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문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문시는 시적 장치를 활용하여 산문으로 작성되는 문학 형식이다. 운율이 있는 시와 달리 줄 바꿈 없이 쓰이며, 파편화, 압축, 반복, 은유 등의 기법을 사용한다. 산문시는 시와 산문의 경계에 있어 정의가 모호하며, 프랑스어로는 '산문으로 쓰인 시'로 번역된다. 17세기 일본의 하이분, 19세기 프랑스와 독일의 시도에서 시작되었으며, 보들레르, 랭보 등의 작가들이 산문시를 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문 - 정현진 (작가)
정현진은 서양사학을 전공하고 문화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은 사진 작가이자 작가로, 사진 연재와 사진집, 산문 사진집 등을 통해 작품을 선보이며 일상 속 평범함과 소소한 행복을 흑백 사진으로 담아낸다. - 시의 장르 - 고답파
고답파는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낭만주의에 반발하여 테오필 고티에의 "예술을 위한 예술"을 기치로 형식미와 객관성을 추구한 문학 운동으로, 쇼펜하우어의 영향을 받아 삶의 허무함을 다루며 여러 국가의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 시의 장르 - 극시
극시는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어 르네상스 시대 영어권에서 번성했지만, 19세기 이후 인기가 줄어든 시의 형태를 띤 연극 작품이다.
산문시 |
---|
2. 특징
산문시는 시와 관련된 줄 바꿈 없이 산문으로 작성되지만, 파편화, 압축, 반복, 운율,[1] 은유, 수사와 같은 시적 장치를 활용한다.[2] 산문은 시의 서정성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주제를 탐구할 수 있다. 산문 장르 내에는 건조한 내러티브, 초현실주의 내러티브, 팩토이드 및 엽서와 같은 하위 스타일이 포함된다. 산문은 작가에게 많은 창의적 자유를 제공하며, 일부 시적 스타일만큼 많은 규칙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 장르는 매우 열려 있기 때문에 많은 작가가 이 형식에 대해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객관적으로 정의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산문 장르는 월트 휘트먼, 프란츠 카프카, 나오미 시하브 나이, 앤 카슨과 같은 작가들에 의해 사용되고 탐구되었다.
시는 보통 규칙적이고 시법에 따른 운율이 있는 문학 장르이므로, 정형을 갖추지 않은 문장을 의미하는 산문과 결합된 '산문시'라는 단어는 본질적으로 어휘 모순의 관계에 있지만, 바로 거기에 산문시의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로 산문시는 포엠 앙 프로즈/Poème en prose프랑스어로 표기되므로, '산문으로 쓰인 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이것은 '시'이므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시적인 산문'과는 본래 엄밀히 구분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 경계는 매우 모호하여, 무엇을 '산문시'라고 할 것인지 불분명하며, 엄밀한 정의는 어렵다. 특징으로 비교적 짧은 산문으로, 시에서 보이는 논리의 비약 · 시적인 레토릭을 사용한 것 등을 산문시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예를 들어 카지이 모토지로나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단편 소설'을 산문시라고 불러야 할지, 라는 문제도 있다. 극히 짧은 소설과 산문시의 구별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이 질문은 '소설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과도 관련될 것이다.
산문시는 항상 산문과 시의 경계에 있다. 운문이라면 그것이 바로 훌륭한 '시'인가, 라는 질문과 함께, 왜 산문이 시가 될 수 있는가 (시가 산문이 될 수 있는가), 혹은 시와 산문의 아이덴티티, 그것들의 경계선을 생각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장르라고 할 수 있다. 특권적인 장르로 성립된 경위를 가진 프랑스에서 중요한 시인은 보들레르, 말라르메, 랭보 등이며, 로트레아몽에서 출발하여 초현실주의자들의 계보로 이어진다.
2. 1. 형식적 특징
산문시는 시와 관련된 줄 바꿈 없이 산문으로 작성되지만, 파편화, 압축, 반복, 운율,[1] 은유와 같은 시적 장치를 활용한다.[2] 산문은 시의 서정성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주제를 탐구할 수 있다. 산문 장르 내에는 건조한 내러티브, 초현실주의 내러티브, 팩토이드 및 엽서와 같은 하위 장르가 있다. 산문은 작가에게 많은 창의적 자유를 제공하며, 일부 시적 스타일만큼 많은 규칙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 장르는 매우 열려 있기 때문에 많은 작가가 이 형식에 대해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객관적으로 정의하기가 더 어려워진다.시는 보통 규칙적이고 시법에 따른 운율이 있는 문학 장르이므로, 정형을 갖추지 않은 문장을 의미하는 산문과 결합된 '산문시'라는 단어는 본질적으로 어휘 모순의 관계에 있지만, 바로 거기에 산문시의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로 산문시는 Poème en prose로 표기되므로, '산문으로 쓰인 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이것은 '시'이므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시적인 산문'과는 본래 엄밀히 구분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 경계는 매우 모호하여, 무엇을 '산문시'라고 할 것인지 불분명하며, 엄밀한 정의는 어렵다. 특징으로 비교적 짧은 산문으로, 시에서 보이는 논리의 비약 · 시적인 레토릭을 사용한 것 등을 산문시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산문시는 항상 산문과 시의 경계에 있다.
2. 2. 내용적 특징
산문시는 시와 관련된 줄 바꿈 없이 산문으로 작성되지만, 파편화, 압축, 반복, 운율[1], 은유, 수사와 같은 시적 장치를 활용한다.[2] 산문은 시의 서정성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주제를 탐구할 수 있다. 산문 장르 내에는 건조한 내러티브, 초현실주의 내러티브, 팩토이드 및 엽서와 같은 하위 스타일이 포함된다. 산문은 작가에게 많은 창의적 자유를 제공하며, 일부 시적 스타일만큼 많은 규칙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 장르는 매우 열려 있기 때문에 많은 작가가 이 형식에 대해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객관적으로 정의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산문 장르는 월트 휘트먼, 프란츠 카프카, 나오미 시하브 나이, 앤 카슨과 같은 작가들에 의해 사용되고 탐구되었다.시는 보통 규칙적이고 시법에 따른 운율이 있는 문학 장르이므로, 정형을 갖추지 않은 문장을 의미하는 산문과 결합된 '산문시'라는 단어는 본질적으로 어휘 모순의 관계에 있지만, 바로 거기에 산문시의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로 산문시는 Poème en prose로 표기되므로, '산문으로 쓰인 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이것은 '시'이므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시적인 산문'과는 본래 엄밀히 구분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 경계는 매우 모호하여, 무엇을 '산문시'라고 할 것인지 불분명하며, 엄밀한 정의는 어렵다. 특징으로 비교적 짧은 산문으로, 시에서 보이는 논리의 비약 · 시적인 레토릭을 사용한 것 등을 산문시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예를 들어 카지이 모토지로나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단편 소설'을 산문시라고 불러야 할지, 라는 문제도 있다. 극히 짧은 소설과 산문시의 구별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이 질문은 '소설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과도 관련될 것이다.
산문시는 항상 산문과 시의 경계에 있다. 운문이라면 그것이 바로 훌륭한 '시'인가, 라는 질문과 함께, 왜 산문이 시가 될 수 있는가 (시가 산문이 될 수 있는가), 혹은 시와 산문의 아이덴티티, 그것들의 경계선을 생각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장르라고 할 수 있다. 특권적인 장르로 성립된 경위를 가진 프랑스에서 중요한 시인은 보들레르, 말라르메, 랭보 등이며, 로트레아몽에서 출발하여 초현실주의자들의 계보로 이어진다.
2. 3. 하위 장르
시는 보통 규칙적이고 시법에 따른 운율이 있는 문학 장르이므로, 정형을 갖추지 않은 문장을 의미하는 산문과 결합된 '산문시'라는 단어는 본질적으로 어휘 모순의 관계에 있지만, 바로 거기에 산문시의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로 산문시는 Poème en prose로 표기되므로, '산문으로 쓰인 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이것은 '시'이므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시적인 산문'과는 본래 엄밀히 구분되어야 한다.그러나 그 경계는 매우 모호하여, 무엇을 '산문시'라고 할 것인지 불분명하며, 엄밀한 정의는 어렵다. 특징으로 비교적 짧은 산문으로, 시에서 보이는 논리의 비약 · 시적인 레토릭을 사용한 것 등을 산문시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예를 들어 카지이 모토지로나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단편 소설'을 산문시라고 불러야 할지, 라는 문제도 있다. 극히 짧은 소설과 산문시의 구별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이 질문은 '소설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과도 관련될 것이다.
산문시는 항상 산문과 시의 경계에 있다. 운문이라면 그것이 바로 훌륭한 '시'인가, 라는 질문과 함께, 왜 산문이 시가 될 수 있는가 (시가 산문이 될 수 있는가), 혹은 시와 산문의 아이덴티티, 그것들의 경계선을 생각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장르라고 할 수 있다. 특권적인 장르로 성립된 경위를 가진 프랑스에서 중요한 시인은 보들레르, 말라르메, 랭보 등이며, 로트레아몽에서 출발하여 초현실주의자들의 계보로 이어진다.
3. 역사
17세기 일본에서 마쓰오 바쇼는 하이쿠와 산문을 결합한 하이분을 창시했다. 그의 저서 오쿠노 호소미치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서양에서는 19세기 초 프랑스와 독일에서 전통적인 운율(verse line)에 대한 반작용으로 산문시가 시작되었다. 독일 낭만주의 작가인 장 폴, 노발리스, 프리드리히 휠덜린, 하인리히 하이네는 산문시의 선구자로 볼 수 있다. 18세기 유럽의 산문시 선구자들로는 제임스 맥퍼슨의 "번역" 오시안과 에바리스트 드 파르니의 "Chansons madécasses"가 있었다.
프랑스 시는 알렉상드랭이 지배하고 있었는데, 모리스 드 게랭과 알로이시우스 베르트랑 (Gaspard de la nuit에서)과 같은 시인들은 사용을 중단했다. 이후 샤를 보들레르, 아르튀르 랭보, 스테판 말라르메는 ''파리의 우울''과 ''Illuminations''과 같은 작품에서 그들의 예를 따랐다. 막스 자코브, 앙리 미쇼, 거트루드 스타인, 프랑시스 퐁주와 같은 작가들에 의해 20세기에도 프랑스에서 산문시는 계속 쓰였다.
폴란드에서 율리우시 스워바츠키는 1837년에 산문시 ''Anhelli''를 썼다. 볼레스와프 프루스는 프랑스 산문시인들의 영향을 받아 "Mold of the Earth", "The Living Telegraph" 및 "Shades"를 포함한 여러 편의 시적 단편 소설을 썼다. 그의 "A Legend of Old Egypt" 역시 산문시의 특징을 보여준다.
1877–1882년 러시아 소설가 투르게네프는 시적 리듬이나 운율은 없지만 간결하면서도 표현력이 풍부한 여러 '산문 시' (Стихотворения в прозе)를 썼다.
시리아 시인 겸 작가 프랜시스 마라쉬의 글은 현대 아랍 문학에서 산문시의 첫 번째 사례를 보여준다. 20세기 중반부터 산문시의 위대한 아랍 대표는 아두니스이다.
모더니즘 시인 T. S. 엘리엇은 산문시에 대해 격렬하게 반대했다. 반대로 거트루드 스타인과 셔우드 앤더슨을 포함한 다른 모더니스트 작가들은 산문시를 썼다. 캐나다 작가 엘리자베스 스마트의 ''By Grand Central Station I Sat Down and Wept''는 20세기 중반 영어 시적 산문의 예이다.
산문시는 1950년대 초와 1960년대에 미국 시인 앨런 긴즈버그, 밥 딜런, 잭 케루악, 윌리엄 S. 버로스, 러셀 엣슨, 찰스 시믹, 로버트 블라이, 존 애시베리, 제임스 라이트와 함께 부활했다. 시믹은 ''The World Doesn't End''로 1990년 퓰리처상 시 부문을 수상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산문시가 인기를 얻었다. 영국에서는 Stride Books가 1993년에 산문시 선집인 ''A Curious Architecture''를 출판했다.
3. 1. 서양
17세기 일본에서 마쓰오 바쇼는 하이쿠와 산문을 결합한 하이분을 창시했다. 그의 저서 오쿠노 호소미치가 대표적인 예시이다.서양에서는 19세기 초 프랑스와 독일에서 전통적인 운율(verse line)에 대한 반작용으로 산문시가 시작되었다. 독일 낭만주의 작가인 장 폴, 노발리스, 프리드리히 휠덜린, 하인리히 하이네는 산문시의 선구자로 볼 수 있다. 18세기 유럽의 산문시 선구자들로는 제임스 맥퍼슨의 "번역" 오시안과 에바리스트 드 파르니의 "Chansons madécasses"가 있었다.
프랑스 시는 알렉상드랭이 지배하고 있었는데, 모리스 드 게랭과 알로이시우스 베르트랑 (Gaspard de la nuit에서)과 같은 시인들은 사용을 중단했다. 이후 샤를 보들레르, 아르튀르 랭보, 스테판 말라르메는 ''파리의 우울''과 ''Illuminations''과 같은 작품에서 그들의 예를 따랐다. 막스 자코브, 앙리 미쇼, 거트루드 스타인, 프랑시스 퐁주와 같은 작가들에 의해 20세기에도 프랑스에서 산문시는 계속 쓰였다.
폴란드에서 율리우시 스워바츠키는 1837년에 산문시 ''Anhelli''를 썼다. 볼레스와프 프루스는 프랑스 산문시인들의 영향을 받아 "Mold of the Earth", "The Living Telegraph" 및 "Shades"를 포함한 여러 편의 시적 단편 소설을 썼다. 그의 "A Legend of Old Egypt" 역시 산문시의 특징을 보여준다.
1877–1882년 러시아 소설가 투르게네프는 시적 리듬이나 운율은 없지만 간결하면서도 표현력이 풍부한 여러 '산문 시' (Стихотворения в прозе)를 썼다.
시리아 시인 겸 작가 프랜시스 마라쉬의 글은 현대 아랍 문학에서 산문시의 첫 번째 사례를 보여준다. 20세기 중반부터 산문시의 위대한 아랍 대표는 아두니스이다.
모더니즘 시인 T. S. 엘리엇은 산문시에 대해 격렬하게 반대했다. 반대로 거트루드 스타인과 셔우드 앤더슨을 포함한 다른 모더니스트 작가들은 산문시를 썼다. 캐나다 작가 엘리자베스 스마트의 ''By Grand Central Station I Sat Down and Wept''는 20세기 중반 영어 시적 산문의 예이다.
산문시는 1950년대 초와 1960년대에 미국 시인 앨런 긴즈버그, 밥 딜런, 잭 케루악, 윌리엄 S. 버로스, 러셀 엣슨, 찰스 시믹, 로버트 블라이, 존 애시베리, 제임스 라이트와 함께 부활했다. 시믹은 ''The World Doesn't End''로 1990년 퓰리처상 시 부문을 수상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산문시가 인기를 얻었다. 영국에서는 Stride Books가 1993년에 산문시 선집인 ''A Curious Architecture''를 출판했다.
3. 2. 동양
동양에서 산문시는 17세기 일본에서 마쓰오 바쇼가 하이쿠와 산문을 결합한 하이분을 창시하면서 나타났다. 그의 저서 오쿠노 호소미치에서 산문-시 구성을 사용했다. 폴란드의 율리우시 스워바츠키는 1837년에 산문시 ''Anhelli''를 썼다. 볼레스와프 프루스는 프랑스 산문시인들의 영향을 받아 "Mold of the Earth", "The Living Telegraph", "Shades"를 포함한 여러 편의 시적 단편 소설을 썼고, 그의 "A Legend of Old Egypt" 역시 산문시의 특징을 보여준다. 1877–1882년 러시아 소설가 투르게네프는 시적 리듬이나 운율은 없지만 간결하고 표현력이 풍부한 '산문 시' (Стихотворения в прозе)를 썼다. 시리아 시인 겸 작가 프랜시스 마라쉬의 글은 현대 아랍 문학에서 산문시의 첫 번째 사례로 평가받는다. 20세기 중반부터 산문시의 대표적인 아랍 시인으로는 노벨 문학상 후보였던 아두니스가 있다.3. 3. 한국
19세기 초, 프랑스와 독일에서 전통적인 운율에 대한 반작용으로 산문시가 시작되었다. 독일 낭만주의 작가인 장 폴, 노발리스, 프리드리히 휠덜린, 하인리히 하이네는 산문시의 선구자로 볼 수 있다. 프랑스 시는 알렉상드랭이 지배했는데, 모리스 드 게랭과 알로이시우스 베르트랑 (Gaspard de la nuit에서)과 같은 시인들이 산문시를 사용했다. 이후 샤를 보들레르, 아르튀르 랭보, 스테판 말라르메는 ''파리의 우울''과 ''Illuminations''과 같은 작품에서 산문시 형식을 사용했다.폴란드에서 율리우시 스워바츠키는 1837년에 산문시 ''Anhelli''를 썼다. 볼레스와프 프루스는 프랑스 산문시인들의 영향을 받아 "Mold of the Earth", "The Living Telegraph", "Shades"를 포함한 여러 편의 시적 단편 소설을 썼고, 그의 "A Legend of Old Egypt" 역시 산문시의 특징을 보여준다.
1877–1882년 러시아 소설가 투르게네프는 시적 리듬이나 운율은 없지만 간결하고 표현력이 풍부한 '산문 시' (Стихотворения в прозе)를 썼다.
시리아 시인 겸 작가 프랜시스 마라쉬의 글은 현대 아랍 문학에서 산문시의 첫 번째 사례이며, 20세기 중반부터 산문시의 위대한 아랍 대표는 아두니스이다.
모더니즘 시인 T. S. 엘리엇은 산문시에 대해 격렬하게 반대했지만, 거트루드 스타인과 셔우드 앤더슨을 포함한 다른 모더니스트 작가들은 산문시를 썼다. 캐나다 작가 엘리자베스 스마트의 ''By Grand Central Station I Sat Down and Wept''는 20세기 중반 영어 시적 산문의 예이다.
산문시는 1950년대 초와 1960년대에 미국 시인 앨런 긴즈버그, 밥 딜런, 잭 케루악, 윌리엄 S. 버로스와 함께 부활했고, 찰스 시믹은 ''The World Doesn't End''로 1990년 퓰리처상 시 부문을 수상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산문시는 인기를 얻었다.
4. 주요 산문시인
영국의 오스카 와일드, 독일의 라이너 마리아 릴케와 슈테판 게오르게, 러시아의 이반 투르게네프, 일본의 카스야 에이이치 등이 주요 산문시인으로 꼽힌다.
5. 논쟁
5. 1. 정의 문제
시는 보통 규칙적이고 시법에 따른 운율이 있는 문학 장르이므로, 정형을 갖추지 않은 문장을 의미하는 산문과 결합된 '산문시'라는 단어는 본질적으로 어휘 모순의 관계에 있지만, 바로 거기에 산문시의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로 산문시는 Poème en prose로 표기되므로, '산문으로 쓰인 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이것은 '시'이므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시적인 산문'과는 본래 엄밀히 구분되어야 한다.그러나 그 경계는 매우 모호하여, 무엇을 '산문시'라고 할 것인지 불분명하며, 엄밀한 정의는 어렵다. 비교적 짧은 산문으로, 시에서 보이는 논리의 비약 · 시적인 레토릭을 사용한 것 등을 산문시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산문시는 항상 산문과 시의 경계에 있다. 운문이라면 그것이 바로 훌륭한 '시'인가, 라는 질문과 함께, 왜 산문이 시가 될 수 있는가 (시가 산문이 될 수 있는가), 혹은 시와 산문의 아이덴티티, 그것들의 경계선을 생각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장르라고 할 수 있다. 특권적인 장르로 성립된 경위를 가진 프랑스에서 중요한 시인은 보들레르, 말라르메, 랭보 등이며, 로트레아몽에서 출발하여 초현실주의자들의 계보로 이어진다.
5. 2. 장르 구분 문제
시는 보통 규칙적이고 시법에 따른 운율이 있는 문학 장르이므로, 정형을 갖추지 않은 문장을 의미하는 산문과 결합된 '산문시'라는 단어는 본질적으로 어휘 모순의 관계에 있지만, 바로 거기에 산문시의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로 산문시는 Poème en prose로 표기되므로, '산문으로 쓰인 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이것은 '시'이므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시적인 산문'과는 본래 엄밀히 구분되어야 한다.그러나 그 경계는 매우 모호하여, 무엇을 '산문시'라고 할 것인지 불분명하며, 엄밀한 정의는 어렵다. 특징으로 비교적 짧은 산문으로, 시에서 보이는 논리의 비약 · 시적인 레토릭을 사용한 것 등을 산문시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예를 들어 카지이 모토지로나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단편 소설'을 산문시라고 불러야 할지, 라는 문제도 있다. 극히 짧은 소설과 산문시의 구별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이 질문은 '소설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과도 관련될 것이다.
산문시는 항상 산문과 시의 경계에 있다. 운문이라면 그것이 바로 훌륭한 '시'인가, 라는 질문과 함께, 왜 산문이 시가 될 수 있는가 (시가 산문이 될 수 있는가), 혹은 시와 산문의 아이덴티티, 그것들의 경계선을 생각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장르라고 할 수 있다. 특권적인 장르로 성립된 경위를 가진 프랑스에서 중요한 시인은 보들레르, 말라르메, 랭보 등이며, 로트레아몽에서 출발하여 초현실주의자들의 계보로 이어진다.
참조
[1]
웹사이트
Poetic form: Prose poem
Academy of American Poets
[2]
간행물
Glossary of Terms
Poetry Foundation
2015
[3]
서적
On Biblical Poet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8-26
[4]
서적
A Poet's Glossary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4
[5]
서적
Classic Haiku
Duncan Baird Publishers
2007
[6]
서적
Models of the Universe: An Anthology of the Prose Poem
1995
[7]
서적
Gedichte in Prosa. Von der Romantik bis zur Moderne. Vorwort und Auswahl
2013
[8]
간행물
Two Micro-stories by Bolesław Prus
1995
[9]
서적
Twórczość Bolesława Prusa
[10]
서적
Twórczość Bolesława Prusa
[11]
서적
Trends and Movements in Modern Arabic Poetry. Volume I.
Brill
[12]
뉴스
Hearing Voices: How the doyen of Arabic poetry draws on—and explodes—its traditions
2017-12-18
[13]
기타
Klarkash-Ton and 'Greek'
[14]
웹사이트
The World Doesn't End
https://www.pulitzer[...]
[15]
서적
A Curious Architecture: New British and American Prose Poetry
Stride Press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