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베르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베르력은 로마 시대에 아프리카 속주에 도입된 율리우스력에서 유래된 달력이다. 율리우스력과 유사하게 365일의 해 3년과 366일의 윤년 1년으로 구성되며, 1월 14일에 해당하는 예나예르를 새해 첫날로 기념한다. 베르베르력의 달 이름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며, 몰타어에도 영향을 미쳤다. 전통적인 농경 생활과 관련된 계절 구분과 혹한기, 혹서기 등의 기간도 존재하며, 새해인 예나예르는 북아프리카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된다. 1960년대부터는 기원전 950년을 기준으로 연도를 계산하기 시작하여, 그레고리력 2024년은 베르베르력 2974년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르베르력 | |
|---|---|
| 개요 | |
| 이름 | 베르베르력 |
| 다른 이름 | 농경력 펠라히력 (아랍어: ﻓﻼﺣﻲ, fellāḥī, 소박한 것) 아자미력 (아랍어: ﻋﺠﻤﻲ, ʿajamī, 비아랍적인 것) |
| 언어 | 베르베르어 (타마지트어: ⵜⴰⵙⵡⴰⵙⵜ ⵜⴰⵎⴰⵣⵉⵖⵜ, taswast tamaziɣt) |
| 특징 | 전통적인 농업 달력 율리우스력 기반 |
| 역사 및 기원 | |
| 기원 | 율리우스력에 기반하며, 고대 로마의 아프리카 속주 시대에 사용된 달력에서 유래 |
| 특징 | 로마력의 잔재를 보존 베르베르족의 농업 관습과 관련된 독자적인 특징을 발전시킴 |
| 사용 지역 | 마그레브 지역 (특히 모로코와 알제리) 카빌리 우아르글라 |
| 새해 | |
| 이름 | 이겐나이어 (Yennayer) |
| 날짜 | 1월 12일 (그레고리력 기준) |
| 의미 | 새로운 농경 연도의 시작을 기념하는 축제 |
| 기념 | 다양한 전통 의례와 음식으로 기념 가족, 풍요, 번영을 기원 |
| 달 이름 | |
| 1월 | 옌나예르 (Yennayer) 로마자 표기: Yennayer |
| 2월 | 푸라르 (Furar) 로마자 표기: Furar |
| 3월 | 마르스 (Mars) 로마자 표기: Mars |
| 4월 | 이브릴 (Ibrir) 로마자 표기: Ibrir |
| 5월 | 메이유 (Mayyu) 로마자 표기: Mayyu |
| 6월 | 유니유 (Yunyu) 로마자 표기: Yunyu |
| 7월 | 유유즈 (Yulyuz) 로마자 표기: Yulyuz |
| 8월 | 구스트 (Ghust) 로마자 표기: Ghust |
| 9월 | 슈템버 (Shtember) 로마자 표기: Shtember |
| 10월 | 투버 (Tuber) 로마자 표기: Tuber |
| 11월 | 노벰버 (Nuwember) 로마자 표기: Nuwember |
| 12월 | 두젬버 (Dujember) 로마자 표기: Dujember |
2. 율리우스력과의 관계
베르베르력은 로마 지배 시대 로마의 아프리카 속주에 도입된 율리우스력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2] 월 이름은 라틴어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로마력 명칭의 흔적이 남아 있다. 11세기 카이루완의 이슬람 법학자 엘 카비시는 북아프리카의 전통 관습 중 1월의 "칼란다스"(“칼렌다이”, 1월 1일, 율리우스력 신년) 준수를 언급했다.[2]
연도와 개별 월의 길이는 율리우스력과 같이 365일짜리 해 3년과 366일짜리 윤년 1년, 그리고 2월을 제외하고 30일 또는 31일짜리 월로 구성된다. 2월은 28일이다. 윤년의 추가적인 하루는 보통 2월 말에 추가되지 않고 연말에 추가된다. 베르베르력의 연초(예나예르의 첫날)는 그레고리력 1월 14일에 해당하며, 이는 율리우스력 사이에 수세기 동안 누적된 차이와 일치한다.
2. 1. 명칭의 유사성
2. 2. 윤년 계산
3. 월별 명칭 및 특징
아마지그(베르베르)력의 달 이름에는 표준 형태가 있다. 아래 표는 모로코, 알제리, 리비아, 튜니지아에서 사용되는 형태도 보여준다.[3]
| 달 | 리피아어(모로코 북부) | 쉴하어(모로코 남부) | 샤위아어(알제리) | 카빌어(알제리) | 므자브어(알제리) | 모로코 아랍어 | 튜니지아 아랍어 | 리비아 아랍어 | |
|---|---|---|---|---|---|---|---|---|---|
| 1월 | yennayer | innayr | yennar | (ye)nnayer | yennar | yanayer | yenna(ye)r | yannayer | |
| 2월 | yebrayer | brayr | furar | furar | furar | febrayer | fura(ye)r | febrayer | |
| 3월 | mares | marṣ | meɣres | meghres | maraṣ | mars | marsu | mars | |
| 4월 | yebrir | ibrir | brir | (ye)brir | yebrir | abril | abril | ibril | |
| 5월 | may | mayyu(h) | mayu | maggu | mayu | mey | mayu | mayu | |
| 6월 | yunyu | yunyu(h) | yunyu | yunyu | yunyu | yunyu | yunyu | yunyu | |
| 7월 | yulyuz | yulyuz | yulyu | yulyu(z) | yulyuz | yulyuz | yulyu | yulyu | |
| 8월 | ɣuct | ɣuct | ɣuct | ɣuct | ɣucet | ɣuct | awussu | aɣustus | |
| 9월 | cutembir (c=sh) | cutambir | ctember | ctember | ctember | cutanbir | ctamber | september | |
| 10월 | ktuber | kṭubr | tuber | (k)tuber | tuber | uktuber | uktuber | uktuber | |
| 11월 | nwambir | nuwambir | numbir | nu(ne)mber | unembir | nwanbir | nufember | nuvamber | |
| 12월 | dujembir | dujambir | dujamber | bu- (du-)jember | uğembir | dujanbir | dejember | december |
몰타어의 일부 달 이름은 베르베르어 기원이며, 특히 1월 (jannar/jannar몰타어), 2월 (frar/frar몰타어), 5월 (mejju/mejju몰타어), 8월 (awwissu/awwissu몰타어)이 이에 해당하며, 다른 달 이름들은 이탈리아어에서 유래했다. 베르베르어와 이탈리아어의 달 이름은 충분히 다르기 때문에 각 몰타어 달 이름의 원어를 쉽게 알 수 있다.
3. 1. 지역별 명칭
아마지그(베르베르)력의 달 이름에는 표준 형태가 있으며, 아래 표는 모로코, 알제리, 리비아, 튜니지아에서 사용되는 형태를 보여준다.[3]| 달 | 리피아어(모로코 북부) | 쉴하어(모로코 남부) | 샤위아어(알제리) | 카빌어(알제리) | 므자브어(알제리) | 모로코 아랍어 | 튜니지아 아랍어 | 리비아 아랍어 | |
|---|---|---|---|---|---|---|---|---|---|
| 1월 | yennayer | innayr | yennar | (ye)nnayer | yennar | yanayer | yenna(ye)r | yannayer | |
| 2월 | yebrayer | brayr | furar | furar | furar | febrayer | fura(ye)r | febrayer | |
| 3월 | mares | marṣ | meɣres | meghres | maraṣ | mars | marsu | mars | |
| 4월 | yebrir | ibrir | brir | (ye)brir | yebrir | abril | abril | ibril | |
| 5월 | may | mayyu(h) | mayu | maggu | mayu | mey | mayu | mayu | |
| 6월 | yunyu | yunyu(h) | yunyu | yunyu | yunyu | yunyu | yunyu | yunyu | |
| 7월 | yulyuz | yulyuz | yulyu | yulyu(z) | yulyuz | yulyuz | yulyu | yulyu | |
| 8월 | ɣuct | ɣuct | ɣuct | ɣuct | ɣucet | ɣuct | awussu | aɣustus | |
| 9월 | cutembir (c=sh) | cutambir | ctember | ctember | ctember | cutanbir | ctamber | september | |
| 10월 | ktuber | kṭubr | tuber | (k)tuber | tuber | uktuber | uktuber | uktuber | |
| 11월 | nwambir | nuwambir | numbir | nu(ne)mber | unembir | nwanbir | nufember | nuvamber | |
| 12월 | dujembir | dujambir | dujamber | bu- (du-)jember | uğembir | dujanbir | dejember | december |
몰타어의 일부 달 이름은 베르베르어 기원이며, 특히 1월 (''jannar''), 2월 (''frar''), 5월 (''mejju''), 8월 (''awwissu'')이 이에 해당하며, 다른 달 이름들은 이탈리아어에서 유래했다. 베르베르어와 이탈리아어의 달 이름은 충분히 다르기 때문에 각 몰타어 달 이름의 원어를 쉽게 알 수 있다.
3. 2. 몰타어와의 관계
아마지그(베르베르)력의 달 이름에는 표준 형태가 있으며, 모로코, 알제리, 리비아, 튜니지아에서 사용되는 형태는 아래 표와 같다.[3]| 달 | 리피아어(모로코 북부) | 쉴하어(모로코 남부) | 샤위아어(알제리) | 카빌어(알제리) | 므자브어(알제리) | 모로코 아랍어 | 튜니지아 아랍어 | 리비아 아랍어 | |
|---|---|---|---|---|---|---|---|---|---|
| 1월 | yennayer | innayr | yennar | (ye)nnayer | yennar | yanayer | yenna(ye)r | yannayer | |
| 2월 | yebrayer | brayr | furar | furar | furar | febrayer | fura(ye)r | febrayer | |
| 3월 | mares | marṣ | meɣres | meghres | maraṣ | mars | marsu | mars | |
| 4월 | yebrir | ibrir | brir | (ye)brir | yebrir | abril | abril | ibril | |
| 5월 | may | mayyu(h) | mayu | maggu | mayu | mey | mayu | mayu | |
| 6월 | yunyu | yunyu(h) | yunyu | yunyu | yunyu | yunyu | yunyu | yunyu | |
| 7월 | yulyuz | yulyuz | yulyu | yulyu(z) | yulyuz | yulyuz | yulyu | yulyu | |
| 8월 | ɣuct | ɣuct | ɣuct | ɣuct | ɣucet | ɣuct | awussu | aɣustus | |
| 9월 | cutembir (c=sh) | cutambir | ctember | ctember | ctember | cutanbir | ctamber | september | |
| 10월 | ktuber | kṭubr | tuber | (k)tuber | tuber | uktuber | uktuber | uktuber | |
| 11월 | nwambir | nuwambir | numbir | nu(ne)mber | unembir | nwanbir | nufember | nuvamber | |
| 12월 | dujembir | dujambir | dujamber | bu- (du-)jember | uğembir | dujanbir | dejember | december |
몰타어의 일부 달 이름은 베르베르어에서 기원했다. 특히 1월 (''jannar''), 2월 (''frar''), 5월 (''mejju''), 8월 (''awwissu'')이 베르베르어에서 유래했으며, 나머지 달 이름들은 이탈리아어에서 유래했다. 베르베르어와 이탈리아어의 달 이름은 충분히 다르기 때문에 각 몰타어 달 이름의 어원을 쉽게 알 수 있다.
4. 계절 및 주요 농경 시기
달력을 월 단위로 세분화하는 것 외에도, 전통적인 농업 달력에는 계절이나 특정 축제와 기념 행사를 특징으로 하는 "강력한 시기"와 같은 다른 구분이 있다.
네 계절 모두 베르베르어 명칭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봄과 가을에 대한 단어는 거의 모든 곳에서 사용되지만, 겨울은 드물게 사용되며, 북부 베르베르인들 사이에서는 가을에 대한 베르베르어 명칭이 제벨 나푸사(리비아)에서만 보존되었다.
- 봄 타프수트/tafsutber (아랍어 에르-르비ʿ/er-rbiʿar) – 2월 28일(15 푸라르/furarber) 시작
- 여름 아네브두/anebduber (아랍어 에스-시프/es-sifar) – 5월 30일(17 마유/mayuber) 시작
- 가을 암왈/amwalber / 아므완/aməwanber[4] (아랍어 레-흐리프/le-xrifar) – 8월 30일(17 구슈트/ghushtber) 시작
- 겨울 타그레스트/tagrestber (아랍어 에쉬-쉬타/esh-shitaar) – 11월 29일(16 눔비르/numbírber) 시작
흥미로운 점은 추운 겨울의 40일간("밤", 릴리알리/llyaliber)과 더운 여름의 40일간("삼복", 스마임/ssmaymber, 아우수/awussuber) 사이에 존재하는 대립이다.[5]
엘 아자라()는 베르베르력에 따르면 2월 3일부터 13일까지 이어지는 기간으로, 때로는 덥고 때로는 추운 기후로 알려져 있다.
겨울이 완전히 끝나고 봄이 완전히 시작되기 전, 매우 두려워하는 시기가 있다. 이 시기는 '푸라르'(furar)와 '마르스'(mars)월의 경계에 걸쳐 10일 동안 지속되며(전자의 마지막 5일과 후자의 첫 5일), 강한 바람이 특징이다. 이 기간 동안에는 많은 활동(농업과 수공업)을 중단하고 결혼을 하거나 밤에 외출해서는 안 된다고 한다. 대신 그 기간 동안 특히 활동적이며 결혼식을 올리는 신비로운 힘들에게 완전히 자유를 주어야 한다. 언어적 금기 때문에, 제르바 섬에서는 이러한 존재들을 "축복받은 자들"을 뜻하는 '임바르켄'(Imbarken)이라고 부르며, 이 기간의 이름이 여기서 유래한다.
'''잠라트 엘 마'''(), "바다의 숯"은 2월 27일로, 해수 온도 상승으로 표시된다.[10]
'''잠라트 엘 트랍'''(), "땅의 숯"은 3월 6일부터 10일까지의 기간으로, 폭우와 맑은 날씨가 섞여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잠라트'(jamrat, 문자 그대로 '숯')라는 용어는 이 기간 동안 지표면의 따뜻한 상태를 가리킨다.
4. 1. 사계절
전통적인 농업 달력에는 계절이나 특정 축제와 기념 행사를 특징으로 하는 "강력한 시기"와 같은 구분이 있다.[4]네 계절 모두 베르베르어 명칭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봄과 가을에 대한 단어는 거의 모든 곳에서 사용되지만, 겨울은 드물게 사용되며, 북부 베르베르인들 사이에서는 가을에 대한 베르베르어 명칭이 제벨 나푸사(리비아)에서만 보존되었다.
- 봄 타프수트/tafsutber (아랍어 에르-르비ʿ/er-rbiʿar) – 2월 28일(15 푸라르/furarber) 시작
- 여름 아네브두/anebduber (아랍어 에스-시프/es-sifar) – 5월 30일(17 마유/mayuber) 시작
- 가을 암왈/amwalber / 아므완/aməwanber[4] (아랍어 레-흐리프/le-xrifar) – 8월 30일(17 구슈트/ghushtber) 시작
- 겨울 타그레스트/tagrestber (아랍어 에쉬-쉬타/esh-shitaar) – 11월 29일(16 눔비르/numbírber) 시작
추운 겨울의 40일간("밤", 릴리알리/llyaliber)과 더운 여름의 40일간("삼복", 스마임/ssmaymber, 아우수/awussuber) 사이에는 대립이 존재한다.[5]
4. 2. 혹한기와 혹서기
가장 추운 시기는 12월 25일부터 1월 13일(그레고리력)까지 20일간의 "흰 밤"(베르베르어: ''iḍan imellalen'', 아랍어: ''al-lyali al-biḍ'')과 그레고리력 1월 14일에 해당하는 ''yennayer'' 첫날부터 시작되는 20일간의 "검은 밤"(베르베르어: ''iḍan tiberkanin/isṭṭafen'', 아랍어: ''al-lyali al-sud'')으로 구성된다.
혹한의 겨울처럼 삼복(三伏) 또한 7월 12일(7월 25일)부터 8월 20일(9월 2일)까지 40일간 지속된다. 이 기간의 절정은 8월 1일이다. ("8월"이라는 이름은 튀니지와 리비아에서 널리 사용되는 "awussu"라는 이름과 같으며, 라틴어 "augustus"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이 날에는 이슬람 이전, 심지어 기독교 이전의 전통에서 유래한 특별한 의식이 거행된다. 특히, (여러 지역에서는 하지 무렵에 행해지는 풍습으로, 이미 성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이교도적인 것으로 비난받았던) 봉화를 피우거나, 튀니지와 트리폴리타니아의 해안 도시에서 일반적인 것처럼 바닷물에 세 번 밤 동안 들어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물 의식을 거행한다. 이 의식에서 온 가족이 애완동물까지 데리고 물에 들어가곤 했다. 이 의식은 이슬람적 틀에서 재해석되었다(잠잠 우물의 물이 메카에서 넘쳐 바다에 유익한 단물 파도가 생긴다고 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이 축제를 "오류의 밤"이라고 부른다.
4. 3. 주요 농경 시기
농업 달력에서 또 다른 중요한 시기는 쟁기질 시기이다. 이와 관련하여 기본적인 날짜로 여겨지는 것은 10월 17일인데, 이 날부터 밭갈이를 시작할 수 있다. 아랍어로 이 시기는 'ḥertadem', 즉 "아담의 쟁기질"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인류의 공통 조상이 그 날 농업 활동을 시작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5. 예나예르(Yennayer) - 베르베르 새해
북아프리카 여러 지역에서는 새해 첫날을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한다. 널리 퍼진 전통으로는 특정 음식을 먹는 것이 있는데, 지역에 따라 다르다(예: 채소 7가지가 들어간 쿠스쿠스).[6] 일부 지역에서는 동물(보통 닭)을 제물로 바치는 것으로 기념하기도 한다.[6] 2018년 1월, 알제리는 예나예르(Yennayer)를 국경일로 선포했는데, 이는 북아프리카에서 베르베르인들이 사회적 소외를 겪는 것을 고려하면 획기적인 정책으로 평가할 수 있다.[6]
이 축제의 특징 중 하나는 이슬람의 아슈라절과 종종 혼동되는데, 많은 지역에서 ''bennayu'', ''babiyyanu'', ''bu-ini'' 등의 공식을 사용하는 의례적인 기원이 행해진다는 것이다.[7] 많은 학자들에 따르면 이러한 표현은 고대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는 뜻의 ''bonus annus''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7]
예나예르 축제의 특이한 점은 설날의 날짜와 관련이 있다. 한때 이 기념일은 모든 지역에서 1월 14일에 있었다.[8] 그러나 멸종 위기에 처한 관습을 되살리는 데 매우 적극적인 베르베르 문화 협회의 실수로 인해, 현재 알제리의 광범위한 지역에서는 "베르베르 새해" 날짜가 14일이 아니라 12일이라고 널리 여겨지고 있다.[9] 전통적인 날짜보다 이틀 앞선 12일에 기념하는 것은 이전에 오랑 시에서 명시적으로 알려진 바 있다.[9]
5. 1. 기념 방식
북아프리카 여러 지역에서는 새해 첫날을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한다. 널리 퍼진 전통으로는 특정 음식을 먹는 것이 있는데, 지역에 따라 다르다(예: 채소 7가지가 들어간 쿠스쿠스).[6] 일부 지역에서는 동물(보통 닭)을 제물로 바치는 것으로 기념하기도 한다.[6] 2018년 1월, 알제리는 예나예르(Yennayer)를 국경일로 선포했다.[6]이 축제의 특징 중 하나는 이슬람의 아슈라절과 종종 혼동되는데, 많은 지역에서 ''bennayu'', ''babiyyanu'', ''bu-ini'' 등의 공식을 사용하는 의례적인 기원이 행해진다는 것이다.[7] 많은 학자들에 따르면 이러한 표현은 고대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는 뜻의 ''bonus annus''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7]
예나예르 축제의 특이한 점은 설날의 날짜와 관련이 있다. 한때 이 기념일은 모든 지역에서 1월 14일에 있었다.[8] 현재 알제리의 광범위한 지역에서는 "베르베르 새해" 날짜가 14일이 아니라 12일이라고 널리 여겨지고 있다.[9] 전통적인 날짜보다 이틀 앞선 12일에 기념하는 것은 이전에 오랑 시에서 명시적으로 알려진 바 있다.[9]
5. 2. 아슈라절과의 혼동
6. 이슬람력의 영향
수세기 동안 아랍-이슬람 문화와의 접촉으로 율리우스력 관련 축제들이 이슬람력에 통합되면서 일부 전통 축제가 사라지거나 중복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새해 축하 행사로, 많은 경우 이슬람력의 첫 번째 달인 무하람으로 옮겨졌으며, 특히 그 달의 10일째 되는 날인 아슈라로 이동되었다. 아슈라는 시아파에서 중요한 애도의 의미를 갖지만, 수니파에서는 무시되는 경향이 있다. 북아프리카에서 이 축제를 즐겁게 기념하는 관습은 고대 신년 축하 행사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존재한다.
'''이슬람력 달의 아랍어 및 베르베르어 명칭'''
| 아랍어 명칭 | 베르베르어 명칭 | |
|---|---|---|
| 1 | 무하람 | babiyannu (우아르글라) ashura (제르바) |
| 2 | 사파르 | deffer ʿashura |
| 3 | 라비 알 아왈 | elmilud |
| 4 | 라비 알 타니 | u deffer elmilud |
| 5 | 주마다 알 아왈 | melghes (제르바) |
| 6 | 주마다 알 타니 | asgenfu n twessarin "노파들의 휴식(기다림)" (우아르글라) sh-shaher n Fadma (제르바) |
| 7 | 라자브 | twessarin "노파들" |
| 8 | 샤아반 | asgenfu n remdan "라마단의 휴식(기다림)" (우아르글라) |
| 9 | 라마단 | sh-shaher n uzum "금식의 달" (제르바) |
| 10 | 샤왈 | tfaska tameshkunt "작은 축제" (제르바) |
| 11 | 줄히즈자 | u jar-asneth "두 축제 사이" (제르바) |
| 12 | 줄히즈자 | tfaska tameqqart "큰 축제" (제르바) |
6. 1. 축제의 이동
수세기 동안 아랍-이슬람 문화와의 접촉으로 율리우스력 관련 축제들이 이슬람력에 통합되면서 일부 전통 축제가 사라지거나 중복되는 현상이 발생했다.가장 대표적인 예는 새해 축하 행사로, 많은 경우 이슬람력의 첫 번째 달인 무하람으로 옮겨졌으며, 특히 그 달의 10일째 되는 날인 아슈라로 이동되었다. 아슈라는 시아파에서 중요한 애도의 의미를 갖지만, 수니파에서는 무시되는 경향이 있다. 북아프리카에서 이 축제를 즐겁게 기념하는 관습은 고대 신년 축하 행사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존재한다.
6. 2. 이슬람력 달의 명칭
수세기 동안 아랍-이슬람 문화와의 접촉으로 율리우스력 관련 축제들이 이슬람력에 통합되면서, 일부 전통 축제가 사라지거나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했다.새해 축하 행사는 첫 번째 이슬람력 달인 ''무하람''', 특히 10일째 되는 날인 ''아슈라''로 옮겨졌다. ''아슈라''는 시아파에서 중요한 애도의 의미를 가지지만, 수니파는 무시한다. 북아프리카에서 이 축제를 즐겁게 기념하는 것은 고대 신년 축하 행사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이슬람력 달의 아랍어 및 베르베르어 명칭'''
| 아랍어 명칭 | 베르베르어 명칭 | |
|---|---|---|
| 1 | 무하람 | babiyannu (우아르글라) ashura (제르바) |
| 2 | 사파르 | deffer ʿashura |
| 3 | 라비 알 아왈 | elmilud |
| 4 | 라비 알 타니 | u deffer elmilud |
| 5 | 주마다 알 아왈 | melghes (제르바) |
| 6 | 주마다 알 타니 | asgenfu n twessarin "노파들의 휴식(기다림)" (우아르글라) sh-shaher n Fadma (제르바) |
| 7 | 라자브 | twessarin "노파들" |
| 8 | 샤아반 | asgenfu n remdan "라마단의 휴식(기다림)" (우아르글라) |
| 9 | 라마단 | sh-shaher n uzum "금식의 달" (제르바) |
| 10 | 샤왈 | tfaska tameshkunt "작은 축제" (제르바) |
| 11 | 줄히즈자 | u jar-asneth "두 축제 사이" (제르바) |
| 12 | 줄히즈자 | tfaska tameqqart "큰 축제" (제르바) |
7. 고대 베르베르력
고대 베르베르인들의 시간 구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이슬람 이전, 그리고 거의 확실히 로마 이전의 달력의 일부 요소는 니코 반 덴 부거트(Nico van den Boogert)가 분석한 일부 중세 문서에서 나타난다. 전통적인 투아레그 달력과의 일부 상응 관계는 고대에 토착 기반으로 구성된 베르베르식 시간 계산이 어느 정도 확산되어 존재했음을 시사한다.[15]
이 달력을 완전히 재구성할 만큼 충분한 요소는 없지만, 알려진 특징으로는 많은 달 이름이 쌍으로 나타난다는 점(투아레그 세계에서는 심지어 셋씩 짝을 이룸)이 있는데, 이는 약 30일의 달로 구성된 현재의 구분과는 다른 시간 구분을 시사한다.
카나리아 제도의 관체족의 시간 계산에 대한 지식으로부터 추가적인 정보를 추론할 수 있다. 토마스 마린 데 쿠바스(Tomás Marín de Cubas)의 17세기 원고에 따르면, 그들은 삭망(29일)을 기준으로 ''Acano''라고 불리는 해를 계산했다. 그 해는 여름, 태양이 게자리로 들어가는 6월 21일에 시작되었다. 첫 번째 합(하짓 이후 첫 번째 삭망)에 그들은 수확을 위한 9일간의 축제를 지냈다.[12]
같은 원고는 (다소 모호하게) 그러한 달력 사건(''tara'')의 그림 기록이 다양한 매체에 기록되었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부 현대 학자들은 그란 카나리아 섬의 일부 동굴에 있는 일련의 기하학적 그림에서 연간 주기에 연결된 천문학적 사건에 대한 주장되는 묘사를 확인했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현재로서는 매우 추측적인 것이다.[13][14]
원어로 된 달 이름 하나만 알려져 있는데, ''Beñesmet''으로 전해진다. 그것은 8월에 해당하는 연중 두 번째 달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만약 이 이름이 *''wen'' "∼의" + ''(e)smet'' (또는 ''(e)zmet''?)과 같은 것으로 구성되었다면, 중세 베르베르 달 이름 목록에서 9번째와 10번째 달인 ''awzimet'' (정확히는 ''aw'' "∼의 새끼" + ''zimet'' "가젤")과 일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가설을 더 자세히 연구하기에는 자료가 너무 부족하다.[15]
7. 1. 중세 문서 기록
고대 베르베르인들의 시간 구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이슬람 이전, 그리고 거의 확실히 로마 이전의 달력의 일부 요소는 일부 중세 문서에서 나타난다.[15] 전통적인 투아레그 달력과의 일부 상응 관계는 고대에 토착 기반으로 구성된 베르베르식 시간 계산이 어느 정도 확산되어 존재했음을 시사한다.이 달력을 완전히 재구성할 만큼 충분한 요소는 없지만, 알려진 특징으로는 많은 달 이름이 쌍으로 나타난다는 점이 있는데, 이는 약 30일의 달로 구성된 현재의 구분과는 다른 시간 구분을 시사한다.
북아프리카 다른 지역의 상황과 명확하게 특정하고 연관짓기는 어렵지만, 카나리아 제도의 관체족의 시간 계산에 대한 지식으로부터 추가적인 정보를 추론할 수 있다. 17세기 토마스 마린 데 쿠바스(Tomás Marín de Cubas)의 원고는 삭망(29일(태양))을 기준으로 ''Acano''라고 불리는 해를 계산했고, 그 해는 여름, 태양이 게자리로 들어가는 6월 21일에 시작되었으며 첫 번째 합(하짓 이후 첫 번째 삭망)에 수확을 위한 9일간의 축제를 지냈다고 한다.[12]
같은 원고는 그러한 달력 사건(''tara'')의 그림 기록이 다양한 매체에 기록되었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부 현대 학자들은 그란 카나리아 섬의 일부 동굴에 있는 일련의 기하학적 그림에서 연간 주기에 연결된 천문학적 사건에 대한 주장되는 묘사를 확인했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현재로서는 매우 추측적인 것이다.[13][14]
원어로 된 달 이름 하나만 알려져 있는데, ''Beñesmet''으로 전해진다. 그것은 8월에 해당하는 연중 두 번째 달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만약 이 이름이 *''wen'' "∼의" + ''(e)smet'' (또는 ''(e)zmet''?)과 같은 것으로 구성되었다면, 중세 베르베르 달 이름 목록에서 9번째와 10번째 달인 ''awzimet'' (정확히는 ''aw'' "∼의 새끼" + ''zimet'' "가젤")과 일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가설을 더 자세히 연구하기에는 자료가 너무 부족하다.[15]
7. 2. 카나리아 제도 관체족의 달력
고대 베르베르인들의 시간 구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이슬람 이전, 그리고 거의 확실히 로마 이전의 달력의 일부 요소는 니코 반 덴 부거트(Nico van den Boogert)가 분석한 일부 중세 문서에서 나타난다. 전통적인 투아레그 달력과의 일부 상응 관계는 고대에 토착 기반으로 구성된 베르베르식 시간 계산이 어느 정도 확산되어 존재했음을 시사한다.[15]이 달력을 완전히 재구성할 만큼 충분한 요소는 없지만, 알려진 특징으로는 많은 달 이름이 쌍으로 나타난다는 점(투아레그 세계에서는 심지어 셋씩 짝을 이룸)이 있는데, 이는 약 30일의 달로 구성된 현재의 구분과는 다른 시간 구분을 시사한다.[15]
카나리아 제도의 관체족의 시간 계산에 대한 지식으로부터 추가적인 정보를 추론할 수 있다. 토마스 마린 데 쿠바스의 17세기 원고에 따르면, 그들은 삭망(29일(태양))을 기준으로 ''Acano''라고 불리는 해를 계산했다. 그 해는 여름, 태양이 게자리로 들어가는 6월 21일에 시작되었다. 첫 번째 합(하짓 이후 첫 번째 삭망)에 그들은 수확을 위한 9일간의 축제를 지냈다.[12]
같은 원고는 (다소 모호하게) 그러한 달력 사건(''tara'')의 그림 기록이 다양한 매체에 기록되었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부 현대 학자들은 그란 카나리아 섬의 일부 동굴에 있는 일련의 기하학적 그림에서 연간 주기에 연결된 천문학적 사건에 대한 주장되는 묘사를 확인했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는 현재로서는 매우 추측적인 것이다.[13][14]
원어로 된 달 이름 하나만 알려져 있는데, ''Beñesmet''으로 전해진다. 그것은 8월에 해당하는 연중 두 번째 달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만약 이 이름이 *''wen'' "∼의" + ''(e)smet'' (또는 ''(e)zmet''?)과 같은 것으로 구성되었다면, 중세 베르베르 달 이름 목록에서 9번째와 10번째 달인 ''awzimet'' (정확히는 ''aw'' "∼의 새끼" + ''zimet'' "가젤")과 일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가설을 더 자세히 연구하기에는 자료가 너무 부족하다.[15]
8. 베르베르력의 현대적 사용
전통 베르베르력은 특정한 기원(紀元)과 연관되어 연도를 계산하지 않았다. 전통적인 연도 계산법이 보존된 투아레그 문명에서는 연도를 숫자로 표기하지 않고 각 해마다 고유한 이름을 붙였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파리 베르베르 아카데미(Académie Berbère)의 주도로 일부 베르베르인들은 기원전 950년을 기점으로 연도를 계산하기 시작했다. 이는 이집트 최초의 리비아 파라오인 셰숑크 1세(Shoshenq I)가 권력을 잡은 시기로 추정되는데, 그를 역사상 최초의 저명한 베르베르인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그는 고대 리비아(Ancient Libya) 출신으로 기록되어 있다).[16] 예를 들어, 그레고리력 2024년은 베르베르력 2974년에 해당한다.
이러한 새로운 계산법은 많은 베르베르 문화 지지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졌으며, 현재 북아프리카력과 관련된 전통 관습 시스템에 완전히 통합된 이들의 문화 유산의 일부가 되었다.
8. 1. 기원 설정
전통 베르베르력은 특정한 기원을 가지고 연도를 계산하지 않았다. 전통적인 연도 계산법이 보존된 투아레그 문명에서는 연도를 숫자로 표기하지 않고 각 해마다 고유한 이름을 붙였다.1960년대부터 파리 베르베르 아카데미(Académie Berbère)의 주도로 일부 베르베르인들은 기원전 950년을 기점으로 연도를 계산하기 시작했다. 이는 이집트 최초의 리비아 파라오인 셰숑크 1세(Shoshenq I)가 권력을 잡은 시기로, 역사상 최초의 저명한 베르베르인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16] 셰숑크 1세는 고대 리비아 출신으로 기록되어 있다.[16] 예를 들어, 그레고리력 2024년은 베르베르력 2974년에 해당한다.
이러한 새로운 계산법은 많은 베르베르 문화 지지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졌고, 현재 북아프리카력과 관련된 전통 관습 시스템에 완전히 통합된 이들의 문화 유산의 일부가 되었다.
8. 2. 현대적 수용
전통 베르베르력은 특정한 기원(紀元)과 연관되어 연도를 계산하지 않았다. 전통적인 연도 계산법이 보존된 투아레그 문명에서는 연도를 숫자로 표기하지 않고 각 해마다 고유한 이름을 붙였다.그러나 1960년대부터 파리 베르베르 아카데미(Académie Berbère)의 주도로 일부 베르베르인들은 기원전 950년을 기점으로 연도를 계산하기 시작했다. 이는 이집트 최초의 리비아 파라오인 셰숑크 1세(Shoshenq I)가 권력을 잡은 시기로 추정되는데, 그를 역사상 최초의 저명한 베르베르인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그는 고대 리비아(Ancient Libya) 출신으로 기록되어 있다).[16] 예를 들어, 그레고리력 2024년은 베르베르력 2974년에 해당한다.
이러한 새로운 계산법은 많은 베르베르 문화 지지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졌으며, 현재 북아프리카력과 관련된 전통 관습 시스템에 완전히 통합된 이들의 문화 유산의 일부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Calendrier
http://journals.open[...]
OpenEdition
1991-04-01
[2]
문서
Idris
1954-01-01
[3]
웹사이트
Les origines du calendrier amazigh
http://www.lematindz[...]
[4]
문서
''amwal'' is the form found in Jebel Nafusa (Jadu); ''aməwan'' is the corresponding word in tuareg. Cp. V. Brugnatelli, "Notes d’onomastique jerbienne et mozabite", in K. Naït-Zerrad, R. Voßen, D. Ibriszimow (éd.), ''Nouvelles études berbères. Le verbe et autres articles. Actes du "2. Bayreuth-Frankfurter Kolloquium zur Berberologie 2002"'', Köln, R. Köppe Verlag, 2004, pp. 29-39, in particular p. 33.
[5]
문서
On this topic, see e.g. chapter "Llyali et Ssmaym" in Genevois (1975, pp. 21-22)
[6]
웹사이트
Happy 2968! Berber New Year becomes holiday in Algeria
https://www.thenatio[...]
2018-01-12
[7]
문서
The etymology proposed for bu-ini of Aures from Masqueray (1886: 164), was welcomed and extended to other similar terms related to the start of the year festivities by several authors, including Doutté (1909: 550), Laoust (1920: 195), Delheure (1988: 156). Drouin (2000: 115) defines these etymological research as "unconvincing".
[8]
문서
In fact, as remarked by Genevois (1975: 11), "the agricultural calendar (ancient Julian calendar) has therefore at present a 13-day delay".
[9]
문서
"In Oran the Ennayer parties are made on 11 and 12 January of the Gregorian calendar, that is two days before the common agricultural calendar ..." Mohamed Benhadji Serradj, Fêtes d'Ennâyer aux Beni snus (tlemcénien folklore) in IBLA, vol. 1950, pp. 247-258.
[10]
웹사이트
ماذا تعني هذه المصطلحات الشعبية؟: "العزارة"... "قرة العنز"... و"الليالي"!!
https://www.turess.c[...]
2018-07-06
[11]
웹사이트
Aujourd'hui marque la descente de la braise de terre " جمرة التراب ", qu'est ce que c'est ?
http://www.wepostmag[...]
2018-07-06
[12]
서적
XVI Coloquio de Historia Canario-Americana
Ediciones del Excelentísimo Cabildo Insular de Gran Canaria
2004-01-01
[13]
서적
Ancient times, modern methods: Proceedings of the III SEAC Conference, Sibiu (Romania), 1–3 September 1995
Lucian Blaga University
1999-01-01
[14]
서적
Proceedings of the IV SEAC Meeting "Astronomy and Culture
University of Salamanca
2004-01-01
[15]
서적
Articles de linguistique berbère. Mémorial Vycichl
Parigi
2002-01-01
[16]
웹사이트
La fête de Yennayer: pratiques et présages
http://www.tamazgha.[...]
Tamazight.fr
2007-09-04
[17]
서적
[18]
문서
On this argument, see e.g.: ''Encyclopédie Berbère'' 11, p. 1713, Servier (1985: 365 ss.), Genevois (1975: 3 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