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은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패배와 독일 혁명 이후 바이에른에서 수립된 사회주의 공화국이다. 1918년 쿠르트 아이스너가 바이에른 왕정을 폐지하고 바이에른 공화국을 선포했으나, 1919년 암살로 혼란이 발생했다. 이후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의 영향을 받아 공산주의자들이 권력을 잡고 에른스트 톨러와 오이겐 레비네가 이끄는 정부가 들어섰다. 그러나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은 바이마르 공화국 군대와 자유군단의 무력 진압으로 1919년 5월 3일 붕괴되었으며, 이후 바이에른은 우경화되어 나치당의 발흥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 - 쿠르트 아이스너
    쿠르트 아이스너는 독일의 저널리스트, 정치인, 혁명가로서 제1차 세계 대전 반전 운동을 주도하고 바이에른 혁명을 통해 바이에른 인민 공화국을 선포했으나 암살당했으며, 독일 민주주의와 사회 개혁, 평화 운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 - 에른스트 톨러
    에른스트 톨러는 독일의 표현주의 극작가이자 정치 운동가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평화주의자와 사회주의자로 전향하여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 활동하며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 수립에 참여했고, 전쟁과 노동자 소외 문제를 다룬 대표작을 남겼으며, 나치 정권의 탄압을 피해 망명 생활을 하다 생을 마감했다.
  • 1919년 5월 - 1919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1919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우루과이가 참가한 가운데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단일 리그전 방식으로 개최되었으며, 브라질이 우루과이와의 플레이오프 끝에 우승했으나 우루과이 골키퍼의 사망이라는 비극도 있었다.
  • 1919년 5월 - 1919년 5월 29일 일식
    1919년 5월 29일 일식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검증하기 위해 관측되었으며, 중력에 의한 빛의 휨 현상을 관찰하여 이론을 증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1919년 독일 - 독일 11월 혁명
    독일 11월 혁명은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직후 독일 제국에서 발생하여 군주제를 무너뜨리고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으로 이어진 혁명으로,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 러시아 혁명의 영향, 군부의 붕괴 등이 배경이 되었다.
  • 1919년 독일 - 바이마르 공화국
    바이마르 공화국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일 제국이 붕괴된 후 수립된 정치 체제로, 바이마르 헌법에 따라 '독일국'이라는 국호를 사용했으나, 베르사유 조약, 정치적 양극화, 나치즘의 부상으로 아돌프 히틀러 집권과 함께 몰락한 격변의 시대였다.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른 표기


일반 명칭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
상태미승인 국가
국기
사회주의 붉은 깃발
깃발
표어""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국가
지도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 지도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이 주장한 영토 (빨간색)와 바이마르 공화국의 나머지 지역 (베이지색)
수도뮌헨
정치
정부 형태평의회 공화국
수반정부 주석
주요 지도자에른스트 톨러 (1919년 4월 6일 – 1919년 4월 12일)
오이겐 레비네 (1919년 4월 12일 – 1919년 5월 3일)
역사
존속 기간1919년
시작1919년 4월 6일
종료1919년 5월 3일
이전 국가바이에른 인민주
계승 국가바이마르 공화국
바이에른 자유주
통화
통화독일 파피에르마르크 (ℳ)
현재
현재 국가독일
시대
시대전간기
1917년-1923년의 혁명
독일의 정치적 폭력 (1918년-1933년)

2. 역사적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패전과 1918~1919년 독일 혁명은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 탄생의 배경이 되었다. 킬 반란으로 시작된 혁명은 독일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가 권력을 장악했다.[4]

1918년 11월 7일, 쿠르트 아이스너는 바이에른 인민국의 총리가 되었다.[5] 그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옹호했지만, 볼셰비키와는 거리를 두었고, 사유 재산 보호를 선언했다. 그러나 1919년 1월 선거에서 아이스너의 독일 독립사회민주당은 패배했고, 1919년 2월 21일 아이스너는 우익 민족주의자 아르코-발리 백작 안톤에게 암살당했다.[6][7]

아이스너 암살 이후 소집된 바이에른 란트타크에서 에르하르트 아우어가 아이스너를 추모했지만, 암살 배후에 아우어가 있다는 소문이 퍼졌다. 알로이스 린더가 아우어에게 총을 쏴 부상을 입혔고, 혼란 속에서 보수 의원 Heinrich Osel|하인리히 오젤de이 사망했다.[8] 이후 바이에른은 무정부 상태가 되었다.

1919년 3월 17일, 요하네스 호프만이 의회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 그러나 한 달 후,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혁명에 고무된 공산주의자와 무정부주의자들은 에른스트 톨러를 국가 원수로 하는 소비에트 공화국을 선포했다.[10] 호프만 정부는 밤베르크로 도피해 그곳을 새로운 정부 청사로 선포했다.

2. 1. 독일 11월 혁명과 바이에른 왕국의 붕괴

1918년 11월 7일, 러시아 혁명 1주년 기념일에 쿠르트 아이스너는 뮌헨의 테레지엔비제에서 약 6만 명의 군중 앞에서 연설을 했다. 아이스너는 즉각적인 평화, 8시간 노동, 실업 수당 등을 요구하며 바이에른 왕국의 국왕 루트비히 3세와 독일 황제 빌헬름 2세의 퇴위를 요구했다. 또한, 노동자와 병사 평의회를 만들 것을 주장했다.[38]

군중은 병사들의 막사로 몰려갔고, 대부분의 군인들을 혁명에 가담시키는 데 성공했다. 그날 밤, 루트비히 3세는 추방되었고, 다음 날인 11월 8일 아이스너는 700년 이상 지속된 비텔스바흐 왕가를 전복시키고 바이에른 자유주를 선포했다. 아이스너는 바이에른 주의 수상(Ministerpräsident|수상de)이 되었다.[38]

아이스너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지지했지만, 러시아의 볼셰비키와는 거리를 두었고, 사유 재산을 옹호했다.[38] 그러나 아이스너의 독일 독립사회민주당은 1919년 1월 선거에서 패배했다. 1919년 2월 21일, 아이스너는 사임 발표를 위해 의회로 가던 중 극우 민족주의자 아르코-발리 백작 안톤에게 암살당했다.[6][7]

아이스너 암살 이후, 바이에른 란트타크가 소집되었고, 에르하르트 아우어가 아이스너를 추모했지만, 암살 배후에 아우어가 있다는 소문이 퍼졌다. 아이스너의 지지자였던 알로이스 린더가 아우어에게 총을 쏴 부상을 입혔고,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보수 의원 Heinrich Osel|하인리히 오젤de이 사망했다.[8]

제1차 세계 대전의 패배와 1918~1919년 독일 혁명의 혼란 속에서, 킬 반란으로 시작된 혁명은 독일 전역으로 확산되었다.[2][3] 노동자 및 병사 평의회는 기존 권력을 장악했다.[4]

이러한 상황은 헝가리의 혁명 소식과 함께, 바이에른에서 공산주의자와 무정부주의자들이 권력을 잡는 계기가 되었다.

2. 2. 쿠르트 아이스너와 바이에른 자유주

쿠르트 아이스너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 소속의 정치인이자 혁명적 사회주의자였다. 1918년 11월 7일, 러시아 혁명 1주년 기념일에 아이스너는 뮌헨의 테레지엔비제에서 약 6만 명의 군중 앞에서 연설했다. 그는 즉각적인 평화, 8시간 노동, 실업수당 등을 요구하며, 바이에른 국왕 루트비히 3세와 독일 황제 빌헬름 2세의 퇴위를 주장했다. 또한 노동자와 병사 평의회를 만들 것을 촉구했다.[38]

군중들은 아이스너의 연설에 호응하여 병사들의 막사로 몰려갔고, 대부분의 군인들이 혁명에 가담했다. 그날 밤, 루트비히 3세는 추방되었고, 다음 날인 11월 8일, 아이스너는 700년 이상 이어진 비텔스바흐 왕가를 무너뜨리고 바이에른 자유주를 선포했다. 아이스너는 바이에른 주의 수상(Ministerpräsident)이 되었다.[38]

아이스너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지지했지만, 볼셰비키와는 달리 사유 재산을 옹호하는 입장을 밝혔다.[38] 이는 뮌헨의 경제학자 루요 브렌타노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그러나 아이스너의 USPD는 1919년 1월 선거에서 패배했고, 아이스너는 사임하기로 결심했다. 1919년 2월 21일, 의회에서 사임 연설을 하기 위해 가던 중, 아이스너는 극우 민족주의자 안톤 아르코팔라이 백작에게 암살당했다.[38] 안톤은 인종주의 단체인 툴레 협회에 가입하려 했던 인물이었다. 아이스너의 암살은 바이에른에 혼란을 가져왔고, 헝가리에서 평의회 혁명이 성공했다는 소식까지 전해지자 공산주의자들과 무정부주의자들이 권력을 잡으려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말, 독일 혁명의 흐름 속에서 1918년 11월 7일 밤, 바이에른 왕국에서 혁명이 일어났다. 11월 8일 아침, 쿠르트 아이스너는 비텔스바흐 왕가의 왕정 폐지와 "바이에른 공화국" 건국을 선언하고 수상에 취임했다. 아이스너는 독립사민당과 다수파 사회민주당의 지원을 받아 독재적인 권력을 잡았다. 또한, 레테(노병 평의회)를 포섭하고 농민 평의회를 일으켜 자신의 기반으로 삼았다.

아이스너는 베를린 중앙 정부와 달리 온건 좌파적인 입장을 취하며 혁명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반(反) 베를린 자세는 특히 바이에른 주민들에게 지지를 받았다. 바이에른은 독일 제국에서 가장 보수적인 지역 중 하나였고, 프로이센 왕국에 대한 반감이 강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스너는 카를 마르크스와 칸트를 융합한 이상주의자였으며, 프롤레타리아 독재 사상과는 거리를 두었다. 경제 정책에서도 성급한 사회화에 반대했다. 이러한 절충적인 태도는 우익과 좌익 모두에게 비판을 받았다. 1919년 1월 선거에서 아이스너의 독립사회민주당은 참패했고, 1919년 2월 21일, 아이스너는 암살당했다.

3.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의 수립과 전개

1919년 4월 6일부터 7일에 걸쳐 독립 사회민주당의 에른스트 토러와 구스타프 란다우어 등 아나키스트들이 중심이 되어 바이에른에서 혁명이 일어났다. 요하네스 호프만을 수상으로 하는 다수파 사민당의 바이에른 정부는 뮌헨에서 쫓겨나고,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호프만은 북쪽의 밤베르크로 피신하여 정부를 세웠고, 바이에른은 이중 정부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이후 호프만 정부와 평의회 공화국 사이에 교전이 시작되면서 바이에른은 내란 상태에 돌입했다. 독일 공산당은 당시 평의회 공화국에 참여하지 않았으나, 평의회 공화국이 민심을 얻지 못하는 것을 보고 재혁명을 통해 공산당 중심의 새로운 평의회 공화국을 세우려 했다.

3. 1. 요하네스 호프만 정부 (다수파 사민당)

1919년 3월 7일, 독립사회민주당을 대신하여 총선에서 승리한 다수파사민당(Mehrheitssozialdemokratische Partei Deutschlands, MSPDde)의 당수 요하네스 호프만(Johannes Hoffmannde)은 연립내각을 수립하였으나, 정치적 지지를 얻는 데는 실패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의 독일 혁명 흐름 속에서 1918년 11월 7일 밤, 프로이센 왕국에 앞서 바이에른 왕국에서 혁명이 발생했다. 11월 8일 아침, 독립사회민주당 지도자 쿠르트 아이스너는 비텔스바흐 가문의 왕정 폐지와 "바이에른 공화국" 건국을 선언하고 그 수상에 취임했다. 아이스너는 독립사민당과 다수파 사회민주당의 지원을 받아 바이에른에서 독재적인 권력을 잡았다. 그는 베를린 중앙 정부의 사민당 정권과 달리 레테 (노병 평의회)와 대립하지 않고 이를 포섭했으며, 농민 평의회를 일으켜 자신의 기반으로 삼았다.

베를린 중앙 정부에서도 호엔촐레른 가문이 폐지되어 다수파 사회민주당 정권과 독립사회민주당 정권의 이중 정권이 난립했지만, 아이스너는 반 베를린적인 자세를 취하며 온건 좌파적인 중앙 정부를 혁명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이 아이스너의 반 베를린 자세는 특히 바이에른 주민들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바이에른은 독일 제국에서도 가장 보수적인 사람들이 많은 토지였으며, 바이에른의 비텔스바흐 가문은 프로이센의 호엔촐레른 가문보다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어 프로이센에 대한 라이벌 의식이 강했기 때문이다.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한 독일 제국이 형성된 후에도 반 프로이센적인 감정을 가진 주민이 많았다. 제1차 세계 대전에 대해서도 "프로이센 왕이 멋대로 일으킨 전쟁에 바이에른인이 휘말렸다"는 총괄을 하는 사람이 많았다.

아이스너는 마르크스와 칸트를 융합한 이상주의자였으며, 순수한 사회주의자는 아니었다. 사회주의자들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사상과는 거리를 두었다. 경제 정책에서도 성급한 사회화에 반대했다. 이러한 절충적인 태도는 우익과 좌익 모두에게 분노를 샀다. 반대하는 좌익들은 후에 독일 공산당이 되는 스파르타쿠스단을 창설했다. 1919년 1월 선거에서는 우익의 바이에른 인민당이 제1당이 되었고, 다수파 사민당은 제2당에 머물렀으며, 아이스너가 속한 독립사회민주당은 겨우 3석밖에 얻지 못했다. 1919년 2월 21일, 의회 개원식으로 향하던 아이스너가 우익 귀족 청년 장교 안톤 그라프 폰 아르코 아오프 페라이에 의해 암살당했다.

그러나 이 암살은 비열한 테러로 여겨져 오히려 아이스너를 지지했던 다수·독립 양 사민당의 입지를 강화했고, 양 사민당의 정권은 유지되었다. 그러나 공산당을 비롯한 좌익들은 이에 불만을 품었다.

3. 2. 에른스트 톨러 정부 (독립사회민주당)

1919년 4월 6일, 러시아식 노동자 평의회를 통치기구로 하는 평의회 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선포되었다. 이 공화국은 에른스트 톨러를 비롯한 독일 독립 사회민주당(USPD) 당원들과 구스타프 란다우어, 질비오 게젤, 에리히 뮈잠 등의 아나키스트들로 구성되었다.[15][16] 극작가 출신이었던 톨러는 정치인으로서는 유능하지 못했고, 그의 정부는 바이에른의 질서를 회복하는 데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 초기에는 에른스트 톨러와 같은 독일 독립 사회민주당 (USPD) 당원들과 작가 구스타프 란다우어, 경제학자 실비오 게젤, 극작가 에리히 뮐잠과 같은 아나키스트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톨러는 혁명을 "사랑의 바이에른 혁명"이라고 묘사했으며, 슈바빙의 카페 사회에서는 이 정부를 "카페 아나키스트 정권"이라고 불렀다.

톨러 정부는 과감한 선언을 했지만, 실제 시행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공공 주택 장관은 앞으로 모든 주택은 3개 이상의 방을 가질 수 없으며 거실은 항상 부엌과 침실 위에 있어야 한다는 포고령을 발표했다. 또한 재무 장관 실비오 게젤의 자유화폐 개념이 시행될 것이라고 선언했지만, 실제로 시행되지는 않았다.

톨러 내각의 인선은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예를 들어, 뮌헨 경찰청장으로 도덕적 타락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절도범이 임명되었다.[12] 외무 장관 프란츠 리프는 여러 번 정신병원에 입원했던 경력이 있었으며, 스위스가 공화국에 60대의 기관차를 대여해 주는 것을 거부하자 뷔르템베르크스위스에 선전포고를 하기도 했다.[13] 그는 교황 베네딕토 15세와 잘 알고 있다고 주장하며,[14] 망명한 전 총리 호프만이 밤베르크로 도망가서 장관 화장실 열쇠를 가지고 갔다고 블라디미르 레닌과 교황에게 전보로 알렸다.

톨러 내각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정당
대통령에른스트 톨러독일 독립 사회민주당
외무 장관프란츠 리프독일 독립 사회민주당
재무 장관[17]실비오 게젤무소속
내무 장관프리츠 졸트만독일 독립 사회민주당
군사 장관빌헬름 라이하르트|Wilhelm Reichardtde독일 공산당
교통 장관구스타프 파울루쿰|Gustav Paulukum프랑스어독일 독립 사회민주당
교육 장관구스타프 란다우어독일 독립 사회민주당
복지 장관아우구스트 하게마이스터|August Hagemeisterde독일 독립 사회민주당
법무 장관콘라트 큄블러|Konrad Küblerde바이에른 농민 연맹
사회 복지부마르틴 슈타이너바이에른 농민 연맹



1919년 4월 6일부터 7일에 걸쳐 에른스트 톨러구스타프 란다우어를 중심으로 바이에른에서 혁명이 발생했다. 다수파 사민당의 요하네스 호프만 수상의 바이에른 정부는 뮌헨에서 쫓겨났고,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호프만은 북쪽의 밤베르크에 정부를 두어 바이에른은 이중 정부 상태가 되었고, 호프만 정부와 평의회 공화국 사이에 교전이 시작되어 바이에른은 내란 상태에 돌입했다.

3. 3. 오이겐 레비네 정부 (공산당)

1919년 4월 12일, 오이겐 레비네를 지도자로 하는 공산당이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의 정권을 장악했다.[18] 레비네는 집권 후 "붉은 군대" 창설, 국가에 의한 화폐와 식량 공급 장악, 노숙자에 대한 고급 주택 불하, 노동자에 대한 공장의 소유권 배분 등 공산주의 개혁을 실시했다.[18] 블라디미르 레닌의 지령에 따라 레비네는 사회 상류 계급에서 인질을 잡았으며, 1919년 4월 30일에는 우익 간첩 혐의로 8명이 처형되기도 했다.[18]

오이겐 레비네


1919년 4월 13일, 독일-러시아 출신 볼셰비키 3명이 이끄는 KPD가 권력을 장악했고, 오이겐 레비네가 국가 원수로, 막스 레비엔이 바이에른 KPD 의장으로 임명되었다.[18] 이들은 종려 주일 쿠데타 이후 권력을 장악했다.[19] 레닌은 붉은 광장에서 열린 5월 1일 축하 행사에서 "해방된 노동계급은 소련 러시아뿐만 아니라 ... 소련 바이에른에서도 그 기념일을 축하하고 있다"라고 말하며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18]

레비네는 공장 노동자들로 "적군"을 조직하고 현금, 식량, 사유 총기를 압수했으며, 호화로운 아파트를 몰수하여 노숙자에게 제공하고, 공장을 노동자의 소유와 통제하에 두는 등 더 많은 공산주의 개혁을 시행했다. 뮌헨의 주요 교회 중 하나는 혁명 사원으로 개조되었다.[18] 또한 지폐를 폐지하고 교육 시스템을 개혁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를 실행할 시간은 없었다.[18]

레비네의 짧은 통치 기간 동안 식량 부족, 특히 우유 부족이 빠르게 문제가 되었다. 우유 부족에 대한 대중의 비판이 정치화되어 공산주의 정부는 공개적으로 "대부분 어쨌든 부르주아 아이들에게 간다. 우리는 그들을 살리는 데 관심이 없다."라고 선언하기도 했다.[18]

4월 13일, 호프만 정부에 충성하는 군대와 준군사 조직이 BSR을 전복하려 했으나, 공장 노동자와 병사 및 노동자 평의회 구성원으로 구성된 새로운 적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 전투에서 20명이 사망했다.[18]

최초의 레테 공화국은 1919년 4월 13일 러시아 출신의 공산당원 오이겐 레비네 등이 일으킨 혁명으로 무너졌고, 레비네에 의해 다시 레테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블라디미르 레닌은 쿤 벨러 공산 정권에 이어 세계 혁명의 거점으로 레테 공화국에 큰 기대를 걸었다.[33] 4월 15일에는 뮌헨의 레테 예비 대대 평의원 선거가 있었는데, 당선자 중 한 명이 아돌프 히틀러였다.[34]

레비네는 정치 능력이 부족하여 4월 27일에 물러났다. 그는 독자적인 적군을 결성하고, 지폐 폐지 및 독자적인 교육 제도를 실행하려 했지만, 정권 붕괴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33]

4.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의 몰락

요하네스 호프만의 바이에른 인민 공화국과 협상할지 여부를 두고 의견이 갈리면서, 4월 27일 레비네 위원회가 사임하고 에른스트 톨러가 다시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을 이끌게 되었다.[21]

4. 1. 바이마르 공화국의 개입과 무력 진압

1919년 5월 3일, 약 9천 명의 바이마르 공화국 국가방위군(공산주의자들은 이들을 "자본주의 백색군"이라고 불렀다)과 3만여 명의 민방위대가 공산주의자들과의 격렬한 시가전 끝에 뮌헨에 입성하였다.[21] 시가전 중 약 1,000명의 공산 정부 지지자들이 죽었고, 700여 명의 남녀가 체포되어 승리한 민방위군 군인들에 의해 즉결처형되었다. 레비네 역시 체포되어 반역죄로 슈타델하임 감옥에서 총살당했다. 뮌헨이 백색군과 민방위군에 의해 점령됨에 따라, 바이에른에 독립적 국가를 수립하려는 시도였던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은 해체되었다.[21]

요하네스 호프만의 바이에른 인민국(밤베르크)과 뮌헨에 위치한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은 18일 다하우에서 군사적으로 충돌했다. 호프만의 8,000명의 병력이 소비에트 공화국의 30,000명과 맞붙었다. 에른스트 톨러가 이끄는 BSR군은 다하우에서의 첫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호프만은 부르크하르트 폰 오븐 중장 휘하의 20,000명의 자유군단(Freikorps)de의 지원을 받는 계약을 맺었다.[21] 오븐과 자유군단(Freikorps)de은 공산주의자들에게 "자본주의의 백색 경비대"라고 불린 호프만의 국방군 충성파와 함께 다하우를 점령하고 뮌헨을 포위했다. 그동안 BSR 지지자들은 4월 26일 비어 야레스차이텐 호텔(Hotel Vier Jahreszeiten)에 있는 툴레 협회의 사무실을 점거하고 협회 비서인 헬라 폰 베스타르프 백작 부인과 다른 6명을 인질로 체포했다. 루돌프 에겔호퍼는 뮌헨이 호프만의 군대에 의해 포위된 것에 당황하여 4월 30일 이 7명과 다른 3명의 인질을 처형했는데, 여기에는 유력 인사 투른 und 탁시스 구스타프 왕자도 포함되었다.[21] 톨러가 처형을 막으려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처형이 이루어졌다.

자유군단(Freikorps)de은 5월 1일 뮌헨 방어선을 뚫고 들어가 격렬한 시가전을 벌였으며, 여기에는 "화염 방사기, 중포, 장갑차, 심지어 항공기"까지 동원되었다. 최소 606명이 사망했으며, 이 중 335명이 민간인이었다. 레비네는 나중에 반역죄로 사형을 선고받고 슈타델하임 감옥에서 총살되었다. 구스타프 란다우어는 자유군단(Freikorps)de에 의해 살해되었고, 에겔호퍼는 체포된 후 재판 없이 살해되었다. 톨러(5년)와 아나키스트 작가 에리히 뮐삼(15년) 등 많은 사람들이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다른 사람들은 총 6,000년에 달하는 더 긴 형을 선고받았고, 일부는 강제 노동에 처해졌다.[23]

1,000~1,200명의 공산주의자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처형한 후, 오븐은 5월 6일 도시가 확보되었다고 선언하며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의 통치를 종식시켰다. 호프만 정부가 형식적으로 복원되었지만, 뮌헨의 실제 권력은 우익으로 이동했다.[23]

독일국 중앙 정부(사민당 정권)의 구스타프 노스케 국방상은 바이마르 공화국군과 독일 의용군(헤르만 에어하르트가 이끄는 "에어하르트 해병 여단"이나 프란츠 폰 엡이 이끄는 부대 등)을 투입하여 진압하기로 결정했다. 5월 1일부터 3일에 걸쳐 정부군 6만 명이 뮌헨으로 쳐들어가 도시를 점령했다. 공산당은 레테 공화국 붕괴 직전에 인질로 잡은 사람들을 학살했다.[33]

이로써 레테 공화국은 성립된 지 한 달도 안 되어 막을 내렸다. 이후 호프만 정권이 뮌헨으로 돌아왔지만, 뮌헨 점령군은 호프만 정권을 압도하여 바이에른은 실질적으로 군정 하에 놓이게 되었다. 레테 공화국에 관여한 자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에 대해서도 점령군에 의한 보복적인 잔학 행위가 뮌헨 시내 각지에서 다발했다.[33] 또한 이 후 1920년 초까지 레테 공화국과 관계된 자들의 재판이 5200건 이상 진행되었다. 레비네는 반역죄1919년7월 5일에 처형되었고, 히틀러는 징역형을 받아 1925년까지 수감되었다. 히틀러는 혁명적 언동을 한 자들을 조사하는 첩보원이 되었다.

4. 2. 공화국 붕괴 이후의 상황

1919년 5월 3일, 약 9천 명의 바이마르 공화국 국가방위군(공산주의자들은 이들을 "자본주의 백색군"이라고 불렀다)과 3만여 명의 민방위대가 공산주의자들과의 격렬한 시가전 끝에 뮌헨에 입성하였다. 시가전 중 약 1,000명의 공산 정부 지지자들이 사망했고, 700여 명의 남녀가 체포되어 즉결처형되었다. 에리히 뮈삼은 체포되어 반역죄로 슈타델하임 감옥에서 총살당했다.[33] 뮌헨이 백색군과 민방위군에 의해 점령됨에 따라,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은 해체되었다.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이 진압된 후, 사민당이 권력을 되찾았지만, 1920년 3월 카프 반란으로 축출되었다. 바이에른 인민공화국과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의 격동기는 보수 및 극우 세력이 바이에른 사회에 "볼셰비즘"에 대한 공포와 혐오를 조장하는 데 이용되었다. 이 시기는 양 국가가 모두 부족, 검열, 자유 제한, 폭력, 일반적인 혼란 상태로 존재했던 시기로 대중들에게 기억되었다. 바이에른 보수주의의 많은 분파들은 극좌 세력에서 공동의 적을 찾았고, 이전 왕국은 심오하게 "반동적이고, 반공화적이며, 반혁명적"이 되었다.

공산주의자와 사회 민주주의자들은 이 사건 이후 서로를 비난하며 나치당 시대를 거치면서 좌파를 마비시켰다. 인민공화국과 소비에트 공화국의 저명한 인물 중 일부가 유대인이었다는 사실은 보수 및 극우 세력이 바이에른에서 "유대 볼셰비즘" 음모론을 밀어붙이는 데 이용되었다.[24]

독일국 중앙 정부(사민당 정권)의 구스타프 노스케 국방상은 바이마르 공화국군과 독일 의용군(헤르만 에어하르트가 이끄는 "에어하르트 해병 여단"이나 프란츠 폰 엡이 이끄는 부대 등)을 투입하여 진압하기로 결정했다. 5월 1일부터 3일에 걸쳐 정부군 6만 명이 뮌헨으로 쳐들어가 도시를 점령했다. 공산당은 레테 공화국 붕괴 직전에 인질로 잡은 사람들을 학살했다.

이로써 레테 공화국은 성립된 지 한 달도 안 되어 막을 내렸다. 이후 호프만 정권이 뮌헨으로 돌아왔지만, 뮌헨 점령군은 호프만 정권을 압도하여 바이에른은 실질적으로 군정 하에 놓이게 되었다. 레테 공화국에 관여한 자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에 대해서도 점령군에 의한 보복적인 잔학 행위가 뮌헨 시내 각지에서 다발했다.[33] 또한 이후 1920년 초까지 레테 공화국과 관계된 자들의 재판이 5,200건 이상 진행되었다. 에리히 뮈삼은 반역죄1919년7월 5일에 처형되었고, 히틀러는 징역형을 받아 1925년까지 수감되었다. 히틀러는 혁명적 언동을 한 자들을 조사하는 첩보원이 되었다.

5. 영향과 유산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은 짧은 기간 존속했지만, 그 영향은 바이에른과 독일 전체에 깊게 남았다. 특히, 이 시기는 보수 및 극우 세력이 바이에른 사회에 "볼셰비즘"에 대한 공포와 혐오를 조장하는 데 이용되었다. 또한, 공화국의 저명한 인물 중 일부가 유대인이었다는 사실은 "유대 볼셰비즘" 음모론을 퍼뜨리는 데 이용되었다.[24]

5. 1. 정치적 영향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이 진압된 후, 사민당이 권력을 되찾았지만, 1920년 3월 카프 반란으로 축출되었다.[24] 바이에른 인민공화국과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은 부족, 검열, 자유 제한, 폭력, 혼란 등으로 대중들에게 기억되었고, 보수 및 극우 세력은 바이에른 사회에 "볼셰비즘"에 대한 공포와 혐오를 조장했다.[24] 바이에른 보수주의 세력은 극좌 세력에서 공동의 적을 찾았고, 이전 왕국은 "반동적이고, 반공화적이며, 반혁명적"이 되었다.[24]

공산주의자와 사회민주주의자들은 이 사건 이후 서로를 비난하며 나치당 시대까지 좌파를 마비시켰다.[24] 인민공화국과 소비에트 공화국의 저명한 인물 중 일부가 유대인이었다는 사실은 보수 및 극우 세력이 바이에른에서 "유대 볼셰비즘" 음모론을 퍼뜨리는 데 이용되었다.[24]

바이에른은 원래 가톨릭을 믿는 보수적인 지역으로, 공산주의가 침투할 토양이 아니었다. 많은 바이에른 사람들은 반 베를린적인 자세로만 좌익 정권을 지지했을 뿐이었다. 레테 공화국이 무너진 후, 바이에른은 빠르게 우경화되었고, 뮌헨 주둔 군대는 시민들에게 반공주의 계몽 운동을 활발히 벌였다. 뮌헨에는 다양한 우익 정당이 창설되었다. 바이에른 사람들의 반 프로이센 감정은 "우익 프로이센에 맞서는 좌익 바이에른"에서 "좌익 프로이센에 맞서는 우익 바이에른"으로 바뀌었다.

이 시기 난립한 바이에른의 소규모 우익 정당 중 하나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이었다. 아돌프 히틀러가 당수가 된 나치당은 바이에른 총독 구스타프 폰 카알 등 바이에른 독립을 요구하는 우익과 손을 잡고 베를린 진군을 시도했다. 카알이 소극적으로 나오자, 히틀러는 에리히 루덴도르프 장군을 내세워 뮌헨 폭동을 일으켰다.

5. 2. 사회문화적 영향

사민당은 권력을 되찾았지만, 1920년 3월 카프 반란으로 축출되었다.[24] 바이에른 인민공화국과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은 격동기를 거치면서 보수 및 극우 세력이 바이에른 사회에 "볼셰비즘"에 대한 공포와 혐오를 조장하는데 이용되었다. 이 시기는 양 국가가 모두 물자 부족, 검열, 자유 제한, 폭력, 그리고 일반적인 혼란 상태로 존재했던 시기로 대중들에게 기억되었다. 바이에른 보수주의의 많은 분파들은 극좌 세력에서 공동의 적을 찾았고, 이전 왕국은 심오하게 "반동적이고, 반공화적이며, 반혁명적"이 되었다.

공산주의자와 사회 민주주의자들은 이 사건 이후 서로를 비난하며 나치당 시대를 거치면서 좌파를 마비시켰다.

인민공화국과 평의회 공화국의 저명한 인물 중 일부가 유대인이었다는 사실은 보수 및 극우 세력이 바이에른에서 "유대 볼셰비즘" 음모론을 밀어붙이는 데 이용되었다.[24]

6. 주요 인물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에는 여러 주요 인물들이 참여했다.


  • 게오르크 쉬림프: 예술가로, 평의회 운동이 진압될 때 체포되었다.[25]
  • 오스카 마리아 그라프: 작가로, 그의 자전적 소설 ''Wir sind Gefangene''(1927)에서 이 사건을 다루었다.[26]
  • B. 트라벤(본명: 레트 마루트): 아나키스트 소설가로,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의 언론부 부장으로 일했다.[26]
  • 루요 브렌타노, 브루노 발터, 하인리히 만, 라이너 마리아 릴케: 지식인들로, 하인리히 만을 의장으로 하는 Rat der geistigen Arbeitde(지적 노동 위원회)를 결성했다.[27][28]
  • 율리우스 슈레크: 아돌프 히틀러의 오랜 운전사이자 친위대(SS)의 초대 지도자로, 1919년 4월 말에 적군에 입대하여 복무했다.
  • 발타자르 브란트마이어: 히틀러의 전쟁 친구로, 히틀러가 처음에는 군주제의 종말과 바이에른 공화국 수립을 환영했다고 언급했다.
  • 아돌프 히틀러: 1919년 4월 말 적군에 입대하여 복무했으며,[29] 소비에트 공화국의 선전부 연락 담당 역할을 했다. 히틀러의 좌익 정치 성향은 기회주의적인 성격이 강했을 것으로 보이며, 소비에트 공화국 붕괴 후 바이마르 공화국으로 충성심을 바꾸었다.[29]
  • 루돌프 헤스: Freikorps Eppde(엡 자유군단)의 일원으로, 훗날 나치당의 권력자가 되었다.[30][31]


쿠르트 아이스너, 에른스트 톨러, 오이겐 레비네에 대해서는 각각의 하위 섹션을 참조.

6. 1. 쿠르트 아이스너 (Kurt Eisner)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의 쿠르트 아이스너러시아 혁명 1주기였던 1918년 11월 7일 오전, 옥토버페스트가 열리는 테레지엔비제에서 약 6만여 명의 군중 앞에서 연설을 했다. 아이스너는 즉각적인 평화와 8시간 노동, 실업수당 등을 요구했고, 바이에른 왕국 국왕 루트비히 3세와 독일 황제 빌헬름 2세의 퇴위를 요구하며 노동자와 병사 평의회를 만들 것을 주장했다. 군중들은 병사들의 막사로 몰려갔고, 대부분의 군인들을 혁명에 가담시켰다. 그날 밤, 루트비히 3세는 추방되었다.[38]

1918년 11월 8일, 아이스너는 700년 이상 이어진 비텔스바흐 왕가를 전복시키고 바이에른 자유주를 선포하며 바이에른 주의 수상(Ministerpräsident|바이에른 주 총리de)이 되었다.[38] 그는 독립사민당과 다수파 사회민주당의 지원을 받아 독재적인 권력을 잡았다. 또한 베를린의 중앙 정부와 달리 레테(노병 평의회)를 포섭하고, 농민 평의회를 일으켜 자신의 기반으로 삼았다.

아이스너는 마르크스와 칸트를 융합한 이상주의자였으며, 순수한 사회주의자는 아니었다. 프롤레타리아 독재 사상과는 거리를 두었고, 성급한 사회화에도 반대했다. 그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지지했지만, 사유 재산을 옹호하여 러시아 볼셰비키와는 거리를 두었다. 이는 뮌헨의 경제학자 루요 브렌타노의 영향이었다.

1919년 1월 선거에서 아이스너의 독립사회민주당은 겨우 3석밖에 얻지 못하는 등 참패했다. 1919년 2월 21일, 의회 개원식으로 향하던 아이스너는 우익 귀족 청년 장교 안톤 그라프 폰 아르코 아오프 페라이에게 암살당했다. 안톤은 어머니가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가입이 거부되었지만, 뮌헨의 인종주의자 단체인 툴레 협회에 가입하려 했던 인물이었다. 아이스너의 암살은 혼란을 야기했고, 헝가리에서 평의회 혁명이 성공했다는 소식까지 들리자 공산주의자들과 무정부주의자들이 권력을 잡기 위한 움직임을 보였다. 그러나 이 암살은 비열한 테러로 여겨져 오히려 아이스너를 지지했던 다수·독립 양 사민당의 입지가 강화되었다.

6. 2. 에른스트 톨러 (Ernst Toller)

에른스트 톨러는 극작가 출신으로, 1919년 4월 6일 러시아식 노동자 평의회를 통치기구로 하는 평의회 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선포되었을 때 초기 정부를 이끌었다. 그러나 그는 정치인으로서는 유능하지 못했다. 에른스트 톨러(Ernst Toller|에른스트 톨러de) 외에도 구스타프 란다우어(Gustav Landauer|구스타프 란다우어de), 질비오 게젤(Silvio Gesell|질비오 게젤de), 에리히 뮈잠(Erich Mühsam|에리히 뮈잠de) 등 무정부주의자들도 초기 정부 구성원이었다. 톨러의 정부는 바이에른의 질서를 회복하는 데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

6. 3. 오이겐 레비네 (Eugen Leviné)

1919년 4월 12일 일요일, 공산당이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의 정권을 잡았으며, 지도자는 오이겐 레비네였다.[33] 레비네는 집권 후 공산주의 개혁을 실시했는데, 여기에는 "붉은 군대" 창설, 국가에 의한 화폐와 식량 공급 장악, 노숙자에 대한 고급 주택 불하, 노동자에 대한 공장의 소유권 배분 등이 포함되었다. 레비네는 지폐 폐지와 교육 제도 개혁도 구상했었으나, 이를 실제로 시행하지는 못하였다.

블라디미르 레닌의 지령에 따라, 레비네는 사회 상류 계급에서 인질을 잡았다. 1919년 4월 30일 구스타프 투른탁시스 공작을 포함한 8인의 인사가 우익의 간첩 노릇을 했다는 죄목으로 고발되어 처형되었다. 툴레 협회의 비서인 헬라 폰 베스타르프 백작부인(Hella von Westarp|헬라 폰 베스타르프de)도 살해되었다.

1919년 4월 13일, 러시아 출신의 공산당원 오이겐 레비네 등이 일으킨 혁명으로 최초의 레테 공화국이 무너지고, 레비네에 의해 다시 레테 공화국이 선언되었다. 새로운 레테는 독일의 노동 운동에서 기원한 좌익 활동가들이 중추를 이루었기 때문에 룩셈부르크주의의 영향을 짙게 받았다. 공산당 레테 공화국의 수립 성공을 들은 블라디미르 레닌은 쿤 벨러 공산 정권에 이어 세계 혁명의 거점으로 레테 공화국에 큰 기대를 걸었다. 4월 15일에는 뮌헨의 레테 예비 대대 평의원 선거가 있었는데, 당선자 중 한 명이 아돌프 히틀러였다.[34][35][36]

레비네는 정치 능력이 부족하여 4월 27일에 물러났다. 그는 공산당 지도자로서, 독자적인 적군을 결성하고, 지폐 폐지 및 독자적인 교육 제도를 실행하려 했지만, 정권 붕괴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

6. 4. 아돌프 히틀러 (Adolf Hitler)

아돌프 히틀러는 1919년 4월 말 적군에 입대하여 복무했다.[29] 그는 자신이 선출된 "대대 대표"였던 자신의 군대 대대와 보다 급진적인 USPD에 반대하고, 주류 SPD를 주로 지지했던 병사들에 의해 소비에트 공화국의 선전부 사이에서 연락 담당 역할을 했다.[29] 뉴스릴 영화와 스틸 사진에는 히틀러가 쿠르트 아이스너의 장례 행렬에 참여하며 검은색 조문 띠와 정부 지지를 나타내는 붉은색 띠를 모두 착용한 모습이 나타난다.[29]

히틀러의 좌익 정치 성향은 깊은 정치적 신념보다는 기회주의적인 성격이 강했을 것으로 보인다. 소비에트 공화국이 백위대와 Freikorpsde(자유군단)에 의해 무너진 후, 히틀러는 즉시 바이마르 공화국으로 충성심을 바꾸었다. 그는 자신의 연대 군인들의 행동을 조사하도록 배정된 3인 위원회의 일원으로서, 소비에트 정부에 동정심을 보였던 다른 군인들을 고발했다.[29]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을 진압한 자유군단(오븐, 프란츠 리터 폰 엡, 헤르만 에르하르트)의 적극적인 참여자들은 나치당의 미래 권력자들이었으며, 여기에는 Freikorps Eppde(엡 자유군단)의 일원인 루돌프 헤스도 포함되었다.[30][31]

참조

[1] 서적
[1] 서적
[1] 서적
[2] 웹사이트 Der Matrosenaufstand 1918 https://www.dhm.de/l[...] 2024-04-28
[3] 서적 Kiel 1918: Revolution – Aufbruch zu Demokratie und Republik Wachholtz
[4] 웹사이트 Vom Kaiserreich zur Republik 1918/19 https://www.bpb.de/t[...] 2024-03-24
[5] 웹사이트 The Unsung Hero: Bavaria's amnesia about the man who abolished the monarchy http://www.atlantic-[...] The Atlantic Times 2008-12
[6] 서적 Famous Assassinations in World History: An Encyclopedia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4-17
[7] 웹사이트 Beisetzung Kurt Eisners, München, 26. Februar 1919 https://www.historis[...] 2024-08-08
[8] 서적 Alois Lindner. Das Leben des bayerischen Abenteurers und Revolutionärs Lichtung 2007
[9] 웹사이트 Kabinett Segitz, 1919 https://www.historis[...] 2024-08-08
[10] 백과사전 Ernst Toller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2-02-17
[11] 서적 Von Eisner bis Leviné Fanal Verlag
[12] 서적 The Fall of the Dynasties: The Collapse of the Old Order Weidenfeld & Nicolson
[13] 서적 Von Kiel bis Kapp Vero Verlag
[14] 서적 Die Bayerische Räte-Republik. Tatsachen und Kritik Neuer Isp Verlag 2001
[15] 웹사이트 Räterepublik Baiern (1919) https://www.historis[...] 2024-06-11
[16] 웹사이트 Die Verflechtungen zwischen der Oktoberrevolution 1917 und der Münchner Räterepublik https://www.osmikon.[...] 2024-08-08
[17] 서적 Silvio Gesell in der Münchener Räterepublik. Eine Woche Volksbeauftragter für das Finanzwesen im April 1919 2018
[18] 서적 Hitler and Stalin: Parallel Lives Alfred A. Knopf 1991
[19] 웹사이트 Palmsonntagsputsch, 13. April 1919 https://www.historis[...] 2021-12-10
[20] 서적 Liberating society from the state and other writings: a political reader https://www.worldcat[...] PM Press 2011
[21] 웹사이트 Timebase Multimedia Chronology: Timebase 1919 http://www.humanitas[...] 2006-09-23
[22] 웹사이트 Gustav Landauer (1870–1919) http://dwardmac.pitz[...] 2015-10-20
[23]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Simon & Schuster
[24] 서적 Das Dritte Reich und die Juden. Die Jahre der Verfolgung 1933–1939. Die Jahre der Vernichtung 1939–1945. Die Jahre der Vernichtung 1939–1945 Beck 2007
[25] 서적 Modernist Masterpieces. The Haubrich Collection at Museum Ludwig König
[26] 간행물 B. Traven und die Münchner Zensur : unveröffentlichte Dokumente aus der Zeit des 1. Weltkrieges 1970
[27] 간행물 Heinrich Mann and the Politics of Reaction https://www.jstor.or[...] 1973
[28] 웹사이트 Heinrich Mann und der Politische Rat geistiger Arbeiter München – Versuch einer Chronik https://literaturkri[...] 2021-10-12
[29] 서적 Hitler: Ascent 1889–1939 Vintage Books
[30] 서적 Hess: A Biography. MacGibbon & Kee
[31] 서적 Hess: The Fuhrer's Disciple Cassell & Co.
[32] 서적 Witness Random House
[33] 서적 ナチズム ドイツ保守主義の一系譜 中央公論社 1968-02-24
[34] 뉴스 1922年3月24日付ミュンヒナー・ポスト
[35] 서적 Ian Kershaw: Hitler. 1889–1936. Stuttgart 1998, S. 164; David Clay Large: Hitlers München – Aufstieg und Fall der Hauptstadt der Bewegung, München 2001, S. 159.
[36] 웹사이트 Sozialdemokratie und Nationalsozialismus: Heil Dir, Lassalle! https://ef-magazin.d[...] Lichtschlag Medien und Werbung KG 2013-05-23
[37] 뉴스 20대 카스트로가 법정에서 외쳤던 그 말 https://news.naver.c[...] 프레시안 2006-08-06
[38] 웹인용 The Unsung Hero: Bavaria's amnesia about the man who abolished the monarchy http://www.atlantic-[...] The Atlantic Times 2008-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