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는 우크라이나 오데사주에 위치한 도시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왔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티라스로 알려졌으며, 중세 시대에는 아스프로카스트론(하얀 성) 또는 마우로카스트론(검은 성)으로 불리기도 했다. 14세기부터 제노바 공화국, 몰도바 공국, 오스만 제국, 러시아 제국, 루마니아 등을 거치면서 여러 차례 지배 세력이 바뀌었다. 1944년 이후 현재 명칭인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로 불리고 있으며, 소련 시절에는 벨고로드-드네스트로프스키로도 불렸다. 주요 인물로는 작곡가 니콜라스 아스트리니디스, 권투 선수 바실 로마첸코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데사주의 도시 - 포딜스크
포딜스크는 우크라이나 오데사주의 도시로, 비르줄라에서 코토프스크를 거쳐 2016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주요 기차역이 위치하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 오데사주의 도시 - 초르노모르스크
초르노모르스크는 우크라이나 흑해 연안의 도시로, 항만 건설과 함께 발전했으며 탈공산화 정책에 따라 개명되었고, 초르노모르스크 항은 유라시아 랜드 브릿지의 중요한 화물 노선이다. - 오데사주 - 리포반인
리포반인은 18세기 러시아 정교회에서 분리되어 몰도바의 강 삼각주에 정착한 고의식파 신자들로, 니콘 총대주교의 종교 개혁 이전 전통을 고수하며 러시아 정부와 정교회의 박해를 피해 이주했고, 우크라이나 빌코베 마을을 주요 거점으로 독특한 건축 양식을 유지하며 살아가며, 그 이름의 기원은 피나무, 필리프라는 인물, 또는 성 필립 축일 등 다양한 설이 있다. - 오데사주 - 포딜스크
포딜스크는 우크라이나 오데사주의 도시로, 비르줄라에서 코토프스크를 거쳐 2016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주요 기차역이 위치하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 우크라이나의 항구 도시 - 오데사
오데사는 우크라이나 남부 흑해 연안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오데사 주의 행정 중심지로, 1794년 건설되어 자유항으로 발전하며 러시아 제국 내 무역 중심지로 성장, 지중해풍 건축과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격변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전략적 요충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우크라이나의 항구 도시 - 세바스토폴
세바스토폴은 크림반도 남서쪽 흑해 연안의 도시로, 러시아 제국 시대에 흑해 함대의 주요 기지로 건설되어 크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에 합병되었으나 우크라이나와 국제 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 |
우크라이나어 명칭 | Білгород-Дністровський |
로마자 표기 | Bilhorod-Dnistrovskyi |
기타 명칭 | 체타테아 알버 |
러시아어 명칭 | 벨고로드-드네스트롭스키 |
터키어 명칭 | 아케르만 |
![]() | |
![]() | |
![]() | |
행정 구역 | |
국가 | 우크라이나 |
області | 오데사주 |
라이온 |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 라이온 |
흐로마다 |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 도시 흐로마다 |
지리 정보 | |
면적 | 31 km² |
고도 | 28 m |
기후 | 해양성 기후(Cfb) |
인구 통계 | |
인구 (2022년) | 47727명 |
시간대 | |
시간대 | EET |
UTC 오프셋 | +2 |
하계 시간대 | EEST |
하계 UTC 오프셋 | +3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67700—67719 |
지역 번호 | +380 4849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명칭
우크라이나어 명칭은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Білгород-Дністровський)이며,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로도 음역된다. 소련 시절에는 러시아의 도시 벨고로드(우크라이나어로 빌호로드)와 구별하기 위해 '드니스트로우스키'가 추가되었다.[5] 서유럽 언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당시의 공식 이름 또는 거기에서 파생된 음역으로 알려져 왔다.
2. 1. 과거 명칭
- '''오피우사''' (Οφιούσσα|오피우사grc),[2][3] 페니키아 식민지 시절 이름 (그리스어로 "뱀의 도시"라는 의미)
- '''티라스''' (Τύρας|티라스grc), 고대 그리스 식민지 시절 이름 (드네스트르강의 고대 그리스 이름이기도 함)
- '''투리스''', 안테스족 이름
- '''아스프로카스트론''' (Ἀσπρόκαστρον|아스프로카스트론grc, "하얀 성"), 고대와 중세의 그리스어 이름.[4] 서기 944년부터 1484년까지 사용된 이름.
- '''마우로카스트론''' (Μαυρόκαστρον|마우로카스트론grc, "검은 성"), 아스프로카스트론의 정반대편에 위치한 후기 고대 시대의 로마/비잔틴 요새의 그리스어 이름 (일반적으로 아스프로카스트론과 함께 사용됨).[4]
- '''알붐 카스트룸''' ("하얀 성"), 로마 제국의 라틴어 이름
- '''체타테아 알버''' ("하얀 요새"), 루마니아인의 이름
- '''몬카스트로''', 제노바 공화국 통치 시대(14~15세기)에 사용된 마우로카스트론의 이탈리아어 변형.[4]
- '''투를라''', 튀르크어 이름
- '''아케르만''', 오스만 튀르크어 ("하얀 성")[5] 및 1944년까지의 러시아 이름
- '''아크케르멘''', 크림 타타르어 이름
- '''벨고로드-드네스트로프스키''', 러시아어 (Белгород-Днестровский|벨고로드-드네스트로프스키ru, "드네스트르강 위의 하얀 도시")
- '''바이센부르크''', ("하얀 성"), 독일어 이름
2. 2. 현재 명칭
1944년 이후 이 도시의 공식 명칭은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Білгород-Дністровський)이다.[5] 소련 시절에는 러시아어 명칭인 "벨고로드-드네스트로프스키"(Белгород-Днестровский)로도 불렸으며,[5] "드네스트르강 위의 하얀 도시"라는 뜻이다.이 도시는 여러 언어에서 "하얀 도시" 또는 "성"을 의미하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 불가리아어: 벨고로드 드네스트로프스키(Белгород Днестровски)
- 가가우즈어: 아케르만(Акерман)
- 폴란드어: 비아워그루트 나트 드니에스트렘(Białogród nad Dniestrem)
- 트란실바니아 작센 방언: 발라키쉬 바이센부르크(Walachisch Weißenburg)[7]
- 헝가리어: 드니에스테르페헤르바르(Dnyeszterfehérvár)
- 히브리어: 이르 라반(עיר לבן)
현재도 비공식적으로나 지역 언론에서는 이전 이름인 '아케르만'이 별칭으로 널리 사용된다.[5]
3. 역사
기원전 6세기 밀레토스인들이 티라스(Tyras)라는 식민지를 건설하면서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 도시는 로마 제국과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비잔틴인들은 고대 후기에 아스프로카스트론(Asprokastron, "백색 성") 요새를 건설했다.[4]
7세기부터 15세기까지는 불가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당시에는 벨고로드(Belgorod, 백색 도시)라고 불렸다. 13세기에는 쿠만족의 지배를 받다가, 1290년경부터 제노바 공화국의 상업 중심지가 되었다. 14세기 초에는 잠시 제2 불가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지만, 14세기 중반에는 다시 제노바 식민지가 되었다.[4]
1330년, 몰도바의 수호성인인 성 요한 첼 노우(Sfântul Ioan cel Nou)가 노가이(Nogais)의 침략으로 이 도시에서 순교했다. 1391년, 체타테아 알바(Cetatea Albă)는 드네스터 강 우안에서 몰도바 공국에 편입된 마지막 도시였으며, 이후 1세기 동안 몰도바의 두 번째 주요 도시이자 주요 항구이자 중요한 요새 역할을 했다.
1420년, 오스만 제국은 처음으로 체타테아 알바를 공격했지만, 몰도바의 공작 알렉산드루 첼 분(알렉산더 1세)이 성공적으로 방어했다.[4] 1484년, 킬리야와 함께 흑해 항구 중 마지막으로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다.[4] 몰도바 공작 스테판 3세는 폴란드의 침략 위협을 받아 도시 방어에 실패했다. 요새는 오스만 제국이 스테판 공작과 합의에 도달하여 주민과 그들의 소유물에 안전한 통행을 약속했을 때 항복했지만, 대부분의 도시 거주민들은 학살당했다. 이후, 스테판 대공이 이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회복하려는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다. 체타테아 알바는 그 후 오스만 제국이 몰도바 본토를 공격할 수 있는 기지가 되었다. 1485년, 이 도시에서 출발한 타타르족은 불가리아에 파자르지크를 세웠다. 1570년(히즈라력 977)에는 아케르만시에 무슬림, 기독교인, 유대인이 거주했으며, 술탄의 "하스"(술탄이 직접 소유한 토지 재산)였다. 아케르만 성에는 유대인 회중과 로마니(집시) 회중도 있었다.[8]
1770년, 1774년, 1806년에 러시아 제국이 이 도시를 점령했지만, 전쟁이 끝난 후 오스만 제국에 반환되었다.[9] 1812년, 베사라비아와 함께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 1826년 9월 25일, 러시아 제국과 오스만 제국은 이곳에서 아케르만 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은 몰도바와 왈라키아의 호스포다르(지방 통치자)가 양국의 승인을 받아 7년 임기로 각 스파툴 보이에레스크(귀족 회의)에 의해 선출되어야 한다고 규정했다.
러시아 혁명 동안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소비에트 러시아 정부에 충성하는 군대에 의해 번갈아 통제되었다. 이 도시와 주변 지역은 몰도바 민주 공화국이 주장했지만, 실제로 이를 시행할 수단은 없었다. 1918년 3월 9일, 볼셰비키가 이끄는 지역 군대와의 치열한 전투 끝에 루마니아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그 달 말 몰도바 민주 공화국 의회가 베사라비아 전체와 루마니아의 통합을 선언하면서 공식적으로 통합되었다. 전간기에는 도시와 항구 확장을 목표로 하는 계획이 검토되었다. 루마니아는 1940년 소련 최후통첩에 따라 1940년 6월 28일 이 도시를 소련에 할양했지만, 독소전쟁 중 추축국의 소련 침공으로 1941년 7월 28일 다시 점령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과정에서 1944년 8월 22일 붉은 군대가 도시를 재점령할 때까지 루마니아의 경계 안에 있었다. 소련은 베사라비아를 분할했고, 그 남쪽(빌호로드/벨고로드를 포함)은 우크라이나 SSR의 일부가 되었으며, 1991년 이후 현재의 우크라이나가 되었다.[9]
2020년 7월 18일까지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는 오블라스트 관할 도시이자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 자치구의 중심지였다.[10][11] 그러나 2020년 7월 우크라이나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오데사주의 라이온 수는 7개로 줄었고,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 자치구는 폐지되어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 라이온에 병합되었다.[10][11]
유대교 자료에서 이 도시는 바이센부르크(Weissenburg)와 이르 라반(Ir Lavan, 독일어로 "하얀 성", 히브리어로 "하얀 도시"라는 뜻) 그리고 아케르만(אַקערמאַן)으로 불린다. 카라이트 유대인들은 16세기부터 이곳에 살았으며, 일부는 10세기 초부터 이 도시에 하자르 유대인이 존재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1897년에는 5,613명의 유대인이 이 도시에 거주했으며(총 인구의 19.9%), 이 도시의 유대인 공동체는 인근 오데사의 유대인 공동체의 영향을 주로 받았다. 1905년의 포그롬 동안, 이 도시에 살던 8명의 유대인이 사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도시에 살던 대부분의 유대인들은 인근 오데사로 피신했고, 그곳에서 나중에 살해당했다. 도시에 남겨진 800명의 유대인들은 인근 레만 강에서 총살되었다.[12] 전쟁 전의 유대인 중 약 500명이 살아남았고, 그 중 절반 정도가 다시 도시로 돌아왔다.
3. 1. 고대
기원전 6세기에 밀레토스인들이 티라스(Tyras)라는 식민지를 건설했으며, 이곳은 나중에 로마 제국과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고대 후기에 비잔틴인들은 아스프로카스트론(Asprokastron, "백색 성"이라는 의미) 요새를 건설했다.3. 2. 중세
7세기부터 15세기까지 불가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당시에는 벨고로드(Belgorod, 백색 도시)라고 불렸다.[4] 13세기에는 쿠만족의 지배를 받다가, 1290년경부터 제노바 공화국의 상업 중심지가 되었다. 14세기 초에는 잠시 제2 불가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지만, 14세기 중반에는 다시 제노바 식민지가 되었다.[4]1330년, 몰도바의 수호성인인 성 요한 첼 노우(Sfântul Ioan cel Nou)가 노가이(Nogais)의 침략으로 이 도시에서 순교했다. 1391년, 체타테아 알바(Cetatea Albă)는 드네스터 강 우안에서 몰도바 공국에 편입된 마지막 도시였으며, 이후 1세기 동안 몰도바의 두 번째 주요 도시이자 주요 항구이자 중요한 요새 역할을 했다.
3. 3. 오스만 제국 시대
1420년, 오스만 제국은 처음으로 체타테아 알바를 공격했지만, 몰도바의 공작 알렉산드루 첼 분(알렉산더 1세)이 성공적으로 방어했다.[4] 1484년, 킬리야와 함께 흑해 항구 중 마지막으로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다.[4] 몰도바 공작 스테판 3세는 폴란드의 침략 위협을 받아 이 도시를 방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없었다. 요새는 오스만 제국이 스테판 공작과 합의에 도달하여 주민과 그들의 소유물에 안전한 통행을 약속했을 때 항복했지만, 대부분의 도시 거주민들은 학살당했다. 이후, 스테판 대공이 이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회복하려는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다. 체타테아 알바는 그 후 오스만 제국이 몰도바 본토를 공격할 수 있는 기지가 되었다. 1485년, 이 도시에서 출발한 타타르족은 불가리아에 파자르지크를 세웠다. 1570년(히즈라력 977)에는 아케르만시에 무슬림, 기독교인, 유대인이 거주했다. 25개의 지역에 55가구의 무슬림 가구와 9개의 지역에 113가구의 비무슬림 가구가 있었으며, 술탄이 직접 소유한 토지 재산인 술탄의 "하스"였다. 아케르만 성에는 유대인 회중과 로마니(집시) 회중도 있었다.[8]3. 4. 러시아 제국 시대
1770년, 1774년, 1806년에 러시아 제국이 이 도시를 점령했지만, 전쟁이 끝난 후 오스만 제국에 반환되었다.[9] 1812년, 베사라비아와 함께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1826년 9월 25일, 러시아 제국과 오스만 제국은 이곳에서 아케르만 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은 몰도바와 왈라키아의 호스포다르(지방 통치자)가 양국의 승인을 받아 7년 임기로 각 스파툴 보이에레스크(귀족 회의)에 의해 선출되어야 한다고 규정했다.
3. 5. 근현대
러시아 혁명 동안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과 소비에트 러시아 정부에 충성하는 군대에 의해 번갈아 통제되었다. 이 도시와 주변 지역은 몰도바 민주 공화국이 주장했지만, 실제로 이를 시행할 수단은 없었다. 1918년 3월 9일, 볼셰비키가 이끄는 지역 군대와의 치열한 전투 끝에 루마니아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그 달 말 몰도바 민주 공화국 의회가 베사라비아 전체와 루마니아의 통합을 선언하면서 공식적으로 통합되었다. 전간기에는 도시와 항구 확장을 목표로 하는 계획이 검토되었다. 루마니아는 1940년 소련 최후통첩에 따라 1940년 6월 28일 이 도시를 소련에 할양했지만, 독소전쟁 중 추축국의 소련 침공으로 1941년 7월 28일 다시 점령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과정에서 1944년 8월 22일 붉은 군대가 도시를 재점령할 때까지 루마니아의 경계 안에 있었다. 소련은 베사라비아를 분할했고, 그 남쪽(빌호로드/벨고로드를 포함)은 우크라이나 SSR의 일부가 되었으며, 1991년 이후 현재의 우크라이나가 되었다.[9]3. 6. 행정 구역 개편 (2020년)
2020년 7월 18일까지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는 오블라스트 관할 도시이자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 자치구의 중심지였다.[10][11] 그러나 2020년 7월 우크라이나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오데사주의 라이온 수는 7개로 줄었고,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 자치구는 폐지되어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 라이온에 병합되었다.[10][11]3. 7. 유대인 역사
유대교 자료에서 이 도시는 바이센부르크(Weissenburg)와 이르 라반(Ir Lavan, 독일어로 "하얀 성", 히브리어로 "하얀 도시"라는 뜻) 그리고 아케르만(אַקערמאַן)으로 불린다. 카라이트 유대인들은 16세기부터 이곳에 살았으며, 일부는 10세기 초부터 이 도시에 하자르 유대인이 존재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1897년, 5,613명의 유대인이 이 도시에 거주했으며(총 인구의 19.9%), 이 도시의 유대인 공동체는 인근 오데사의 유대인 공동체의 영향을 주로 받았다. 1905년의 포그롬 동안, 이 도시에 살던 8명의 유대인이 사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도시에 살던 대부분의 유대인들은 인근 오데사로 피신했고, 그곳에서 나중에 살해당했다. 도시에 남겨진 800명의 유대인들은 인근 레만 강에서 총살되었다.[12] 전쟁 전의 유대인 중 약 500명이 살아남았고, 그 중 절반 정도가 다시 도시로 돌아왔다.4. 인구
연도 | 인구 구성 | 언어 구성 |
---|---|---|
1920년[6] | 해당사항 없음 | |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13][14][15] |
5. 지리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는 드니에스테르강 하구에 위치한다.
5. 1. 기후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는 습윤 대륙성 기후 (쾨펜: ''Dfb'')를 보이며, ''Dfa''형에 가깝다.[19]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1.5°C | 2.1°C | 5.9°C | 12.9°C | 19.1°C | 23.5°C | 25.9°C | 25.5°C | 21.2°C | 15.1°C | 8.9°C | 4.4°C |
평균 기온 (℃) | -1.1°C | -0.4°C | 3.1°C | 9.6°C | 15.6°C | 19.7°C | 21.9°C | 21.5°C | 17.3°C | 11.6°C | 6.1°C | 1.8°C |
평균 최저 기온 (℃) | -3.7°C | -2.9°C | 0.4°C | 6.4°C | 12.1°C | 16°C | 17.9°C | 17.5°C | 13.5°C | 8.2°C | 3.4°C | -0.7°C |
평균 강수량 (mm) | 35mm | 36mm | 27mm | 31mm | 39mm | 48mm | 49mm | 36mm | 38mm | 25mm | 38mm | 42mm |
6. 주요 인물
이름 | 설명 |
---|---|
니콜라스 아스트리니디스 | 그리스 작곡가 |
엘레나 체르네이 | 루마니아 오페라 가수 |
미하일 크라마 | 루마니아 시인, 산문 작가 |
올렉시 키키레쉬코 | 랠리 드라이버 |
보리스 레벤손 | 작곡가 겸 지휘자 |
바실 로마첸코 | 우크라이나 프로 권투 선수 |
자크 로이트펠드 | 프랑스 영화 프로듀서 |
포르피리 스타마토프 | 불가리아 법무부 장관 (1881) |
타마라 치나로바 | 발레 무용수 |
니콜라에 바카로이우 | 전 루마니아 총리 |
오시프 예르만스키 | 멘셰비키 경제학자 |
7. 자매 도시
- - 페티예, 튀르키예[17]
- - 바가르샤파트, 아르메니아[18]
8.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Белгород-Днестровская городская громада
https://gromada.info[...]
Портал об'єднаних громад України
[2]
웹사이트
Тринадцять назв одного міста (Білгород-Дністровський)
https://geoknigi.com[...]
2023-07-01
[3]
서적
Atlas
https://www.raremaps[...]
[4]
간행물
Asprokastron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Etymological Geography
https://archive.org/[...]
Daldy, Isbister, & Co.
[6]
서적
Politico-economic Review of Basarabia
http://www.wdl.org/e[...]
American Relief Administration
[7]
서적
Wien— das Stalingrad der Osmanen
Bernard & Graefe
[8]
학술지
KANUNÎ SULTAN SÜLEYMAN DEVRİ BAŞLARINDA RUMELİ EYALETİ, LİVALARI, ŞEHİR VE KASABALARI
https://belleten.gov[...]
1956
[9]
문서
Akkerman
[10]
뉴스
Про утворення та ліквідацію районів. Постанова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 807-ІХ.
http://www.golos.com[...]
2020-07-18
[11]
웹사이트
Нові райони: карти + склад
https://www.minregio[...]
Міністерство розвитку громад та територій України
2020-07-17
[12]
웹사이트
Gale - Product Login
http://go.galegroup.[...]
[13]
웹사이트
All-Ukrainian population census-
http://www.ukrcensus[...]
[14]
웹사이트
The Ukrainian census of 2001, ethnicity/nationality data by localities
http://pop-stat.mash[...]
2024-08
[15]
웹사이트
The Ukrainian census of 2001, language data by localities
https://socialdata.o[...]
2024-08
[16]
웹사이트
Climate: Bilhorod-Dnistrovskyi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4-05-04
[17]
웹사이트
Місто Білгород-Дністровський та місто Фетхіє стали містами-побратимами
http://bilgorod-d.go[...]
2024-05-15
[18]
웹사이트
Город Белгород-Днестровский обзавелся побратимом в Армении
http://trassae95.com[...]
2024-05-15
[19]
웹인용
Climate: Bilhorod-Dnistrovskyi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4-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