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몽구오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구오르어는 5개의 단모음과 다양한 자음을 가지는 언어이다. 몽골어족에 속하며, 고유의 수사를 가지고 있으나 현대에는 중국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1979년 칭하이 민족 대학교에서 병음을 기반으로 한 표기 체계를 발표했으나, 일반적인 표기법 제정에는 이르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어족 - 칼미크어
    칼미크어는 유럽의 칼미크인들이 사용하는 몽골어족 언어로, 러시아어와 튀르크어족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교착어와 모음조화의 특징을 지니고, 토도 비치그를 거쳐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소멸 위기를 겪었으나 부흥 운동이 있었다.
  • 몽골어족 - 거란어
    거란어는 거란족이 사용한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거란대자와 거란소자라는 두 종류의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요사》의 〈국어해〉를 통해 일부 어휘가 몽골어, 다우르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 중국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몽구오르어
일반 정보
언어 이름몽구오르어
다른 이름데드 몽골, 투
자칭moŋɡuer
사용 국가중국
사용 지역칭하이성, 간쑤성
사용자약 152,000명 (2000년)
어족알타이어족
어파몽골어족
하위 어군남부 몽골어군
분파시롱골어군
방언몽골 (후주), 망구에르 (민허)
ISO 639-3mjg
Glottologtuuu1240
Glottopedia망구에르
문자 체계
문자라틴 문자 (1979년 이후)

2. 음운

몽구오르어는 몽골어족의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모음 조화 현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그 양상은 다른 몽골어족 언어들과 다소 차이를 보인다. 몽구오르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 1. 모음

몽구오르어는 5개의 단모음(/i/, /e/, /u/, /o/, /a/)을 가지고 있다.


  • 모음은 비음 자음 앞에 위치할 때나 다른 특정 음성 환경에서 비음화될 수 있다.
  • 모음 /i, e, u/는 특정 음성 환경에서 무성음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다음은 각 모음 음소의 주요 변이음이다.

음소/음가변이음비고
/i/ [i][ɪ]강세를 받는 음절에서
[ɨ]치경 마찰음 또는 파찰음 뒤에서
[ɨ˞]권설 자음 뒤에서
/e/ [e][ə]초성 자음군이나 종성 자음이 없는 강세 음절에서
[ɛ]구개음 초성 또는 구개음 종성이 있는 음절에서
[ə̝]비음 종성 자음이 있는 음절에서
/a/ [ä][ɑ]연구개 비음 종성 /ŋ/으로 닫힌 음절에서
[ɐ]음절 종결 /j/ 앞에서
[æ]치경 비음 /n/으로 닫힌 음절에서
[ɛ]구개 초성 자음 뒤에 오고, 치경 비음 /n/ 앞에서
/o/ [o][ɵ]다른 환경에서 더 좁게 발음될 수 있음
/u/ [u][ʊ]무강세 음절에서
[ʉ]구개 자음 뒤에서


2. 2. 자음

colspan="2" |순음치경음치경구개음권설음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
파열음무성음ptkq
유기음
파찰음무성음t͡st͡ɕt͡ʂ
유기음t͡sʰt͡ɕʰt͡ʂʰ
마찰음fsɕʂχ
비음mnŋ
접근음유음lɻ
중설jw


  • /χ/는 자유 변이로 h 또는 x의 이음으로도 들릴 수 있다.
  • /ɻ/는 강세를 받는 음절이나 단어의 첫 음절 시작 부분에서 유성 마찰음 ʐ로 들릴 수 있다. 또한, 강세가 없는 음절 시작 부분의 모음 사이에서는 탄음 ɾ로 들릴 수 있다. 음절 끝 위치에서는 로틱 모음 ə˞ 소리로 들린다.
  • /j/는 강세를 받는 음절에서 강하게 마찰화된 이음 ʝ을 가질 수 있다.[1]

3. 수사

몽구오르어에는 고유한 수사가 있었지만, 현대에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중국어로 수를 센다.[7][2] 몽골어 숫자는 몽골 방언에서만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2]

다음은 고전 몽골어와 몽구오르어의 수사를 비교한 표이다.

숫자고전 몽골어몽구오르어
1nigennige
2qoyarghoori
3ghurbanghuran
4dörbendeeran
5tabuntawun
6jirghughanjirighun
7dologhanduluun
8naimanniiman
9yisünshdzin
10arbanharan



몽골 문자에는 '10'을 뜻하는 ''arban''만 있지만, 중간 몽골어의 *''harpa/n'' (*''h'' 포함) 형태는 문자를 통해 재구성될 수 있다.[3]

4. 표기 체계

1979년 칭하이 민족 대학교에서 표준 중국어의 병음을 기반으로 한 문자 표기 체계인 '토문방안'[5]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 표기법이 널리 사용되지는 못했다. 다만,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방송처럼 문자에 의존하지 않는 몽골어 미디어는 존재한다.

5. 다른 몽골어족 언어와의 관계

몽구오르어는 몽골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같은 어족에 속하는 다른 언어들과 친족 관계를 맺고 있다. 몽골어족에는 원시 몽골어(재구된 조어)를 비롯하여 다우르어, 부랴트어, 몽골어 (예: 할하 몽골어, 차하르 몽골어), 오르도스 몽골어, 오이라트어 (예: 칼미크어), 둥샹어, 바오안어, 캉자어, 동부 유구어, 모골어 등이 포함된다.

참조

[1] 서적 A Grammar of Mangghuer: A Mongolic Language of China's Qinghai-Gansu Sprachbund Routledge
[2] 간행물
[3] 간행물
[4] 웹사이트 http://www.ethnologu[...]
[5] 웹사이트 http://www.nssd.org/[...]
[6] 웹사이트 Monguor at Ethnologue
[7] 간행물 Language Materials of China’s Monguor Minority: Huzhu Mongghul and Minhe Mangghu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