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파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파는 티베트어로 "몬 지역에 사는 사람들"을 의미하며, 히말라야 산맥 남쪽의 티베트 지역에 거주하는 민족이다. 현재 약 6만 명이 인도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와 중국 티베트 자치구에 분포하며, 언어 차이에 따라 여러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 몬파는 목각, 회화, 직조 등 수공예 기술이 발달했으며, 겔룩파 티베트 불교를 신봉한다. 전통 사회는 의회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몬파족의 전통 의상은 티베트의 추바를 기반으로 한다. 몬파족은 전통적으로 화전 농업에 종사했으나, 현재는 상전 농업과 목축, 수공예를 병행하며, 6대 달라이 라마를 배출하는 등 역사적으로 티베트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티베트족 - 버마족
버마족은 미얀마의 다수 민족으로, 주로 이라와디강 유역에 거주하며 윈난성에서 이주하여 몬족과 퓨족을 흡수했고, 상좌부 불교를 믿으며 버마어를 사용하는 독특한 문화를 지니고 있다. - 중국티베트족 - 응갈롭인
응갈롭인은 부탄의 주요 민족 집단으로 종카어를 사용하고 드룩파 계파의 티베트 불교를 믿으며 농업에 종사하고 종 건축으로 유명하며, 정치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민족이다. - 부탄의 민족 - 티베트인
티베트인은 티베트고원에 거주하며 티베트어와 티베트 불교를 사용하고, 중국의 지배를 받으며 자치 확대를 요구하는 민족이다. - 부탄의 민족 - 타망족
타망족은 티베트 기원의 네팔 민족 집단으로, 독특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며 네팔 인구의 약 5.8%를 차지하고 바그마티주에 가장 많이 분포한다. - 인도의 민족 - 몰디브인
몰디브인은 인도-아리아계 민족으로 몰디브 제도에 거주하며 디베히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국교로 삼고 있으며, 이슬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남아시아, 아랍, 아프리카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가지고 있다. - 인도의 민족 - 파슈툰인
파슈툰인은 아프가니스탄 최대 민족이자 파키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민족으로, 파슈토어를 사용하며 강력한 부족 시스템과 파슈툰왈리 관습법에 기반한 문화를 가지고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정치,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 몬파인 | |
|---|---|
| 일반 정보 | |
![]()  | |
| 인구 | 약 75,000명 | 
| 거주 지역 | 인도(아루나찰프라데시 주): 60,545명 (2011년 인구 조사) 중국(티베트 자치구): 10,561명 (2010년 인구 조사) 부탄: 3,000명  | 
| 언어 | 동부 보디시어군 창라어 코-브와어군  | 
| 종교 | 티베트 불교 | 
| 관련 민족 | 티베트족 셰르두크펜족 샤르초프족 멤바족 림부족  | 
| 언어별 명칭 | |
| 티베트어 | (몬파) | 
| 중국어 | (먼바족) | 
| 힌디어 | (몬파) | 
| 일본어 | メンパ族 (멘파족) | 
2. 명칭
몬파(먼바)는 티베트어로 "먼위(門隅)에 사는 사람"을 의미한다. 몬파인의 조상이 살았던 지역은 티베트 자치구 먼위 남부의 먼거 지구(門隔地区)로 알려져 있다. 서기 800년경 라사의 조캉 사원에 세워진 비석에 기록된 “맹족”(孟族)이 몬파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몬파족의 인구는 약 6만 명으로 추산되며,[5] 대부분 인도가 행정적으로 관리하는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에 거주한다. 이들은 주로 타왕 구와 웨스트카멩 구에 집중되어 있다. 약 2만 명은 타왕 구에 거주하며, 이곳에서 몬파족은 구 전체 인구의 약 97%를 차지한다. 나머지 대부분은 웨스트카멩 구에 거주하며, 이곳에서는 구 인구의 약 77%를 차지한다. 소수의 몬파족은 이스트카멩 구에도 거주하고 있다.[5]
티베트 불교 경전에서는 '몬율'(Mon-yul|몬율bo, 문자 그대로 "저지")을 히말라야 산맥 능선 아래 티베트 남쪽 지역으로 묘사한다. 이 지역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지만, 대략 동부 부탄과 서부 시킴에서 타왕 지역까지 이르는 것으로 본다. '몬파'는 이 몬율 지역의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로, 특히 티베트 불교를 받아들인 사람들을 지칭했다. 이는 아삼 히말라야 지역에서 불교에 적대적이었던 '로파'(Lhopa)와 구별되는 명칭이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역사적인 '몬율' 지역에 살던 사람들 중 일부는 시킴의 렙차족이나 부탄의 드룩파 등 다른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지만, 타왕 지역의 사람들은 '몬파'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해왔다. 역사적으로 먼거 지구는 7세기 티베트 왕국(토번)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며, 13세기에는 티베트의 일부가 되어 중국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 몬파인은 봉건 농노 제도 아래에서 티베트인의 지배를 받으며 경제, 종교, 문화 등 여러 면에서 영향을 받았다.
3. 분포
중국 티베트 자치구에는 약 9,000명의 몬파족이 거주하며,[2] 주로 촌나 현, 바이지 구의 펄룽, 메독 현 등지에 분포한다.[2] 이 지역들은 티베트 고원 외곽, 히말라야 산맥 남쪽에 위치하여 해발 고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특히 메독 현은 티베트의 다른 지역과 달리 열대 기후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6]
몬파족은 사용하는 언어의 차이에 따라 크게 6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
4. 역사
먼바(Monpa)는 '먼위(門隅, Monyul)에 사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이들의 조상은 티베트 자치구 먼위 남부의 먼거 지구(門隔地区)에 거주했다. 약 200년 전, 일부 몬파인은 동쪽으로 이동하여 티베트 자치구 모퉈현에 정착했다.
'로몬' 또는 '모니울'로 불리는 국가는 기원전 500년부터 서기 600년까지 현재의 부탄을 중심으로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7] 서기 800년경 라싸의 조캉 사원에 세워진 비석에는 '맹족'(孟族)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들이 몬파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티베트 불교 경전에서는 '몬율'(문자 그대로 '저지대')을 히말라야 산맥 능선 남쪽 지역으로 묘사한다. 그 경계는 명확하지 않으나 대략 동부 부탄과 서부 시킴에서 타왕 지역까지 포함했던 것으로 보인다. '몬파'는 이 몬율 지역의 사람들을 가리키며, 아삼 히말라야 지역의 다른 부족인 '로파'(Lhopa)와는 구별되었다. 몬파는 불교 선교에 비교적 순응적이었던 반면, 로파는 적대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전해진다. 시간이 흐르면서 역사적인 '몬율' 지역의 여러 집단은 시킴의 렙차족이나 부탄의 드룩파 등으로 불리게 되었지만, 타왕 지역의 사람들은 계속 '몬파'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먼거 지구는 7세기 토번(티베트 왕국)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며, 13세기에는 티베트의 일부가 되어 중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이 시기 몬파인은 봉건 농노 제도 아래에서 티베트인의 지배를 받았고, 경제, 종교, 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티베트의 영향을 받았다.
11세기경, 타왕 북부의 몬파인들은 티베트 불교의 닝마 및 카규 종파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몬파인들은 주로 종교적인 목적으로 티베트 문자를 받아들여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13세기에는 드룩파 선교사들이, 17세기에는 겔룩 학파의 선교사들이 이 지역에 들어왔다. 현재 대부분의 몬파인들은 겔룩파를 따른다.[8] 비록 티베트어와 문자를 받아들였지만, 몬파인들이 역사적으로 티베트인으로 간주된 적은 없었다.
14세기경 모니울은 티베트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는데, 이는 몬파인 출신인 짱양갸초가 6대 달라이 라마로 즉위하면서 더욱 분명해졌다. 그러나 타왕 지구로도 알려진 모니울 지역은 20세기 중반까지도 외딴 곳으로 남아 인구 밀도가 낮았다.[9]
모니울은 상당 기간 자치적인 지역으로 남아 있었으며, 타왕에 기반을 둔 지역 사원과 승려들이 상당한 정치적 권력을 행사했다. 라싸 중앙 정부의 직접적인 통치는 17세기에 이르러서야 확립되었고, 이러한 티베트 정부의 지배는 20세기 초까지 이어졌다. 1875년부터 1876년까지 이 지역을 방문했던 영국령 인도의 탐험가 나인 싱 라와트는 몬파인들이 외부 세계와의 접촉을 꺼리며 티베트와의 무역을 독점하려는 경향이 있는 보수적인 사람들이라고 기록했다.
1914년 심라 협약 협상 과정에서 영국과 티베트 대표는 히말라야 산맥의 능선을 따라 양측의 경계를 정하는 데 합의했는데, 이 경계선은 맥마흔 라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 경계선은 몬파인들의 거주 지역을 분단시키는 결과를 낳았으며, 선의 정확한 위치에 대한 불분명함은 이후 지속적인 분쟁의 원인이 되었다.
5. 언어
몬파족은 시나-티베트어족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종종 '몬파어'라고 통칭되지만, 이는 계통적으로 단일한 언어를 가리키는 용어가 아니며 실제로는 서로 다른 여러 언어를 포함한다.[10] 크게 '쿼나 몬파어'(초나 멘파어)와 '모퉈 몬파어'(메토크 멘파어, 주로 창라어 계열)로 나뉘기도 하지만, 이들 사이를 포함해 몬파어로 묶이는 언어들은 음성, 어휘, 문법 구조가 달라 서로 의사소통이 어렵다. 몬파족 고유의 문자는 없으며, 티베트 문자가 통용된다.
'몬파어'로 분류되는 주요 언어 그룹에는 코-브와어군, 동부 보디시어군, 창라어 등이 포함된다.[10] 언어학자 블렌치(Blench, 2014)는 이 언어들을 다음과 같이 다섯 그룹으로 더 상세히 분류하였다:[10]
- 셰르두크펜어, 리쉬어, 사르탕어: 주변 언어와 뚜렷한 관계가 밝혀지지 않은 작은 언어 고립군을 이루며, 부군어와 관련되어 코-브와어군 그룹을 형성한다.
 - 타왕 몬파어: 동부 보디시어군에 속하며 다크파어의 방언으로 여겨진다.
 - 제미탕, 마고, 팅부 지역 언어: 제미탕(Zemithang), 마고(Mago), 팅부(Thingbu) 등지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타왕 몬파어와는 상호 이해가 어려운 별개의 동부 보디시어군 방언들이다.
 - 창라어 및 관련 언어: 보디시어군 내의 창라어는 뉴크마둥(Nyukmadung)과 루브랑(Lubrang) 마을 방언, 유목민이 사용하는 브록파어 등을 포함한다. 또한 디랑(Dirang, "중앙 몬파어"), 모르싱(Morshing), 칼락탕(Kalaktang, "남부 몬파어") 등도 이 범주에 속한다.
 
6. 문화
몬파족은 목각, 회화, 카펫 제작, 직조 등 다양한 공예 기술로 유명하다. 현지에서 자라는 숙소 나무의 펄프를 이용하여 직접 종이를 만들기도 한다. 타왕 수도원에서는 이렇게 만든 종이와 나무 블록을 사용하여 라마승들을 위한 종교 서적을 인쇄한다. 또한 나무 그릇 제작과 대나무를 엮어 만드는 공예품도 널리 알려져 있다.[1]
사냥은 몬파족 문화의 일부이지만, 사람과 호랑이는 사냥 대상에서 제외된다. 전통적으로 호랑이 사냥은 특별한 경우에만 허용되는데, 길일(吉日)이나 주술사의 입문 기간에 통과 의례의 하나로 단 한 마리만 사냥할 수 있다. 사냥한 호랑이의 턱뼈와 이빨은 강력한 힘을 지닌 마법 무기로 여겨진다. 이는 조상 호랑이의 영혼이 그 힘을 빌려 젊은이의 앞길을 인도하고 보호해 준다는 믿음에서 비롯된다.
6. 1. 종교
몬파족은 티베트인과 마찬가지로 티베트 불교를 깊이 신봉하며, 라마승으로 출가하는 사람도 많다.[8] 역사적으로 6대 달라이 라마인 창양 갸초와 같은 고승을 배출하기도 했다.[7]11세기에 타왕 북부의 몬파족은 닝마파와 카규파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몬파족은 주로 종교적인 목적으로 티베트 문자를 받아들여 사용하기 시작했다.[8] 이후 13세기에는 드룩파 선교사들이, 17세기에는 겔룩파 선교사들이 이 지역에 들어왔다.[8]
오늘날 대부분의 몬파족은 17세기 부탄 출신의 메라그 라마의 영향으로 받아들인 겔룩파 티베트 불교를 신봉한다.[8] 이러한 겔룩파의 영향력은 타왕 사원이 몬파족의 일상생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에서도 잘 드러난다.
다만, 제미탕 지역의 몬파족은 대승불교/탄트라야나 전통의 닝마파 계열을 따른다.[11]
6. 2. 축제
몬파족의 주요 축제에는 추수 축제인 초스카, 로사르, 토르갸가 있다. 로사르 기간 동안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티베트 새해를 기원하며 타왕 수도원에서 기도를 올린다. 판토마임 댄스는 아질라무 축제의 주요 특징이다.불교 라마승들은 초스카 기간 동안 며칠 동안 곰파에서 종교 경전을 읽는다. 그 후, 마을 사람들은 등에 수트라(경전)를 지고 경작지를 걷는다. 이 축제는 더 나은 경작과 마을 사람들의 번영을 기원하고, 곡물을 해충과 야생 동물로부터 보호하는 의미를 가진다.
6. 3. 사회
몬파족의 전통 사회는 지역에서 '트룩드리'라고 불리는 6명의 장관으로 구성된 의회가 운영했다. 이 의회의 구성원은 '켄포'라고 불렸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수도원장"을 의미한다. 라마 역시 존경받는 지위를 가졌으며, 2명의 승려인 녜상과 다른 2명의 종펜이 사회 구성원으로 존재했다.가정에서는 남자가 가문의 수장으로서 모든 결정을 내린다. 만약 가장이 부재할 경우에는 그의 아내가 모든 책임을 맡는다. 자녀가 태어날 때 아들이나 딸에 대한 특별한 선호는 나타나지 않는다.
6. 4. 생활 양식과 복장
몬파족의 전통 의상은 티베트의 추바를 기반으로 한다. 남성과 여성 모두 야크 털로 만든 머리 장식을 착용하며, 이 장식에는 긴 술이 달려 있다. 여성들은 주로 따뜻한 재킷과 종아리까지 내려오는 소매 없는 셔츠를 입고, 길고 좁은 천으로 허리를 묶는다. 장신구는 주로 은, 산호, 터키석으로 만들어진다. 때때로 공작 깃털 하나를 꽂은 펠트 모자를 쓰기도 한다.동부 히말라야 지역의 온화한 기후 덕분에 몬파족은 이 지역의 다른 민족들처럼 석재와 나무를 사용하여 집을 짓는다. 집 내부는 판자 바닥으로 되어 있으며, 아름답게 조각된 문과 창틀을 갖춘 경우가 많다.[12] 지붕은 대나무 매트로 만들어 겨울철에 집 안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거실에는 앉을 수 있는 플랫폼과 난로가 마련되어 있다.
몬파족의 식습관은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극심한 기후 조건에 영향을 받았다. 추운 날씨에 대응하기 위해 상당한 양의 치즈, 소금, 고기를 섭취하며, 알코올 음료도 함께 즐긴다. 대표적인 음료로는 버터 차와 현지에서 만드는 증류주가 있다. 이 증류주는 창(Chang), 방창(Baang-Chang), 신창(Sin-Chang) 등으로 불리며, 옥수수, 수수, 보리, 메밀 또는 쌀 등을 원료로 사용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도 다른 지역에서 온 관광객들의 유입과 교육받은 젊은 세대 사이에서 서구 문화의 영향이 커지면서 식습관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상점에서 구입하는 가공식품이나 칩, 햄버거, 사모사 같은 패스트푸드, 카푸치노 커피, 상업용 주류 등이 널리 퍼지고 있다.
7. 경제
몬파족의 전통적인 생업은 화전 농업이었으나, 현재는 정착하여 밭을 경작하는 상전농업(常畑農業)을 주로 하며, 목축이나 수공예도 겸업한다. 이들은 이동식 경작과 영구적인 경작 방식을 병행한다. 주요 가축으로는 소, 야크, 암소, 돼지, 양, 가금류 등을 기른다.
산비탈에서의 토양 침식을 막기 위해 많은 경사면에 계단식 밭을 만들어 농사를 짓는다. 주요 재배 작물로는 벼, 옥수수, 밀, 보리, 수수, 메밀, 고추, 호박, 콩 등이 있으며, 이들은 현금 작물로도 재배된다.
8. 중국 내 자치 지방
- 린즈 시 바이지 구
 - * 겅장 멍바족 민족향
 - 춰나 현
 - * 마마 멍바족 민족향
 - * 겅르 멍바족 민족향
 - * 지바 멍바족 민족향
 - * 르 멍바족 민족향
 
9. 저명한 몬파족
- 창양 가초: 제6대 달라이 라마이다.
 - 나왕 타시 바푸: 통상 "라마 타시"로 알려져 있으며, 2006년 그래미상 전통 월드 뮤직 부문 후보에 올랐다.
 - 프렘 칸두 퉁간: 전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총리를 역임했다.
 - 도르제 칸두: 전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총리를 역임했다.
 - 페마 칸두: 도르제 칸두의 아들이며, 현재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총리를 맡고 있다.
 - 도르제 왕디 카르마: 정치인이다.
 - 체왕 돈둡: 정치인이다.
 - 푸르파 체링: 정치인이다.
 - 잠베이 타시: 정치인이다.
 - 체링 타시: 정치인이다.
 - 안슈 잠센파: 등반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11 Individual Scheduled Tribe Primary Census Abstract Data and its Appendix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17-11-03
 
[2] 
웹사이트
 
国家统计局:《2010年第六次人口普查数据》
 
http://www.stats.gov[...] 
[3] 
URL
 
http://www.censusind[...] 
2024-08-01
 
[4] 
웹사이트
 
Winds of Change: Arunachalee in Tradition and Transition by Raju Barthakur
 
https://web.archive.[...] 
2007-09-26
 
[5] 
뉴스
 
Winds of Change: Arunachalee in Tradition and Transition
 
https://web.archive.[...] 
2006-07-01
 
[6] 
웹사이트
 
Moinba Ethnic Group and its customs
 
https://web.archive.[...] 
2013-10-20
 
[7] 
서적
 
Nepal and Bhutan: Country Studies
 
https://archive.org/[...]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8] 
서적
 
Encyclopaedia of North-east India, Vol# 3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9] 
서적
 
Into the Untravelled Himalaya: Travels, Treks and Climbs
 
Indus Publishing
 
[10] 
문서
 
Sorting out Monpa: The relationships of the Monpa languages of Arunachal Pradesh.
 
2014
 
[11] 
Youtube
 
Modi govt's Vibrant Villages Programme & winds of change in Arunachal Pradesh's Zemithang
 
https://www.youtube.[...] 
2023-09-28
 
[12] 
서적
 
Arunachal Pradesh
 
University of Michig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