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엣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엣어파는 동남아시아에서 사용되는 언어군으로, 전통적으로 오늘날의 북부 베트남 지역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언어적 다양성에 근거하여 라오스, 베트남 일부 지역을 기원으로 보기도 한다. 비엣어파는 최소 2,000년에서 최대 3,500년의 역사를 가지며, 고고유전학적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동선 문화 이전 홍강 삼각주 주민들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했다. 비엣어파는 베트남어와 므엉어를 포함하며, 다양한 하위 분류와 특징을 보인다. 비엣어파 언어들은 톤 체계, 음절 구조, 성조 등에서 다양한 유형학적 특징을 나타내며, 중국어와 타이어족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크메르 달력의 12지신 이름이 비엣-므엉어에서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언어 - 크메르어
    크메르어는 캄보디아의 공용어로서 약 1,300만 명의 모어 화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남인도계 아부기다 계통의 크메르 문자를 사용하는, 어미가 없는 분석적인 언어이다.
  • 베트남의 언어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크무어
    크무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무어어파의 언어로, 표준어 없이 서부와 동부 크무어로 나뉘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메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있지만 별개의 언어이다.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니코바르어파
    니코바르어파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 니코바르 제도에서 사용되는 여러 언어를 포함한다.
비엣어파
개요
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
하위 어족비엣어족
사용 지역동남아시아 본토
분류
주요 분기비엣-므엉어군
끄어이어
타붕어
쭟어군
조어원시 비엣어
언어 코드
글롯토로그viet1250

2. 기원

비엣어파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존재하며,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베트남어는 19세기 중반에 오스트로아시아어족으로 분류되었으며, 현재 이 분류에 대한 강력한 증거가 있다. 현대 베트남어는 원시 오스트로아시아어 음운론적, 형태론적 특징을 많이 잃었고, 방대한 중국어 어휘를 차용했다. 그러나 베트남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는 베트남어가 중국어나 타이어족보다 크메르어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에 대한 반대가 계속되고 있다. 대다수의 학자들은 시니틱어와 타이어족과의 언어 유형론적 유사성을 공통 유산보다는 언어 접촉에 기인한다고 본다.[11]

챔벌린(Chamberlain, 1998)은 홍강 삼각주 지역이 원래 타이어를 사용했으며, 서기 7~9세기 사이에 현대 중부 베트남에서 이주한 결과 베트남어를 사용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베트남어(그리고 초기 비엣-므엉어)의 기원은 홍강보다 훨씬 남쪽에 있었다.[12]

2. 1. 전통적 견해

비엣어파의 조상은 전통적으로 오늘날의 북부 베트남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4][5]

2. 2. 언어적 다양성 기반 이론

비엣어파의 기원은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제이다. 언어적 다양성에 근거한 또 다른 이론은 비엣어파의 가장 유력한 고향을 오늘날 라오스의 볼리캄사이 주와 캄무안 주, 그리고 베트남의 응에안 성과 꽝빈 성 일부로 본다.[6] 비엣어파의 시간적 깊이는 최소 2,500년에서 2,000년(Chamberlain 1998), 3,500년(Peiros 2004), 또는 약 3,000년(Alves 2020)으로 거슬러 올라간다.[6]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고유전학은 동선 문화 이전에는 홍강 삼각주의 주민들이 주로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었음을 보여주었다. 퐁응웬 문화의 만박 매장지(기원전 1,800년 추정)에서 얻은 유전적 데이터는 태국므라브리족과 루아족, 인도(니코바르 제도)의 니코바르족, 그리고 캄보디아크메르족과 같은 현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화자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7][8] 한편, 동선 문화의 누이냅 유적에서 나타난 "혼합 유전자"는 "중국의 다이족, 태국의 크라-다이 어족 화자, 그리고 낀족을 포함한 베트남의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화자"와 유사성을 보였다.[9] 따라서, "비엣어파의 확산은 북쪽이 아니라 홍강 삼각주에서 남쪽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남부의 다양성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다른 설명이 필요할 것이다."[10]

2. 3. 동선 문화와의 관련성

Ferlus (2009)는 동선 문화의 주요 특징인 절구, 노, 찹쌀을 요리하는 냄비의 발명이 북부 비엣어(비엣-므엉어)와 중부 비엣어(꾸오이-툼어)에서 이러한 발명을 위한 새로운 어휘의 생성과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 이 발명품들의 새로운 어휘는 차용어가 아닌 원래 동사에서 파생된 것으로 입증되었다.[4] 현재 북부 비엣어의 분포는 동선 문화 지역과 일치한다.[4] 따라서 Ferlus는 북부 비엣어(비엣-므엉어)가 기원전 1천년기부터 홍강 삼각주 남부와 북중부 베트남에 거주했던 동선인의 직계 후손이라고 결론 내린다.[4]

2. 4. 한월어 어휘 차용

베트남어는 19세기 중반에 오스트로아시아어족으로 분류되었으며, 현재 이 분류에 대한 강력한 증거가 있다. 현대 베트남어는 많은 원시 오스트로아시아어 음운론적, 형태론적 특징을 잃었으며, 방대한 중국어 어휘를 차용했다.[11]

존 판(John Phan, 2013, 2016)은 홍강 계곡에서 "안남 중세 중국어"가 사용되었으며, 이후 원시 비엣-므엉어에 흡수되었고, 그 방언 중 하나가 베트남어로 발전했다고 주장한다.[15] 안남 중세 중국어는 와샹 중국어, 허저우의 지우두 토화(九都土話), 남부 핑화, 그리고 샹샹, 루시(瀘溪), 치둥(祁東), 취안저우(全州)와 같은 다양한 샹 중국어 방언으로 "다변화된" 중국 남서부 중세 중국어 방언 연속체에 속했다.[14]

판(2013)은 서로 다른 시대에 차용된 세 가지 주요 유형의 한월어 어휘 차용을 나열한다.[14]

2. 4. 1. 초기 한월어 어휘

초기 한월어 어휘는 한나라 (서기 1세기경) 및 동진 (서기 4세기경) 시대에 차용된 어휘 층이다.[13][14]

2. 4. 2. 후기 한월어 어휘

후기 한월어 어휘는 당나라 시대에 차용된 어휘이다.[14]

2. 4. 3. 최근 한월어 어휘

Phan (2013)은 한월어 어휘 차용을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누었는데, 그중 하나가 최근 한월어 어휘 (명나라 및 명나라 이후)이다.[14]

3. 분포

비엣어파 언어의 지리적 분포 (자홍색 음영 지역은 베트남어가 제2 언어인 지역)


비엣어파에는 비엣-므엉어군 (베트남어, 므엉어, 응우온어), 꾸오이어, 타븡어, 쯧어, 말렝어, 크리어 등이 속한다.[32][33]

비엣어파 사용자는 주로 라오스의 나카이-남테운 보호 지역과 베트남 북중부 지역에 거주하며,[16] 이들 중 상당수는 므엉, 나랑(Nhà Làng), 응우온(Nguồn) 등으로 불린다.

비엣어파 사용 민족들의 생활 방식은 다양하며, 인접한 타이족과 달리 많은 비엣어파는 논농사를 짓지 않는다.[6]

3. 1. 라오스

챔벌레인(Chamberlain, 1998)은 라오스에 거주하는 다음 비엣어파 민족의 현재 위치를 나열한다.[16] 미셸 페를뤼는 직접 현장 조사를 바탕으로 한 개요를 제시했다.[17]

  • '''느구온''': 캄무안 주 부알라파 구역 반 박 파낭; 베트남에도 거주
  • '''리하, 퐁''' ('''참'''어), '''툼''': 캄크우트 구역; 아마도 원래 응에안 북부 / 캄크우트 접경 지역 출신
  • '''아호''': 원래 나카이 구역의 나 타네 소구역과 캄크우트 구역의 반 나 바 마을에 거주; 전쟁 중 힌분 구역으로 이동했다가 나중에 나카이 테이(39 가구)와 나카이 고원 솝 히아(20 가구)에 재정착.
  • '''타베웅''' (아하오 및 아흘라오 방언): 락 사오 인근 여러 마을; 아마도 원래 나 헤웅 지역 출신
  • '''체우트''': 부알라파 구역, 반 나 파오와 타 상; 파 송, 방 니아오, 타카에도 거주할 가능성; 원래 힌 남 노와 베트남 출신
  • '''아텔''': 남 솟 강변 타 메앙 (주로 말랑족); 원래 호아이 카닐 지역 출신
  • '''테마루''': 남테운 강변 방 창; 남 노이 강 인근 반 소에크
  • '''마캉''': 캄크우트 구역, 나 카독 (주로 새크족); 원래 상 솟 지역 출신
  • '''말랑''': 남 솟 강변 타 메앙
  • '''"살랑"''': 부알라파 구역, 반 세 느아
  • '''아톱''': 캄크우트 구역, 나 통 (주로 타이 텅족); 원래 상 솟 지역 출신
  • '''믈렝브루''': 남 원 강 인근; 나중에 아크산 욤말랏 구역 쪽으로 이주하여 현재 욤말랏 구역, 반 상에 거주 (주로 유이족)
  • '''크리''': 반 마카


다음 표는 다양한 비엣어파 사용 민족의 생활 방식을 나열한다. 인접한 타이족과 달리 많은 비엣어파는 논농사를 짓지 않는다.[6]

비엣어파 사용 민족의 문화적 유형[6]
생활 방식비엣어파
소규모 집단 수렵 유목민아텔, 테마루, 믈렝브루, (체우트?)
원래 수집 및 무역업자였으나 화전 정착민으로 변모아라오, 말렝, 말랑, 마캉, 터에, 아호,
기존 마을 부지 사이에서 2~3년마다 이동하는 화전 경작자크리
화전 및 논농사를 결합한 정착민아하오, 아흘라오, 리하, 퐁 (참), 툼


3. 2. 베트남

베트남에서 아렘, 룩, 말리엥, 마이(크어이)를 포함한 일부 비엣어파 산악 부족이 꽝빈성 서부 또는 하띤성흐엉케 구역 남서부에 위치한 꾸 나이로 재정착했다. 사흐족도 베트남에서 발견된다.[16]

다음 표는 다양한 비엣어파 사용 민족의 생활 방식을 나열한다. 인접한 타이족과 달리 많은 비엣어파는 논농사를 짓지 않는다.

비엣어파 사용 민족의 문화적 유형[6]
생활 방식비엣어파
소규모 집단 수렵 유목민아텔, 테마루, 믈렝브루, (체우트?)
원래 수집 및 무역업자였으나 화전 정착민으로 변모아라오, 말렝, 말랑, 마캉, 터에, 아호,
기존 마을 부지 사이에서 2~3년마다 이동하는 화전 경작자크리
화전 및 논농사를 결합한 정착민아하오, 아흘라오, 리하, 퐁 (참), 툼


3. 3. 생활 방식

비엣어파 사용자는 라오스의 나카이-남테운 보호 지역과 베트남 북중부 지역에 거주한다.[16] 이들 사용자의 상당수는 므엉, Nhà Làng, Nguồn으로 불린다.

다음 표는 다양한 비엣어파 사용 민족의 생활 방식을 나열한다. 인접한 타이족과 달리 많은 비엣어파는 논농사를 짓지 않는다.

비엣어파 사용 민족의 문화적 유형[6]
생활 방식비엣어파
소규모 집단 수렵 유목민아텔, 테마루, 믈렝브루, (체우트?)
원래 수집 및 무역업자였으나 화전 정착민으로 변모아라오, 말렝, 말랑, 마캉, 터에, 아호,
기존 마을 부지 사이에서 2~3년마다 이동하는 화전 경작자크리
화전 및 논농사를 결합한 정착민아하오, 아흘라오, 리하, 퐁 (참), 툼


4. 특징

비엣어파 언어들은 중국어나 타이어족의 유형에서 전형적인 몬크메르어 오스트로아시아어파 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학적 범위를 보인다.[19][20]

몇몇 비엣어파 언어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아렘어''': 대부분의 비엣어파 언어에서 흔히 나타나는 거친 발성은 없지만, 성문 폐쇄음화된 종결 자음은 가지고 있다.
  • '''꾸어이어''': 라오스의 훙어, 베트남의 토어
  • '''아흐어''' ('''타붕어'''): 명확한 발성과 거친 발성의 네 가지 구분을 성문 폐쇄음화된 종결 자음과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는 피어어파 언어의 상황과 매우 유사하지만, 여기에서는 성문 폐쇄음화가 모음에 나타난다.
  • '''륵어''', 삭어, 마이어, 쯔어: 방언 연속체이며, 음역 (음운론) 체계는 아흐어의 네 가지 대조에 성조 (언어학)를 더한 것이다.
  • '''말렝어''' (보어, 파카탄): 륵-삭어와 같은 성조를 가진다.
  • 퐁어, 훙어, 뚬어, 콩-캥
  • '''비엣-므엉''': 베트남어므엉어는 기본 어휘의 75%를 공유한다.[20]

4. 1. 음절 구조

역사 언어학 발전에 있어 획기적인 사건은 베트남어가 몬크메르어에 속하며, 성조가 이 계통의 다른 언어에서 나타나는 비성조 특징의 규칙적인 반영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18] 비엣어파 언어들은 (a) 복잡한 성조 체계, 복잡한 발성 체계 또는 혼합; (b) C(glide)VC 또는 CCVC 음절 템플릿; 단음절 또는 다음절 및 고립어 또는 교착어 유형을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학적 범위를 보인다.[19][20]

베트남어므엉어는 모두 단음절 어근의 성조 언어이며, 이는 주변에서 사용되는 타이어족이나 중국어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두 언어는 절반 이상의 어휘를 공유하며, 10세기 전후에 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베트남어에는 한문에서 유래된 차용어가 많지만, 므엉어에는 적다.

그 외의 언어들도 베트남어와 동일 어근의 기초 어휘를 가지고 있지만, 그 형태는 크게 다르다. 예를 들어 쯛어 등에서는 CV(C)CVC의 약강 2음절로 이루어진 어근이 남아 있으며, 성조는 그다지 발달하지 않았다. 이들은 조어의 성질을 계승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베트남어를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포함시키는 설의 근거가 되고 있다. 끄어우어 등에서는 탈락 경향이 강하지만 CVCVC 어근이 남아 있으며, 이 첫 번째 음절이 므엉어에서는 소실되어 CCVC가 되고, 더 나아가 베트남어에서는 어두 이중 자음이나 일부 어말 자음이 탈락하고 있다. 이러한 단축에 따라 성조가 발달하는 경향이 보인다.[30]

4. 2. 성조

베트남어므엉어는 5~6개의 윤곽 성조를 가진 유사한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다른 비엣어파 언어의 규칙적인 반사이다. 세 개의 낮은 톤과 세 개의 높은 톤은 조상 언어의 유성 자음과 무성 자음 초성에 해당하며, 이는 원래의 종결 자음에 따라 분리된다. 평탄 성조는 개음절 또는 종결 비음에 해당하고, 높은 상승조와 낮은 하강조는 이후 사라진 종결 파열음에 해당하며, 하강 성조는 역시 사라진 종결 마찰음에 해당하며, 성문 폐쇄음화된 성조는 탈성문 폐쇄음화된 종결 성문 폐쇄 자음에 해당한다.[20]

베트남어와 므엉어는 모두 단음절 어근의 성조 언어이다. 이러한 특징은 주변에서 사용되는 타이어족이나 중국어와 공통되며, 이들의 영향이라고 생각된다.

그 외의 언어들도 베트남어와 동일 어근의 기초 어휘를 가지고 있지만, 그 형태는 크게 다르다. 예를 들어 쯛어 등에서는 CV(C)CVC의 약강 2음절로 이루어진 어근이 남아 있으며, 성조는 그다지 발달하지 않았다. 이들은 조어의 성질을 계승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베트남어를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포함시키는 설의 근거가 되고 있다.[30]

4. 3. 차용어

베트남어므엉어는 모두 단음절 어근의 성조 언어이다. 이러한 특징은 주변에서 사용되는 타이어족이나 중국어와 공통되며, 이들의 영향으로 보인다. 두 언어는 절반 이상의 어휘를 공유하며, 10세기 전후에 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베트남어에는 한문에서 유래된 차용어가 많지만, 므엉어에는 적다.[30]

5. 하위 분류

시드웰이 2009년에 인용한 챔벌레인(Chamberlain, 2003)의 분류에 따르면, 비엣어파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32][33]



챔벌레인은 2003년에 비엣어파를 6개의 분기로 나누는 방식을 제시하기도 했다.[32][33]

분기구성 언어
북부 (비엣-므엉)베트남어, 므엉어 (분류학적 무리[27]), 응우온어
북서부 (꾸오이)
서부 (타붕)아호어, 아하오어, 아흘라오어
남동부 (쯧)쯧어, 륵어, 삭어, 마이어, 말리엥어, (아렘어 ?), (카타)
남서부 (말렝)아텔어, 테마루어, 아라오어, 마캉어, 말랑어, 말렝어, 떠에어
남부 (크리)크리어, 퐁어, 믈렝브루어


5. 1. 시드웰 & 알베스 (2021)

시드웰과 알베스(Alves, 2021)는 비엣어파를 ''서부''(타붕-말리엥)와 ''동부''로 나누는 분류를 제안했다.[22]

서부 비엣어파 (타붕-말리엥)동부 비엣어파



타붕-말리엥군은 가장 오래된 어휘와 음운론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쯧어군은 다른 북부 언어와 마찬가지로 *-r과 *-l 종성을 *-l로 병합한다.[22]

시드웰 & 알베스(2021)는 초기 시니틱어 차용어와 광범위한 타이어-비엣어파 접촉 증거를 바탕으로 비엣어파 언어가 홍강 삼각주에서 확산되었으며, 이는 아마도 동선 문화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제안했다.[21]

5. 2. 챔벌레인 (2018)

챔벌레인(2018)은 비엣어파 언어를 지칭하기 위해 '''크리-몰(Kri-Mol)'''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크게 두 가지 분기, 즉 ''몰-톰(Mol-Toum)''과 ''농-턴(Nrong-Theun)''으로 나뉜다고 본다.[24] 챔벌레인(2018)이 제시한 비엣어파 언어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 '''크리-몰(Kri-Mol)'''
  • * '''몰-톰(Mol-Toum)'''
  • ** 비엣-므엉(Việt-Mường)

베트남어
므엉어, 응우온어

  • ** 톰-륵(Toum-Ruc)

톰어, 퐁어, 리하어
륵어, 쯧어, 마이어, 삭어, 말리엥어

  • * '''농-턴(Nrong-Theun)'''
  • ** 크리-퐁(Kri-Phoong)

크리어, 퐁
믈렝브루어

  • ** 아흘라오어-아텔(Ahlao-Atel)

아호-아흘라오(Ahoe-Ahlao)
* 아호(Ahoe)
* 아흘라오(Ahlao), 아하오(Ahao)
아텔-말렝(Atel-Maleng)
* 테마루(Thémarou)
* 아텔(Atel), 아톱(Atop), (마캉(Makang)), 아라오(Arao), 말렝어, 말랑(Malang), 토-에(To-e) (파카탄(Pakatan))

5. 3. 시드웰 (2015)

미셸 페를뤼의 비교 연구(1982, 1992, 1997, 2001)와 판(2012)의 므엉어 연구를 바탕으로,[25] 시드웰(2015)[26]은 므엉어가 측계통군이며 베트남어와 하위 그룹을 이룬다고 지적했다. 시드웰(2015)이 제안한 비엣어파의 내부 분류는 다음과 같다.

  • '''비엣어파'''
  • * 비엣-므엉: 베트남어, 므엉 무엇, 므엉 나바이, 므엉 초이 등
  • * 퐁-툼: 단라이어, 흥어, 툼어, 꾸오이어 등
  • * 쯧
  • ** 동부: 말렝어, 아렘어, 크리어, 쯧어 (마이어, 룻어, 삭어, 무지아) 등
  • ** 서부: 타븡어, 파카탄어 등

5. 4. 챔벌레인 (2003)

챔벌레인(Chamberlain, 2003)은 비엣어파를 6개의 분기로 나누는 방식을 제시했다.[32][33]

분기구성 언어
북부 (비엣-므엉)베트남어, 므엉어 (분류학적 무리[27]), 응우온어
북서부 (꾸오이)
서부 (타붕)아호어, 아하오어, 아흘라오어
남동부 (쯧)쯧어, 륵어, 삭어, 마이어, 말리엥어, (아렘어 ?), (카타)
남서부 (말렝)아텔어, 테마루어, 아라오어, 마캉어, 말랑어, 말렝어, 떠에어
남부 (크리)크리어, 퐁어, 믈렝브루어


6. 12지신 이름

미셸 페를뤼(Michel Ferlus)는 태국 동물 주기가 파생된 크메르 달력의 12년 동물 주기(별자리) 이름이 음운론적으로 보수적인 형태의 비엣므엉어에서 차용되었다고 보았다.[28][29] 페를뤼는 ""에 대한 고대 크메르어 이름의 모음이 남부 비엣어 /i/가 아닌 비엣므엉어 /a/에 해당하기 때문에, 동물 주기 이름이 남부 비엣어가 아닌 비엣므엉어(북부 비엣어)에서 차용되었다고 주장한다.

동물태국 이름크메르어 IPA현대 크메르어앙코르 크메르어고대 크메르어원시 비엣므엉베트남어므엉어퐁어카리어
중국어ชวด|Chuatthជូត|jūtkmchuộtvichuộtmtq--
중국어ฉลู|Chaluthឆ្លូវ|chlūvkmtrâuvitlumtq
중국어 호랑이ขาล|Khanthខាល|khālkmkháivikhảlmtq-
중국어 토끼เถาะ|Thɔthថោះ|thoḥkmthỏvithómtq-
중국어มะโรง|Marongthរោង|roṅkmrồngvirồngmtq-
중국어มะเส็ง|Masengthម្សាញ់|msāñ'kmrắnvithẳnhmtq-
중국어มะเมีย|Mamiathមមី|mamīkmngựavingữamtq-
중국어 염소มะแม|Mamɛɛthមមែ|mamækmvibẻmtq--
중국어 원숭이วอก|Wɔɔkthវក|vakkmvoọcvivoọcmtq-
중국어ระกา|Rakaathរកា|rakākmvicamtq
중국어จอ|Jɔɔthច|cakmchóvichỏmtq
중국어 돼지กุน|Kunthកុរ|kurkmcúivicủimtq


참조

[1] 논문 The mutation of *R in Pre-Thavung http://sealang.net/s[...] 2019-09-28
[2] 논문 Vietic and Việt-Mường: a new subgrouping in Mon-Khmer http://sealang.net/s[...] 2019-09-28
[3] 서적 Past human migrations in East Asia: matching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4] 논문 A Layer of Dongsonian Vocabulary in Vietnamese https://halshs.archi[...] 2009
[5] 논문 Data from Multiple Disciplines Connecting Vietic with the Dong Son Culture https://www.research[...] 2019-05-10
[6] 간행물 The origin of Sek: implications for Tai and Vietnamese history http://sealang.net/s[...] Institute of Language and Culture for Rural Development, Mahidol University 1998
[7] 논문 Ancient genomes document multiple waves of migration in Southeast Asian prehistory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2018-05-17
[8] 문서 Dental phenotypic shape variation supports a multiple dispersal model for anatomically modern humans in Southeast Asia 2017
[9] 문서 Ancient Genomics Reveals Four Prehistoric Migration Waves into Southeast Asia 2018
[10] 간행물 Data from Multiple Disciplines Connecting Vietic with the Dong Son Culture https://www.academia[...] 2019-05-10
[11] 논문 Language Contact and Language Change in the History of the Sinitic Languages 2010
[12] 간행물 The Origin of the Sek: Implications for Tai and Vietnamese History http://sealang.net/s[...] 1998
[13] 학위논문 Lacquered Words: the Evolution of Vietnamese under Sinitic Influences from the 1st Century BCE to the 17th Century CE https://ecommons.cor[...] Cornell University 2013
[14] 간행물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to Proto-Southwestern Middle Chinese http://hilario.bambo[...] 2016
[15] 논문 Re-Imagining 'Annam': A New Analysis of Sino–Viet–Muong Linguistic Contact 2010
[16] 웹사이트 Welcome to World Bank Intranet http://siteresources[...]
[17] 논문 Langues et peuples viet-muong 1996
[18] 서적 Papers from the Eleventh Annual Conference of the Southeast Asian Linguistics Society 2001 Arizona State University Programme for Southeast Asian Studies Monograph Series Press
[19] 문서 See Alves 2003 on the typological range in Vietic.
[20] 웹사이트 The following information is taken from Paul Sidwell's lecture series on the Mon–Khmer languages. http://sealang.net/m[...]
[21] 논문 The Vietic languages: a phylogenetic analysis https://jolr.ru/inde[...] 2021
[22]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Mainland Southeast Asia De Gruyter 2021
[23]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Mainland Southeast Asia De Gruyter 2021
[24] 간행물 A Kri-Mol (Vietic) Bestiary: Prolegomena to the Study of Ethnozoology in the Northern Annamites https://www.academia[...] Kyoto University 2018
[25] 논문 Mường is not a subgroup: Phonological evidence for a paraphyletic taxon in the Viet-Muong sub-family. 2012
[26] 서적 Austroasiatic classification. Brill 2015
[27] 논문 Mường is not a subgroup: Phonological evidence for a paraphyletic taxon in the Viet-Muong sub-family. 2012
[28] 논문 Sur L’origine Des Langues Việt-Mường http://www.sealang.n[...] 1992
[29] 간행물 The sexagesimal cycle, from China to Southeast Asia https://hal.archives[...]
[30] 문서 言語学大辞典 三省堂
[31] 논문 Language Contact and Language Change in the History of the Sinitic Languages. 2010
[32] 간행물 Eco-Spatial History: a nomad myth from the Annamites and its relevance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Center for Biodiversity and Indigenous Knowledge 2003
[33] 서적 Classifying the Austroasiatic languages: history and state of the art. Lincom Europa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