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군은 명나라의 군대를 의미하며, 원나라의 제도를 계승하여 세습 군사 제도를 유지했다. 몽골풍의 군사 문화와 기병 중심의 군대를 선호했으며, 막대한 자원을 투입하여 군대를 유지했다. 위소 제도를 통해 군대를 조직했으나, 부패와 비효율성으로 인해 쇠퇴했다. 영락제 시기에는 군사력 강화와 대외 팽창을 이루었으며, 화약 무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다양한 민족 출신의 병사들로 구성되었다. 명나라 군사 제도는 조선의 군사 제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군사 - 천총
    천총은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천 명의 지휘관을 의미하며, 고대 마케도니아, 페르시아, 로마, 비잔틴 제국 등 다양한 시대와 지역에서 군사 조직의 지휘관 또는 행정 관료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 명나라의 군사 - 위소제
    위소제는 명나라의 기본적인 군사 조직 체계로, 전국에 위와 소를 설치하여 군사를 주둔시키고 평시에는 둔전을 통해 군량을 확보했으나, 군적 고착화 및 군호 세습 등의 문제와 군호의 몰락으로 쇠퇴하였다.
명군
대명군
만력제 황룡포의 왼쪽을 향한 용 문양
만력제 황룡포의 왼쪽을 향한 용 문양
원어 명칭大明軍
창립일1368년
해체일1644년
국적대명국
충원 방식징병제(초중기)
모병제(말기)
병력총 300만 명 (최전성기 기준)
통수권자대명 황제
명나라 관련 둘러보기 틀
1580년 명나라
1580년 명나라
역사
전기홍건적의 난
운남 정복
나하추 정벌
부이르호 전투
정난의 변
정화의 하서양
명-투루판 분쟁
명-호 전쟁
명-코테 전쟁
람선 봉기
영락제의 몽골 원정
인선의 치
중기루촨-핑몐 전쟁
토목의 변
조흠의 변
먀오족 반란
안화왕의 난
녕왕의 난
홍치중흥
견명사
닝보의 난
대례의 의
북로남왜
가정 대왜구
일조편법
후기만력삼대정
영하의 역
만력동정
파주의 역
동림당
명말삼안
정격안
홍환안
이궁안
명-네덜란드 분쟁
명청 전쟁
사르후 전투
영원성 전투
산해관 전투
이자성의 난
남명
행정 및 군사
행정황제
황실 가계도
내각대학사
동창
종인부
흠차대신
군사군대
신기영
금의위
백간병
구진
순무
군사 정복
명 치하 만주
제4차 중국의 베트남 지배
홍이포
노밀총
문헌사
장소
사회문화사
기타

2. 명나라 군대의 기원과 발전

명나라 군대는 몽골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유목민족 군대 문화와 중국 전통 군대 문화가 혼합된 형태로 시작되었다. 홍무제부터 정덕제에 이르는 명나라 황제들은 원나라의 세습 군사 제도를 유지하고, 황제와 근위병은 몽골풍 의복과 모자를 착용했으며, 궁술과 승마를 장려했다. 많은 몽골인들이 명나라 군대에서 복무했으며, 16세기 말까지 수도 군대 장교의 3분의 1을 차지했고, 여진족 등 다른 민족들도 두각을 나타냈다.[1][2] 기병 중심의 군대는 홍무제와 영락제가 선호했다.[3]

일반적인 통념과는 달리, 명나라는 군대 유지를 위해 막대한 자원을 투입했으며, 이는 국가 예산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다. 명나라는 견제와 균형을 위해 군인과 문관을 의도적으로 대립시켰고, 군인들의 횡포를 막기 위해 문관에게 군대를 감독하도록 했다.[4]

국자감에서는 유교 경전과 함께 승마와 궁술이 강조되었으며, 과거 시험에서도 요구되었다.[5][6][7][8][9][10] 홍무제는 1370년에 시험에 궁술과 승마를 추가했는데, 이는 남송 효종이 1162년에 병부에서 비군사 관료에게 궁술과 승마를 요구한 것과 유사했다.[11]

명나라 포병


산 모양 갑옷을 입고 철퇴를 든 명나라 무덤 수호신


명나라 군인과 강 배

2. 1. 홍무제 시기: 위소 제도의 확립

명나라를 건국한 주원장은 몽골식 수비대와 북위, 수, 당나라의 부병제를 본떠 세습 병사 제도인 위소(衛所) 제도를 만들었다.[1] 세습 병사들은 둔전을 통해 식량을 조달하며 자급자족했고, 수도 등에서 화기 전문 훈련을 받으며 훈련 및 군사 초소로 순환 배치되었다.[2]

위소 제도는 1개의 위(衛)가 5,60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위는 1,120명(千戶, 치앤후)의 소(所)로, 각 소는 112명(百戶, 바이후)의 10개 대(營)로, 각 대는 56명(總旗, 종치)의 2개 소대로, 각 소대는 11명 또는 12명(小旗, 샤오치)의 5개 분대로 구성되었다.[2]

명나라 초기 군인 가문은 전체 가구의 약 20%를 차지했다.[3] 각 군인 가문은 군 복무를 할 남성 1명을 제공해야 했고, 그 남자가 죽으면 다른 남자를 보내야 했다.[4] 군인 가문이 되는 방법은 네 가지였다.

  • 명나라 건국 전쟁에 참여한 "동료 참전 용사"의 후손[5]
  • 명나라 건국자의 적에게 복무하다가 패배 후 명나라 군대에 편입된 군인의 후손[5]
  • 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군 복무를 선고받은 자[5] (단, 15세기 이후 처벌적 복무는 비세습제로 변경)
  • 징병[5]

2. 2. 영락제 시기: 군사력 강화와 대외 팽창

영락제는 북방 몽골족에 대한 적극적인 군사 활동을 전개하여 명나라의 세력권을 확장하였다. 정화의 남해 원정을 통해 해군력을 강화하고 동남아시아, 인도양, 아프리카까지 진출하여 명나라의 위상을 과시했다. 이 시기 명나라 해군은 화약 무기를 장착한 대규모 함대를 보유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해군력을 자랑했다.

3. 명나라 군대의 구조와 제도

명나라의 군대는 육군 중심의 위소(衛所) 제도로 운영되었으며, 해군은 별도의 조직 없이 위소 제도의 일부로 존재했다. 해안 경비 위소는 각각 50척의 선박을 보유하여 해상 방어를 담당했다. 명나라는 해군 목책, 봉화대, 전략 요새, 비정규군, 군함 등을 설치했지만, 해적의 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 가정 왜구(Jiajing wokou raids)는 척계광(Qi Jiguang)과 유대유(Yu Dayou)에 의해 진압될 때까지 지속되었으며, 소림사 승려들도 해적 진압에 참여하여 원가강(Wengjiagang)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웠다.[21]

1584년 명나라 취안저우 상선의 깃발


보물선 목판화


명나라 건국자 홍무제(Hongwu Emperor)는 해군 활동을 억제했지만, 난징에 롱장 조선소(Longjiang Shipyards)를 설립하여 보물선 건조의 기반을 마련했다. 명나라 해군은 화약 무기를 갖춘 초기 해군 중 하나였으며, 로(Lo)와 엘먼(Elleman)은 이를 당대 세계 최고의 해군으로 평가했다.[21]

홍무제는 56개의 군사 기지(위, 衛)를 설치하고 각 기지에 5,000명의 수병과 50척의 군함을 배치했으나, 대부분 병력이 부족했다. 영락제(Yongle Emperor) 시기에 해군 규모가 크게 확장되어 황실 함대, 해안 방어 전대, 정화의 원양 함대, 곡물 수송 함대 등으로 구성되었다.[22]

영락제(Yongle Emperor)의 보물선 원정(treasure voyages) 이후 해군 확장은 제한되었지만, 중국 보물선(Chinese treasure fleet)은 아시아 해군을 지배하며 명나라의 영향력을 확대했다.[21] 명나라 해군은 둔문 해전(Battle of Tunmen, 1521년)과 시차오완 해전(Battle of Xicaowan, 1522년)에서 포르투갈(Portugal) 함대를 격파하고, 랴오루오만 해전(Battle of Liaoluo Bay, 1633년)에서 네덜란드와 중국 해적 함대를 격파했다. 무비지(Wubei Zhi), 기효신서(Jixiao Xinshu) 등 해전을 다룬 군사 서적이 저술되었고, 남중국해에서는 14세기 후반~17세기 중반 침몰한 무역선과 군함이 발견되었다.[21]

3. 1. 위소 제도

주원장이 몽골식 수비대와 북위, 수나라, 당나라부병제를 본떠 만든 세습 병사 제도가 위소 제도이다. 1개의 위(衛)는 5,60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위는 다시 1,120명(千戶, 치앤후)의 소(所)들로 나뉘었다. 각 소는 112명(百戶, 바이후)으로 구성된 10개의 대(營)로, 각 대는 56명(總旗, 종치)의 2개 소대로, 각 소대는 11명 또는 12명(小旗, 샤오치)의 5개 분대로 구성되었다.[1]

명나라 군대 병사들은 대부분 군인 가문 출신으로, 초기 명나라 시대 가구의 약 20%를 차지했다.[2] 각 군인 가문은 군 복무를 할 남성 1명을 제공해야 했고, 그 남성이 사망하면 다른 남성을 보내야 했다.[3] 군인 가문이 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방법설명
"동료 참전 용사" 후손명나라 건국 전쟁에 참여한 이들의 후손
명나라 건국자의 적군 출신명나라 건국자의 적을 섬기다 패배 후 명나라 군대에 편입된 군인의 후손
범죄 혐의 유죄 판결범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군 복무를 선고받은 자 (15세기 이후 비세습제로 변경)
징병징병을 통해 모집된 병사



세습 병사들은 자급자족하며, 둔전을 통해 식량을 조달하고, 수도 등에서 화기 전문 훈련을 받았다.[4] 수도 밖의 경비대대는 지방 군사령관이 지휘했고, 베이징 경비대대는 병부와 5명의 대장군이 공동 지휘했다.[5] 일부 장교는 무과와 같은 군사 시험을 통해 모집되었는데, 척계광, 유대유와 같은 뛰어난 인물들이 이 시험을 통해 배출되었다.[6]

3. 2. 용병 제도

친위대 시스템이 쇠퇴한 후, 명나라는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 군사 부담을 줄이기 위해 용병에 더 의존하게 되었다.[27]

고용된 병사들은 군(軍) 가구의 현역 병사 외에 더 많은 병력을 확보하여 군대의 전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이들은 주로 군 가구의 비활성 구성원, 즉 가족의 군인으로 등록되지 않은 사람들이나, 제국 내에서 군 복무 의무가 없는 사람들이었다.[27] 비세습 군대는 군대 내에서 뚜렷한 집단을 이루었으며, 대우나 급여 지급 문제로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28]

병사의 사회적 지위가 높지 않았기 때문에, 용병은 대개 사면된 산적이나 부랑자 등 사회 하층민 출신이었다. 이들의 질은 지역에 따라 달랐으며, 농민 민병대가 정규군보다 더 믿을 만하다고 여겨졌다. 지휘관들은 폭동을 우려해 용병 훈련을 자제했고, 명나라 장군들은 통제하기 어려운 용병 부대 대신 정예 호위병을 이끌고 직접 전투에 참여했다.[27]

1570년대에 이르러 명나라 군대는 상당 부분 용병 군대로 전환되었다.[19]

《강왜도권(康倭圖卷)》에 묘사된 낭병(狼兵)


명나라는 때때로 광서성의 "낭병(狼兵)"과 같은 "무술적 소수 민족"을 충격 보병으로 고용했다.[22]

3. 3. 황실 친위대

명나라 황제는 자신의 안전과 권위를 지키기 위해 황실 친위대를 운영했다. 친위대는 정예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황제의 직접적인 지휘를 받았다. 1570년대에 이르러 명나라 군대는 용병 군대로 상당 부분 전환되었다.[27]

4. 명나라 군대의 쇠퇴와 멸망

명나라 군대는 하우스맨 제도의 도입으로 쇠퇴하기 시작했다. 하우스맨은 군대 내 고위 장교를 개인적으로 섬기는 병사였다. 이들은 지휘관이 사적으로 고용한 용병으로, 경쟁적인 임금을 받고 개인적인 가신으로 복무했다.[29] 하우스맨의 등장은 제국에 대한 충성심을 강조했던 기존 군대의 핵심 이념에 도전했고, 사리사욕을 중시하는 풍조를 만들었다.[29]

하우스맨은 더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보였지만, 국고에 더 많은 비용을 부담시켰다. 이들은 종종 지휘관과 맹세하거나 입양을 통해 혈연 관계를 맺어 특별한 유대감을 과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은 탐욕스럽거나 왕조보다 지휘관에게 더 충성한다는 비판을 받았다.[4]

4. 1. 내부 요인

위소 제도의 부패와 군 기강 해이: 황족 왕자들은 제국 내 전략적 요충지에서 상당한 군사적 권한을 부여받았다. 각 왕자들은 개인 참모를 위해 군 장교를 모집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영지를 받았으며, 그들에 대한 전적인 사법권을 행사했다.[23] 왕자들은 개인 호위병과 함께 군사 작전에 투입되기도 했다. 연왕 주체는 1390년 나이르 부카 휘하의 몽골족에 대한 원정에서 그의 지휘로 홍무제를 감명시켰고, 그가 포획한 10,000명의 몽골 군인에 대한 지휘권을 유지하도록 허락받았다. 이는 후에 그 왕자가 왕위를 찬탈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24] 왕자들은 개인 통제 하에 호위병(護衛兵, ''huwei bing'')을 받았으며, 조정에서 임명된 장교는 황제가 비상사태를 선포했을 때만 왕자들이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수진병(守鎮兵) 또는 수비대를 지휘했다. 이중 지휘 체계는 수도에서 쿠데타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수비대는 황제와 왕자의 인장이 모두 찍힌 명령으로만 배치될 수 있었다. 그 후, 지역 군사 위원회 군대가 왕자들의 군사력을 견제하는 데 사용되었다. 많은 왕자들이 대규모 호위 부대를 모으고, 승인 없이 정규 군인을 개인 지휘 하에 두어 작전에 투입했다.[25] 왕자들의 권한은 건문제에 의해 삭감되었다. 영락제가 권력을 잡았을 때, 그는 조작된 혐의로 형제들을 더 숙청하고 대부분의 왕자 호위를 폐지했다. 왕조 말에는 12명 미만이 남아 있었다. 그는 또한 왕위 찬탈 과정에서 최고의 장군들로부터 한족과 몽골족 모두에게 세습 군사 귀족을 세웠다. 그러나 개인적인 권력 기반이 형성되는 것을 막기 위해 장기간의 지휘는 허용되지 않았다.[26]

4. 2. 외부 요인

5. 명나라 군대의 특징

명나라 군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 화약 무기 적극 활용: 다양한 종류의 화포와 화약 무기를 개발하고 실전에 배치하여 전투력을 향상시켰다. 명나라 해군은 화약 무기로 무장한 함대를 보유하여 해상 전투에서 우위를 점했다.[21]
  • 다양한 민족 출신 병사 구성: 한족뿐만 아니라 몽골족, 여진족, 일본인 등 다양한 민족 출신의 병사들로 구성되었다. 특히 몽골족 병사들은 기병 전력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여, 명나라 군대의 전투력 강화에 크게 기여했다.[3] 홍무제는 몽골족과 여진족 등 북방 민족들을 군대에 적극적으로 편입시켰으며,[30] 이들의 귀순을 장려하기 위해 칭호를 부여하는 정책을 펼쳤다.[34]


주국정은 명나라가 항복한 몽골족을 성공적으로 통제하여 군 복무하게 한 것을 동한과 서진이 오호의 난을 막지 못한 것과 비교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36] 명나라는 광서성의 "낭병(狼兵)" (야오족좡족으로 구성)과 같은 소수 민족을 충격 보병으로 고용하기도 했다.[22]

5. 1. 화약 무기 사용

명나라 군대는 화약 무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다양한 종류의 화포와 화약 무기를 개발하고 실전에 배치하여 전투력을 향상시켰다.[21] 명나라 해군은 화약 무기로 무장한 함대를 보유하여 해상 전투에서 우위를 점했다.[21]

5. 2. 다양한 출신 배경의 병사

명나라 군대는 한족뿐만 아니라 몽골족, 여진족, 일본인 등 다양한 민족 출신의 병사들로 구성되었다. 16세기 말까지 몽골인들은 금의위와 같은 수도 군대에서 장교 3명 중 1명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1][2] 특히 몽골족 병사들은 기병 전력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여, 명나라 군대의 전투력 강화에 크게 기여했다.[3]

홍무제는 몽골족과 여진족 등 북방 민족들을 군대에 적극적으로 편입시켰다.[30] 이들은 명나라 영토 내에 잔류하면서 군사적 요직을 맡았으며,[31][32] 세금 면제, 주택, 임금, 작위 등 다양한 혜택을 받았다.[4] 몽골족 병사들은 독립적인 통제를 받지 않고 항상 중국인 장군의 지휘를 받았지만, 실제로는 독립적인 용병이나 개인 호위병처럼 행동하는 경우가 많았다.[32]

명나라는 몽골족의 귀순을 장려하기 위해 칭호를 부여하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34] 1400년부터 1430년까지 명나라 조정은 몽골족 귀순 유도 정책을 펼쳐, 많은 몽골족이 간쑤 지역으로 유입되었고, 이후 베이징에 정착하기도 했다.[35]

명나라 작가 주국정은 명나라가 항복한 몽골족을 성공적으로 통제하여 군사 문제에 복무하게 한 것을 동한과 서진이 오호의 난을 막지 못한 것과 비교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36]

명나라는 광서성의 "낭병(狼兵)"과 같은 소수 민족을 충격 보병으로 고용하기도 했다.[22] 낭병은 야오족과 좡족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들은 토착 관리에 의해 엄격한 규율을 유지하며 명나라에 충성했다.

명나라 말기, 충신 마사영은 청나라에 대항하기 위해 비한족 토착 부족 전사들로 구성된 "사천(四川) 군"을 남경으로 데려왔으나, 이들은 남경의 한족 시민들에게 학살당했다.[38]

6. 명나라 군대와 조선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군대는 조선의 요청으로 참전하여 조선군과 함께 일본군을 격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장기간의 전쟁으로 인해 명나라 역시 국력이 크게 소모되었다.[37]

6. 1. 임진왜란 참전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요청으로 명나라는 대규모 병력을 파견하여 일본군과 싸웠다. 명나라 군대는 조선군과 함께 일본군을 격퇴하는 데 큰 역할을 했지만, 장기간의 전쟁으로 인해 명나라의 국력도 크게 소모되었다.[37]

7. 주요 인물

참조

[1] 서적 Culture, Courtiers, and Competition: The Ming Court (1368–1644) http://www.history.u[...] Harvard East Asian Monographs 2019-04-26
[2] 간행물 The Relations Between The Chinese Ming Dynasty And The Tibetan Ruling House Of Phag-Mo-Gru In The Years 1368-1434: Political And Religious Aspects https://www.sav.sk/j[...]
[3] 서적 Fighting Techniques of the Oriental World: Equipment, Combat Skills, and Tactics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08-12-09
[4] 문서 “WHY MILITARY INSTITUTIONS MATTER FOR MING HISTORY.” Journal of Chinese History 1, no. 2 (2017): 297–327.
[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02-26
[6] 서적 Chinese Archery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0-01-01
[7] 서적 Zhu Yuanzhang and Early Ming Legislation: The Reordering of Chinese Society Following the Era of Mongol Rule https://books.google[...] BRILL
[8] 서적 Community Schools and the State in Ming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Ming Empire 1368-1644 http://www.san.beck.[...]
[10] 웹사이트 ATARN Chinese Traditional Archery Training http://www.atarn.org[...] 2010-12-17
[11] 서적 China as a Sea Power, 1127-1368: A Preliminary Survey of the Maritime Expansion and Naval Exploits of the Chinese People During the Southern Song and Yuan Periods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12
[12] 문서 1587. A Year of No Significance: The Ming Dynasty in Decline New Haven, Conn. 1981
[13] 문서 Kwan-wai So, Japanese Piracy in Ming China During the 16th Century East Lansing 1975
[14] 문서 “Military Labor in China, c. 1500.” Amsterdam 2013
[15] 문서 “Military Labor in China, c. 1500.” Amsterdam 2013
[16] 간행물 “Military Expenditures in Sixteenth Century Ming China.” 1970
[17] 문서 “Military Labor in China, c. 1500.” Amsterdam 2013
[18] 문서 “Military Labor in China, c. 1500.” Amsterdam 2013
[19] 간행물 “Ch’i Chi-kuang (Qi Jiguang) and I-Wu County.” 1995
[20] 간행물 “Ch’i Chi-kuang (Qi Jiguang) and I-Wu County.” 1995
[21] 서적 China as a Sea Power, 1127-1368 Flipside Digital Content Company Inc. 2013
[22] 서적 China as a Sea Power, 1127-1368 Flipside Digital Content Company Inc. 2013
[2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02-26
[2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02-26
[2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02-26
[2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02-26
[27] 문서 “Military Labor in China, c. 1500.” Amsterdam 2013
[28] 문서 “Military Labor in China, c. 1500.” Amsterdam 2013
[29] 문서 “Military Labor in China, c. 1500.” Amsterdam 2013
[30] 서적 Encyclopedia of China: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19
[3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02-26
[32] 문서 “Military Labor in China, c. 1500.” Amsterdam 2013
[3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02-26
[34] 간행물 “Mongols Ennobled During The Early Ming.” https://doi.org/10.2[...] 1959
[35] 서적 Ming China and its Allies: Imperial Rule in Eur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36] 논문 Images of Subject Mongols Under the Ming Dynasty https://muse.jhu.edu[...]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4-06
[37] 서적 Culture, Courtiers, and Competition: The Ming Court (1368–1644) Harvard East Asian Monographs 2008
[38] 서적 Voices from the Ming-Qing Cataclysm: China in Tigers' Jaws Yale University Press 1993
[39] 서적 Voices from the Ming-Qing Cataclysm: China in Tigers' Jaws Yale University Press 1993
[40] 웹사이트 台粵兩地軍話的調查研究 http://ir.lis.nsysu.[...] 2019-12-14
[41] 웹사이트 Zhan Ma Dao (斬馬刀) http://greatmingmili[...] 2015-04-07
[42] 논문 Longbow and Hackbutt: Weapons Technology and Technology Transfer in Early Modern England 1999
[43] 논문 明代军事志的发展特点和价值研究》 2017
[44] 논문 《四镇三关志》概说 2017
[45] 웹사이트 "Plate" armour of the Ming Dynasty http://greatmingmili[...] 2015-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