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붉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나무는 옻나무과의 낙엽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붉나무라는 이름은 가지를 꺾으면 나오는 점액이나, 옻칠처럼 도료로 사용한 데서 유래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에 날개가 있는 것이 특징이며, 가을에는 붉은색, 주황색 등으로 단풍이 든다. 늦여름에서 초가을에 걸쳐 황백색 꽃이 피고, 가을에는 붉은색 열매가 맺히며, 열매 표면의 흰 가루는 말산칼슘 결정이다. 붉나무는 붉나무혹진딧물의 벌레혹인 오배자를 얻을 수 있는데, 이는 타닌 성분이 풍부하여 염료, 약재 등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붉나무는 목재로 공예품을 만들거나, 지역에 따라 부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붉나무속에는 개옻나무, 미국붉나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경목 -
    칡은 동아시아가 원산지인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는 약재로, 녹말은 갈분으로, 어린 싹과 꽃은 식용으로 사용되며, 북미 지역에서는 유해 식물로 지정되어 관리된다.
  • 만경목 - 포도 (종)
    포도(종)은 포도나무속에 속하는 식물 종으로, 식용 열매인 포도를 생산하기 위해 재배되며, 와인 제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음식, 건강 보조 식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 옻나무과 - 피스타치오
    피스타치오는 중앙아시아가 원산지인 견과류로, 2022년에는 미국, 이란, 터키가 세계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고 다양한 요리 재료로 사용된다.
  • 옻나무과 - 옻나무속
    옻나무속은 옻나무과에 속하며 깃꼴겹잎과 핵과를 특징으로 하고, 우루시올을 함유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옻칠 및 밀랍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 네팔의 식물상 - 석류나무
    석류나무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원산의 부처꽃과 낙엽성 소교목으로, 붉은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전통 의학 및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네팔의 식물상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붉나무
기본 정보
Rhus chinensis
상태관심 필요
학명Rhus chinensis Mill.
누르데속
붉나무
이명Rhus javanica auct.
Rhus semialata Murray
영명Chinese sumac
형태
높이6미터
분류 체계
식물계
문 (미분류)속씨식물
강 (미분류)진정쌍떡잎식물
목 (미분류)장미군
무환자나무목
옻나무과
누르데속
붉나무 (광의) R. javanica
변종붉나무 R. j. var. chinensis
학명 (표준)Rhus javanica L. var. chinensis (Mill.) T.Yamaz. (1993년)
학명 (광의)Rhus javanica L. (1753년)
이명Rhus semialata Murray (1784년)
Rhus chinensis Mill. (1768년)
Rhus javanica L. var. roxburghii auct. non (DC.) Rehder et E.H.Wilson (1914년)
화명10월 16일 탄생화
이용
전통 의학다양한 용도로 사용
항산화 및 항균 활성Galla chinensis에서 추출한 활성 성분 확인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 효과식후 혈당 조절에 효과

2. 명칭

한국어 이름인 "붉나무"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 가지를 꺾으면 점액이 나오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 예전에 줄기에 상처를 내어 흰 수액을 채취하여 옻칠처럼 기물의 도료로 사용했던 데서 "누르데"가 되어 변음했다는 설이 있다.
  • 옻나무과 식물이며, 수액(점액)이 도료(누테)로 사용되었다는 설이 있다.


"뿔나무"는 후술하는 생약인 뿔이 열리는 나무라는 뜻이다. "카치노키(勝の木)"는 성덕왕이 소가 마코토와 모노노베 모리야의 싸움에서 붉나무로 불상을 만들어 마코토의 승리를 기원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 "소금나무"나 "천염목"은 열매가 흰 소금 같은 물질로 덮여 있는 데서 유래했다[16]

중국 이름은 "염부목(鹽麩木)", "오배자나무(五倍子樹)"[9]이다. 벌레혹인 "오배자(五倍子)"는 중국에서의 명칭이며, "오배자나무(五倍樹)"나 "오거풍(五去風)"은 오배자를 채취하는 나무라는 의미로 지어졌다. 영어 이름은 중국에서 일본, 타이완까지 분포함에도 불구하고, japanese sumac(재패니즈 수맥)이라고도 한다.

3. 형태 및 생태

암수딴그루이다. 낙엽활엽수의 관목에서 소교목이며[15], 높이는 3m~8m 정도이지만[15], 10m 이상 되는 큰 나무가 되는 경우도 있다. 1년생 가지는 적갈색이며 털이 없거나 털이 남아 있고, 갈라진 모양의 타원형의 피목이 많이 생긴다.[15] 어린 나무의 수피는 녹갈색이며 피목이 있고, 점차 녹색이 빠져서, 성목은 회갈색이 된다.[15] 수액은 피부에 닿으면 잘 부풀어 오른다.

은 어긋나기하며, 7~13개(3~6쌍)의 소엽으로 이루어진 홀수깃꼴겹잎이고[15], 잎자루에 날개가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소엽은 5cm~12cm의 장타원형이다. 같은 옻나무과의 붉나무나 산검양옻나무와 잎 모양은 비슷하지만, 잎가장자리의 톱니가 눈에 띄고, 털이 많아 거칠거칠하며, 잎자루에 날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붉나무 잎에는 붉나무혹진딧물(학명: Schlechtendalia chinensisla)이 기생하여, 주머니 모양의 벌레혹(충영)을 만드는 경우가 있다. 잎은 가을단풍이 들고, 산야를 물들인다. 단풍은 붉나무나 산검양옻나무만큼 붉은색이 진하지 않지만, 붉은색, 주황색, 노란색, 갈색 등이 섞여 있는 경우도 있다. 생육 조건이 좋은 개체나 어린 나무는 선명한 붉은색으로 단풍이 들지만, 잎 표면에 알갱이 모양의 벌레혹이나 병이 발생하여 상처가 있는 경우가 많고, 다소 더러운 주황색으로 단풍이 든 개체가 많이 보인다. 새순도 붉게 물든다. 옻나무 종류인 붉나무의 옻 성분(우루시올)은 적고,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우려는 거의 없지만, 잎으로 인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사람도 있지만 심각한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개화 시기는 늦여름부터 초가을(8~9월)이다.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를 내어, 황백색에서 백색의 작은 을 많이 피운다. 꽃은 수 밀리미터(mm) 정도이며, 5개의 꽃잎이 있다. 암꽃에는 3갈래로 갈라진 암술이 있다. 수꽃에는 5개의 수술이 있으며, 꽃잎은 뒤로 말린다. 꽃차례는 가지 끝에서 위로 나오지만, 어딘가 처지는 경우가 많다. 열매가 열리면 더 처진다.

결실기는 가을(10~11월)이며[15], 지름 4mm 정도의 편평한 구형의 열매를 무리지어 많이 맺는다. 열매는 익으면 붉게 된다. 열매 표면에 나타나는 흰색 가루 같은 것은 말산칼슘의 결정이며, 익은 열매를 입에 넣으면 신맛이 느껴진다. 암그루 가지 끝에 생긴 열매이삭은 겨울에도 남아 있다.[15] 수그루는 시든 수꽃차례의 축이 겨울에도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15]

겨울눈은 반구형이며 황갈색 털이 빽빽하게 나고, 가지에 파묻히듯이 붙는다.[15] 가지 끝의 정아와 가지 위쪽의 측아는 거의 같은 크기이며, 측아는 가지에 어긋난다.[15] 잎자국은 U자형이나 V자형이며, 관속흔이 많이 나란히 있다.[15]

4. 분포 및 생육 환경

한국, 중국, 히말라야, 대만동남아시아 각지에 자생한다.[15]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에서 류큐 열도까지 거의 전역에서 볼 수 있다. 저지대와 산지에 분포하며, 햇볕이 잘 드는 산야, 숲 가장자리, 덤불, 도로변 비탈, 강가 등에 흔히 자란다. 심어지는 경우는 드물다.

붉나무는 전형적인 양수(陽樹)로 밝은 곳을 좋아하며, 산불이 난 자리, 강가, 새로운 산사태 지점, 사면 붕괴 지역 등에 흔히 가장 먼저 나타나는, 이른바 선구식물(pioneer plant)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일본 남부에서는 쉬나무, 붉가시나무 등과 함께 관목으로 도로변 빈터 등에 가장 먼저 나타난다. 벌채 등으로 산림이 교란되었을 경우에도 나타난다. 종자는 토양 속에서 장기간 휴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벌채 등으로 자신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이 되면 싹을 틔우는 적응이며, 선구식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이다.

5. 인간과의 관계

한국어 이름 "붉나무"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 가지를 꺾으면 점액이 나오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 줄기에 상처를 내어 흰 수액을 채취하여 옻칠처럼 기물의 도료로 사용했던 데서 “누르데”가 변음했다는 설이 있다.
  • 옻나무과 식물이며, 수액(점액)이 도료(누테)로 사용되었다는 설이 있다.


"뿔나무"는 생약인 뿔이 열리는 나무라는 뜻이다. “카치노키(勝の木)”는 성덕왕이 소가 마코토와 모노노베 모리야의 싸움에서 붉나무로 불상을 만들어 마코토의 승리를 기원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 “소금나무”나 “천염목”은 열매가 흰 소금 같은 물질로 덮여 있는 데서 유래했다[16]

중국 이름은 “염부목(鹽麩木)”, “오배자나무(五倍子樹)”[9]이다. "오배자(五倍子)"는 중국에서의 명칭이며, “오배자나무(五倍樹)”나 “오거풍(五去風)”은 오배자를 채취하는 나무라는 의미이다. 영어 이름은 중국에서 일본, 타이완까지 분포함에도 불구하고, "Japanese sumac"(재패니즈 수맥)이라고도 한다.

5. 1. 오배자(五倍子)

붉나무혹진딧물(붉나무애벌레혹진딧물)이 붉나무 잎에 기생하면 큰 충영(蟲癭)이 생기는데, 그 안에 검붉은색 진딧물이 많이 들어 있다. 이 충영은 오배자(五倍子) 또는 부자(付子)라고 하며, 타닌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오배자는 옹종·치통의 약으로 쓰이거나, 가죽 무두질에 사용되고, 검은색 염료의 원료가 된다. 염색에서는 연오배자색이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색을 만들어낸다. 또한 잉크나 흰머리 염색의 원료가 되는 것 외에, 옛날에는 기혼 여성과 18세 이상의 미혼 여성의 풍습이었던 오하구로에도 사용되었다.

오배자는 붉나무의 어린싹이나 잎자루가 붉나무혹벌레에 의해 자극을 받아 혹처럼 비대해진 충영(蟲癭)(벌레혹)이다. 중국에서 생산량이 가장 많고, 인도에서도 채취된다. 일본에서는 세토나이카이 연안 지역이 많았으며, 1938년경에는 산업용 탄닌산 제조 원료로서 야마구치현, 미에현, 효고현 등을 중심으로 200톤의 오배자가 생산되었다. 전후에는 중국산 수입품이 급증하면서 생산량이 급감했다. 주성분은 펜타-m-디갈로일-β-글루코스라는 물질이다. 크기는 다양하지만 대부분 길이 6~8cm 정도이며, 고르지 않게 가지가 갈라진 노란빛을 띤 회색의 주머니 모양을 하고 있다. 안에는 진딧물 사체가 남아 있는 경우도 있으며, 이를 제거하고 제품화한다.

벌레혹은 검은색 염료로 사용되었으며, 백발염색이나 잇몸치료(お歯黒), 종기(腫れ), 치통 등에 사용되었다.

오카야마현岡山県일본어 비젠시備前市일본어 가가토(香登) 지역은 고급 잇몸치료(お歯黒) 생산지였다. 가가토의 잇몸치료(お歯黒)는 오배자와 로하(녹반; 황산철) 그리고 조개재를 섞어서 만들었다. 오카야마현 나루하정(成羽町) 후쿠야(吹屋) 지역은 일본 최초의 로하 생산지였으며, 이와 관련된 산업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에도 시대 가정의 의학서인 『구민의학서(救民医学書)』에는 "오배자가 천연두 약"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천연두 치료에 사용되었다.

하지만, 맹독이 있는 투구꽃トリカブト일본어의 뿌리 "부자(附子)"도 "부자(付子)"라고 쓰는 경우가 있으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5. 2. 기타 이용

붉나무는 예로부터 한국 마을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붉나무 잎에 붉나무혹진딧물(붉나무애벌레혹진딧물)이 기생하면 큰 충영(蟲癭)이 생기는데[1], 그 안에는 검붉은색 진딧물이 많이 들어 있다. 이 충영은 오배자(五倍子) 또는 부자(付子)라고 하며 타닌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옹종·치통의 약, 가죽 무두질, 검은색 염료의 원료[2][1], 연오배자색이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색을 만드는데 쓰인다. 또한 잉크나 흰머리 염색의 원료, 과거 기혼 여성과 18세 이상의 미혼 여성의 풍습이었던 오하구로에도 사용되었다[3].

붉나무 열매는 '염부자(鹽麩子)'라고 하며, 설사기침 약으로 사용되었다. 이 열매는 직박구리 등이 좋아해서 먹는다.

목재는 색깔이 희고 재질이 부드러워 목각 재료, 목패, 나무 상자 등의 공예품에 이용된다[3]. 지역에 따라 붉나무는 주술적인 힘을 가진 나무로 존중되어, 병이나 재앙을 막는 부적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3][1].

한국에서는 보통 식용으로 사용하지 않지만, 봄에 난 어린잎을 식용으로 하기도 한다[4]. 열매에는 신맛이 나는 흰 가루가 묻어 있으며, 가을 늦게 되면 신맛이 더해진다. 신슈(나가노현)에서는 옛날에 이것을 삶아 소금 대용으로 했다고 하지만, 염분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5].

6. 붉나무속(Rhus)

'''붉나무속'''(학명: Rhus)은 옻나무과의 속의 하나이다.


  • 개옻나무
  • 미국붉나무
  • 붉나무
  • * 붉나무
  • 남양옻나무


7. 문화

만엽집에는 붉나무에 대한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 아시가라의 나를 가케야마의 붉나무의 나를 거듭거듭 비록 거듭하지 않더라도 (詠人不知) (『만엽집』권14)


꽃말은 "혈육의 정", "뜻밖의 만남"이다.

참조

[1] IUCN Rhus chinensis 2023-01-23
[2] PLANTS 2015-10-21
[3] 웹사이트 Rhus chinensis https://www.rhs.org.[...] RHS 2021-08-28
[4] 논문 Identification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f gallotannins separated from Galla chinensis
[5] 논문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nsecutive extracts from Galla chinensis:The polarity affects the bioactivities
[6] 서적 McGraw-Hill Encyclopedia of Science & Technology
[7] 논문 Rhus chinensis and Galla Chinensis--folklore to modern evidence: Review
[8] 논문 Inhibitory effect of aqueous extract from the gall of Rhus chinensis on alpha-glucosidase activity and postprandial blood glucose
[9] YList 2022-12-13
[10] YList 2022-12-13
[11] YList 2022-12-13
[12] YList 2022-12-13
[13] YList 2022-12-13
[14] 서적 366日 誕生花の本 日本ヴォーグ社 1990-11-30
[15] 논문
[16] 웹사이트 シオノキ https://www.yamasa-a[...] 大江町山里交流館 やまさぁーべ 2024-04-05
[17] 서적 新版 林業百科事典 日本林業技術協会
[18] 웹사이트 ヌルデ【香登のお歯黒】 https://www1.ous.ac.[...] 岡山理科大学 2024-1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