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면천 복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면천 복씨는 당나라 복학사의 후손인 복지겸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는 복규가 원주산성 방호별감으로 활약했으며, 복위룡은 고려 부흥을 꾀했으나 실패했다. 조선 시대에는 복한이 효자, 복승정이 이천부사로 명성을 얻었다. 면천 복씨는 문과 급제자 8명, 무과 급제자 1명을 배출했으며, 충청남도 청양군, 홍성군, 전라북도 남원군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2015년 인구는 9,538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면천 복씨 - 복기왕
    복기왕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7대와 제22대 국회의원, 그리고 아산시장을 두 차례 역임했으며, 충남희망포럼 공동대표와 노무현 대통령 후보 아산시 선거대책위원장 등을 거쳐 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과 국회의장 비서실장을 역임했다.
  • 면천 복씨 - 쿤디판다
    쿤디판다는 2017년 데뷔 싱글 "Ms. 808"을 발표한 대한민국의 래퍼로, 비앙과의 합작 음반 《재건축》으로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힙합 음반을 수상하고 《쇼미더머니9》 출연 및 "VVS"의 성공으로 대중적 인기를 얻는 등 꾸준한 음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면천 복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관향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시조복지겸(卜智謙)
집성촌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탄정리, 주정리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 장성리, 봉서리
전라북도 남원군 대산면 운교리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전읍리
주요 인물복규, 복기, 복위룡, 복한, 복오, 복여, 복승정, 복희달
인구 (2015년)9,538명

2. 역사

면천 복씨(沔川 卜氏)의 시조 '''복지겸'''(卜智謙)은 당나라 복학사(卜學士)의 후손이다.[1] 복지겸태봉(泰封)의 마군장군(馬軍將軍)으로, 918년(태조 1) 궁예(弓裔)가 민심을 잃자 배현경(裵玄慶), 신숭겸(申崇謙), 홍유(洪儒)와 함께 왕건(王建)을 추대하여 고려를 건국하고 개국공신 1등에 녹훈되었다. 이후 환선길(桓宣吉)과 임춘길(林春吉)의 모반을 평정하는 공을 세웠으며, 994년(성종 13) 태사(太師)에 추증되고 태조의 묘정(廟廷)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무공(武恭)이다.[2]

2. 1. 시조 묘소

시조 복지겸의 묘소는 충청남도 당진시 순성면 양유리에 있으며, 제단은 음력 10월 1일에 향사한다.[2]

3. 주요 인물

면천 복씨의 주요 인물로는 복지겸을 비롯하여 고려 시대의 복규, 복기, 복위룡이 있고, 조선 시대에는 복한, 복오, 복여, 복승정, 복희달 등이 있다. 이들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다양한 관직을 역임하며 가문을 빛냈다. 특히, 복한은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으며, 복승정은 청렴한 관리로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다. 복희달은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3. 1. 고려 시대

복지겸태봉의 마군장군(馬軍將軍)이었다. 918년(태조 1) 궁예가 민심을 잃자, 배현경, 신숭겸, 홍유와 함께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를 세우고 개국공신 1등에 녹훈되었다.[1] 이후 환선길과 임춘길의 모반을 평정하는 공을 세웠다. 994년(성종 13) 태사(太師)에 추증되고 태조의 묘정(廟廷)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무공(武恭)이다.[2]

복규는 1291년(충렬왕 17) 합단적(哈丹賊)이 원주를 침략하자 원주산성방호별감(原州山城防護別監)으로서 원충갑과 함께 이를 크게 무찔렀다. 이 공로로 다음 해에 지서경유수가 되었으며, 1293년에는 본관인 면천현이 감무(監務)에서 현령이 파견되는 현으로 승격되었다. 그 뒤 판서(判書)로 벼슬에서 물러나고, 1298년 충선왕이 즉위한 뒤 이전의 공로로써 다시 한번 상전이 베풀어졌다.[3]

복기는 1302년(충렬왕 28) 급제자 28명을 모아 하성절표(賀聖節表)·상승상국서(上丞相國書)·축성수불소(祝聖壽佛疏)를 시험하였는데, 여기에서 합격하여 문한서령(文翰署令)에 임용되었다. 1310년(충선왕 2) 사헌규정(司憲糾正)을 지내고, 1323년(충숙왕 10)에는 내서사인(內書舍人)이 되었다.

복위룡은 복지겸의 18세손으로, 고려 공양왕 때 사온서(司醞署) 직장(直長)을 역임하였다. 고려 말 국운이 기울자 정몽주, 이색 등과 함께 고려 부흥을 꾀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하였다.

3. 2. 조선 시대


  • 복규(卜奎) : 1291년(충렬왕 17) 합단적(哈丹賊)이 원주를 침략하자 원주 산성 방호별감으로서 원충갑(元沖甲)과 함께 이를 크게 무찔렀다. 이 공로로 다음 해에 지서경유수가 되었으며, 1293년에는 본관인 면천현이 감무(監務)에서 현령이 파견되는 현으로 승격되었다. 그 뒤 판서(判書)로 벼슬에서 물러나고, 1298년 충선왕(忠宣王)이 즉위한 뒤 이전의 공로로 다시 한번 상전이 베풀어졌다.[3]

  • 복기(卜祺) : 1302년(충렬왕 28) 급제자 28명을 모아 하성절표(賀聖節表)·상승상국서(上丞相國書)·축성수불소(祝聖壽佛疏)를 시험하였는데, 여기에서 합격하여 문한서령(文翰署令)에 임용되었다. 1310년(충선왕 2) 사헌규정(司憲糾正)을 지내고, 1323년(충숙왕 10)에는 내서사인(內書舍人)이 되었다.

  • 복위룡(卜渭龍) : 복지겸의 18세손. 고려 공양왕 때 사온서(司醞署) 직장(直長)을 역임하였다. 고려 말 국운이 기울자 정몽주(鄭夢周), 이색(李穡) 등과 함께 고려 부흥을 꾀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하였다. 말년에는 낙향하여 홍성군 금마면에서 여생을 보냈으며, 태조 이성계가 벼슬을 제수했으나 응하지 않았다.

  • 복한(卜僩) : 복위룡의 아들. 조선 세종조에 호조정랑(戶曹正郞), 사헌부 장령(掌令) 등을 역임하였고, 단종이 왕위에서 물러나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여막(廬幕)을 짓고 3년간 여묘살이를 하였다. 1453년(단종 1)에 조정에서 복한의 효행을 기리는 효자첩(孝子帖)을 내렸으며, 명나라 조정에까지 알려져 명제(明帝)의 칭찬이 담긴 국서를 받았다. 1458년(세조 4)에 복한의 효행을 기리는 효자비를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 신곡리에 건립하였다. 홍성 복한 효자비는 충남문화재자료 제339호이다.

  • 복오(卜吾) : 복한의 아들. 구례현감(求禮縣監), 판관(判官) 등을 역임하였고, 1455년(세조 1년) 원종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 복여(卜予) : 복오의 동생. 1435년(세종 17년)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좌정언(左正言), 좌랑(佐郞),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역임하였고, 1455년(세조 1년) 원종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 복승정(卜承貞) : 복오의 아들. 1465년(세조 11)에 춘방문과(春坊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곧 봉교(奉敎)를 거쳐, 1472년(성종 3)에는 그의 효심이 널리 알려져 정표를 내리라는 하교가 있었다. 1474년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이 되고, 왜인의 침입을 막지 못한 관압사(管押使) 장유성(張有誠) 대신 다른 인물로 대치시킬 것을 주장하였다. 1479년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이 되었는데, 그는 명확한 논변으로 죄인에 대한 처벌을 주장하여 왕으로부터 신임을 받았다. 그 뒤 1489년(성종 19)에는 광흥창수(廣興倉守)가 되었는데, 신료들로부터 실력을 인정받아 이천부사(利川府使)로 추천되었다. 1494년 이천부사로 임기만료가 되었는데, 그곳의 부민들이 그를 연임해줄 것을 상언(上言)할 정도로 그 고을을 잘 다스렸다. 그해 부민들의 상언에 따라 다른 지방의 수령들까지 포상의 범위가 논의되었다.

  • 복희달(卜禧達) : 생원 복흥문(卜興文)의 아들. 1498년(연산군 4) 식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1506년 임사홍(任士洪)의 천거로 병조정랑(兵曹正郞)에 임명되었고, 중종 때 천안군수(天安郡守), 영광군수(靈光郡守), 회양부사(淮陽府使), 제용감 정(濟用監正)을 역임하였다.

4. 과거 급제자

면천 복씨는 과거 급제자로 문과 8명, 무과 1명, 생원 2명을 배출하였다.

4. 1. 문과

면천 복씨는 문과 급제자 8명을 배출하였다.

이름과거 급제 기록
복기고려 충렬왕
복여조선 세종 17년(1435) 식년시 동진사
복승정조선 세조 11년(1465) 춘당대시 병과
복희달조선 연산군 4년(1498) 식년시 병과
복태진조선 영조 35년(1759) 식년시 병과
복태형조선 영조 51년(1775) 별시 병과
복내정조선 순조 10년(1810) 식년시 을과
복내상조선 순조 19년(1819) 식년시 병과


4. 2. 무과

현종 11년(1670) 별시에 복비룡(1637년생)이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1]

4. 3. 생원시

이름합격 년도(왕)비고
복희달1496년 (연산군 2년)생원 3등
복재영1867년 (고종 4년)생원 1등


5. 집성촌

지역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탄정리, 주정리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 장성리, 봉서리
전라북도 남원군 대산면 운교리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전읍리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중장리


6. 인구

연도인구
2000년7,471명
2015년9,538명


참조

[1] 서적 신증동국여지승람
[2] 서적 고려사
[3] 서적 고려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