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분배 격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배 격자는 격자의 모든 원소 x, y, z에 대해 분배 법칙 x ∧ (y ∨ z) = (x ∧ y) ∨ (x ∧ z)가 성립하는 격자를 말한다. 분배 격자는 격자를 부분 순서 집합으로 볼 때, 만남 연산이 공집합이 아닌 유한 결합을 보존하는 것을 의미하며, 쌍대성 또한 성립한다. 분배 격자는 오각형 격자와 다이아몬드 격자를 부분 격자로 포함하지 않으며, 다양한 동치 조건과 성질을 갖는다. 분배 격자는 모든 모듈러 격자이며, 부울 대수, 헤이팅 대수, 전순서 집합 등 다양한 격자가 분배 격자에 해당한다. 분배 격자는 멱집합 격자와 동형이며, 버코프와 스톤의 표현 정리를 통해 특징지어진다. 자유 분배 격자는 생성자 집합의 유한 부분 집합의 중복되지 않은 집합으로 구성되며, 데데킨트 수로 그 크기가 결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격자 이론 - 직교 여원 격자
    직교 여원 격자는 모든 원소가 여원을 가지는 유계 격자로서, 유계 분배 격자에서 최대 하나의 여원을 가지며 논리 회로 설계, 양자 컴퓨팅,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격자 이론 - 완비 격자
    완비 격자는 모든 부분 집합이 상한과 하한을 갖는 부분 순서 집합으로, 격자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이며 다양한 수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분배 격자
일반 정보
유형특수 격자
영어
명칭Distributive lattice

2. 정의

격자 (L, \wedge, \vee)에서 만남(meet, \wedge) 연산과 결합(join, \vee) 연산이 서로에 대해 분배 법칙을 만족할 때, 이 격자를 '''분배 격자'''라고 한다. 즉, ''L''에 속하는 모든 원소 ''x'', ''y'', ''z''에 대해 다음 항등식 중 하나가 성립하면 분배 격자이다 (두 항등식은 서로 동치이다[1]).


  • x \wedge (y \vee z) = (x \wedge y) \vee (x \wedge z)
  • x \vee (y \wedge z) = (x \vee y) \wedge (x \vee z)


첫 번째 식은 만남 연산이 결합 연산에 대해 분배됨을 의미하고, 두 번째 식은 결합 연산이 만남 연산에 대해 분배됨을 의미한다.

모든 격자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음 두 부등식이 항상 성립한다.

  • x \wedge (y \vee z) \ge (x \wedge y) \vee (x \wedge z)
  • x \vee (y \wedge z) \le (x \vee y) \wedge (x \vee z)


따라서 격자가 분배 격자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위의 두 부등식 중 적어도 하나에서 등호가 성립하는 것이다. 즉, 반대 방향의 부등식 중 하나라도 성립하면 그 격자는 분배 격자가 된다.

분배 격자는 순서론의 구조 또는 보편 대수학의 구조로 간주될 수 있으며, 두 관점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분배 격자가 되기 위한 다양한 동치 조건들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대수적 정의

임의의 격자 (L,\wedge,\vee)에서, ''L''의 모든 원소 ''x'', ''y'', ''z''에 대해 다음 항등식이 성립하면 '''분배 격자'''라고 한다.

: x \wedge (y \vee z) = (x \wedge y) \vee (x \wedge z)

이는 만남 연산(∧)이 공집합이 아닌 유한 결합(∨)을 보존한다는 의미이다. 격자 이론의 기본 정리 중 하나는 위 조건이 그 쌍대 조건과 동치라는 것이다.[1]

: x \vee (y \wedge z) = (x \vee y) \wedge (x \vee z)

모든 격자에서는 순서 관계 p \le qp \wedge q = p (또는 동치적으로 p \vee q = q)로 정의할 때, 다음 두 부등식이 항상 성립한다.

: x \wedge (y \vee z) \ge (x \wedge y) \vee (x \wedge z)

: x \vee (y \wedge z) \le (x \vee y) \wedge (x \vee z)

격자가 분배 격자가 되려면, 위의 두 부등식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반대 방향의 부등식도 성립해야 한다. 즉, 등식이 성립해야 한다. 분배성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분배성 (순서론) 문서에서 찾을 수 있다.

임의의 격자 (L,\wedge,\vee)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은 서로 동치이며,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격자를 '''분배 격자'''라고 한다.

  • (분배 법칙) 모든 a,b,c\in L에 대하여, a\wedge(b\vee c)=(a\wedge b)\vee(a\wedge c)
  • (쌍대 분배 법칙) 모든 a,b,c\in L에 대하여, a\vee(b\wedge c)=(a\vee b)\wedge(a\vee c)
  • (대칭 분배 법칙) 모든 a,b,c\in L에 대하여, (a\wedge b)\vee(b\wedge c)\vee(c\wedge a)=(a\vee b)\wedge(b\vee c)\wedge(c\vee a)[10]
  • (소거 법칙) 모든 a,b,c\in L에 대하여, 만약 a\wedge c=b\wedge c이며 a\vee c=b\vee c라면 a=b이다.
  • (금지된 부분 격자) 오각형 격자 pentagon lattice영어 (N_5)를 부분 격자로 포함하지 않으며, 다이아몬드 격자 diamond lattice영어 (M_3)를 부분 격자로 포함하지 않는다.[11][9]
  • '''오각형 격자'''(N_5)는 원소 \{\bot,a,b,c,\top\}를 가지고 \bot\le a\le b\le\top\bot\le c\le\top 순서 관계를 만족하는 유계 격자이다.
  • '''다이아몬드 격자'''(M_3 또는 M_5)는 원소 \{\bot,a,b,c,\top\}를 가지고 \bot\le a,b,c\le\top 순서 관계를 만족하는 유계 격자이다.


분배 격자는 순서론의 구조 또는 보편 대수학의 구조로 간주될 수 있으며, 두 관점은 상호 대응된다.

2. 2. 순서론적 정의

분배 격자 ''L''은 다른 격자처럼 순서론적 구조 또는 보편 대수학적 구조로 볼 수 있다. 두 관점의 관계는 격자 문서에서 더 자세히 다루며, 여기서는 대수적 설명이 이해하기 쉬울 수 있다.

격자 (''L'', ∨, ∧)가 '''분배적'''이라고 하는 것은, 격자 안의 모든 원소 ''x'', ''y'', ''z''에 대해 다음 분배 법칙이 성립하는 경우를 말한다.

: ''x'' ∧ (''y'' ∨ ''z'') = (''x'' ∧ ''y'') ∨ (''x'' ∧ ''z'')

이를 부분 순서 집합의 관점에서 보면, 만남(meet, ∧) 연산이 공집합이 아닌 유한 개의 원소들의 결합(join, ∨) 연산을 보존한다는 뜻이다. 격자 이론에서는 위 조건이 아래의 쌍대적인 법칙과 서로 동치 관계라는 것이 기본적인 사실이다.[1]

: ''x'' ∨ (''y'' ∧ ''z'') = (''x'' ∨ ''y'') ∧ (''x'' ∨ ''z'')

모든 격자에서는 ''p'' ≤ ''q'' 라는 순서 관계를 ''p'' ∧ ''q'' = ''p'' 와 같이 정의할 때, 다음 두 부등식은 항상 성립한다.

: ''x'' ∧ (''y'' ∨ ''z'') ≥ (''x'' ∧ ''y'') ∨ (''x'' ∧ ''z'')

: ''x'' ∨ (''y'' ∧ ''z'') ≤ (''x'' ∨ ''y'') ∧ (''x'' ∨ ''z'')

따라서 격자가 분배적이라는 것은, 위의 두 부등식 중 하나에서 등호(=)가 성립한다는 것과 같다. 즉, 앞서 제시된 두 분배 법칙 중 하나만 성립해도 그 격자는 분배 격자가 된다. 이 조건과 순서론에서의 다른 분배성 조건 사이의 관계는 분배성 (순서론) 문서에서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2. 3. 동치 조건

임의의 격자 (L,\wedge,\vee)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은 서로 동치이며,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격자를 '''분배 격자'''라고 한다.

  • (A) 모든 a,b,c\in L에 대하여, 만남(meet, \wedge) 연산은 결합(join, \vee) 연산에 대해 분배법칙을 만족한다: a\wedge(b\vee c)=(a\wedge b)\vee(a\wedge c)
  • (A’) 모든 a,b,c\in L에 대하여, 결합 연산은 만남 연산에 대해 분배법칙을 만족한다: a\vee(b\wedge c)=(a\vee b)\wedge(a\vee c)
  • (B) 모든 a,b,c\in L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a\wedge b)\vee(b\wedge c)\vee(c\wedge a)=(a\vee b)\wedge(b\vee c)\wedge(c\vee a)[10]
  • (C) 모든 a,b,c\in L에 대하여, 만약 a\wedge c=b\wedge c이고 a\vee c=b\vee c이면 a=b이다. (이를 '상쇄 법칙'이라고도 한다.)
  • (D) ''L''은 부분 격자로서 오각형 격자(N₅)와 다이아몬드 격자(M₅)를 포함하지 않는다.[11][9] (여기서 N₅와 M₅는 특정 구조를 가진 5개의 원소로 이루어진 격자로, 분배 격자가 아닌 대표적인 예시이다. N₅는 비모듈러 격자이고, M₅는 모듈러 격자이지만 분배 격자는 아니다.)


격자 (''L'',∨,∧)는 ''L''의 모든 원소 ''x'', ''y'', ''z''에 대해 다음 항등식 중 하나가 성립하면 '''분배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두 항등식은 서로 동치이다[1]):

  • 만남의 결합에 대한 분배성: ''x'' ∧ (''y'' ∨ ''z'') = (''x'' ∧ ''y'') ∨ (''x'' ∧ ''z'')
  • 결합의 만남에 대한 분배성: ''x'' ∨ (''y'' ∧ ''z'') = (''x'' ∨ ''y'') ∧ (''x'' ∨ ''z'')


모든 격자에서는 일반적으로 ''p''≤''q''를 ''p''∧''q''=''p''로 정의할 때, 다음 부등식들이 항상 성립한다:

  • ''x'' ∧ (''y'' ∨ ''z'') ≥ (''x'' ∧ ''y'') ∨ (''x'' ∧ ''z'')
  • ''x'' ∨ (''y'' ∧ ''z'') ≤ (''x'' ∨ ''y'') ∧ (''x'' ∨ ''z'')


격자가 분배 격자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위의 부등식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등호가 성립하는 것이다. 즉, 반대 방향의 부등식 중 하나라도 성립하면 그 격자는 분배 격자이다. 분배 격자의 조건과 순서론에서의 다른 분배성 조건 사이의 관계는 분배성 (순서론) 문서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성질

분배 격자는 몇 가지 동치적인 정의를 가진다. 예를 들어, 어떤 격자 ''L''이 분배 격자라는 것은 ''L''의 임의의 원소 ''x, y, z''에 대해, 만약 두 원소 ''x'', ''y''에 대해 어떤 원소 ''z''와의 만남(∧) 결과와 결합(∨) 결과가 각각 같다면 (즉, ''x'' ∧ ''z'' = ''y'' ∧ ''z'' 이고 ''x'' ∨ ''z'' = ''y'' ∨ ''z'' 이면), 반드시 ''x''와 ''y''는 같다는 조건과 동치이다.

가장 간단한 비분배 격자로는 "다이아몬드 격자" ''M''3와 "오각형 격자" ''N''5가 알려져 있다. 어떤 격자가 분배 격자인지 판별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는, 그 격자가 부분 격자로서 ''M''3나 ''N''5와 동형인 것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부분 격자는 원래 격자의 만남(∧) 및 결합(∨) 연산을 그대로 보존하는 부분 집합을 의미한다.

모든 분배 격자는 모듈러 격자의 성질도 만족한다. 또한 분배성은 몇 가지 다른 유용한 속성들을 수반하는데, 예를 들어 분배 격자에서는 만남-소수 원소와 만남-기약가능 원소가 동치이며, 마찬가지로 결합-소수 원소와 결합-기약가능 원소도 동치이다.[7] 분배 격자의 피복 관계는 중앙 그래프를 형성하기도 한다.[8]

3. 1. 모듈러 격자와의 관계

모든 분배 격자는 모듈러 격자이다. 이는 분배 격자의 정의 조건 중 하나인 ''a'' ∧ (''b'' ∨ ''c'') = (''a'' ∧ ''b'') ∨ (''a'' ∧ ''c'') (또는 이와 동치인 ''a'' ∨ (''b'' ∧ ''c'') = (''a'' ∨ ''b'') ∧ (''a'' ∨ ''c''))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격자가 분배 격자이면, ''a'' ≤ ''c''인 모든 원소 ''a, b, c''에 대해 모듈러 법칙 ''a'' ∨ (''b'' ∧ ''c'') = (''a'' ∨ ''b'') ∧ ''c''가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분배 격자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특정 구조를 부분 격자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격자 ''L''이 분배 격자일 필요충분조건은 ''L''이 오각형 격자(pentagon lattice영어) N5다이아몬드 격자(diamond lattice영어) M3를 부분 격자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11][9]

오각형 격자 N5모듈러 격자가 아닌 가장 작은 격자로 알려져 있다. 모든 분배 격자는 모듈러 격자이므로, 모듈러 격자가 아닌 오각형 격자는 분배 격자가 될 수 없다.

다이아몬드 격자 M3모듈러 격자이지만, 분배 법칙은 만족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격자 M3의 원소 ''x, y, z''를 그림과 같이 잡으면, ''x'' ∧ (''y'' ∨ ''z'') = ''x'' ∧ ⊤ = ''x'' 이지만 (''x'' ∧ ''y'') ∨ (''x'' ∧ ''z'') = ⊥ ∨ ⊥ = ⊥ 이므로 ''x'' ≠ ⊥ 일 때 분배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다이아몬드 격자는 모듈러 격자이면서 분배 격자가 아닌 가장 작은 격자이다.

N5(왼쪽)와 M3(오른쪽)을 부분 ''집합''으로는 포함하지만 부분 ''격자''로는 포함하지 않는 분배 격자의 예시. 부분 격자는 원래 격자의 만남(∧) 및 결합(∨) 연산에 대해 닫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어떤 격자가 분배적인지 판별하는 한 가지 방법은 그 격자가 부분 격자로서 M3 또는 N5와 동형인 것을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여기서 부분 격자는 원래 격자의 만남(∧) 및 결합(∨) 연산을 그대로 보존하는 부분 집합을 의미하며, 단순히 부분 순서 집합으로서 격자 구조를 가지는 것과는 구별된다.

3. 2. 다른 격자와의 관계

임의의 집합 S에 대하여, 그 멱집합의 격자 (\mathcal P(S),\subseteq)는 분배 격자이며, 이 격자의 모든 부분 격자도 분배 격자이다. 반대로, 선택 공리를 가정한다면, 모든 분배 격자는 멱집합 격자의 부분 격자와 동형이다. 모든 분배 격자는 모듈러 격자이다.

모든 헤이팅 대수는 분배 격자이다. 불 대수는 헤이팅 대수의 특수한 경우이므로 역시 분배 격자이다. 모든 전순서 집합 (T,\le)은 분배 격자이다.

가장 간단한 비분배 격자는 "다이아몬드 격자" M_3와 "오각형 격자" N_5이다. 격자가 분배적인지 여부는 그 부분 격자 중 M_3 또는 N_5와 동형인 것이 없는 경우와 동치이다. 여기서 부분 격자란 원래 격자의 만남(meet) 및 결합(join) 연산에 대해 닫혀 있는 부분 집합을 의미하며, 단순히 원래 순서 관계를 유지하는 부분 집합과는 다르다.

분배 격자는 다음과 같은 동치 조건들로도 정의될 수 있다. 격자 L이 분배적인 것은 다음 조건들과 동치이다.

  • L의 모든 원소 x, y, z에 대해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x \wedge y) \vee (y \wedge z) \vee (z \wedge x) = (x \vee y) \wedge (y \vee z) \wedge (z \vee x)

  • 모든 원소 x, y, z에 대해, x \wedge z = y \wedge z 이고 x \vee z = y \vee z 이면 항상 x = y 이다.


모든 분배 격자는 두 원소 체인의 직접 곱 복사본과 동형이다. 이는 분배 격자 종류에서 직접 분해 불가능한 유일한 구성원이 두 원소 체인이라는 의미이다. 결과적으로, 모든 부울 격자 또한 이러한 속성을 갖는다.[6]

분배성은 몇 가지 다른 유용한 속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분배 격자의 원소는 만남-소수인 것과 만남-기약가능인 것이 동치이다. 일반적으로 후자가 더 약한 조건이지만 분배 격자에서는 동일하다. 쌍대성에 의해, 결합-소수인 것과 결합-기약가능인 것도 동치이다.[7] 격자가 분배적이라면, 그 피복 관계는 중앙 그래프를 형성한다.[8]

3. 3. 표현 정리

분배 격자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어떤 격자가 분배 격자일 필요충분조건이 집합들의 격자(공집합교집합 연산에 대해 닫혀 있는 집합족)와 동형이라는 점이다. 이 맥락에서 집합들의 격자는 때때로 집합의 링이라고도 불린다. 집합의 합집합교집합 연산이 분배 법칙을 만족한다는 것은 기본적인 사실이지만, 그 역, 즉 모든 분배 격자가 집합 격자와 동형이라는 사실은 자명하지 않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표현 정리들을 통해 증명된다. 이로부터 얻는 중요한 통찰은, 모든 분배 격자에서 성립하는 항등식(방정식)은 모든 집합 격자에서도 성립하며, 그 역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버코프의 표현 정리는 모든 유한 분배 격자는 그 격자의 결합-소수 원소(join-irreducible element)들로 이루어진 부분 순서 집합(poset)의 하집합(lower set)들의 격자와 동형임을 말한다. 이는 유한 부분 순서 집합들의 모임과 유한 분배 격자들의 모임 사이에 동형 관계까지 고려했을 때 일대일 대응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 대응 관계는 유한 분배 격자의 준동형사상과 유한 부분 순서 집합의 단조 함수 사이의 범주 동치로 확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결과를 무한 격자로 일반화하려면 추가적인 구조가 필요하다.

또 다른 중요한 초기 표현 정리는 마셜 하비 스톤의 이름을 딴 스톤의 분배 격자 표현 정리이다. 이 정리는 모든 분배 격자가 특정 위상 공간의 콤팩트 열린 집합들의 격자와 동형임을 보인다. 이 결과는 스톤의 유명한 불 대수에 대한 스톤의 표현 정리를 일반화한 것이며, 스톤 쌍대성 이론의 한 예시로 볼 수 있다.

힐러리 프리스틀리는 프리스틀리의 표현 정리를 통해 또 다른 중요한 표현 방법을 제시했다. 이 방법에서는 분배 격자를 이용하여 점들 사이에 추가적인 부분 순서 관계가 주어진 특별한 종류의 위상 공간, 즉 (완전 순서 불연속) 순서화된 스톤 공간(ordered Stone space) 또는 프리스틀리 공간(Priestley space)을 만든다. 원래의 분배 격자는 이 프리스틀리 공간의 클로펜 집합(clopen set, 닫혀 있으면서 동시에 열려 있는 집합)들의 모임으로 다시 얻을 수 있다.

스톤과 프리스틀리의 표현 정리를 통해, 어떤 분배 격자든 실제로는 집합들의 격자와 동형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두 정리의 증명은 선택 공리의 약한 형태인 불 소 아이디얼 정리(Boolean prime ideal theorem)를 필요로 한다.

4. 예시

분배 격자는 여러 수학적 구조에서 자연스럽게 등장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 양의 정수 전체의 집합에 약수 관계를 부여한 격자 (\mathbb Z^+,\mid)는 분배 격자이다. 이 격자는 특정 집합 격자와 동형 관계를 가진다.

또한, 임의의 격자 L이 주어졌을 때, 그 합동 관계들의 격자인 \operatorname{Cong}(L)는 항상 분배 격자가 된다는 중요한 성질이 있다.[10][11] 이는 일반적인 대수 구조의 합동 관계 격자가 반드시 분배 격자일 필요는 없다는 점과 대비된다.

이 외에도 집합론, 논리학, 순서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분배 격자의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고)

4. 1. 집합 격자

임의의 집합 ''S''에 대하여, 그 멱집합 P(''S'')은 부분 집합 관계 ⊆를 순서 관계로 가질 때 격자를 이룬다. 이 격자 (P(''S''), ⊆)는 분배 격자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이며, 이 격자의 모든 부분 격자 역시 분배 격자가 된다.

반대로, 선택 공리를 가정하면 모든 분배 격자는 어떤 집합의 멱집합 격자의 부분 격자와 동형이라는 중요한 성질이 성립한다. 이는 분배 격자가 집합의 격자와 구조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4. 2. 논리 연산

대부분의 논리 체계에서 논리적 결합(\land, "그리고")과 논리적 분리(\lor, "또는") 연산은 서로에 대해 분배 법칙을 만족한다. 즉, "A 그리고 (B 또는 C)"는 "(A 그리고 B) 또는 (A 그리고 C)"와 같고, "A 또는 (B 그리고 C)"는 "(A 또는 B) 그리고 (A 또는 C)"와 같다. 이러한 이유로, 논리적 명제들을 동치 관계로 묶어 대수적 구조를 만든 린덴바움-타르스키 대수는 대표적인 분배 격자가 된다.

모든 헤이팅 대수 역시 분배 격자이다. 특히, 직관 논리의 의미론을 나타내는 헤이팅 대수는 직관 논리에 대한 린덴바움-타르스키 대수로 볼 수 있으므로, 이는 린덴바움-타르스키 대수가 분배 격자인 것의 한 예시이기도 하다.

4. 3. 자연수 격자

`자연수`는 `최대공약수`를 만남(meet, ∧) 연산으로, `최소공배수`를 이음(join, ∨) 연산으로 하는 (조건부 완비) `분배 격자`를 형성한다. 이 격자에서 최소 원소는 1이며, 이는 이음 연산의 항등원 역할을 한다.

또한,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n의 모든 양의 `약수` 집합 역시 최대공약수를 만남 연산으로, 최소공배수를 이음 연산으로 하는 분배 격자를 이룬다. 이 약수 격자는 n이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일 때만 `부울 대수`가 된다.

4. 4. 정수 분할

영 격자


영 다이어그램의 포함 순서로 주어진 영 격자는 정수 분할을 나타내는 분배 격자이다.

4. 5. 기타



분배 격자는 매우 흔하면서도 다소 특정한 구조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분배 격자의 대표적인 예는 합집합과 교집합 연산을 사용하는 집합의 격자이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예시들이 있다.

  • 린덴바움-타르스키 대수는 대부분의 논리에서 결합(and)과 분리(or) 연산을 지원하며, 이는 분배 격자를 이룬다. 즉, 결합은 분리에 대해 분배 법칙을 만족하고, 그 반대도 성립한다.
  • 모든 부울 대수는 분배 격자이다.
  • 모든 헤이팅 대수는 분배 격자이다. 특히, 모든 지역과 모든 위상 공간의 열린 집합 격자가 여기에 포함된다. 또한 헤이팅 대수는 직관 논리의 린덴바움 대수로 볼 수 있어, 첫 번째 예시의 특별한 경우이기도 하다.
  • 모든 전순서 집합은 최댓값을 합집합(join)으로, 최솟값을 교집합(meet)으로 하는 분배 격자이다.
  • 자연수의 집합은 최대 공약수를 교집합으로, 최소 공배수를 합집합으로 하여 (조건부 완비) 분배 격자를 형성한다. 이 격자는 최소 원소인 1을 가지며, 이는 합집합 연산의 항등원 역할을 한다.
  • 양의 정수 ''n''에 대해, ''n''의 모든 양의 약수 집합은 최대 공약수를 교집합으로, 최소 공배수를 합집합으로 하는 분배 격자를 형성한다. 이 격자는 ''n''이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일 때, 그리고 오직 그때만 부울 대수가 된다.
  • 격자 정렬 벡터 공간은 분배 격자이다.
  • 정수 분할을 나타내는 영 격자는 영 다이어그램의 포함 관계 순서에 따라 분배 격자를 이룬다.
  • 분배 다면체의 점들(좌표별 최솟값 및 최댓값 연산에 닫힌 볼록 다면체)은 이 두 연산을 각각 격자의 교집합과 합집합 연산으로 삼아 분배 격자를 형성한다.[2]


격자 이론의 초창기에는 찰스 S. 퍼스가 모든 격자가 분배 격자라고 생각했다. 즉, 분배 법칙이 다른 격자 공리들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3][4] 그러나 이후 슈뢰더, Voigt, 뤼로스, 코르셀트[5], 그리고 데데킨트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이것이 사실이 아님을 보이는 수학적 증명이 제시되었다.[3]

5. 자유 분배 격자

분배 격자와 유계 분배 격자는 대수 구조 다양체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자유 대수를 정의할 수 있다. 즉, '''자유 분배 격자'''(free distributive lattice영어) 및 '''자유 유계 분배 격자'''(free bounded distributed lattice영어)의 개념이 존재하며, 이는 자유 격자와는 다른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자유 격자는 구체적으로 묘사하기 힘들지만, 자유 분배 격자는 상대적으로 간단히 묘사할 수 있다.

자유 분배 격자는 주어진 생성원 집합으로부터 분배 법칙만을 만족하도록 자유롭게 생성된 격자 구조를 의미한다. 자유 유계 분배 격자는 여기에 추가로 최대 원소(\top)와 최소 원소(\bot)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생성원의 개수에 따른 자유 (유계) 분배 격자의 크기는 데데킨트 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5. 1. 구성

분배 격자는 대수 구조 다양체를 이루므로, 자유 대수의 개념을 적용하여 '''자유 분배 격자'''(free distributive lattice영어)와 '''자유 유계 분배 격자'''(free bounded distributive lattice영어)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자유 격자와는 다른 개념이며, 자유 격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성 방법을 묘사할 수 있다.

생성원 집합 G가 주어졌다고 하자. 분배 법칙을 이용하면, G의 원소들에 대한 이진 연산 \lor (결합) 및 \land (만남)으로 형성된 모든 항(term)은 다음과 같은 정규 형식으로 변환될 수 있다.

:\bigvee_{i=1}^n \left( \bigwedge N_i \right) = \left(\bigwedge N_1\right) \lor \left(\bigwedge N_2\right) \lor \cdots \lor \left(\bigwedge N_n\right)

여기서 각 N_iG의 유한 부분 집합이다.

만남(\land)과 결합(\lor) 연산은 모두 결합 법칙, 교환 법칙, 멱등 법칙을 만족하므로, 위 정규 형식의 항은 중복되는 항과 순서를 무시하고, G의 유한 부분 집합들로 이루어진 집합 \{N_1, N_2, \ldots, N_n\}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런데 서로 다른 두 항이 분배 격자에서 같은 원소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어떤 N_j가 다른 N_k의 부분 집합(N_j \subset N_k)일 때 발생한다. 이 경우, \bigwedge N_k \le \bigwedge N_j 이므로, 전체 항(\bigvee)의 값을 변경하지 않고 더 큰 집합 N_k를 제거해도 된다.

결과적으로, 자유 분배 격자의 각 원소는 G의 유한 부분 집합들로 구성된 집합 \{N_1, N_2, \ldots, N_n\} 중에서, 어떤 N_i도 다른 N_j (i \neq j)의 부분 집합이 아닌, 즉 서로 비교 불가능한 집합들로만 구성된 경우로 유일하게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집합족을 유한 집합의 반사슬(antichain)이라고 한다.

이제 생성원 집합 G에 대한 자유 분배 격자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자유 분배 격자''': G의 유한 부분 집합들로 이루어진 모든 유한 반사슬들의 집합이다. 단, 여기서 공집합(\varnothing)인 반사슬(\bigvee \varnothing, 즉 최소 원소 \bot)과, 반사슬의 원소로서 공집합(\bigwedge \varnothing, 즉 최대 원소 \top)을 포함하는 경우는 제외된다. 즉, 반사슬 \{N_1, \dots, N_n\}에서 n>0이고, 모든 N_i는 공집합이 아니다.
  • '''자유 유계 분배 격자''': 위와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최소 원소 \bot (공집합 반사슬 \varnothing에 해당)와 최대 원소 \top (반사슬 \{\varnothing\}에 해당)을 포함한다. 따라서 같은 수의 생성원을 갖는 자유 분배 격자보다 원소의 개수가 정확히 2개 더 많다.


두 반사슬 S = \{N_1, \dots, N_n\}T = \{M_1, \dots, M_k\} 사이의 연산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결합(\lor): S \lor T는 합집합 S \cup T에서 부분 집합 관계에 있는 원소들을 제거하여 얻은 반사슬이다. (예: N_i \subset M_j이면 M_j 제거)
  • 만남(\land): S \land T\{N_i \cup M_j \mid N_i \in S, M_j \in T\}로 구성된 집합족에서 부분 집합 관계에 있는 원소들을 제거하여 얻은 반사슬이다.


n개의 생성원을 갖는 자유 (유계) 분배 격자의 원소의 개수는 데데킨트 수 M(n)이라고 한다.

생성원의 수가 0, 1, 2, 3개일 때의 자유 유계 분배 격자. 자유 분배 격자는 최소 원소(0)와 최대 원소(1)를 제외한다.


생성원 수 ''n''에 따른 자유 분배 격자 및 자유 유계 분배 격자의 크기 (데데킨트 수)
생성원 수 (n)자유 분배 격자 크기자유 유계 분배 격자 크기
002
113
246
31820
4166168
57,5797,581
67,828,3527,828,354
72,414,682,040,9962,414,682,040,998
856,130,437,228,687,557,907,78656,130,437,228,687,557,907,788
9286,386,577,668,298,411,128,469,151,667,598,498,812,364286,386,577,668,298,411,128,469,151,667,598,498,812,366



데데킨트 수는 매우 빠르게 증가하며, 현재 n=9까지의 값만 알려져 있다.

5. 2. 데데킨트 수



''n''개의 생성자를 갖는 자유 분배 격자의 원소 수는 '''Dedekind number|데데킨트 수영어'''라고 한다. 자유 분배 격자는 생성원들의 유한 집합들의 만남(\wedge)들의 결합(\vee)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들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생성원 집합 G가 주어졌을 때, 자유 분배 격자의 원소는 G의 유한 부분 집합들의 반사슬(antichain)로 표현될 수 있다. 즉, 부분 집합 관계에 대해 서로 비교 불가능한 유한 부분 집합들의 집합으로 나타낸다.

''n''개의 원소로 생성되는 자유 분배 격자(최소 원소 \bot와 최대 원소 \top를 제외한 경우)의 크기, 즉 데데킨트 수 M(n)은 다음과 같다. 이 값들은 매우 빠르게 증가하며, 현재 ''n'' ≤ 9에 대해서만 알려져 있다.

''n''개의 생성자를 갖는 자유 분배 격자의 원소 수 (데데킨트 수, M(n))
nM(n)
00
11
24
318
4166
57579
67828352
72414682040996
856130437228687557907786
9286386577668298411128469151667598498812364



(OEIS의 수열 A007153)

만약 최소 원소(\bot, 빈 결합)와 최대 원소(\top, 빈 만남)를 포함하는 '''자유 유계 분배 격자'''를 고려하면, 원소의 개수는 위 데데킨트 수보다 2만큼 더 많다. 이 값들은 다음과 같다.

''n''개의 생성자를 갖는 자유 유계 분배 격자의 원소 수 (M(''n''))
nM(n)
02
13
26
320
4168
57581
67828354
72414682040998
856130437228687557907788
9286386577668298411128469151667598498812366



(OEIS의 수열 A000372)

참조

[1] 서적 Lattice Theory https://archive.org/[...]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 간행물 Distributive lattices, polyhedra, and generalized flows
[3] 간행물 Writings of Charles S. Peirce: 1879–1884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4] 학술지 On the Algebra of Logic
[5] 학술지 Bemerkung zur Algebra der Logik http://gdz-lucene.tc[...]
[6] 문서 Balbes and Dwinger (1975), p. 63 citing Birkhoff, G. "Subdirect unions in universal algebra", Bull. Amer. Math. Soc. SO (1944), 764-768.
[7] 문서 See [[Birkhoff's representation theorem#The partial order of join-irreducibles]].
[8] 간행물 A ternary operation in distributive lattices http://projecteuclid[...]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https://www.math.uwa[...] 2022-0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