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족은 라오스, 태국, 미얀마 등지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샨족, 라오족, 태국인과 문화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에서는 '다이'라는 용어가 포괄적으로 사용되며, 여러 하위 집단으로 나뉜다. 다이 뤼어, 다이 누아어 등을 포함한 남서 타이어를 사용하며, 상좌부 불교를 믿는 것이 특징이다. 쳉훙 왕국을 세우는 등 고대부터 역사를 이어왔으며, 벼농사, 관광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생계를 유지한다. 주요 축제로는 문 닫는 축제, 문 여는 축제, 물 뿌리는 축제가 있으며, 전통 가옥과 독특한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다. 중국 윈난성에는 다이족 자치주와 자치현이 설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오스의 민족 - 라오스인
    라오스인은 라오스의 주민을 지칭하며, 라오스 정부는 라오룸, 라오틍, 라오쑹의 세 가지 주요 민족으로 분류하여 국민 통합을 추구한다.
  • 라오스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 태국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 태국의 민족 - 카렌족
    카렌족은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언어, 문화, 종교가 다른 이질적인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과 자치권 확보를 위한 투쟁, 난민 문제, 디아스포라 형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미얀마의 민족 - 카렌족
    카렌족은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언어, 문화, 종교가 다른 이질적인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과 자치권 확보를 위한 투쟁, 난민 문제, 디아스포라 형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미얀마의 민족 - 라카인족
    라카인족은 미얀마 라카인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오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상좌부 불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를 이루며 아라칸어를 사용하고, 독립 후에도 로힝야족과의 갈등과 군부 탄압 속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투쟁하며 방글라데시와 인도에도 거주한다.
다이족
기본 정보
1962년 윈난성 더훙현에서 비단을 짜는 다이족 소녀의 사진
1962년 윈난성 더훙현에서 비단을 짜는 다이족 소녀의 사진
인구약 800만 명
거주 지역미얀마: 6,345,236명
베트남: 1,818,350명
중국: 1,159,000명
라오스: 126,250명
태국: 145,236명
언어타이르어
타이느아어
타이담어
중국어
베트남어
라오어
태국어
종교상좌부 불교
다이족 민속 종교
관련 민족좡족
샨족
타이족
라오족
명칭
한국어다이족
중국어 간체傣族
중국어 병음Dǎizú
커느어摆夷
영어Dai people
중국 내 다이족 정보 (별도 표기)
인구1,158,989명
언어타이 제어
종교상좌부 불교

2. 명칭

다이족은 라오스태국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미얀마에서 큰 소수 민족을 구성하는 샨족, 라오족, 태국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원래 다이 또는 타이족은 당나라송나라 말기 북쪽의 정치적 혼란과 전쟁, 그리고 여러 유목 민족 때문에 일부가 현재의 라오스로, 그리고 나중에는 태국으로 남쪽으로 이동할 때까지 현재의 운남성에서 함께 살았다.

중국 국가에 의해 공식적으로 단일 민족으로 인정되지만, 이들 타이족은 여러 개의 뚜렷한 문화적, 언어적 집단을 형성한다. 다이족의 두 가지 주요 언어는 다이 뤼어(시쌍반나 다이)와 다이 뉘어어(다이홍 다이)이며, 다이족이 사용하는 다른 두 가지 문자 언어는 타이 퐁어와 타이 담어이다. 이들은 모두 타이어군에 속하며, 이는 태국어, 라오어, 장어를 포함하고 크라다이어족의 일부인 관련 언어들의 그룹이다.

'다이'라는 단어는 한족 문화 개념이며, 이제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와 같은 다른 언어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태국어에서는 영어와 마찬가지로 타이 뤼어라는 용어를 다이를 의미하는 데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집단을 지칭하기도 한다.

다이족은 상좌부 불교를 따르며, 다른 타이어 사용 민족과 마찬가지로 비슷한 관습과 축제(예: 송끄란)를 유지한다. 그들은 명목상 상좌부 불교를 실천하는 중국 소수 민족 중 하나이다. '중국 타이족'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다이" 민족으로 포함되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주로 태국어(즉, 남서 타이어)를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사용된다.

3. 하위 집단

(西雙版納傣族自治州)Dǎilè
(Xīshuāngbǎnnà Dǎi)ไทลื้อth타이 뢰족 (타이 뤼, 뢰)시쌍반나 타이 자치주, 라오스, 태국, 미얀마, 베트남傣那
(德宏傣)Dǎinà
(Déhóng Dǎi)tai
le6ไทเหนือ, ไทใต้คง, ไทใหญ่th타이 눠족 (북부 타이, 상부 타이, 중국 샨, 타이 야이)더홍, 미얀마, 태국傣擔Dǎidānไทดำ, ลาวโซ่ง, ไททรงดำth타이 담족 (흑색 타이, 타이 람, 라오송담*, 타이 무안, 타이 탄, 흑색 도, 진핑 대, 타이 덴, 타이 도, 타이 누아르, 타이 덴)진핑, 라오스, 태국傣繃Dǎibēngไทเบิ้ง, ไทมาว, ไทใหญ่th타이 퐁루이, 갱마, 린창
메콩강을 따라傣端Dǎiduānไทขาวth백색 타이, 타이 돈족 (타이 카오, 타이 카오, 타이 돈, 다이 카오, 백색 다이, 적색 타이, 타이 블랑, 타이 카우, 타이 라이, 타이 장)진핑傣雅Dǎiyǎไทหย่าth타이 야족 (타이 충, 충, 야)신평, 원강傣友Dǎiyǒuไทโยวth타이 요원양,
홍하를 따라* 문자 그대로 "검은 바지를 입은 라오족"

3. 1. 다이 뤼 (Tai Lü, 傣泐)

따이르족(Tai Lü, 傣泐), 따이느아족(Tai Nüa, 傣那), 따이담족(Tai Dam, 傣擔), 따이돈족(Tai Khao, 傣端) 등 다양한 따이족 집단들이 다이족으로 분류되어 있다.

3. 2. 다이 느아 (Tai Nüa, 傣那)

따이느아족(Tai Nüa, 傣那)은 다이족으로 분류되는 따이족 집단 중 하나이다.

3. 3. 다이 담 (Tai Dam, 傣擔)

따이 담은 따이족의 여러 분파 중 하나이다.

3. 4. 다이 돈 (Tai Don, 傣端)

다이족의 여러 분파 중 하나로 따이돈족(Tai Khao, 傣端)이 있다.

3. 5. 기타 하위 집단

따이르족(Tai Lü), 따이느아족(Tai Nüa), 따이담족(Tai Dam), 따이돈족(Tai Khao) 등 다양한 따이족 집단들이 다이족으로 분류된다.

4. 언어

중국에서 다이족으로 분류되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남서 타이어를 사용한다.[3]



윈난성은 4가지 주요 타이어 방언을 제시한다.[3]

방언사용 지역화자 수
다이 뤼어시쌍반나, 멍롄 현, 징구 현, 장청 현 등지40만 명
다이 누아어더훙, 갱마, 수앙장, 텅충, 바오산, 룽링, 창닝, 창위안, 란창, 전캉, 징둥 등지40만 명
다이 루이어징핑, 마관, 말리포 현 등지4만 명
티엔신어우딩, 루취안, 용런, 다야오 현 등지, 대표 방언: 티엔신2만 명


5. 역사

쳉훙 왕국을 세웠으며 원나라 때 중국에 종속되어 명나라청나라 때까지 중국의 간접 지배가 이어졌다. 1953년 중국 정부가 현지 지도자의 통치를 끝냈다.

5. 1. 고대

고대에 쳉훙 왕국을 세웠으며 원나라 대에 중국에 종속되어 중국의 간접 지배가 명나라청나라 대까지 이어졌다. 1953년 중국 정부가 현지 지도자의 통치를 끝냈다.

기원전 109년, 한나라는 이(현재의 윈난성, 쓰촨성, 구이저우성 일부)의 남서쪽에 이주(益州) 자치구를 설치했다. 12세기, 다이족(당시 다이-뤼 또는 타이-뤼라고 불림)은 십송반납(현재의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에 징훙 금전궁 왕국을 건설했다. 징훙이 이 왕국의 수도였다. 왕국의 인구는 100만 명이 넘었고, 지역 기록에 따르면 중국을 자국의 군주로 인정했다. 왕은 정치적, 경제적 권력을 가지고 대부분의 토지와 지역 수자원을 통제했다.[4]

5. 2. 쳉훙 왕국과 중세 시대

고대에 쳉훙 왕국을 세웠으며 원나라 대에 중국에 종속되어 중국의 간접 지배가 명나라청나라 대까지 이어졌다. 1953년 중국 정부가 현지 지도자의 통치를 끝냈다.[4]

원나라 시대에 다이족은 몽골에 의해 최근 정복된 운남에 예속되었다. 당시 지역 소수 민족들 중에서 세습 지도자들이 당국에 의해 임명되었다. 이러한 제도는 명나라 시대에도 계속되었고, 이 시기의 봉건 제도는 영주들이 자체 군대, 감옥, 법원을 갖춘 정치적 권력을 확립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그러나 일부 다이족 공동체는 다른 집단과는 상당히 다른 계급, 정치 구조 및 토지 소유의 측면을 가지고 있었다. 명나라 시대에는 여덟 명의 다이족 족장(토사, tusi)이 각자의 경제적, 정치적 권력을 가지고 이 지역을 통치했다.[4] 7세기 이후로 운남에는 불교가 존재해왔지만, 다이족은 15세기와 16세기에 상좌부 불교로 개종했다.[6][5]

5. 3. 근현대

청나라원나라명나라의 제도를 그대로 유지했지만, 약간의 차이점이 있었다. 청나라는 이 지역에서 더 큰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직접 감독과 통제를 위해 정기적으로 관리들을 파견했다. 이렇게 잘 정비된 시스템은 1953년에야 중국 정부에 의해 완전히 대체되었다. 1953년은 또한 쳉훙 왕국(징훙 왕국(景洪王国)) 이래로 존속해 온 고대 왕가의 종말을 의미했다. 마지막 왕인 차오 흐모암 갬 레(중국어: 도석순(刀世勳))는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서쌍판나 자치주(西双版纳州))의 부주장이 되었다.[4]

6. 종교

다이족 사람들은 얼굴의 코를 온 세상의 중심으로 생각하여 3대 원소 "공기", "불", "물"이 모이는 곳으로 생각한다. 다이족의 탄생 신화에 나오는 노코(Nö Có)신은 코가 없는 신이며, 세상을 탄생시킬 때 자신의 중심을 이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특이하게 코가 작은 사람이 미의 기준이다.

다이족은 대부분 상좌부 불교를 믿는다. 다이 불교는 불교 이전의 많은 애니미즘적 신앙과 관습을 관용적으로 받아들였다. 다이족은 불교가 대중화되기 이전에는 애니미즘 신앙을 가졌으며, 자연 영에 대한 믿음은 계속되고 있다.[6] 최근까지도 모든 다이족 마을에는 적어도 한 개의 불교 사찰이 있었고, 큰 마을에는 두 개에서 다섯 개의 사찰이 있었다. 그들의 많은 불교 사찰들은 문화 대혁명 동안 파괴되었다.[6] 부모들은 일반적으로 아들(7세에서 18세)들을 불교 사찰에 보내어 사미가 되게 하고 승가 교육을 받도록 하였다. 소년들은 3년 이상 사찰에 머물면서 읽고 쓰는 법과 신앙을 실천하는 법을 배운다. 그 후 대부분의 소년이나 청년들은 세속 사회로 돌아가지만, 소수는 사찰에 남아 구족계를 받은 승려가 된다. 이러한 교육 시스템은 다이족 남성들 사이에서 오늘날 80%를 넘는 높은 읽고 쓰는 능력과 다이 문자에 대한 지식으로 이어졌다.[4]

소수의 다이족은 이슬람교를 믿는다. 이 특정 다이족은 종종 "파르시 다이(Parshi Dai)" 또는 "다이 후이(Dai Hui)"라고 불린다. 19세기 초, 달리 및 운남성의 다른 지역 출신 후이족(중국계 무슬림) 상인들이 시쌍반나에 정착하였다. 이 정착민들은 현지인들과 동화되고 혼인하면서 결국 독특한 다이족과 중국-이슬람 문화를 만들어냈다. 현재의 파르시 다이는 불교를 믿는 다이족과 동일한 물질 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비슷한 옷을 입고, 비슷한 관습, 의례 및 식단을 가지고 있다.[7]

7. 문화

다이족 사람들은 얼굴의 코를 온 세상의 중심으로 생각하여 3대 원소인 "공기", "불", "물"이 모이는 곳으로 여긴다. 다이족의 탄생 신화에 나오는 노코(Nö Có)신은 코가 없는 신이며, 세상을 탄생시킬 때 자신의 중심을 이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특이하게도 코가 작은 사람이 미의 기준이다.

7. 1. 전통 가옥

다이족의 전통적인 마을은 주로 강이나 개울 근처의 대나무 평원에 자리 잡고 있다. 다이족 가옥은 대부분 땅에서 기둥을 세워 짓는 형태이며, 일부는 정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다. 몇몇 가옥은 2층 구조로 되어 있는데, 위층은 생활 공간으로 사용되고 아래층은 창고로 쓰인다. 아래층은 때때로 벽이 없는 경우도 있다.[4]

7. 2. 축제

다이족의 축제는 대부분 종교 활동과 관련이 있다. 주요 축제로는 문 닫는 축제, 문 여는 축제, 물 뿌리는 축제가 있다.

문 닫는 축제는 다이력 9월 15일(그레고리력 7월 중순)에 고정되어 있다. 문 여는 축제는 다이력 12월 15일(그레고리력 10월 중순)에 고정되어 있다. 두 축제가 있는 날에는 모든 사람들이 불교 사찰에 가서 의식을 거행한다. 사람들은 부처님께 음식, 꽃, 동전을 공양한다. 문 닫는 축제와 문 여는 축제 사이의 세 달은 일 년 중 가장 종교적인 시간인 "폐쇄된" 시간이다.

물 뿌리는 축제는 다이족의 전통 축제로, 6월의 설날을 의미한다. 시기는 다이력 6월 말 또는 7월 초(그레고리력 4월 중순)이다. 청명절 후 약 10일 후에 열리며 "가장 아름다운 날"을 상징한다. 휴일은 보통 3일간 지속된다. 축제 첫날 아침, 다이족 마을 사람들은 불교 사찰에 가서 부처님의 모습을 청소한다. 불교 사찰 의식 후, 젊은 남녀는 서로에게 물을 뿌린다. 그런 다음 사람들이 무리를 지어 행진하며 행인들에게 물을 뿌려 축복을 준다. 이것은 축복을 나타낸다.

7. 3. 음식

다이족의 주식은 쌀이다. 더훙 지역의 다이족은 주로 자포니카 쌀을 먹는다.

대나무 밥은 다이족의 유명한 간식이다. 향긋한 대나무 통에 찹쌀을 넣고 물에 15분간 담근 후 불에 구워 만든다. 파인애플 자색 밥 또한 잘 알려진 다이족 요리이다.

날것, 신선함, 신맛, 매운맛은 다이 요리의 특징이다. 다이족은 신 음식을 먹으면 눈이 밝아지고 소화가 잘 되며 열을 해소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고 믿는다. 단맛은 피로를 풀어준다. 매운맛은 식욕을 증진시킨다. 신맛은 다이 요리에서 가장 맛있는 맛으로 여겨지며, 모든 요리와 간식은 신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신맛이 나는 죽순, 신맛이 나는 돼지고기 등이 있다.

8. 자치 지방

다이족은 윈난성에 여러 자치 지방을 두고 있다.

종류자치 지방
자치주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시솽반나 다이족 자치주
자치현윈장 하니족 이족 다이족 자치현, 신핑 이족 다이족 자치현, 징구 다이족 이족 자치현, 멍롄 다이족 라후족 와족 자치현, 겅마 다이족 와족 자치현, 솽장 라후족 와족 부랑족 다이족 자치현, 진핑 먀오족 야오족 다이족 자치현
민족향회리시 신안다이족향, 통해현 고대다이족이족향, 보산시 롱양구 망관이족다이족향, 창녕현 만전다이족향, 화평현 신장리스족다이족향·선방리스족다이족향, 푸얼시 사모구 용담이족다이족향, 림창시 림향구 평촌이족다이족향, 운현 율수이족다이족향, 영덕현 대설산이족라후족다이족향, 창원와족자치현 맹각다이족이족라후족향, 대요현 만벽다이족리스족향, 영인현 영흥다이족향, 무정현 동파다이족향


8. 1. 자치주

8. 2. 자치현

8. 3. 민족향

지역민족향
회리시(会理市)신안다이족향(新安傣族乡)
통해현(通海県)고대다이족이족향(高大傣族彝族乡)
보산시(保山市) 롱양구(隆陽区)망관이족다이족향(芒寛彝族傣族乡)
창녕현(昌寧県)만전다이족향(湾甸傣族乡)
화평현(華坪県)신장리스족다이족향(新荘傈僳族傣族乡), 선방리스족다이족향(船房傈僳族傣族乡)
푸얼시(普洱市) 사모구(思茅区)용담이족다이족향(竜潭彝族傣族乡)
림창시(臨滄市) 림향구(臨翔区)평촌이족다이족향(平村彝族傣族乡)
운현(雲県)율수이족다이족향(栗樹彝族傣族乡)
영덕현(永徳県)대설산이족라후족다이족향(大雪山彝族拉祜族傣族乡)
창원와족자치현(滄源佤族自治県)맹각다이족이족라후족향(勐角傣族彝族拉祜族乡)
대요현(大姚県)만벽다이족리스족향(湾碧傣族傈僳族乡)
영인현(永仁県)영흥다이족향(永興傣族乡)
무정현(武定県)동파다이족향(東坡傣族乡)


참조

[1] 웹사이트 Ethnic Groups http://www.china.org[...] China.org.cn 2008-10-17
[2] 논문 Risk Society, the Predicaments of Folk Religion and Experience of Modernity: The Guardian Spirits in the Mandi Dailue Ethnic Society of Xishuangbanna
[3] 서적 Yunnan Provincial Gazetteer, Vol. 59: Minority Languages Orthographies Gazetteer 云南人民出版社 [Yunnan People's Press]
[4]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Routledge
[5] 서적 Buddhism: The Basics https://archive.org/[...] Routledge
[6] 웹사이트 Dai Religion and Festivals http://factsanddetai[...] 2019-11-16
[7] 서적 Hui Muslims in China Leuven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タイ族とは https://kotobank.jp/[...]
[9] 웹사이트 Ethnic Groups http://www.china.org[...] China.org.cn 2021-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