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구산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아구산주는 1966년 구 아구산 주가 남북으로 분할되어 설립된 필리핀의 내륙 주이다. 아구산 강을 중심으로 동서에 산맥이 위치한 분지 형태의 지형을 가지며, 1969년 초대 지방 지사와 하원 의원이 선출되었다. 초기 역사는 북아구산주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와 미국 식민 시대를 거치며 벌목이 주요 활동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의 점령을 겪었으며, 1966년 아구산주 분할 이후 바야우간 시가 시로 승격되었다. 2020년 기준 인구는 739,367명이며,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쌀, 옥수수, 바나나 등이 재배된다. 아구산 습지 야생동물 보호구역을 비롯한 다양한 관광 명소와 날리가간 축제 등의 문화 행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라가 지방 - 남수리가오주
남수리가오주는 필리핀 민다나오 섬에 위치한 주로, 풍부한 천연자원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지니고 있으며, 스페인과 미국 점령 시대를 거쳐 필리핀 독립 후 수리가오 주에서 분리되었고,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며 농업, 임업, 광업을 주요 산업으로 하고, 티누이안 폭포, 히나투안 마법의 강 등 관광 자원이 풍부하다. - 카라가 지방 - 북아구산주
북아구산주는 필리핀의 주로, 아구산주에서 분리되어 독립한 후 스페인, 미국 식민 시대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점령을 겪었으며, 1967년 아구산델노르테와 아구산델수르로 분할되었고, 현재 주도는 카바드바란 시이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남아구산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 |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아구산델수르 |
| 현지어 표기 | |
| 위치 | 필리핀 민다나오 카라가 |
| 중심지 | 프로스페리다드 |
| 최대 도시 | 바유간 |
| 주지사 | 산티아고 B. 카네 주니어(NUP) |
| 부지사 | 사무엘 E. 토르토 (NUP) |
| 지방 의회 | 아구산델수르 지방 의회 |
| 면적 순위 | 81개 중 4위 |
| 최대 고도 | 1,678 미터 |
| 최대 고도 지점 | 다투마수야파 산 |
| 인구 밀도 | 자동 |
| 인구 밀도 순위 | 81개 중 76위 |
| 시간대 | PHT |
| UTC 오프셋 | +8 |
| 소득 등급 | 1등급 |
| 지방 찬가 | Hail, Agusan del Sur |
| 행정 구역 | |
| 도시 | 독립 도시: 0개 구성 도시: 1개 (바유간) |
| 자치체 | 부나완 에스페란사 라파스 로레토 프로스페리다드 로사리오 산프란시스코 산루이스 산타호세파 시바가트 탈라코곤 트렌토 베루엘라 |
| 바랑가이 | 314개 |
| 하원 의원 지구 | 아구산델수르 선거구 |
| 언어 | |
| 사용 언어 | 세부아노어 수리가오어 부투아논어 아구산어 히가오논어 타갈로그어 영어 |
2. 역사
남아구산주의 역사는 기본적으로 자매 지역인 북아구산 주의 역사와 연결되어 있다.
1966년 6월 18일, 구 아구산 주가 남북으로 분할되어 남아구산주가 성립되었다.[3] 1967년 6월 17일에는 공화국 법 4969호에 따라 아구산델노르테 주와 남아구산 주로 분할되었다.[3] 1970년 1월, 1969년 11월 주 선거에서 선출된 첫 주 공무원들이 취임했다. 같은 법에 따라 남아구산 주의 주도는 프로스페리다드 시로 정해졌고, 정부 청사는 바랑가이 파틴-아이에 설치되었다.
초대 지방 지사는 루피노 C. 오테로, 초대 하원 의원은 데모크리토 O. 플라자였다. 데모크리토 O. 플라자 하원 의원의 임기는 1972년 9월 21일 계엄령 선포로 의회가 폐지되지 않았다면 1973년 12월까지였을 것이다. 계엄령으로 거의 10년 동안 국회가 없었다가, 1978년 임시 바타상 팜반사가 소집되었을 때 에델미로 아만테가 이 지역을 대표했다.
바야우간 시는 ''공화국 법 9405호''에 의거하여 구성 도시가 되었으며, 이 법은 2007년 6월 21일에 비준되었다. 그러나 LCP이 도시화 법의 유효성에 의문을 제기하여 2008년과 2010년에 두 번이나 도시 지위를 상실했다. 이후 대법원이 2011년 2월 15일에 도시화 법이 헌법에 부합한다고 판결하여 최종적으로 도시 지위를 재확인했다.
2. 1. 초기 역사

남아구산주의 역사는 자매 지역인 북아구산 주의 역사와 본질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아구산의 선(先)스페인 시대 문화 역사는 1917년 에스페란자 마아삼에서 발견된 약 20.32cm 높이의 순금 여성상과 프로스페리다드 바-바에서 발굴된 녹은 항아리를 통해 마자파힛 제국의 큰 영향력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남아구산주의 원주민은 오늘날의 말레이인 이민자들의 물결에 의해 내륙으로 밀려난 현존하는 마만와족의 조상이다. 이 이민자들은 해안 지역에 정착지를 건설한 항해 민족인 모로족의 잦은 침입과 끊임없는 습격 때문에 내부 정글의 보호를 구했다.
1966년 6월 18일, 구 아구산 주가 남북으로 분할되어 남아구산주가 성립되었다.
2. 2. 스페인 식민 시대
아우구스티누스회 재수도회는 1614년 현재의 부나완 인근 리나오에 선교부를 설립했다. 그러나 주변 마노보 부족의 적대감으로 선교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 17세기 중반 마긴다나오 술탄국이 절정에 달했을 때, 아구산 계곡의 마노보족은 술탄 쿠다라트와 동맹을 맺었다. 리나오는 1629년 카라가 반란과 1649년 수무로이 반란 동안 여러 차례 공격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수도회는 선교 사업을 확립하여 19세기 중반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19세기 후반, 재수도회는 (항의하며) 상부 아구산 지역을 포함한 많은 선교 영토를 재결성된 예수회에 넘겨주었다(예수회는 1760년대 교황 칙령에 의해 금지되었고 1768년 필리핀에서 추방되었다). 필리핀 혁명으로 예수회가 도망치거나 혁명군에게 체포되면서 선교 사업은 중단되었다. 아구산델수르 주는 스페인 시대 대부분 동안 카라가 주의 일부로 통치되었다. 1860년에는 수리가오 주의 구역인 부투안의 ''코만단시아''에 편입되었다.
2. 3. 미국 식민 시대
미국 점령기 동안, 남아구산주에서 벌목은 중요한 활동이 되었다. 비사야인 이주민들은 개간된 평원에 정착했고, 원주민 공동체를 산 경사면으로 더 밀어냈다.1914년, 미국 정부에 의해 아구산 주가 설치되었다.
아구산 계곡은 마노보족, 마만와족, 히가오논족과 같은 다양한 문화 공동체에 의해 정착되었다. 아구산 계곡 평야 하부에서 이루어진 고고학적 발굴은 이 지역과 동남아시아 국가 간의 강력한 관계에 대한 증거를 발견했다. 1920년대에 발굴된 자바-인도 양식의 황금상과 프로스페리다드에서 발견된 녹은 단지는 이 지역이 해안과 상업적, 문화적 연계를 가졌음을 보여준다.
2. 4. 일본 점령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의 일본군은 1942년 남아구산주에 상륙하여 1945년 아구산 전투에서 미국과 필리핀 연방군 연합군 및 공인된 게릴라 부대에 의해 패배할 때까지 주를 점령했다.필리핀 연방군의 일반 사령부와 군사 기지는 1942년 1월 3일부터 1946년 6월 30일까지 활동했으며, 필리핀 경찰의 제10 보병 연대는 1944년 10월 28일부터 1946년 6월 30일까지 다시 활동하며 일본 점령군에 대항하는 작전에 참여하기 위해 수리가오주에 주둔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필리핀-미국 연합 방위군의 한 부대가 아구산 계곡 내륙의 탈라코곤 마놋에 주둔했다.
2. 5. 필리핀 독립
1966년 6월 18일, 구 아구산 주가 남북으로 분할되었다.[3] 1967년 6월 17일, 공화국 법 4969호에 따라 아구산 주가 아구산델노르테 주와 남아구산 주로 분할되었다.[3]
1970년 1월, 1969년 11월 주 선거에서 선출된 첫 주 공무원들이 취임했다. 같은 법에 따라 남아구산 주의 주도는 프로스페리다드 시로 정해졌고, 정부 청사는 바랑가이 파틴-아이에 설치되었다.
초대 지방 지사는 루피노 C. 오테로, 초대 하원 의원은 데모크리토 O. 플라자였다. 데모크리토 O. 플라자 하원 의원의 임기는 1972년 9월 21일 계엄령 선포로 의회가 폐지되지 않았다면 1973년 12월까지였을 것이다. 계엄령으로 거의 10년 동안 국회가 없었다가, 1978년 임시 바타상 팜반사가 소집되었을 때 에델미로 아만테가 이 지역을 대표했다.
2. 6. 현대
바야우간 시는 ''공화국 법 9405호''에 의거하여 구성 도시가 되었으며, 이 법은 2007년 6월 21일에 비준되었다. 그러나 LCP이 도시화 법의 유효성에 의문을 제기하여 2008년과 2010년에 두 번이나 도시 지위를 상실했다. 이후 대법원이 2011년 2월 15일에 도시화 법이 헌법에 부합한다고 판결하여 최종적으로 도시 지위를 재확인했다.[1]
1966년 6월 18일, 구 아구산 주가 남북으로 분할되어 남아구산 주가 성립되었다.[2]
3. 지리
아구산(Agusan)이라는 이름은 아구산어 단어인 ''아가산(agasan)''에서 유래되었으며, "물이 흐르는 곳"을 의미하는 아구산 강을 가리킨다.[4] 이 강은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큰 강으로, 남아구산 주 지역을 남쪽에서 북쪽으로 250km 굽이쳐 부투안 만으로 흘러든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스페인인들이 이 강을 통해 민다나오 북동부 내륙으로 접근했다.
1976년 당시 남아구산 주의 면적은 8568km2로 전국에서 7번째로 컸다. 이후 다바오델노르테 주, 부투안 간의 경계 분쟁이 해결되고 시바갓이 신설되면서 현재 면적은 8966km2이다.
로레토, 라파스, 에스페란자, 산루이스는 주 전체 면적의 거의 60%를 차지하는 가장 넓은 4개의 지방 자치 단체이다. 강가에 위치한 산타호세파와 탈라코곤은 면적이 가장 좁다.
산림은 전체 면적의 76%인 6827.5km2를 차지하며, 매각 및 처분 가능한 토지는 약 24%인 2137.5km2이다. 그러나 현재 토지 이용 현황을 보면 정착지와 상업 지역이 이미 일부 산림을 차지하고 있다. 남아구산 주는 오랜 기간 동안 채취 산업 위주의 산업 구조로 인해 많은 산림 자원을 잃었다.
남아구산 주는 동쪽과 서쪽에 산맥이 있고 중앙에 길쭉한 분지 형태를 띤다. 아구산 강은 남쪽 다바오 데 오로에서 시작하여 북쪽 북아구산 주까지 계곡의 중앙을 관통하여 부투안 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 강에는 12개의 지류가 있는데, 동쪽에는 와와 강, 기봉 강, 시물라오 강이 있고, 서쪽에는 오조트 강, 푸실라오 강, 카실라얀 강, 리방 강, 마아삼 강, 아드가완 강, 카와얀 강, 우마얌 강, 이하온 강이 있다. 이 지류들은 시내와 개울에 의해 공급된다. 베루엘라 시에서 시작되는 주의 남쪽 절반은 늪과 호수로 가득 차 있으며, 가장 큰 호수는 탈라코곤 호수이다.
주요 하천은 아구산 강이다.
남아구산 주는 북쪽으로 북아구산 주, 동쪽으로 남수리가오 주, 남동쪽으로 다바오 지방의 동다바오 주와 다바오 데 오로 주, 남쪽으로 북다바오 주, 서쪽으로 북민다나오 지방의 부키드논 주, 북서쪽으로 동미사미스 주와 접한다.
3. 1. 기후
필리핀의 수정된 코로너스 분류에 기반한 기후 지도에 따르면 남아구산 주는 유형 II에 속한다.[4]유형 II 기후는 건기가 없고 강수량이 많은 매우 뚜렷한 우기를 보인다. 최대 강우량은 일반적으로 12월에서 1월 사이에 발생하지만 건기는 없다. 평균 월 강수량은 355mm이고 평균 기온은 27.15°C이다. 이 기후 유형의 특징을 보이는 지역은 일반적으로 동부 해안을 따라 있거나 매우 가까이 있어 북동 몬순의 영향을 받는다.[4]
남아구산 주는 필리핀의 기후 변화에 가장 취약한 20개 지방 중 하나이다.[4]
3. 2. 행정 구역
남아구산주는 13개의 지방 자치체와 1개의 도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314개의 바랑가이를 가지고 있다.| 도시/지방 자치체 | 선거구 | 인구 (2020) | 면적 (km2) | 면적 (sq mi) | 인구 밀도 (/km2) | 인구 밀도 (/sq mi) | 바랑가이 수 |
|---|---|---|---|---|---|---|---|
| 바야간 | 제1선거구 | 103,202 | 688.77km2 | 약 688.93km2 | 159 | 411 | 43 |
| 부나완 | 제2선거구 | 45,151 | 512.16km2 | 약 512.82km2 | 93 | 240 | 10 |
| 에스페란자 | 제1선거구 | 54,801 | 1355.48km2 | 약 1354.56km2 | 44 | 113 | 47 |
| 라파스 | 제2선거구 | 28,217 | 1481.12km2 | 약 1481.47km2 | 21 | 54 | 15 |
| 로레토 | 제2선거구 | 42,501 | 1462.74km2 | 약 1463.34km2 | 30 | 78 | 17 |
| 프로스페리다드 | 제1선거구 | 82,631 | 505.15km2 | 약 505.05km2 | 175 | 453 | 32 |
| 로사리오 | 제2선거구 | 46,683 | 385.05km2 | 약 385.91km2 | 129 | 333 | 11 |
| 산프란시스코 | 제2선거구 | 74,542 | 392.53km2 | 약 393.68km2 | 206 | 532 | 27 |
| 산루이스 | 제1선거구 | 32,109 | 950.5km2 | 약 950.52km2 | 37 | 96 | 25 |
| 산타호세파 | 제2선거구 | 26,729 | 341.8km2 | 약 341.88km2 | 77 | 200 | 11 |
| 시바갓 | 제1선거구 | 30,442 | 567.82km2 | 약 567.20km2 | 60 | 155 | 24 |
| 탈라코곤 | 제1선거구 | 38,374 | 405.25km2 | 약 406.63km2 | 98 | 253 | 16 |
| 트렌토 | 제2선거구 | 51,565 | 555.7km2 | 약 554.25km2 | 98 | 254 | 16 |
| 베루엘라 | 제2선거구 | 43,706 | 385.45km2 | 약 385.91km2 | 103 | 267 | 20 |
| 합계 | style="text-align:center;" | | 700,653 | 9989.52km2 | 약 9989.53km2 | 74 | 192 | 314 |
남아구산주는 13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1개의 구성 도시를 포함하는 두 개의 하원 선거구로 나뉜다.[6]
| 선거구 | 하원 의원 | 시/자치 단체 | 선거구 인구 (2015년) |
|---|---|---|---|
| 제1선거구 | 알펠리토 M. 바스쿠그 | 바야간, 에스페란자, 프로스페리다드, 산루이스, 시바갓, 탈라코곤 | 341,559 |
| 제2선거구 | 아돌프 에드워드 G. 플라자 | 부나완, 라파스, 로레토, 로사리오, 산프란시스코, 산타호세파, 트렌토, 베루엘라 | 359,094 |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남아구산주의 인구는 739,367명이며, 인구 밀도는 1km2당 74명이다.
2000년 이 지역의 인구는 559,294명으로, 1995년 이후 44,558명(7.96%) 증가했으며, 연간 인구 성장률은 1.79%였다.[4] 103,637 가구의 평균 가구 규모는 5.39명이었고, 인구 밀도는 1km2당 62명, 남녀 성비는 107:100이었다.
아이타, 마만와, 바고보, 히가오논, 마노보 등 5개의 부족이 이 지역에 살고 있다. 마노보족은 국도와 다바오데오로와의 경계선 방향으로 강을 따라 마을에 거주하며, 히가오논족은 주로 아구산강 서쪽, 에스페란사 지역과 부키드논과의 경계선 방향으로 거주한다.
남아구산주의 인구는 주로 비사야 제도 출신 이주민들로 구성되며, 세부, 보홀, 시키호르, 네그로스 오리엔탈 및 세부아노어를 사용하는 민다나오 지역에서 왔다. 일로코스 지방, 카가얀 계곡, 코르디예라 행정구, 중앙 루손, 칼라바르손, 민도로, 마린두케, 비콜 지방, 파나이, 네그로스 옥시덴탈, 사마르 출신 후손들도 소수 거주한다. 이주민과 원주민 간의 결혼으로 인해 원주민 비율이 감소했다.
세부아노어는 남아구산주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언어이다. 필리피노/타갈로그어와 영어 또한 널리 사용되고 이해되며, 지방 정부의 행정, 교육, 사업에서 자주 사용된다. 보홀 세부아노 방언, 부투아논어, 일로카노어, 힐리가이논어, 팡가시난어, 수리가오논어, 와라이어 등도 이 지역에서 사용된다. 원주민들은 세부아노어 외에도 각각의 언어와 방언을 유창하게 구사한다.
5. 경제
199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남아구산 주 노동력의 75%가 농업 및 임업에 종사하고 있다. 주요 농작물은 쌀, 옥수수, 과일이다. 남아구산 주에는 287,000명의 노동 인구가 있으며, 대부분 농업 및 임업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대학교를 포함한 여러 대학에서 영어 구사 능력을 갖춘 인력을 배출하고 있으며, 정보 기술 분야의 기술 개발 과정을 제공하는 교육 기관도 있다.
5. 1. 농업
쌀은 가장 넓은 경작 면적을 차지하며, 243.85km2의 관개 면적에서 1 km2당 410 t의 수확량을 보이며, 강수량에 의존하는 벼는 약 165.73km2의 면적에서 1 km2당 300 t의 수확량을 보인다. 이 지방의 쌀 생산량은 1,072,456명을 먹여 살릴 수 있는 추정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이 지방의 인구보다 훨씬 많다. 아이러니하게도, 특히 고지대와 접근하기 어려운 바랑가이에서는 쌀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옥수수 농장은 흰색과 노란색 옥수수를 모두 합쳐 255.25km2에 걸쳐 있으며, 2000년 총 생산량은 55,767 t이며, 31,106 MT의 옥수수 가루가 남아 있어 이 지방 인구의 4배가 넘는 200만 명 이상을 먹여 살릴 수 있다.
바나나는 또 다른 풍부한 작물로 127.45km2의 면적을 차지한다. 바나나칩도 이 지방에서 가공된다.
야자유 농장은 118km2를 차지한다. 이 농장은 말레이시아-필리핀 합작 투자이며, 농지 개혁 수혜자가 토지 소유자이다. 원유는 로사리오와 트렌토에서 가공된다.
코코넛 나무는 이 지방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393.36km2를 차지한다. 정부의 가금류 및 축산 생산량 증대 노력에도 불구하고 육류 공급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가공된 가금류와 쇠고기는 다바오 시와 카가얀데오로 시에서 수입된다. 남아구산주는 해산물 공급을 위해 수리가오델수르 및 기타 인근 해안 지방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에는 가물치, 메기, 틸라피아와 같은 담수어가 풍부하게 공급된다.
5. 2. 빈곤
필리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남아구산 주의 빈곤율은 2015년에 44.7%였으나,[7][12] 2018년에는 25.9%로 감소하였다.[13]
6. 관광

- 아구산 습지 야생동물 보호구역 — 필리핀에서 가장 큰 습지이자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늪
- 피난다가탄 폭포 — 아구산델수르 시바갓 뉴 투비곤 바랑가이에 있는, 새롭게 발견된 때묻지 않은 숨겨진 낙원이다. 카라가 배낭여행자 그룹에 따르면 피난다가탄 폭포는 카라가 지역 전체에서 본 최고의 폭포일 수 있다.
- 마나공 폭포 — 아구산델수르 시바갓 파디아이 바랑가이에 있으며,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폭포이자 카라가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폭포로 알려져 있다.
- 베가 폭포 — 아구산델수르 프로스페리다드 마부하이 바랑가이에 있다.
- 캄포나이 폭포 — 아구산델수르 시바갓 타본타본 바랑가이에 있으며, 2차림 내 폭포 한가운데 동굴이 있어 지역 야외 레크리에이션 장소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 토공공 폭포 — 아구산델수르 시바갓 콜람부간 바랑가이에 있다.
- 비나바 폭포 — 아구산델수르 프로스페리다드 마부하이 바랑가이에 있다.
- 투고난 폭포 — 아구산델수르 프로스페리다드 산 로렌조 바랑가이에 있다.
- 와와 강(아구산델수르) — 시바갓, 바유간, 아구산델수르 에스페란자 지역에 있다.
- 아구산 강 — 산 호세파, 베루엘라, 아구산델수르 로레토, 탈라코곤, 아구산델수르 산 루이스, 아구산델수르 에스페란자 지역에 있는 250km 길이의 강
- 기봉 강 — 아구산델수르 프로스페리다드와 탈라코곤 지역에 있다.
- 부나기트 구름 바다 — 아구산델수르 에스페란자 부나기트 바랑가이
- 나리야간 문화 센터 — 지방 랜드마크, 지방 주도 복합 단지, 아구산델수르 프로스페리다드 파티나이 바랑가이
- 센테니얼 투그 나무 — 수령 300년 이상, 높이 65m로 필리핀에서 가장 높은 로즈우드 나무로 아구산델수르 산프란시스코에 있다.
- 마운트 마그디와타 유역 — 아구산델수르 산프란시스코
- 푸팅 부항인 동굴 — 아구산델수르 프로스페리다드 포블라시온 바랑가이
- 날리가간 축제 - 아구산델수르 주 헌장 기념일의 일주일 간의 축제
7. 문화
8.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Provincial Anthem
https://agusandelsur[...]
Province of Agusan del Sur
2024-01-07
[2]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4-05-14
[3]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4979; An Act Creating the Provinces of Agusan del Norte and Agusan del Sur
http://www.lawphil.n[...]
2016-03-18
[4]
웹사이트
About Caraga
https://nro13.neda.g[...]
2022-05-14
[5]
뉴스
MCGI faces a challenge in delivering a medical mission to Sitio Tigbaw, Agusan del Sur
https://www.facebook[...]
2022-12-24
[6]
웹사이트
House Members; 17th Congress
http://www.congress.[...]
2016-08-07
[7]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8]
간행물
2000
[9]
간행물
2003
[10]
간행물
2006
[11]
간행물
2012
[12]
간행물
2015
[13]
간행물
2018
[14]
간행물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