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양순 마찰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양순 마찰음은 윗입술과 아랫입술을 좁혀 공기를 마찰시켜 내는 자음이다. 발성 시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며, 양쪽 입술을 사용하는 양순음이자, 입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구강음이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u/, /w/ 앞에서 'ㅎ'이 이 소리로 발음되며, 일본어 'ふ'(fu)의 첫 소리에서도 나타난다. 이 외에도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언어에 따라 /f/의 변이음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순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 양순음 - 무성 양순 파열음
무성 양순 파열음(/p/)은 양쪽 입술을 막았다 터뜨려 내는 소리로, 한국어 'ㅂ', 'ㅍ'과 유사하며 여러 언어에 존재하지만 일부 언어에는 없는 경우도 있고, 다양한 변종을 가진다. - 마찰음 - 유성 치경 마찰음
유성 치경 마찰음은 혀끝과 치조릉 사이의 마찰로 나는 유성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는 /z/이며,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고, 한국어에는 없지만 중세 한국어의 반치음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마찰음 - 무성 치경 마찰음
무성 치경 마찰음(/s/)은 혀끝과 잇몸 사이의 좁은 틈에서 공기가 마찰하며 나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는 [s]로 표기되며 영어 'sea'의 's'와 유사하지만, 발음 위치와 혀 모양에 따라 여러 변이체가 존재하며, 언어에 따라 단일 발음으로 통합되기도 한다.
무성 양순 마찰음 | |
---|---|
기본 정보 | |
![]() | |
IPA 기호 | ɸ |
IPA 번호 | 126 |
10진수 | 632 |
X-SAMPA | p" |
키르셴바움 | P |
브라유 | 46 |
브라유 2 | 124 |
소리 | 무성 양순 마찰음 |
음성학적 정보 | |
조음 위치 | 양순음 |
조음 방법 | 마찰음 |
발성 | 무성음 |
기타 정보 | |
JIS X 0213 | 1-6-21 |
2. 조음 방법
윗입술과 아랫입술을 가까이하여 좁은 틈을 만든다. 좁혀진 입술 사이로 공기를 강하게 내보내 마찰을 일으킨다. 입술을 벌리면서 마찰되는 공기를 강하게 내뱉는다. 구강 내 기류는 구별이 없으며, 조음 기관은 틈을 만들어 공기의 통과를 어렵게 하고, 거기에 기류를 통과시켜 마찰음을 발생시킨다. 구개범을 들어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강음이다.
3. 특징
4. 언어별 예시
현대 언어에서 이 음소를 독립적으로 가진 경우는 드물다. 무성 순치 마찰음([f])을 가진 언어는 이 음소를 가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참고 | |
---|---|---|---|---|---|
아이누어 | フチain | [ɸu̜tʃi] | '할머니' | [4] | |
앙고르어 | fiagg | [ɸi] | '몸' | ||
벵골어 | ফলbn | [ɸɔl] | '과일' | 일부 동부 방언에서 /f/의 동소이음. 서부 방언에서는 /pʰ/의 정규 동소이음. | |
에웨어[2] | éƒáee | [éɸá] | '그는 닦았다' | /f/와 대조됨. | |
이탈리아어 | 토스카나 방언[3] | i capitaniit | [iˌhäɸiˈθäːni] | '선장들' | 자음 사이 /p/의 동소이음.[3] |
이텔멘어 | чуфчуфitl | [tʃuɸtʃuɸ] | '비' | ||
카잉강어 | fykgp | [ɸɨ] | '씨앗' | ||
크와마어 | kòːɸɛ́und | [kòːɸɛ́] | '바구니' | ||
마오리어 | whakapapami | [ɸakapapa] | '족보' | 영어의 영향으로 현재는 /f/로 더 흔하게 발음됨. | |
네팔어 | वाफne | [bäɸ] | '증기' | /pʰ/의 동소이음. | |
오두디어 | pagaikkc | [ɸɑɡɑi] | '코코넛' | ||
오키나와어 | fifaciryu | [ɸiɸatɕi] | '향신료의 일종' | ||
스페인어 | 일부 방언 [5][6] | fueraes | [ˈɸwe̞ɾa̠] | '밖' | /f/의 비표준 변이체. |
솜펜어[9] | koɸeoiunr | [koɸeoi] | '벤치' | ||
실레티어 | ꠙꠥꠀsyl | [ɸua] | '소년' | ||
타히티어 | ōfīty | [ʔoːɸiː] | '뱀' | /f/의 동소이음. | |
터키어 | 일부 화자[10] | ufuktr | [uˈɸʊk] | '지평선' | 둥근 모음 앞과, 둥근 모음 뒤 어말에서 약간 정도의 /f/의 동소이음.[10] |
투르크멘어 | fabriktk | [ɸabrik] | '공장' | ||
얄레어 | difence | [diɸe] | '마을' |
4. 1. 한국어
한국어에서 첫음절 첫소리 /u, w/ 앞의 'ㅎ'은 변이음으로 [ɸ] 소리가 난다. 예를 들어 '훑다'의 'ㅎ'이나 '활'의 'ㅎ'이 이에 해당한다.[4] 현대 한국어에서는 '파' 행의 모든 모음 앞에서 이 음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다.과거에는 외국어의 /f/ 발음을 이 음으로 대체하여 발음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외국어의 영향으로 /f/로 발음하는 화자도 늘고 있다. 이는 언어 변화의 한 예시이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ㅎ'이 /ɸ/로 발음되었으나, 이후 변화를 겪었다.
4. 2. 일본어
'ふ'(フ)의 첫소리에서 이 소리가 난다.[4] 일본어 음운론에 따르면, 이 소리는 앞의 의 동소이음이다. 헤이안 시대 중기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는 'は'행의 모든 모음을 이 음으로 발음했지만, 하행전호 현상에 의해 유성화되어 양순 접근음([β̞]) 즉 'わ'행의 음으로 변화했다.4. 3. 기타 언어
- 아이누어: フチ|ɸu̜tʃi|할머니ain[4]
- 앙고르어: fi|ɸi|몸agg
- 벵골어: ফল|ɸɔl|과일bn - 일부 동부 방언에서 /f/의 동소이음. 서부 방언에서는 /pʰ/의 정규 동소이음.
- 에웨어: éƒá|éɸá|그는 닦았다ee - /f/와 대조됨[2]
- 이탈리아어: 토스카나 방언에서 i capitani|iˌhäɸiˈθäːni|선장들it - 자음 사이 /p/의 동소이음[3]
- 이텔멘어: чуфчуф|tʃuɸtʃuɸ|비itl
- 카잉강어: fy|ɸɨ|씨앗kgp
- 크와마어: kòːɸɛ́|kòːɸɛ́|바구니und
- 마오리어: whakapapa|ɸakapapa|족보mi - 영어의 영향으로 현재는 /f/로 더 흔하게 발음됨.
- 네팔어: वाफ|bäɸ|증기ne - /pʰ/의 동소이음.
- 오두디어: pagai|ɸɑɡɑi|코코넛kkc
- 오키나와어: fifaci|ɸiɸatɕi|향신료의 일종ryu
- 스페인어: 일부 방언에서 fuera|ɸwe̞ɾa̠|밖es - /f/의 비표준 변이체.[5][6]
- 솜펜어: koɸeoi|koɸeoi|벤치unr
- 실레티어: ꠙꠥꠀ|ɸua|소년syl
- 타히티어: ōfī|ʔoːɸiː|뱀ty - /f/의 동소이음
- 터키어: 일부 화자에게서 ufuk|uˈɸʊk|지평선tr - 둥근 모음 앞, 둥근 모음 뒤 어말 /f/의 동소이음[10]
- 투르크멘어: fabrik|ɸabrik|공장tk
- 얄레어: dife|diɸe|마을nce
참조
[1]
서적
Illustrations of the IPA: Liverpool English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7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웹사이트
Microsoft Word - codaobs-roa.do
http://roa.rutgers.e[...]
2019-04-21
[8]
논문
[9]
간행물
The language of the Shom Pen: a language isolate in the Nicobar Islands
http://www.rogerblen[...]
[10]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