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중 감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중 감소는 총 체질량의 감소를 의미하며, 건강 개선 또는 외모 변화를 위해 의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질병으로 인해 의도치 않게 발생할 수도 있다. 의도적인 체중 감소는 비만 치료의 주요 방법이며, 식단 조절과 신체 활동 증가를 통해 이루어진다. 체중 감량은 당뇨병 예방 및 관리, 건강 위험 감소, 골관절염 증상 완화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의도적이지 않은 체중 감소는 체지방, 체액, 근육량 감소 등으로 나타나며, 6개월 이내 체중의 10% 이상 감소 또는 한 달 내 5% 감소는 의료적 문제로 간주될 수 있다. 이는 영양 섭취 부족, 질병, 신진대사 변화, 약물, 심리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쇠약, 삶의 질 저하, 사망률 증가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체중 감소는 당뇨병, 암,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지만, 과도한 체중 감량 후에는 신진대사가 저하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증상 및 징후 - 섬유화
섬유화는 섬유아세포가 과도하게 결합 조직을 생성하는 흉터 형성 과정과 유사하며, TGF 베타와 같은 매개체에 의해 시작되어 다양한 조직에서 질환을 유발할 수 있고, 역전될 수도 있다. - 증상 및 징후 - 누공
누공은 질병, 외상, 또는 외과적 시술로 인해 혈관이나 장기 사이에 비정상적인 통로가 형성된 상태로, 원인과 범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며 특정 질환 치료를 위해 의도적으로 만들기도 한다. - 비만 - 그렐린
그렐린은 1999년에 발견된 호르몬으로,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고 식욕을 자극하며 에너지 항상성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비만 - 지방 조직
지방 조직은 에너지 저장, 단열, 장기 보호 기능을 하는 결합 조직으로, 백색, 갈색, 베이지색 지방 등으로 나뉘며 과도한 축적은 비만을 유발한다.
체중 감소 | |
---|---|
체중 감소 | |
정의 | 총체중의 감소 |
2. 의도적인 체중 감소
의도적인 체중 감소는 건강과 피트니스를 개선하거나 외모를 바꾸려는 노력으로 인해 나타나는 체중 감소를 의미한다. 이는 비만증 치료의 주요 방법이다.[76][77][78] 체중을 7~10% 감량하면 당뇨병 전 단계에서 2형 당뇨병으로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으며, 당뇨병 환자의 경우 5~15% 체중 감량으로 심혈관 대사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3]
2. 1. 방법
의도적인 체중 감소는 피트니스와 건강을 개선하거나 살빼기를 통해 용모를 바꾸려는 노력의 결과로서 이루어지는 총 체질량의 감소를 말한다. 체중 감소는 비만증 치료의 주된 방법이다.[76][77][78]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사람은 체중 감량을 통해 건강 위험을 줄이고,[5] 체력을 향상시키며,[4] 당뇨병 발병을 지연시킬 수 있다.[5]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경우 통증 감소와 움직임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4] 체중 감량이 고혈압(혈압 상승) 감소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이것이 고혈압 관련 피해를 줄이는지는 불분명하다.[5]체중 감량은 소모하는 것보다 적은 칼로리를 섭취하는 생활 방식을 통해 달성된다.[6] 우울증, 스트레스, 지루함 등은 개인에 따라 원치 않는 체중 증가 또는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7][8] 이 경우 의학적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2010년 연구에 따르면 충분한 수면을 취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두 배 이상 많은 지방을 감량했다.[9][10] 비타민 D 보충이 도움이 된다는 가설이 있지만, 연구 결과는 이를 뒷받침하지 않는다.[11] 대부분의 경우 장기적으로 체중이 다시 증가한다.[12]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와 미국인을 위한 식이 지침에 따르면, 건강한 체중을 달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칼로리만 섭취하고 꾸준히 신체 활동을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13][6]
체중 감량을 영구적으로 유지하려면 식단과 생활 방식의 변화도 영구적이어야 한다.[14][15][16] 상담이나 운동만으로는 체중 감량 효과가 없다는 증거가 있으며, 다이어트만으로 의미 있는 장기적인 체중 감량이 가능하다. 다이어트와 운동을 병행하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17] 식사 대용식, 올리스타트, 초저칼로리 식단 및 1차 진료 집중 의료 개입 또한 의미 있는 체중 감량을 돕는다.[18][19]
영구적인 체중 감량은 음의 에너지 균형을 유지하는 것에 달려 있으며, 섭취하는 대량 영양소(예: 탄수화물)의 종류와는 관련이 없다.[28] 고단백 식단은 증가된 열 생성과 포만감으로 인해 임의 섭취(ad libitum)하는 사람들에게 단기간(12개월 미만) 더 큰 효과를 보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 효과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29]
과도한 체중 감량 후에는 신진대사가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감량했던 체중을 다시 회복하더라도 신진대사가 감량 전 수준으로 돌아오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즉, 체중을 크게 줄였던 사람은 감량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낮은 칼로리 섭취를 계속해야 한다.[74] 미국의 한 다이어트 프로그램 참가자는 239kg 감량하여 191kg의 체중을 달성했지만, 6년 후 100kg이 다시 증가한 후에는 체중 유지를 위해 하루 800kcal만 섭취해야 했다.[74]
건강한 체중 감량을 위해서는 격렬한 운동 경기 참가나 저칼로리 식사보다는 건강한 자연식품을 적당히 섭취하고, 가공식품을 피하며,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등 합리적인 조언을 지속적으로 실천해야 한다.[75]
2. 1. 1. 식단과 운동
의도적인 체중 감량은 건강과 피트니스를 개선하고 용모를 바꾸기 위해 이루어진다. 가장 일반적인 체중 감량 방법은 식습관을 조절하고 신체 활동을 늘리는 것이다.[20] 세계보건기구(WHO)는 포화지방, 설탕, 소금 함량이 높은 가공식품 섭취를 줄이고,[21] 칼로리 섭취를 줄이며, 신체 활동을 늘릴 것을 권장한다.[22]식단, 운동 및 체중의 자가 모니터링은 체중 감량에 유익한 전략이며,[20][24][25] 특히 체중 감량 프로그램 초기 단계에 효과적이다.[26] 하루에 약 세 번, 한 달에 약 20번 식품 섭취를 기록하는 사람들이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체중 감량을 달성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0][27]
2. 1. 2. 수분 섭취
물 섭취량을 늘리면 열 생성이 증가하고, 음식 섭취량이 줄어들며, 베타 산화(지방 산화)가 증가하여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될 수 있다.[30] 체중 감량을 위해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은 물 섭취량 증가의 체중 감소 효과를 보여주었다.[31] 미국 성인의 경우, 수분 섭취 부족과 비만 사이에는 상당한 연관성이 있다.[32]2. 1. 3. 약물 치료
비만 치료제를 사용하여 식욕을 감소시키거나, 지방 흡수를 차단하거나, 위의 부피를 줄이는 방법이 있다.[33] 세마글루타이드는 최근 체중 감량 보조제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특히 2형 당뇨병과 비만이 있는 사람들에게 유익하다.[34]2. 1. 4. 비만 수술
비만 수술은 심한 비만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위 우회술과 위밴딩술이 대표적이다.[35] 두 방법 모두 위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식품 에너지 섭취를 제한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지만, 다른 모든 수술과 마찬가지로 의사와 상담하여 고려해야 할 위험이 따른다.[36]2. 2. 체중 감소 산업
대한민국에서도 체중 감소 산업은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책, DVD, 보충제, 피트니스 센터, 클리닉, 개인 트레이너, 체중 감량 그룹 등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가 제공된다.[37] 그러나 이러한 상업적 다이어트의 과학적 타당성은 매우 다양하며, 높은 이탈률 때문에 사용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제한적이다.[42][43][44][45][46][47]3. 의도적이지 않은 체중 감소
의도적이지 않은 체중 감소는 체내 지방 소실, 체액 소실, 근위축증,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80][79] 일반적으로 6개월 이내에 체중의 10% 이상 감소, 또는 지난 한 달 동안 5% 감소한 경우 의학적 문제로 간주된다.[82]
체중은 신체 구성 성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수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하루 1%를 초과하는 큰 체중 감소는 대부분 수분 부족에 의한 것이다.[71] 특히, 혈액 순환 장애를 동반하는 급성 탈수증의 경우 청소년에서 약 9%, 유아에서 약 15%의 체중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71]
체지방은 수분처럼 급격하게 변하지 않지만, 장기적인 체중 감소를 초래할 정도의 체지방량 변동은 섭식 행동이나 대사·내분비계의 이상을 반영하는 증상으로 중요하며,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쇠약"이라고 한다. 신경성 식욕부진증(거식증)이나 1형 당뇨병은 현저한 체중 감소를 초래하기 쉬운 질환이다.[72] 결핵과 같은 감염증, 악성 종양, AIDS 등도 체중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다.[72]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과 같은 근위축을 동반하는 질환에서도 체중 감소가 관찰된다.[73]
3. 1. 특징
의도하지 않은 체중 감소는 체내 지방 감소, 체액 감소, 근위축증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52][55] 일반적으로 6개월 이내에 체중의 10% 이상 감소[52][59] 또는 지난 한 달 동안 5% 감소[53]한 경우 의학적 문제로 간주된다. 체중이 너무 적은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또 다른 기준은 체질량 지수(BMI)이다.[63] 그러나 노쇠한 노인의 경우 더 적은 양의 체중 감소라도 심각한 우려의 원인이 될 수 있다.[54]비의도적 체중 감소는 사람의 에너지 필요량에 비해 영양가 없는 식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영양실조라고 함). 질병 과정, 신진대사 변화, 호르몬 변화, 약물 또는 기타 치료, 질병 또는 치료 관련 식이 변화 또는 질병이나 치료와 관련된 식욕 감소도 비의도적 체중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52][55][56][57][58] 영양소 이용률이 저하되면 체중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 위장관 누공, 설사, 약물-영양소 상호작용, 효소 고갈 및 근육 위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59]
지속적인 체중 감소는 악액질이라고 하는 모호하게 정의된 상태인 쇠약으로 악화될 수 있다.[54] 악액질은 전신 염증 반응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기아와 다르다.[54] 악액질은 더 나쁜 결과와 관련이 있다.[52][54][56] 진행성 질환의 말기에는 일반적으로 적절한 영양으로 간주되는 영양을 섭취하더라도 체중이 감소할 수 있도록 신진대사가 변할 수 있으며, 신체는 이를 보상할 수 없다. 이는 악액질성 식욕부진 증후군(ACS)이라는 상태로 이어지며 추가적인 영양 공급이나 보충제는 도움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59] ACS로 인한 체중 감소 증상에는 체지방이 아닌 근육으로 인한 심각한 체중 감소, 식욕 감소 및 소량의 음식을 먹은 후 포만감, 메스꺼움, 빈혈, 쇠약 및 피로가 포함된다.[59]
3. 2. 원인
의도하지 않은 체중 감소는 체내 지방 소실, 체액 소실, 근위축증, 또는 이들의 결합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80][79] 6개월에 걸쳐 최소 10%[80][81], 또는 한 달 안에 5%의 체중이 소실되었을 때에는 의료 문제로 간주된다.[82] 체중이 너무 적게 측정되는 또 다른 기준은 체질량 지수(BMI)이다.[83] 그러나 노쇠한 노인의 경우 더 적은 양의 체중 감소라도 심각한 우려의 원인이 될 수 있다.[54]비의도적 체중 감소는 에너지 필요량에 비해 영양가 없는 식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양실조). 질병 과정, 신진대사 변화, 호르몬 변화, 약물 또는 기타 치료, 질병이나 치료와 관련된 식욕 감소도 비의도적 체중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52][55][56][57][58] 영양소 이용률 저하는 위장관 누공, 설사, 약물-영양소 상호작용, 효소 고갈 및 근육 위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체중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59]
지속적인 체중 감소는 악액질이라고 하는 쇠약으로 악화될 수 있다.[54] 악액질은 전신 염증 반응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기아와 다르다.[54] 악액질은 진행성 질환의 말기에 신진대사 변화로 인해 적절한 영양을 섭취하더라도 체중이 감소하며, 신체는 이를 보상할 수 없다. 이는 악액질성 식욕부진 증후군(ACS)이라는 상태로 이어지며, 추가적인 영양 공급이나 보충제는 도움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59] ACS로 인한 체중 감소 증상에는 체지방이 아닌 근육으로 인한 심각한 체중 감소, 식욕 감소 및 소량의 음식을 먹은 후 포만감, 메스꺼움, 빈혈, 쇠약 및 피로가 포함된다.[59]
심각한 체중 감소는 삶의 질 저하, 치료 효과 또는 회복 손상, 질병 악화, 높은 사망률의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52][54] 영양실조는 면역 반응, 상처 치유, 근력 (호흡근 포함), 신장 기능, 체온 조절, 월경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63]
영양실조는 비타민 및 기타 결핍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욕창과 같은 다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63] 비의도적 체중 감소는 암[52] 및 1형 당뇨병과 같은 질병의 진단으로 이어지는 특징이 될 수 있다.[60] 영국에서는 일반 인구의 최대 5%가 저체중이며, 폐 질환이나 위장 질환이 있고 최근 수술을 받은 사람의 10% 이상이 저체중이다.[63] 65세 이상 인구의 10% 이상이 영양실조 위험에 처해 있다.[63] 병원 환자의 상당 부분 (10~60%)도 요양원의 유사한 비율과 함께 위험에 처해 있다.[63]
질병 관련 영양실조는 다음 네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63]
문제 | 원인 |
---|---|
섭취 장애 | 식욕 저하는 질병의 직접적인 증상이거나 질병으로 인해 식사가 고통스럽거나 메스꺼움을 유발할 수 있다. 질병은 또한 음식 기피증을 유발할 수 있다. |
소화 및/또는 흡수 장애 | 소화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
요구량 변화 | 질병, 수술 및 장기 기능 장애로 인해 신진대사 요구량이 변화할 수 있다. |
과도한 영양소 손실 | 구토나 설사와 같은 증상뿐만 아니라 누공과 인공항문으로 인해 위장관으로부터 영양소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위관 삽관 등 배액관을 통한 손실도 있을 수 있다. |
특정 질병과 관련된 체중 감소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이 진행됨에 따라 환자의 약 35%가 폐 악액질이라고 불리는 심각한 체중 감소를 경험하며, 이는 근육량 감소를 포함한다.[56] 약 25%는 중등도에서 심각한 체중 감소를 경험하고, 대부분의 다른 환자들은 어느 정도 체중 감소를 경험한다.[56] 체중 감소가 클수록 예후가 좋지 않다.[56] 기여 요인에는 활동량 감소와 관련된 식욕 부진, 호흡에 필요한 추가 에너지, 호흡곤란으로 인한 식사의 어려움 등이 있다.[56]
- 암은 매우 흔하고 때로는 치명적인 원인이 되는 설명할 수 없는 (특발성) 체중 감소이다. 의도하지 않은 체중 감소 사례의 약 3분의 1은 악성 종양으로 인한 것이다. 설명할 수 없는 체중 감소가 있는 환자에서 의심해야 할 암에는 위장관, 전립선, 담도 (간세포암, 췌장암), 난소, 혈액 또는 폐 악성 종양이 포함된다.
- HIV 감염자는 종종 체중 감소를 경험하며, 이는 더 나쁜 결과와 관련이 있다.[61] 쇠약 증후군은 AIDS를 정의하는 상태이다.[61]
- 위장 장애는 설명할 수 없는 체중 감소의 또 다른 흔한 원인이다. 셀리악병, 위궤양병, 염증성 장 질환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 췌장염, 위염, 설사, 만성 장간막 허혈[62] 및 기타 많은 위장 질환이 이에 포함된다.
- 진균성 질환, 심내막염, 많은 기생충 질환, AIDS, 휘플병 및 기타 일부 아급성 또는 잠복 감염과 같은 감염은 체중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 신장 질환. 요독증이 있는 환자는 종종 식욕이 부족하거나 없으며, 구토와 메스꺼움을 경험한다. 이로 인해 체중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 심장 질환. 심혈관 질환, 특히 울혈성 심부전은 설명할 수 없는 체중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 결합 조직 질환
- 구강, 미각 또는 치과 문제 (감염 포함)는 영양 섭취를 줄여 체중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59]
의학적 치료는 직간접적으로 체중 감소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치료 효과와 회복을 저해하여 악순환을 통해 추가적인 체중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52] 많은 환자들은 수술 후 통증을 느끼고 식욕이 감퇴한다.[52] 신체가 수술에 반응하는 과정의 일부는 상처 치유에 에너지를 집중하는 것이며, 이는 신체의 전체적인 에너지 요구량을 증가시킨다.[52] 수술은 특히 회복 기간 동안 상처 치유 및 기타 회복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간접적으로 영양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52][63] 수술 절차가 소화 시스템을 영구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수술은 영양 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52] 경장영양 (튜브 영양 공급)이 종종 필요하다.[52] 조기 수술 후 영양 공급은 수술 후 회복 향상 프로토콜의 일부이다.[65]
빈곤, 사회적 고립, 선호하는 음식을 구하거나 준비할 수 없는 상황과 같은 사회적 조건은 의도치 않은 체중 감소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노인에게서 흔하게 나타날 수 있다.[66] 영양 섭취는 문화, 가족, 신념 체계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59] 맞지 않는 의치 및 기타 치과 또는 구강 건강 문제는 영양 섭취의 적절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59]
희망, 지위 또는 사회적 접촉의 상실과 영적 고통은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피로와 마찬가지로 영양 섭취 감소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59]
4. 건강에 미치는 영향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사람이 체중을 줄이면 건강 위험이 감소하고,[5] 피트니스가 향상되며,[4] 당뇨병 발병을 늦출 수 있다.[5]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경우 통증이 줄고 움직임이 증가할 수 있다.[4] 체중 감소는 고혈압을 낮출 수 있지만, 고혈압 관련 피해를 줄이는지는 불분명하다.[5] 비만은 당뇨병, 암, 심혈관 질환, 고혈압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포함한 특정 질환의 위험 요소이며, 체중 감소는 이러한 위험을 낮춘다. 체중이 1kg 감소하면 혈압이 약 1mmHg 정도 떨어진다.[69] 의도적인 체중 감소는 과체중 및 비만 개인의 인지 기능 향상과 관련이 있다.[70]
5. 체중 감소 관련 속설
신진대사율이 체중의 "핵심"이라는 생각은 "부분적으로 사실이고 부분적으로는 신화"이다. 신진대사가 체중 감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지만, 식단과 운동과 같은 외부 요인이 동등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67] 신진대사율을 변화시키는 것에 대한 생각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67] 피트니스 잡지의 다이어트 계획도 효과적이라고 믿어지지만, 실제로는 중요한 칼로리와 영양소의 일일 섭취량을 제한하여 사람에 따라 해로울 수 있으며, 심지어 체중 감량으로부터 개인을 멀어지게 할 수도 있다.[68]
참조
[1]
웹사이트
2015–2020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 health.gov
https://health.gov/d[...]
Skyhorse Publishing Inc.
2017-09-30
[2]
논문
2019 ACC/AHA Guideline on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2019-03-17
[3]
Professional society guidelines
Nutrition Therapy for Adults With Diabetes or Prediabetes: A Consensus Report
2019-05-01
[4]
웹사이트
Health benefits of losing weight
https://www.ncbi.nlm[...]
Institute for Quality and Efficiency in Health Care
2013-06-27
[5]
논문
Screening for and management of obesity and overweight in adults
https://www.ncbi.nlm[...]
U.S.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2011-10-01
[6]
웹사이트
Health Weight – Understanding Calories
https://www.nhs.uk/l[...]
National Health Service
2016-08-19
[7]
웹사이트
Moods for Overeating: Good, Bad, and Bored
https://www.psycholo[...]
2018-10-17
[8]
논문
Depression-Related Increases and Decreases in Appetite: Dissociable Patterns of Aberrant Activity in Reward and Interoceptive Neurocircuitry
2016-04-01
[9]
논문
Insufficient sleep undermines dietary efforts to reduce adiposity
[10]
웹사이트
Sleep might help dieters shed more fat
https://blogs.scient[...]
2010-10-04
[11]
논문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body weight statu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4-06-01
[12]
논문
The defence of body weight: A physiological basis for weight regain after weight loss
[13]
웹사이트
Executive Summary
http://health.gov/di[...]
[14]
서적
Advanced nutrition and dietetics in obesity
Wiley
2018
[15]
서적
Advanced Nutrition and Dietetics in Obes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7-11-23
[16]
웹사이트
Fact Sheet—Fad diets
https://www.bda.uk.c[...]
British Dietetic Association
2015-12-12
[17]
논문
Eight-year weight losses with an intensive lifestyle intervention: The look AHEAD study: 8-Year Weight Losses in Look AHEAD
2014
[18]
논문
Is There an Optimal Diet for Weight Management and Metabolic Health?
http://eprints.gla.a[...]
2017-05-01
[19]
논문
Weight Loss in Underserved Patients — A Cluster-Randomized Trial
2020-09-03
[20]
논문
Determinants of weight loss maintenance: a systematic review
2018-10-16
[21]
뉴스
World Health Organization recommends eating less processed food
http://news.bbc.co.u[...]
2003-03-03
[22]
웹사이트
Choosing a safe and successful weight loss program
https://www.niddk.ni[...]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2017-07-01
[23]
논문
Effect of Exercise and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n Visceral Adipo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Long-term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4]
논문
Self-Monitoring in Weight Los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2011
[25]
논문
The efficacy of a daily self-weighing weight loss intervention using smart scales and e-mail: Daily Self-Weighing Weight Loss Intervention
2013
[26]
논문
Patterns of success: Online self-monitoring in a web-based behavioral weight control program.
2013
[27]
논문
Log Often, Lose More: Electronic Dietary Self-Monitoring for Weight Loss: Log Often, Lose More
2019
[28]
논문
Carbohydrate intake – current knowledge on weight management
2022-07-01
[29]
논문
Protein-Rich Diets for Weight Loss Maintenance
[30]
논문
Water Consumption: Effect on Energy Expenditure and Body Weight Management
[31]
논문
Association between water consumption and body weight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32]
논문
Inadequate Hydration, BMI, and Obesity Among US Adults: NHANES 2009–2012
[33]
논문
Anti-obesity drug discovery: advances and challenges
2022
[34]
웹사이트
How to Stop Rebound Weight Gain After Taking Semaglutide
https://drmazaheri.c[...]
2023-09-19
[35]
웹사이트
Bariatric Surgery Highlights and Facts
http://www.bariatric[...]
bariatricguide.org
[36]
웹사이트
Gastric bypass risks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2009-02-09
[37]
웹사이트
The facts about weight loss products and programs
https://web.archiv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3-05-14
[38]
논문
Weight control behaviors among adult men and women: Cause for concern?
1999-03-01
[39]
논문
Effectiveness of herbal medicines for weight los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20-01-27
[40]
보도자료
Profiting From America's Portly Population
https://web.archive.[...]
PR Newswire
2008-04-21
[41]
웹사이트
No evidence that popular slimming supplements facilitate weight loss, new research finds
https://www.scienced[...]
2010-07-14
[42]
Review
Is There an Optimal Diet for Weight Management and Metabolic Health?
http://eprints.gla.a[...]
2017-05-01
[43]
Narrative review
Lifestyle Modification for Obesity
2012-03-06
[44]
Systematic review of RCTs
Long-Term Effects of 4 Popular Diets on Weight Los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4-11-11
[45]
서적
Advanced nutrition and dietetics in obesity
Wiley
2018
[46]
Systematic review
Systematic review: an evaluation of major commercial weight loss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2005-01-04
[47]
서적
Advanced nutrition and dietetics in obesity
Wiley
2018
[48]
Systematic review
Direct comparisons of commercial weight-loss programs on w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blood pressure: a systematic review.
2016-06-01
[49]
Professional society guideline
2013 AHA/ACC/TOS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and The Obesity Society.
2014-06-24
[50]
Review
Obesity – A Stubbornly Obvious Target for Stroke Prevention
2013-01-01
[51]
논문
Efficacy of commercial weight-loss programs: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2015-04-07
[52]
논문
Nutrition in cancer care (PDQ)
https://www.ncbi.nlm[...]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1-11-01
[53]
서적
The role of nutrition in maintaining health in the nation's elderly: evaluating coverage of nutrition services for the Medicare population
https://archive.org/[...]
National Academies Press
2000-06-09
[54]
논문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geriatric cachexia: a nar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https://www.ncbi.nlm[...]
2012-02-01
[55]
논문
Evaluating and treating unintentional weight loss in the elderly
2002-02-15
[56]
논문
Undernutrition in patients with COPD and its treatment
2013-04-18
[57]
논문
Nutrition and HIV infection: review of weight loss and wasting in the era of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from the nutrition for healthy living cohort
[58]
논문
Hyperthyroidism (primary)
2010-07-19
[59]
논문
Interventions for fatigue and weight loss in adults with advanced progressive illness
2012-01-18
[60]
서적
Type 1 diabetes in adults: National clinical guideline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https://www.ncbi.nlm[...]
Royal College of Physicians UK
[61]
논문
Nutrition and HIV infection: review of weight loss and wasting in the era of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from the nutrition for healthy living cohort
2006-03-15
[62]
논문
Weight Loss: A Significant Cue To The Diagnosis of Chronic Mesenteric Ischemia.
2019-08-07
[63]
서적
Nutrition Support for Adults: Oral Nutrition Support, Enteral Tube Feeding and Parenteral Nutrition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Acute Care (UK)
2006-02-01
[64]
논문
Early enteral nutrition within 24 hours of lower gastrointestinal surgery versus later commencement for length of hospital stay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2018-10-18
[65]
논문
Preoperative nutrition therapy in people undergoing gastrointestinal surgery
2024-04-08
[66]
논문
An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unintentional weight loss in elderly people
2005-03-15
[67]
뉴스
Does Metabolism Matter in Weight Loss?
https://www.health.h[...]
[68]
서적
The Gale Encyclopedia of Senior Health
Gale
[69]
논문
Weight Loss and Blood Pressure Control (Pro)
[70]
논문
Weight loss is associated with improvements in cognitive function among overweight and obese peopl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arro.anglia.a[...]
2017-01-01
[71]
서적
脱水症
http://merckmanual.j[...]
MSD
2007-05
[72]
서적
内科学 第2版
文光堂
2003-11
[73]
간행물
VIII. 呼吸管理・栄養管理
http://www.neurology[...]
日本神経学会
2002
[74]
웹사이트
Exercise, metabolism, and weight: New research from The Biggest Loser
https://www.health.h[...]
2022-01-27
[75]
웹사이트
Exercise, metabolism, and weight: New research from The Biggest Loser
https://www.health.h[...]
2022-01-27
[76]
웹인용
2015–2020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 health.gov
https://health.gov/d[...]
Skyhorse Publishing Inc.
2017
[77]
저널
2019 ACC/AHA Guideline on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2019-03-17
[78]
Professional society guideline
2013 AHA/ACC/TOS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and The Obesity Society.
2014-06-24
[79]
저널
Evaluating and treating unintentional weight loss in the elderly
2002-02-15
[80]
웹인용
Nutrition in cancer care (PDQ)
https://www.ncbi.nlm[...]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1-11
[81]
저널
Interventions for fatigue and weight loss in adults with advanced progressive illness
2012-01-18
[82]
서적
The role of nutrition in maintaining health in the nation's elderly: evaluating coverage of nutrition services for the Medicare population
https://archive.org/[...]
National Academies Press
2000-06-09
[83]
저널
Nutrition Support for Adults: Oral Nutrition Support, Enteral Tube Feeding and Parenteral Nutrition
https://www.ncbi.nlm[...]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Acute Care (UK)
2006-0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몇달새 몇년 늙은’ 우주인…백발로 변하고 주름 깊게 파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