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탄수화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탄수화물은 당, 당류, 올리고당류, 다당류 및 당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의 광범위한 부류이다. 화학식은 Cm(H2O)n으로 표현되며, 생물체 내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생합성에도 관여한다. 탄수화물은 중합도에 따라 단당류, 올리고당류, 다당류로 분류되며, 단당류는 알데히드 또는 케톤기를 갖는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이다. 탄수화물은 섭취하는 음식에서 에너지 생산에 기여하며, 과도한 섭취는 비만과 같은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탄수화물 섭취량을 하루 에너지 필요량의 50~70%로 권장하고 있으며, 식이섬유 섭취도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탄수화물 대사 경로에 관한 - 덱스트란
    덱스트란은 미생물이 생성하는 포도당 중합체 다당류로, 혈장 대체제로 개발되어 의학적으로 활용되었으며, 현재는 항혈전제, 혈량 증량제, 안약 윤활제 등으로 사용되고 약물 전달 시스템 연구에도 활용된다.
  • 탄수화물 대사 경로에 관한 - 젖산 탈수소효소
    젖산 탈수소효소(LDH)는 피루브산을 젖산으로 또는 그 역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해당 과정과 코리 회로에서 작용하며, 5가지 동질효소 형태로 존재하고, 혈청 내 수치는 조직 손상 지표로 사용되며, 암세포 에너지 대사 및 유전 질환과도 관련되어 그 기능과 관련 질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대사 경로에 관한 - 코르티솔
    코르티솔은 부신피질에서 생성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혈당, 면역, 대사 조절과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며, 과다 분비 시 질환을 유발하고 장기간 노출 시 해마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분비량은 HPA 축에 의해 조절되고 일주기 리듬에 따라 변화한다.
  • 대사 경로에 관한 -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은 세포막 구성 성분이자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담즙산의 전구체인 지질로, 체내에서 합성되어 리포단백질을 통해 운반되며, 혈중 수치는 심혈관 질환과 관련되어 "나쁜 콜레스테롤"과 "좋은 콜레스테롤"의 균형이 중요하다.
  • 영양 - 지방산
    지방산은 탄소 원자와 카르복실기로 이루어진 카르복실산으로, 탄소 사슬 길이, 이중 결합 유무 및 위치, 기하 이성질체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며, 에너지 저장 및 세포막 구성 성분으로서 생체 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여러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영양 -
    물은 산소 원자 하나와 수소 원자 두 개로 이루어진 무기 화합물로, 지구 표면의 약 70%를 차지하며 고체, 액체, 기체 상태로 존재하고 생명체의 필수 구성 요소이자 문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물 부족과 수질 오염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탄수화물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화학식C(HO) 또는 (CHO)
분자식(CH2O)n
구성 원소탄소, 수소, 산소
어원그리스어 σάκχαρον(sákcharon, 설탕) 및 γλεῦκος(gleûkos, 와인, 포도즙)에서 유래
분류
주요 분류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생화학적 역할
주요 기능에너지 공급
세포 구조 형성
세포 인식
영양학적 측면
주요 공급원곡물, 과일, 채소, 유제품 등
소화소화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단당류로 흡수
에너지1g당 약 4kcal의 에너지 생성
식이 섬유소화되지 않는 탄수화물로 장 건강에 도움
단쇄 지방산일부 탄수화물은 장내 세균에 의해 단쇄 지방산으로 전환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
구조적 특징
기본 단위단당류 (monosaccharide)
탄소 수3개 이상의 탄소 원자로 구성
함수다수의 수산기(-OH)를 포함
작용기알데히드 또는 케톤 작용기 포함
추가 정보
기타 명칭사카라이드
참고탄수화물은 생체 내에서 중요한 에너지원이며, 다양한 생체 기능에 필수적이다.

2. 용어

과학 문헌에서 "탄수화물(carbohydrate)"은 "당(sugar)", "당류(saccharide)", "-오스(-ose)",[82] "당질(glucide)",[87] "탄소의 수화물(hydrate of carbon)", "폴리하이드록시 알데하이드(polyhydroxy aldehyde)", "폴리하이드록시 케톤(polyhydroxy ketone)" 등 다양한 동의어로 사용된다. 이들 중 "탄수화물"과 "당"은 다른 의미로도 사용된다.

식품과학이나 비공식적인 상황에서 "탄수화물"은 녹말이 풍부한 식품(예: 곡물, 빵, 파스타)이나 당이 풍부한 식품(예: 사탕, , 디저트)을 의미하기도 한다.

영양성분표에서 "탄수화물"은 , 단백질, 지방, 무기염류, 에탄올을 제외한 모든 것을 의미하며,[88] 여기에는 아세트산이나 젖산처럼 탄수화물로 간주되지 않는 화합물도 포함된다. 식이 섬유는 탄수화물이지만 식품 에너지(열량)에 거의 기여하지 않는다.

엄격한 의미에서 "당(sugar)"은 단맛이 나고 물에 잘 녹는 탄수화물을 의미하며, 음식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3. 역사

탄수화물 발견의 역사는 신석기 농업 혁명 시대인 약 1만 년 전 파푸아뉴기니에서 사탕수수 재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탄수화물"이라는 용어는 1844년 독일 화학자 카를 슈미트가 처음 제안했다. 1856년에는 프랑스 생리학자 클로드 베르나르가 동물의 간에 저장된 탄수화물의 한 형태인 글리코겐을 발견했다.[10]

4. 구조

화학에서 "탄수화물"이라는 용어는 과거에 화학식이 Cm(H2O)n인 화합물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정의에 따라, 일부 화학자들은 포름알데하이드(CH2O)를 가장 단순한 탄수화물로 간주했고,[89] 어떤 화학자들은 글리콜알데하이드(C2H4O2)를 가장 단순한 탄수화물로 간주하기도 했었다.[90] 오늘날 탄수화물은 하나 또는 두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화합물을 제외하고, Cm(H2O)n의 화학식에서 벗어난 많은 생물학적 탄수화물들을 포함하는, 생화학적 의미에서 일반적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탄수화물은 종종 N-아세틸기(예: 키틴), 황산기(예: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카복시기(예: 시알산), 디옥시 변형(예: 푸코스, 시알산)과 같은 작용기를 가질 수도 있다.

천연적인 탄수화물은 일반적으로 화학식이 (CH2O)n (여기서 n은 3 이상)을 갖는 단당류로 구성된다. 전형적인 단당류는 많은 하이드록시기를 가지고 있는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이며, 보통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 작용기를 갖고 있지 않는 탄소 원자에 하이드록시기가 하나씩 첨가되어 있다. 단당류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글리세르알데하이드 등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단당류"라고 불리는 일부 생물학적 물질들은 이러한 화학식 (CH2O)n을 따르지 않는다(예: 우론산푸코스와 같은 디옥시당). 그리고 이러한 화학식 (CH2O)n을 따르지만, 단당류로 간주되지 않는 화학물질들(예: 포름알데히드(CH2O) 및 이노시톨(C6H12O6)도 있다.[91]

선형의 단당류는 알데하이드/케톤카보닐기(C=O)와 하이드록시기(–OH)가 반응하여 헤미아세탈/헤미케탈을 형성하는 고리형과 공존한다.

단당류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다당류(또는 올리고당류)를 형성할 수 있다. 많은 탄수화물들은 하나 이상의 작용기가 대체되거나 제거된 하나 이상의 변형된 단당류 단위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NA의 구성 성분인 디옥시리보스리보스의 변형이고, 키틴글루코스질소가 함유된 형태인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단위체로 하는 중합체이다.

보다 엄밀하게 탄수화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 – 알데히드기 또는 케톤기를 가진 다가알코올(카르보닐기를 가진 다가알코올)
  • * 단당류
  • * 소당류 – 단당류 2개에서 10개 정도가 축합된 것. 올리고당류라고도 한다. 단당류의 결합 수에 따라 이당류, 삼당류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 * 다당류 – 단당류가 올리고당류 이상으로 결합된 것. 이 중 구성하는 당이 1종류인 것을 호모다당류, 2종류 이상인 것을 헤테로다당류라고 한다. 또한, 탄수화물이 단백질이나 지질과 공유결합으로 화합한 것을 복합당질이라고 한다.
  • 당의 유도체


구성 탄소 수로도 분류된다.

탄소 수명칭
3트리오스
4테트로스
5펜토스
6헥소스



이것들이 가지는 작용기에 따라, 알데히드기를 가지는 알도스와 케톤기를 가지는 케토스로 분류된다. 알데히드기나 케톤기가 히드록실기와 결합하여 고리 모양의 구조를 만들면, 그 형태에서 오원환(푸라노스)과 육원환(피라노스)으로도 나뉜다.

키랄성 탄소의 입체 배치에서는 D계열과 L계열로도 구분된다. 고리 구조를 가지면 이것이 다른 키랄성을 발생시켜 α-아노머와 β-아노머로도 나눌 수 있다.

5. 분류

탄수화물은 폴리하이드록시알데하이드, 폴리하이드록시케톤, 이들의 단순 유도체 및 아세탈이나 케탈을 갖는 것들의 중합체이다. 탄수화물은 중합된 정도에 따라 당류, 올리고당류, 다당류의 세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92]

주요 식이 탄수화물
종류 (DP*)하위 분류해당 범주의 물질들의 예
당류 (1–2)단당류포도당, 갈락토스, 과당, 자일로스
이당류설탕, 유당, 맥아당, 트레할로스
폴리올소르비톨, 만니톨
올리고당류 (3–9)말토-올리고당류말토덱스트린
기타 올리고당류라피노스, 스타키오스, 프럭토올리고당
다당류 (>9)녹말아밀로스, 아밀로펙틴, 변성 녹말들
비-녹말 다당류글리코젠,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펙틴, 히드로콜로이드



DP * = 중합도

영양학자들은 탄수화물을 단순 탄수화물과 복합 탄수화물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이 둘을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모호할 수 있다. '복합 탄수화물'이라는 용어는 1977년 미국 상원에서 처음 사용되었는데, 이때는 당류와 다른 탄수화물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27] 하지만 당시 과일, 채소, 통곡물 등도 복합 탄수화물 범주에 포함시켜 혼란을 야기했다. 오늘날에는 당류는 단순 탄수화물(단당류와 이당류), 다당류(또는 올리고당류)는 복합 탄수화물로 화학적으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28]

단순 탄수화물과 복합 탄수화물의 화학적 구분만으로는 탄수화물의 영양적 가치를 판단하기 어렵다.[28] 예를 들어 과일과 같은 단순 탄수화물은 영양소가 풍부하고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반면, 흰 빵과 같은 복합 탄수화물은 영양소가 거의 없고 혈당과 인슐린 수치를 급격하게 높일 수 있다. 탄수화물의 소화 속도는 함께 섭취하는 다른 영양소, 가공 및 조리 방법, 개인의 신진대사 등에 따라 달라진다.[29]

일본에서는 「건강증진법」에 기반한 「영양표시기준」에 따라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식품에 영양 성분을 표시할 때, 탄수화물, 당질, 식이섬유의 함량 표시가 허용된다.

탄수화물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5. 1. 단당류 (Monosaccharides)

단당류는 더 작은 탄수화물로 가수분해될 수 없다는 점에서 가장 단순한 탄수화물이다.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이다. 변형되지 않은 단당류의 일반적인 화학식은 (C·H2O)n이며, 문자 그대로 "탄소 수화물"이다. 단당류는 중요한 연료 분자이자 핵산의 구성 요소이다. n=3인 가장 작은 단당류는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L-글리세르알데하이드, D-글리세르알데하이드이다.[1]

D-포도당은 화학식이 C6H12O6인 알도헥소스이다. 빨간색 원자는 알데하이드이고, 파란색 원자는 알데하이드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비대칭 중심을 나타낸다. 피셔 투영식에서 하이드록시기(-OH)가 오른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D-포도당이다.


단당류의 사슬형은 알데하이드/케톤 카르보닐기(C=O)와 하이드록시기(–OH)가 반응하여 새로운 C–O–C 결합을 가진 헤미아세탈을 형성하는 고리형과 공존한다.

단당류는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연결되어 다당류 또는 올리고당이 될 수 있다.

5. 1. 1. 단당류의 분류

단당류는 카보닐기의 위치, 탄소 원자의 수, 키랄 탄소의 세 가지 특성에 따라 분류된다. 카보닐기가 알데하이드인 경우는 알도스, 케톤인 경우는 케토스이다. 탄소 원자 수에 따라 삼탄당(트라이오스), 사탄당(테트로스), 오탄당(펜토스), 육탄당(헥소스) 등으로 불린다.[94] 카보닐기의 위치와 탄소 원자 수를 결합하여 분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포도당은 알도헥소스(6탄소 알데하이드), 리보스는 알도펜토스(5탄소 알데하이드), 과당은 케토헥소스(6탄소 케톤)이다.

하이드록시기(-OH)를 갖는 각 탄소 원자(첫 번째와 마지막 탄소 제외)는 비대칭이며, 두 가지 입체 배치(R 또는 S)를 갖는 입체 중심이다. 이러한 비대칭성 때문에 다수의 이성질체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도헥소스인 D-포도당은 르벨-반트 호프 규칙에 따라 화학식 (C·H2O)6에서 4개의 비대칭 탄소를 가지므로 24=16가지의 입체 이성질체 중 하나가 된다. 글리세르알데하이드는 한 쌍의 입체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이면서 에피머)를 갖는 알도트라이오스이다.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은 입체 중심이 없는 대칭 분자인 케토스이다. D- 또는 L- 배치는 카보닐기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비대칭 탄소의 하이드록시기 방향에 따라 정해진다. 피셔 투영식에서 하이드록시기(-OH)가 오른쪽에 있으면 D-당, 왼쪽에 있으면 L-당이다. "D-", "L-" 접두사는 당이 편광 평면을 회전시키는 방향을 나타내는 "d-", "l-"과는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95]

보다 엄밀하게 탄수화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구성 탄소 수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 트리오스 C₃
  • 테트로스 C₄
  • 펜토스 C₅
  • 헥소스 C₆


작용기에 따라 알데히드기를 갖는 알도스와 케톤기를 갖는 케토스로 분류된다. 알데히드기나 케톤기가 히드록실기와 결합하여 고리 모양 구조를 만들면, 오원환(푸라노스)과 육원환(피라노스)으로도 나뉜다.

키랄성 탄소의 입체 배치에 따라 D계열과 L계열로 구분되며, 고리 구조는 α-아노머와 β-아노머로 나눌 수 있다.

5. 1. 2. 고리형 및 선형 구조에서 이성질체

포도당은 선형 또는 고리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


선형 구조의 단당류에서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은 분자 내 다른 탄소의 하이드록시기와 가역적으로 반응하여 두 탄소 원자 사이에 산소를 갖는 헤테로고리 구조인 헤미아세탈 또는 헤미케탈을 형성한다. 5개의 원자를 갖는 고리는 푸라노스, 6개의 원자를 갖는 고리는 피라노스로 불리며, 이러한 고리형은 선형과 평형 상태로 존재한다.[96]

선형에서 고리형으로 전환되는 동안, 아노머 탄소라고 불리는 카보닐 산소를 포함하는 탄소 원자는 두 가지 가능한 배치를 갖는 입체 중심이 된다. 산소 원자는 고리 평면의 위쪽이나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런 식으로 가능한 입체 이성질체의 쌍을 아노머라고 한다. α-아노머에서 아노머 탄소의 -OH 치환기는 -CH2OH와 고리 평면에 대해 서로 반대쪽(트랜스)에 위치한다. -CH2OH 치환기와 아노머 탄소의 하이드록시기(-OH)가 고리 평면에 대해 서로 같은 쪽(시스)에 있는 형태는 β-아노머라고 한다.

5. 1. 3. 생물에서의 사용

단당류물질대사를 위한 주요 에너지원(포도당이 가장 중요함)으로 사용되며, 생합성 과정에서도 사용된다. 세포에서 단당류를 즉각적으로 필요로 하지 않을 때, 단당류들은 종종 공간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형태인 다당류로 전환된다. 사람을 포함한 많은 동물에서 저장 다당류의 형태는 글리코젠으로 특히 근육에 저장된다. 식물에서 저장되는 다당류의 형태는 녹말이다.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탄수화물인 셀룰로스는 식물과 조류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성분이다. 리보스RNA를 구성하는 성분이며, 디옥시리보스DNA를 구성하는 성분이다. 릭소스는 사람의 심장에서 발견되는 릭소플라빈(lyxoflavin)의 성분이다.[97] 리불로스자일룰로스오탄당 인산 경로에서 발견된다. 젖당의 구성 성분인 갈락토스식물 세포막의 갈락토지질과 많은 조직당단백질에서 발견된다. 만노스는 사람의 물질대사에서 특히 특정 단백질의 글리코실화에서 발견된다. 과당은 많은 식물과 사람에서 발견되며, 사람의 소화 과정 중 장으로 직접 흡수되어 간에서 대사되고, 정액에서도 발견된다. 곤충의 주요 당인 트레할로스는 계속적인 비행을 지원하기 위해 2분자의 포도당으로 빠르게 가수분해된다.

단당류가 즉시 필요하지 않을 경우, 종종 더 공간 효율적인(즉, 물에 덜 녹는) 형태, 흔히 다당류로 전환된다. 동물의 경우, 혈액을 순환하는 포도당은 주요 대사 기질이며, 미토콘드리아에서 산화되어 유용한 세포 활동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ATP를 생산한다. 인간과 다른 동물에서 혈청 포도당 수치는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포도당을 유지하고 저혈당증 또는 고혈당증의 해로운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신중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인슐린글루카곤과 같은 호르몬은 포도당 수치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인슐린은 포도당 수치가 높을 때 근육과 지방 세포로의 포도당 흡수를 자극하는 반면, 글루카곤은 간에서 포도당 합성을 자극하여 포도당 수치가 너무 낮아지면 수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인간을 포함한 많은 동물에서 이 저장 형태는 특히 간세포와 근육 세포에서 글리코겐이다. 식물에서는 녹말이 같은 목적으로 사용된다. 가장 풍부한 탄수화물인 셀룰로스는 식물과 많은 종류의 조류의 세포벽의 구조적 구성 요소이다. 리보스RNA의 구성 요소이다. 데옥시리보스는 DNA의 구성 요소이다. 리크소스는 인간 심장에서 발견되는 릭소플라빈의 구성 요소이다.[19] 리불로스와 크실룰로스는 펜토스 인산 경로에 존재한다. 우유 설탕인 락토스의 구성 요소인 갈락토스는 식물 세포막의 갈락토지질과 많은 조직의 당단백질에서 발견된다. 만노스는 특히 특정 단백질의 당화에서 인간의 신진대사에 관여한다. 과당 또는 과일 설탕은 많은 식물과 인간에게서 발견되며, 간에서 대사되고, 소화 중에 장으로 직접 흡수되며 정액에서 발견된다. 곤충의 주요 설탕인 트레할로스는 두 개의 포도당 분자로 빠르게 가수분해되어 지속적인 비행을 지원한다.

곡물 제품: 탄수화물의 풍부한 공급원


음식물로 섭취되는 탄수화물은 단당류의 경우 1g당 3.87kcal의 에너지를, 대부분의 다른 음식물에 있는 복합 탄수화물의 경우 1g당 3.57kcal~4.12kcal의 에너지를 생성한다.[20][21] 비교적 높은 수준의 탄수화물은 과자류, 쿠키와 사탕, 설탕, 꿀, 청량음료, 빵과 크래커, 잼과 과일 제품, 파스타와 시리얼을 포함한 식물에서 만들어진 가공식품이나 정제된 식품과 관련이 있다. 흰 빵이나 쌀, 청량음료, 디저트와 같은 가공식품에서 나온 정제된 탄수화물은 소화가 잘 되며, 포도당의 빠른 흡수를 반영하는 높은 당지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 많다.[22] 반대로, 콩, 완두콩, 통곡물과 같은 통곡물, 가공되지 않은,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물의 소화는 포도당과 에너지가 신체에 느리고 꾸준히 방출되도록 한다.[22] 동물성 식품은 일반적으로 탄수화물 함량이 가장 낮지만, 우유는 상당한 양의 유당을 함유하고 있다.

생물체는 일반적으로 모든 종류의 탄수화물을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대사할 수 없다. 포도당은 거의 보편적이고 접근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많은 생물체는 다른 단당류이당류를 대사할 수 있는 능력도 가지고 있지만, 종종 포도당이 먼저 대사된다. 예를 들어, ''대장균''에서는 젖당 오페론이 젖당이 존재할 때 젖당 소화 효소를 발현하지만, 젖당과 포도당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젖당'' 오페론이 억제되어 포도당이 먼저 사용된다(참조: 이중 배양). 다당류 또한 일반적인 에너지원이다. 많은 생물체는 전분을 포도당으로 쉽게 분해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생물체는 셀룰로오스나 키틴 및 아라비녹실란과 같은 다른 다당류를 대사할 수 없다. 이러한 탄수화물 유형은 일부 박테리아와 원생생물에 의해 대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추동물흰개미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셀룰로오스를 처리하고, 단쇄 지방산으로 발효시킨다. 인간은 섬유질을 소화하는 효소가 없지만, 식이섬유는 인간에게 중요한 식이 요소이다. 섬유질은 건강한 소화를 촉진하고, 식후 포도당과 인슐린 수치를 조절하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포만감을 증진시킨다.[23]

의학연구소는 미국과 캐나다 성인이 전체 섭취 에너지의 45~65%를 통곡물 탄수화물에서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24] 식량농업기구와 세계보건기구는 국가 식단 가이드라인에서 총 에너지의 55~75%를 탄수화물에서 섭취하되, 단당류(단순 탄수화물에 대한 용어)에서 직접 섭취하는 비율은 10%로 제한할 것을 공동으로 권장한다.[25] 2017년 코크란 체계적 고찰에서는 통곡물 식단이 심혈관 질환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충분한 증거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26]

5. 2. 이당류 (Disaccharides)

이당류는 2분자의 단당류가 결합된 화합물로 엿당(포도당+포도당), 설탕(포도당+과당), 젖당(포도당+갈락토스)이 있다. 이당류는 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2분자의 단당류로 구성되며, 하나의 단당류에서 수소 원자가 또 다른 단당류에서 하이드록시기가 탈수 반응을 통해 소실된다. 변형되지 않은 이당류의 화학식은 C12H22O11이다. 많은 종류의 이당류가 있지만, 몇 가지 이당류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14]

설탕(Sucrose)은 일반적인 이당류이다. D-포도당(왼쪽)과 D-과당(오른쪽)의 두 단당류로 구성된다.


수크로스(설탕)는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이당류이며, 식물에서 운반되는 탄수화물의 주요 형태이다. 수크로스는 포도당 1분자와 과당 1분자로 구성된다. 수크로스의 계통명은 α-D-글루코피라노실-(1↔2)-β-D-프럭토푸라노사이드이며, 다음의 4가지를 나타내고 있다.

  • 수크로스를 구성하는 단당류: 포도당(글루코스)과 과당(프럭토스)
  • 고리 유형: 포도당은 피라노스이고, 과당은 푸라노스이다.
  • 어떻게 서로 연결되는가: α-D-포도당의 1번 탄소(C-1)에 있는 산소는 D-과당의 2번 탄소(C-2)와 연결된다.
  • 접미사 "-oside"는 두 단당류의 아노머 탄소글리코사이드 결합에 참여함을 나타낸다.


젖당은 1분자의 D-갈락토스와 1분자의 D-포도당으로 구성된 이당류이며, 포유류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된다. 젖당의 계통명은 β-D-갈락토피라노실-(1→4)-D-글루코피라노스이다. 다른 주목할만한 이당류에는 엿당(D-글루코스 2분자가 α(1→4) 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연결)과 셀로비오스(D-글루코스 2분자가 β(1→4) 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연결)가 있다. 이당류는 환원성 이당류와 비환원성 이당류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작용기가 다른 단당류와의 결합에 존재하는 경우, 환원성 이당류 또는 비오스(biose)라고 한다.

주요 식이 탄수화물
종류
(중합도)
하위 그룹구성 성분
단당류 (1–2)이당류설탕, 유당, 맥아당, 이소말툴로스, 트레할로스


5. 3. 올리고당류 (Oligosaccharides)

올리고당류는 3~9개의 단당류 단위체를 포함한다.[14] 말토올리고당류에는 말토덱스트린류가 있다. 기타 올리고당류에는 라피노스, 스타키오스, 프럭토올리고당류가 있다.

주요 식이 탄수화물
종류
(중합도)
하위 그룹구성 성분
단당류 (1–2)단당류포도당, 갈락토스, 과당, 자일로스
이당류설탕, 유당, 맥아당, 이소말툴로스, 트레할로스
폴리올소르비톨, 만니톨
올리고당류 (3–9)말토올리고당류말토덱스트린
기타 올리고당류라피노스, 스타키오스, 프럭토올리고당류
다당류 (>9)전분아밀로스, 아밀로펙틴, 변성 전분
비전분 다당류글리코겐,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펙틴류, 히드로콜로이드류


5. 4. 다당류 (Polysaccharides)

다당류는 단당류 분자들이 연쇄적으로 결합한 중합체이다. 녹말, 글리코젠, 셀룰로스로 구분한다. 녹말은 수만 개의 α-포도당 분자가 결합하여 생성되는데 곁가지의 유무에 따라 다시 아밀로펙틴아밀로스로 나누기도 한다. 대부분의 식물 세포는 에너지를 녹말의 형태로 저장한다. 동물은 대부분의 에너지를 지방의 형태로 저장하지만 이나 근육에는 소량의 글리코젠이 들어 있다. 글리코젠의 합성과 분해는 인슐린글루카곤의 영향을 받는데 인슐린은 혈당량을 낮추는 작용을 하며 포도당을 글리코젠으로 바꾸고, 글루카곤은 반대로 글리코젠을 분해하여 포도당을 생성해서 혈당량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글리코젠 또한 녹말과 같이 α-포도당 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나 녹말에 비해 곁가지의 수가 훨씬 더 많다.[14]

셀룰로스의 3D 구조


셀룰로스는 수만 개의 β-포도당 분자가 결합하여 생성되며 대부분의 식물은 셀룰로스로 세포벽을 만든다. 사람은 셀룰로스를 분해할 수 없지만, 대부분의 초식 동물들은 장 내에 셀룰로스를 분해하는 공생 세균이 있어 이들의 도움으로 셀룰로스를 분해하여 포도당으로 분해할 수 있다. 소 안에 들어있는 세균은 셀룰로스를 분해하여 최종적으로 메탄 가스를 생성하기 때문에, 일부 과학자들은 의 트림이 메탄 가스 생성의 주 원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셀룰로스는 녹말이나 글리코젠과는 달리 곧은 사슬 형태로만 존재한다. 또한 셀룰로스는 분자를 잘 흡수하는데, 이는 섬유소가 변비를 해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14]

주요 식이 탄수화물
종류
(중합도)
하위 그룹구성 성분
다당류 (>9)전분아밀로스, 아밀로펙틴, 변성 전분
비전분 다당류글리코겐,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펙틴류, 히드로콜로이드류



다당류는 단당류가 올리고당류 이상으로 결합된 것이다. 이 중 구성하는 당이 1종류인 것을 호모다당류, 2종류 이상인 것을 헤테로다당류라고 한다.[14]

6. 영양

탄수화물은 곡물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음식으로 섭취되는 탄수화물은 종류에 따라 1g당 3.57~4.12 kcal의 에너지를 낸다.[99] 과자, 쿠키, 사탕, 설탕, 꿀, 청량음료, , 크래커, 잼, 과일 가공품, 파스타, 시리얼 등 가공식품이나 정제식품에는 탄수화물이 비교적 많이 들어 있다. 반면 콩, 괴경, 쌀, 과일과 같은 정제되지 않은 음식에는 탄수화물 함량이 낮다.[100] 동물성 식품은 탄수화물 함량이 낮지만, 우유에는 젖당이 많이 들어 있다.

생물은 모든 종류의 탄수화물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포도당은 거의 모든 생물에게 보편적인 에너지원이다. 많은 생물들이 단당류이당류를 대사할 수 있지만, 포도당을 먼저 사용한다. 예를 들어 대장균은 젖당 오페론을 통해 젖당 분해 효소를 발현하지만, 젖당과 포도당이 모두 존재하면 젖당 오페론이 억제되어 포도당을 먼저 사용한다. 다당류 또한 일반적인 에너지원이며, 많은 생물들이 녹말을 포도당으로 쉽게 분해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생물들은 셀룰로스, 키틴, 아라비노자일란과 같은 다당류는 대사하지 못한다. 이러한 다당류는 일부 세균원생생물이 대사할 수 있으며, 반추동물흰개미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셀룰로스를 분해한다. 식이 섬유는 소화가 잘 되지 않지만, 사람에게 중요한 식이 요소이며 소화 기능 향상 등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101]

세계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보건기구(WHO)는 전체 에너지의 55~75%를 탄수화물로부터 얻되, 단순 탄수화물(당)은 10% 이하로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104]

6. 1. 유형

영양학에서 탄수화물은 종종 단순 탄수화물과 복합 탄수화물로 나뉘지만, 이 둘의 구분은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복합 탄수화물이라는 용어는 1977년 미국 상원 영양 특별위원회의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되었는데, 이는 당과 다른 탄수화물(영양적으로 우수한)을 구별하기 위해서였다.[106] 그러나 이 보고서는 당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과일, 채소, 곡물을 복합 탄수화물로 분류했다. 일부 영양학자들은 복합 탄수화물이라는 용어를 섬유, 비타민, 무기염류가 있는 음식에 포함된 소화성 당류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표준적인 사용법은 화학적 분류에 따라 당(단당류이당류)은 단순 탄수화물, 다당류(또는 올리고당)는 복합 탄수화물로 분류한다.[107]

화학적 구분은 탄수화물의 영양적 가치를 판단하는 데 큰 의미가 없을 수 있다.[107] 일부 단순 탄수화물(예: 과당)은 혈당을 천천히 올리는 반면, 일부 복합 탄수화물(예: 녹말)은 가공 시 혈당을 빠르게 올릴 수 있다. 소화 속도는 함께 섭취하는 다른 영양소, 조리 방법, 개인의 신진대사 차이, 탄수화물의 화학적 성질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108]

미국 농무부의 2010년 미국인을 위한 식이 가이드라인에서는 하루 170g의 통곡물을 포함한 균형 잡힌 식단을 권장한다.[109]

혈당지수와 혈당부하는 소화 과정에서 음식물의 작용을 특징짓기 위해 개발되었다. 혈당량에 미치는 영향의 속도와 크기를 기준으로 탄수화물이 풍부한 음식의 순위를 정한다. 혈당지수는 포도당의 흡수 속도를, 혈당부하는 음식에서 흡수될 수 있는 포도당의 총량을 측정한다. 인슐린 지수는 음식물 내의 포도당(또는 녹말) 및 일부 아미노산으로 인한 혈액 중 인슐린 수치에 대한 영향을 기준으로 음식의 순위를 매기는 방법이다.

과학 논문에서 "탄수화물"은 "당"(넓은 의미), "사카라이드(saccharide)", "오스(ose)",[1] "글루시드(glucide)",[8] "탄소수화물",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 (알데히드 또는 케톤)" 등 다양한 동의어로 사용된다.

식품 과학 등에서 "탄수화물"은 복합 탄수화물 전분(곡물, 빵, 파스타 등)이나 설탕과 같은 단순 탄수화물(사탕, , 디저트 등)이 풍부한 음식을 의미하기도 한다.

영양 정보 목록(예: 미국 농무부 국립 영양 데이터베이스)에서 "탄수화물"(또는 "차이에 의한 탄수화물")은 물, 단백질, 지방, 회분, 에탄올을 제외한 모든 것을 의미한다.[9] 여기에는 아세트산이나 젖산과 같이 탄수화물로 간주되지 않는 화합물이나 식이섬유도 포함된다.

엄밀한 의미에서 "설탕"은 단맛이 나는 수용성 탄수화물에 적용된다. 탄수화물은 다가하이드록시알데히드, 케톤, 알코올, 산, 이들의 간단한 유도체 및 아세탈형 결합을 가진 중합체이며, 중합도에 따라 단당류, 올리고당류, 다당류로 나눌 수 있다.[14]

주요 식이 탄수화물
종류
(중합도)
하위 그룹구성 성분
단당류 (1–2)단당류포도당, 갈락토스, 과당, 자일로스
이당류설탕, 유당, 맥아당, 이소말툴로스, 트레할로스
폴리올소르비톨, 만니톨
올리고당류 (3–9)말토올리고당류말토덱스트린
기타 올리고당류라피노스, 스타키오스, 프럭토올리고당류
다당류 (>9)전분아밀로스, 아밀로펙틴, 변성 전분
비전분 다당류글리코겐,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펙틴류, 히드로콜로이드류



음식으로 섭취되는 탄수화물은 단당류의 경우 1g당 3.87kcal의 에너지를,[20] 대부분의 다른 복합 탄수화물의 경우 1g당 3.57kcal~4.12kcal의 에너지를 생성한다.[21] 과자, 쿠키, 사탕, 설탕, 꿀, 청량음료, 빵, 크래커, 잼, 과일 제품, 파스타, 시리얼 등 가공식품이나 정제된 식품에 탄수화물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다. 흰 빵, 쌀, 청량음료, 디저트와 같은 가공식품의 정제된 탄수화물은 소화가 잘 되어 포도당 흡수가 빨라 당지수가 높은 경우가 많다.[22] 반면, 콩, 완두콩, 통곡물과 같이 가공되지 않은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은 포도당과 에너지가 천천히 방출되도록 한다.[22] 동물성 식품은 탄수화물 함량이 낮지만, 우유에는 유당이 많다.

생물체는 모든 종류의 탄수화물을 에너지로 대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포도당은 거의 보편적인 에너지원이다. 많은 생물체가 다른 단당류이당류를 대사할 수 있지만, 포도당이 먼저 대사되는 경우가 많다. 다당류도 일반적인 에너지원이다. 많은 생물체는 전분을 포도당으로 쉽게 분해할 수 있지만, 대부분 셀룰로오스나 키틴, 아라비녹실란과 같은 다른 다당류는 대사할 수 없다. 이러한 탄수화물은 일부 박테리아와 원생생물에 의해 대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추동물흰개미는 미생물을 이용해 셀룰로오스를 처리하고 단쇄지방산으로 발효시킨다. 인간은 섬유질을 소화하는 효소가 없지만, 식이섬유는 건강한 소화, 식후 포도당과 인슐린 수치 조절,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포만감 증진에 기여한다.[23]

의학연구소는 미국과 캐나다 성인이 전체 섭취 에너지의 45~65%를 통곡물 탄수화물에서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24] 식량농업기구와 세계보건기구는 총 에너지의 55~75%를 탄수화물에서 섭취하되, 단당류(단순 탄수화물)는 10%로 제한할 것을 권장한다.[25] 2017년 코크란 체계적 고찰에서는 통곡물 식단이 심혈관 질환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결론 내렸다.[26]

영양학자들은 탄수화물을 단순 탄수화물과 복합 탄수화물로 구분한다. 복합 탄수화물이라는 용어는 미국 상원 영양 및 인간 필요위원회의 ''미국의 식이 목표''(1977)에서 처음 사용되었는데, 당류와 영양적으로 우수하다고 여겨지는 다른 탄수화물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었다.[27] 그러나 이 보고서는 과일, 채소, 통곡물을 복합 탄수화물 범주에 포함시켰는데, 이들은 다당류뿐만 아니라 당류도 포함할 수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했다. 일부 영양학자들은 복합 탄수화물이라는 용어를 섬유질, 비타민, 미네랄이 함께 포함된 전체 식품에 존재하는 어떤 종류의 소화 가능한 당류를 가리키는 데 사용하는 반면, 표준적인 용법은 당류인 경우 단순 탄수화물(단당류와 이당류), 다당류(또는 올리고당류)인 경우 복합 탄수화물로 탄수화물을 화학적으로 분류하는 것이다.[28]

단순 대 복합 화학적 구분은 탄수화물의 영양적 가치를 결정하기에 너무 단순하다.[28] 일부 단순 탄수화물 식품(예: 과일)은 영양소가 풍부하고 혈당에 대한 영향이 적당한 반면, 일부 복합 탄수화물 식품(예: 흰 빵)은 영양소가 거의 없고 쉽게 흡수되는 탄수화물이 많아 혈당과 인슐린 수치가 급증한다. 소화 속도는 탄수화물과 함께 섭취되는 다른 영양소, 식품의 가공 또는 조리, 신진대사의 개인차, 탄수화물의 화학적 특성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29] 탄수화물은 때때로 소장에서 흡수되는 "유효 탄수화물"과 대장으로 이동하여 위장 미생물군에 의해 발효되는 "비유효 탄수화물"로 나뉜다.[30]

USDA의 ''2010년 미국인을 위한 식이 지침''은 매일 6온스의 곡물 식품을 섭취하는 균형 잡힌 식단에서 중간에서 높은 탄수화물 섭취를 권장하며, 그중 절반 이상은 통곡물 공급원에서, 나머지는 강화된 곡물에서 섭취해야 한다.[31]

당지수(GI)와 혈당 부하 개념은 인간의 소화 및 신진대사 과정에서 식품의 행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들은 혈당 수치에 미치는 영향의 속도와 크기에 따라 탄수화물이 풍부한 식품을 순위 매깁니다. 당지수는 식사 후 혈당 수치가 얼마나 빨리 상승하는지를 측정하는 반면, 혈당 부하는 식품에 함유된 총 흡수 가능한 포도당을 측정한다. 인슐린 지수는 보다 최근에 개발된 유사한 분류 방법으로, 식품에 함유된 포도당(또는 전분)과 일부 아미노산에 의해 발생하는 혈중 인슐린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식품을 순위 매긴다.

6. 2. 식이 탄수화물 일부 제한의 효과

탄수화물은 생물에서 일반적인 에너지원이다.[110] 사람은 단백질지방으로부터 필요한 에너지를 모두 얻을 수 있지만, 극단적인 탄수화물 제한으로 인해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영향은 여전히 광범위하게 연구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다.[110] 그러나 식이 섬유의 경우(에너지원이 아닌 소화되지 않는 탄수화물) 부적절한 섭취는 사망률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111][112]

며칠 동안 매우 적은 양의 탄수화물로 구성된 식이 요법을 하면 일반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유사한 같은 칼로리의 식단보다 혈액 중 케톤체 수가 많아진다. 혈액 중 비교적 높은 농도의 케톤체가 존재하면 일반적으로 케톤증이라 하며,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알려진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치명적인 상태와 혼동되기 쉽다. 케톤산증을 앓게 되면 고혈당, 탈수, 전해질 불균형과 함께 훨씬 높은 농도의 혈액 내 케톤체를 가지게 된다.

긴 사슬 지방산은 혈액뇌장벽을 통과할 수 없지만, 간에서 이들을 분해하여 케톤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중간 사슬 지방산인 옥탄산과 헵탄산은 혈액뇌장벽을 통과하여 뇌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뇌는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포도당을 사용한다.[113][114][115] 사람은 포도당신생합성을 통해 특정 아미노산 및 트라이글리세라이드글리세롤 골격으로부터 포도당을 합성할 수 있다.

음식물로 섭취되는 탄수화물은 단당류의 경우 1g당 3.87킬로칼로리[20]의 에너지를, 대부분의 다른 음식물에 있는 복합 탄수화물의 경우 1g당 3.57~4.12킬로칼로리[21]의 에너지를 생성한다. 비교적 높은 수준의 탄수화물은 과자류, 쿠키와 사탕, 설탕, 꿀, 청량음료, 빵과 크래커, 잼과 과일 제품, 파스타와 시리얼을 포함한 식물에서 만들어진 가공식품이나 정제된 식품과 관련이 있다. 흰 빵이나 쌀, 청량음료, 디저트와 같은 가공식품에서 나온 정제된 탄수화물은 소화가 잘 되며, 포도당의 빠른 흡수를 반영하는 높은 당지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 많다.[22] 반대로, 콩, 완두콩, 통곡물과 같은 통곡물, 가공되지 않은,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물의 소화는 포도당과 에너지가 신체에 느리고 꾸준히 방출되도록 한다.[22] 동물성 식품은 일반적으로 탄수화물 함량이 가장 낮지만, 우유는 상당한 양의 유당을 함유하고 있다.

생물체는 일반적으로 모든 종류의 탄수화물을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대사할 수 없다. 포도당은 거의 보편적이고 접근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많은 생물체는 다른 단당류이당류를 대사할 수 있는 능력도 가지고 있지만, 종종 포도당이 먼저 대사된다. 예를 들어, ''대장균''에서는 젖당 오페론이 젖당이 존재할 때 젖당 소화 효소를 발현하지만, 젖당과 포도당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젖당'' 오페론이 억제되어 포도당이 먼저 사용된다(참조: 이중 배양). 다당류 또한 일반적인 에너지원이다. 많은 생물체는 전분을 포도당으로 쉽게 분해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생물체는 셀룰로오스나 키틴 및 아라비녹실란과 같은 다른 다당류를 대사할 수 없다. 이러한 탄수화물 유형은 일부 박테리아와 원생생물에 의해 대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추동물흰개미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셀룰로오스를 처리하고, 단쇄지방산으로 발효시킨다. 인간은 섬유질을 소화하는 효소가 없지만, 식이섬유는 인간에게 중요한 식이 요소이다. 섬유질은 건강한 소화를 촉진하고, 식후 포도당과 인슐린 수치를 조절하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포만감을 증진시킨다.[23]

의학연구소는 미국과 캐나다 성인이 전체 섭취 에너지의 45~65%를 통곡물 탄수화물에서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24] 식량농업기구와 세계보건기구는 국가 식단 가이드라인에서 총 에너지의 55~75%를 탄수화물에서 섭취하되, 단당류(단순 탄수화물에 대한 용어)에서 직접 섭취하는 비율은 10%로 제한할 것을 공동으로 권장한다.[25] 2017년 코크란 체계적 고찰에서는 통곡물 식단이 심혈관 질환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충분한 증거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26]

저탄수화물 식단은 식이섬유와 파이토케미컬의 섭취 증가와 같은 건강상의 이점을 놓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점은 콩과식물과 두류, 통곡물, 과일 및 채소와 같은 고품질 식물성 식품에서 얻을 수 있다.[32][33]

전반적인 칼로리 섭취량이 줄어들 때 탄수화물 제한 식단은 단기간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되는 데 있어 저지방 식단만큼 효과적일 수 있다.[35] 내분비학회의 과학적 성명서에 따르면 "칼로리 섭취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때 [...] 체지방 축적은 식단에서 지방과 탄수화물의 양에 매우 큰 변화가 있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5] 장기적으로 저탄수화물 식단은 "신진대사적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며, 효과적인 체중 감량 또는 유지는 칼로리 제한[35]에 달려 있으며, 식단의 대량 영양소 비율에는 달려 있지 않다.[36] 탄수화물이 혈중 인슐린 수치를 높여 과도한 지방 축적을 유발한다는 식단 옹호자들의 주장이 있지만, 정제된 탄수화물을 제한하는 더욱 균형 잡힌 식단은 또한 혈청 포도당과 인슐린 수치를 감소시키고 지방 생성을 억제하며 지방 산화를 촉진할 수도 있다.[37] 그러나 에너지 소비 자체에 관한 한, 저탄수화물 식단이 "신진대사적 이점"을 갖는다는 주장은 임상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35][38] 또한 저탄수화물 식이요법이 심혈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명확하지 않지만, 두 건의 검토 결과 탄수화물 제한이 심혈관 질환 위험의 지질 마커를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39][40]

탄수화물 제한 식단은 건강한 식단보다 2형 당뇨병 발생을 예방하는 데 더 효과적이지 않지만, 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체중 감량이나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되는 실행 가능한 옵션이다.[41][42][44] 1형 당뇨병 관리에 저탄수화물 식이요법을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제한적이다.[43] 미국 당뇨병 협회는 당뇨병 환자는 탄수화물이나 기타 대량 영양소에 중점을 둔 식단이 아닌 일반적으로 건강한 식단을 채택해야 한다고 권장한다.[44]

저탄수화물 식단의 극단적인 형태인 케토제닉 식단은 간질 치료를 위한 의학적 식단으로 확립되었다.[45]

7. 탄수화물 대사

탄수화물 대사는 생물체 내에서 탄수화물의 생성, 분해 및 상호전환에 관여하는 다양한 생화학적 과정이다.

가장 중요한 탄수화물은 거의 모든 생물에서 대사되는 단당류인 포도당이다. 포도당과 다른 탄수화물들의 대사는 생물종 전체에 걸쳐 다양한 대사경로의 일부이다. 식물광합성을 통해 이산화 탄소와 물로부터 탄수화물을 합성하고, 보통 녹말 또는 지질 형태로 저장한다. 식물에 저장된 탄수화물은 동물과 균류에 의해 소비되고, 세포 호흡을 위한 연료로 사용된다. 탄수화물 1g이 산화되면 약 4kcal의 에너지가 생성되고, 지방 1g이 산화되면 약 9kcal의 에너지가 생성된다. 인체는 체중에 따라 300~500g의 탄수화물을 저장하며, 저장 공간의 상당 부분을 골격근이 차지한다.[116] 물질대사(예: 포도당 산화)로부터 얻은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ATP 형태로 세포 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117] 생물은 포도당과 산소를 대사하여 부산물로 이산화 탄소을 생성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 산소 호흡이나 무산소 호흡을 할 수 있다.

인체가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녹말에 의해 가수분해되고, 위액과 이자액에 의해 이당류인 맥아당까지 분해된다. 최종적으로 소장의 상피세포에 존재하는 말타아제, 수크라아제, 이소말타아제, 락타아제, 트레할라아제 등의 이당류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단당류인 포도당, 과당, 갈락토스 등으로 분해되어야 장에서 흡수될 수 있다.[67] 이는 지질이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로,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핵산이 염기와 당으로 분해되는 것과 같으며, 이렇게 흡수되는 물질을 최종분해산물이라고 한다.[68] 물에 녹지 않는 지질계 최종분해산물과 달리, 마이셀 등을 만들지 않고 흡수되면 그대로 문맥혈 속에 녹아든다.[68]

체내에서 탄수화물의 주된 역할은 세포의 에너지원이 되는 것이다. 혈액 속 포도당은 혈당이라 불리며, 세포에 흡수되어 내호흡(호기성 호흡) 또는 혐기성 호흡을 통해 생체 활동 에너지원인 ATP를 합성한다.[69]

포도당은 항상성에 의해 체내 농도가 조절된다. 혈당이 상승하면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이 분비되어 간과 세포[71]가 포도당을 흡수하는 작용을 활발하게 하거나, 글리코겐이나 지방으로 전환을 촉진한다.[71] 반대로 혈당이 저하되면 췌장의 알파세포에서 글루카곤, 부신피질의 크로마핀 세포에서 카테콜아민이 분비되어 세포 속 글리코겐이 분해되어 혈당치가 상승한다.

포도당은 식물에서 녹말로 축적된다. 식물은 셀룰로스라는 다당류로 구성되며, 셀룰로스는 녹말과 같은 포도당 중합체이지만 결합 방식이 달라 화학적으로 매우 강인한 구조를 가진다. 셀룰로스는 세포벽의 주성분으로 이용된다.

세포 표면에는 당쇄라는 당 중합체가 결합되어 있다. 이는 단백질 수용체만큼 강력하지 않지만, 생체 내에서 일종의 "표지"로 작용한다.

7. 1. 이화작용

이화작용은 세포가 더 큰 분자를 더 작은 분자로 분해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는 대사 반응이다. 단당류는 해당과정시트르산 회로를 거치면서 대사될 수 있다.

해당과정에서 올리고당류, 다당류들은 먼저 글리코시데이스라고 불리는 효소에 의해 단당류로 분해된다.[118] 단당류는 단당류의 분해 대사에 이용될 수 있다. 2 ATP는 해당과정의 초기 단계인 에너지 투자기에서 포도당을 포도당 6-인산으로 인산화 및 과당 6-인산과당 1,6-이중인산으로 인산화시키는데 사용되어 반응의 진행 방향을 비가역적으로 만든다.[118] 사람의 경우에서와 같이 특정 탄수화물을 대사시킬 수 있는 효소가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모든 탄수화물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8. 탄수화물 화학

탄수화물 화학은 크고 경제적으로 중요한 유기화학의 한 분야이다. 과거에는 C''m''(H2O)''n''의 화학식을 갖는 모든 화합물을 탄수화물이라고 불렀다. 일부 화학자들은 포름알데히드(CH2O)를 가장 간단한 탄수화물로 간주했지만,[11] 다른 화학자들은 글리콜알데히드를 가장 간단한 탄수화물로 여겼다.[12] 오늘날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생화학적 의미로 이해되며, 탄소 원자가 하나 또는 두 개뿐인 화합물은 제외하고 이 화학식에서 벗어나는 많은 생물학적 탄수화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탄수화물은 ''N''-아세틸 (예: 키틴), 황산염 (예: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카르복실산 및 데옥시 변형 (예: 푸코스 및 시알산) 등의 작용기를 갖는 경우가 많다.

천연 당류는 일반적으로 (CH2O)''n'' (n은 3 이상)의 일반식을 가지는 단당류로 구성된다. 전형적인 단당류는 H–(CHOH)''x''(C=O)–(CHOH)''y''–H의 구조를 가지는데, 즉 많은 히드록실기가 추가된 알데히드 또는 케톤이다. 포도당, 과당, 글리세르알데히드 등이 단당류의 예이다. 그러나 우론산푸코스와 같은 데옥시당은 이 화학식에 맞지 않으며, 포름알데히드(CH2O) 및 이노시톨(CH2O)6[13]과 같이 화학식에는 맞지만 단당류로 간주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단당류의 사슬형은 알데히드/케톤 카르보닐기 탄소(C=O)와 히드록실기(–OH)가 반응하여 새로운 C–O–C 결합을 가진 헤미아세탈을 형성하는 고리형과 공존한다.

단당류는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연결되어 올리고당이나 다당류가 될 수 있다. 많은 탄수화물은 하나 이상의 작용기가 치환되거나 제거된 단당류 단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NA의 구성 요소인 데옥시리보스는 리보스의 변형된 버전이며, 키틴N-아세틸글루코사민의 반복 단위로 구성된다.

탄수화물과 관련된 주요 유기 반응은 다음과 같다.


  • 아마도리 전위
  • 탄수화물 아세탈화
  • 탄수화물 소화
  • 시아노히드린 반응
  • 쾨니히스-크노르 반응
  • 로브리 드 브륀-반 에켄슈타인 변환
  • 네프 반응
  • 볼 변성
  • 팁슨-코헨 반응
  • 페리어 전위
  • 페리어 II 반응

9. 식이 섭취 기준 (일본)

인간이 하루에 필요로 하는 탄수화물은 총 에너지 필요량의 50%에서 70%를 목표로 해야 한다고 여겨진다.[72] 뇌 대사를 고려하면 포도당이 되는 탄수화물의 최소 필요량은 100g/일로 추정되지만, 이보다 적게 섭취하더라도 간에서 당신생(글리코젠으로부터 포도당을 생성)을 통해 포도당이 공급될 수 있다.[73]

식이섬유의 바람직한 섭취량은 성인 남성의 경우 19g/일 이상, 성인 여성의 경우 17g/일 이상이다.[73] 세계보건기구(WHO)/식량농업기구(FAO)의 2003년 보고서에서는 설탕은 총 에너지 필요량의 10% 미만으로 섭취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74]

탄수화물 섭취 기준
표준 남성표준 여성
생활 강도낮음[75]보통[76]높음[77]낮음보통높음
18-29세288-400g331-464g381-534g219-306g256-359g294-411g
70세 이상200-280g231-324g263-368g169-237g194-271g219-306g



하루 에너지 필요량은 남성의 경우 2660kcal, 여성의 경우 1995kcal이며, 탄수화물의 에너지량은 4kcal/g이다. 이를 바탕으로 탄수화물 섭취량(총 에너지 필요량의 60% 기준)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남성: 2660kcal/일 × 0.6 / 4kcal/g = 400g/일 (쌀 3.3합/일에 해당)
  • 여성: 1995kcal/일 × 0.6 / 4kcal/g = 300g/일 (쌀 2.5합/일에 해당)


일본에서 표준적인 하루 기초대사량(남성: 1450kcal, 여성: 1210kcal)을 기준으로 쌀을 주식으로 할 때(100g당 358kcal, 탄수화물 80g), 탄수화물 섭취량(총 에너지 필요량의 60% 기준)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남성:
  • 쌀: (1450kcal × 0.6) / 358kcal × 100g = 243g
  • 쌀의 탄수화물: (1450kcal × 0.6) / 358kcal × 80g = 194g
  • 여성:
  • 쌀: (1210kcal × 0.6) / 358kcal × 100g = 203g
  • 쌀의 탄수화물: (1210kcal × 0.6) / 358kcal × 80g = 162g


즉, 일본에서 하루에 필요한 탄수화물 섭취 기준을 바탕으로 쌀 섭취량을 계산하면 남성은 243g, 여성은 203g이다.

쌀을 주식으로 한 섭취 에너지량의 예 (탄수화물 섭취 에너지: 총 섭취 에너지의 60%)
표준 남성표준 여성
생활 강도낮음보통높음낮음보통높음
탄수화물 섭취 에너지978-1170kcal1170-1360kcal1360-1560kcal834-1002kcal1002-1170kcal1170-1338kcal
쌀의 양273-326g326-382g382-436g233-280g280-326g326-373g
쌀의 탄수화물 양218-261g261-306g306-348g186-224g224-261g261-298g
쌀의 식이섬유1.9-2.3g2.3-2.8g2.8-3.1g1.6-2.0g2.0-2.3g2.3-2.6g



일상생활의 활동 강도에 맞는 식사를 해야 하며, 총 에너지량(kcal)은 표준 체중(kg)과 생활 활동 강도 지수(kcal)를 곱하여 계산한다.


  • 총 에너지량(kcal) = 표준 체중(kg) × 생활 활동 강도 지수(kcal)

  • 생활 활동 강도 지수:
  • 경노동(주부·사무직): 25-30kcal
  • 중노동(제조·판매업·음식점): 30-35kcal
  • 중노동(건설업·농업·어업): 35-40kcal
  • 표준 체중(kg) = 키(m) × 키(m) × 22(BMI)


일본의 평균 키 (2010년, 20-24세 기준)[78]
국가남자여자
일본171.82cm158.84cm



후생노동성에 따른 영양소 배분의 적정량은 다음과 같다.


  • 탄수화물: 총 에너지 필요량의 60%
  • 식이섬유: 25g 이상

참조

[1] 서적 The European Polysaccharide Network of Excellence (EPNOE) Springer-Verlag 2018-01-28
[2] 학술지 Sugars tied to the spot 2003-01-00
[3] 학술지 Photons to illuminate the universe of sugar diversity through bioarrays 2008-01-00
[4] 서적 Human Biology and Health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5] 간행물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6] 서적 The Effect of Dietary Fiber on Fecal Weight and Composition https://www.crcpress[...] CRC Press 2022-04-24
[7] 학술지 The role of short chain fatty acids in appetite regulation and energy homeostasis 2015-09-00
[8] 서적 Introduction to Biochemistry https://books.google[...] Heinemann 2017-11-30
[9] 간행물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10] 학술지 Claude Bernard and the Discovery of Glycogen 1957-06-22
[11] 서적 A Textbook of Botany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https://books.google[...] BiblioBazaar 2022-04-24
[12] 서적 Tietz fundamentals of clinical chemistry https://books.google[...] W.B. Saunders 2016-01-08
[13] 서적 Biochemistry Benjamin Cummings
[14] 서적 Carbohydrates in human nutritio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5-12-21
[15] 서적 Essentials of Glycobiology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017-08-30
[16] 서적 Biology: Exploring Life http://www.phschool.[...] Pearson Prentice Hall 2008-12-02
[17] 서적 The Carbohydrates: Chemistry and Biochemistry Vol 1A Academic Press
[18] 서적 The Carbohydrates: Chemistry and Biochemistry Vol 1A Academic Press
[19] 백과사전 lyxoflavin http://www.merriam-w[...] 2014-02-26
[20] 웹사이트 Show Foods http://ndb.nal.usda.[...] 2014-06-04
[21] 웹사이트 Calculation of the Energy Content of Foods – Energy Conversion Factors http://www.fao.org/d[...] 2013-08-02
[22] 웹사이트 Carbohydrate reference list https://www.diabetes[...] 2016-10-30
[23] 학술지 A high-protein, high-fat, carbohydrate-free diet reduces energy intake, hepatic lipogenesis, and adiposity in rats 2006-05-00
[24] 간행물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https://archive.toda[...] National Academies Press
[25] 간행물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26] 학술지 Whole grain cereals for the primary or second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https://spiral.imper[...] 2018-09-27
[27] 간행물 Carbohydrates in human nutrition http://www.fao.org/d[...]
[28] 웹사이트 Carbohydrates http://www.hsph.harv[...]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2012-09-18
[29] 학술지 Simple and complex carbohydrates 1986-02-00
[30] 서적 Carbohydrates in Grain Legume Seeds: Improving Nutritional Quality and Agronomic Characteristics https://books.google[...] CABI 2022-04-24
[31] 간행물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2010 http://www.cnpp.usda[...] USDA
[32] Meta-analysis Dietary carbohydrate intake and mortality: a prospective cohort study and meta-analysis 2018-09-00
[33] Review Carbohydrate quality and human health: a series of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http://discovery.dun[...] 2022-04-24
[34] Systematic review Low-carbohydrate diets for overweight and obesity: a systematic review of the systematic reviews http://eprints.gla.a[...] 2022-04-24
[35] 학술지 Obesity Pathogenesis: An Endocrine Society Scientific Statement 2017-08-00
[36] 서적 Behavioral approaches to the treatment of obesity John Wiley & Sons
[37] 학술지 Effect of the glycemic index on lipid oxidation and body composition 2011
[38] Review A review of the carbohydrate-insulin model of obesity 2017-03-00
[39] 학술지 Effects of low-carbohydrate diets v. low-fat diets on body weight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2016-02-00
[40] Systematic review Effects of carbohydrate-restricted diets on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in overweight and obese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researchonlin[...] 2022-04-24
[41] Review Overweight and diabetes prevention: is a low-carbohydrate-high-fat diet recommendable? 2018-06-00
[42] 학술지 Efficacy of low carbohydrate diet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manage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7-09-00
[43] Review 5. Lifestyle Management: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9'' http://care.diabetes[...] 2022-04-24
[44] 웹사이트 Top 5 worst celeb diets to avoid in 2018 https://www.bda.uk.c[...] British Dietetic Association 2020-12-01
[45] 뉴스 Carbohydrates and Blood Sugar https://www.hsph.har[...] 2017-01-30
[46] 학술지 A syn-ent-labdadiene derivative with a rare spiro-β-lactone function from the male cones of Wollemia nobilis 2019-02-00
[47] 학술지 Triterpene saponins from the roots of Ilex asprella 2014-05-00
[48] 서적 Biofuels Humana Press 2009
[49] 웹사이트 FoodData Central https://fdc.nal.usda[...]
[50] 웹사이트 Surgery Oxford https://onesearch.cu[...] 2013-06-00
[51] 웹사이트 Energetics of Cellular Respiration (Glucose Metabolism) http://pharmaxchange[...] 2015-10-15
[52] 서적 運動・からだ図解 栄養学の基本
[53] 서적 생화학사전 제2판
[54] 간행물 식사 균형 가이드 후생노동성·농림수산성 결정 푸드 가이드(가칭) 검토회 보고서 https://www.mhlw.go.[...] 제일출판 2005-12-00
[55] 보고서 Report of a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http://www.who.int/n[...] 2003
[56] 서적 Refined Carbohydrate Foods and Disease: Some Implications of Dietary Fibre
[57] 학술지 Whole Grains and Health: An Overview http://www.jacn.org/[...]
[58] 뉴스 Bottlers Agree to a School Ban on Sweet Drinks (Published 2006) https://www.nytimes.[...] 2006-05-04
[59] 웹사이트 Guidelines on reducing sugar in food published for industry https://www.gov.uk/g[...]
[60] 웹사이트 WHO guideline : sugar consumption recommendation https://www.who.int/[...]
[61] 문서 2015년 시점에서 설탕 섭취량이 낮은 모집단에 관한 역학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WHO는 5% 미만 또는 하루 25g 미만으로 억제하는 것은 “조건부” 권장 사항으로 하고 있다.
[62] 보고서 생활 습관병 예방을 위한 각 학회의 가이드라인 정리 https://www.mhlw.go.[...] 후생노동성
[63] 서적 식량의 세계 지도 마루젠 2005-10-30
[64] 문서 영양 표시 기준에서 “식품의 중량에서 단백질, 지질, 무기질 및 수분의 양을 공제하여 산정”한 값으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체내에서의 작용이 일반적인 탄수화물과 다른 성분, 예를 들어 구연산 등도 탄수화물 함량으로 표시되는 것에 주의가 필요하다.
[65] 문서 정식으로는 “식품의 중량에서 단백질, 지질, 식이섬유, 회분 및 수분의 양을 공제하여 산정”한 값으로 규정되어 있다.
[66] 학술지 탄수화물의 소화·흡수·발효와 그 이용 https://doi.org/10.5[...]
[67] 서적 佐藤・佐伯(2009)
[68] 서적 佐藤・佐伯(2009)
[69] 서적 佐藤・佐伯(2009)
[71] 서적 佐藤・佐伯(2009)
[72] 웹사이트 日本人の食事摂取基準(2005年版)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73] 웹사이트 「日本人の食事摂取基準」(2010年版)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74] 간행물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http://www.fao.org/d[...] WHO/FAO
[75] 문서 낮음: 생활의 대부분이 좌석이고, 정적인 활동이 중심인 경우
[76] 문서 보통: 좌석 중심의 일이지만, 직장 내 이동이나 입식 작업·접객 등, 또는 통근·쇼핑·가사, 가벼운 스포츠 등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경우
[77] 문서 높음: 이동이나 입식이 많은 일에 종사하는 사람. 또는, 스포츠 등 여가에서 활발한 운동 습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
[78] 웹사이트 体力・運動能力調査 2010年度 http://www.e-stat.go[...] 政府統計の総合窓口 2011-10-11
[79] 서적 Biolog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80] 웹인용 Material Measurement Library D-erythro-Pentose, 2-deoxy- http://webbook.nist.[...] nist.gov
[81] 저널 Sugars tied to the spot 2003-01
[82] 서적 The European Polysaccharide Network of Excellence (EPNOE) https://www.springer[...] Springer-Verlag
[83] 서적 Human Biology and Health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84] 서적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85] 서적 The Effect of Dietary Fiber on Fecal Weight and Composition https://www.crcpress[...] CRC Press
[86] 저널 The role of short chain fatty acids in appetite regulation and energy homeostasis 2015-09
[87] 서적 Introduction to Biochemistry https://books.google[...] Heinemann
[88] 서적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89] 서적 A Textbook of Botany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https://books.google[...]
[90] 서적 Tietz fundamentals of clinical chemistry https://books.google[...]
[91] 서적 Biochemistry Benjamin Cummings 2018-10-11
[92] 서적 Carbohydrates in human nutrition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93] 서적 Essentials of Glycobiology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94] 서적 Biology: Exploring Life http://www.phschool.[...] Pearson Prentice Hall
[95] 서적 The Carbohydrates: Chemistry and Biochemistry Vol 1A Academic Press
[96] 서적 The Carbohydrates: Chemistry and Biochemistry Vol 1A Academic Press
[97] 웹인용 lyxoflavin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98] 웹인용 Show Foods http://ndb.nal.usda.[...] 2018-10-17
[99] 웹인용 Calculation of the Energy Content of Foods – Energy Conversion Factors http://www.fao.org/d[...]
[100] 웹인용 Carbohydrate reference list https://www.diabetes[...]
[101] 저널 A high-protein, high-fat, carbohydrate-free diet reduces energy intake, hepatic lipogenesis, and adiposity in rats 2006-05
[102] 저널 Effect of increased consumption of whole-grain foods on blood pressure and other cardiovascular risk markers in healthy middle-aged perso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10-10
[103] 서적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http://newton.nap.ed[...]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04] 간행물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105] 저널 Whole grain cereals for the primary or second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https://spiral.imper[...]
[106] 간행물 Carbohydrates in human nutrition http://www.fao.org/d[...]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1998
[107] 웹인용 Carbohydrates http://www.hsph.harv[...]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2013-04-03
[108] 저널 Simple and complex carbohydrates 1986-02
[109] 간행물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2010 http://www.cnpp.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nd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10] 저널 Is dietary carbohydrate essential for human nutrition? 2002-05
[111] 저널 Dietary fiber intake and mortality in the NIH-AARP diet and health study 2011-06
[112] 저널 Ketogenic low-carbohydrate diets have no metabolic advantage over nonketogenic low-carbohydrate diets http://ajcn.nutritio[...] 2006-05
[113] 저널 Energy contribution of octanoate to intact rat brain metabolism measured by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http://www.jneurosci[...] 2003-07
[114] 저널 Heptanoate as a neural fuel: energetic and neurotransmitter precursors in normal and glucose transporter I-deficient (G1D) brain 2013-02
[115] 웹인용 Integration of Metabolism http://www.medbio.in[...] 2018-10-17
[116] 웹사이트 Surgery Oxford https://onesearch.cu[...] 2013-06
[117] 웹인용 Energetics of Cellular Respiration (Glucose Metabolism) http://pharmaxchange[...] 2013-10-09
[118] 웹사이트 Surgery Oxford https://onesearch.cu[...] 201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