차량 포함)에서의 운전도 있을 뿐만 아니라, 2024년 3월 개정부터는 5000계에서의 운용도 설정되어 있다. 아침에는 특급으로의 송출, 심야에는 특급으로부터의 회차를 위해, 1200계나 2200계에서의 운전도 이루어지고 있다.
- 쾌속 급행은 2008년 12월의 개정 이후, 아침의 몇 편만 운행하고 있다. 또한 준급은 고
3. 3. 최고 속도
나고야 본선은 전통적으로 고속 운전을 해왔다. 전후에는 인가 속도 95km/h에서 시작하여, 1953년에 100km/h, 1959년에는 105km/h, 1961년부터는 특급 열차에서 110km/h 운전이 인가되었다. 1990년 이후에는 선형이 좋은 일부 구간에서 120km/h(증압 브레이크, ABS 장착 차량에 한함)가 되었으며, 궤간이 1067mm인 재래 사철 노선으로는 고속에 속한다.우등 열차(도요하시 발착 급행 포함)의 최고 속도 120km/h 운전은, 이나역 - 메이덴나가사와역(상행은 실질적으로 메이덴아카사카역 이동), 야하기바시역 - 지류역(실질은 우시다역 이동), 신키요스역 - 기소가와즈쓰미역(묘코지역 - 메이테쓰이치노미야역만 실질적으로 115km/h)의 각 구간에서, 대응 차종에 의해 실시되고 있다.
- 1990년, 처음으로 120km/h 운전이 시작된 것은, 선행적으로 60kg 레일의 부설이 완료되었던 고 역 - 메이덴나가사와역 간과 신이치노미야역(현재의 메이테쓰 이치노미야 역) - 신키소가와역 간이었다.
- 정차역 간으로 본 최고 평균 속도는, 하행 쾌속 특급의 히가시오카자키역 - 지류역 간에서 94.8km/h를 기록한다(13.3km를 8분 25초에 주파한다).
- 120km/h화 구간 이외에도 2006년에 고가화된 나루미역 부근 등, 전반적으로 선형 개량, 궤도 강화 등으로 구간 최고 속도, 커브나 분기기 통과 제한 속도가 상향된 곳이 많다.
- 각 노선으로부터의 열차가 집중하는 진구마에역 - 비와지마 분기점 간은 평행 다이어가 되기 때문에, 역 간의 최고 속도는 대략 열차 종별에 관계없이 같거나, 차이가 있어도 최대 10km/h 정도이다.
4. 역사
나고야 본선은 여러 철도 회사의 노선들이 합쳐지고 연결되어 만들어졌다.
아이치 전기 철도는 도요하시역 - 나고야역 구간을 도시 간을 거의 직선으로 잇는 고속 철도로 건설했고, 나고야 철도는 나고야역 - 기후역 구간을 합병한 회사의 노선을 연결하여 만들었다.
현재 비와지마 분기점 - 마루노우치역 구간은 나고야 전기 철도가, 마루노우치역 - 고노미야역 구간은 나고야 철도(초대)가, 고노미야역 - 이치노미야역 구간은 비사이 철도가, 메이테쓰 이치노미야역 - 가사마쓰역 구간은 메이기 철도가, 가사마쓰역 - 기후역 구간은 미노 전기 궤도가 각각 개통했다.
최초로 개통된 구간은 비와지마바시역(현재의 비와지마 분기점) - 스카구치역 구간으로, 1914년에 개통되었다. 메이기선에서 마지막으로 개통된 것은 신이치노미야역(현재의 메이테쓰 이치노미야역) - 신카사마쓰역(현재의 가사마쓰역) 구간으로, 1935년에 개통되었다. 이전까지 나고야와 기후 간의 연결은 기소가와선(비사이선 신이치노미야역 - 다마노이역 방면의 옛 명칭)의 기소가와바시역(폐지: 다마노이역 북쪽에 있었음)과 가사마쓰선의 가사마쓰역(3대, 현재의 니시카사마쓰역) 사이를 기소강을 통해 이루어졌지만, 메이기선 전 구간 개통으로 당시 나고야 측 터미널이었던 오시키리초역에서 신기후역(현재의 메이테쓰 기후역)까지 직통 특급이 운행되었다.
1944년 동서 연락선 (진구마에역 - 신나고야역) 개통으로 메이기선과 도요하시선이 연결되었지만, 메이기선은 600V 전압, 도요하시선은 1500V 전압이었기 때문에, 직통 운전을 하지 못하고 가나야마바시역에서 환승해야 했다. 1948년 메이기선이 1500V로 전압이 승압되고 도요하시역 - 신기후역 구간이 나고야 본선이 되어, 직통 운전이 시작되었다.[39] 1990년에는 진구마에역 - 가나야마역 구간이 이중 복선화되었다.
4. 1. 주요 연혁
- 1914년
- * 1월 23일: 나고야 전기 철도가 쓰시마 선으로 비와지마바시 역 - 스카구치 역 - 신쓰시마 역(현재의 쓰시마 역) 구간을 개통.[29]
- * 6월 2일: 미노 전기 궤도가 가사마쓰 선으로 가사마쓰구치 역(초대) - 히로에 역(후에 폐지) 구간을 개통.[29]
- * 9월 22일: 나고야 전기 철도가 기요스 선으로 스카구치 역 - 마루노우치 역 - 기요스 역(후의 기요스초 역) 구간을 개통.[29]
- * 12월 26일: 미노 전기 궤도 가사마쓰 선 히로에 역 - 신기후 역 구간이 개통.[29]
- 1917년
- * 3월 7일: 아이치 전기 철도가 아리마쓰 선으로 진구마에 역 - 모토카사데라 역 구간을 개통.[29]
- * 5월 8일: 모토카사데라 역 - 아리마쓰 구간 개통.[30]
- 1921년 7월 1일: 나고야 전기 철도가 쓰시마 선, 기요스 선 등을 나고야 철도에 양도.
- 1923년
- * 4월 1일: 오카자키 선 아리마쓰 - 신지류 임시역 구간 개통.[31] 아리마쓰 선을 오카자키 선으로 명칭 변경.
- * 6월 1일: 미나미이도다 역 폐지.[20] 신지류 임시역 - 오카자키코엔마에 역 구간 개통.[32] 히가시치류 역 개업, 신지류 임시역 폐지.
- * 8월 8일: 오카자키코엔마에 역 - 히가시오카자키 역 구간 개통.[33]
- 1924년
- * 2월 15일: 비사이 철도가 나카무라 선으로서 고노미야 역 - 신이치노미야 역 구간을 개통.
- * 4월 13일: 아리마쓰 역 - 야하기바시 역 구간 복선화.
- * 10월 26일: 나루미 역 - 아리마쓰 역 구간 복선화.
- 1925년
- * 6월 15일: 오카자키 선의 가선 전압을 1500V로 상승.
- * 8월 1일: 나고야 철도가 비사이 철도의 노선을 양수하여, 고노미야 역 - 신이치노미야 역 구간을 고노미야 지선으로 함.
- 1926년 4월 1일: 도요하시 선 야하기바시 역 - 히가시오카자키 역 구간 복선화, 히가시오카자키 역 - 고사카이 역 구간 복선 개통.[35] 오카자키 선을 도요하시 선으로 명칭 변경. 도요카와 철도 도요카와 역까지 운행 시작.
- 1927년
- * 6월 1일: 이날까지 이나 역 개업.[20][36] 도요하시 선 이나 역 - 도요하시 역 구간 개통.[37] 진구마에 역 - 도요하시 역 구간 전 구간 개통. 이나 역 - 고사카이 역 구간은 고자카이 지선이 됨.
- * 12월 28일: 히가시카사데라 역 - 나루미 역 구간 복선화.
- 1928년
- * 1월 24일: 야마토 역(현재의 시마우지나가 역) 개업. 시마 역, 우지나가 역 폐지.
- * 2월 3일: 니시키요스 역(현재의 신키요스 역) - 고노미야 역 구간 개통.[24] 고노미야 역 - 신이치노미야 역 구간 복선화. 고노미야 지선을 메이기 선으로 개칭.
- * 4월 10일: 마루노우치 역 - 니시키요스 역 구간 개통.[20] 스카구치 역 - 마루노우치 역 구간 복선화. 스카구치 역 - 신이치노미야 역 구간을 메이기 선, 마루노우치 역 - 기요스 역 구간을 기요스 선으로 함.
- * 4월 15일: 호리타 역 개업.
- 1930년
- * 4월 5일: 요비쓰기 역 - 모토카사데라 역 구간 복선화.
- * 7월 11일: 호리타 역 - 요비쓰기 역 구간 경로 변경 및 복선화.
- * 8월 20일: 나고야 철도가 미노 전기 궤도를 합병.[25]
- * 9월 1일: 야마토 역을 시마우지나가 역으로 개칭.
- * 9월 5일: 나고야 철도가 메이기 철도로 사명 변경.[25]
- 1932년 10월: 모토카사데라 역 - 히가시카사데라 역 구간 복선화.
- 1935년
- * 4월 29일: 신이치노미야 역 - 신카사마쓰 역(2대) 간 개통. 가사마쓰구치 역 - 핫켄 역 간에 신카사마쓰 역(2대) 개업. 신카사마쓰 역(2대) - 히로에 역 간 복선화. 메이기 선을 스카구치 역 - 신기후 역 간으로 함.
- * 8월 1일: 메이기 철도가 아이치 전기 철도를 인수·합병, 나고야 철도로 사명 재변경.
- 1936년 9월 15일: 구로다 역 개업.
- 1939년 3월 1일: 기소가와즈쓰미 역 개업.
- 1941년
- * 2월 10일: 마고요세 역을 이와토 역으로 개칭.
- * 8월 1일: 도요하시 선 신치류 역과 미카와 선 지류 역(현재의 미카와치류 역)을 통합하여, 지류 역으로 개칭.
- * 8월 12일: 신나고야 지하 터널 준공, 신나고야 역 - 비와지마바시 역(현재의 비와지마 분기점) 구간 개통. 비와지마바시 역 - 스카구치 역 구간을 쓰시마 선에서 편입하여, 메이기 선을 신나고야 역 - 신기후 역 구간으로 함.[27]
- 1942년
- * 1월 31일: 진구마에 역 - 호리타 역 구간 복선화.
- * 6월 10일: 사쿄야마 역 개업.
- 1943년
- * 6월 1일: 가사데라 역을 모토카사데라 역으로 개칭. 국철 가사데라 역 개업에 의함.
- * 8월 1일: 요시다 역을 도요하시 역으로 개칭.
- * 11월 1일: 아리마쓰 역을 아리마쓰 역으로 개칭.
- * 11월 1일: 오사토 역을 오사토 역으로 개칭.[20]
- 1944년
- * 9월 1일: 동서 연락선 진구마에 역 - 신나고야 역 구간 개통.
- * 12월 21일: 도요하시 선을 가나야마 역 - 도요하시 역 구간, 메이기 선을 가나야마 역 - 신기후 역 구간으로 변경.
- 1945년 7월 1일: 가나야마 역을 가나야마바시 역으로 개칭.
- 1948년
- * 4월 18일: 메이기 선 신기후 역을 이전하여 가카미가하라 선 나가스초 역과 통합.
- * 5월 12일: 메이기 선 가선 전압을 1500V로 승압.
- * 5월 16일: 니시키요스 역을 신키요스 역으로 개칭. 도요하시 역 - 신기후 역 구간을 나고야 본선으로 하여 도요하시 역 - 신기후 역 구간 직통 운행 개시.
- 1949년
- * 3월 1일: 모토고유 역을 고유 역으로 개칭.
- * 8월 1일: 휴업했던 니시비와지마 역 영업 재개. 비와지마바시 역을 폐지하고, 비와지마 분기점으로 함(신호 취급 상으로는 니시비와지마 역 구내 취급).
- 1952년 3월 1일: 이마카와 역을 후지마쓰 역으로 개칭.
- 1953년 7월 15일: 주쿄 경마장 앞역 개업.
- 1956년
- * 9월 1일: 아노 역을 도요아케 역으로 개칭.
- * 9월 12일: 산노 역을 주니치 구장 앞역으로 개칭.
- * 9월 23일: 휴지했던 이와토 역 영업 재개.
- 1957년 9월 13일: 히로에 역 - 신기후 역 구간을 신기후 역 구내의 일부를 제외하고 복선화, 급곡선 완화.
- 1958년
- * 1월 10일: 휴지했던 아라타초 역을 가노 역으로 영업 재개.
- * 3월 16일: 쇼나이 강 교량 재가설, 히가시비와지마 역 - 니시비와지마 역 구간의 급곡선 완화.
- 1959년 4월 1일: 지류 역을 제방 위에서 지평으로 이전 신설. 구 지류 역을 나고야 본선은 히가시치류 역(후에 폐지)으로, 미카와 선은 미카와치류 역으로 분리 및 개칭.
- 1961년 6월 12일: 파노라마카인 7000계 전차가 등장하여, 특급 중 매시 1편에 투입. 고성능 차로 운전되는 특급의 최고 속도를 110km/h로 향상.
- 1968년 1월 7일: 우시다 역 - 지류 역 구간의 히가시치류 역, 가노 역 - 신기후 역 구간의 히로에 역 폐지.
- 1969년
- * 2월 23일: 요비쓰기 역 - 호리타 역 - 진구마에 역 구간 고가교 방식으로 연속 입체화.
- * 4월 5일: 이도타 역, 마시타구치 역, 야쓰루기 역 폐지.
- 1970년 5월 1일: 이마무라 역을 신안조 역으로 개칭.
- 1976년
- * 1월 1일: 주니치 구장 앞역을 나고야 구장 앞역으로 개칭.
- * 4월 1일: 신키요스 역에 상하 대피선 신설.[48]
- 1980년 9월 20일: 사카이가와 역을 이전하여 기난 역으로 개칭.
- 1984년 8월: 진구마에 역을 도코나메 선과의 노선별 배선에서 방향별 배선으로 변경.
- 1985년: 히가시오카자키 역에 상행 대피선 신설.
- 1987년 11월: 후타쓰이리 역에 상하 대피선 신설.
- 1988년 4월 1일: 스카구치 역을 쓰시마 선과의 노선별 배선에서 방향별 배선으로 변경.
- 1989년 7월 9일: 가나야마바시 역을 이전하여 가나야마 역으로 개칭.
- 1990년
- * 4월 1일: 가나야마 역 - 진구마에 역 구간 복복선화.[50]
- * 10월 29일: 1000계로 운전되는 전 좌석 지정 특급의 최고 속도를 일부 구간에서 120km/h로 향상.
- 1992년 10월 24일: 메이덴 나가사와 역 - 모토주쿠 역 - 메이덴 야마나카 역 구간 고가화.
- 1993년
- * 2월 21일: 시마우지나가 역 - 신이치노미야 역 - 이마이세 역 구간 고가화.
- * 4월: 3500계의 취역에 의해, 동 계열 사용의 급행에 대해서도 최고 속도 120km/h 운전을 개시.
- 2005년 1월 29일: 신나고야 역을 메이테쓰 나고야 역, 신이치노미야 역을 메이테쓰 이치노미야 역, 신기후 역을 메이테쓰 기후 역, 나고야 구장 앞역을 산노 역으로 개칭. 기소가와즈쓰미 역 - 가사마쓰 역 구간의 히가시카사마쓰 역 폐지.
- 2006년 11월 25일: 사쿄야마 역 - 나루미 역 - 모토호시자키 역 구간 고가화.
- 2007년 3월 14일: 전 역에 트란파스 도입 완료(최종 도입 역은 기소가와즈쓰미 역).
5. 역 목록
범례 |
---|
참조
[1]
보고서
各鉄軌道会社のご案内
http://wwwtb.mlit.go[...]
Jap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10-12-19
[2]
간행물
名古屋鉄道 1
Asahi Shimbun Publications, Inc.
2010-09
[3]
서적
名古屋鉄道 今昔―不死鳥「パノラマカー」の功績
交通新聞社
2017-08
[4]
웹사이트
「迷駅」名鉄名古屋駅のカオス ゆえの工夫が面白い! 行先編成種別バラバラ列車たち
https://trafficnews.[...]
2023-01-12
[5]
웹사이트
名鉄名古屋(NH36) 路線一覧
https://trainbus.mei[...]
名古屋鉄道
2023-01-12
[6]
서적
名鉄120年:近20年のあゆみ
名古屋鉄道
[7]
논문
岐阜駅から見た名鉄の印象
電気車研究会
2009-03
[8]
문서
但し駅の構造上津島駅折り返し列車は少なく、佐屋駅も「津島線」の駅として扱われることも多い。
[9]
문서
例:本線豊橋駅の事故の影響で津島線が遅れる、など。
[10]
문서
2023年3月改正から2024年3月改正までは5000系での運用もごく僅かにあった。
[11]
문서
そのうち1往復は、先述した西尾線の一部特別車特急を格下げしたもの。
[12]
문서
そのうち1往復は、先述した西尾線の一部特別車特急を格下げしたもの。
[13]
문서
2023年3月改正まで犬山経由岐阜発、2023年3月改正から2024年3月改正まで新鵜沼発。
[14]
문서
2023年3月改正まで犬山経由岐阜・新可児発。
[15]
문서
今伊勢駅、石刀駅、黒田駅、木曽川堤駅、茶所駅
[16]
문서
2009年度末に7000番台車両の運転は終了したが、ほぼ同性能で最高速度110km/hの5700系・5300系が2019年度まで残存していたためである(ただし、晩年には本線急行の定期運用からは離脱していた)。またダイヤ面では、豊橋発着の急行について近年3000番台車両の限定運用を前提に、本線東部の一部区間で余裕時分を削減している。
[17]
문서
両駅とも通過の場合を含めると、ダイヤ(列車運行図表)から読み取れる範囲では、1997年当時下りの現在の快速特急に当たる特急が矢作橋駅 - 新安城駅間を3分0秒、伊奈駅 - 国府駅間を2分25秒で走破しており、平均速度はそれぞれ116.0km/h、114.2km/hとなる。2010年現在は前者が3分05秒となり112.9km/h、後者は不変である。
[18]
문서
製作された高架化の完成予想模型においては、JR線高架橋の橋脚を挟んで単線の高架線路が2本引かれている(実際の単線区間にあるJR線の橋脚も東側にあるものは水平側の梁が省略されており、空間自体は確保されていることがうかがえる)。
[19]
문서
岐阜行きの列車については2023年3月のダイヤ改正で一宮経由に統一されている。
[20]
웹사이트
日本鉄道旅行地図帳 追加・訂補 7号 東海
http://www.railforum[...]
[21]
웹사이트
軽便鉄道停車場名改称
NDLDC|2953161/7
1916-02-04
[22]
문서
鉄道免許・名古屋鉄道(元美濃電気軌道)1・明治45年~大正5年
鉄道院監督局
[23]
문서
鉄道免許・竹鼻鉄道(名古屋鉄道)2・大正10年~昭和4年
鉄道院監督局・鉄道省監督局
[24]
웹사이트
地方鉄道運輸開始
NDLDC|2956794/5
1928-02-09
[25]
웹사이트
NDLDC|2957630/23
1930-11-13
[26]
논문
岐阜駅から見た名鉄の印象
電気車研究会
2009-03
[27]
서적
名古屋鉄道百年史
[28]
문서
東海道線が東海道からはずれたルートを採用したことについては、「宿場町が反対した」という説明がしばしばなされるが、実際には裏付ける根拠に乏しく、むしろ当時の技術的制約が理由である可能性が高い。当時蒸気機関車牽引列車のみであった東海道本線の最急勾配が10‰に抑制されたのに対し、当線の名電赤坂駅 - 東岡崎駅間では16.7‰ (1/60) とされた。なお、開業時期の早い知立以西では20‰である。御油宿・岡崎駅・鉄道と政治#鉄道忌避伝説の項目も参照のこと。
[29]
웹사이트
軽便鉄道運輸開始
NDLDC|2953498/8
1917-03-16
[30]
웹사이트
軽便鉄道運輸開始
NDLDC|2953547/5
1917-05-15
[31]
웹사이트
地方鉄道運輸開始
NDLDC|2955325/9
1923-04-06
[32]
웹사이트
地方鉄道運輸開始並営業哩程変更
NDLDC|2955376/8
1923-06-05
[33]
웹사이트
地方鉄道運輸開始
NDLDC|2955433/7
1923-08-11
[34]
논문
岡崎を中心とした名鉄電車こぼれ話
電気車研究会
2009-03
[35]
서적
名古屋鉄道百年史
[36]
デジタルアーカイブ
鉄道停車場一覧
NDLDC|1207554/204
鉄道省
1937-09-01
[37]
書籍
名古屋鉄道百年史
[38]
書籍
日本鉄道旅行地図帳
新潮社
[39]
문서
神宮前駅 - 新名古屋駅間の閉塞信号機の呼称
[40]
문서
神宮前駅と貨物専用線
[41]
書籍
<図解>日本三大都市 未完の鉄道路線 昭和から平成へ、東京・大阪・名古屋の未来を変える計画の真実
講談社
2008-10-20
[42]
書籍
名古屋鉄道百年史
名古屋鉄道
[43]
書籍
名古屋鉄道百年史
名古屋鉄道
[44]
書籍
名古屋本線東部・豊川線
フォト・パブリッシング
[45]
書籍
名古屋鉄道の貨物輸送
フォト・パブリッシング
[46]
書籍
名古屋鉄道百年史
名古屋鉄道
[47]
書籍
名古屋鉄道の貨物輸送
フォト・パブリッシング
[48]
書籍
名古屋鉄道百年史
名古屋鉄道
[49]
書籍
名古屋本線東部・豊川線
フォト・パブリッシング
[50]
뉴스
名古屋本線 神宮前-金山間 複々線化工事が完成
交通新聞社
1990-04-07
[51]
웹사이트
名鉄西枇杷島駅の待避線が撤去される
https://railf.jp/new[...]
2019-12-02
[52]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4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3-07-14
[53]
웹사이트
混雑率データ(令和元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0-11-01
[54]
웹사이트
混雑率データ(平成30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9-07-18
[55]
간행물
都市交通年報
[56]
웹사이트
事業計画の見直しについて
https://www.city.chi[...]
知立市都市開発課 鉄道高架係
2021-11-27
[57]
웹사이트
知立駅付近連続立体交差事業
https://www.pref.aic[...]
愛知県
2021-11-27
[58]
웹사이트
(仮称)都市高速鉄道名古屋鉄道名古屋本線(山崎川から天白川間連続立体交差)計画段階環境配慮書
https://www.city.nag[...]
名古屋市
[59]
웹사이트
都市高速鉄道名古屋鉄道名古屋本線(桜駅から本星崎駅間連続立体交差)
https://www.city.nag[...]
名古屋市
[60]
웹사이트
事前評価調書(案)
https://www.pref.aic[...]
愛知県
2018-09-11
[61]
보도자료
名鉄高架化事業の都市計画事業認可取得について
https://www.pref.gif[...]
岐阜県都市整備課 鉄道高架推進係
2022-03-01
[62]
보고서
第9次安城市総合計画 実施計画
https://www.city.anj[...]
安城市
2023-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