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나미오타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나미오타리역은 1935년 11월 29일 영업을 시작한 일본 오이토 선의 역이다. 1면 1선과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JR 동일본과 JR 서일본의 경계역이며, 특급 아즈사 열차가 정차한다. 2010년에 역사를 개장했으며, 2023년도 하루 평균 승차 인원은 81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가노현의 철도역 - 시나노타이라역
시나노타이라역은 1923년 신슈타이라역으로 개업하여 국유화 후 시나노타이라역으로 개칭되었으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지상역으로, 이이야마역이 관리하는 무인역이다. - 나가노현의 철도역 - 시나노토키와역
시나노토키와역은 나가노현 오마치시에 위치한 JR 동일본 오이토 선의 철도역으로, 1909년 '도키와역'으로 개업 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1985년 무인화, 2005년 간이 역사로 개축되었으며, 2면 2선의 승강장과 주변 교육 및 레저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 - 이마미야역
이마미야역은 오사카시 나니와구에 있는 JR 서일본의 야마토지선과 오사카 순환선 환승역으로, 1899년 개업하여 1996년 신역사로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상대식 및 복층식 승강장과 IC 카드 사용 시스템을 갖추고 2022년 기준 1일 평균 4,086명이 이용한다. -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 - 신이마미야역
신이마미야역은 일본 오사카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JR 서일본, 난카이 전기철도, 한카이 전기궤도 3개 회사의 노선이 교차하며, 오사카 순환선, 야마토지 선, 난카이 본선, 고야 선, 한카이 선 열차가 정차한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 - 나가쓰타역
나가쓰타역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 위치한 요코하마 선, 도큐 덴엔토시 선, 고도모노쿠니 선의 환승역으로, JR 동일본, 도큐 전철, 요코하마 고속철도가 운영하며, 요코하마 선의 특정 도구 시내 제도상 "요코하마 시내"의 서쪽 끝 지점에 해당하고, 인근에 나가쓰타 검차구가 있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 - 도쿄역
도쿄역은 도쿄도 치요다구에 위치한 일본 최대 규모의 철도역이자 랜드마크로서, 신칸센과 재래선, 지하철 노선이 연결되는 교통 중심지이며, 복구 및 재건을 거쳐 마루노우치 역사가 복원되었고, 현재는 복합시설과 상업 시설, 호텔이 조성되어 있으며, 향후 노선 연장 계획이 진행 중이다.
미나미오타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위치 | 일본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오타리촌 지쿠니 10356 |
좌표 | 36°46′29″N 137°54′30″E |
운영 주체 | JR 동일본 JR 서일본 |
노선 | 오이토선 |
마쓰모토역으로부터의 거리 | 70.1km |
승강장 | 1면 1선 (단측식) + 1면 2선 (섬식) |
선로 수 | 3 |
해발고도 | 513.1m |
역 번호 | 9 |
역 상태 | 직원 있음 ("미도리노마도구치") |
웹사이트 | JR 동일본 |
개업일 | 1935년 11월 29일 |
일일 승객 수 | 121명 (2015년) |
서비스 | |
JR 동일본 | 아즈사: 하쿠바 오이토선 (쾌속): 시나노모리우에 - 시나노오마치 오이토선 (각역정차): 지쿠니 |
JR 서일본 | 오이토선: 나카쓰치 |
역사 | |
개업 | 1935년 11월 29일 |
역 구조 | |
역 구조 | 지상역, 2면 3선 |
통계 | |
2023년 승차 인원 | 81명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 오이토선 |
이전 역 | 지쿠니 |
다음 역 | 나카쓰치 |
기점 역 | 마쓰모토 |
기타 정보 | |
비고 | 직영역 (관리역) 미도리노마도구치 있음 해발 고도: 513.1m |
2. 역사
- 1935년 11월 29일: 국유철도 오이토 남선의 시나노모리우에역 - 나카도역 구간 개통과 함께 일반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4][8]
- 1939년
- * 4월 21일: 오전 9시 17분, 히메카와 우측 기슭 카자오야마 붕괴로 당역 - 시나노모리우에역 간 운행 중단.[9]
- * 8월 7일: 당역을 포함한 시나노모리우에역 - 나카도역 간 일반 운송 영업 중단.[10] 같은 해 11월 30일까지 택배 화물 및 소량 취급 화물을 이용한 생활 필수품 운송은 자동차로 대체.[9][10]
- 1940년
- * 1월 19일: 이날부터 생활 필수품의 겨울철 대체 운송을 말썰매로 실시.[11][9]
- * 11월 1일: 시나노모리우에역 - 당역 간 개통 및 시나노모리우에역 - 나카도역 구간 일반 운송 영업 재개.[12]
- 1945년 7월 15일: 수해로 시나노모리우에역 - 나카도역 간 피해 발생. 당역 이남은 18일, 이북은 20일 동안 운행 중단.[9]
- 1952년 7월 1일: 당역 - 나카도역 간 제방 붕괴로 3개월간 운행 중단.[9]
- 1957년
- * 8월 15일: 나카도역 - 고타키역 간 개통으로 전선 개통. 소속 노선명을 오이토선으로 변경.[4][13][14]
- * 이 해: 교행 설비 설치.[15]
- 1962년 12월 25일: 센고쿠역 영업 시작과 동시에 당역이 센고쿠역의 관리역이 됨.[16][40]
- 1967년
- * 5월 19일: 당역 - 시나노모리우에역 간 전철화 공사 시작.[9]
- * 10월 1일: 영업 범위를 개정하여 여객, 수하물, 소화물 및 소량 취급 화물을 취급하는 역이 됨.[17]
- * 12월 20일: 당역 - 시나노모리우에역 간 전철화. 신주쿠역 - 시나노모리우에역 간 급행 열차 및 마쓰모토역 - 시나노모리우에역 간 열차 일부를 당역까지 연장. 또한 이에 맞춰 당역 역사의 개축 준공.[18][9]
- * 12월: 역 개축.[19]
- 1968년
- * 3월 29일: 당역에 나카도 방면 탈선 방지 승월 전철기 설치.[9]
- * 12월: 과선교 설치, 승강장 상옥 증설.
- 1971년
- * 1월 30일: 영업 범위 개정으로 소량 취급 화물 취급을 폐지하고 여객역이 됨.[20]
- * 9월 15일: 영업 범위 개정으로 수하물 및 소화물 배달 취급 폐지.[21]
- 1973년 12월 25일: 당역에 오타니촌 촌영 관광 안내소 설치.[9]
- 1982년 11월 15일: 당역에 특급 "아즈사" 정기 운행 개시.[9]
- 1983년
- * 3월 25일: 오이토선 전선에서 열차 집중 제어 장치 도입. 당역이 하쿠바오이케역, 나카도역 및 기타오타니역의 관리역이 됨.[9]
- * 7월 5일: 당역에 자동 발권기 2대 도입.[9]
- * 12월 14일: 당역에 특급 "시나노" 운행 개시.[9]
- 1984년 2월 1일: 영업 범위 개정으로 수하물 취급 폐지.[22]
- 1985년 7월 17일: 당역의 자동 발권기 1대 철거.[9]
-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JR 동일본·JR 서일본에 계승되어,[23] 당역은 오이토선의 회사 경계역이 됨.[24]
- 1989년 12월: 역사를 백색을 기조로 개장, 삼각 지붕 설치 등 실시.[25]
- 1995년
- * 7월 12일: 당역을 포함한 하쿠바역 - 네치역 간이 집중 호우 (7.11 수해)로 인한 토사 붕괴 및 교량 붕괴로 운행 중단.[26]
- * 8월 1일: 하쿠바역 - 당역 간 복구.[27]
- 1996년 1월 16일: 운행 중단 구간인 당역 - 고타키역 간에 1995년 (헤이세이 7년) 12월 22일 국도 148호선이 전선 복구되어 대체 버스 운행 시작.[28]
- 1997년
- * 11월 28일: 같은 날 밤으로 대체 버스 운행 종료.[29]
- * 11월 29일: 당역 - 고타키역 간 복구 공사 완료, 영업 재개.[30] 같은 날, 당역에서 그 기념식을 거행.[31]
- 2006년 1월 14일: 당역 - 이토이가와역 간에 눈사태 위험으로 인해 같은 날부터 같은 해 3월 9일까지 동 구간 운휴.[32]
- 2010년 8월 11일: 신슈 데스티네이션 캠페인에 맞춰 역사를 개장,[33] 같은 날 그 완성식을 거행.[34]
- 2014년
- * 11월 22일: 나가노현 가미시로 단층 지진으로 인해 시나노오마치역 - 이토이가와역 간을 23일까지 운휴.[35]
- * 11월 26일: 당역 - 히라이와역 간 복구로 영업 재개. 운행 중단 구간이 하쿠바역 - 당역 간이 됨.[36]
- * 12월 7일: 하쿠바역 - 당역 간 운행 재개로 전선 복구.[37]
- 2025년 (레이와 7년) 3월 15일: 당역의 특급 아즈사 운행 중단。
3. 역 구조
미나미오타리역은 지상 1층의 단선 승강장 1개와 섬식 승강장 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3개의 선로를 운영하고 있으며, 육교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역에는 직원이 있는 매표소인 "미도리노 마도구치"가 있다.[2] 단선 승강장 1면 1선과 섬식 승강장 1면 2선, 총 2면 3선을 갖춘 지상역이다[38]。각 승강장은 육교 (계단만 있음)로 연결되어 있다.
이토이가와 방면 약 600미터에 있는 상행 진입 신호기부터 북쪽은 서일본 여객철도 북리쿠 광역 철도부 (구: 이토이가와 지역 철도부)의 관할 하에 있으며[39], 동일본 여객철도와 서일본 여객철도의 사계를 나타내는 표주가 세워져 있다[40]。가선은 사계까지 뻗어 있었지만 2024년 시점에서는 이미 승강장에서 보이는 곳까지 단축되었다. 과거에는 당역을 넘어 직통 운행하는 열차의 설정도 있었다[41][42]。
역사는 2010년 (헤세이 22년) 8월에 개장되었으며[33], 외부는 창고 건축을 모티브로 한 해삼벽으로 되어 있으며[43], 대합실에는 다다미 바닥 공간이 있다[43]。또한 해당 공간에는 겨울철에 코타츠가 설치된다[44][45][46]。
JR 동일본의 역으로는 직영역이며, 관리역으로서 하쿠바오이케역, 센고쿠역을 관리하고 있다. 역 안에는 JR 동일본이 운영하는 미도리의 창구가 설치되어 있다[38]。겨울철에는 제설을 위해 몇 명이 증원된다[39]。당역은 인터넷 예약 서비스는 에키넷만 수령 가능하다.
섬식 승강장 2면 3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47] 1번 승강장은 JR 동일본 오이토 선 시나노오마치 · 마쓰모토 방면 열차가 사용하며, 특급 열차도 이 승강장에서 발차한다. 2 · 3번 승강장은 JR 동일본과 JR 서일본 오이토 선 열차가 모두 사용하는데, JR 동일본 열차는 보통 열차만 사용하고 JR 서일본 열차는 이토이가와 방면으로 운행한다.[47]
3. 1. 승강장
섬식 승강장 2면 3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47] 1번 승강장은 JR 동일본 오이토 선 시나노오마치 · 마쓰모토 방면 열차가 사용하며, 특급 열차도 이 승강장에서 발차한다. 2 · 3번 승강장은 JR 동일본과 JR 서일본 오이토 선 열차가 모두 사용하는데, JR 동일본 열차는 보통 열차만 사용하고 JR 서일본 열차는 이토이가와 방면으로 운행한다.[47]4. 이용 현황
JR 동일본에 따르면, 2023년도(레이와 5년도)의 1일 평균 '''승차'''인원은 '''81명'''이다.[89]
1935년도(쇼와 10년도) 이후의 승차인원 추이는 다음과 같다.
5. 역 주변
역 앞에는 식료품 등을 취급하는 상점이 있다.[43] 국도 제148호선과 히메카와이 지난다. 오타리 촌청, 오타리 향토관, 오타리 촌사무소, 미나미오타리 우체국이 근처에 위치한다. 마츠모토 이토이가와 연락 도로(오타리 도로)와 국도 제148호선의 우중・츠키오카 바이패스가 사업 중이다.
6. 인접역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 ||
---|---|---|
하쿠바 (13) | {{llang (마쓰모토 방면) □ 쾌속 | 미나미오타리역 |
치구니역 (10) | {{llang (마쓰모토 방면) ■ 보통 | |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 | ||
미나미오타리역 | {{llang (이토이가와 방면) | 나카쓰치 |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특급 "아즈사" 발착역이다.
7. 기타
주말 패스 자유 이용 구역은 당역까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大糸線に「駅ナンバー」を導入します
http://www.jreast.co[...]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6-12-15
[2]
서적
Nagano Prefecture All Railway Stations, revised edition (長野県鉄道全駅 増補改訂版)
Shinano Mainichi Shinbun Publishing
2011
[3]
웹사이트
http://www.jreast.co[...]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6-07-05
[4]
서적
『東筑摩郡松本市塩尻市誌 第三巻 現代下』
東筑摩郡・松本市・塩尻市郷土資料編纂会
1965
[5]
간행물
大糸線に「駅ナンバー」を導入します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長野支社
2016-12-07
[6]
문서
鉄道・航路旅客運賃・料金算出表 昭和59年4月20日現行
日本国有鉄道旅客局
1984
[7]
문서
양사의 경계역으로는ほかに[[北陸新幹線]]の[[上越妙高駅]]がある。また、信越本線•北陸本線時代の[[直江津駅]]もJR東日本とJR西日本の境界駅で、いずれも[[東日本旅客鉄道新潟支社|JR東日本新潟支社]]が管轄。
[8]
문서
昭和10年鉄道省告示第537号(『官報』、1935年(昭和10年)11月22日、内閣印刷局)
[9]
서적
小谷村鉄道50年の歩み
小谷村鉄道開業50年の歩み編纂委員会編
1987-01-25
[10]
문서
昭和14年鉄道省告示第134号(『官報』、1939年(昭和14年)8月7日、内閣印刷局)
[11]
문서
昭和15年鉄道省告示第20号(『官報』、1940年(昭和15年)1月19日、内閣印刷局)
[12]
문서
昭和15年鉄道省告示第237号(『官報』、1940年(昭和15年)10月30日、内閣印刷局)
[13]
서적
停車場変遷大事典 国鉄・JR編Ⅰ
JTB
1998-09
[14]
서적
停車場変遷大事典 国鉄・JR編Ⅱ
JTB
1998-10
[15]
서적
写真でつづる長野鉄道管理局の歩み
長野鉄道管理局
1987-03-10
[16]
문서
昭和37年日本国有鉄道公示第628号(『官報』、1962年(昭和37年)12月22日、大蔵省印刷局)
[17]
문서
昭和42年日本国有鉄道公示第469号(『官報』、1967年(昭和42年)9月30日、大蔵省印刷局)
[18]
서적
日本国有鉄道百年史年表
日本国有鉄道編
1972-10
[19]
서적
長鉄局二十年史
日本国有鉄道長野鉄道管理局
1971-03-30
[20]
문서
昭和46年日本国有鉄道公示第28号(『官報』、1971年(昭和46年)1月30日、大蔵省印刷局)
[21]
문서
昭和46年日本国有鉄道公示第337号(『官報』、1971年(昭和46年)9月7日、大蔵省印刷局)
[22]
문서
昭和59年日本国有鉄道公示第174号(『官報』、1984年(昭和59年)1月30日、大蔵省印刷局)
[23]
서적
交通年鑑 昭和63年版
交通協力会
1988-03
[24]
서적
JRグループ 「民営化」に活路を求めた基幹鉄道
大月書店
1990-09
[25]
뉴스
白を基調に改装 ペンション風駅舎 JR南小谷駅
信濃毎日新聞
1989-12-31
[26]
뉴스
大雨のため、新潟で2万世帯が停電 長野でも2900人以上避難
朝日新聞
1995-07-12
[27]
뉴스
3週間ぶり運転再開 県北信豪雨災害のJR大糸線白馬-南小谷間 「活気戻りうれしい」
信濃毎日新聞
1995-08-01
[28]
뉴스
JR大糸線不通区間 南小谷 - 小滝 代行バス発車
信濃毎日新聞
1996-01-17
[29]
뉴스
復旧開通するJR大糸線 代行バスの役目も終了
信濃毎日新聞
1997-11-29
[30]
뉴스
JR大糸線、きょう2年ぶりに復旧
朝日新聞
1997-11-29
[31]
뉴스
大糸線が待望の復旧―出発式 強風の影響、列車は運休
信濃毎日新聞
1997-11-29
[32]
뉴스
JR大糸線、運行再開 54日ぶり
朝日新聞
2006-03-09
[33]
간행물
「信州デスティネーションキャンペーン」におけるJRグループの取り組みについて
https://www.jreast.c[...]
JRグループ
2010-08-11
[34]
뉴스
JR南小谷と信濃松川両駅、改修終わる 信州DCに合わせ
信濃毎日新聞
2010-08-11
[35]
뉴스
“41人けが、全壊34棟 長野北部地震、余震70回に”
中日新聞
2014-11-24
[36]
PDF
長野県北部を震源とする地震について(第8報)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災害情報
2014-11-26
[37]
뉴스
JR大糸線、全線復旧 15日ぶり、高校生ら歓迎
信濃毎日新聞
2014-12-08
[38]
서적
長野県鉄道全駅 増補改訂版
信濃毎日新聞社
2011-07-01
[39]
뉴스
JR大糸線・南小谷駅 小谷村(しなの途中下車)
朝日新聞
2002-09-20
[40]
서적
小谷村誌 社会編
小谷村誌刊行委員会
1993-09-01
[41]
뉴스
海水浴客向けの臨時列車、姿消す JRが夏の増発計画
朝日新聞
2000-05-27
[42]
뉴스
街PRへヒスイ号再び 東京・新宿発 - 糸魚川行き企画列車
朝日新聞
2003-10-10
[43]
서적
週刊朝日百科 JR全駅・全車両基地
朝日新聞出版
2013-04-01
[44]
뉴스
こたつで列車を待つ駅 JR大糸線南小谷駅、風物詩に
信濃毎日新聞
2009-12-16
[45]
뉴스
待ち時間…こたつでのんびりと JR南小谷駅に今年も登場
信濃毎日新聞
2010-12-23
[46]
뉴스
南小谷駅にこたつ設置 待合室の3畳 - お年寄りら、温かく
信濃毎日新聞
2005-01-06
[47]
웹사이트
時刻表 南小谷駅
http://www.jreast-ti[...]
東日本旅客鉄道
2019-08-19
[48]
간행물
昭和十年 長野県統計書第二編
長野県
1937-03-01
[49]
간행물
昭和十一年 長野県統計書第二編
長野県
1938-03-01
[50]
간행물
昭和25年 長野県統計書
長野県総務部統計課
1950-03-01
[51]
간행물
昭和29・30年 長野県統計書
長野県総務部統計課
1957-03-01
[52]
간행물
昭和35・36年 長野県統計書
長野県総務部統計課
1963-03-01
[53]
간행물
昭和40年 長野県統計書
長野県総務部統計課
1967-03-01
[54]
간행물
昭和45年 長野県統計書
長野県総務部統計課
1972-07-01
[55]
간행물
昭和50年 長野県統計書
長野県総務部情報統計課
1977-09-01
[56]
간행물
昭和55年 長野県統計書
長野県総務部情報統計課
1982-09-01
[57]
간행물
昭和57年 長野県統計書
長野県総務部情報統計課
1984-11-01
[58]
간행물
昭和58年 長野県統計書
長野県総務部情報統計課
1985-11-01
[59]
간행물
昭和59年 長野県統計書
長野県総務部情報統計課
1986-12-01
[60]
간행물
平成6年 長野県統計書
長野県総務部情報統計課
1996-10-01
[61]
간행물
平成7年 長野県統計書
長野県総務部情報統計課
1997-10-01
[62]
간행물
平成8年 長野県統計書
長野県総務部情報統計課
1998-10-01
[63]
간행물
平成9年 長野県統計書
長野県企画局情報政策課
1999-11-01
[64]
간행물
平成10年 長野県統計書
長野県企画局情報政策課
2000-10-01
[65]
간행물
平成11年 長野県統計書
長野県企画局情報政策課
2001-10-01
[66]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0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67]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1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68]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2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69]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3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70]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4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71]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5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72]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6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73]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7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74]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8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75]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09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76]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0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77]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1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78]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2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79]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3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80]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4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81]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5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82]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6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83]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7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84]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8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85]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19年度)
https://www.jreast.c[...]
JR東日本
[86]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20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87]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21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88]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22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89]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2023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90]
웹사이트
村営バスのご案内
http://www.vill.otar[...]
小谷村
[91]
웹사이트
週末パス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92]
간행물
「三連休東日本・函館パス」の発売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北海道旅客鉄道
2017-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