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리아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마리아교는 게리짐산을 하나님의 성소의 진정한 위치로 여기며,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에 정착한 직후부터 독립된 집단으로 존재해 왔다고 주장하는 종교이다. 사마리아교는 유대교와 분리된 역사를 가지며, 주요 교리로 야훼를 유일신으로 숭배하고, 모세가 받은 토라를 유일한 성경으로 인정하며, 그리심산을 유일한 성소로 여긴다. 사마리아인들은 유월절, 칠칠절, 초막절 등의 축제를 지키며, 독자적인 종교 문헌을 가지고 있다.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사마리아인은 유대인과 공통 조상을 가지며, 예수 시대에는 유대인과 갈등 관계에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셈족 종교 - 야훼교
야훼교는 고대 이스라엘 종교에서 시작하여 야훼 신 숭배를 중심으로 발전, 엘을 주신으로 섬기다 유일신 숭배로 나아갔으며, 바빌론 유수 이후 유대교와 사마리아교로 분화되어 의례를 통해 신앙을 유지했다. - 고대 셈족 종교 - 고대 근동의 종교
고대 근동의 종교는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레반트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전하여 다신교, 점성술, 정화 의식, 마법 등의 특징을 보이며, 고대 그리스 종교 등에 영향을 미쳤다. - 아브라함 - 약속의 땅
약속의 땅은 토라에 기록된 아브라함과 그 자손에게 주겠다고 약속된 땅으로, 유대 민족의 핵심 민족 신화이자 시온주의의 핵심 교리이며, 기독교에서는 영적으로 재해석되고, 아프리카계 미국인 영가에서는 자유와 구원의 상징으로, 유럽 식민주의 시대에는 아메리카를 종교적 안식처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 아브라함 - 그돌라오멜
그돌라오멜은 성경 창세기에 나오는 엘람 왕으로, 가나안 원정 중 아브라함에게 패배하여 롯과 재물을 빼앗긴 인물로, 그의 역사적 실존과 동맹 세력에 대한 해석은 분분하다. - 사마리아인 - 사마리아 문자
사마리아 문자는 고대 사마리아 히브리어 비문에서 발견되어 토라와 기도서에 사용되는 문자로, 니쿠를 통해 발음을 구별하고 문장 부호로 의미를 명확히 하며, 유니코드 5.2 버전에 추가되어 디지털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고 U+0800부터 U+083F까지 할당되었다. - 사마리아인 -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예수께서 이웃 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제시한 이야기로, 강도를 만난 사람을 사마리아인이 돌보는 내용을 통해 진정한 자비와 사랑을 실천하는 것을 보여준다.
사마리아교 | |
---|---|
사마리아교 | |
![]() | |
종교 유형 | 민족 종교 |
창시자 | 아브라함 (전통) 모세 (전통, 율법 수여자) |
창립일 | 기원전 6세기–3세기경 |
창립 장소 | 유다와 이스라엘 왕국 |
모국어 | 사마리아 히브리어 사마리아 아람어 |
지도자 직책 | 대제사장 |
지도자 이름 | 아베드엘 벤 아셔 벤 마츨리아흐 |
경전 | 사마리아 오경 |
신학 | 유일신교 |
관련 종교 | 유대교 |
거주 지역 | 이스라엘 땅 |
신자 수 | ~900명 (사마리아인) |
분리 종교 | 유대교 야훼교 |
지도 |
2. 역사
사마리아교의 역사는 게리짐산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사마리아인들은 게리짐산 정상이 하나님의 성소가 있는 진정한 위치라고 믿는다. 그들은 자신들의 역사가 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의 땅에 들어간 직후부터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사마리아인의 역사 기록에 따르면, 대제사장 엘리가 게리짐산을 떠나 실로에 경쟁 제단을 세우면서 분열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엘리를 따라 실로로 간 사람들은 나중에 예루살렘을 정복하고 남쪽으로 향한 유대인이 되었고, 게리짐산에 남은 사람들은 사마리아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4세기 사마리아인 역사가 아부 엘 파트는 사마리아인의 기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18]
이다말 가계의 야프니의 아들 엘리와 핀쿠스의 아들들(비느하스) 사이에 끔찍한 내전이 일어났다. 야프니의 아들 엘리가 핀쿠스의 후손들에게서 대제사장직을 찬탈하기로 결의했기 때문이다. 그는 돌로 된 제단에 제물을 바쳤다. 그는 50세에 재물을 소유하고 이스라엘 자손의 금고를 관리했다. |
그는 제단에 제사를 드렸지만 소금은 넣지 않은 것처럼 마치 부주의한 것처럼 보였다. 대제사장 오지가 이 사실을 알고 희생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을 때 그는 그를 철저히 부인했다. 그리고 (심지어) 그가 그를 꾸짖었다고 한다. |
이에 그와 그를 동정하던 무리가 반란을 일으켜 즉시 그와 그의 추종자들과 그의 짐승들이 실로를 향하여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이스라엘은 파벌로 분열되었다. 그가 그들의 지도자들에게 사람을 보내어 그들에게 이르되, 누구든지 놀라운 일을 보고자 하는 자는 내게로 오라. 그리고 그는 실로에서 자기 주위에 큰 무리를 모으고 그곳에 자기를 위하여 성전을 건축하였다. 그는 게리짐산에 성전과 같은 곳을 건축했다. 그는 세부 사항을 빠뜨리지 않고 제단을 쌓았다. 모든 것이 원본과 하나하나 일치했다. |
이때 이스라엘 자손은 게리짐산에 있는 충성스러운 진영, 거짓 신을 따르는 이단 파벌, 실로에서 야프니의 아들 엘리를 따랐던 파벌이라는 세 파벌로 나뉘었다. |
현대 유전학 연구(2004)에 따르면 사마리아인의 혈통은 아시리아가 이스라엘 왕국을 정복한 시기에 유대인 고위 성직자(코하님)와 공통 조상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마리아인들이 고립된 역사를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이스라엘 민족의 후손일 가능성을 보여준다.[17][18]
사마리아인과 유대인 사이의 갈등은 바르 코크바 난 동안 두드러졌다. 예수의 착한 사마리아인 비유도 이러한 갈등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게리짐산 꼭대기에 있던 사마리아인의 성전은 유대 지도자 요한 히르카노스의 명령으로 파괴되었다.[19] 이후 게리짐산은 새로운 성전으로 재봉헌되었으나, 사마리아인의 반란 동안 다시 파괴되었다.
2. 1. 전통적 관점
사마리아교는 게리짐산 정상이 하나님의 성소의 진정한 위치라고 주장한다. 사마리아인들은 이스라엘 백성이 약속의 땅에 들어온 직후부터 별개의 집단으로서 그들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간다. 사마리아 역사 서술은 대제사장 엘리가 가나안에 있던 최초의 이스라엘 제단이 있던 게리짐산을 떠나 인근 실로에 경쟁적인 제단을 세운 것에서 시작된 분열을 추적한다. 엘리를 따라 실로로 간 이스라엘 백성의 반대파는 후에 남쪽으로 내려가 예루살렘에 정착한 사람들(유대인들)이 되고, 게리짐산, 즉 사마리아에 남은 이스라엘 백성은 사마리아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7]14세기에 사마리아 역사의 주요 저술을 남긴 아부 엘 파트는 사마리아의 기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17]
> 엘리(이타마르의 후손인 야프니의 아들)와 핀카스(핀하스)의 아들들 사이에 끔찍한 내전이 발발했습니다. 엘리(야프니의 아들)는 핀카스의 후손으로부터 대제사장직을 빼앗으려고 했습니다. 그는 돌로 된 제단에서 제사를 드렸습니다. 그는 50세였고, 부유했으며 이스라엘 자손들의 재무를 담당했습니다. ...
>
> 그는 제단에서 제사를 드렸지만, 마치 부주의한 것처럼 소금 없이 제사를 드렸습니다. 오찌 대제사장이 이를 알고 제사가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을 알자 그를 완전히 부인했습니다. 심지어 그를 꾸짖었다고도 합니다.
>
> 그러자 그와 그를 동정하는 무리는 봉기했습니다. 그리고 그와 그의 추종자들과 그의 짐승들은 곧바로 실로로 떠났습니다. 그리하여 이스라엘은 여러 파벌로 갈라졌습니다. 그는 그들의 지도자들에게 편지를 보내어 "놀라운 것을 보고 싶은 사람은 누구든 나에게 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그는 실로에서 많은 무리를 모아 자신을 위한 성전을 건설했습니다. 그는 게리짐산의 성전과 같은 장소를 건설했습니다. 그는 제단을 건설했고, 어떤 세부 사항도 빠뜨리지 않았습니다. 모든 것이 부분적으로 원본과 일치했습니다.
>
> 이때 이스라엘 자손들은 세 파벌로 갈라졌습니다. 그리심산에 충성하는 파벌, 거짓 신을 따르는 이단 파벌, 그리고 실로에서 엘리(야프니의 아들)를 따르는 파벌입니다.
또한, 편집자 엘칸 네이선 애들러(1861-1946)의 이름을 딴 "사마리아 신연대기" 또는 "애들러"는 이전 연대기를 자료로 사용하여 18세기에 편찬된 것으로 여겨지며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 그의 시대에 이스라엘 자손들은 세 집단으로 나뉘었습니다. 하나는 이방인들의 혐오스러운 행위를 따랐고 다른 신들을 섬겼습니다; 또 다른 하나는 야프니의 아들 엘리를 따랐지만, 그가 의도를 드러낸 후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서 돌아섰습니다; 그리고 세 번째는 부키의 아들 우찌 대제사장과 함께 남았습니다, 택하신 장소.
최근 유전학 연구(2004년)에 따르면, 사마리아인의 계보는 아시리아가 이스라엘 왕국을 정복한 시기와 시대적으로 가까운 시기에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유대교 대제사장 계보(코헨)를 가진 유대인과 공통 조상을 가지며, 아마도 역사적 이스라엘 민족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3] 이 시기 원시 사마리아인들의 종교는 남쪽의 유대 지역 사람들과 다를 바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이스라엘 왕국의 멸망 후 수세기 동안 지속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성경에 따르면, 히즈키야 왕과 요시야 왕이 시행한 유다의 종교 개혁에 북쪽의 사마리아인들이 거의 반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마리아인들은 분명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었지만, 남쪽의 유대인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따라서 사마리아교는 하스모네아 왕조와 로마 시대까지는 별개의 전통으로 등장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이 시점에서 야훼교는 제2성전 유대교로 통합되었다. 사마리아교의 중심 예배 장소인 그리심 산의 사원은 기원전 5세기에 건설되었으며, 사마리아에 있는 많은 야훼교 사원 중 하나였다. 그러나 이 사원 구역은 기원전 4세기경부터 수세기 동안 대규모 건설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사마리아인들 사이에서 가장 중요한 예배 장소로서의 지위가 이제 막 확립되었음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사이의 신학적 논쟁은 기원전 2세기 초부터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사마리아 율법서가 어떤 형태로든 이미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
하스모네아 왕조의 요한 히르카누스 왕은 기원전 120년경에 그리심 산 사원을 파괴하고 사마리아를 자신의 통치 아래 두었는데, 이는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사이의 오랜 적대감으로 이어졌다. 이 시점부터 사마리아인들은 의식적으로 유대인 형제들과 거리를 두려고 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두 민족 모두 사마리아 신앙을 유대교와는 별개의 종교로 여기게 되었다.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사이의 관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악화되었다. 예수 시대에 이르러서는 사마리아인과 유대인은 서로를 매우 멸시했는데, 이는 예수의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에서도 알 수 있다.[4]
2. 2. 학술적 관점
사마리아인들은 게리짐산 정상이 하나님의 성소의 진정한 위치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약속의 땅에 들어간 직후부터 자신들의 역사가 시작되었다고 본다. 사마리아인의 역사 기록에 따르면, 대제사장 엘리가 게리짐산을 떠나 실로에 경쟁 제단을 쌓으면서 분열이 시작되었다고 한다.[17] 엘리를 따라 실로로 간 사람들은 나중에 예루살렘을 정복하고 남쪽으로 향한 유대인이 되었고, 게리짐산에 남은 사람들은 사마리아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4세기 사마리아인 역사가 아부 일파스는 사마리아인의 기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18]
이다말 가계의 야프니의 아들 엘리와 핀쿠스의 아들들(비느하스) 사이에 끔찍한 내전이 일어났다. 야프니의 아들 엘리가 핀쿠스의 후손들에게서 대제사장직을 찬탈하기로 결의했기 때문이다. 그는 돌로 된 제단에 제물을 바쳤다. 그는 50세에 재물을 소유하고 이스라엘 자손의 금고를 관리했다. . . . |
그는 제단에 제사를 드렸지만 소금은 넣지 않은 것처럼 마치 부주의한 것처럼 보였다. 대제사장 오지가 이 사실을 알고 희생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을 때 그는 그를 철저히 부인했다. 그리고 (심지어) 그가 그를 꾸짖었다고 한다. |
이에 그와 그를 동정하던 무리가 반란을 일으켜 즉시 그와 그의 추종자들과 그의 짐승들이 실로를 향하여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이스라엘은 파벌로 분열되었다. 그가 그들의 지도자들에게 사람을 보내어 그들에게 이르되, 누구든지 놀라운 일을 보고자 하는 자는 내게로 오라. 그리고 그는 실로에서 자기 주위에 큰 무리를 모으고 그곳에 자기를 위하여 성전을 건축하였다. 그는 [게리짐산에] 성전과 같은 곳을 건축했다. 그는 세부 사항을 빠뜨리지 않고 제단을 쌓았다. 모든 것이 원본과 하나하나 일치했다. |
이때 이스라엘 자손은 게리짐산에 있는 충성스러운 진영, 거짓 신을 따르는 이단 파벌, 실로에서 야프니의 아들 엘리를 따랐던 파벌이라는 세 파벌로 나뉘었다 |
사마리아교의 신앙은 유대교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야훼를 유일신으로 믿고, 모세에게 주어진 토라를 유일한 성서로 존중하며, 예루살렘이 아닌 그리심 산을 유일한 성소로 여긴다는 점에서 유대교와 뿌리를 같이 한다.[5]
18세기에 작성된 사마리아 연대기 아들러(신 연대기)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현대 유전학 연구(2004)에 따르면, 사마리아인의 혈통은 아시리아가 이스라엘 왕국을 정복한 시기에 유대인 고위 성직자(코하님)와 공통 조상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마리아인들이 고립된 역사를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이스라엘 민족의 후손일 가능성을 보여준다.[17][18]
사마리아인과 유대인 사이의 갈등은 앗수르 디아스포라의 종말과 바르 코크바 난 동안 두드러졌다. 예수의 착한 사마리아인 비유도 이러한 갈등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게리짐산 꼭대기에 있던 사마리아인의 성전은 유대 지도자 요한 히르카노스의 명령으로 파괴되었다.[19] 이후 게리짐산은 새로운 성전으로 재봉헌되었으나, 사마리아인의 반란 동안 다시 파괴되었다.
최근 유전학 연구(2004년)에 따르면, 사마리아인의 계보는 아시리아가 이스라엘 왕국을 정복했던 시기와 가까운 시기에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유대교 대제사장 계보(코헨)를 가진 유대인과 공통 조상을 가지며, 아마도 역사적 이스라엘 민족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3] 이 시기 원시 사마리아인들의 종교는 남쪽 유대 지역 사람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이며, 이러한 상황은 이스라엘 왕국 멸망 후 수세기 동안 지속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성경에 따르면, 히즈키야 왕과 요시야 왕이 시행한 유다의 종교 개혁에 북쪽 사마리아인들이 거의 반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마리아인들은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었지만, 남쪽 유대인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따라서 사마리아교는 하스모네아 왕조와 로마 시대까지는 별개의 전통으로 등장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이 시점에서 야훼교는 제2성전 유대교로 통합되었다. 사마리아교의 중심 예배 장소인 그리심 산의 사원은 기원전 5세기에 건설되었으며, 사마리아에 있는 많은 야훼교 사원 중 하나였다. 그러나 이 사원 구역은 기원전 4세기경부터 수세기 동안 대규모 건설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사마리아인들 사이에서 가장 중요한 예배 장소로서의 지위가 이제 막 확립되었음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사이의 신학적 논쟁은 기원전 2세기 초부터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사마리아 율법서가 어떤 형태로든 이미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
하스모네아 왕조의 요한 히르카누스 왕은 기원전 120년경에 그리심 산 사원을 파괴하고 사마리아를 자신의 통치 아래 두었는데, 이는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사이의 오랜 적대감으로 이어졌다. 이 시점부터 사마리아인들은 의식적으로 유대인 형제들과 거리를 두려고 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두 민족 모두 사마리아 신앙을 유대교와는 별개의 종교로 여기게 되었다.
유대인과 사마리아인 사이의 관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악화되었다. 예수 시대에 이르러서는 사마리아인과 유대인은 서로를 매우 멸시했는데, 이는 예수의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에서도 알 수 있다.[4]
3. 신앙
하지만, 사마리아교는 구전 토라, 탈무드 등 랍비 문헌을 인정하지 않으며, 모세를 마지막 예언자로 간주한다.[20][21][22] 또한, '복수의 날'에 타헤브라는 메시아적 존재가 나타나 이스라엘 백성을 귀환시키고 죽은 자들을 부활시킬 것이라는 믿음은 사마리아교만의 독특한 특징이다.
사마리아인들은 고대 히브리 문자를 사용하고, 대제사장 제도를 유지하며, 유월절에 양을 희생하는 등 고유한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칠칠절과 초막절 등 주요 절기를 지키지만, 그 날짜를 계산하는 방식이나 초막을 짓는 방식에서 유대교와 차이를 보인다.[23]
3. 1. 주요 교리
사마리아교의 주요 교리는 다음과 같다.[20][21][22]3. 2. 축제 및 행사
사마리아인은 고대 히브리 문자 및 대제사장 제도와 유월절 전날 양을 도살하고 먹는 관습을 보존한다. 유월절, 칠칠절, 초막절을 기념하지만 매년 날짜를 결정하기 위해 유대교에서 사용되는 것과 다른 방식을 사용한다. 욤 테루아(" 나팔절"의 성경적 이름)는 티슈레이의 시작 부분에서 랍비 유대교에서처럼 새해로 간주되지 않는다.
유월절은 사마리아인 공동체에서 특히 중요하며 최대 40마리의 양이 희생된다. 오메르의 세기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칠칠절 일주일 전은 모세 시대부터 사마리아교가 유지해 온 지속적인 헌신을 기념하는 독특한 축제이다. 칠칠절은 특히 전통적으로 여호수아에게 기인한 게리짐의 돌 위에 거의 하루 종일 계속되는 기도의 예배가 특징이다.
초막절 기간 동안 초막은 유대인들 사이에서 전통적인 야외 설정과 달리 집 안에 지어진다.[23] 사마리아인 역사가 베냐민 티세다카는 실내 초막 전통을 동로마 제국 시기 사마리아인에 대한 박해로 추적한다.[23] 사마리아인 초막 지붕은 토라에서 휴일로 지정한 4종의 사마리아인 해석에 따라 감귤류와 야자수, 머틀, 버드나무 가지들로 장식되어 있다.[23]
4. 종교 문헌
사마리아인의 법은 할라카(랍비 유대인 법) 및 기타 유대인 운동과 다르다. 사마리아인에게는 유대교 할라카에 해당하는 여러 종교 문서 그룹이 있다. 그러한 문헌들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 '''사마리아 오경''': 사마리아 오경과 마소라 유대 오경 사이에는 약 6,000개의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한 추정에 따르면 이 책과 그리스어 70인역 사이에 1,900점이 일치한다. 신약 성경의 여러 구절은 또한 사마리아 본문에 보존된 것과 다르지 않은 토라 본문 전통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유사성에 관한 여러 이론이 있다. 고대 라틴어, 시리아어, 에티오피아어 번역판의 해석으로 일부 확증된 변형은[24][25][26] 비록 정확한 작성 날짜가 아직 크게 불분명하지만 사마리아 텍스트의 고대성을 입증한다.
- '''역사적 저작물'''
- * ''사마리아 연대기, 톨리다'' (창조부터 아비사까지)
- *
''사마리아 연대기'' , 여호수아 연대기 (하나님의 은혜의 시대 이스라엘) (4세기, 아랍어와 아람어로) - * ''사마리아 연대기, 알디르'' (하나님의 은총의 때부터 유배까지의 이스라엘)
- '''성인전 문헌'''
- * ''사마리아 할라카 문헌'', 힐루쿠 (할라카 법전, 결혼, 할례 등. )
- * 사마리아 할라카 문헌, 키타브 앗타바흐 (12세기 아부 알하산이 쓴 토라의 일부 구절과 장에 대한 할라카 및 해석)
- * ''사마리아 할라카 문헌'', 키타브 알카피 (요세프 알 아스카가 14세기 CE에 쓴 할라카 문헌)
- * ''알-아사티르'' (Al-Asatir) — 11세기와 12세기의 전설적인 아람어 텍스트에는 다음이 포함되어 있다.
- ** ''학가딕 미드라쉬'', 아불 하산 알-수리
- ** ''학가딕 미드라쉬, 메마르 마르카흐- 하캄 마르카흐''에 기인한 3세기 또는 4세기 신학 논문
- ** ''학가딕 미드라쉬'', 타헤브 위의 핑카스
- ** ''학가딕 미드라쉬'', 몰라드 마세(모세의 탄생)
- ''디페테르'', 시편과 찬송의 기도서.[27]
- ''사마리아인 학가다''[28]
참조
[1]
저널
The Head of the Rabbanite, Karaite and Samaritan Jews: On the History of a Title
https://www.jstor.or[...]
1994
[2]
웹사이트
Mount Gerizim and the Samaritans
https://whc.unesco.o[...]
2022-05-06
[3]
저널
Reconstruction of patrilineages and matrilineages of Samaritans and other Israeli populations from Y-chromosome and mitochondrial DNA sequence variation
https://web.archive.[...]
2017-10-13
[4]
웹사이트
Samaritan {{!}} Definition, Religion, & Bibl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5-25
[5]
웹사이트
Religion of the Israelite Samaritans : The Root of all Abrahamic Religions
https://www.israelit[...]
2020-04-13
[6]
웹사이트
Religion of the Israelite Samaritans
http://www.thesamari[...]
[7]
웹사이트
Samaritan - Encyclopedia.com
http://www.encyclope[...]
[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Samaritan Israelites
https://www.israelit[...]
2023-08-17
[9]
웹사이트
Reflections on Relationship between Qumran and Samaritan Messianology
https://www.the-sama[...]
2024-02-11
[10]
웹사이트
Sabbath Observance: How Israelite Samaritans Keep the Sabbath
https://www.israelit[...]
2023-05-01
[11]
웹사이트
Inside the Samaritan high priest's fruity sukkah, literally
http://www.timesofis[...]
2016-10-19
[12]
저널
The Head of the Rabbanite, Karaite and Samaritan Jews: On the History of a Title
1994
[13]
서적
Zeitschrift der Deutschen Morgenländischen Gesellschaft: ZDMG
https://books.google[...]
[14]
서적
The Anchor Bible Dictionary
[15]
서적
The Panarion of Ephiphanius of Salamis: Book I (sects 1–46)
https://books.google[...]
1987-01-01
[15]
서적
Die chronik des Eusebius in der syrischen ueberlieferung (auszug)
https://books.google[...]
[15]
서적
The Commentary of Origen on S. John's Gospel: The Text Rev. with a Critical Introd. & Indices
https://books.google[...]
[16]
웹인용
Mount Gerizim and the Samaritans
https://whc.unesco.o[...]
2022-05-06
[17]
저널
Reconstruction of patrilineages and matrilineages of Samaritans and other Israeli populations from Y-chromosome and mitochondrial DNA sequence variation
http://evolutsioon.u[...]
2022-10-22
[18]
서적
Genes, Polymorphisms and the Making of Societies: How Genetic Behavioral Traits Influence Human Cultures
[19]
웹인용
Samaritan {{!}} Definition, Religion, & Bibl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5-25
[20]
웹인용
Religion of the Israelite Samaritans : The Root of all Abrahamic Religions
https://www.israelit[...]
[21]
웹인용
Religion of the Israelite Samaritans
http://www.thesamari[...]
[22]
웹인용
Samaritan - Encyclopedia.com
http://www.encyclope[...]
[23]
웹인용
Inside the Samaritan high priest's fruity sukkah, literally
http://www.timesofis[...]
2019-12-05
[24]
서적
The Meaning of the Dead Sea Scrolls: Their Significance For Understanding the Bible, Judaism, Jesus, and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25]
서적
When God Spoke Greek: The Septuagint and the Making of the Christian Bible
https://books.google[...]
[26]
서적
The Septuagint Version of Isaiah and Cognate Studies
https://books.google[...]
[27]
서적
Samaritan Documents, Relating To Their History, Religion and Life
[28]
서적
זבח קרבן הפסח : הגדה של פסח, נוסח שומרוני (Samaritan Haggada & Pessah Passover / Zevaḥ ḳorban ha-Pesaḥ : Hagadah shel Pesaḥ, nusaḥ Shomroni = Samaritan Haggada & Pessah Passover)
Tel Avi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