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러 설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듈러 설계는 기능을 독립적인 모듈로 분할하고,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설계하는 방식이다. 자동차, 항공기, 조선, 철도 차량 등 다양한 산업에서 생산성 향상과 맞춤화를 위해 활용되었다. 모듈러 설계는 비용 절감, 유연성, 확장성 등의 장점을 제공하지만, 설계 복잡성이 높다는 단점도 있다. 디지털 트윈, 수명 주기 평가 등과 통합하여 더욱 발전하고 있으며,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픈 소스 하드웨어 - 슈퍼H
슈퍼H는 히타치에서 개발한 RISC 기반 CPU 코어 제품군으로, 상위 호환성을 갖는 명령어 집합과 높은 코드 밀도를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어 여러 기기에 탑재되었으나, ARM 아키텍처의 부상으로 개발이 중단된 후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를 통해 라이선스가 제공되고 SH-2 특허 만료 후에는 오픈 소스 구현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 오픈 소스 하드웨어 - 픽스호크
픽스호크는 NuttX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무인항공기의 원격 조정 및 자율 주행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32비트 ARM 아키텍처의 STM32 MCU를 사용하며 리눅스 재단의 드론코드 프로젝트에 채택되었고, 다양한 비행 모드와 오픈 소스 지상관제 프로그램 및 원격조정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 공학 개념 - 수동소자
수동 소자는 증폭이나 에너지 변환 없이 에너지를 소비, 축적, 통과시키는 저항, 콘덴서, 인덕터 등의 소자로, 외부 전원 없이 동작하며 입력 조건에 따라 특성이 변하지 않는 선형 동작을 한다. - 공학 개념 - 즉흥
즉흥은 사전 계획이나 준비 없이 즉석에서 창작하는 활동으로, 예술, 과학,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창의적 사고, 직관, 숙련된 기술, 빠른 상황 판단 능력이 요구된다. - 전체론 - 색채론
- 전체론 -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은 프랑스의 예수회 사제이자 철학자, 고생물학자, 지질학자로, 진화론적 관점에서 우주와 인간의 기원과 미래를 탐구하며 과학과 신학을 융합하려 했고, '노스피어'와 '오메가 포인트' 개념을 제시하여 기독교적 진화론 체계를 구축했다.
| 모듈러 설계 | |
|---|---|
| 모듈러 설계 | |
![]() | |
| 다른 이름 | 모듈화 모듈식 건설 사전 제작 건설 |
| 개요 | |
| 정의 | 표준화된 섹션 또는 모듈을 사용하여 구조물을 구축하는 설계 방식 |
| 특징 | 유연성 교체 가능성 독립성 |
| 응용 분야 | |
| 건축 | 건물, 주택 등의 건설 |
| 소프트웨어 | 소프트웨어 개발 |
| 기타 | 우주선 자동차 가구 |
| 건축에서의 모듈러 설계 | |
| 장점 | 빠른 건설 속도 비용 절감 높은 품질 관리 환경 친화성 |
| 단점 | 운송 제한 설계 제약 지역 규정 |
| 예시 | 모듈러 주택 모듈러 학교 모듈러 병원 |
| 소프트웨어에서의 모듈러 설계 | |
| 정의 | 소프트웨어를 독립적인 모듈로 분리하여 개발하는 방식 |
| 장점 | 코드 재사용성 증가 유지보수 용이성 향상 개발 효율성 증대 |
| 예시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 같이 보기 | |
| 관련 개념 | 조립식 건물 대량 생산 표준화 |
2. 역사
(내용 없음)
2. 1. 자동차 산업
마차에서 발전한 초기 자동차 차체는 지붕이 없는 형태였으며, 이후 캐빈 형식이 도입된 후에도 섀시, 보디(차체), 구동부를 각각 다른 회사에서 만드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코치빌더와 같이 특정 부분을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업체들이 다수 존재했으며, 초기 자동차 공장은 여러 업체에서 납품받은 부품을 단순히 조립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했다.현대에 와서는 혼류 생산에 유리하도록 프레임과 보디가 하나로 통합된 모노코크 보디 구조가 일반화되었다. 여기에 엔진, 변속기 등 파워트레인을 포함한 기초 구조를 여러 차종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플랫폼 방식이 널리 쓰인다. 그러나 여전히 엔진, 변속기, 내장재 등 주요 부품은 전문 공장에서, 더 세부적인 부품들은 하청 업체를 통해 생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자동차를 완성하는 조립 공장은 이러한 부품들을 모듈 단위로 결합하는, 일종의 블록 공법을 채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2. 항공기 산업
1930년대까지 항공기 생산은 외판을 먼저 장착한 뒤 배선 등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비효율적이었다. 그러나 노스아메리칸은 P-51을 생산하면서 당시 유럽 자동차 공장에서 널리 쓰이던 블록 공법을 본격적으로 도입했다. 이를 통해 생산 비용을 절감하면서 생산량을 크게 늘리는 데 성공했다.2. 3. 조선 산업
조선 산업에서는 선체를 여러 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동시에 제작한 뒤, 마지막 단계에서 이 블록들을 조립하여 선박을 완성하는 공법, 즉 블록 공법을 사용한다.이 공법은 리버티 선과 같은 전시 표준선을 빠르게 건조해야 했던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본격적으로 채택되었으며, 전쟁 이후 조선 산업의 주요 공법으로 자리 잡았다. 블록 공법은 건조 기간 단축과 작업 효율성 향상을 목표로 채택된 생산 방식이며, 전후 일본의 부흥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조선업 외에도 특정 구조물을 여러 블록으로 나누어 제작 후 조립하는 방식을 '블록 공법'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블록 공법이 조선 산업의 핵심 기술이 된 계기는 제2차 세계 대전이었다. 특히 해상을 통한 군사 활동 및 수송이 중요했던 일본과 미국은 전쟁 중 함정(특히 소모가 심했던 호위 함정)과 수송선을 단기간에 대량 건조해야 했다. 양국은 블록 공법을 활용하여 이러한 요구에 대응했다.
일본에서는 태평양 전쟁 중반부터 수송함[17], 해방함, 전시 표준선 등의 건조에 이 공법을 도입했다. 이는 해군함정본부의 발안으로 시작되었으며, 미쓰비시 중공업, 일본 강관, 히타치 조선 등에서 실용화되었다. 특히 가장 많은 해방함을 건조한 일본 강관에서는 함정본부 소속의 도야마 광일 해군 중좌, 어주순지 해군 소좌와 일본 강관 기술자인 석정리웅 해군 중위 등이 이 공법 연구에 힘썼고, 이는 해방함의 대량 생산에 기여했다. 당시 조선 회사로서는 2선급이었던 일본 강관이 전후 일본을 대표하는 조선 회사로 도약하는 계기가 되었다. 전쟁 이후 블록 공법은 선박 건조의 표준 방식으로 정착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미국에서의 블록 공법의 발전은 리버티 선을 참조할 것.''
2. 4. 철도 차량
일본국유철도(국철)는 1984년 2월 1일 국철 다이어 개정에 따라 열차 편성은 짧게 하되 시간당 운행 횟수를 늘리는 방식의 "프리퀀트 서비스"를 도입했다.[18] 이로 인해 열차 운행 횟수가 늘어나면서 운전대가 부착된 선두 차량이 많이 필요하게 되었지만, 당시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던 국철은 새로운 차량을 충분히 만들 여유가 없었다.[18] 따라서 기존에 운행하던 중간 차량에 운전대(승무원실)를 새로 설치해야 하는 상황이었는데, 일반적인 방식으로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다이어 개정 시점까지 필요한 차량 수를 확보하기 어려웠다.[18]이 문제를 해결하고 개조 공사 기간을 크게 줄이기 위해, 국철은 미리 배선과 배관 등을 포함하여 완성된 형태의 운전대 블록(운전대 유닛)을 제작한 뒤, 이를 기존 차량의 끝부분에 접합하는 방식인 '''블록 접합 공법'''을 채택했다.[18] 이 공법은 중간 차량의 한쪽 끝부분을 잘라내고 그 자리에 미리 만들어 둔 운전대 블록을 붙인 다음, 외관 마감과 배선 연결 등을 통해 완성하는 매우 효율적인 방식이었다.[18][19]
국철 시대에 이 방식으로 개조된 주요 차량은 다음과 같다.
| 원본 차량 | 개조 후 차량 |
|---|---|
| 581・583계 전동차 | 419계・715계 전동차, 455계 전동차 (일부는 165계에서 개조) |
| 국철 115계 전동차 | 115계 전동차 |
| 국철 113계 전동차 | 113계 800번대 |
| 103계 1000번대 | 105계 500번대 |
| 485계・489계 전동차 | 183계・189계 전동차 |
| 국철 781계 전동차 | 781계 100번대 |
| 국철 381계 전동차 | 381계 전동차 |
| 국철 키하 181계 기동차 | 키하 181계 기동차 |
| 국철 키하 183계 기동차 | 키하 183계 기동차 |
이러한 개조 공사는 1986년 11월 1일 국철 다이어 개정 시점까지 계속되었으며, JR 그룹이 발족한 이후에도 비슷한 방식의 개조가 이루어졌다. 특히 국철 시대에는 없었던 신칸센 차량에 대한 개조도 시행되었는데, 0계[20] (JR 서일본 시공)와 200계[21] (JR 동일본 시공)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철도 차량 제작에 블록 공법을 적용하는 방식은 1990년대 이후에도 여러 사례가 있다.
- 953계 신칸센 (STAR21) 중 가와사키 중공업이 제작한 4량은 "섹션 결합 공법"이라는 이름으로 이 방식을 사용했다.[22]
- 게이세이 3400형은 차체 외판과 골격을 하나로 만든 블록 형태의 대차, 지붕, 측면 구조 부재 등을 조립하는 "블록 공법"을 채택했다 (다이에이 차량 제조).[23]
- 일본차량제조는 독자적인 "닛샤식 블록 공법"을 개발하여 자사의 N-QUALIS 브랜드 등에 적용하고 있다.
3. 모듈러 설계의 특징 및 장점
모듈러 설계는 기능을 확장 가능하고 재사용 가능한 개별 모듈로 나누고, 잘 정의된 모듈형 인터페이스를 엄격하게 사용하며, 이러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산업 표준을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모듈성은 주로 구성 요소 수준에 머무르며, 구성 요소를 슬롯에 끼워 넣는 방식(컴포넌트 슬롯 가능성)이라는 단일 차원을 갖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제한된 모듈성을 가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플랫폼 시스템으로 불리며, 자동차 플랫폼이나 컴퓨터 공학 플랫폼의 USB 포트 등이 대표적인 예시다.
설계 이론에서는 이를 더 높은 차원의 모듈성과 자유도를 가진 모듈 시스템과 구분한다. 모듈 시스템 설계는 특정 수명 주기에 얽매이지 않으며, 최소 3개 차원에서 유연성을 보인다. 시장에서 이러한 완전한 모듈 시스템은 찾아보기 어렵지만, 메로(메로) 건축 시스템이 하드웨어 제품 중 가장 가까운 예로 꼽힌다. 특히 항공우주 분야의 무기 플랫폼은 기체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수명 기간 동안 여러 번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모듈 시스템의 경향을 보인다. 모듈성은 시스템이 영향을 받는 차원, 즉 형태, 비용, 작동 방식 등의 자유도로 가장 잘 정의될 수 있다.
모듈화는 다음과 같은 여러 장점을 제공한다.
- 비용 절감: 전체 시스템을 점검할 필요 없이 일부 모듈의 수정만으로 사용자 정의가 가능하다.
- 상호 운용성: 서로 다른 모듈 간의 호환성이 보장된다.
- 학습 시간 단축: 개별 모듈에 대한 이해만으로 시스템 활용이 용이해진다.
- 설계 유연성: 다양한 조합과 구성이 가능하다.
- 세대 제약 없는 확장 및 업데이트: 새로운 모듈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시스템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다.
- 제외: 불필요한 모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플랫폼 시스템 수준의 모듈화는 규모의 경제 실현, 제품 개발 비용 절감, 운영 및 유지보수(O&M) 비용 절감, 시장 출시 기간 단축 등의 이점을 가져온다. 플랫폼 시스템 덕분에 특정 시스템 설계가 시장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었고, 기업들은 제품 수명 주기를 연구개발(R&D) 경로와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반면, 진정한 의미의 모듈 시스템 설계는 플랫폼 시스템보다 훨씬 복잡하며, 개발 초기 구상 단계에서부터 설계 및 제품 전략 전문가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이 단계에서 시스템이 갖춰야 할 유연성의 방향과 수준을 예측하여 모듈화의 이점을 극대화해야 한다. 모듈 시스템은 보다 완전하고 전체적인 설계 접근 방식으로 볼 수 있는 반면, 플랫폼 시스템은 모듈성을 개별 구성 요소 수준으로 제한하는 환원주의적 접근 방식에 가깝다. 따라서 완전한 모듈식 설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플랫폼 시스템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설계 기술과 정교함이 요구된다. 모듈 시스템 설계의 어려움 중 하나는 설계자나 엔지니어가 시스템 분석이나 설계 교육을 충분히 받지 못한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자동차, 컴퓨터, 공정 시스템, 태양광 패널, 풍력 터빈, 엘리베이터, 가구, 직기, 철도 신호 시스템, 전화 교환 장치, 파이프 오르간, 신디사이저, 전력 분배 시스템 및 모듈식 건물 등은 다양한 수준의 구성 요소 모듈성을 활용하는 플랫폼 시스템의 예시다. 예를 들어, 현재의 태양광 부품만으로는 태양광 큐브를 자유롭게 조립할 수 없고, 트럭의 엔진을 쉽게 교체하기도 어려우며, 모듈식 주택 유닛을 몇 년 후 다른 구성으로 재배치하는 것도 모듈 시스템처럼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모듈형 가구는 매우 다재다능하고 적응력이 뛰어나다.[1] 오늘날 시장에서 찾아볼 수 있는 진정한 모듈 시스템의 예로는, 버전 관리 방식에서 완전히 네트워크화된 패러다임으로 전환한 일부 소프트웨어 시스템 정도가 있다.
모듈러 설계는 본질적으로 대량 생산을 통한 표준화의 이점과 맞춤화의 이점을 결합한다. 모듈화의 정도, 즉 차원(dimension)이 어느 수준까지 구현되었는지가 맞춤화의 가능 범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태양광 패널 시스템은 패널을 가로(x)와 세로(y) 방향으로 배열하여 조정할 수 있는 2차원 모듈성을 갖는다. 만약 패널 자체와 보조 시스템까지 모듈화된다면 더 높은 차원의 모듈성을 구현할 수 있다. 모듈 시스템의 차원은 형상, 비용, 수명 주기 등 영향을 받는 매개변수로 정의된다. 앞서 언급된 메로 시스템은 x, y, z의 공간적 차원과 구조적 하중 용량까지 고려한 4차원 모듈성을 갖는다. 현대 컨벤션 공간에서 볼 수 있는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는 태양광 패널의 2차원 모듈성보다 훨씬 큰 형태와 기능적 유연성을 제공한다.
설계 전략 단계에서 모듈성이 적절히 정의되고 구체화된다면, 모듈 시스템은 시장에서 상당한 경쟁 우위를 창출할 수 있다. 진정한 모듈 시스템은 시장 상황 변화에 맞춰 기능을 조정하기 위해 기존의 제품 수명 주기에 의존할 필요가 없다. 또한, 잘 설계된 모듈 시스템은 사용되지 않는 유휴 용량을 최소화하여 설비 가동률을 높이고, 비용 및 가격 결정에서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등 경제적 이점도 제공한다.
4. 모듈러 설계의 단점 및 과제
모듈러 시스템의 가장 큰 단점은 설계자나 엔지니어에게 있다고 지적된다. 대부분의 설계자는 시스템 분석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고, 대부분의 엔지니어 역시 설계 교육을 충분히 받지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모듈러 시스템은 모듈식 구성 요소를 사용하는 플랫폼 시스템보다 설계 복잡성이 훨씬 높으며, 시스템 개발 초기 구상 단계부터 설계 및 제품 전략 전문가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이 단계에서는 시스템이 모듈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필요한 유연성의 방향과 수준을 미리 예측하고 설계에 반영해야 한다.
모듈러 시스템은 보다 완전하고 전체적인 설계를 지향하는 반면, 플랫폼 시스템은 모듈성을 개별 구성 요소에 국한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완전하고 전체적인 모듈식 설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플랫폼 시스템 설계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설계 기술과 정교함이 요구된다.[1]
자동차, 컴퓨터, 공정 시스템, 태양광 패널, 풍력 터빈, 엘리베이터, 가구, 직기, 철도 신호 시스템, 전화 교환 장치, 파이프 오르간, 신디사이저, 전력 분배 시스템 및 모듈형 건물 등은 다양한 수준의 구성 요소 모듈성을 사용하는 플랫폼 시스템의 예시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들은 진정한 의미의 모듈러 시스템이라고 보기 어렵다. 예를 들어, 기존 태양광 부품으로 전혀 다른 형태의 '태양광 큐브'를 조립하거나, 트럭의 엔진을 쉽게 교체하거나, 몇 년 후에 모듈식 주택 유닛을 다른 구성으로 재배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1] 이러한 높은 요구사항과 복잡성 때문에 현재 시장에서 찾아볼 수 있는 진정한 모듈러 시스템은 버전 관리를 완전히 네트워크화된 패러다임으로 전환한 일부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제외하면 매우 드물다.
5.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
모듈러 설계는 특정 기능을 독립된 모듈로 나누고,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합하는 방식으로 여러 산업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다. 많은 경우, 이는 개별 부품의 교체나 조합이 가능한 '플랫폼 시스템'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는 모듈성을 주로 부품 단위로 적용하는 방식이다. 자동차, 컴퓨터, 건축,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러한 접근 방식을 활용하며, 이를 통해 대량 생산의 효율성과 맞춤화의 유연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플랫폼을 공유하여 여러 차종을 개발하거나, 컴퓨터 부품을 표준화된 USB 같은 인터페이스로 연결하여 쉽게 교체하고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플랫폼 시스템 수준의 모듈성은 제품 개발 비용과 시간을 줄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1]
한편, 일부 분야에서는 더 높은 수준의 모듈성을 추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항공우주 산업의 무기 플랫폼 중 일부는 시스템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수명 주기 동안 여러 번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모듈러 설계는 적용되는 수준과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며, 각 산업의 특성에 맞춰 활용되고 있다. 구체적인 적용 사례는 이어지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5. 1. 자동차

모듈러 설계의 특징은 자동차 또는 기타 차량 분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자동차의 특정 부품들을 나머지 부분에 큰 변경 없이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모듈화의 개념이 적용된다.[1]
예를 들어, 많은 자동차는 기본 사양 모델로 출시되지만, 소비자는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더 강력한 엔진, 차량 오디오 시스템, 통풍 기능이 있는 시트, 혹은 계절에 맞는 타이어와 같은 '선택 사양(옵션)'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사양의 추가나 변경은 자동차의 기본 구조인 섀시, 조향 장치, 전동기나 배터리 시스템 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역사적으로 자동차 차체는 마차에서 발전했는데, 초기에는 지붕이 없는 형태였다. 이후 캐빈(승객 공간) 형태가 도입되었지만, 섀시, 차체(보디), 구동 장치를 만드는 회사가 각각 달랐기 때문에, 차체를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코치빌더와 같은 업체들이 다수 존재했다. 초기의 자동차 공장은 여러 업체로부터 부품을 공급받아 조립하는 형태에 가까웠다.
현대의 자동차 생산 방식은 과거와 다르다. 여러 차종을 한 생산 라인에서 만드는 혼류 생산에 유리하도록, 프레임과 차체가 하나로 합쳐진 모노코크 구조가 일반적이다. 또한, 엔진, 변속기 등 주요 동력 전달 장치(파워트레인)를 포함한 기본 구조를 여러 차종이 공유하는 플랫폼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엔진, 변속기, 내장재 등은 전문 공장에서, 더 세부적인 부품들은 하청 업체에서 생산되어 최종 조립 공장으로 보내진다. 이런 점에서 현대 자동차 공장 역시 여러 모듈(블록)을 조립하는 '블록 공법'을 채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2. 컴퓨터 하드웨어

컴퓨터 하드웨어에서의 모듈러 설계는 다른 분야(예: 자동차, 냉장고, 가구 등)와 유사한 개념을 따른다. 이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부품으로 컴퓨터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이 기술 덕분에 사용자는 컴퓨터 전체를 새로 구입할 필요 없이 특정 부품만 쉽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컴퓨터는 모듈러 설계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이다. 일반적인 컴퓨터 모듈에는 컴퓨터 섀시, 전원 공급 장치, 프로세서, 마더보드, 그래픽 카드, 하드 드라이브, 광학 드라이브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동일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부품이라면 이러한 모든 부품을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모듈형 스마트폰이라는 개념도 탐구되었다. 프로젝트 아라는 제조업체가 스마트폰용 모듈을 만들고 최종 사용자가 이를 맞춤 설정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려 했다. 페어폰 역시 사용자가 휴대폰을 수리하거나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개별 부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유사한 원리를 채택하고 있다.
5. 3. 건축
모듈러 설계는 특정 건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모듈식 건물(및 모듈식 주택)은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제조된 보편적인 부품(또는 모듈)으로 구성되며, 이를 조립 현장으로 운송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립한다.[2]모듈식 건물은 특정 구성 요소를 추가하거나 제거하여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이는 건물의 다른 부분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가능하다. 또한, 모듈식 건물은 구성 요소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동일한 과정을 통해 기능 변경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무실 건물은 벽, 프레임, 문, 천장, 창과 같은 모듈식 부품을 사용하여 지을 수 있다. 이후 내부는 더 많은 벽으로 나누고, 책상, 컴퓨터 등 필요한 물품을 배치하여 작업 공간을 완성할 수 있다. 만약 사무실을 확장하거나 직원을 수용하기 위해 공간을 재배치해야 한다면, 벽 패널과 같은 모듈식 구성 요소를 추가하거나 재배치하여 건물 전체를 바꾸지 않고도 필요한 변경을 할 수 있다. 나중에 이 동일한 사무실은 분해되어, 원래 사무실 건물을 구성했던 동일한 모듈식 부품을 사용하여 소매 공간, 회의실 또는 다른 유형의 건물로 재배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새로 만들어진 건물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항목으로 다시 채울 수 있다.
Allied Modular와 같은 회사에서 제공하는 다른 유형의 모듈식 건물에는 경비실, 기계 인클로저, 프레스 박스, 회의실, 2층 건물, 클린룸 등 다양한 응용 사례가 있다.[3]
모듈식 건물에 관해서는 여러 오해가 존재한다.[4] 하지만 실제 모듈식 건설은 빠른 건설 속도가 필요한 경우나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를 위한 효과적인 건설 방법이다. 이러한 장점은 의료, 상업, 소매, 군사 및 다세대/학생 주택과 같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5. 4.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공학에서의 모듈러 설계는 기능을 확장 가능하고 재사용 가능한 개별 모듈로 분할하고, 잘 정의된 모듈형 인터페이스를 엄격하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모듈화는 비용 절감(사용자 정의가 전체 시스템 대신 일부 모듈에 국한될 수 있음), 상호 운용성, 학습 시간 단축, 설계 유연성, 새로운 모듈 연결을 통한 용이한 확장 또는 업데이트 등의 이점을 제공한다.오늘날 시장에 현존하는 모듈식 시스템의 한 예로, 버전 관리에서 완전히 네트워크화된 패러다임으로 전환한 일부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들 수 있다.
5. 5. 기타 분야
자동차, 컴퓨터, 공정 시스템, 태양광 패널, 풍력 터빈, 엘리베이터, 가구, 직기, 철도 신호 시스템, 전화 교환 장치, 파이프 오르간, 신디사이저, 전력 분배 시스템 및 모듈형 건물 등은 다양한 수준의 구성 요소 모듈성을 사용하는 플랫폼 시스템의 예시이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특정 부품(모듈)을 교체하거나 조합할 수는 있지만, 시스템 전체의 구조나 기능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데는 한계가 있다.[1] 예를 들어, 기존 태양광 구성 요소로 전혀 다른 형태의 태양광 큐브를 조립하거나, 트럭의 엔진을 다른 종류의 엔진으로 쉽게 교체하거나, 몇 년 후에 모듈형 주택 유닛을 완전히 다른 구성으로 재배치하는 것은 어렵다.가전제품 분야에서는 1963년 모토로라가 최초의 직사각형 컬러 브라운관을 출시했고, 1967년에는 수리가 용이하도록 내부 부품을 모듈화한 퀘이사 브랜드를 선보였다. 이는 모듈러 설계가 적용된 초기 사례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1974년 모토로라는 텔레비전 사업을 일본의 마쓰시타(현 파나소닉)에 매각했다.
일부 총기류와 무기 시스템에도 모듈러 설계가 적용되어 유지 보수 및 작동의 편의성을 높인다. 예를 들어, 독일의 총기 제조사 헤클러 & 코흐(H&K)는 다양한 종류의 무기를 생산하는데, 이들은 서로 다른 유형이면서도 시각적으로나 내부 부품에서 유사성을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대표적인 예로는 G3 전투 소총, HK21 다목적 기관총, MP5 기관단총, HK33 및 G41 돌격 소총, 그리고 PSG1 저격 소총 등이 있다. 이러한 모듈화는 부품 호환성을 높여 생산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모듈러 설계 개념은 전시회 부스나 소매 판촉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된다. 이 분야에서는 창의적인 맞춤형 디자인을 구현하면서도,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임시 구조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많은 업체들이 사전 설계된 모듈러 시스템을 빌딩 블록처럼 사용하여 맞춤형 전시 디자인을 구현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구조물은 다른 형태로 재구성하여 다음 전시회에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제작 및 설치, 운송에 드는 인건비와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폐기물을 줄여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이기도 하다.
6. 현대적 발전
모듈러 설계는 현대 기술과 이론의 발전에 따라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트윈 기술과의 통합을 통해 제품 수명 주기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모듈러 설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최적화를 이루기 위해 구성법칙과 같은 새로운 이론과 결합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실제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설계 방법론 개발과 적용으로 이어지고 있다.
6. 1. 디지털 트윈과의 통합
제품 수명 주기 관리는 제품과 그 관련 요소(제품군, 플랫폼, 모듈, 부품 등)의 정보를 제품 수명 주기 전체에 걸쳐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전략이다.[5] 최근 연구에서는 실제 제품을 디지털 공간에 동일하게 구현한 디지털 트윈 기술을 모듈러 설계와 결합하여 제품 수명 주기 관리를 더욱 향상시키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6][7]6. 2. 수명 주기 및 에너지 평가와의 통합
일부 전문가들은 모듈러 설계가 자동차 산업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량 무게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Trancossi는 모듈러 설계를 구성법칙( Constructal laweng )에서 파생된 최적화 기준과 결합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8] 구성법칙은 본질적으로 모듈러 방식과 유사하며, 간단한 공학 시스템에 적용하여 흥미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9] 이는 다음과 같은 상향식 최적화 방식을 따른다.- 시스템을 트리 모델을 사용하여 하위 시스템(요소 부품)으로 나눈다.
- 모든 복잡한 시스템을 모듈 방식으로 표현하여, 다양한 물리적 크기가 시스템을 통과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 다양한 흐름 경로를 분석하여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구성 요소를 식별한다.
- 해당 구성 요소를 최적화하고 더 성능이 좋은 부품으로 교체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MAAT EU FP7 프로젝트를 통해 더 발전된 공식이 개발되었다.[10] 이 프로젝트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상향식 최적화 방식과 예비 시스템 수준의 하향식 설계를 결합한 새로운 설계 방법이 만들어졌다.[11] 이러한 접근 방식은 기존의 구성 설계와 모듈러 설계가 설계 과정에서 달성해야 할 구체적인 목표를 명확히 제시하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이 새로운 설계 방법에 대한 이론적 기반이 제시되었으며,[8] 실제로 소형 항공기 설계,[12] 혁신적인 통근용 항공기의 개념 설계,[13][14] 새로운 엔트로피 벽 설계,[15] 그리고 연비 향상을 목표로 설계된 혁신적인 오프로드 차량 개발에 성공적으로 적용된 바 있다.[16]
7. 결론 및 전망
모듈러 설계는 기능을 개별 모듈로 나누고, 명확하게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산업 표준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이러한 방식은 주로 부품 단위의 모듈성을 가지며, 자동차 플랫폼이나 컴퓨터의 USB 포트처럼 특정 부품을 교체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 플랫폼 시스템에서 흔히 볼 수 있다.[1]
하지만 디자인 이론에서는 이보다 더 높은 차원의 유연성을 가진 모듈식 시스템과 구분한다.[1] 진정한 모듈식 시스템은 정해진 수명이 없고 여러 차원에서 유연성을 가지지만, 설계의 복잡성 때문에 시장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1] 건축 분야의 메로(Mero) 시스템이나, 수명 주기 동안 여러 번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항공우주 분야의 무기 플랫폼 등이 그 예시에 가깝다.[1]
모듈화는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시스템 전체를 바꾸지 않고 일부 모듈만 수정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을 높인다. 또한 새로운 기술 습득 시간을 줄이고, 설계 유연성을 높이며, 새로운 모듈을 추가하여 기능을 확장하거나 업데이트하기 용이하다.[1] 플랫폼 시스템 역시 규모의 경제를 통한 이익 회수, 제품 개발 및 운영유지(O&M) 비용 절감, 시장 출시 기간 단축 등의 장점을 가진다.[1] 플랫폼 시스템 덕분에 다양한 시스템 설계가 시장에 널리 보급될 수 있었고, 기업들은 연구개발(R&D) 경로와 제품 주기를 분리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1]
그러나 모듈식 시스템 설계에는 어려움도 따른다. 설계 복잡성이 플랫폼 시스템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시스템 분석 및 설계 역량을 갖춘 전문가가 개발 초기 단계부터 참여해야 한다.[1] 시스템에 필요한 유연성의 방향과 수준을 미리 예측하고 설계에 반영해야 모듈화의 이점을 제대로 살릴 수 있다.[1] 많은 설계자와 엔지니어가 이러한 통합적인 시스템 설계 교육을 충분히 받지 못했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1]
현재 시장에서 볼 수 있는 자동차, 컴퓨터, 공정 시스템, 태양광 패널, 풍력 터빈, 엘리베이터, 가구, 직기, 철도 신호 시스템, 전화 교환기, 파이프 오르간, 신시사이저, 전력 분배 시스템, 모듈러 건축 등은 대부분 부품 수준의 모듈성을 가진 플랫폼 시스템에 해당한다.[1] 예를 들어, 현재의 태양광 부품으로 입체적인 태양광 큐브를 만들거나, 트럭 엔진을 다른 종류로 쉽게 교체하거나, 모듈식 주택 유닛을 몇 년 후 다른 구성으로 재배치하는 것은 어렵다.[1] 진정한 모듈식 시스템의 예는 버전 관리에서 벗어나 완전히 네트워크화된 패러다임으로 전환한 일부 소프트웨어 시스템 정도이다.[1]
모듈러 설계는 본질적으로 표준화를 통한 대량 생산의 이점과 맞춤화의 이점을 결합하려는 시도이다.[1] 모듈화의 정도가 높을수록 더 다양한 차원에서 맞춤화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태양광 패널 시스템은 패널 배열을 2차원(가로, 세로)으로 조절할 수 있지만, 메로 시스템은 3차원 공간(x, y, z)과 구조적 하중까지 조절할 수 있어 훨씬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1]
결론적으로, 모듈러 설계는 특히 설계 전략 단계에서 신중하게 고려될 경우 시장에서 상당한 경쟁 우위를 창출할 잠재력을 지닌다.[1] 잘 설계된 모듈식 시스템은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제품 수명 주기에 덜 의존하게 되고, 불필요한 용량을 줄여 활용률을 높이며 비용 및 가격 결정에서도 유연성을 확보하는 경제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1] 앞으로 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더욱 정교하고 유연한 모듈식 시스템이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Modular Furniture: A Comprehensive Guide
https://sitbackloung[...]
2023-07-25
[2]
웹사이트
Modular home definition
https://web.archive.[...]
2010-08-19
[3]
웹사이트
Allied Modular Products
http://www.alliedmod[...]
Allied Modular
2012-03-27
[4]
웹사이트
modular building
https://archive.toda[...]
[5]
서적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Volume 1): 21st Century Paradigm for Product Realisation
Springer-Verlag
2015
[6]
간행물
Shaping the digital twin for design and production engineering
https://hal.archives[...]
2017-01
[7]
서적
Transdisciplinary perspectives on complex systems: new findings and approaches
Springer-Verlag
2017
[8]
논문
A response to industrial maturity and energetic issues: a possible solution based on constructal law
https://link.springe[...]
2015
[9]
논문
Constructal theory of generation of configuration in nature and engineering
2006
[10]
웹사이트
Multibody Advanced Airship for Transport | Projects | FP7-TRANSPORT
http://cordis.europa[...]
[11]
논문
Propulsion of photovoltaic cruiser-feeder airships dimensioning by constructal design for efficiency method
http://www.academia.[...]
2013
[12]
논문
Multifunctional unmanned reconnaissance aircraft for low-speed and STOL operations
https://www.academia[...]
2015
[13]
논문
A new aircraft architecture based on the ACHEON Coanda effect nozzle: flight model and energy evaluation
https://www.research[...]
2016
[14]
논문
Preliminary implementation study of ACHEON thrust and vector electrical propulsion on a STOL light utility aircraft
https://www.research[...]
2015
[15]
논문
Constructal design of an entropic wall with circulating water inside
https://www.research[...]
2016
[16]
논문
Design of an innovative off road hybrid vehicle by energy efficiency criteria
https://www.research[...]
2016
[17]
문서
一等輸送艦|摘要(特徴)|敵制空下ヲ突破シ第一線ニ高速補給ヲス。大發四隻艦尾ヨリ發進可能又特型戰車ノ發進可能。多數建造ノ為模型ニヨリ艦體ヲ陸上ブロックニヨリ加工、艤装後ノ一部ヲ取附ケル方式ヲ採用セル最初ノ艦型。工数5900、期間四ヶ月
[18]
간행물
余剰車の活用と先頭車改造について
1984-02
[19]
PDF
技術資料 - 車両の改造 - 特急寝台電車が通勤電車に変身 -
https://web.archive.[...]
1986-01
[20]
간행물
新幹線電車の先頭車改造
1988-03
[21]
간행물
200系新幹線電車先頭車改造
1988-05
[22]
간행물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殿向け953形式新幹線高速試験電車
1992
[23]
서적
大榮車輌ものがたり(下) - 津田沼に合った鉄道車両メーカー -
ネコ・パブリッシングRM LIBRARY 1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