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는 1921년 밀라노에 설립된 이탈리아의 사립 가톨릭 대학교이다. 1919년 아고스티노 제멜리 신부 등이 주세페 토니올로 고등 연구소를 설립한 것을 기반으로, 1920년 교황 베네딕토 15세의 승인을 받아 법적, 교회적 지위를 확보했다. 밀라노, 로마, 브레시아, 피아첸차, 크레모나, 캄포바소 등 이탈리아 6개 도시에 캠퍼스를 두고 있으며, 12개의 단과대학과 7개의 대학원을 운영한다. 법학, 경제학, 의학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국제 학생 만족도와 졸업생 취업 능력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밀라노의 대학교 - 보코니 대학교 1902년 페르디난도 보코니가 설립한 이탈리아 밀라노 소재의 사립 보코니 대학교는 경제학, 경영학, 법학 분야에서 높은 명성을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프로그램과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SDA 보코니 경영대학원을 운영하고, 여러 건물로 구성된 캠퍼스와 약 1800개의 기숙사를 제공하며, 다수의 국제 랭킹에서 상위권에 랭크되는 명문 대학이다.
밀라노의 대학교 - 밀라노 대학교 밀라노 대학교는 1924년 설립된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의 공립 대학으로, 롬바르디아주 내 캠퍼스 설립과 밀라노-비코카 대학교 분리 등을 거쳐 현재 9개의 학부와 134개 이상의 학위 과정을 운영하며 유럽 연구 대학 연맹의 유일한 이탈리아 회원 대학으로서 이탈리아 최고 대학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1921년 설립 - 애들레이드 공항 애들레이드 공항은 오스트레일리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애들레이드에 위치한 국제 공항으로, 1921년 비행장으로 시작하여 시설 확장을 거쳐 국제선, 국내선, 화물 노선을 운영하며 노선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1921년 설립 - 경복고등학교 경복고등학교는 1921년 개교한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근대 중등교육기관 중 하나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명문 고등학교이다.
; 영어: Catholic University of the Sacred Heart; 약칭 UCSC 또는 UNICATT.
다른 이름
(밀라노 가톨릭 대학교)
2. 역사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 설립 구상은 19세기 말, 다양한 가톨릭 문화계 인사들이 주도한 가톨릭 대학교 설립 움직임 속에서 1870년경 처음 시작되었다. 본격적인 설립 추진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이루어졌다.[5]
2. 1. 설립 배경 및 초기 역사
가톨릭 대학교 설립을 위한 초기 계획은 다양한 가톨릭 문화 흐름을 대표하는 인사들이 주도하여 1870년경 시작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무렵인 1918년 9월, 주세페 토니올로는 임종 직전 아고스티노 제멜리 신부와 동료들에게 "나는 전쟁의 종말을 보지 못하겠지만, 당신들은 전쟁이 끝나면, 가톨릭 대학교를 설립하시오"라고 말하며 대학 설립을 유언으로 남겼다.[5]
1919년, 아고스티노 제멜리 신부, 루도비코 네키, 프란체스코 올기아티, 아르미다 바렐리, 에르네스토 롬바르도는 대학 설립의 기반이 된 주세페 토니올로 고등 연구소를 설립했다. 1920년 6월 24일, 이 연구소는 당시 교육부 장관이었던 베네데토 크로체의 서명이 담긴 법령을 통해 법적 지위를 인정받았다. 동시에 교황 베네딕토 15세 역시 대학의 교회적 지위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1921년 12월 7일,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는 밀라노 대주교 아킬레 라티(3개월 후 교황 비오 11세로 선출)가 참석한 가운데 제멜리 신부가 집전한 미사를 통해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 첫 캠퍼스는 비아 산타녜세 2번지에 위치한 카노니카 궁전이었으며, 개교 당시 철학과 사회과학 두 개 학과에 68명의 학생이 등록했다.
1924년, 이탈리아 정부로부터 법적으로 인정된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고, 이에 따라 인문학과와 법학과가 신설되었다. 같은 해 10월 2일, 대학의 헌장이 왕립 법령으로 승인되었으며, 이는 10월 31일 관보(가제타 우피치알레)에 게재되었다.
2. 2. 개교 및 발전
1919년, 아고스티노 제멜리 신부, 루도비코 네키, 프란체스코 올기아티, 아르미다 바렐리, 에르네스토 롬바르도 등은 주세페 토니올로 고등 연구소를 설립했다. 이 연구소는 1920년 6월 24일, 당시 교육부 장관이었던 베네데토 크로체의 서명이 담긴 법령을 통해 법적 지위를 인정받았으며, 같은 시기 교황 베네딕토 15세로부터 대학의 교회적 지위 또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1921년 12월 7일,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는 밀라노 대주교 아킬레 라티(3개월 후 교황 비오 11세로 선출됨)가 참석한 가운데 제멜리 신부가 집전한 특별 미사를 통해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 초기 캠퍼스는 비아 산타녜세 2번지에 위치한 카노니카 궁전에 마련되었으며, 철학과 사회과학 두 개의 학과에 총 68명의 학생이 등록하며 시작되었다. 1930년 10월에는 현재의 메인 캠퍼스가 위치한 고대 산탄브로조 수도원으로 이전했다. 대학은 꾸준히 성장하여 2016년 기준으로 밀라노, 브레시아, 크레모나, 피아첸차, 로마의 5개 캠퍼스에 14개 학과, 30,263명의 학생이 재학하는 규모로 발전했다.[6]
1924년, 이탈리아 정부로부터 법적으로 인정된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권한을 얻으면서 인문학과 법학 학과가 신설되었다. 같은 해 10월 2일, 대학의 헌장이 왕립 법령으로 승인되었고, 10월 31일 관보(가제타 우피치알레)에 게재되었다. 교육 분야에서는 1923년 마지스테로 고등 연구소가 개설되었고, 이는 1936년 독립 학과로 승격된 후 1996년 교육 과학부로 발전했다. 경제 및 정치 관련 학문 분야도 확장되었다. 1926년에는 법학부에서 경제학과 정치학이 분리되었고, 1931년에는 자율적인 정치, 경제 및 사회 과학부가 설립되어 1947년까지 경영학 학위를 수여했다. 1936년에는 정치학과가 독립 학과로 분리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에 저항하는 레지스탕스 운동의 중요한 거점 역할을 했다. 당시 총장이었던 에치오 프란체스키니는 레지스탕스를 지지하며 대학 내에서 자유 의용군(파르티잔 조정 조직) 회의를 열었다. 그는 전쟁 말기인 1944년, 레지스탕스 관련 문서와 자신이 설립한 FRAMA 그룹에 관한 자료를 대학 지하 벙커에 숨겼다. SS는 이 자료들을 찾기 위해 대학을 샅샅이 뒤졌으나, 16세기 흑사병 희생자들의 유골 속에 숨겨진 자료들은 전쟁이 끝난 후에야 발견되었다.[7] 대학은 1943년 8월 15일과 16일의 밀라노 폭격으로 인해 강의실, 행정 건물, 브라만테 회랑 등 많은 시설이 파괴되는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아고스티노 제멜리 신부의 "이전보다 더 아름답고 더 크게 다시 일어서라"는 격려에 힘입어 즉시 재건 작업에 착수했다.[8]
전후에도 대학의 발전은 계속되었다. 1947년에는 주간 및 야간 수업을 포함하는 경제학과가 공식적으로 개설되었다. 같은 해 10월 30일, 당시 이탈리아 대통령 루이지 에이나우디가 참석한 가운데 피아첸차 캠퍼스의 초석이 놓였고, 1952년 11월에는 농업 과학부가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 1956년에는 브레시아 캠퍼스가 교육 학과와 함께 개교했다.
제멜리 신부가 오랫동안 추진했던 로마 의과대학 설립은 1958년 8월 4일 공식 법령 승인을 받았다. 설립 과정은 여러 어려움으로 인해 길고 복잡했지만, 1950년대 말 로마에 생물학 연구소와 아고스티노 제멜리 대학교 종합 병원 건설이 시작되었다. 1959년 건설이 시작되어 1961년 교황 요한 23세가 의과대학을 개교했으며, 1967년 첫 졸업생을 배출했다. 현재 로마 캠퍼스에서는 의학 및 치의학 프로그램을 모두 제공하고 있다.
1971년에는 수학 분야 주요 인사들의 주도로 수학, 물리학 및 자연 과학부가 개설되었다. 1990년대에는 밀라노 캠퍼스에 은행, 금융 및 보험 과학부(1990년), 외국어 및 문학부(1991년, 현재 언어학부 및 외국 문학부), 심리학부(1999년)가 신설되었다. 피아첸차 캠퍼스에서는 기존 밀라노 커리큘럼의 일부였던 경제학과(1997년)와 법학부(1995년)가 독립적으로 개설되었다.
2000년에는 이탈리아 전역에 13개의 문화 센터를 개설하고, 위성 기술을 활용하여 주요 캠퍼스와 연계한 원격 교육 과정을 시작했다. 2001–2002학년도에는 밀라노에 14번째 단과 대학인 사회학과가 개설되었다. 2012년에는 기존 학과들을 통합하여 두 개의 새로운 학부가 설립되었다: 밀라노의 정치 및 사회 과학부(기존 정치학과와 사회학과 통합)와 피아첸차-크레모나의 경제 및 법학부(피아첸차-크레모나 경제학과와 법학과 통합).
2. 3. 1968년 학생 운동
thumb의 연설. 앞줄에는 당시 총장이었던 에치오 프란체스키니가 있다.]]
1968년 11월 15일, 대학이 등록금을 인상한 후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 밀라노에서 시위가 시작되어 이탈리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대학을 점거한 학생들은 당시 총장이었던 에치오 프란체스키니에 의해 경찰의 도움을 받아 추방되었는데, 이때 경찰은 위원 루이지 칼라브레시가 지휘했다. 3일 후, 약 30,000명의 학생들이 밀라노를 행진하여 대주교 관저까지 갔고, 시위는 이탈리아의 모든 주요 대학으로 확산되었다.
3월 21일, 가톨리카 대학은 학생들을 대피시키고 무기한 폐쇄된 후 경찰에 의해 재점거되었다. 며칠 후인 3월 25일, 수천 명의 학생들이 대학을 다시 열려고 시도했지만 경찰에 의해 강력하게 저지된 이른바 "라르고 제멜리의 전투"가 벌어졌다. 시위의 지도자는 가톨릭 대학교 철학과 학생이었던 마리오 카파나였다.[9][10]
3. 조직
밀라노 캠퍼스 회랑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는 여러 캠퍼스에 걸쳐 다양한 학문 분야를 포괄하는 조직 구조를 갖추고 있다. 주요 캠퍼스는 밀라노, 브레시아, 피아첸차-크레모나, 로마 등 4곳에 위치한다.[6]
대학은 총 12개의 학부와 여러 대학원(Alte Scuoleita)으로 구성되어 있으며[48][49][50], 각 캠퍼스는 특정 학문 분야에 중점을 두고 운영된다. 1921년 밀라노에서 개교한 이래, 피아첸차(1952년 농업 과학부 개설), 브레시아(1956년 교육 학과 개설), 로마(1961년 의과대학 개교) 등으로 캠퍼스를 확장하며 성장해왔다.
3. 1. 학부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UCSC)는 12개 학부에서 다양한 학위를 제공한다.[48][49]
2016년 기준으로 5개 주요 캠퍼스(밀라노, 브레시아, 크레모나, 피아첸차, 로마)에 총 30,263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14개의 학과가 운영되고 있다.[6] 또한, 2000년에는 이탈리아 전역에 13개의 문화 센터를 개설하고 위성 기술을 활용한 원격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4. 1. 밀라노 캠퍼스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의 본교는 밀라노 중심부의 산탄브로조 대성당 근처에 있는 역사적인 산탄브로조 수도원 건물에 자리 잡고 있다. 대학은 1921년 12월 7일, 비아 산타녜세 2번지에 있는 카노니카 궁전에서 처음 문을 열었으나, 1930년 10월에 현재의 위치인 고대 산탄브로조 수도원으로 이전하였다.[6]
이 수도원은 원래 8세기에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이 지었으며, 15세기에는 시토회 수도사들의 관리 아래 확장되었다. 이후 나폴레옹 시대의 변화와 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을 겪기도 했다. -- 수도원 건물을 대학 캠퍼스로 재건하는 작업은 1929년, 엔지니어 피에르 파우스토 바렐리와 협력하여 건축가 조반니 무치오의 주도로 시작되었으며, 20년 후에 완료되었다.
밀라노 캠퍼스는 조반니 무치오가 설계한 인상적인 파사드, 성심 예배당, 별자리 현관(Atrio dello Zodiaco), 그리고 대강당(Aula Magna) 등 아름다운 건축물들을 갖추고 있다. 특히 도나토 브라만테가 설계한 두 개의 회랑이 있는 기념비적인 건물은 캠퍼스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제멜리 캠퍼스(본 캠퍼스)의 주요 구역은 브라만테 회랑이 있는 기념비적인 건물을 포함하여 사무실 건물, Gregorianum, Antonianum, Via Lanzone 18, Ambrosianum, Franciscanum, Domenicanum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건물과 시설은 성 암브로지오 지구에 모여 있다. Via Necchi 5/9 건물은 과거 아우구스티누스 칼리지의 본부였으며, 현재는 강의실, 사무실 외에도 경제 연구소, 경제학과, 언어학과, 도서관, 과학, 경제학, 수학 및 통계학과, 교직원 및 학생 식당 등이 위치해 있다. Via Carducci 28/30의 팔라초 곤자가 건물에는 대학 본부와 국제 관계 사무소가 있으며, 이 건물은 기존의 성 제롬 회랑을 통합하여 롬바르드 양식으로 지어졌다. 대학의 초기 캠퍼스가 있던 비아 산타녜세 2번가의 팔라초 델 카노니카 건물에는 현재 ALMED가 자리 잡고 있다.
4. 2. 로마 캠퍼스
로마 캠퍼스는 주로 의학 및 외과 학부와 대학 부속 병원인 아고스티노 제멜리 대학교 종합 병원으로 구성된다.
의과대학 설립은 아고스티노 제멜리 신부가 오랫동안 추진했던 사업으로, 1958년 8월 4일 공식 법령이 승인되었다. 설립 과정은 여러 어려움으로 인해 길고 복잡했으나, 1950년대 말 로마에 생물학 연구소와 병원 건설이 시작되었다. 건설은 1959년에 시작되었고, 1961년 교황 요한 23세가 참석하여 의과대학이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 첫 의사들은 1967년에 졸업했으며, 현재는 의학 및 치의학 프로그램을 모두 제공한다.
아고스티노 제멜리 대학교 종합 병원은 대학 설립자이자 내과 의사인 아고스티노 제멜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로마에 위치한 이 병원은 이탈리아에서 가장 잘 알려진 병원 중 하나로, 고도로 발전된 의료 시설을 갖추고 있다. 병상 수는 1558개로 로마에서는 가장 크고, 이탈리아 전체에서는 두 번째 규모이다. 교황의 주치의 병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과거 마더 테레사, 스티븐 호킹과 같은 유명 인사들이 입원했던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뉴스위크가 선정한 2023년 세계 병원 순위에서 이탈리아 내 1위, 세계 38위를 기록했으며,[47] 2021년에는 국제적인 의료 기능 평가 기준인 JCI 인증을 획득하여 의료 서비스의 질을 인정받았다.
피아첸차-크레모나 캠퍼스: 1952년 11월, 피아첸차에 농업 과학부가 공식적으로 문을 열면서 시작되었다. 10월 30일에는 당시 이탈리아 대통령 루이지 에이나우디가 참석한 가운데 캠퍼스 초석이 놓였다. 이후 피아첸차 캠퍼스에는 1995년 법학부가, 1997년에는 경제학과가 독립적으로 개설되었다. 2012년에는 피아첸차-크레모나 캠퍼스의 경제학과와 법학과가 통합되어 경제 및 법학부가 설립되었다.
브레시아 캠퍼스: 1956년 교육 학과 개설과 함께 문을 열었다. 1971년에는 수학, 물리학 및 자연 과학부가 추가로 개설되었다.
로마 캠퍼스: 1958년 의과대학 개교에 대한 공식 법령이 승인되었고, 여러 어려움 끝에 1961년 교황 요한 23세에 의해 공식적으로 개교했다. 로마 캠퍼스에는 생물학 연구소와 아고스티노 제멜리 대학교 종합 병원이 있으며, 의학 및 치의학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첫 졸업생은 1967년에 배출되었다.[6]
5. 교육 및 연구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학사부터 박사까지의 교육 과정을 제공하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대학은 여러 학과와 연구소, 연구 센터를 통해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며, 특히 일부 학과는 높은 입학 경쟁률을 보이기도 한다.[21] 연구 활동은 다양한 프로젝트 수행과 출판물 발간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생명 윤리 등 특정 주제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아테네움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22] 또한, 대학 도서관은 국제 도서관 협회 연맹(IFLA)을 비롯한 국내외 여러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방대한 학술 자원을 제공한다.[23]
5. 1. 교육 프로그램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이 프로그램들은 이탈리아 교육부, 대학 및 연구부 산하 여러 부서로부터 인증을 받았다.[21]
대학 설립 초기인 1921년에는 철학과 사회과학의 두 개 학과로 시작했으며, 1924년 이탈리아 정부로부터 법적으로 인정된 학위 수여를 허가받은 후 인문학과와 법학과를 개설했다. 1923년에는 마지스테로 고등 연구소가 개설되었고, 이는 1936년 독립 학과가 되었으며, 1996년에는 교육 과학부로 발전했다. 경제학과와 정치학과는 1926년 법학부에서 분리되었고, 1931년 자율 정치, 경제 및 사회 과학부가 설립되었다가 1936년 정치학과가 독립했다. 경제학과는 1947년 주간 및 야간 수업을 포함하여 공식적으로 개설되었다.
전후 기간에도 새로운 학과 개설은 계속되었다. 1952년 피아첸차 캠퍼스에 농업 과학부가 공식적으로 개설되었고, 1956년에는 브레시아 캠퍼스에 교육 학과가 문을 열었다. 로마 캠퍼스에는 1961년 교황 요한 23세에 의해 의과대학이 개교했으며, 1967년 첫 의사 졸업생을 배출했다. 현재 이 학교는 의학 및 치의학 프로그램을 모두 제공한다. 1971년에는 수학, 물리학 및 자연 과학부가 개설되었다.
1990년대에는 밀라노에 은행, 금융 및 보험 과학부(1990년), 외국어 및 문학부(현재 언어학부, 1991년), 심리학부(1999년)가 추가되었고, 피아첸차에는 법학부(1995년)와 경제학과(1997년)가 독립적으로 개설되었다. 2001–2002학년도에는 14번째 단과 대학인 사회학과가 밀라노에 문을 열었다. 2012년에는 기존 학과들을 통합하여 밀라노에 정치 및 사회 과학부, 피아첸차-크레모나에 경제 및 법학부가 설립되었다.
모든 단과 대학은 입학 정원이 제한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입학을 위해 별도의 시험을 요구한다. 특히 "아고스티노 제멜리" 의과대학의 입학 시험은 경쟁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7년에는 300명의 정원에 8,907명이 지원하기도 했다.
5. 2. 연구 활동
2009년 기준으로 대학의 연구 활동은 약 3,000개의 연구 프로젝트 수행, 4,668건의 출판물 발간, 4개의 아테네움 센터 운영 등을 포함한다. 연구는 22개 학과, 54개 연구소, 70개 연구 센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22개 학과(이 중 16개는 의료 분야)는 대학 전체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고 조정하며, 박사 과정 연구 조직에도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07년에 설립된 아테네움 센터는 사회 문제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 및 훈련을 구상, 개발, 실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아테네움 센터는 특히 생명 윤리, 가족, 사회 교리, 국제 연대와 같은 분야에 중점을 둔다.[22]
5. 3. 도서관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 도서관 시스템은 국제 도서관 협회 연맹(IFLA), 이탈리아 도서관 협회(AIB), 첨단 문서화 이탈리아 협회(AIDA), 네트워크 디지털 학위 논문 및 논문 도서관(NDLTD), 유럽 연구 도서관 연맹(LIBER), LOCKSS(많은 사본이 자료를 안전하게 보존), CLOCKSS(통제된 많은 사본이 자료를 안전하게 보존), NEREUS 및 INNOVATIVE와 같은 수많은 국내 및 국제 기구와 협력한다.[23]
6. 국제화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는 대학의 국제적인 위상을 높이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국제 교류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를 위해 전 세계 여러 대학 및 교육 기관과 활발하게 학술 교류 협정을 맺고 교환 학생 프로그램, 공동 연구 등을 추진하고 있다. 외국인 학생 유치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다양한 국적의 학생들이 함께 공부하는 국제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QS 세계 대학 랭킹 2017년 학문 분야별 순위에 따르면,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는 10개 학문 분야에서 세계 상위 200위 안에 들었다.[45] 주요 분야별 순위는 다음과 같다.
법학 및 법률 연구: 세계 51-100위[6][45]
의학: 세계 101-150위[45]
경제학 및 계량 경제학: 세계 151-200위[6][45]
농업 및 임학: 세계 상위 180위[6]
회계 및 재무: 세계 상위 200위[6]
경영학: 세계 201-250위[6][45]
또한 2017년 QS 랭킹에서 졸업생 취업 능력 부문에서는 세계 81-90위 사이에 랭크되었다.[6]
국제 학생 지표(International Student Barometer) 연구에 따르면, 유럽 65개 대학 표본 조사 결과 외국인 학생들이 가장 추천하는 대학 중 유럽 2위, 전 세계적으로는 4위를 기록했다.[28]
7. 학생 생활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의 학생들은 학업 외에도 다채로운 대학 생활을 경험한다. 학생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기숙사가 운영되고 있으며, 학생들은 여러 학생 단체에 참여하여 문화, 예술, 스포츠 등 폭넓은 활동을 펼치며 교내외 문제에 대한 목소리를 낸다. 모든 학생은 입학 시 대학이 정한 윤리 강령에 서명하며, 공동체 생활의 기본 원칙을 공유한다.
7. 1. 기숙사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는 학생들의 주거 편의를 위해 캠퍼스 안팎에 다양한 형태의 기숙사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아우구스티아눔 칼리지, 마리아눔 칼리지, 루도비치아눔 칼리지 등을 포함한 전통적인 기숙 대학(Residential College)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일부 칼리지 졸업생들은 동문회를 결성하여 활동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아우구스티아눔 칼리지 졸업생들의 '아고스티니 셈페르'(Agostini Semperita)와 마리아눔 칼리지 졸업생들의 '아소치아치오네 메아'(Associazione Meaita)가 있다.
7. 2. 학생 단체
5개의 캠퍼스에는 많은 학생 단체가 활동한다. 이들은 문화, 예술,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을 조직하고, 대학교 내에서 무료로 배포되는 여러 잡지를 발행한다. 학생 단체들은 교내 문제와 사회 문제에 대한 토론 및 캠페인을 주도하는 등 관련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37]
7. 3. 윤리 강령
2011년 11월 1일, 대학은 윤리 강령을 도입했다. 이 문서는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를 특징짓는 가치와 행동 규범을 담고 있으며, 모든 학생은 입학 전에 이 강령에 서명해야 한다.[36] 강령은 다음과 같은 원칙에 기반한다: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는 이탈리아 정계, 재계, 학계, 문화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많은 저명인사를 배출했다. 주요 동문정치 분야에서는 오스카 루이지 스칼파로, 치리아코 데 미타, 아민토레 판파니, 로마노 프로디 등 전직 이탈리아 총리 및 대통령을 비롯하여, 이탈리아 최초의 여성 각료인 티나 안셀미, 전 이탈리아 국민통합부 장관이자 현재 유럽 의회 의원인 체칠리아 키엥게, 전 이탈리아 외무 장관 안젤리노 알파노, 전 캐나다 총독이자 국제 프랑코포니 기구 사무총장을 역임한 미카엘 장 등이 있다.
경제 및 산업계에서는 국영 에너지 기업 ENI의 설립자 엔리코 마테이, 은행가 안젤로 칼로이아, 패션 디자이너 니콜라 트루사르디, 인터넷 기업가 아우구스토 마리에티 등이 동문이다. 학계 및 문화계에서는 포스트 케인스 학파 경제학자 루이지 파시네티, 철학자 움베르토 갈림베르티, 종교 지도자 파올로 사르디 추기경과 안젤로 스콜라 추기경, 가수 로베르토 베키오니, 유명 축구 저널리스트 파브리지오 로마노 등이 있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체조 선수 이고르 카시나, NBA 선수 다닐로 갈리나리 등이 졸업했다.
일본인 동문으로는 심장 외과 의사 스마 히사요시가 있다. 그는 일본 최초로 바티스타 수술에 성공했으며, 심근 조직을 절제하지 않는 SAVE 수술을 고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교수진2011년 11월, 당시 총리였던 마리오 몬티는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의 교수 3명을 장관으로 임명했다. 당시 총장이었던 로렌초 오르나기는 문화유산 및 문화 활동부 장관으로, 헌법학 교수 레나토 발두치는 보건부 장관으로, 공공경제학 교수 디노 피에로 지아르다는 국회 관계부 장관으로 발탁되었다.[11] 로렌초 오르나기 교수가 장관직을 수행하는 동안, 총장 직무는 부총장인 프랑코 아넬리 교수가 대행했다.[12]
그 외 저명한 교수진으로는 은행가 조반니 바졸리, 고고학자이자 작가인 발레리오 마시모 만프레디, 가톨릭 평신도 운동인 친교와 해방의 창시자 루이지 주사니 신부, 국제 관계 학자 마이클 콕스, 경제학자 마시모 베베르, 국제 관계 및 미국 외교 정책 전문가인 존 아이켄베리 등이 있다.
9. 아고스티노 제멜리 대학병원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의 설립자이자 내과 의사인 아고스티노 제멜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대학 부속 병원이다. 1950년대 말 로마에 생물학 연구소와 함께 건설이 시작되어 1959년에 착공하였고, 1961년 교황 요한 23세에 의해 의과대학이 문을 열면서 병원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탈리아의 수도 로마에 위치하며, 1,558개의 병상을 갖추고 있어 로마에서는 가장 크고 이탈리아 전체에서는 두 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한다. 이탈리아에서 가장 잘 알려진 병원 중 하나로, 높은 수준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진 의료 시설이다. 특히 로마 교황의 주치의 병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과거 마더 테레사, 스티븐 호킹과 같은 저명인사들이 이곳에서 치료를 받기도 했다.
첨단 의료 기술과 시설을 바탕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 2023년 뉴스위크가 선정한 세계 최고 병원 순위에서 이탈리아 내 1위, 세계 38위를 기록했으며[47], 2021년에는 국제 의료기관 평가위원회(JCI) 인증을 획득하여 의료 서비스의 질을 공인받았다.
10. 대중문화 속의 가톨릭 대학교
UCSC의 출판사는 1918년에 설립된 비타 에 펜시에로이며, 소유주는 주세페 토니올로 고등 연구소이다.
대학에서 발행하는 주요 출판물 및 운영하는 미디어는 다음과 같다.
''비타 에 펜시에로'': 아고스티노 제멜리가 1914년에 창간한 가톨릭 대학교의 공식 잡지이다.
''프레젠차'': 시사 문제와 대학 소식을 다루는 내부 간행물로, 교수진, 학생, 졸업생 및 주요 여론 주도층에게 무료로 배포된다.
''코무니카레'': 1990년에 창간된 격월간 잡지로, 로마 캠퍼스의 의과대학 및 외과대학과 폴리클리니코 아고스티노 제멜리 관련 소식을 다룬다.
Youcatt[32]: 2009년 9월 브레시아에서 시작된 대학 웹 TV 채널이다. 대학 행사, 학생들의 해외 경험, 시사 문제 등을 다루며, 2011년 이탈리아 최고의 웹 TV로 선정되어 텔레토피 상을 수상했다.[33]
학생 미디어: 2012년에 설립된 라디오 캇트(Radio Catt)와 TV 캇트(TV Catt)와 같은 학생 운영 미디어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earch
https://archive.org/[...] [2]
웹사이트
Members of IFCU in Italy
https://web.archive.[...]
2014-06-16
[3]
웹사이트
Catholic universities in Europe, Italy study abroad, Milan semester programs
http://www.learn4goo[...]
Learn4Good
2012-01-07
[4]
웹사이트
Storia
http://www.policlini[...]
Agostino Gemelli University Polyclinic
2013-05-17
[5]
웹사이트
Istituto Toniolo — I fondatori
http://www.istitutot[...]
Istituto Giuseppe Toniolo di Studi Superiori
2012-07-23
[6]
뉴스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https://www.topunive[...]
2015-07-16
[7]
웹사이트
Ezio Franceschini biografia
http://www.zam.it/bi[...]
Zam
[8]
Youtube
Università Cattolica distrutta dai bombardamenti
https://www.youtube.[...]
YouTube
2010-04-08
[9]
서적
States of Emergency: Cultures of Revolt in Italy from 1968 to 1978
Verso Books
[10]
웹사이트
Chronology: 15 January
http://www.media68.n[...]
Media '68
2012-07-23
[11]
웹사이트
Italy: The cabinet of Mario Monti—a government of the banks
http://www.wsws.org/[...]
World Socialist Web Site
2012-07-23
[12]
웹사이트
Cattolica, Franco Anelli sostituisce Ornaghi
http://www.quibresci[...]
quiBrescia.it
2011-11-24
[13]
웹사이트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 UCSC: The Rector
https://web.archive.[...]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2012-07-23
[14]
웹사이트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 Cronologia
https://www.unicatt.[...]
2018-06-04
[15]
웹사이트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 Faculties
http://www.ucsc.it/f[...]
2018-06-04
[16]
웹사이트
Postgraduate Schools: The Graduate Schools System
http://www.unicatt.i[...]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17]
웹사이트
La Cattolica raddoppia - Il progetto della sede a Mompiano -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di Brescia
https://archive.toda[...] [18]
뉴스
Brescia, arriva il nuovo campus
http://www.cattolica[...] [19]
뉴스
Cattolica, conto alla rovescia per la nuova sede di Mompiano
http://brescia.corri[...] [20]
뉴스
Cattolica, 20 milioni per la nuova sede all'ex Seminario
http://www.giornaled[...]
2017-03-17
[21]
웹사이트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 Ranking & Review
https://www.4icu.org[...] [22]
웹사이트
About the University Centres
http://www.unicatt.i[...]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23]
웹사이트
Library: Partnership and Membership
http://milano.unicat[...]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24]
문서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2022
https://www.shanghai[...] [25]
문서
CWTS Leiden Ranking 2023
https://www.leidenra[...] [26]
문서
THE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imeshig[...] [27]
문서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5
https://www.topunive[...] [28]
간행물
Discorso Magnifico Rettore
http://www.cattolica[...]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2011-11-09
[29]
웹사이트
UCSC International
http://ucscinternati[...]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30]
웹사이트
Stage personalizzato
http://ucscinternati[...] [31]
웹사이트
EDUCatt: Ente per il diritto allo studio dell'Università Cattolica
http://educatt.unica[...]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2012-07-23
[32]
웹사이트
YouCATT: la webtv degli studenti « Blog di Maurizio Molinari
http://garda2o.wordp[...]
Garda2o.wordpress.com
2012-07-23
[33]
웹사이트
Staff di Youcatt esulta per l'Oscar delle web tv
http://www.giornaled[...]
Giornale di Brescia
2011-12-07
[34]
웹사이트
Collegi dell'Università Cattolica: Collegi in Campus
http://educatt.unica[...]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35]
웹사이트
Collegi dell'Università Cattolica: Collegi in città
http://educatt.unica[...]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36]
웹사이트
Codice etico dell'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http://www.unicattol[...]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37]
웹사이트
Associazioni
http://www.unicatt.i[...]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38]
웹사이트
Web Campus
http://www.unicatt.i[...]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39]
웹사이트
albo d'oro coppa università
CUS Milano
2011-06-13
[40]
웹사이트
L'Università Cattolica ospita i Giochi mondiali universitari
http://milano.unicat[...]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2012-07-23
[41]
서적
101 cose da fare a Milano almeno una volta nella vita
https://books.google[...]
Newton Compton
2010-12
[42]
웹사이트
Sul Numero di "Presenza" di Prossima Uscita
http://www.cattolica[...]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2010-05-10
[43]
웹사이트
La storia dell'Associazione
http://www.laureatic[...]
Associazione Ludovico Necchi
2013-05-17
[44]
웹사이트
Premio "Agostino Gemelli" - Regolamento
http://www4.unicatt.[...]
Associazione Ludovico Necchi
[45]
웹사이트
https://www.topunive[...] [46]
웹사이트
https://www.topunive[...] [47]
뉴스
https://www.newsweek[...] [48]
웹인용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 Cronologia
https://www.unicatt.[...]
2018-06-04
[49]
웹인용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 Faculties
http://www.ucsc.it/f[...]
2018-06-04
[50]
웹인용
Postgraduate Schools: The Graduate Schools System
http://www.unicatt.i[...]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2024-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