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이토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이토선은 총 연장 105.4km의 철도 노선으로,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와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가 구간을 나누어 관할한다. 마쓰모토역에서 미나미오타리역까지는 JR 동일본, 미나미오타리역에서 이토이가와역까지는 JR 서일본이 관리하며, 궤간은 1,067mm의 협궤이다. 운행 형태는 전철화 구간과 비전철화 구간으로 나뉘며, 과거에는 특급 열차도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보통 열차가 주를 이룬다. 2019년에는 오이토선 활성화 협의회가 설립되어 버스 운행도 병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게이비선
    게이비선은 서일본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역과 오카야마현 빗추코지로역을 잇는 총 159.1km의 단선 비전철화 철도 노선으로, 주고쿠 산지를 지나며 과거 게이비 철도로 건설되어 쇼바라선, 산신선과 통합되었고 2018년 서일본 호우 피해 이후 지역 교통망 유지 및 활성화 논의가 진행 중이다.
  • 191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긴테쓰 나고야선
    긴테쓰 나고야선은 긴키 닛폰 철도가 운영하며 나고야와 이세나카가와역을 연결하고, 다양한 등급의 열차와 오사카 방면 직통 특급 운행을 통해 지역 주민과 관광객에게 중요한 교통편을 제공한다.
  • 나가노현의 철도 - 시나노 철도선
    시나노 철도선은 호쿠리쿠 신칸센 개통으로 JR 동일본에서 시나노 철도로 이관된 가루이자와역과 나가노역을 잇는 복선 전철 노선으로, 다양한 구간 운행 열차와 관광열차가 운행되며 화물 열차도 운행되고, 1인 승무가 도입되었고 운행 편수 감소 및 최고 속도 저하가 이루어지는 등 지역 경제와 교통 패러다임 변화를 보여준다.
  • 나가노현의 철도 - 시노노이선
    시노노이선은 동일본 여객철도와 일본화물철도가 관할하는 철도 노선으로, 시노노이역과 시오지리역 사이 66.7km 구간을 운행하며, 주오 본선, 신에쓰 본선과 직결 운행하고 특급 열차와 보통 열차, 쾌속 열차, 화물 열차가 운행되며, 1900년 개통되어 1973년 전철화되었고 1987년 민영화되어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이다.
  • 니가타현의 철도 - 반에쓰사이선
    반에쓰사이선은 후쿠시마현 고리야마역과 니가타현 니이쓰역을 잇는 175.6km의 단선 철도 노선으로, 아이즈 지방과 니가타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이지만 이용객 감소와 수익성 악화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1897년 개통 이후 자연재해와 사고를 겪으며 시설 개량과 운영 방식 변화를 거쳐왔다.
  • 니가타현의 철도 - 다다미선
    다다미선은 후쿠시마현 아이즈와카마쓰역과 니가타현 고이데역을 잇는 동일본여객철도의 총 연장 135.2km 단선 비전철화 철도 노선으로, 1928년 개통 후 2011년 호우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상하 분리 방식으로 2022년 전 구간 운행을 재개했으며, 현재 36개 역이 운영 중이고 적자 문제 해결과 지역 활성화 노력이 요구된다.
오이토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오이토 선
로마자 표기Ōito-sen
노선 종류중전철
노선 상태운행 중
노선 성격농촌 및 경치 좋은 노선
노선 위치
국가일본
지역나가노현, 니가타현
노선 운영
소유자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마쓰모토 - 미나미오타리)
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 (미나미오타리 - 이토이가와)
운영자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마쓰모토 - 미나미오타리)
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 (미나미오타리 - 이토이가와)
노선 제원
노선 길이105.4 km
역 수41개 역
선로 수단선
궤간1,067 mm
전철화1,500 V DC (마쓰모토 - 미나미오타리)
비전철 (미나미오타리 - 이토이가와)
최고 속도95 km/h
노선 연혁
개통1915년
전체 개통1957년 8월 15일
노선 정보 (운행)
기점마쓰모토역
종점이토이가와역
사용 차량E127계 전동차
211계 전동차
E353계 전동차
기하 120형 디젤 동차
기타 정보
전보 약호오이세
오이토 선 노선도
오이토 선 노선도
하쿠바, 나가노현의 오이토 선에 있는 JR 동일본 E127계 전동차
하쿠바, 나가노현의 오이토 선에 있는 JR 동일본 E127계 전동차
[[히다 산맥]]을 배경으로 오이토 선을 달리는 [[JR 동일본 HB-E300계 기동차|HB-E300계]]
히다 산맥을 배경으로 오이토 선을 달리는 HB-E300계 "리조트 뷰 후루사토" (2022년 12월 아즈미쿠쓰카케역 - 시나노토키와역 간)

2. 노선 정보

3. 운행 형태

운행 계통은 전철화 구간인 JR 동일본 관할의 마쓰모토역 - 미나미오타리역 구간과, 비전철화 구간인 JR 서일본 관할의 미나미오타리역 - 이토이가와역 구간으로 나뉜다. 미나미오타리역을 경유하는 정기 열차는 1995년 집중 호우 피해로 선로가 끊긴 이후 운행이 중단되었다.

과거 오이토선 전 구간을 운행했던 열차로는 1960년대-1970년대 신주쿠역 - 이토이가와역 간 급행 "알프스"(1968년까지는 "하쿠바")와 1971년부터 마쓰모토역 - 가나자와역 간 급행 "하쿠바"가 있었으나, 급행 "알프스"의 이토이가와역 착발 열차는 1975년에, 급행 "하쿠바"는 1982년에 각각 폐지되었다.

3. 1. 마쓰모토역 - 미나미오타리역 구간 (JR 동일본)

현재, 특급 아즈사는 다음과 같이 운행된다.

열차명경유기점종점운행 횟수(1일)
특급 아즈사(경유 없음)마쓰모토미나미오타리1 왕복
신주쿠하쿠바계절별[1]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신주쿠역 - 이토이가와역 간 급행 "알프스"가 운행되었으나, 1975년에 폐지되었다. 신주쿠 방면에서는 특급 아즈사가 정기 또는 임시로 운행된다. 1997년 호쿠리쿠 신칸센 다카사키역 - 나가노역 구간 선행 개통 후, 수도권 - 북알프스 지역 간 여객이 신칸센과 노선 버스를 이용하는 경로로 변경되면서 신주쿠 방면 직통 열차는 감소 추세에 있다. 다만, 동계에는 주오 본선 연선에서의 스키 관광객 수송으로 일정 수요가 존재한다. 쾌속 문라이트 신슈는 2018년까지 임시 운행되었다.

2025년 3월 15일 다이어 개정으로 오이토선 직통 "아즈사"는 하쿠바역 - 미나미오타니역 운행을 폐지하고 하쿠바역 발착으로 변경될 예정이다.[92]

보통 열차는 마쓰모토역 - 시나노오마치역 구간과 시나노오마치역 - 미나미오타니역 구간 열차가 주를 이루며, 마쓰모토역 - 미나미오타니역 간 직통 열차는 하루 하행 3편, 상행 1편이다.[93] 아침과 저녁에는 마쓰모토역 - 호타카역·아리ake역 구간 열차도 운행된다.

마쓰모토역 - 미나미오타니역 구간은 E127계 100번대로 원맨 운전이 이루어지며, 시나노오마치역 - 미나미오타니역 구간은 모든 열차가 E127계 100번대로 원맨 운행한다.

운행 편수는 마쓰모토역 - 시나노오마치역 간 1시간에 1~2편 정도이며, 시나노오마치역 - 미나미오타니역 간은 3시간 이상 운행이 없는 시간대도 있다.

2010년 10월 2일부터 HB-E300계 임시 열차 "리조트 뷰 후루사토"가 시노노이선 직통으로 나가노역 - 미나미오타니역 간에 운행된다.[73][74]

HB-E300계 "리조트 뷰 후루사토" (시나노오마치역, 2010년 12월)

3. 2. 미나미오타리역 - 이토이가와역 구간 (JR 서일본)

이 구간은 비전철화 구간이므로 기동차로 운행되고 있다. 2010년 3월 13일 시간표 개정으로 노후화된 키하52형에서 키하120형으로 교체되었다.[95]

운행되는 정기 열차는 모두 원맨 운전[96]에 의한 보통 열차로, 2024년 3월 16일 개정 시점[93]에서 미나미오타리역 - 이토이가와역 간 열차가 1일 7왕복 운행된다. 아침과 저녁에는 각 1왕복씩 히라이와역 - 이토이가와역 간 구간 열차가 운행된다.

현재 열차 교행을 하는 중간역은 네치역뿐이며, 다른 역에 있던 교행 설비는 철거되었다.

4. 연선 개황

마쓰모토역에서는 시노노이선과 잠시 나란히 달리다 국도 19호선을 지나 시노노이선과 갈라진다. 이후 크게 왼쪽으로 활 모양을 그리며 국도 147호선과 나란히 달리고, 아즈사강을 건너 아즈미노로 들어선다. 아즈사바시역을 지나 다시 오른쪽으로 크게 활 모양을 그리며 마쓰모토 분지를 북상한다. 서쪽에는 북알프스가 보이고, 연선 주변에는 아즈미노의 논이 펼쳐진다. 시나노오마치역까지는 비교적 선형이 좋다. 시나노토키와역을 통과하여 오른쪽으로 활 모양을 그리며 다카세강을 건너면 오이토선 내에서도 손꼽히는 관광 거점인 시나노오마치역에 도착한다.

시나노오마치역을 출발하면 왼쪽으로 활 모양을 그리며 시가지를 지나가고, 키타오마치역을 지나 국도 148호선과 나란히 달린다. 연선은 산악 지대가 되어 왼쪽에는 니시나 3호수 (키자키호・나카쓰나호・아오키호)가 보이며, 분수령이 되는 사노사카 고개를 통과한다.

여기부터 하쿠바 분지 (요쓰가쇼 분지)로 들어가 종착역인 이토이가와역까지 히메카와와 나란히 달린다. 이 주변에는 스키장온천이 많이 존재한다. 하쿠바역에서 시나노모리카미역을 지나면 다시 계곡 지대가 되고, 미나미오타리역까지 커브가 연속되며, 히메카와를 따라 험한 계곡을 통과한다. 미나미오타리역까지는 전철화 구간이며, JR 동일본의 관할이다.

미나미오타리역 이북의 비전철화 구간은 JR 서일본의 관할이며, 이 구간은 약 3할이 터널로 되어 있고, 터널이 없는 곳은 쿠비키오노역 - 히메카와역 구간뿐이다. 노반 규격이 간이선 취급이고 선형이 조악하여 제한 속도가 낮게 설정되어 있다. 히라이와역 - 고타키역 구간은 1995년 집중 호우로 인한 토사 붕괴의 영향으로 일부 노선이 변경되었다. 히라이와역 부근에는 히메카와 온천이 있다. 고타키역 근처의 에지리 터널 부근, 해당 구간의 국도 148호선의 스노 셸터에서 약간 쇼와 초기의 시대에 변경된 폐선 루트의 터널과 교각의 유구가 보인다.

이 구간의 중간역은 하계의 히라이와역을 제외하고 모두 무인역이다. JR 서일본 직영의 역은 없고, 2015년 3월 13일까지 직영역은 이토이가와역뿐이었지만 다음 날 14일부터 이토이가와역의 재래선 개찰 업무는 에치고 토키메키 철도 직영으로 변경되었다. 미나미오타리역 이북에서 유일한 교환 가능역인 네치역을 지나면 이토이가와의 시가지가 다가오고 연선에 주택이 늘어나며, 히메카와역을 지나 오른쪽으로 활 모양을 그리면 종착역인 이토이가와역에 이른다.

5. 사용 차량

(JR 동일본)모하 20형, 모하유니 21형, 쿠하 29형시나노 철도 매수 차량모하 10형, 쿠하 15형, 사하 19형성형 목조차30계 (쿠모하 11형, 쿠하 16형), 31계 (쿠모하 11형, 쿠하 16형), 33계 (쿠모하 12형), 50계 (쿠하 16형)17m급 구형 전차40계 (쿠모하 40형, 쿠모하 41형, 쿠하 55형, 사하 57형, 쿠모하 60형), 32계 (사하 45형), 42계 (쿠모하 43형, 쿠모하유니 44형), 51계 (쿠모하 51형, 쿠모하 54형, 쿠모하유니 64형, 쿠하 68형), 쿠모유니 81형20m급 구형 전차153계중간차만 165계와 혼용 (급행 열차 등)165계급행 열차 등169계급행 열차 등181계특급 '아즈사'183계특급 '아즈사'185계189계나가노 종합 차량 센터 소속, 임시 열차로 2018년까지 쾌속 문라이트 신슈에 운용381계E351계특급 슈퍼 아즈사, 2010년 3월 12일까지E257계특급 아즈사, 0번대는 2019년 3월 15일까지, 2024년 이후 임시 특급 알프스로 2000번대 입선115계2015년 3월 13일까지전철화 구간
(JR 동일본)
전기 기관차ED22형ED60형ED62형EF64형전철화 구간
(JR 동일본)
디젤 기관차DD16형제설용으로 300번대도 충당DE10형화물 · 임시 열차용DD15형전철화 구간
(JR 동일본)
증기 기관차C56형화물용, 비전철 구간 운행C12형화물용, 주로 비전철 구간비전철화 구간
(JR 서일본)키하51형보통 열차키하52형보통 열차키하유니26형보통 열차로 이토이가와역 - 시나노오마치역 간 운행키하55계보통 열차키하58계급행 열차 및 말기에는 보통 열차·임시 열차용키하181계임시 열차



JR 서일본에 남아 있던 키하52형의 정기 운행은 2010년 3월 13일 다이어 개정으로 키하120형으로 대체되었다. 2010년 3월 12일까지 운행했던 차량은 키하52형 115·125·156호차 3량이다. 최말기에는 3량 모두 구 국철색으로 도색되어 정기 운행에 투입되었다. 115호차는 2004년 7월에 크림4호+주홍4호의 국철 일반색으로, 156호차는 2004년 12월에 주홍5호의 수도권색으로 복원되었다. 125호는 2006년 11월에 청3호+황갈색2호의 철도성색으로 변경되어, 같은 해 12월 2일부터 오이토선에서 운행했다.

키하52형 3량 중 115호차는 2010년 3월 20일부터 22일까지 마지막 3량 편성 운전을 한 후, 같은 해 3월 27일부터 오카야마 지사의 구 쓰야마 기관구 차고(쓰야마 배움의 철도관)에서 정태 보존되고 있다. 125호차와 156호차는 5·7·8월에 임시 운전을 한 후, 125호차는 이즈미 철도에 매각되었다. 156호차는 폐차된 후, 이토이가와시에 양도되었다. 잠시 오이토선 내에서 이벤트 열차로 부활시키는 구상이 발표되었지만, 최종적으로는 당초 예정대로 이토이가와역 알프스 출구 역사의 1층 고가 하부 시설 '이토이가와 지오 스테이션 지오팔'에 설치될 '키하52 전시 대합실'에서 정태 보존하는 방침이 결정되어, 2014년 11월 26일에 반입되었다. 같은 해 12월 14일의 호쿠리쿠 신칸센 개업 3개월 전 카운트다운 이벤트에서 일반 공개를 거쳐, 2015년 2월 14일의 '지오팔' 오픈으로 상설 공개가 시작되었다.

국철 일반색으로 복원된 JR 서일본 키하52 115
(미나미오타리역 2007년 3월 24일)


오이토선색(구 에쓰미호쿠선색)의 키하52 125
(이토이가와역 1999년 12월 19일)


말년의 오이토 선 도색 차량. 중앙은 쿠모하 54101.

5. 1. 현재 사용 차량

JR 동일본이 관할하는 전철화 구간에서는 211계, E127계 100번대, E353계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JR 도카이의 383계 전동차도 임시 열차로 운행된다. JR 서일본이 관할하는 비전철화 구간(미나미오타리 - 이토이가와)에서는 KiHa 120형 기동차가 운행되고 있다.[97]

현재 사용 차량
구분차량운행 구간비고
JR 동일본211계마쓰모토역 - 시나노오마치역보통 열차
JR 동일본E127계 100번대마쓰모토역 - 미나미오타리역보통 열차
JR 동일본E353계마쓰모토역 - 하쿠바역특급 "아즈사"
JR 도카이383계마쓰모토역 - 하쿠바역특급 "시나노" (임시)
JR 서일본KiHa 120형미나미오타리역 - 이토이가와역보통 열차[97]


5. 1. 1. 전철화 구간 (JR 동일본)

JR 동일본이 관할하는 전철화 구간에서는 정기 열차는 모두 JR 동일본의 전동차로 운행된다. 또한 장기 휴가 기간 등에 운행되는 임시 열차에서는 JR 도카이의 전동차도 운행된다.

E127계 100번대 (카미시로역 2009년 3월)


E353계 (마쓰모토역 2018년 1월)

5. 1. 2. 비전철화 구간 (JR 서일본)

JR 서일본이 관할하는 미나미오타리 - 이토이가와 구간은 전철화되지 않았으며, 정기 열차는 모두 JR 서일본의 KiHa 120형 기동차로 운행된다.[97] 이 차량은 가나자와 종합 차량소 도야마 지소 소속으로, 이토이가와 운전 파출소에 상주한다. 보통 열차는 1량 또는 2량 편성으로 운행되며, 주로 329, 341, 354번 차량이 사용된다. 검사 등의 이유로 다카야마 본선용 차량[98][99]이나 다른 지역 차량이 대신 운행되기도 한다.

KiHa 120 341
(이토이가와역 2010년 3월 25일)


또한, 단체 전용 열차로 에치고토키메키 철도의 "에치고토키메키 리조트 세츠게츠카" ET122형 1000번대가 부정기적으로 운행된다.

5. 2. 과거 사용 차량

오이토선에서는 과거에 다음과 같은 차량들이 사용되었다.

==== 전철화 구간 (JR 동일본) ====

==== 비전철화 구간 (JR 서일본) ====

기동차로 전철화 구간까지 운행한 적이 있으며, 증기 기관차, 디젤 기관차도 사용되었다.

JR 서일본에 남아 있던 키하52형의 정기 운행은 2010년 3월 13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키하120형으로 대체되었다. 2010년 3월 12일까지 운행했던 차량은 키하52형 115·125·156호차 3량이다. 최말기에는 3량 모두 구 국철색으로 도색되어 정기 운행에 투입되었다. 115호차는 2004년 7월에 크림4호+주홍4호의 국철 일반색으로, 156호차는 2004년 12월에 주홍5호의 수도권색으로 복원되었다. 125호는 2006년 11월에 청3호+황갈색2호의 철도성색으로 변경되어, 같은 해 12월 2일부터 오이토선에서 운행했다.

키하52형 3량 중 115호차는 2010년 3월 20일부터 22일까지 마지막 3량 편성 운전을 한 후, 같은 해 3월 27일부터 오카야마 지사의 구 쓰야마 기관구 차고(쓰야마 배움의 철도관)에서 정태 보존되고 있다. 125호차와 156호차는 5·7·8월에 임시 운전을 한 후, 125호차는 이즈미 철도에 매각되었다. 156호차는 폐차된 후, 이토이가와시에 양도되었다. 잠시 오이토선 내에서 이벤트 열차로 부활시키는 구상이 발표되었지만, 최종적으로는 당초 예정대로 이토이가와역 알프스 출구 역사의 1층 고가 하부 시설 '이토이가와 지오 스테이션 지오팔'에 설치될 '키하52 전시 대합실'에서 정태 보존하는 방침이 결정되어, 2014년 11월 26일에 반입되었다. 같은 해 12월 14일의 호쿠리쿠 신칸센 개업 3개월 전 카운트다운 이벤트에서 일반 공개를 거쳐, 2015년 2월 14일의 '지오팔' 오픈으로 상설 공개가 시작되었다.

5. 2. 1. 전철화 구간 (JR 동일본)


  • 회사형(시나노 철도 매수 차량)
  • * 모하 20형, 모하유니 21형, 쿠하 29형
  • 성형 목조차
  • * 모하 10형, 쿠하 15형, 사하 19형
  • 17m급 구형 전차
  • * 30계 (쿠모하 11형, 쿠하 16형)
  • * 31계 (쿠모하 11형, 쿠하 16형)
  • * 33계 (쿠모하 12형)
  • * 50계 (쿠하 16형)
  • 20m급 구형 전차 - 신성능 전차로의 교체 직전에는 게이힌 도호쿠 선이나 한와 선 등의 103계와 같은 스카이 블루 도색으로 통일되었던 것이 특징이었다.
  • * 40계 (쿠모하 40형, 쿠모하 41형, 쿠하 55형, 사하 57형, 쿠모하 60형)
  • * 32계 (사하 45형)
  • * 42계 (쿠모하 43형, 쿠모하유니 44형)
  • * 51계 (쿠모하 51형, 쿠모하 54형, 쿠모하유니 64형, 쿠하 68형)
  • * 쿠모유니 81형
  • 신성능 전차
  • * 153계 중간차만 165계와 혼용 (급행 열차 등)
  • * 165계 (급행 열차 등)
  • * 169계 (급행 열차 등)
  • * 181계 (특급 '아즈사')
  • * 183계 (특급 '아즈사')
  • * 185계
  • * 189계 (JR 동일본: 나가노 종합 차량 센터 소속, 임시 열차로 2018년까지 쾌속 '문라이트 신슈'에 운용되었다)
  • * 381계
  • * E351계 (특급 '슈퍼 아즈사', 2010년 3월 12일까지)
  • * E257계 (특급 '아즈사', 0번대는 2019년 3월 15일까지. 2024년 이후에는 임시 특급 '알프스'로 2000번대가 입선한다)
  • * 115계 (2015년 3월 13일까지)
  • 전기 기관차
  • * ED22형
  • * ED60형
  • * ED62형
  • * EF64형
  • 디젤 기관차
  • * DD16형 (제설용으로 300번대도 충당)
  • * DE10형 (화물 · 임시 열차용)
  • * DD15형
  • 증기 기관차
  • * C56형 (화물용 · 비전철 구간 운행 있음)
  • * C12형 (화물용 · 주로 비전철 구간이 많음)

5. 2. 2. 비전철화 구간 (JR 서일본)

다음은 모두 기동차이며, 전철화 구간까지 운행한 적이 있다. 이 외에도 증기 기관차, 디젤 기관차도 사용되었다.

  • 키하51형 (보통 열차)
  • 키하52형 (보통 열차)
  • 키하유니26형 (보통 열차로 이토이가와역 - 시나노오마치역 간 운행)
  • 키하55계 (보통 열차)
  • 키하58계 (급행 열차 및 말기에는 보통 열차·임시 열차용)
  • 키하181계 (임시 열차)


JR 서일본에 남아 있던 키하52형의 정기 운행은 2010년 3월 13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키하120형으로 대체되었다. 2010년 3월 12일까지 운행했던 차량은 키하52형 115·125·156호차 3량이다. 최말기에는 3량 모두 구 국철색으로 도색되어 정기 운행에 투입되었다. 115호차는 2004년 7월에 크림4호+주홍4호의 국철 일반색으로, 156호차는 2004년 12월에 주홍5호의 수도권색으로 복원되었다. 125호는 2006년 11월에 청3호+황갈색2호의 철도성색으로 변경되어, 같은 해 12월 2일부터 오이토선에서 운행했다.

키하52형 3량 중 115호차는 2010년 3월 20일부터 22일까지 마지막 3량 편성 운전을 한 후, 같은 해 3월 27일부터 오카야마 지사의 구 쓰야마 기관구 차고(쓰야마 배움의 철도관)에서 정태 보존되고 있다. 125호차와 156호차는 5·7·8월에 임시 운전을 한 후, 125호차는 이즈미 철도에 매각되었다. 156호차는 폐차된 후, 이토이가와시에 양도되었다. 잠시 오이토선 내에서 이벤트 열차로 부활시키는 구상이 발표되었지만, 최종적으로는 당초 예정대로 이토이가와역 알프스 출구 역사의 1층 고가 하부 시설 '이토이가와 지오 스테이션 지오팔'에 설치될 '키하52 전시 대합실'에서 정태 보존하는 방침이 결정되어, 2014년 11월 26일에 반입되었다. 같은 해 12월 14일의 호쿠리쿠 신칸센 개업 3개월 전 카운트다운 이벤트에서 일반 공개를 거쳐, 2015년 2월 14일의 '지오팔' 오픈으로 상설 공개가 시작되었다.

6. 역사

信濃鉄道|시나노 철도일본어는 1915년과 1916년에 걸쳐 마쓰모토 - 시나노오마치 구간을 건설했으며, 1926년에 이 구간을 전철화했다.[9] 1937년에는 국유화되었는데, 현재의 시나노 철도와는 다른 회사이다.

1929년부터 1957년까지는 일본국유철도가 나머지 노선을 건설했다. 1959년부터 1967년까지 시나노오마치 - 미나미오타리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1983년에는 CTC 신호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1987년에는 화물 운송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1987년 4월 1일, 일본국유철도 민영화에 따라 노선이 분할되어 JR 동일본과 JR 서일본에 할당되었다.

2016년 12월 12일부터 JR 동일본 구간에 역 번호가 도입되었으며, 미나미오타리역(9)부터 마쓰모토역(42)까지 순서대로 번호가 부여되었다.

'오이토선'이라는 이름은 시나노 '''오'''마치와 '''이'''토이가와를 잇는 노선으로 건설된 데서 유래한다.[9] 전 구간 개통 전에 시나노 철도가 국유화되었지만, '오이토'라는 노선명은 그대로 사용되었다.

7. 오이토선 활성화 협의회

이용객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오이토선 시나노오마치역 - 이토이가와역 구간의 활성화와 연선 지역 발전을 위해, 2019년 2월 니가타현과 나가노현, 연선 지자체, JR 서일본, 그리고 JR 동일본(옵저버)이 참여하는 오이토선 활성화 협의회가 설립되었다.[108][109][85]

7. 1. 오이토선 증편 버스

하쿠바역에 정차 중인 오이토선 증편 버스 (하쿠바 교통, 2024년 10월)


오이토선 활성화 협의회는 이용객이 감소하는 시나노오마치역 - 이토이가와역 구간의 활성화와 연선 지역 진흥을 위해 2019년 2월에 설립되었다. 이 협의회는 니가타현, 나가노현, 연선 자치단체, JR 서일본, JR 동일본(옵저버)으로 구성되어있다.[108][109][85]

오이토선의 이토이가와역 앞 - 하쿠바역 앞 구간에서는 철도와 병행하여 버스가 운행되기도 한다. 이는 단선 구간에서 열차 증편이 어려운 점을 보완하여, 버스 운행을 통해 편리성을 높이고 이용을 촉진하며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110] 증편 버스는 2019년과 2024년에 실시되었으며, 철도 승차권(보통 승차권, 정기 승차권, 특별 기획 승차권)으로 이용 가능하다.

  • '''2019년 증편 버스'''


니가타현·쇼나이 지역 데스티네이션 캠페인에 맞춰 2019년 10월부터 12월까지 오이토선과 병행하는 노선 버스를 운행했다.[87] 이토이가와역 - 미나미오타리역 간 각 역과 하쿠바역에 정차했다. (미나미오타리역 - 하쿠바역 간은 하쿠바 핫포 버스 터미널에 정차하는 것 외에는 무정차). 이토이가와 발 4편, 하쿠바 발 3편이 운행되었으며, 열차가 없는 시간대에 운행되었다.

  • '''2024년 증편 버스'''


호쿠리쿠 신칸센쓰루가역 연장에 맞춰 2024년 6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오이토선과 병행하는 노선 버스가 다시 운행되었다.[90] 운행 구간은 이전과 동일하지만, 미나미오타리역 - 하쿠바역 간의 각 역에도 정차하도록 변경되었다. 1일 4왕복 운행한다.

이전에는 나카쓰치역기타오타리역의 경우 각 역 앞에 정류장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도로 사정으로 인해 키타오타리역(미치노에키 오타니), 나카쓰치역(산테인 오타리), 센고쿠역(시오미즈 공중 화장실)은 역에서 떨어진 국도 148호변에 정류장이 설치되었다.

2024년 12월부터 동계 운행에서는 코타키역, 히라이와역, 센고쿠역, 하쿠바오이케역, 시나노모리우에역을 통과하고, 하쿠바 핫포 버스 터미널에 정차한다.[111] 같은 날 증편 버스의 하쿠바역 정류장은 역 앞 광장에서 서쪽으로 약 300m 떨어진 고지츠산소 하쿠바점 앞으로 이전했다.

8. 역 목록

알피코 교통 가미코치선나가노현마쓰모토시기타마쓰모토北松本|기타마쓰모토일본어0.7rowspan="31" |시마우치島内|시마우치일본어2.6시마타카마쓰島高松|시마타카마쓰일본어3.8아즈사바시梓橋|아즈사바시일본어5.2아즈미노시히토이치바一日市場|히토이치바일본어6.8나카가야中萱|나카가야일본어8.4미나미토요시나南豊科|미나미토요시나일본어10.4토요시나豊科|도요시나일본어11.4하쿠야초柏矢町|하쿠야초일본어14.2호타카穂高|호타카일본어16.2아리아케有明|아리아케일본어18.4아즈미오이와케安曇追分|아즈미오이와케일본어19.9호소노細野|호소노일본어22.8기타아즈미군마쓰카와촌기타호소노北細野|기타호소노일본어23.8시나노마쓰카와信濃松川|시나노마쓰카와일본어26.0아즈미쿠쓰카케安曇沓掛|아즈미쿠쓰카케일본어28.6오마치시시나노토키와信濃常盤|시나노토키와일본어30.9미나미오마치南大町|미나미오마치일본어34.0시나노오마치信濃大町|시나노오마치일본어35.1기타오마치北大町|기타오마치일본어37.2시나노키자키信濃木崎|시나노키자키일본어39.4이나오稲尾|이나오일본어41.6우미노쿠치海ノ口|우미노쿠치일본어42.9야나바簗場|야나바일본어46.3미나미카미시로南神城|미나미카미시로일본어52.8기타아즈미군하쿠바촌가미시로神城|가미시로일본어55.2이모리飯森|이모리일본어56.7하쿠바白馬|하쿠바일본어59.7시나노모리우에信濃森上|시나노모리우에일본어61.6하쿠바오이케白馬大池|하쿠바오이케일본어65.4오타리촌지쿠니千国|지쿠니일본어68.7미나미오타리南小谷|미나미오타리일본어70.1이토이가와 방면

8. 1.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이 구간은 직류 전철 구간으로, 모든 역은 나가노현에 있다.

역 번호[84]역명영업 킬로미터쾌속접속 노선선로소재지
42마쓰모토0.0동일본 여객철도 시노노이선 (주오 본선 직통 포함), 알피코 교통 가미코치선 (AK-01)마쓰모토시
41기타마쓰모토0.7
40시마우치2.6
39시마타카마쓰3.8
38아즈사바시5.2아즈미노시
37히토이치바6.8
36나카가야8.4
35미나미토요시나10.4
34토요시나11.4
33하쿠야초14.2
32호타카16.2
31아리아케18.4
30아즈미오이와케19.9
29호소노22.8기타아즈미군 마쓰카와
28기타호소노23.8
27시나노마쓰카와26.0
26아즈미쿠쓰카케28.6오마치시
25시나노토키와30.9
24미나미오마치34.0
23시나노오마치35.1
22기타오마치37.2
21시나노키자키39.4
20이나오41.6
19우미노쿠치42.9
18야나바46.3
16미나미카미시로52.8기타아즈미군 하쿠바
15가미시로55.2
14이모리56.7
13하쿠바59.7
12시나노모리우에61.6
11하쿠바오이케65.4기타아즈미군 오타리
10지쿠니68.7
9미나미오타리70.1서일본 여객철도 오이토선 (이토이가와 방면)



'''폐지된 역'''

8. 2. 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

이 구간은 전철화되지 않았으며, 모든 열차는 보통 열차로 모든 역에 정차한다.[8]

역명역간 영업 킬로미나미오타리에서마쓰모토에서접속 노선선로소재지
미나미오타리역-0.070.1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선(마쓰모토 방면)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오타리촌
나카쓰치역4.04.074.1
기타오타리역4.48.478.5
히라이와역6.514.985.0니가타현 이토이가와시
고타키역6.821.791.8
네치역3.625.395.4
구비키오노역4.930.2100.3
히메카와역1.932.1102.2
이토이가와역3.235.3105.4서일본 여객철도 -- 호쿠리쿠 신칸센, 에치고토키메키 철도 니혼카이 히스이 라인

참조

[1] 웹사이트 Time Table - Limited Express trains on the Chuo Line http://www.eki-net.c[...]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7-03-06
[2] 웹사이트 Station numbering to be introduced on Oito Line http://www.jreast.co[...] East Japan Railway Company, Nagano Division 2016-12-07
[3] 서적 鉄道電報略号 1959-09-17
[4] 뉴스 北陸の赤字路線で対策協議 JR西の佐々木社長 http://www.47news.jp[...] 47NEWS 2010-12-01
[5] 뉴스 新幹線開業へ大幅組織改正 JR西・金沢支社 http://www.hokkoku.c[...] 2015-04-26
[6] 뉴스 JR西、大糸線の存廃議論へ 一部区間、沿線自治体と協議 https://www.asahi.co[...] 2022-02-03
[7] 서적 停車場変遷大事典 国鉄・JR編 JTB 1998
[8]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6」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16
[9] 문서 安曇野の屋敷林 http://keikan-azumin[...]
[10] 간행물 「軽便鉄道運輸開始」『官報』1915年1月12日 https://dl.ndl.go.jp[...]
[11] 간행물 「軽便鉄道停車場名称変更並運輸開始」『官報』1915年4月9日 https://dl.ndl.go.jp[...]
[12] 간행물 「軽便鉄道停車場名改称」『官報』1915年5月4日 https://dl.ndl.go.jp[...]
[13] 간행물 「軽便鉄道停留所設置」『官報』1915年5月6日 https://dl.ndl.go.jp[...]
[14] 간행물 「軽便鉄道運輸開始」『官報』1915年6月4日 https://dl.ndl.go.jp[...]
[15] 간행물 「軽便鉄道運輸開始」『官報』1915年7月23日 https://dl.ndl.go.jp[...]
[16] 간행물 「軽便鉄道運輸開始」『官報』1915年8月13日 https://dl.ndl.go.jp[...]
[17] 간행물 「軽便鉄道運輸開始」『官報』1915年10月2日 https://dl.ndl.go.jp[...]
[18] 간행물 「軽便鉄道停車場設置」『官報』1915年10月6日 https://dl.ndl.go.jp[...]
[19] 간행물 「軽便鉄道運輸開始」『官報』1915年11月6日 https://dl.ndl.go.jp[...]
[20] 간행물 「軽便鉄道停留場設置」『官報』1915年11月19日 https://dl.ndl.go.jp[...]
[21] 간행물 「軽便鉄道運輸開始並停車場改称」『官報』1916年7月8日 https://dl.ndl.go.jp[...]
[22] 간행물 「軽便鉄道旅客運輸開始並停車場名改称」『官報』1916年9月29日 https://dl.ndl.go.jp[...]
[23] 간행물 「軽便鉄道停車場廃止」『官報』1917年10月20日 https://dl.ndl.go.jp[...]
[24] 간행물 「軽便鉄道停留場名改称」『官報』1919年7月23日 https://dl.ndl.go.jp[...]
[25] 문서 小谷村誌 社会編 小谷村誌刊行委員会 1993-09-30
[26] 문서 歴史でめぐる鉄道全路線 国鉄・JR 9号
[27] 웹사이트 えきねっと http://www.jreast.co[...]
[28]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26年4月26日 https://dl.ndl.go.jp[...]
[29] 간행물 「鉄道省告示第184号・第185号」『官報』1929年9月21日 https://dl.ndl.go.jp[...]
[30] 간행물 「鉄道省告示第267号・第268号」『官報』1930年10月16日 https://dl.ndl.go.jp[...]
[31] 간행물 「鉄道省告示第466号・第467号」『官報』1932年11月15日 https://dl.ndl.go.jp[...]
[32] 간행물 「鉄道省告示第536号・第537号」『官報』1935年11月12日 https://dl.ndl.go.jp[...]
[33] 간행물 「鉄道省告示第165号・第166号」『官報』1937年5月21日 https://dl.ndl.go.jp[...]
[34] 간행물 『鉄道統計. 昭和12年度』 https://dl.ndl.go.jp[...]
[35] 문서 小谷村鉄道50年の歩み 南小谷駅 1987-01-25
[36] 간행물 「鉄道省告示第134号」『官報』1939年(昭和14年)8月7日 https://dl.ndl.go.jp[...] 内閣印刷局(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9-08-07
[37] 간행물 「鉄道省告示第20号」『官報』1940年(昭和15年)1月19日 https://dl.ndl.go.jp[...] 内閣印刷局(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40-01-19
[38] 서적 小谷村鉄道50年の歩み 南小谷駅 1987-01-25
[39] 간행물 「鉄道省告示第237号」『官報』1940年(昭和15年)10月31日 https://dl.ndl.go.jp[...] 内閣印刷局(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40-10-31
[40] 서적 歴史でめぐる鉄道全路線 国鉄・JR 9号
[41] 서적 小谷村鉄道50年の歩み 南小谷駅 1987-01-25
[42] 서적 小谷村鉄道50年の歩み 南小谷駅 1987-01-25
[43] 간행물 「鉄道省告示第549号・第550号」『官報』1934年11月9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4-11-09
[44] 간행물 「鉄道省告示第599号・第600号」『官報』1935年12月19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5-12-19
[45] 뉴스 列車、雪崩に埋まる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刊 昭和ニュース事典編纂委員会 1938-01-04
[46] 문서 全通当初、新規開業区間は小型の[[国鉄C56形蒸気機関車|C56形蒸気機関車]]による混合列車3往復のみの運転とされた。大糸線を経由すると当時の距離的には関東・北陸間最短ルートとなったが、丙線および簡易線規格で輸送力の容量が低く、線内いずれかの駅始発または到着の貨物のみの取り扱いとして、通過貨物列車のルートとして利用しない措置が取られた(『[[鉄道ピクトリアル]]』No.75(1957年)p18-20『大糸線全通』による)。
[47] 뉴스 大糸線(信濃大町 - 信濃四ツ谷)の電化完成 交通協力会 1959-07-18
[48] 문서 電気車研究会『鉄道ピクトリアル』No.709(2001年)p15,16,21による。徹底節約のため、木製架線柱、電気設備などの資材ほぼすべてを他線区からの中古品転用で賄い、架線は本来側線用の低規格品で間に合わせた。車両については従来から大町駅以南で運行していた編成の運用替えで、増備なしで済ませている。
[49] 뉴스 「土砂くずれ、ダム状態」 1965-07-14
[50] 서적 小谷村鉄道50年の歩み 南小谷駅 1987-01-25
[51] 뉴스 大糸線 全信号が色灯化 交通協力会 1968-07-18
[52] 뉴스 線路に大石、脱線 国鉄大糸線、全面不通に 1977-04-04
[53] 서적 小谷村鉄道50年の歩み 南小谷駅 1987-01-25
[54] 뉴스 CTC化が完成 大糸線 拠点駅構想も実施へ 長鉄局 交通協力会 1983-03-25
[55] 뉴스 「通報」●大糸線島内ほか8駅の駅員無配置について(旅客局) 日本国有鉄道 1983-03-24
[56] 서적 小谷村鉄道50年の歩み 南小谷駅 1987-01-25
[57]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2011 交通新聞社 2011
[58]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4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4-07-01
[59] 웹사이트 大糸線不通区間(南小谷〜小滝間)の運転再開について https://web.archive.[...] 西日本旅客鉄道 1997-07-30
[60] 뉴스 大糸など3線雨で一部不通 交通新聞社 1995-07-13
[61] 뉴스 開通区間徐々に広がる JR信越線など3線 懸命の復旧作業続く 交通新聞社 1995-07-18
[62] 뉴스 白馬-南小谷間あすから運転再開 JR大糸線 交通新聞社 1995-07-31
[63]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6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6-07-01
[64] 뉴스 JR大糸線の復旧工事に着手 昨夏の水害から半年 朝日新聞社 1996-01-07
[65] 논문 '' 鉄道ジャーナル社 1996-04
[66]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8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8-07-01
[67] 뉴스 待望の復旧・大糸線 2年4カ月ぶり住民の足 強風-運休…残念 信濃毎日新聞社 1997-11-29
[68] 뉴스 復旧の大糸線“一番列車が走った” 強風収まり、沿線住民に笑顔 信濃毎日新聞社 1997-11-30
[69] 뉴스 アルプスの美しい眺望を 大糸線にE127系を投入 交通新聞社 1998-12-04
[70]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9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9-07-01
[71]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9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9-07-01
[72] 뉴스 JR大糸線、運行再開 54日ぶり 朝日新聞 2006-03-09
[73] PDF 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を搭載した新型リゾートトレインを導入!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プレスリリース 2009-02-03
[74] PDF 秋の増発列車のお知らせ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プレスリリース 2010-08-24
[75] 웹사이트 大糸線 雪の影響による列車の運休の延長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プレスリリース 2012-03-26
[76] 웹사이트 大糸線 列車の運転再開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プレスリリース 2012-04-06
[77] 간행물 JR西日本運行情報・北陸エリア http://trafficinfo.w[...] 西日本旅客鉄道 2013-08-14
[78] PDF 長野県北部を震源とする地震について(第5報)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災害情報 2014-11-23
[79] 웹사이트 地震で不通の大糸線、県境部の再開めど立たず http://response.jp/a[...] レスポンス 2014-11-24
[80] PDF 長野県北部を震源とする地震について(第7報)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災害情報 2014-11-25
[81] PDF 長野県北部を震源とする地震について(第8報)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災害情報 2014-11-26
[82] 웹사이트 大糸線 代行バス運転についてのお知らせ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6-11-26
[83] 뉴스 JR大糸線、全線復旧 15日ぶり、高校生ら歓迎 http://www.shinmai.c[...] 信濃毎日新聞 2014-12-08
[84] 웹사이트 大糸線に「駅ナンバー」を導入します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6-12-07
[85] 웹사이트 新潟・長野県など、JR大糸線の利用促進へ協議会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2-07
[86] 웹사이트 2019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8-12-14
[87] 간행물 新潟県・庄内エリア デスティネーションキャンペーン期間中の 大糸線における増便バスの実施について https://www.westjr.c[...] 大糸線活性化協議会 2019-09-12
[88] 웹사이트 2023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JR東日本長野支社
[89] 웹사이트 能登地震 越後線全線で運転再開 大糸線も復旧 県内列車運休解消 https://www.yomiuri.[...] 読売新聞オンライン 2024-01-07
[90] 간행물 大糸線「本格的な利用促進・利便性向上」の取組みについて https://www.westjr.c[...] 大糸活性化協議会、大糸線利用促進輸送強化期成同盟会、西日本旅客鉄道 2024-05-09
[91] 간행물 2025年3月15日(土)長野県のSuica利用がますます便利になります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長野支社 2024-12-13
[92] 웹사이트 2025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12-13
[93] 서적 JTB時刻表 JTBパブリッシング 2024-03
[94] 문서
[95] 서적 JR版西日本時刻表 交通新聞社 2021
[96] 문서
[97]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 鉄道ジャーナル社 2015-06
[98] 문서
[99] 웹사이트 大糸線サイクルトレイン』運転 - railf.jp https://railf.jp/new[...] 2021-09-12
[100] PDF 平成22年春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金沢支社プレスリリース 2009-12-18
[101] 뉴스 大糸線「キハ52」3月引退運行 半世紀 老朽化進む http://www.niigata-n[...] 新潟日報社 2009-12-21
[102] 간행물 「旧津山扇形機関車庫と懐かしの鉄道展示室」一般公開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10-02-22
[103] 간행물 キハ52型気動車の臨時運転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10-03-15
[104] 웹사이트 米田・糸魚川市長:大糸線キハ52型気動車、イベント列車で復活を 知名度アップで構想 /新潟 http://mainichi.jp/a[...] 毎日新聞 2012-06-09
[105] 웹사이트 糸魚川駅高架下施設(仮称) http://www.train-par[...] 糸魚川市
[106] 웹사이트 キハ52-156が糸魚川市に帰ってきました http://www.city.itoi[...] 糸魚川市 2014-11-26
[107] 웹사이트 糸魚川丸ごと再現 「ジオパル」オープン http://www.hokurikus[...] 新潟日報 2015-02-16
[108] 웹사이트 (仮称)大糸線活性化協議会を設立します https://www.pref.nag[...] 長野県 2019-09-05
[109] 웹사이트 大糸線活性化協議会 http://www.city.itoi[...] 糸魚川市 2019-09-05
[110] 뉴스 大糸線活性化協議会、糸魚川―白馬で臨時バス https://www.nikkei.c[...] 2024-07-10
[111] 웹사이트 「JR大糸線増便バス」の冬期運行ダイヤ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11-21
[112]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3-10-09
[113]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1~2015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09
[114]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4 > 区間別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平成25年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20-10-17
[115]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5 > 区間別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平成26年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20-10-17
[116]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6 > 区間別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平成27年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 2020-10-17
[117]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6~2020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12
[118]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7 > 区間別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6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0-10-17
[119]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8 > 区間別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7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0-10-17
[120]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9 > 区間別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8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0-10-17
[121]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0 > 区間別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19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0-10-17
[122]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1: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20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3
[123]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8~2022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09
[124]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2: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21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3
[125] 웹사이트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3:区間平均通過人員および旅客運輸収入(2022年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7-13
[126]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9~2023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29
[127] 간행물 2023年度区間別平均通過人員(輸送密度)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08-02
[128] 간행물 ご利用の少ない線区の経営情報を開示します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2-07-28
[129] 간행물 ご利用の少ない線区の経営情報(2021年度分)を開示します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2-11-24
[130] 간행물 ご利用の少ない線区の経営情報(2022年度分)を開示します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3-11-21
[131] 간행물 ご利用の少ない線区の経営情報(2023年度分)の開示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10-29
[132] 간행물 ローカル線に関する課題認識と情報開示について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2-04-11
[133] 간행물 輸送密度2,000人/日未満の線区別経営状況に関する情報開示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2-11-30
[134] 간행물 輸送密度2,000人/日未満の線区別経営状況に関する情報開示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3-11-28
[135] 간행물 輸送密度2,000人/日未満の線区別経営状況に関する情報開示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4-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