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붕장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붕장어는 아나고 또는 바다 장어라고도 불리며, 뱀장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 해양 어류이다. 암컷이 수컷보다 크며, 몸은 갈색이고 측선에 흰 점선이 있다. 붕장어는 주로 모래 바닥이나 바위 틈에 숨어 살며, 어린 물고기, 게, 새우 등을 먹고, 산란기는 늦봄부터 늦여름까지이다. 붕장어는 홋카이도 이남부터 동중국해까지 분포하며, 얕은 바다의 모래나 진흙에 서식한다. 붕장어 혈액에는 독성 물질이 있어 회로 먹을 때는 주의해야 하며, 탕이나 구이로 조리해 먹는 것이 안전하다. 대한민국에서는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며, 튀김, 구이, 조림, 덮밥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붕장어과 - 정원장어
    정원장어는 1868년 블리커가 명명한 정원장어속(Heteroconger)과 1923년 미크와 힐데브란트가 명명한 Gorgasia 속을 포함하는 뱀장어목 붕장어과의 물고기 그룹이다.
  • 1856년 기재된 물고기 - 송어
    송어는 연어과에 속하며 흑색 반점을 가진 어류로, 강해형과 육봉형이 있으며 동해안에서 어업 대상이며, 개체 수 감소로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1856년 기재된 물고기 - 꽁치
    꽁치는 북태평양에 서식하며 가늘고 긴 몸과 튀어나온 턱을 가진 등푸른 생선으로, 한국과 일본 등에서 식용으로 소비되며 어획량은 주변국 어업 활동과 어획량 규제에 영향을 받는다.
  • 중국의 물고기 - 멸치
    멸치는 청어목 멸치과의 바닷물고기로, 10~20cm 정도 크기에 푸른 회색 등과 은백색 배를 가지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칼슘이 풍부하며 어획량이 많아 낚시 미끼나 비료로도 사용된다.
  • 중국의 물고기 - 메기
    메기는 메기과에 속하는 비늘 없는 야행성 어류로, 긴 수염을 이용해 감각을 감지하며 한국에서는 매운탕 재료, 일본에서는 낚시 대상어 및 문화 소재로 활용되지만 서식지 파괴로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다.
붕장어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학명Conger myriaster
명명자Brevoort, 1856
국명마아나고 (真穴子)
영어 이름Whitespotted conger
일본어 이름마아나고 (真穴子)
한국어 이름붕장어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아강신鰭亜綱
상목카라이와시상목
우나기목
아목아나고아목
아나고과
아과크로아나고아과
아나고속
마아나고 C. myriaster
형태
마아나고 Conger myriaster
이명
이명Anguilla myriaster Brevoort, 1856
Astroconger myriaster Brevoort, 1856
Conger japonicus Bleeker, 1879

2. 용어

붕장어는 흔히 '''아나고'''(穴子|아나고일본어)라고도 불리며, '''바다 장어'''라고도 한다.[5]

3. 형태

붕장어는 암컷이 보통 약 90cm, 수컷이 약 40cm로, 암컷이 수컷보다 훨씬 크다. 등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끝보다 약간 앞쪽에서 시작하며 비늘은 없다. 뱀장어와 비슷한 가늘고 긴 체형을 하고 있다. 몸은 갈색이며, 측선 위에 흰 점선이 줄지어 있다. 또한, 입을 다물었을 때 아래턱이 위턱에 가려지는 것도 특징이다.[1] 큰 개체는 턱힘이 매우 강하므로 낚시 등으로 포획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4. 습성

붕장어는 주로 내만의 해조류가 무성한 모래 바닥이나 민물이 흘러드는 곳, 섬 주변의 물살이 느린 곳에 무리를 지어 서식한다. 낮에는 모래 바닥이나 바위틈에 숨어 있다가 밤이 되면 나와서 어린 물고기, 게, 새우 등을 잡아먹는다. 먼바다 섬 주변에서는 새우를 먹기도 한다.[1]

최대 몸길이는 100cm 정도이다. 수컷은 약 40cm, 암컷은 약 90cm로 암컷이 더 크다. 뱀장어와 비슷하게 가늘고 긴 체형을 하고 있으며, 몸은 갈색이고 측선 위에 흰 점선이 줄지어 있다. 입을 다물었을 때 아래턱이 위턱에 가려지는 것도 특징이다. 큰 붕장어는 턱 힘이 매우 강하므로 낚시 등으로 잡을 때 주의해야 한다.

홋카이도 이남부터 동중국해까지 분포하며, 얕은 바다의 모래나 진흙 등에서 서식한다. 낮에는 모래 속에 잠복하여 휴식을 취하고, 밤이 되면 헤엄쳐 나와 먹이를 찾는다. 육식성으로 작은 물고기, 갑각류, 조개류, 두족류, 다모류 등 다양한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다.

렙토케팔루스 유생은 봄에 나타난다. 연안에 접근한 렙토케팔루스 유생이 뱀장어 형태의 치어로 변태하는 장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변태 직후의 치어는 자갈과 조개껍질이 많은 곳에서 야간 채집으로 발견되었다. 낮에는 모래에 잠복하지 않고 해저의 자갈이나 조개껍질 사이에 숨어 밤에 활동하며 옆새우류를 주로 먹는 것으로 밝혀졌다.

4. 1. 산란

산란기는 늦봄부터 늦여름까지이다. 부화된 지 3년이 안 되는 어린 붕장어는 봄부터 여름에 걸쳐 근해로 이동하고, 가을부터 겨울까지는 연안으로 이동하지만, 3년 이상 자란 붕장어는 이동하지 않고 일정한 장소에서 산다.[1]

일본장어와 마찬가지로 붕장어의 산란지는 오랫동안 수수께끼였으나, 2008년(헤세이 20년) 수산청의 조사선 개양(開洋)丸을 사용하여 실시된 뱀장어 산란장 생태조사에 의해 산란 시기와 장소가 밝혀졌다. 산란 시기는 6월부터 9월이며, 장소는 오키노토리시마 남쪽 바다의 큐슈-팔라우 해령 부근이다.[2]

5. 특징

붕장어를 비롯한 장어류의 혈액과 점액질에는 식중독을 유발하는 이크티오헤모톡신(ichthyohemotoxin)이라는 독성물질이 있기 때문에 회로 먹을 때는 주의해야 한다. 피를 말끔히 제거하지 않으면 구토와 설사, 호흡곤란까지 일으킬 수 있다. 열을 가하면 독성이 제거되므로 탕이나 구이로 먹는 것이 안전하다.[6]

최대 몸길이는 100cm이다. 수컷은 몸길이가 약 40cm, 암컷은 약 90cm이며, 암컷이 더 크다. 뱀장어와 비슷한 가늘고 긴 체형을 하고 있다. 몸은 갈색이며, 측선 위에 흰 점선이 줄지어 있다. 또한, 입을 다물었을 때 아래턱이 위턱에 가려지는 것도 특징이다. 큰 개체는 턱힘이 매우 강하므로 낚시 등으로 잡을 때 주의가 필요하다.

홋카이도 이남부터 동중국해까지 분포하며, 얕은 바다의 모래 진흙 등의 저질에 서식한다. 낮에는 저질에 잠들어 휴식을 취하고, 밤이 되면 헤엄쳐 나와 먹이를 찾는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작은 물고기, 갑각류, 조개류, 두족류, 다모류 등 여러 가지 작은 동물을 포식한다.

뱀장어목 공통의 초기 유생인 렙토케팔루스는 봄에 나타난다. 연안에 접근한 렙토케팔루스 유생이 뱀장어 형태의 치어로 변태하는 장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변태 직후의 치어는 자갈과 조개껍질이 많은 저질에서 야간 채집을 통해 발견되었으며, 낮에는 성어처럼 모래에 잠복하지 않고 해저의 자갈이나 조개껍질 사이에 숨어 야간에 활동하며 옆새우류를 주로 먹이로 섭취하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6. 인간과의 관계

한국에서는 붕장어를 중요한 식용 어류로 활용한다. 주로 통발, 아나고통, 낚시, 연승, 저인망 등의 방법으로 어획되며, 제철은 7월부터 8월까지이다.

붕장어 살은 흰색을 띠며 짙은 감칠맛이 있고, 뱀장어보다 지방이 적다. 튀김, 구이, 어육소시지 등으로 만들어 먹으며, 간장으로 졸인 조림은 초밥 재료로도 이용된다.

붕장어를 활용한 다양한 향토음식도 존재한다.


  • 아나규우: 양념으로 졸인 붕장어와 오이를 넣어 만든 김밥이다.
  • 하치만마키: 효고현의 향토음식으로, 간장, 설탕 등으로 졸인 우엉에 붕장어를 말아 꼬치에 꽂아 양념을 발라 굽는 음식이다.
  • 붕장어덮밥: 히로시마현, 효고현, 야마구치현 등에서 즐겨 먹는 명물 요리이다. 얇게 썬 붕장어 구이를 밥 위에 올린 형태로, JR미야지마구치역의 명물 역전 도시락으로 유명하며, JR니시아카시역이나 신야마구치역 등에서도 "붕장어도시락"으로 판매되고 있다.
  • 하카리메동: 지바현후쓰시의 향토음식으로, 붕장어를 펼쳐 조림으로 만들어 덮밥 위에 올린 붕장어덮밥의 일종이다.


붕장어는 성어뿐만 아니라 유생인 렙토케팔루스도 식용으로 사용된다. 고치현에서는 "노레소레"라 불리며, 토사초에 적셔 활어회로 먹는 고급 식재료로 취급된다. 간사이 지방에서는 "베라타", 아와지섬에서는 "하나타레"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멸치를 잡을 때 함께 잡히는 경우가 많으며, 킨키 지방에서는 봄철 음식점 메뉴에 등장한다.

붕장어는 뱀장어와 마찬가지로 혈액과 점막에 단백질 독을 가지고 있다. 이 독은 눈, 입, 상처 등에 닿으면 염증이나 화농을 일으킬 수 있으며, 다량 섭취 시 중독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독성 물질은 단백질이기 때문에 가열하면 변성되어 독성을 잃는다.[3]

어획량이 감소하면서 붕장어 증식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근기대학 수산연구소를 비롯한 여러 연구 그룹에서 붕장어 자어(稚魚) 양식에 성공하여 상업적 출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완전 양식 기술은 아직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친어의 성숙, 배란, 부화 단계까지는 연구가 진척되었으나, 실험실 수준의 완전 양식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3]

2002년 일본의 붕장어 어획량이 많은 항구는 다음과 같다.

순위항구 이름위치
1이네 어항교토부
2시모노세키 어항야마구치현
3하마다 어항시마네현
4마쓰카와우라 어항후쿠시마현
5모리사키 어항아이치현


6. 1. 이용

대한민국에서는 중요한 식용 어류로, 통발, 아나고통, 낚시, 연승, 저인망 등으로 어획된다. 7월부터 8월까지가 제철이다.

살은 흰살이며 짙은 감칠맛이 있고, 뱀장어보다 지방이 적다. 튀김이나 구이, 어육소시지로 만들어지며, 간장으로 졸인 조림이 초밥 재료 등으로 이용된다.

붕장어를 이용한 향토음식도 많다.

성어뿐만 아니라, 유생인 렙토케팔루스도 식용으로 사용된다. 고치현에서는 "노레소레"라고 부르며, 토사초에 적셔 활어회로 먹는 등 고급 식재료로 판매되고 있다. 그 외에도, 간사이 지방에서는 "베라타", 효고현 아와지섬에서는 "하나타레(콧물)" 등으로 불린다. 멸치 어획 시 혼획되는 경우가 많으며, 킨키 지방에서는 봄에 "노레소레"라는 이름으로 음식점 메뉴에 등장한다.

붕장어는 뱀장어와 마찬가지로, 혈액과 점막에 단백질 독을 포함하고 있다. 눈이나 입, 상처에 닿으면 염증이나 화농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다량 섭취하면 중독된다. 독성 물질은 단백질이기 때문에, 가열하면 변성되어 독성을 잃는다.

6. 2. 양식 연구

어획량이 감소함에 따라, 붕장어 증식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근기대학 수산연구소 등 여러 연구 그룹이 붕장어 자어(稚魚) 양식에 성공했다는 보고가 있었고, 양식 붕장어의 상업적 출하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완전 양식 기술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친어의 성숙, 배란, 부화에 성공한 단계까지는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실험실 수준의 완전 양식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3]

6. 3. 어획 항구

2002년도 일본의 붕장어 어획량이 많은 항구는 다음과 같다.

순위항구 이름위치
1이네 어항교토부
2시모노세키 어항야마구치현
3하마다 어항시마네현
4마쓰카와우라 어항후쿠시마현
5모리사키 어항아이치현


7. 별명

ハカリメ일본어 (지바현·와카야마현), キンリョウメ일본어·ギンリョウメ일본어 (와카야마현), ホシアナゴ일본어 (효고현), トオヘイ일본어 (오이타현), デンスケ일본어 (큰 붕장어: 오사카부), ビリ일본어 (작은 붕장어: 오사카부), メソ일본어 (작은 붕장어: 도쿄만), ホンメジロ일본어·メジロ일본어 (아이치현 미카와 만 주변·나고야시) 등.

또한, 유생인 レプトケファルス일본어 (Leptocephalus)는 ナガタンク일본어 (와카야마현), ノレソレ일본어 (고치현 도사 지방), ハナタレ일본어 (콧물, 효고현), ベラタ일본어 (간사이) 등으로 불린다.

참조

[1] IUCN Conger myriaster 2022-01-04
[2] 논문 The Identity of Conger japonicus Bleeker, 1879 (Anguilliformes: Congridae) 2016-01-01
[3] 웹사이트 아나고의 완전양식을 목표로 하는 킨키 대학 수산 연구소 무라타 슈 http://www.tfm.co.jp[...] TOKYO FM 2013-05-25
[4] 논문 The Identity of Conger japonicus Bleeker, 1879 (Anguilliformes: Congridae) 2016-01-01
[5] 웹인용 '아나고'의 순화어 http://www.korean.go[...] 국립국어원 2013-10-29
[6] 웹인용 [제철 음식 즐기기] 버릴 것 하나 없는 여름 보양식 ‘붕장어’ http://www.k-health.[...] 2021-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