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리얼 정리는 심플렉틱 다양체 위에서 정의된 비리얼의 시간 변화율의 평균이 0이라는 정리이다. 이 정리는 고전역학, 양자역학, 전자기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천문학에서 중력계의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비리얼 정리는 항성, 행성계, 백색 왜성, 은하, 은하단, 플라스모이드 등 다양한 천체 및 물리 시스템의 특성을 이해하고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1870년 루돌프 클라우지우스가 도입한 '비리얼'이라는 용어는 라틴어 'vis'(힘, 에너지)에서 유래했다.
2. 정의
심플렉틱 다양체 위에 국소 좌표 를 설정하자. 여기서 는 심플렉틱 형식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이 좌표계를 이용하여 '''비리얼'''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비리얼 의 시간에 대한 변화율 는 해밀턴 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계의 해밀토니언을 라고 하면, 일반화 속도 와 일반화 힘 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이제 어떤 선형 평균 연산 을 도입하자. 이 평균 연산은 하나의 계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을 평균하거나, 또는 여러 계로 이루어진 앙상블에 대한 평균일 수 있다. 만약 이 평균 연산에 대해 비리얼의 시간 변화율 평균이 0이라면, 즉
:
이라면, 다음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
이 관계식을 '''비리얼 정리'''라고 한다. 이 정리는 계의 평균적인 운동 상태와 힘의 작용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2. 1. 비상대론적 입자
개의 점입자들이 각각 위치 에, 질량 를 가지고, 이 계의 해밀토니언이 다음과 같다고 하자.
:
여기서 는 번째 입자의 운동량이고, 는 계의 총 위치 에너지이다. 이 계의 '''비리얼'''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4]
만약 계가 유한한 공간에 한정되어 있고 각 입자의 운동량도 유한하다면, 비리얼 는 특정 범위 내의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시간이 충분히 길어지면 (), 는 0으로 수렴한다. 그러므로 시간 평균에 대해 다음 식이 성립한다.
:
이것이 '''비리얼 정리'''이다. 여기서 는 시간 평균을 의미한다.
만약 입자들 사이의 힘이 보존력이고, 두 입자 사이의 위치 에너지가 두 입자 사이의 거리 의 거듭제곱 에 비례하는 형태, 즉 꼴이라고 가정하자. 계의 총 위치 에너지는
4. 일반화
1900년, 레일리 경은 비리얼 정리의 일반화를 발표했고,[12] 이는 1903년에 부분적으로 재인쇄되었다.[13]앙리 푸앵카레는 1911년 비리얼 정리의 한 형태를 증명하고 원시별 구름(당시에는 우주론)으로부터 태양계가 형성되는 문제에 적용했다.[14] 비리얼 정리의 변분 형태는 1945년 Ledoux에 의해 개발되었다.[15] 비리얼 정리의 텐서 형태는 Parker,[16]찬드라세카르[17] 및 페르미에 의해 개발되었다.[18] 1964년 Pollard는 역제곱 법칙의 경우에 대해 비리얼 정리의 다음 일반화를 확립했다:[19][20]
2\lim_{\tau\to+\infty} \langle T\rangle_\tau =
\lim_{\tau\to+\infty} \langle U\rangle_\tau \quad \text{if and only if} \quad \lim_{\tau\to+\infty}{\tau}^{-2}I(\tau) = 0.
\left\langle K \right\rangle = \frac{n+1}{2} \left\langle V \right\rangle
일반화된 비리얼 정리를 '''초 비리얼 정리'''(hypervirial theoremeng)라고 한다. 좌표 '''r'''과 켤레 운동량 '''P'''를 변수로 하는 임의의 함수 ''W''('''r''', '''P''')를 생각하자. 해밀토니안을 ''H''라고 할 때, 고전역학에서는 푸아송 괄호의 시간 평균이 0이 된다.
\left\langle [W,H] \right\rangle = 0
이것이 고전적인 초 비리얼 정리이다. 양자역학에서는 위 교환자의 바닥 상태에서의 기댓값이 0이 된다.
비리얼 정리의 초기 형태는 조제프루이 라그랑주가 1772년에 출판한 "삼체 문제에 관한 에세이"(Essai sur le problème des trois corps프랑스어)에 포함된, 고전적 중력 역학에 적용된 라그랑주 항등식에서 직접 비롯되었다.[2] 이후 카를 야코비는 라그랑주의 항등식을 ''N''개의 물체로 일반화하여 현재의 고전적 비리얼 정리와 매우 유사한 형태를 만들었다.[2] 그러나 당시에는 통계 역학이 열역학과 고전 역학을 통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방정식을 개발하는 해석 방식은 상당히 달랐다.[2]
1870년, 루돌프 클라우지우스는 20년간의 열역학 연구 끝에 "열에 적용 가능한 기계적 정리"라는 강연에서 '비리얼'(virial|비리얼영어)이라는 용어와 비리얼 정리를 처음 도입했다.[29][2] '비리얼'은 라틴어 단어 vīs|비스la(힘, 에너지)에서 유래했다.[29] 클라우지우스는 이 강연에서 시스템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그 비리얼과 같거나, 평균 위치 에너지의 절반과 같다고 언급했다.[2]
이후 비리얼 정리는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레일리 경(1900년 일반화 발표[12][13]), 앙리 푸앵카레(1911년 증명 및 원시별 구름 형성 문제 적용[14]),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엔리코 페르미, 폴 레두(1945년 변분 형태 개발[15]), 유진 파커[16] 등에 의해 활용되고 일반화되며 더욱 발전했다.[2] 비리얼 정리의 텐서 형태는 파커,[16] 찬드라세카르,[17] 페르미[18]에 의해 개발되었다. 리처드 베이더는 전체 시스템의 전하 분포가 비리얼 정리를 따르는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로 분할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3]
1933년, 프리츠 츠비키는 코마 은하단의 질량을 추정하기 위해 비리얼 정리를 적용하여 관측된 질량과 계산된 질량 사이에 큰 불일치(약 450배)를 발견했고, 이를 설명하기 위해 처음으로 '암흑 물질'(Dunkle Materiede)의 존재를 제안했다.[9][2] 그는 1937년에 분석을 개선하여 약 500배의 불일치를 확인했다.[10][11]
비리얼 정리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었는데, 예를 들어 백색왜성의 안정성에 대한 찬드라세카르 한계를 유도하는 데 사용되었다.[3]
참조
[1]
논문
On a Mechanical Theorem Applicable to Heat
[2]
서적
The Virial Theorem in Stellar Astrophysics
http://ads.harvard.e[...]
Pachart Press
[3]
논문
Virial Field Relationship for Molecular Charge Distributions and the Spatial Partitioning of Molecular Properties
https://aip.scitatio[...] [4]
서적
Classical mechanics
Addison-Wesley
1980
[5]
논문
Bemerkung zum Virialsatz
[6]
논문
Nonlinear scalar field equations, I existence of a ground state
https://link.springe[...] [7]
논문
Using the virial theorem
https://pubs.aip.org[...]
1986-12
[8]
웹사이트
2.11: Virial Theorem
https://phys.librete[...]
2023-06-07
[9]
논문
The Redshift of Extragalactic Nebulae
https://resolver.cal[...]
1933
[10]
논문
On the Masses of Nebulae and of Clusters of Nebulae
1937-10
[11]
논문
History of dark matter
https://link.aps.org[...]
2018-10-15
[12]
논문
XV. On a theorem analogous to the virial theorem
https://zenodo.org/r[...]
1900-08
[13]
서적
Scientific Papers: 1892–1901
https://books.googl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03
[14]
서적
Leçons sur les hypothèses cosmogoniques
Hermann
[15]
논문
On the Radial Pulsation of Gaseous Stars
[16]
논문
Tensor Virial Equations
[17]
논문
The Potentials and the Superpotentials of Homogeneous Ellipsoids
[18]
논문
Problems of Gravitational Stability in the Presence of a Magnetic Field
[19]
논문
A sharp form of the virial theorem
[20]
서적
Mathematical Introduction to Celestial Mechanics
Prentice–Hall, Inc.
[21]
논문
A high-temperature approximation for the path-integral quantum Monte Carlo method
1996-07
[22]
서적
Physics of High Temperature Plasmas
Academic Press
[23]
논문
The virial theorem and the kinetic energy of particles of a macroscopic system in the general field concept
2016
[24]
논문
The integral theorem of generalized virial in the relativistic uniform model
http://em.rdcu.be/wf[...]
2018-09-24
[25]
논문
The Integral Theorem of the Field Energy
https://dergipark.or[...] [26]
서적
AN INTRODUCTION TO ASTROPHYSICS
https://books.google[...]
PHI Learning Pvt. Ltd.
2010-01-01
[27]
서적
Advanced Stellar Astrophys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04-16
[28]
서적
Physics of High Temperature Plasmas
Academic Press
[29]
논문
On a mechanical theorem applicable to heat
18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