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그리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잉그리아어는 우랄어족 핀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핀란드어, 카렐리아어 등과 관련이 깊다. 8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카렐리아어에서 분리되었으며,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19세기 말 핀란드 민족주의의 영향으로 잉그리아어 시가 수집, 기록되었고, 문법 연구도 이루어졌다. 소련 시대에는 학교 교육이 이루어지고 문학 언어가 개발되었으나, 1930년대 말 대대적인 탄압으로 사용 인구가 급감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그 이후의 강제 이주로 인해 잉그리아어 사용자는 더욱 줄어들었다. 현재는 4개의 방언이 존재하며, 어휘는 핀어군에서 유래되었지만 러시아어,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등 주변 언어에서 차용된 단어들도 많다. 잉그리아어는 교착어이며, 명사, 형용사, 대명사, 동사 등의 문법적 특징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러시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잉그리아어 | |
|---|---|
| 개요 | |
| 언어 이름 | 잉그리아어 |
| 고유 이름 | ižoran keeli (이조란 켈리), inkeroin keeli (잉케로인 켈리) |
| 로마자 표기 | izhoran keeli, inkeroin keeli |
| 화자 수 (2018년 추정) | 20명 미만 |
| 화자 수 (2006년 확인) | 111명 |
| 화자 수 (2020년 인구 조사) | 76명 |
| 사용자 민족 | 이조라인 (1,143명) |
| 사용 국가 | 러시아 |
| 사용 지역 | 잉그리아 |
| 언어 계통 | 우랄어족 |
![]() | |
| 언어 코드 | |
| ISO 639-3 | izh |
| Glottolog | ingr1248 |
2. 역사
잉그리아어는 우랄어족의 북부 핀어군에 속하며, 핀란드어, 카렐리아어 등과 함께 분류된다.[8]
1925년, 율리우스 매기스테는 Россонь|로소나 강ru을 따라 위치한 소수의 마을에서 사용되는 핀어 방언에 대한 두 번째 문법적 설명을 저술했는데, 이는 잉그리아어와 핀어의 특징을 모두 보여주었다.[10][14] 이 방언은 현대 시베리아 잉그리아 핀란드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15]
2. 1. 초기 역사 (8세기 ~ 19세기)
이조르인과 잉그리아어의 기원은 완전히 명확하지 않다.[8] 대부분의 학자들은 잉그리아어가 카렐리아어와 동부 핀란드 방언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데 동의하지만, 이러한 관계의 정확한 성격은 불분명하다.일반적인 견해는 카렐리아어와 잉그리아어의 분열이 서기 8세기에서 12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잉그리아어는 네바강을 따라 서쪽으로 이동한 카렐리아 이전 집단에서 기원했다는 것이다.[9][10]
잉그리아어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페터 시몬 팔라스의 저서인 ''Linguarum totius orbis vocabularia comparativa''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여기에는 핀란드어, 보트어와 잉그리아어의 단어가 포함된 소위 추크나어의 어휘가 수록되어 있다.[10][11]
얼마 지나지 않아, 표도르 투만스키는 상트페테르부르크 현에 대한 설명에서 다양한 지역 언어의 어휘를 추가했는데, 그 중 하나가 현대 잉그리아어의 알라-라우카 방언에 해당하는 ''ямский''("얌부르크의 언어")라고 명명되었다.[10][12]
19세기 말 핀란드 민족주의가 일어나는 동안, 핀 민속 시의 수집이 널리 퍼지면서, 이조리아인이 거주하는 지역에서도 많은 수의 시와 노래가 기록되었고, 결국 ''수오멘 칸산 반하트 루노트''의 여러 권에 출판되었다. 이 노래들은 원래 잉그리아어로 불렸지만, 수집가들이 원래 텍스트의 정확한 형태에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많은 경우 핀란드어 문법과 핀란드어 음운론을 사용하여 기록되었다.[10]
잉그리아어 시를 수집한 사람 중 한 명인 Volmari Porkka|볼마리 포르카fi는 핀란드어의 잉그리아어 방언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잉그리아어의 첫 번째 문법 설명을 저술했다.[10][13] 이 문법은 소이콜라, 헤바하, 알라-라우카 방언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포함하며, 잉그리아어의 네 방언 모두에서 소수의 텍스트(특히 ''혹부리 말''과 ''차르 이반, 불새와 회색 늑대''의 전통적인 버전을 포함한 동화)를 포함한다.
2. 2. 소련 시대 (1917년 ~ 1991년)
1920년대 후반, 잉그리아어를 사용하는 마을 자치 의회가 잉그리아어 사용 지역 전역에 걸쳐 형성되기 시작했다.[8] 1932년에는 총 19개의 학교가 문을 열어 잉그리아어로 교육이 이루어졌으며,[8] 잉그리아어 첫 교본이 소이콜라 잉그리아어의 하위 방언을 기반으로 출판되었다.[16] 이 교본은 이 방언으로 쓰여진 일련의 교과서 중 첫 번째였다. 이 책이 쓰여진 언어의 특징 중에는 중모음의 모음 상승과 유성 자음, 반유성 자음, 무성 자음 간의 구별이 없는 것이 포함되었다.1935년까지 잉그리아 학교의 수는 23개(초등학교 18개, 중학교 5개)로 증가했다.[8] 동시에, 체계적인 동화 과정이 시작되었다.[8]
1936년, 베이뇌 유누스는 잉그리아어로 잉그리아어 문법서를 저술했다.[17] 이 문법서에서 유누스는 당시 가장 인구가 많은 방언인 소이콜라 방언과 알라-라우카 방언을 기반으로 잉그리아어 문학 언어를 도입했다. 유누스의 문법은 철자법 및 굴절 규칙을 포함했으며, 구어 잉그리아어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했다. 이 문법서는 잉그리아어 문어 시대의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곧 새로운 문학적 잉그리아어로 쓰여진 또 다른 교과서 물결을 따랐다.
잉그리아 학교는 1937년 대대적인 탄압이 있을 때까지 문을 열어 두었는데, 이 기간 동안 베이뇌 유누스와 다른 많은 교사들이 처형되었고, 교과서가 압수되었으며, 1938년까지 잉그리아 마을 자치 의회가 폐쇄되었다. 많은 이조르인들이 강제 수용소로 보내지거나 처형되었다.[18][8]
세계 대전 동안 많은 이조르인들이 전투에서 사망했고, 전쟁이 가져온 기근으로 굶주렸다. 1943-1944년에는 잉그리아 핀란드인과 보트인과 함께 많은 수의 이조르인들이 계속 전쟁 중 핀란드와 독일 간의 협정의 일환으로 핀란드로 추방되었다. 거의 모든 이조르인 가족은 전쟁이 끝난 후 소련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다.[8] 전쟁 후 소련으로 돌아온 후, 이조르인들은 고향에 정착하는 것이 금지되었고, 대신 전국으로 흩어졌다.[8]
수많은 탄압, 추방 및 전쟁으로 인해 이조르인과 잉그리아어 사용자의 수가 극적으로 감소했다.[8][7] 1926년 인구 조사에서는 16,000명이 넘는 이조르인이 집계되었다. 1939년에는 이 숫자가 7,000명으로 감소했으며, 1959년에는 369명만이 잉그리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고 주장했다.[8]
2. 3. 알파벳
잉그리아어의 알파벳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1932년에 소이콜라 방언을 기반으로 한 첫 교본이 출판되었고, 1936년에는 베이뇌 유누스fi가 소이콜라 방언과 알라-라우카 방언을 바탕으로 잉그리아어 문법서를 저술하며 새로운 문학 언어를 도입했다.[17]1936년 알파벳은 러시아 키릴 문자와 유사한 순서를 따랐으나, 현재 사용되는 알파벳은 핀란드어 알파벳과 일치한다.
| 문자 | 문자 | 문자 | 문자 | 문자 | 문자 | 문자 | 문자 |
|---|---|---|---|---|---|---|---|
| A a | B b | C c | D d | E e | F f | G g | H h |
| I i | J j | K k | L l | M m | N n | O o | P p |
| R r | S s | Š š | T t | U u | V v | Y y | Z z |
| Ž ž | Ä ä | Ö ö |
2. 3. 1. 1932년 알파벳
1932년, 잉그리아어로 교육이 이루어지는 총 19개의 학교가 문을 열었다.[8] 잉그리아어 첫 교본이 소이콜라 잉그리아어의 하위 방언을 기반으로 출판되었다.[16] 이 교본은 이 방언으로 쓰여진 일련의 교과서 중 첫 번째였다. 이 책이 쓰여진 언어의 특징 중에는 중모음의 모음 상승과 유성 자음, 반유성 자음, 무성 자음 간의 구별이 없는 것이 포함되었다.1936년, 베이뇌 유누스|Väinö Junusfi는 잉그리아어로 잉그리아어 문법서를 저술했다.[17] 이 문법서에서 유누스는 당시 가장 인구가 많은 방언인 소이콜라 방언과 알라-라우카 방언을 기반으로 잉그리아어 문학 언어를 도입했다. 유누스의 문법은 철자법 및 굴절 규칙을 포함했으며, 구어 잉그리아어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했다.
| A a | Ä ä | E e | F f | H h | I i | J j | K k |
| L l | M m | N n | O o | Ö ö | P p | R r | S s |
| T t | U u | V v | Y y | B b | G g | D d | Z z |
1936년 알파벳의 순서는 러시아 키릴 문자와 유사하다.
| A a | Ä ä | B b | V v | G g | D d | E e | Ƶ ƶ |
| Z z | I i | J j | K k | L l | M m | N n | O o |
| Ö ö | P p | R r | S s | T t | U u | Y y | F f |
| H h | C c | Ç ç | Ş ş | ь |
2. 3. 2. 1936년 알파벳
1936년, 베이뇌 유누스fi는 잉그리아어로 잉그리아어 문법서를 저술했다.[17] 이 문법서에서 유누스는 당시 가장 인구가 많은 방언인 소이콜라 방언과 알라-라우카 방언을 기반으로 잉그리아어 문학 언어를 도입했다. 유누스의 문법은 철자법 및 굴절 규칙을 포함했으며, 구어 잉그리아어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했다. 이 문법서는 잉그리아어 문어 시대의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곧 새로운 문학적 잉그리아어로 쓰여진 또 다른 교과서 물결이 뒤따랐다.| 문자 | 문자 | 문자 | 문자 | 문자 | 문자 | 문자 | 문자 |
|---|---|---|---|---|---|---|---|
| A a | Ä ä | B в | V v | G g | D d | E e | Ƶ ƶ |
| Z z | I i | J j | K k | L l | M m | N n | O o |
| Ö ö | P p | R r | S s | T t | U u | Y y | F f |
| H h | C c | Ç ç | Ş ş | ь |
2. 3. 3. 2005년 알파벳
| 문자 | 문자 |
|---|---|
| A a | Z z |
| Ä ä | I i |
| B b | J j |
| V v | K k |
| G g | L l |
| D d | M m |
| E e | N n |
| Ƶ ƶ | O o |
| Ö ö | P p |
| R r | C c |
| S s | Ç ç |
| T t | Ş ş |
| U u | Ь ь |
| F f | |
| H h |
잉그리아어에는 헤바하 방언, 소이콜라 방언, 윌라-라우카(상부 루가 또는 오레데시) 방언, 알라-라우카(하부 루가) 방언 등 4개의 주요 방언군이 있었다.[6][7] 이 중 헤바하 방언과 윌라-라우카 방언은 현재 사멸된 것으로 보인다.
3. 방언
3. 1. 현존하는 방언
잉그리아어에는 4개의 방언군이 있으며, 그 중 2개는 현재 사멸된 것으로 보인다.[6][7]
| 방언 | 사용 지역 | 비고 |
|---|---|---|
| 헤바하 방언 | 코바시 강과 인근 해안 지역 | † (사멸) |
| 소이콜라 방언 | 소이킨스키 반도와 시스타 강을 따라 사용 | |
| 윌라-라우카 (상부 루가 또는 오레데시) 방언 | 오레데시 강과 상부 루가 강을 따라 사용 | † (사멸) |
| 알라-라우카 (하부 루가) 방언 | 보트어의 영향을 받은 분기 방언 |
- 사멸된 쿠쿠지 방언은 하부 루가 잉그리아어와 보트어의 혼성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 시베리아 잉그리아 핀란드어는 시베리아 옴스크 인근에서 사용되는 하부 루가 잉그리아어 핀란드어와 하부 루가 잉그리아어의 혼성 언어이다.
다섯 번째 방언은 한때 잉그리아 북부의 카렐리야 지협에서 사용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남동 핀란드어의 지역 방언의 기층 언어였을 수 있다.[6]
3. 2. 사멸된 방언
4. 음운론
잉그리아어의 음운론은 현존하는 두 방언(소이콜라 방언, 알라-라우카 방언)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소이콜라 방언은 자음 길이와 유성음에서 3중 대립을 보이는 반면, 알라-라우카 방언은 길이와 유성음에서 2중 대립을 보이지만 모음 축소가 두드러진다. 두 방언 모두 유성음에서 다양한 자음 동화 과정을 거치며, 알라-라우카 방언은 소이콜라 방언보다 차용 음소가 많아 자음 목록이 더 크다.
자세한 내용은 자음 및 모음 섹션을 참조하라.
잉그리아어의 강세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첫 번째 음절에 온다. 비종결 음절(세 번째, 다섯 번째 등)의 모든 홀수 음절에는 부차적인 강세가 온다. 예외적으로 "지금"을 뜻하는 ''paraikaa''는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온다. 일부 화자는 차용어에 기원 언어의 강세 규칙을 따르기도 한다.[1]
모음 조화는 접사가 어형에 붙을 때 단어의 강세를 받는 모음에 따라 접사의 형태가 변하는 형태음운론적 과정이다. 단어의 강세가 후설 모음(a, o, u)이면 접사 또한 후설 모음을 포함하며, 전설 모음(ä, ö, y)이면 접사 또한 전설 모음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 '''nappi''' (단추, ''주격''); '''nappi''a''''' (단추, ''부분격'')
- '''näppi''' (핀치, ''주격''); '''näppi''ä''''' (핀치, ''부분격'')
와 같이 모음 조화가 일어난다. 모음 "e"와 "i"는 중립적이어서 두 종류의 모음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