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복부비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부 비만은 허리 둘레가 과도하게 증가한 상태를 의미하며, 심혈관 질환, 제2형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천식 등 다양한 건강 위험을 증가시킨다. 식습관, 알코올 섭취, 유전적 요인 등이 복부 비만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허리 둘레,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 키 대비 허리 둘레 비율 등을 통해 진단한다. 남성은 여성보다 복부 비만에 취약하며, 운동, 건강한 식습관, 생활 습관 개선, 의학적 치료 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복부 비만은 사회 문화적으로 다양한 속어로 표현되며, 의료 비용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만 - 체중 감소
    체중 감소는 건강 개선이나 외모 변화를 위해 체중을 줄이는 것으로, 생활 습관 변화, 특히 식단 조절과 운동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과도한 감량은 신진대사 저하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의도치 않은 체중 감소는 의학적 문제를 의심해야 하므로 건강한 식습관과 규칙적인 운동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 비만 - 그렐린
    그렐린은 1999년에 발견된 호르몬으로,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고 식욕을 자극하며 에너지 항상성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조직 (생물학) - 체관부
    체관부는 식물의 유기 양분 수송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체관 요소, 체관부 섬유, 체관부 유세포 등으로 구성되며 광합성 산물을 압력 흐름설에 따라 수송한다.
  • 조직 (생물학) - 상피 조직
    상피 조직은 세포 간 결합, 극성, 다양한 세포 형태를 특징으로 하며, 신체 내부 표면을 구성하고, 세포 층의 수와 기능에 따라 분류되며, 보호, 흡수, 분비, 수송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에서 유래하고, 암종과 관련된다.
  • 배 (해부학) - 식도
    식도는 소화계의 상부 기관으로, 입 뒤에서 시작하여 위까지 연결되며, 음식물 역류를 막고 삼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 배 (해부학) - 비장
    비장은 가로막 아래 위치하여 면역 기능, 혈액 여과, 혈구 생성 및 파괴를 담당하는 인체 장기로, 태아기 혈구 생성, 성인 혈액 내 이물질 제거, 림프구 생성에 관여하며, 비장비대, 비장 파열, 무비증 등의 질환과 역사적으로 우울증과 연관되고 일부 문화권에서 식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복부비만
일반 정보
복부 비만 남성
체중: 182kg, 키: 185cm, 체질량 지수: 53
분야내분비학
동의어중심 비만, 몸통 비만; 참조
증상
합병증심장병, 천식, 뇌졸중, 당뇨병
원인
원인좌식 생활, 과식, 쿠싱 증후군, 알코올 의존증, 다낭성 난소 증후군, 프래더-윌리 증후군

2. 건강 위험

복부 비만은 심장 질환, 고혈압, 인슐린 저항성, 제2형 당뇨병 등 다양한 건강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허리-엉덩이 비율 및 허리 둘레 증가는 사망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4][5] 대사 증후군은 복부 비만, 혈액 지질 이상, 염증,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 증가를 포함한다.[6][7][8][9] 특히 복강 내 지방은 건강에 가장 큰 위험 요소로 간주된다.[2][10]

복부 비만은 지방이영양증, 쿠싱 증후군[37],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과 같은 질환의 특징 또는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포도당 불내성 및 이상지질혈증과도 관련된다.[38] 높은 복부 둘레는 무릎 통증 및 골관절염과 관련이 있고,[39] 높은 수준의 내장 지방은 인지 기능 저하와도 연관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40]

2. 1. 심혈관 질환

복부 비만은 심장 질환, 고혈압과 연관된 위험이 더 높다.[4] 허리-엉덩이 비율 및 전체 허리 둘레가 증가함에 따라 사망 위험도 증가한다.[5] 대사 증후군은 복부 비만, 혈액 지질 이상, 염증,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6][7][8][9] 현재 복강 내 지방이 가장 큰 건강 위험을 전달하는 저장소라고 일반적으로 여겨진다.[2][10]

최근 검증을 통해 전체 및 부위별 체적 추정치가 심혈관 위험 바이오마커와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으며, BVI 계산이 모든 심혈관 위험 바이오마커와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음이 결론났다.[11]

2. 2. 제2형 당뇨병

복부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켜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복부 지방은 특히 호르몬 활성이 높아 아디포카인이라는 호르몬 그룹을 분비하며, 이는 내당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비만 및 당뇨병 환자에서 농도가 낮은 항염증성 아디포카인인 아디포넥틴은 제2형 당뇨병(T2DM)에서 유익하고 보호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12][13]

인슐린 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의 주요 특징이며, 중심성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과 T2DM 자체와 모두 관련이 있다.[14][15] 증가된 지방 축적(비만)은 혈청 레스틴 수치를 높이며,[16][17][18][19] 이는 다시 인슐린 저항성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인다.[20][21][22][23] 연구 또한 레스틴 수치와 T2DM 사이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확인했다.[16][24][25][26] 혈청 레스틴 수치의 상승에 기여하는 주요 지방 축적 유형은 허리 둘레의 지방 조직(중심성 비만)으로 보인다.[27][28] 반대로, 혈청 레스틴 수치는 의료 치료 후 지방 축적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9]

2. 3. 알츠하이머병

여러 연구에서 비만이 알츠하이머병과 잠재적으로 연관될 수 있는 혈관 및 대사 질환과 강한 연관성을 보인다는 것이 밝혀졌다. 최근 연구에서는 중년의 비만과 치매 사이의 연관성이 나타났지만, 노년기 비만과 치매의 관계는 덜 명확하다.[33] 700명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전반적인 체중과 관계없이 내장 지방량이 많을수록 뇌 부피가 작아지고 치매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4][35][36] 알츠하이머병과 복부 비만은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대사 요인이 추가되면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이 더욱 높아진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 따르면 비만은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을 거의 10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33]

2. 4. 기타 건강 위험

복부 비만은 심장 질환, 고혈압, 인슐린 저항성, 제2형 당뇨병과 통계적으로 연관된 위험이 더 높다.[4] 허리-엉덩이 비율 및 전체 허리 둘레가 증가함에 따라 사망 위험도 증가한다.[5] 대사 증후군은 복부 비만, 혈액 지질 이상, 염증, 인슐린 저항성, 완전한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6][7][8][9] 현재 복강 내 지방이 가장 큰 건강 위험을 전달하는 저장소라고 일반적으로 여겨진다.[2][10]

최근 검증을 통해 전체 및 부위별 체적 추정치가 심혈관 위험 바이오마커와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으며, BVI 계산이 모든 심혈관 위험 바이오마커와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음이 결론났다.[11]

복부 비만은 지방이영양증의 특징일 수 있는데, 이는 유전 질환이거나 2차적인 원인(종종 단백질 분해 효소 억제제 - AIDS에 대한 약물 그룹)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 그룹이다. 복부 비만은 쿠싱 증후군의 증상이며[37],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환자에게서도 흔히 나타난다. 복부 비만은 포도당 불내성 및 이상지질혈증과 관련이 있다. 일단 이상지질혈증이 심각한 문제가 되면 개인의 복강은 간으로의 높은 유리 지방산 유입을 생성하게 된다. 복부 지방 축적의 영향은 비만인 사람뿐만 아니라 비만하지 않은 사람에게도 발생하며 인슐린 감수성에도 기여한다.[38]

Ghroubi 등 (2007)은 복부 둘레가 체질량 지수 또는 무릎 골관절염의 존재보다 비만 환자에게 더 신뢰할 수 있는 지표인지 조사했다.[39] 그들은 실제로 복부 둘레가 비만 연구 대상의 무릎 통증 및 골관절염의 존재와 관련된 요인임을 발견했다. Ghroubi 등 (2007)은 높은 복부 둘레가 큰 기능적 영향과 관련이 있다고 결론지었다.[39]

The Lancet (2023)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높은 수준의 내장 지방은 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었다. 이 결과는 건강한 체중과 대사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인지 기능 보존에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40]

3. 원인

복부 비만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3. 1. 식습관

비만의 직접적인 원인은 에너지 불균형, 즉 섭취하는 칼로리가 소비, 낭비, 배설을 통해 제거하는 칼로리보다 많은 것이라는 믿음이 널리 퍼져 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내장 지방 축적은 지질 불균형 및 인슐린 민감성 감소와 함께[41] 과당의 과도한 섭취와 관련이 있다.[42][43][44]

산업용 오일에서 섭취하는 트랜스 지방은 남성의 복부 비만 증가[46] 및 여성의 체중 및 허리 둘레 증가와 관련이 있다.[47] 가공육, 적색 육류, 가금류 등 고기 섭취 증가는 칼로리를 고려하더라도 체중 증가, 특히 복부 비만과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50][51] 반면, 기름진 생선 섭취는 총 체지방 및 복부 지방 분포와 음의 상관 관계를 보이며,[52][53] 대두 단백질 섭취 증가는 폐경기 여성의 복부 지방 감소와 관련이 있다.[54][55]

수많은 대규모 연구에서 초가공 식품은 남녀 모두에게서 복부 비만 및 일반 비만과 양의 용량 의존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56] 가공되지 않거나 최소 가공된 식품이 풍부한 식단은 비만 위험, 허리 둘레, 만성 질환 감소와 관련이 있다.

비만은 고-탄수화물 식단에서 나타나는 지질 대사탄수화물 대사 장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68] 또한, 24시간 동안 양질의 단백질 섭취와 약 10g의[69] 필수 아미노산 섭취 횟수는 중심 복부 지방 비율과 반비례 관계를 보인다.[70]

3. 2. 알코올 섭취

연구에 따르면 알코올 소비는 남성의 허리둘레와 복부 비만의 위험 증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지만, 여성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에너지 섭취 부족을 통제한 후 이러한 연관성이 약간 약화되었지만, 알코올 소비 증가가 남성 참가자들의 권장 에너지 섭취량을 초과할 위험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킨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높은 알코올 소비량을 보이는 소수의 여성 참가자(2.13%)에게는 해당되지 않았다. 여성의 과도한 음주량을 정의하기 위해 하루 섭취하는 술의 양을 더 적게 설정한 후에도 마찬가지였다. 여성의 알코올 소비량과 복부 비만 사이의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72]

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에서는 맥주 섭취와 일반적인 비만 또는 복부 비만 사이의 용량 의존적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찾지 못했다(섭취량이 하루 약 500ml 미만인 경우). 그러나 맥주를 많이 섭취하는 경우(주당 약 4L 이상) 특히 남성에게서 복부 비만의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73]

4. 진단

복부 비만은 허리 둘레를 측정하여 진단한다. 남성의 경우 102cm 이상, 여성의 경우 88cm 이상이면 복부 비만으로 진단한다.[86]

과체중 청소년이 과도한 복부 지방을 잡고 있는 모습


복부 비만을 진단하는 방법에는 허리 둘레 외에도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 키 대비 허리 둘레 비율, 시상 복부 직경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77][79] 체질량 지수(BMI)가 35 미만인 경우 복강 내 지방은 총 체지방과 관계없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심혈관 질환과 강한 상관 관계를 보인다.[78][79]

BMI와 허리 둘레 측정은 비만을 진단하는 일반적인 방법이지만, 허리 둘레 측정은 BMI 측정만큼 정확하지 않고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BMI는 총 체지방량을, 허리 둘레는 내장 지방량과 비만 관련 질병의 위험을 추정하는 데 유용하므로, 두 가지 측정 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좋다.[80][81]

복부 비만이 있는 남성


중심성 비만은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허리 둘레와 엉덩이 둘레를 측정해야 한다. 감별 진단에는 중심성 비만과 복수, 장 팽만을 구별하는 것이 포함된다.

국립 건강 및 영양 조사(NHANES III)에 참여한 15,000명의 코호트 연구에서 허리 둘레가 BMI보다 대사 증후군 위험을 더 잘 예측한다는 결과가 나왔다.[82] 중심성 비만 지수(허리-키 비율, WHtR) 0.5 이상은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를 예측하는 또 다른 지표이다.[83]

복강 내 지방량 증가는 혈장 지질 및 지단백질 수치 상승과 관련이 있으며,[2] 체적 지수와 같은 새로운 비만 진단법도 개발되고 있다. 복부 지방은 비만 여부와 관계없이 인슐린 민감도에 영향을 미친다.

중심성 비만 지수(ICO)는 허리 둘레와 키의 비율로, 대사 증후군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84][85] 인종 및 성별에 따라 다른 허리 둘레 기준이 제안되기도 한다.[86][87][88][89][90] ICO를 사용하면 인종 및 성별에 따른 허리 둘레 기준을 대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85]

정상 BMI를 가진 사람도 중심성 비만일 수 있으며, 이를 정상 체중 비만이라고 한다.

4. 1. 허리 둘레

정상, 과체중 및 비만을 나타내는 실루엣과 허리 둘레


복부 비만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86]

  • 절대 허리 둘레: 남성은 102cm 이상, 여성은 88cm 이상이면 복부 비만으로 진단한다.
  •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 허리 둘레를 엉덩이 둘레로 나눈 값으로, 남성은 0.9 초과, 여성은 0.85 초과.[79]
  • 키 대비 허리 둘레 비율: 허리 둘레를 키로 나눈 값으로, 40세 미만 성인은 0.5 초과, 50세 이상 성인은 0.6 초과.
  • 시상 복부 직경[77]


체질량 지수(BMI)가 35 미만인 사람의 경우, 복강 내 지방은 총 체지방과 관계없이 부정적인 건강 결과와 관련이 있다.[78] 복강 내 지방 또는 내장 지방은 심혈관 질환과 특히 강한 상관 관계를 갖는다.[79]

BMI와 허리 둘레 측정은 비만을 특징짓는 잘 알려진 방법이지만, 허리 둘레 측정은 BMI 측정만큼 정확하지 않다. 허리 둘레 측정(예: BFP 기준)은 키와 체중 측정(예: BMI 기준)보다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BMI는 총 체지방량에 대한 최상의 추정치를 보여주는 반면, 허리 둘레 측정은 내장 지방량과 비만 관련 질병의 위험을 추정한다.[80] 두 가지 측정 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좋다.[81]

국립 건강 및 영양 조사(NHANES III)에 참여한 15,000명의 코호트에서 대사 증후군을 결과 지표로 삼았을 때 허리 둘레가 BMI보다 비만 관련 건강 위험을 더 잘 설명했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즉, 과도한 허리 둘레는 BMI보다 대사 증후군에 대한 더 큰 위험 요소인 것으로 보인다.[82]

중심성 비만 지수(허리-키 비율, WHtR)가 0.5 이상(허리 둘레가 키의 최소 절반)이면 위험 증가를 예측한다.[83]

국제 당뇨병 연맹은 다양한 인종 및 성별별 기준을 바탕으로 중심성 비만을 정의했다.[90] 허리 둘레의 또 다른 한계는 측정 절차가 표준화되지 않았고 어린이의 경우 비교 표준이나 참고 데이터가 없거나 거의 없다는 것이다.[91]

4. 2.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은 허리 둘레를 엉덩이 둘레로 나눈 값이다. 남성은 0.9, 여성은 0.85를 초과하면 복부 비만으로 진단한다.[79] 국립 건강 및 영양 조사(NHANES III)에 참여한 15,000명의 코호트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대사 증후군을 결과 지표로 삼았을 때 허리 둘레가 BMI보다 비만 관련 건강 위험을 더 잘 설명했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82] 즉, 과도한 허리 둘레는 BMI보다 대사 증후군에 대한 더 큰 위험 요소인 것으로 보인다.

4. 3. 기타 진단 방법

복부 비만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있다.

측정 방법설명기준
절대 허리 둘레남성 >102cm, 여성 >88cm[86]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허리 둘레를 엉덩이 둘레로 나눈 값남성 > 0.9, 여성 > 0.85[79]
키 대비 허리 둘레 비율허리 둘레를 키로 나눈 값40세 미만 성인 > 0.5, 50세 이상 성인 > 0.6
시상 복부 직경[77]



체질량 지수(BMI)가 35 미만인 사람의 경우, 복강 내 지방은 총 체지방과 관계없이 부정적인 건강 결과와 관련이 있다.[78] 복강 내 지방 또는 내장 지방은 심혈관 질환과 특히 강한 상관 관계를 갖는다.[79]

BMI와 허리 둘레 측정은 비만을 특징짓는 잘 알려진 방법이지만, 허리 둘레 측정은 BMI 측정만큼 정확하지 않다. 허리 둘레 측정(예: BFP 기준)은 키와 체중 측정(예: BMI 기준)보다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BMI는 총 체지방량에 대한 최상의 추정치를 보여주는 반면, 허리 둘레 측정은 내장 지방량과 비만 관련 질병의 위험을 추정한다.[80] 따라서 두 가지 측정 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좋다.[81]

중심성 비만은 육안으로도 쉽게 알 수 있지만, 중심성 비만의 심각성은 허리 둘레와 엉덩이 둘레를 측정하여 결정한다. 남성의 절대 허리 둘레 102cm와 여성의 88cm 및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남성 >0.9, 여성 >0.85)[79]은 모두 중심성 비만의 척도로 사용된다. 감별 진단에는 중심성 비만과 복수, 장 팽만을 구별하는 것이 포함된다. 국립 건강 및 영양 조사(NHANES III)에 참여한 15,000명의 코호트에서 대사 증후군을 결과 지표로 삼았을 때 허리 둘레가 BMI보다 비만 관련 건강 위험을 더 잘 설명했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즉, 과도한 허리 둘레는 BMI보다 대사 증후군에 대한 더 큰 위험 요소인 것으로 보인다.[82] 심혈관 질환 위험을 예측하는 데 BMI보다 우수함을 보인 중심성 비만의 또 다른 척도는 중심성 비만 지수(허리-키 비율, WHtR)이며, 0.5 이상(허리 둘레가 키의 최소 절반)의 비율은 위험 증가를 예측한다.[83]

비만의 또 다른 진단은 개인의 건강에 가장 큰 위험을 초래하는 복강 내 지방 분석이다. 이 부위의 지방량 증가는 에릭 포엘먼(1998)의 연구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혈장 지질 및 지단백질 수치 상승과 관련이 있다.[2]

의학계에서 건강 위험의 지표로서 중심성 비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체적 지수와 같은 비만 진단에 대한 새로운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사람의 체형과 체중 분포를 측정하여 중심성 비만을 측정한다. 복부 지방의 영향은 비만인 사람뿐만 아니라 비만하지 않은 사람에게도 나타나며, 인슐린 민감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중심성 비만 지수(ICO)는 2007년 Parikh 등[84]대사 증후군을 정의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허리 둘레의 더 나은 대체 지표로 처음 제안한 허리 둘레와 키의 비율이다.[85] 국립 콜레스테롤 교육 프로그램 성인 치료 패널 III는 남성의 경우 102cm와 여성의 경우 88cm의 컷오프를 중심성 비만의 지표로 제시했다.[86] 이는 대사 증후군을 정의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87] Misra 등은 이러한 컷오프가 인도인에게 적용될 수 없으며 남성의 경우 90cm와 여성의 경우 80cm로 컷오프를 낮춰야 한다고 제안했다.[88] 다양한 그룹에서 인종별 컷오프를 제안했으며,[89] 국제 당뇨병 연맹은 이러한 다양한 인종 및 성별별 컷오프를 기반으로 중심성 비만을 정의했다.[90] 허리 둘레의 또 다른 한계는 측정 절차가 표준화되지 않았고 어린이의 경우 비교 표준이나 참고 데이터가 없거나 거의 없다는 것이다.[91]

Parikh 등은 다양한 인종의 평균 키를 살펴보고 ICO를 사용하면 허리 둘레의 다양한 인종 및 성별별 컷오프를 폐기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85] 중심성 비만을 정의하는 기준으로 0.53의 ICO 컷오프가 제안되었다. 전국 건강 및 영양 검사 설문 조사(NHANES) 데이터베이스에서 허리 둘레를 ICO로 대체한 대사 증후군의 수정된 정의를 추가로 테스트했으며, 수정된 정의가 더 특이적이고 민감하다는 것을 발견했다.[85]

이 매개변수는 대사 증후군[92][93] 및 심혈관 질환 연구에 사용되었다.[94]

정상 BMI를 가진 개인의 중심성 비만은 정상 체중 비만이라고 한다.

5. 성별 차이

남성은 성 호르몬 차이로 인해 상체, 특히 복부에 지방이 축적되기 쉽다.[95] 남성과 여성의 체지방을 비교하면 남성은 폐경기 전 여성보다 내장 지방이 거의 두 배나 많다.[96][97]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이 엉덩이, 허벅지, 둔부에 지방을 저장하는 것으로 여겨진다.[98] 여성이 폐경기에 접어들어 난소에서 생성되는 에스트로겐이 감소하면 엉덩이, 둔부, 허벅지의 지방은 줄어드는 반면 복부의 지방은 증가한다.[99][100]

미국에서 50세에서 79세 사이의 남성 50%, 여성 70%가 중심성 비만의 허리둘레 기준치를 초과한다.[101]

중심성 비만은 여성과 남성 모두 관상 동맥 심장 질환 위험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지방 분포의 성별 차이가 관상 동맥 심장 질환 위험의 성별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102]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허리둘레 또는 허리-엉덩이 비율로 측정되는 중심성 비만의 특정 수준에서 관상 동맥 질환 발생률은 남성과 여성 모두 동일하다.[103]

6. 관리

복부 비만 관리는 건강한 생활 습관을 통해 이루어진다. 복부 비만과 관련된 위험을 이해하고 스스로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미용보다 중요하다. 복부 비만, 특히 내장 지방은 심혈관 질환, 당뇨병, 암 등의 위험을 높인다. 내장 지방은 간으로 이동하여 지방간을 유발하고, 이는 인슐린 저항성을 높여 제2형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내장 지방은 카테콜아민에 더 잘 반응한다.

6. 1. 식단 조절

영구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과체중 기간 동안 동일하거나 적은 칼로리를 섭취하는 것은 복부 비만을 예방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104] 지방 1파운드는 약 3500칼로리의 에너지를 생성하며(지방 1킬로그램당 32000kJ 에너지), 체중 감량은 에너지 섭취를 줄이거나,[105] 에너지 소비를 늘려 균형을 맞춤으로써 이루어진다.

저지방 식이는 비만에 대한 효과적인 장기적 방법이 아닐 수 있다. 베이컨과 아프라모르는 "대부분의 개인은 치료 중에 감량한 체중의 거의 전부를 되찾는다"라고 썼다.[117] 여성 건강 이니셔티브("가장 크고 가장 오래 지속된 무작위 대조 식이 중재 임상 시험"[117])는 장기적인 식이 중재가 중재 그룹과 대조군 모두의 허리 둘레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증가는 중재 그룹에서 더 작았다. 결론은 중재 그룹에서 처음 1년까지 평균 체중이 2.2kg (P<.001)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1년 시점에서 대조군 변화보다 2.2kg 적었다는 것이다. 대조군과 중재 그룹 간의 이러한 차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했지만, 연구 종료 시점인 9년까지 체중의 유의한 차이가 유지되었다.[118]

6. 2. 운동

국제 스포츠 영양 및 운동 대사 저널에 게재된 2006년 연구에 따르면, 유산소 운동과 저항 훈련(근력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복부 지방을 제거하는 데 유산소 운동만 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다.[113] 운동의 추가적인 이점은 스트레스와 인슐린 수치를 낮추어 렙틴 저항과 더 많은 복부 지방 축적을 유발하는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존재를 감소시키는 것이다.[114]

6. 3. 생활 습관 개선

복부 비만 관리를 위해서는 금연, 절주, 스트레스 관리도 중요하다.[114] 운동은 스트레스와 인슐린 수치를 낮추고, 렙틴 저항을 유발하는 코르티솔 호르몬을 감소시켜 복부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114] 국제 스포츠 영양 및 운동 대사 저널의 2006년 연구에 따르면, 유산소 운동과 저항 훈련을 병행하는 것이 유산소 운동만 하는 것보다 복부 지방 제거에 더 효과적이다.[113]

6. 4. 의학적 치료

필요한 경우 의사의 처방에 따라 오르리스타트 또는 시부트라민과 같은 약물 치료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시부트라민은 심혈관 질환 및 뇌졸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어 미국,[106] 영국,[107] 유럽 연합,[108] 호주,[109] 캐나다,[110] 홍콩,[111]태국 시장에서 철수되었다.[112]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의사는 설포닐우레아 유도체 대신 메트포르민 및 티아졸리딘디온 (로시글리타존 또는 피오글리타존)을 항당뇨병제로 처방할 수 있다. 티아졸리딘디온은 약간의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지만 "병리학적" 복부 지방(내장 지방)을 감소시키므로 중심성 비만이 있는 당뇨병 환자에게 처방될 수 있다.[115] 그러나 티아졸리딘디온은 심부전 및 심혈관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어 2010년 유럽의약품청(EMA)에 의해 유럽 시장에서 철수되었다.[116]

7. 사회 문화적 측면

복부 비만은 외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사회적 편견과 차별의 대상이 될 수 있다.

7. 1. 속어

복부 비만을 가리키는 일상적인 표현으로는 "군살", "러브 핸들", "올챙이 배", "보일러", "똥배" 등이 있다.[120] 맥주를 마시는 것과 관련하여 "맥주 배", "맥주 뱃살", "맥주 똥배"와 같은 표현도 쓰이지만, 맥주가 복부 비만의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과학적 증거는 부족하다. 연구에 따르면 맥주를 마시는 사람이 술을 마시지 않거나 와인, 독주를 마시는 사람보다 복부 비만에 더 취약하다는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121][122] 한편, 만성 알코올 중독은 간경변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여유증(유방 비대)이나 복수(복강 내 체액)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 복부 비만처럼 보일 수 있다.

7. 2. 경제적 영향

코펜하겐의 연구자들은 50~64세의 서로 다른 허리 둘레를 가진 31,84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허리 둘레와 비용 간의 관계를 조사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정상 허리 둘레보다 1cm 증가할 때마다 여성은 의료 비용이 1.25%, 남성은 2.08% 상승했다. 기저 질환이나 동반 질환이 없는 허리 둘레 95cm인 여성은 정상 허리 둘레인 여성보다 연간 22%(397달러)의 경제적 비용이 더 발생했다.[123]

참조

[1] 논문 Visceral and central abdominal fat and anthropometry in relation to diabetes in Asian Indians 2004-12
[2] 논문 Abdominal Obesity: The Metabolic Multi-risk Factor
[3] 논문 Body fat, metabolic syndrome and hyperglycemia in South Asians https://linkinghub.e[...] 2018
[4] 논문 Obesity, abdominal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5] 논문 Expanding evidence for the multiple dangers of epidemic abdominal obesity 2008-04
[6] 논문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2006-12
[7] 논문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2001-05
[8] 간행물 Grundy SM, Brewer HB, Cleeman JI, Smith SC, Lenfant D, for the Conference Participants. Definition of metabolic syndrome: report of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American Heart Association conference on scientific issues related to definition. http://circ.ahajourn[...] 2004
[9] 웹사이트 American Heart Association's description of Syndrome X http://www.americanh[...] Americanheart.org 2013-01-05
[10] 논문 Informativeness of indices of blood pressure, obesity and serum lipids in relation to ischaemic heart disease mortality: the HUNT-II study 2011-06
[11] 논문 3-D Body Scanner, Body Volume Index: A Novel, Reproducible and Automated Anthropometric Tool Associated with Cardiometabolic Biomarkers ''Obesity A Research Journal'' 2008
[12] 논문 Adiponectin: Probe of the molecular paradigm associating diabetes and obesity 2015-02
[13] 논문 Adiponectin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the Progression Toward Type 2 Diabetes Mellitus in Postmenopausal Women 2015-08
[14] 논문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sulin secretion and action in type 2 diabetes mellitus with different degrees of obesity: evidence supporting central obesity
[15] 논문 Removal of visceral fat prevents insulin resistance and glucose intolerance of aging: an adipokine-mediated process? 2002-10
[16] 논문 Changes in glycemia by leptin administration or high- fat feeding in rodent models of obesity/type 2 diabetes suggest a link between resistin expression and control of glucose homeostasis 2004-05
[17] 논문 Serum resistin (FIZZ3) protein is increased in obese humans 2003-11
[18] 논문 Circulating resistin in lean, obese, and insulin-resistant mouse models: lack of association with insulinemia and glycemia 2005-03
[19] 논문 Resistin, adiponectin, ghrelin, lepti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relationships in obesity 2004-06
[20] 논문 A central role for JNK in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http://www.hsph.harv[...] 2002-11
[21] 논문 Regulation of resistin expression and circulating levels in obesity, diabetes, and fasting 2004-07
[22] 논문 Plasma resistin, adiponectin and leptin levels in lean and obese subjects: correlations with insulin resistance 2003-10
[23] 논문 A promoter genotype and oxidative stress potentially link resistin to human insulin resistance 2003-07
[24] 논문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circulating human resistin: resistin concentrations in normal subjects and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2004-01
[25] 논문 Resistin and type 2 diabetes: regulation of resistin expression by insulin and rosiglitazone and the effects of recombinant resistin on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in human differentiated adipocytes 2003-12
[26] 논문 The hormone resistin links obesity to diabetes 2001-01
[27] 논문 An epidemic Burkholderia cepacia complex strain identified in soil https://biblio.ugent[...] 2002-06
[28] 논문 Increased resistin gene and protein expression in human abdominal adipose tissue 2002-05
[29] 논문 Modest weight loss and reduction in waist circumference after medical treatment are associated with favorable changes in serum adipocytokines 2004-04
[30] 논문 Obesity and asthma: pathophysiology and implications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in primary care 2014-11
[31] 논문 Obesity and asthma 2006-04
[32] 논문 Body mass index and asthma severity among adults presenting to the emergency department 2003-09
[33] 논문 Obesity, abdominal obesity and Alzheimer disease
[34] 논문 Visceral fat is associated with lower brain volume in healthy middle-aged adults 2010-08
[35] 뉴스 'Beer belly' link to Alzheimer's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5-20
[36] 웹사이트 Bulging belly now could mean dementia later http://www.nbcnews.c[...] NBC News 2008-03-26
[37] 논문 Does central obesity reflect "Cushing's disease of the omentum"? 1997-04
[38] 논문 Abdominal obesity increases metabolic risk factors in non-obese adults: a Hungarian cross-sectional study 2019-11-15
[39] 논문 "[Abdominal obesity and knee ostheoarthritis]" 2007-11
[40] 웹사이트 New research indicates visceral fat has a profoundly negative effect on cognitive abilities https://www.psypost.[...] 2023-06-04
[41] 논문 Fructose consumption: recent results and their potential implications 2010-03
[42] 논문 Fructose, weight gain, and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2002-11
[43] 논문 Excessive fructose intake induces the features of metabolic syndrome in healthy adult men: role of uric acid in the hypertensive response 2010-03
[44] 논문 The not-so-sweet side of fructose http://jasn.asnjourn[...] 2009-03
[45] 웹사이트 Fructose sugar makes maturing human fat cells fatter, less insulin-sensitive, study finds https://www.scienced[...] 2021-03-08
[46] 논문 Prospective study of the association of changes in dietary intake, physical activity, alcohol consumption, and smoking with 9-y gain in waist circumference among 16 587 US men 2003-10
[47] 논문 Effect of trans fatty acid intake on abdominal and liver fat deposition and blood lipids: a randomized trial in overweight postmenopausal women 2011-01
[48] 논문 Trans fatty acids: effects on cardiometabolic health and implications for policy 2008-09-01
[49] 논문 Trans fat diet induces abdominal obesity and changes in insulin sensitivity in monkeys 2007-07
[50] 논문 Meat consumption and prospective weight change in participants of the EPIC-PANACEA study 2010-08
[51] 논문 Reply to A Astrup et al 2010-11-01
[52] 논문 Some dietary factors can modulate the effect of the zinc transporters 8 polymorphism on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2017-05
[53] 논문 Effects of supplemental fish oil on resting metabolic rate, body composition, and salivary cortisol in healthy adults 2010-10
[54] 논문 Effect of a daily supplement of soy protein on body composition and insulin secretion in postmenopausal women 2007-12
[55] 논문 Effects of Soy on Body Composition: A 12-Week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ong Iranian Elderly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2012-04-30
[56] 논문 The UN Decade of Nutrition, the NOVA food classification and the trouble with ultra-processing 2018-01
[57] 웹사이트 Processed foods highly correlated with obesity epidemic in the US https://www.scienced[...] 2021-03-08
[58] 논문 Consumption of ultra-processed foods and obesity in Canada 2018-09-20
[59] 서적 Ultra-processed food and drink products in Latin America: Sales, sources, nutrient profiles, and policy implications https://iris.paho.or[...] 2021-03-15
[60] 논문 Ultra-processed food consumption and obesity in the Australian adult population 2020-12
[61] 논문 Ultra-processed food consumption and indicators of obesity in the United Kingdom population (2008-2016) 2020-05-01
[62] 논문 Ultra-processed food intake in association with BMI change and risk of overweight and obesity: A prospective analysis of the French NutriNet-Santé cohort 2020-08
[63] 논문 Ultra-Processed Food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Abdominal Obesity: A Prospective Cohort Study in Older Adults 2020-08
[64] 논문 Trends in consumption of ultra-processed foods and obesity in Sweden between 1960 and 2010 2015-12
[65] 논문 Consumption of Ultra-Processed Foods Increases the Likelihood of Having Obesity in Korean Women 2021-02
[66] 논문 Ultra-Processed Food Consumption Associated with Overweight/Obesity among Chinese Adults—Results from China Health and Nutrition Survey 1997–2011 2021-08
[67] 논문 The processed food revolution in African food systems and the double burden of malnutrition 2021-03-01
[68] 논문 Is the effect of high fat diet on lipid and carbohydrate metabolism related to inflammation?
[69] 논문 Anabolic signaling deficits underlie amino acid resistance of wasting, aging muscle 2005-03
[70] 논문 Quality protein intake is inversely related with abdominal fat 2012-01
[71] 웹사이트 Abnormal obesity and your health http://www.health.ha[...]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2006
[72] 논문 Relationship of abdominal obesity with alcohol consumption at population scale http://redheracles.n[...] 2007-10
[73] 논문 Is beer consumption related to measures of abdominal and general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3-02
[74] 논문 Abdominal Obesity
[75] 논문 Abdominal obesity: the most prevalent cause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cardiometabolic risk
[76] 서적 Obesity Before Birth Springer
[77] 논문 Value of the sagittal abdominal diameter in coronary heart disease risk assessment: cohort study in a large, multiethnic population 2006-12
[78] 서적 HSTAT: Guide to Clinical Preventive Services, 3rd Edition: Recommendations and Systematic Evidence Reviews, Guide to Community Preventive Services https://www.ncbi.nlm[...] 2017-08-29
[79] 논문 Effect of potentially modifiabl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yocardial infarction in 52 countries (the INTERHEART study): case-control study
[80] 웹사이트 Abdominal obesity and your health http://www.health.ha[...] 2006
[81] 웹사이트 Abdominal obesity and your health http://www.health.ha[...] Health.harvard.edu 2013-01-05
[82] 논문 Abdominal obesity, waist circumference and cardio-metabolic risk: awareness among primary care physicians, the general population and patients at risk--the Shape of the Nations survey 2007-01
[83] 논문 Waist Circumference, Body Mass Index, and Other Measures of Adiposity in Predicting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mong Peruvian Adults 2011-01
[84] 논문 Obesity: how to define central adiposity? 2010-05
[85] 논문 Index of central obesity is better than waist circumference in defining metabolic syndrome 2009-12
[86] 서적 Third Report of the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TP III Final Report) http://www.nhlbi.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1-05-14
[87] 서적 Third Report of the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TP III Final Report) http://www.nhlbi.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1-05-14
[88] 논문 Cutoffs of abdominal adipose tissue compartments as measur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detection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apparently healthy adult Asian Indians in North India 2010-06
[89] 웹사이트 Abdominal Obesity Measurement Guidelines for Different Ethnic Groups https://www.hsph.har[...] 2021-03-31
[90] 논문 The metabolic syndrome--a new worldwide definition
[91] 웹사이트 Measuring Obesity https://www.hsph.har[...] 2021-03-31
[92] 논문 Is waist to height ratio a better and more practical measure of obesity to assess cardiovascular or diabetes risk in indians? http://www.japi.org/[...] 2011-06-04
[93] 논문 Oxidative Stress i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Asian Indians
[94] 논문 Body-mass index, waist-size, waist–hip ratio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urban http://www.japi.org/[...] 2011-06-04
[95] 논문 Effects of sex steroid hormones on regional fat depots as assess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transsexuals 1999-02
[96] 논문 Sex differences in the relation of visceral adipose tissue accumulation to total body fatness 1993-10
[97] 논문 Is visceral fat (intra-abdominal and hepatic) a major determinant of gender differences in insulin resistance and dyslipidaemia?
[98] 논문 Body Image for Women: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 Test of its Importance to Sexual Dysfunction and Medical Illness
[99] 웹사이트 A Matter of Fat http://health.yahoo.[...] 2006-12-01
[100] 웹사이트 Abdominal fat and what to do about it. Visceral fat more of a health concern than subcutaneous fat http://www.health.ha[...] Harvard Health Publications 2013-01-05
[101] 논문 Increasing trends in waist circumference and abdominal obesity among US adults
[102] 논문 Sex differences and coronary heart disease. A case of comparing apples and pears? 1990-05
[103] 논문 Sex differences in coronary heart disease. Why are women so superior? The 1995 Ancel Keys Lecture 1997-01
[104] 웹사이트 Even a Little Exercise Fights Obesity http://www.webmd.com[...] Webmd.com 2013-01-05
[105] 웹사이트 Weight Management http://www.washingto[...] Washington.edu 2013-01-05
[106] 뉴스 Abbott Pulls Diet Drug Meridia Off US Shelves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0-10-08
[107] 뉴스 Top obesity drug sibutramine being suspended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1-22
[108] 웹사이트 Sibutramin-Vertrieb in der Europäischen Union ausgesetzt http://www.abbott.de[...] Abbott Laboratories
[109] 웹사이트 Sibutramine (brand name Reductil) Information - Australia https://web.archive.[...] Abbott Laboratories 2010-10-08
[110] 웹사이트 Health Canada Endorsed Important Safety Information on MERIDIA (Sibutramine Hydrochloride Monohydrate): Subject: Voluntary withdrawal of Meridia (sibutramine) capsules from the Canadian market http://hc-sc.gc.ca/d[...] Hc-sc.gc.ca 2013-01-05
[111] 간행물 De-registration of pharmaceutical products containing sibutramine http://www.info.gov.[...] info.gov in Hong Kong 2010-11-08
[112] 간행물 Thai FDA reveals voluntary withdrawal of sibutramine from the Thai market https://web.archiv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f Thailand 2010-12-22
[113] 논문 Increased dietary protein and combined high intensity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improves body fat distribut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2006-08
[114] 논문 Combined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diet on lipids and lipoproteins in overweight and obese adults: a meta-analysis 2012
[115] 논문 Effect of thiazolidinediones on body weight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2003-12
[116] 웹사이트 European Medicines Agency recommends suspension of Avandia, Avandamet and Avaglim http://www.ema.europ[...] 2010-09-23
[117] 논문 Weight science: evaluating the evidence for a paradigm shift 2011-01
[118] 논문 Low-fat dietary pattern and weight change over 7 years: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Dietary Modification Trial 2006-01
[119] 웹사이트 Belly fat in men: What you need to know http://www.mayoclini[...] Mayoclinic.com 2007-01-19
[120] 웹사이트 https://www.merriam-[...] 2021-08-02
[121] 논문 Beer and obesity: a cross-sectional study 2003-10
[122] 뉴스 Why the beer belly may be a myth http://news.bbc.co.u[...] BBC News 2003-10-12
[123] 서적 Economic costs of abdominal obesity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