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하두르 샤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하두르 샤 2세는 1775년에 태어나 1862년에 사망한 무굴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다. 그는 시인이자 수피교 신자였으며, 1837년 아버지 악바르 2세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바하두르 샤 2세는 영국 동인도 회사의 지배 아래 축소된 무굴 제국을 통치하며, 1857년 세포이 항쟁 당시 인도의 황제로 추대되었으나, 항쟁 실패 후 체포되어 버마의 양곤으로 추방되었다. 그곳에서 사망했으며, 무굴 제국은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인도의 군주 - 란지트 싱
란지트 싱은 1780년 펀자브에서 태어나 시크 왕국을 건국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며, 유럽식 군사 훈련과 종교적 관용 정책을 펼쳤고, 사후 시크 제국은 멸망했다. - 19세기 인도의 군주 - 카라크 싱
카라크 싱은 란지트 싱의 뒤를 이어 시크 왕국의 마하라자가 되었지만,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외교적 역량 부족으로 아들에게 폐위 및 투옥 후 독살당했다. - 무굴 황제 - 파루크시야르
파루크시야르는 1713년부터 1719년까지 무굴 제국의 황제였으며, 사이이드 형제의 지원으로 황제가 되었으나, 그의 통치 기간은 반란과 내부 갈등, 그리고 제국 쇠퇴를 가속화시킨 정책 결정으로 특징지어진다. - 무굴 황제 - 자한기르
악바르 대제의 아들로 무굴 제국의 제4대 황제였던 자한기르는 정치적 혼란과 예술 부흥을 동시에 이끌었지만, 왕위 계승 분쟁, 황후의 영향력, 시크교와의 갈등, 그리고 그의 사생활과 약물 중독으로 인해 비판받기도 하는 인물이다. - 무슬림 통치자 - 티무르
티무르는 14세기에 활동한 군사 지도자로서, 칭기즈 칸의 후예는 아니었지만 차가타이 칸국의 혼란을 틈타 권력을 잡고 정복 전쟁을 통해 티무르 왕조를 세웠으며, 군사적 재능과 잔혹함으로 평가받는다. - 무슬림 통치자 - 파루크시야르
파루크시야르는 1713년부터 1719년까지 무굴 제국의 황제였으며, 사이이드 형제의 지원으로 황제가 되었으나, 그의 통치 기간은 반란과 내부 갈등, 그리고 제국 쇠퇴를 가속화시킨 정책 결정으로 특징지어진다.
바하두르 샤 2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칭호 | 델리의 왕 |
칭호 | 파디샤 |
칭호 | 샤한샤-에-힌두스탄 |
칭호 | 인도 황제 |
전체 이름 | 미르자 아부 자파르 시라즈-우드-딘 무함마드 바하두르 샤 자파르 2세 |
출생일 | 1775년 10월 24일 |
출생지 | 샤자하나바드, 무굴 제국 (현재의 올드 델리, 인도) |
사망일 | 1862년 11월 7일 |
사망지 | 랭군, 버마 성, 영국령 인도 제국 (현재의 양곤, 미얀마) |
매장일 | 1862년 11월 7일 |
매장지 | 랭군, 버마 |
시대 | 18세기 & 19세기 |
왕조 | 티무르 왕조 |
통치 | |
즉위 | 1837년 9월 28일 – 1857년 9월 21일 |
대관식 | 1837년 9월 29일 |
이전 통치자 | 악바르 2세 |
이후 | 제국 폐지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악바르 샤 2세 |
어머니 | 랄 바이 |
배우자 | 타지 자하르 지나트 마할 샤라풀-마할 아크타르 마할 라힘 바크쉬 바이 한와 |
자녀 | 미르자 다라 바크트 미르자 무갈 미르자 파트-울-물크 바하두르 미르자 키즈르 술탄 미르자 자완 바크트 미르자 샤 아바스 미르자 아부 바크르 미르자 울루그 타히르 |
종교 | |
종교 | 수니 이슬람 (하나피) |
군사 | |
전투 | 1857년 인도 반란 |
이미지 | |
![]() | |
![]() |
2. 어린 시절
1775년 10월 24일, 미르자 아부 자파르(훗날 바하두르 샤 2세)는 델리에서 무굴 제국의 황제 악바르 2세와 그의 측실 라알 바이 사이에서 태어났다[38]. 젊은 시절 그는 화려한 옷차림을 즐기던 다른 형제들과 달리 수수하게 차려입고 학자처럼 생활했다. 즉위하기 약 10년 전인 1828년에는, 당시 53세였던 그에 대해 "풍채가 좋고, 검소하고, 거의 득도하였습니다. 그의 외모는 마치 가난한 승려나 언어 교사와도 같습니다."라는 보고가 올라올 정도였다.[59]
원래 아버지 악바르 2세는 비 뭄타즈 마할의 간청과 압력으로 그녀의 아들인 미르자 자한기르 바흐트를 후계자로 내정하고 있었다[38]. 그러나 1812년 미르자 자한기르가 축제 중에 영국의 주재관에게 총을 쏘는 사건을 일으켜 델리에서 추방되면서[60], 형인 미르자 아부 자파르가 다시 황태자가 되었다. 다만 그 역시 황태자 시절 영국과 의견 차이로 문제를 겪었던 것으로 보인다[39]. 결국 여러 우여곡절 끝에 바하두르 샤 2세가 황위를 계승하게 되었다.
3. 재위 시절
1837년 9월 28일, 아버지 악바르 2세의 뒤를 이어 즉위한[38] 바하두르 샤 2세는 델리 성과 팔람까지의 주변 지역으로 크게 축소된 무굴 제국을 통치했다.[5] 당시 인도는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영국 동인도 회사가 정치적, 군사적으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었으며,[62] 영국령 인도 외 지역은 수백 개의 크고 작은 왕국과 공국으로 분열된 상태였다. 이미 마라타 제국이 18세기에 데칸 지역에서 무굴 제국을 실질적으로 대체했고,[6] 델리의 무굴 황제는 1772년부터 마라타의 영향력 아래 놓여 있었다.
영국은 무굴 황제의 권위를 명목상 인정하여, 황제가 황궁에 거주하며 품위 유지 명목으로 델리 일대에서 세금을 거두고 소규모 근위대를 유지하는 것을 허용했지만,[61] 이는 영국 동인도 회사로부터 연금을 받는 수준에 불과했고, 인도의 정치에는 어떠한 실질적인 영향력도 행사할 수 없었다.[62] 바하두르 샤 2세 스스로도 정치나 국정 운영에는 별다른 관심이나 "제국의 야망"을 보이지 않았다. 그는 통치 기간 동안 아버지처럼 궁정 의례를 주관하고 델리 시내를 행진하는 것을 즐겼으며, 연날리기와 같은 소일거리에 몰두하기도 했다.[39]
대신 바하두르 샤 2세는 저명한 우르두 시인으로서 우르두 시 창작에 열정을 쏟았다. 그는 '가잘' 형식의 시를 다수 집필했으며, 그의 작품들은 훗날 ''쿨리야트-이-자파르''로 편집되었다. 비록 1857년 인도 대반란 과정에서 일부 작품이 소실되거나 파괴되었지만, 대부분은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그의 궁정은 갈리브, 다흐, 무민, 그리고 그의 스승이기도 했던 자크 등 당대의 뛰어난 우르두 문학가들의 활동 중심지였다.[40] 특히 1847년 이후 궁정 시인으로 활동한 갈리브는 그의 치세 동안 많은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40]
한편, 영국은 인도의 식민지화를 완성해가고 있었다. 1845년부터 1849년까지 이어진 두 차례의 시크 전쟁에서 승리하여 펀자브 등 북서 인도를 병합했다. 영국은 쇠퇴한 무굴 제국의 명목상 주권마저 빼앗으려 시도했다. 1854년 인도 총독 달후지 후작은 바하두르 샤 2세 사후 무굴 제국을 번왕국으로 격하하려 했으나, 이 계획은 영국 본국 정부의 반대로 무산되었다.[41][42] 이러한 영국의 침략과 통치 방식에 대한 인도 사회 전반의 불만은 계속 쌓여갔으며, 특히 1856년 2월 아와드 번왕국의 강제 병합은 인도인들의 분노를 극으로 치닫게 했다.[43]
3. 1. 종교적 관념
바하두르 샤 2세는 독실한 수피교 신자였다.[28] 그는 스스로를 수피교 피르(성직자)로 여겼으며, '무리드'라고 불리는 제자들을 받아들여 가르치기도 하였다.[28] 당시 황실의 허가를 받은 신문 《엘리 우르두 악바르》는 그를 "신의 궁정에서 인정한, 당대의 주요 성자 중 한 명"이라고 칭송하기도 했다.[28] 황제가 되기 전에는 "가난한 학자이자 데르비쉬"처럼 소박하게 살았다고 전해진다.[28] 1828년 메이저 아처는 "자파르는 야윈 체구와 키를 가지고 있으며, 소박한 옷차림으로, 거의 초라함에 가깝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그의 검소한 생활 방식을 보여준다.[28]
시인이기도 했던 그는 신비주의적인 수피교의 가르침을 깊이 이해했으며,[28] 정통 수피교에서 전해지는 마술이나 미신 등에도 관심을 보였다.[28] 많은 추종자들처럼, 바하두르 샤 2세 역시 수피 피르이자 황제로서 자신의 지위가 강력한 영적인 힘을 부여한다고 믿었다.[28] 한 예로, 신하 중 한 명이 뱀에게 물리자 그는 해독제로 '베조아르의 봉인'이라는 돌과 자신이 숨을 불어넣은 물을 주어 치료하려 시도했다.[63][29] 또한, 그는 부적(`타아비즈`)의 힘을 굳게 믿어, 지병이었던 치질 통증을 완화하거나 악령을 쫓기 위해 부적을 사용했다.[29] 병을 앓을 때는 누군가 자신에게 저주를 걸었다고 의심하는 아내들의 말을 듣고 수피 피르들에게 해결책을 구하기도 했다. 피르들은 부적을 만들어 황제에게 물에 타 마시게 하여 악으로부터 보호하려 했다.[29] 그는 피르, 기적을 행하는 자, 힌두 점성술사들과 항상 교류했으며, 그들의 조언에 따라 물소나 낙타를 제물로 바치거나, 계란을 땅에 묻고, 흑마술사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체포하기도 했다. 소화 불량을 치료한다는 말에 반지를 끼거나, 가난한 사람들에게 소를 기증하고, 수피 사원에는 코끼리를, 자마 마스지드의 성직자(`하딤`)에게는 말을 기증하기도 했다.[29]
바하두르 샤 2세는 스스로를 힌두교의 보호자라고 생각했으며, 이슬람교 극단주의자들과 다수의 정통 이슬람교 반대파 사이의 갈등을 중재하고자 노력했다. 그가 쓴 시 중에는 힌두교와 이슬람교가 본질적으로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서술한 구절이 있다.[30] 이러한 그의 철학은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조화를 추구했던 무굴 황실의 혼합 문화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64][30]
그의 황실에서는 홀리, 디왈리 등 힌두교 축제들을 기념했다.[31] 봄의 축제 기간에는 황족들이 일곱 개의 우물에서 목욕하는 의식을 행하기도 했다. 가을 축제 때는 힌두교도 신하들에게 선물을 하사하고 황실의 말들을 화려하게 장식했다. 밤에는 델리에서 열리는 야간 축제를 감상했으며, 곡물, 금, 산호 등 일곱 가지 보물을 도시의 빈민들에게 나누어 주기도 했다.[65]
종교적 관용을 보여주는 일화도 있다. 어느 날 밤, 황제를 기다리던 한 힌두교도가 다가와 이슬람교로 개종하게 해달라고 청원했으나, 총리대신 하킴 아사눌라 칸은 이를 단호히 거절하고 황제 앞에서 물러나게 했다. 또 다른 사례로, 200명이 넘는 이슬람교도들이 황궁 앞에 모여 힌두교도들이 신성시하는 소를 도축하게 해달라고 요구하자, 바하두르 샤 2세는 크게 분노하며 이슬람교도들의 신앙이 소의 신성함보다 중요하지는 않다고 답하며 이를 불허했다.[66] 그는 또한 시아 이슬람교도에게도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그의 치세 하에 시아파는 잃었던 영향력을 일부 회복할 수 있었다.[32]
3. 2. 자파르 마할
무굴 제국이 역사에 마지막으로 남긴 유적 중 하나는 델리 인근 메라우리 지방의 자파르 마할이다. 자파르 마할은 원래 악바르 2세 시절부터 짓기 시작했지만, 19세기 중반 바하두르 샤 2세 때 완공되었다. 바하두르 샤 2세는 자파르 마할을 여름 궁전으로 삼아 황궁처럼 꾸미고 자주 방문했다.
자파르 마할의 흥미로운 점은 여러 세기에 걸쳐 지어진 건축물들이 함께 모여 있다는 것이다. 문 근처의 돔은 15세기의 것으로 가장 오래되었고, 다른 부분들은 더 이른 시기에 만들어졌다. 벽난로나 인도 양식과 다른 계단 등 서양의 영향을 받은 부분도 있다. 바하두르 샤 2세는 메라우리 지방에 축제가 있을 때마다 몇 주씩 자파르 마할에 머물기도 했다. 그는 이곳에 인상적인 문을 더한 뒤 "자파르 마할"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4. 세포이 항쟁
1857년 영국 동인도 회사의 통치에 대한 불만이 쌓여가던 중, 인도인 용병 세포이들 사이에서 새로 도입될 엔필드 소총에 대한 소문이 퍼졌다.[44][45] 이 소총의 탄약 포장지에는 소와 돼지의 기름이 사용되었는데, 당시 탄약을 입으로 물어뜯어 장전해야 했기 때문에 이는 힌두교도와 이슬람교도가 다수인 세포이들에게 심각한 종교적 모독으로 받아들여졌다.[46][45] 힌두교도는 소를 신성시했고, 이슬람교도는 돼지를 부정하게 여겼기 때문이다.[46] 영국 사령부가 탄약 수령을 거부한 세포이들을 투옥하자, 분노한 세포이들은 1857년 5월 10일 메르트에서 봉기하여 영국인 장교들을 살해하고 델리로 진군했다.[46]
다음 날인 5월 11일, 메르트에서 온 세포이들이 델리에 도착하자 델리의 세포이와 시민들도 합세하여 영국인들을 몰아내고 도시를 장악했다.[46] 다양한 종교와 배경을 가진 인도인들을 하나로 묶을 구심점이 필요했던 반란 지도자들은 델리 성으로 가서 무굴 제국의 황제 바하두르 샤 2세를 "'''인도의 황제'''"[67]로 추대하고 무굴 제국의 부활을 선언했다.[41][46]
처음에는 반란에 소극적이었던 바하두르 샤 2세였지만[41], 세포이들의 압력과 자신 없이는 항쟁이 성공할 수 없다는 설득에 결국 그들의 요구를 받아들였다.[10] 그는 5월 12일 수년 만에 공식 알현을 열었으며[8], 그날 밤 "힌두스탄의 황제"로서 영국에 대한 항전을 촉구하는 담화를 발표했다.[47] 또한 인도 백성들에게 다음과 같이 경고하며 항쟁 참여를 독려했다.
인도의 모든 힌두교도와 이슬람교도들에게 이르노니, 지금 고심 끝에 백성들을 향한 나의 임무를 받아들여, 나의 백성들과 함께 하기로 결심하였도다.
이 시점부터 누구든지 겁을 먹거나 참여하지 않는다면, 그들은 저 간악한 영국을 돕는 것이며, 그들은 곧 속았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다.
영국은 그들의 신뢰의 대가로서 오우드의 군주들에게 대한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갚아줄 것이다.
힌두교도와 이슬람교도들은 영국에 대한 반란에 신속하게 그리고 반드시 참여해야만 한다. 그들은 고향의 영주들의 지시에 따라 우리 나라의 질서를 회복해 나가야만 한다.
모든 백성들은 이 기사를 복사하여 모든 마을의 중요한 장소마다 전시해 놓기 바란다. 하지만 그 이전에, 먼저 무장한 다음 영국에 전쟁을 선포해야 한다.[68]
바하두르 샤 2세는 장남 미르자 무굴을 군 총사령관으로 임명했지만, 군사 경험이 부족했던 그는 세포이 부대들을 효과적으로 통솔하지 못했다.[12] 각 연대는 자신들의 지휘관 외에는 명령을 따르려 하지 않았고, 델리의 행정은 혼란에 빠졌다.[12] 5월 16일에는 세포이와 궁정 하인들이 바하두르 샤 2세의 제지에도 불구하고[11] 궁에 숨어 있던 52명의 유럽인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11] 비록 직접적인 책임은 없었으나, 이 사건은 훗날 재판에서 그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10] 항쟁은 아와드, 마라타 제국의 나나 사히브, 잔시의 락슈미바이 등 구 지배층과 인도 각지의 민중들이 합세하며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46][48]
4. 1. 항쟁의 실패와 몰락
1857년 세포이 항쟁 초기에는 세포이와 인도의 독립세력이 우세했지만, 영국군이 본격적으로 반격을 시작하면서 전세는 점차 역전되었다. 9월 14일 영국군은 무굴 제국의 수도 델리에 총공격을 감행하여 격렬한 델리 포위전이 벌어졌다.[50]
영국군의 승리가 확실해지자, 바하두르 샤 2세는 델리 외곽의 후마윤 묘지로 피신했다. 그러나 윌리엄 호드슨이 이끄는 영국군의 추격을 받아 1857년 9월 20일에 체포되었다.[38] 다음 날인 9월 21일, 호드슨은 황제의 아들 미르자 무굴, 미르자 키즈르 술탄과 손자 미르자 아부 바크트를 델리 게이트 근처에서 즉결 처형하고 델리 함락을 선언했다.[50][38][41][13] 이 소식을 들은 바하두르 샤 2세는 큰 충격에 빠져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고 한다.[13] 델리가 함락된 후 영국군은 도시에서 보복적인 약탈과 학살을 자행했다.[50]
체포된 바하두르 샤 2세는 델리 성에서 형식적인 재판을 받았다.[16] 그는 반란 방조, 영국 정부에 대한 전쟁 지원, 주권 찬탈, 기독교인 살해 사주 및 공모 등의 혐의로 기소되었다.[17] 바하두르 샤 2세는 세포이들의 강압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고 항변했으나[18],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심지어 그의 최측근이었던 하킴 아산울라 칸은 자신의 사면을 대가로 불리한 증언을 하며 그를 배신하기도 했다.[19] 결국 1858년 3월 29일, 그는 영국 국왕에 대한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폐위되었다.[38]
항복 당시 호드슨이 생명을 보장했기 때문에 사형은 면했지만[19], 그는 영국령 버마의 양곤(당시 라웅군)으로 추방되었다.[38][51][52] 1858년 10월 7일, 바하두르 샤 2세는 부인 지나트 마할과 남은 가족 일부와 함께 양곤으로 떠났다.[20] 이로써 바부르가 세운 지 332년 된 무굴 제국은 완전히 멸망했다.[51] 영국은 1858년 8월 2일 인도 통치 개선법을 통과시켜 영국 동인도 회사의 통치권을 영국 국왕에게 넘겼고, 11월 1일 인도의 직접 통치를 선언하며 제국의 종말을 공식화했다.[53]
바하두르 샤 2세는 유배지 양곤에서 4년을 더 살다가 1862년 11월 7일에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1][38] 그의 유해는 인도로 돌아오지 못하고 양곤의 슈웨다곤 파고다 인근(훗날 바하두르 샤 다가로 불림)에 묻혔다.[69] 그는 평소 델리 메라울리 지역의 수피교 성자 쿠트부딘 바크티야르 카키의 다가 근처 대리석 묘역에 묻히기를 원했지만, 그 자리는 현재 비어 있다.
5. 유배와 죽음
1857년 인도 대반란 이후, 1857년 9월 바하두르 샤 2세는 체포되어 델리 성에서 재판을 받았다. 1858년 3월 29일, 그는 영국 국왕에 대한 반역죄로 유죄 판결을 받고 폐위되었다[38]. 같은 해 5월, 그는 남은 가족들과 함께 버마(현재 미얀마)의 양곤(당시 라웅군)으로 추방되었다[38][51][52]. 흰 수염을 기른 채 유배지로 보내지는 83세의 바하두르 샤 2세의 모습이 흑백 사진으로 남아 있다[51]. 이 사진은 무굴 제국의 모든 황제를 통틀어 유일하게 남은 사진으로 알려져 있다.
폐위된 황제는 유배지 양곤에서 여생을 보냈다. 1862년, 87세의 나이로 병을 앓기 시작했으며[21], 10월에는 상태가 악화되었다. 영국 위원 H.N. 데이비스는 그가 "국으로 연명"했지만 11월 3일까지는 그것조차 힘들어했다고 기록했다[21]. 11월 6일, 데이비스는 자파르가 "목 부위의 순수한 쇠약과 마비로 인해 분명히 죽어가고 있다"고 보고하며 그의 매장을 준비시켰다[21].
결국 바하두르 샤 2세는 4년의 유배 생활 끝에 1862년 11월 7일 금요일 오전 5시에 사망했다[51][38]. 같은 날 오후 4시, 그는 양곤의 슈웨다곤 파고다 근처, 6 지와카 로드에 매장되었다[21]. 그의 무덤은 오랫동안 잊혀졌으나, 1991년 2월 16일 발견되어 그 자리에 바하두르 샤 자파르 다르가 묘가 세워졌다[22][23].
바하두르 샤 2세는 뛰어난 우르두어 시인이자 서예가였다[33]. 그는 감옥 벽에 자신의 묘비명으로 삼을 가잘(우르두 시의 한 형식)을 직접 썼다고 전해진다[71]. 이 시는 망국의 한과 개인적인 비애를 담고 있다.
원문 우르두어 | 데바나가리 음역 | 로마자 음역 | 한국어 번역 | |||||||||||||||
---|---|---|---|---|---|---|---|---|---|---|---|---|---|---|---|---|---|---|
{{lang|ur|لگتا نہیں ہے جی مِرا اُجڑے دیار میں کس کی بنی ہے عالمِ ناپائیدار میں بُلبُل کو پاسباں سے نہ صیاد سے گلہ قسمت میں قید لکھی تھی فصلِ بہار میں کہہ دو اِن حسرتوں سے کہیں اور جا بسی اتنی جگہ کہاں ہے دلِ داغدار میں اِک شاخِ گل پہ بیٹھ کے بُلبُل ہے شادماں کانٹے بِچھا دیتے ہیں دلِ لالہ زار میں عمرِ دراز مانگ کے لائے تھے چار دِن دو آرزو میں کٹ گئے، دو اِنتظار میں دِن زندگی کے ختم ہوئے شام ہوگئی پھیلا کے پائوں سوئیں گے کنج مزار میں کتنا ہے بدنصیب ظفر دفن کے لئے دو گز زمین بھی نہ ملی کوئے یار میں|} | } [35]
이름 | 비고 |
---|---|
자키아툰니사 베굼 | |
타지 마할 | |
샤라파툴 마할 | 모티 베굼 |
지나트 마할 | |
무사히브 마할 | 피아리 베굼 |
누르 마할 | 피아리 베굼 |
아즈마트 마할 | |
아프타르 마할 |
'''주:''' 자료 [24]와 [73]에서는 베굼 아쉬라프 마할, 베굼 악타르 마할, 베굼 지나트 마할, 베굼 타지 마할 등 4명을 언급하고 있어 위 명단과 차이가 있다.
또한 그는 총 47명의 첩을 두었다고 기록되어 있다.[38] 첩의 일부 명단은 다음과 같다.[38] 라힘 바흐시 바하이, 모티 바하이, 카윰 바하이, 다울라트 카담 등이 있다.
그는 총 22명의 아들을 두었다.[38][25] 주요 아들들은 다음과 같다.
'''주:''' 아들 목록은 여러 자료에 걸쳐 이름 표기나 포함 여부가 다소 다를 수 있다. 위 표는 자료 [25]와 [38]을 종합하여 정리한 것이며, 특정 자료에만 언급된 경우 비고에 표시하였다.
그는 최소 32명의 딸을 두었다고 기록되어 있다.[38] 알려진 딸들의 이름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25]
- 라비야 베굼
- 베굼 파티마 술탄
- 쿨숨 자마니 베굼
- 라우나크 자마니 베굼 (아마도 손녀, 1930년 사망)
참조
[1]
서적
Last Mughal (P/B)
Penguin Books India
2007
[2]
서적
Nets of Awareness: Urdu Poetry and Its Critics
1994
[3]
서적
Bahadur Shah Zafar and the War of 1857 in Delhi
Aakar Books
2006
[4]
서적
Bahadur Shah Zafar; And the War of 1857 in Delhi
Aakar Books
2006
[5]
서적
Delhi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1902
[6]
서적
Advanced Study in the History of Modern India 1707–1813
Sterling Publishers
2005
[7]
웹사이트
Indian History Collective
https://indianhistor[...]
2023-12-30
[8]
간행물
Who Was Who
Oxford University Press
2007-12-01
[9]
서적
The Last Mughal
[10]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April 1858 Trial of Bahadur Shah Zafar 'King of Delhi'
[11]
서적
The Last Mughal
[12]
서적
The Last Mughal
[13]
서적
2009
[14]
서적
Justice System and Mutinies in British India
[15]
서적
Trials that Changed History: From Socrates to Saddam Hussein
[16]
서적
A Symbol of State Power: Use of the Red Fort in Indian Political Trials.
https://www.inter-di[...]
[17]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April 1858 Trial of Bahadur Shah Zafar 'King of Delhi'
http://www.csas.ed.a[...]
2016-11-02
[18]
간행물
The Rebel Army in 1857: At the Vanguard of the War of Independence or a Tyranny of Arms?
[19]
서적
The Last Mughal: The Fall of Delhi, 1857
Penguin India
[20]
서적
The Last Mughal
Penguin Books
[21]
서적
The Last Mughal
[22]
웹사이트
Grave secrets of Yangon's imperial tomb
http://www.mmtimes.c[...]
2014-07-13
[23]
서적
The Last Mughal
[24]
웹사이트
Bahadur Shah Zafar Ka Afsanae Gam
http://www.kapadia.c[...]
Farooqi Book Depot
2007-07-22
[25]
서적
Qila-e-Mu'llaa ki Jhalkiyan (Glimpses of the exalted fort)
Maktaba Jahan-numa
[26]
웹사이트
Search the Collections | Victoria and Albert Museum
http://images.vam.ac[...]
Images.vam.ac.uk
2009-08-25
[27]
뉴스
No Living Mughals, for now
http://www.thehindu.[...]
2002-12-09
[28]
서적
The Last Mughal
[29]
서적
The Last Mughal
[30]
서적
The Last Mughal
[31]
서적
Bahadur Shah Zafar and the War of 1857 in Delhi
https://books.google[...]
Aakar Books
[32]
서적
Social Institutions of Shia Muslims: An Anthropological Analysis
Classical Publishing Company
[33]
웹사이트
Zoomify image: Poem composed by the Emperor Bahadhur Shah and addressed to the Governor General's Agent at Delhi February 1843.
http://www.bl.uk/onl[...]
Bl.uk
2003-11-30
[34]
웹사이트
[SASIALIT] bahadur shah zafar poem and its translation attempts
https://mailman.rice[...]
Mailman.rice.edu
2008-01-07
[35]
웹사이트
BBC Hindi – भारत
https://www.bbc.co.u[...]
BBC
1970-01-01
[36]
웹사이트
Jee Nehein Lagta Ujrey Diyaar Mein
http://www.urdupoint[...]
2007-07-21
[37]
뉴스
A little peek into history
http://www.hindu.com[...]
2008-05-02
[38]
웹사이트
Delhi 20
http://www.royalark.[...]
[39]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40]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41]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42]
서적
캠브리지판 세계 각국사 인도의 역사
[43]
서적
캠브리지판 세계 각국사 인도의 역사
[44]
서적
캠브리지판 세계 각국사 인도의 역사
[45]
서적
신판 세계 각국사 7 남아시아사
[46]
서적
캠브리지판 세계 각국사 인도의 역사
[47]
서적
신판 세계 각국사 7 남아시아사
[48]
서적
신판 세계 각국사 7 남아시아사
[49]
서적
신판 세계 각국사 7 남아시아사
[50]
서적
캠브리지판 세계 각국사 인도의 역사
[51]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52]
서적
신판 세계 각국사 7 남아시아사
[53]
서적
신판 세계 각국사 7 남아시아사
[54]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55]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56]
웹사이트
Zafar
http://www.thinkbaby[...]
2011-08-03
[57]
문서
북인도를 지배한 종족
[58]
웹사이트
Poem composed by the Emperor Bahadur Shah and addressed to the Governor General's Agent at Delhi February 1843.
http://www.bl.uk/onl[...]
[59]
서적
The Last Mughal
[60]
문서
당시 인도는 외부적으로 영국의 간섭을 받고 있었다
[61]
문서
델리 주변 일대의 직영지에서만 가능하였다
[62]
문서
이미 선대부터 무굴제국 황제의 영향력은 미미하였으며, 단지 상징과 같은 존재였다
[63]
서적
The Last Mughal
[64]
서적
The Last Mughal
[65]
서적
The Last Mughal
[66]
서적
The Last Mughal
[67]
웹사이트
http://www.tribunein[...]
[68]
문서
Shahi Firman
1857-05-12
[69]
웹인용
The Dargah of Bahadur Shah Zafar in Rangoon.
http://www.kapadia.c[...]
2014-01-12
[70]
웹인용
Nawab Zeenat Mahal
http://www.kapadia.c[...]
2011-01-13
[71]
웹사이트
""
http://www.bbc.co.uk[...]
[72]
웹사이트
Jee Nehein Lagta Ujrey Diyaar Mein
http://www.urdupoint[...]
2007-07-21
[73]
웹사이트
Bahadur Shah Zafar Ka Afsanae Gam
http://www.kapadia.c[...]
2007-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