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살롱 (사교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롱은 16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된 사교 모임으로, 지식, 예술, 문학, 정치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대화와 토론을 통해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지식을 공유하는 공간이었다. 살롱은 여성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사회적, 지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장이었으며, 공론장 형성에 기여했다. 17세기 프랑스에서 랑부예 후작 부인에 의해 발전된 살롱 문화는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 널리 퍼졌으며, 20세기 초까지 이어졌다.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디지털 시대의 고립에 대한 반작용으로 개인 간의 소통과 교류를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

2. 역사적 배경

16세기 이탈리아에서 이사벨라 데스테나 엘리자베타 곤차가와 같은 르네상스 시대 귀부인들의 후원으로 예술가와 학자들의 모임이 시작되면서 살롱 문화가 처음 등장했다.[1] 살롱은 17세기와 18세기 프랑스에서 번성했고, 19세기에는 이탈리아에서도 계속 번성했다.

"살롱"이라는 단어는 1664년 프랑스에서 처음 등장했으며(이탈리아 저택의 넓은 응접실을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살로네"에서 유래), 이전의 문학 모임은 종종 캐비닛, 레뒤, 뤼엘, 알코브와 같이 모임이 열린 방의 이름을 따서 불렸다.[1] 17세기 말 이전에는 이러한 모임이 주로 침실에서 열렸다.[2]

살롱은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중요한 장소였다. 프랑스 최초의 유명한 살롱은 파리의 랑부예 호텔이었으며, 카트린 드 비본, 랑부예 후작 부인이 1607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운영했다.[3][4] 그녀는 초기 이탈리아 기사도의 규율과 유사한 살롱의 에티켓 규칙을 세웠다. 앙리 4세의 궁정이 매우 거친 곳으로 느껴졌기에, 그녀는 자택에 교양 있는 사람들을 초대하여 사적인 모임을 열었다. 그곳에서는 문학가가 자작품을 낭독하거나 문학론, 연극론 등을 논의했으며, 이를 본뜬 살롱도 열리게 되었다. 몰리에르의 희극 『웃기는 여인들』에서는 살롱에서의 젠체하는 대화가 통렬하게 풍자되었다.

이후 프랑스에서는 베르사유 궁전 등에서 여주인을 중심으로 한 문학 살롱이 열렸다. 라파예트 부인이나 퐁파두르 부인 등의 살롱이 역사적으로 유명하며, 볼테르, 루소 등 계몽주의 사상가들도 살롱에 출입했다. 여주인을 중심으로 한 문학 살롱의 전통은 20세기 초까지 이어졌으며, 프루스트의 대표작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도 묘사되어 있다.

18세기와 19세기에는 파리 살롱의 방식을 따라 유럽의 많은 대도시에서 살롱이 열렸다. 각국에서도 살롱이 열렸지만, 특히 베를린에서는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 파르른하겐(레빈), 헤르츠 등 유대계 여성의 살롱이 알려져 있다.

영국에서는 찰스 배비지가 프랑스에서 살롱의 한 형태인 과학 소아레를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배비지는 1828년부터 토요일 저녁 소아레를 주최하기 시작했다.[6]

1920년대, 거트루드 스타인의 토요일 저녁 살롱은 파블로 피카소와 앨리스 B. 토클라스와 같은 20세기 유명 인사들을 포함하여 명성을 얻었다. 그녀의 동시대인인 나탈리 클리포드 바니 또한 작가였으며, 어니스트 헤밍웨이F. 스콧 피츠제럴드 등이 참석하는 문학 살롱을 주최했다.

2018년, 바나드 칼리지 교수 캐롤라인 웨버의 저서 "프루스트의 공작 부인: 세 명의 유명한 여성이 어떻게 세기말 파리의 상상력을 사로잡았는가"가 퓰리처상 후보에 올랐으며, 프루스트가 그의 최고의 허구적 인물인 게르망트 공작 부인을 창조하는 데 사용한 세 명의 파리 살롱 주최자들에 대한 최초의 심층 연구였다.[10]

2. 1. 이탈리아: 살롱의 기원

16세기 이탈리아에서 살롱 문화가 처음 등장했다. 이사벨라 데스테나 엘리자베타 곤차가와 같은 르네상스 시대의 귀족 여성들이 후원한 예술가와 학자들의 모임이 살롱의 초기 형태였다.[1] 조반나 단돌로는 1457년부터 1462년까지 베네치아의 도제였던 파스콸레 말리피에로의 아내로서 예술가들의 후원자이자 수집가로 알려졌다. 16세기에 매춘부 툴리아 다라곤이 이미 살롱을 열었고, 17세기 로마에서는 퇴위한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과 콜론나 공주 마리 만치니가 살롱 주최자로서 경쟁했다. 18세기에는 아우로라 산세베리노가 나폴리에서 사상가, 시인, 예술가, 음악가들을 위한 포럼을 제공하여 이탈리아 바로크 시대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51]

2. 2. 프랑스: 살롱의 전성기

16세기 이탈리아에서 처음 등장한 살롱17세기18세기 프랑스에서 번성했다. "살롱"이라는 단어는 1664년 프랑스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이전의 문학 모임은 종종 캐비닛, 레뒤, 뤼엘, 알코브와 같이 모임이 열린 방의 이름을 사용하여 불렸다.[1] 17세기 말 이전에는 이러한 모임이 종종 침실에서 열렸다.[2]

프랑스 최초의 유명한 살롱은 파리의 루브르 궁전에서 멀지 않은 랑부예 호텔에서 열렸으며, 카트린 드 비본, 랑부예 후작 부인(1588–1665)이 1607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운영했다.[3][4] 그녀는 초기 이탈리아 기사도의 규율과 유사한 살롱의 에티켓 규칙을 세웠다. 로마 주재 외교관의 딸로 태어나 이탈리아의 세련된 궁정에 친숙해진 랑부예 후작 부인은 앙리 4세의 궁정이 매우 거친 곳으로 느껴져 자택에 교양 있는 사람들을 초대하여 사적인 모임을 열었다. 그곳에서는 문학가가 자작품을 낭독하거나 문학론, 연극론 등이 오갔다. 이를 본뜬 살롱도 열리게 되었으며, 몰리에르의 희극 『웃기는 여인들』에서는 살롱에서의 젠체하는 대화가 통렬하게 풍자되었다.

그 후에도 프랑스에서는 베르사유 궁전 등에서 여주인을 중심으로 한 문학 살롱이 열렸다. 라파예트 부인이나 퐁파두르 부인 등의 살롱이 역사적으로 유명하다. 볼테르, 루소 등 계몽주의 사상가들도 살롱에 출입했다.

2. 3. 유럽 전역으로의 확산

18세기와 19세기에 걸쳐 파리의 살롱 문화는 유럽의 여러 대도시로 퍼져나갔다.

벨기에가 형성되기 전, 17세기 중반 당시 스페인령 네덜란드였던 브뤼셀에서 베아트릭스 드 퀴상스가 살롱을 운영했다. 18세기 후반에는 안 드 이브의 정치 살롱이 1789년 브라반트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47] 벨기에에서는 콩스탕스 트로티가 주최한 19세기 살롱에 문화계 인사, 벨기에 귀족, 그리고 프랑스 망명자들이 모여들었다.[47]

덴마크에서 살롱 문화는 18세기에 수용되었다. 크리스틴 소피 홀슈타인과 샬롯 쉬멜만은 각각 18세기 초와 말에 가장 유명한 살롱 주인이었으며, 두 사람 모두 정치적 영향력을 인정받았다.[48]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덴마크 황금 시대 동안, 문학 살롱은 덴마크 문화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소피엔홀름에서 프리데리케 브룬이 주최한 문학 살롱과 바케후세트에서 카마 라베크가 주최한 문학 살롱이 두드러졌다.[48]

독일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18세기 말과 19세기 초에 Henriette Herz, Sara Grotthuis, Rahel Varnhagen과 같은 유대계 여성들이 살롱을 주최했다.[49] 오스트리아에서는 예술의 유대인 후원자인 Adele Bloch-Bauer[49]와 Berta Zuckerkandl이 주최했다. 유대인 여성들은 살롱을 통해 유대인과 비유대인이 만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했고, 예술, 문학, 철학, 음악 등을 함께 공부할 수 있었다.[50] Henriette Lemos Herz, Fanny Mendelssohn Hensel, Dorothea Mendelssohn Schlegel, Amalie Wolf Beer 등 12명 이상의 유대인 살롱 주인들이 명성을 얻었다.

스페인에서는 18세기 말 María del Pilar Teresa Cayetana de Silva y Álvarez de Toledo, 13th Duchess of Alba가, 그리스에서는 17세기에 Alexandra Mavrokordatou가 살롱을 주최했다.

이탈리아는 오랜 살롱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 16세기에는 툴리아 다라곤이, 17세기에는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과 마리 만치니가 살롱을 열었다. 18세기에는 아우로라 산세베리노가 이탈리아 바로크 시대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51] 19세기에는 클라라 마페이, 에밀리아 페루치, 올림피아 사비오 등이 유명한 살롱을 주최했다. 이탈리아 살롱은 젊은이들이 명망 있는 인물들과 교류하고, 정부의 검열을 피해 토론할 수 있는 장소였다.[52]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서는 17세기 말 엘주비에타 시니아프스카가 살롱을 열었다. 18세기에는 스타니스와프 2세 아우구스트 국왕의 ''목요 오찬''이 유명했고, 바르바라 상구슈코, 조피아 루보미르스카, 안나 야블로노프스카, 이자벨라 차르토리스카 등이 주목할 만한 살롱 주인이었다.[56][57][58][59]

러시아 제국에는 18세기 살롱 문화가 도입되었다. 19세기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의 귀족들이 운영하는 여러 유명 살롱이 있었는데, 그중 하나는 1820년대 모스크바의 지나이다 볼콘스카야의 문학 살롱이었다.

스웨덴에서는 17세기 말부터 19세기 말까지 살롱이 번성했다. 1680년대와 1690년대에 마그달레나 스텐복의 살롱은 스웨덴 외교 정책의 중심지로 묘사되었다.[60] 자유 시대 (1718–1772) 동안 여성들은 정치 살롱을 통해 정치에 참여했다.[60] 헤드비그 카타리나 데 라 가르디 (1695–1745)는 스웨덴 최초의 살롱 여주인으로 불리기도 한다.[60] 19세기에는 말라 실버스톨페의 금요일 밤 살롱이 스웨덴 낭만주의 시대의 중심으로 유명했다.[64]

스위스에서는 18세기 중반에 율리 봉델리와 바르바라 슐트헤스가 살롱을 열었으며, 19세기 초에는 안나 마리아 뤼티만-메이어 폰 샤우엔제의 살롱이 영향력을 가졌다. 제네바 호수 근처 코페 성에서는 마담 드 스태엘이 프랑스 혁명 이후, 특히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정권 하에서 ''코페 그룹''으로 알려진 살롱을 열었다.

18세기 영국에서는 엘리자베스 몬태규와 헤스터 스레일이 살롱을 열었다. 엘리자베스 몬태규는 블루스타킹 협회를 창설했다. 19세기에는 메리 폰 브루닝크가 런던 세인트존스우드에서, 클레멘티아 테일러가 오브리 하우스에서 살롱을 열었다.

각국에서도 살롱이 열렸지만, 특히 베를린에서는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 파르른하겐 (레빈), 헤르츠 등 유대계 여성의 살롱이 알려져 있다.

3. 살롱의 주요 특징

살롱은 페미니스트, 마르크스주의, 문화, 사회, 지성사 학자들의 심도 있는 연구 대상이었다. 각 방법론은 살롱의 서로 다른 측면에 초점을 맞추며, 프랑스 역사와 계몽주의 전체에서 살롱의 중요성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제시한다.

대부분의 연구는 16세기 초부터 18세기 말까지를 다룬다. 스티븐 케일(Steven Kale)은 1848년 혁명까지 살롱의 시기를 연장하려는 드문 시도를 했다.[8] 1920년대, 거트루드 스타인의 토요일 저녁 살롱은 파블로 피카소와 앨리스 B. 토클라스 같은 20세기 유명 인사들을 포함하여 명성을 얻었다.

현대 문학에서 살롱은 예의, 문명, 정직함에 대한 이상적인 개념이 지배적이었지만, 이러한 기준에 부합했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데나 굿먼(Dena Goodman)은 살롱이 여가 기반이나 '시빌리테 학교'가 아니라 '철학 공동체의 핵심'에 있었고, 따라서 계몽주의 과정에 필수적이었다고 주장한다.[12]

살롱이 지배적이었던 시기는 '대화의 시대'로 불린다.[14] 살롱 내 대화의 주제는 살롱의 형태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했다. 살롱 운영자들은 대화를 이끌고 중재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무엇이 적절한 대화였는지에 대한 보편적인 합의는 없다. 마르셀 프루스트는 '정치는 철저히 피해야 한다'고 주장했고,[15] 다른 사람들은 정부 외에는 거의 논의되지 않았다고 말한다.[16]

위르겐 하버마스는 ''공론장의 구조 변동''에서 살롱이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했다.[18] 살롱과 잉글랜드의 커피하우스 같은 대화와 교류의 장은 하버마스가 '공론장'이라고 부른 것의 출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9] 그러나 하버마스의 살롱 역사 기술은 비판을 받기도 했는데, 가장 영향력 있는 살롱이 반대 공론장의 일부가 아니라 궁정 사회의 연장이었다는 것이다.

3. 1. 대화와 토론의 장

아베 들릴이 마담 제프랭의 살롱에서 자신의 시 '라 콩베르사시옹'을 낭독하는 모습 (자크 들릴, "라 콩베르사시옹", 파리, 1812)


살롱은 자유로운 대화와 토론을 통해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지식을 공유하는 공간이었다. 살롱이 지배적이었던 시기는 '대화의 시대'로 불린다.[14] 살롱 내 대화의 주제는 살롱의 형태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했다. 살롱 운영자들은 대화를 이끌고 중재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무엇이 적절한 대화였는지에 대한 역사학자들 사이의 보편적인 합의는 없다. 마르셀 프루스트는 '정치는 철저히 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5] 반면, 다른 사람들은 정부 외에는 거의 논의되지 않았다고 말한다.[16]

17세기 초 랑부이에 후작 부인 카트린 드 비브온의 살롱에서는 문학가가 자작품을 낭독하거나 문학론, 연극론 등이 오갔다. 몰리에르의 희극 『웃음거리 여인들』에서는 살롱에서의 젠체하는 대화가 풍자되기도 하였다. 베르사유 궁전 등에서 여주인을 중심으로 한 문학 살롱이 열렸으며, 라파예트 부인이나 퐁파두르 부인 등의 살롱이 역사적으로 유명하다. 볼테르, 루소 등 계몽주의 사상가들도 살롱에 출입했다.

3. 2. 여성의 역할과 영향력

당시 여성들은 살롱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규제자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이들은 손님을 직접 선택하고 모임에서 다룰 주제를 결정하는 권한을 가졌다. 논의 주제는 사회, 문학, 정치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울렀다. 또한, 여성들은 토론을 이끌어가는 중재자 역할도 수행했다.[44]

살롱은 여성들에게 비공식적인 교육의 장을 제공했다. 이곳에서 여성들은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서로의 비판을 주고받으며, 자신의 작품을 발표하고 다른 지식인들의 작품과 생각을 접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회를 통해 많은 여성들이 살롱을 고등 교육의 수단으로 활용했다.[44]

18세기 파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여성들이 살롱을 주최했다.

주최자주요 활동 및 특징
아델과 오로르 드 벨레가르드
마담 제프랭
마담 드 탕생
잔 키노부-뒤-방의 안주인
마담 뒤팽
콩스탕스 피플레이혼 후 콩스탕스 드 살름으로 알려짐
프랑수아즈 드 그라피니페루 여성의 편지의 저자
쥘리 드 레스피나스달랑베르와의 관계로 유명, "달랑베르 씨의 이름이 그들을 그곳으로 이끌었을지라도, 그들을 그곳에 머물게 한 것은 그녀뿐이었다."
마르키즈 뒤 데팡호레이스 월폴의 친구
마르키즈 드 랑베르
뒤세스 뒤 멘
마담 데피네
마담 네케르재정가 자크 네케르의 아내
마담 드 스탈네케르의 딸, 망명 중 국제적인 코페 그룹을 주최[45]
마담 드 스탈 in 코페 (Debucourt 1800)
마담 엘베시우스엘베시우스의 아내
소피 드 콩도르세수학자이자 철학자 콩도르세의 아내, 외국 유명 인사와 프랑스 사상가들이 방문
줄리에트 레카미에사교계 명사이자 제르멘 드 스탈의 친구
마담 롤랑혁명 초기 지롱드파의 휴양지였던 정치적 살롱 운영
마담 스베치네스베치네 장군의 아내
줄리 탈마뱅자맹 콩스탕의 친구



17세기 파리의 가장 유명한 문학 살롱으로는 랑부예 후작 부인이 1607년 루브르 궁전 근처에 설립한 오텔 드 랑부예와, 1652년 르 마레에 마들렌 드 스퀴데리가 세운 경쟁 살롱이 있었다. ''레 바-블뢰''라는 용어는 영국의 "블루스타킹"에서 유래되었으며, 살롱에 참석한 여성들을 지칭하는 말로 300년간 사용되었다. 몰리에르의 낭독을 담은 장 프랑수아 드 트루아의 1728년경 작품은 당시 살롱의 모습을 보여준다.

''몰리에르의 낭독'', 장 프랑수아 드 트루아, 1728년경

3. 3. 공론장과의 관계

위르겐 하버마스는 저서 《공론장의 구조변동》에서 살롱을 공론장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보았다. 하버마스는 살롱이 사적인 영역에 속하지만, 공적인 영역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살롱에서의 토론과 교류는 계몽주의 사상의 확산, 여론 형성, 정치적 변화 등에 기여했다는 것이다.[39]

그러나 살롱이 공론장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했는지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살롱이 귀족과 부르주아 계층의 사교 모임이었을 뿐, 진정한 의미의 공론장은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살롱이 궁정 사회의 연장선상에 있었으며, 사회적 위계질서가 여전히 존재했다고 지적한다.[41] 데나 굿맨(Dena Goodman)은 살롱이 "사회적 출세가 아니라 지적이고, 자기 교육적이며, 교육적인 여성들"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이들이 계몽주의 문예 공화국의 가치를 채택하고 구현하여 살롱을 자신의 필요에 맞게 재구성했다고 주장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40]

18세기에는 제프랭 부인, 르스피나스 양, 네케르 부인의 지휘 아래 살롱은 계몽 시대의 기관으로 변모했다.[43] 이 시기 살롱은 파리 사회, ''백과전서''를 제작하고 있던 진보적인 철학자, 블루스타킹 및 기타 지식인들을 모아 다양한 주제에 대해 토론하는 장이 되었다.

4. 주요 살롱과 살로니에르

살롱은 페미니스트, 마르크스주의, 문화, 사회, 지성사 학자들의 연구 대상이었으며, 프랑스 역사와 계몽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7] 주요 역사적 논쟁은 살롱과 공론장의 관계, 그리고 살롱 내 여성의 역할에 관한 것이었다.

살롱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16세기 초부터 18세기 말까지 이루어졌지만, 스티븐 케일(Steven Kale)은 1848년 혁명까지 살롱의 시기를 연장하기도 했다.[8][9] 1920년대 거트루드 스타인의 살롱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파리는 날마다 축제''에 묘사되었고, 우디 앨런의 ''미드나잇 인 파리''에서 허구적으로 묘사되었다. 이 살롱에는 파블로 피카소, 앨리스 B. 토클라스 등이 참여했다. 나탈리 클리포드 바니는 작가이자 문학 살롱 주최자로, 어니스트 헤밍웨이, F. 스콧 피츠제럴드 등이 참석했다. 그녀는 뒷마당의 메이슨 신전을 "우정의 신전"이라 부르며 살롱 참석자들과 만남을 가졌다. 2018년 캐롤라인 웨버의 저서 "프루스트의 공작 부인"은 퓰리처상 후보에 올랐으며, 프루스트가 게르망트 공작 부인을 창조하는 데 사용한 세 명의 파리 살롱 주최자들에 대한 연구였다.[10]

각국에서도 살롱이 열렸는데, 특히 베를린에서는 19세기 낭만주의 시대 파르른하겐, 헤르츠 등 유대계 여성의 살롱이 알려져 있었다. 이들은 게토 해방 후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살롱을 열었고, 귀족, 문학가, 음악가 등이 드나들었다. 유대인 해방과 페미니즘에 관련된 여성도 많았다.

주요 살롱과 살로니에르는 다음과 같다.

국가주요 살로니에르
프랑스스탈 부인, 퐁파두르 부인, 롤랑 부인, 알퐁스 도데
스웨덴크리스티나, 로비사 울리카
예나카롤리네 셸링
베를린라헬 파른하겐, 헨리에테 헤르츠-레모스, 헬레네 폰 노스티츠
파울리네 폰 메테르니히, 베르타 추커칸들-셰프스


4. 1. 프랑스

17세기 초 랑부이에 후작 부인 카트린 드 비브온의 살롱이 시초라고 여겨진다. 로마 주재 외교관의 딸로 태어나 이탈리아의 세련된 궁정에 친숙해진 후 프랑스로 귀국한 부인은 앙리 4세의 궁정이 매우 거친 곳으로 느껴졌다. 그래서 자택에 교양 있는 사람들을 초대하여 사적인 모임을 열었다. 그곳에서는 문학가가 자작품을 낭독하거나 문학론, 연극론 등이 오갔다. 이를 본뜬 살롱도 열리게 되었으며, 몰리에르의 희극 『웃기는 여인들』에서는 살롱에서의 젠체하는 대화가 통렬하게 풍자되었다.[18]

그 후에도 프랑스에서는 베르사유 궁전 등에서 여주인을 중심으로 한 문학 살롱이 열렸다. 라파예트 부인, 퐁파두르 부인 등의 살롱이 역사적으로 유명하다. 볼테르, 루소 등 계몽주의 사상가들도 살롱에 출입했다.[18]

여주인을 중심으로 한 문학 살롱의 전통은 20세기 초까지 이어졌으며, 그 모습은 프루스트의 대표작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도 묘사되어 있다.[18]

요약에 언급된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랑부이에 후작 부인 카트린 드 비브온
  • 스탈 부인
  • 퐁파두르 부인
  • 롤랑 부인

4. 2. 독일

독일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살롱은 헨리에테 헤르츠, 사라 그로투이스, 라헬 파른하겐과 같은 유대계 여성들이 주최했다.[49]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오스트리아에서는 아델 블로흐-바우어[49]와 베르타 추커칸들이 살롱을 주최했다. 점차 해방된 독일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은 풍부한 문화 생활에 몰입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개별 유대인들은 새로운 기회에 직면했지만 안전한 공동체의 안락함 없이 딜레마에 직면했다. 유대인 여성에게는 또 다른 문제가 있었다. 독일 사회는 일반적인 성 역할 제한과 반유대주의를 부과했기 때문에 교양 있는 유대인 여성들은 문화 살롱을 이용했다. 그러나 1800년부터 살롱은 정치적, 사회적 기적을 수행했다.[50] 살롱은 유대인 여성이 유대인과 비유대인이 상대적으로 평등하게 만날 수 있는 장소를 자신의 집에 마련하도록 했다. 뜻이 맞는 사람들은 예술, 문학, 철학 또는 음악을 함께 공부할 수 있었다. 이 소수의 교육받고 동화된 유대인 여성들은 사회적 게토의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당연히 여성들은 돈이나 문화와 관련이 있는 가족이어야 했다. 귀족, 고위 공무원, 작가, 철학자, 예술가들이 모인 이 혼합된 모임에서 유대인 살롱 주인들은 유대인 통합을 위한 수단을 만들었고, 후원자와 예술가들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맥락을 제공했다. 헨리에테 레모스 헤르츠, 파니 멘델스존 헨젤, 도로테아 멘델스존 슐레겔, 아말리에 볼프 베어 및 최소 12명의 다른 살롱 주인들이 명성과 존경을 얻었다.

베를린에서는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 파른하겐 (레빈), 헤르츠 등 유대계 여성의 살롱이 알려져 있다. 각지의 게토가 해방된 후 자유로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부유한 유대계 부인들이 살롱을 열기 시작했고, 귀족, 문학가, 음악가 등도 드나들었다. 유대인 해방과 페미니즘에 관련된 여성도 적지 않았다.

;예나

:* 카롤리네 셸링

;베를린

:* 라헬 파른하겐

:* 헨리에테 헤르츠-레모스

:* 헬레네 폰 노스티츠

;

:* 파울리네 폰 메테르니히

:* 베르타 추커칸들-셰프스

4. 3. 기타 유럽 국가

스웨덴에서 살롱은 17세기 말에 발달하여 19세기 말까지 번성했다. 1680년대와 1690년대에 백작부인 마그달레나 스텐복의 살롱은 스톡홀름의 외국 대사들이 접촉을 갖는 만남의 장소가 되었으며, 그녀의 도박 테이블은 스웨덴 외교 정책의 중심지로 묘사되었다.[60]

스웨덴의 자유 시대 (1718–1772) 동안 여성들은 정치 토론에 참여했고, 모자당과 캡당 사이의 투쟁에서 정치 살롱을 통해 자신이 지지하는 인물들을 옹호했다.[60] 이러한 포럼들은 외국 열강들이 스웨덴 정치에서 자국의 이익을 위해 이러한 여성들을 에이전트로 고용할 정도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60]

스웨덴 자유 시대의 가장 유명한 정치 살롱 여주인으로는 백작부인 헤드비그 카타리나 데 라 가르디 (1695–1745)가 꼽히며, 그녀의 살롱은 한때 스웨덴 최초의 살롱으로 언급되었으며, 그녀가 국정에 미치는 영향력 때문에 1733년 올로프 폰 달린의 정치 살롱 여주인 풍자화의 대상이 되었다.[60] 마그달레나 엘리자베스 람은 그녀의 살롱에서 시작된 전쟁 캠페인을 통해 러시아-스웨덴 전쟁 (1741–1743)의 실현에 기여한 것으로 여겨진다.[61] 정치 외적으로 헤드비그 샤를로타 노르덴플리히트는 문학 아카데미 ''탕케비가르오르덴''의 호스트 역할을 했으며 안나 마리아 렌그렌은 스웨덴 왕립 아카데미를 위해 동일한 역할을 했다.

구스타프 3세 시대 동안 안나 샤를로타 슈뢰더하임의 집은 반대의 중심지로 알려지게 되었다. 1820년대의 아우로라 빌헬미나 코스쿨[62]과 1840년대의 울라 데 헤르[63]는 19세기 전반에도 정치 문제에 영향력을 행사한 살롱 여주인들로 여겨진다.

그러나 19세기에는 스웨덴의 주요 살롱 여주인들이 정치보다는 예술과 자선 사업의 후원자로서 더 유명해졌다. 1820년부터 20년 동안 말라 실버스톨페는 스웨덴 낭만주의 시대의 중심이자 스웨덴에서 가장 유명한 문학 살롱으로 꼽히는, 웁살라에서 열리는 그녀의 금요일 밤 살롱으로 유명해졌다.[64] 1860년대와 1870년대 동안, 스톡홀름의 부유한 후원자 프레드리카 리멜의 ''리멜 살롱''은 스웨덴 문화 엘리트들의 유명한 중심지가 되었으며, 특히 작가들이 부유한 후원자들과 접촉하기 위해 모였다.[65] 이 역할은 결국 1880년대와 1890년대 칼라 쿠르만의 ''쿠르만 리셉션''에 의해 이어졌다.[66]

스위스에서는 18세기 중반에 살롱 문화가 존재했으며, 율리 봉델리 (Bern)와 바르바라 슐트헤스 (취리히)가 대표적이며, 안나 마리아 뤼티만-메이어 폰 샤우엔제의 살롱은 19세기 초에 영향력 있는 역할을 했다.

제네바 호수 근처의 코페 성에서는 망명한 파리의 살롱 운영자이자 작가인 마담 드 스태엘이 살롱을 열어 프랑스 혁명 이후, 특히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정권 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살롱은 ''코페 그룹''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드 스태엘은 약 30편의 저서를 남겼으며, 그중 ''독일에 관하여''(1813)가 당시 가장 유명했다. 그녀는 프랑수아 제라르와 엘리자베트 비제 르 브룅과 같은 유명 화가들에게 초상화가 그려지기도 했다.

빈에서는 베르타 추커칸들-셰프스가 유명한 살롱을 운영했다.

5. 현대의 살롱

살롱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으며, 공론장과의 관계, 살롱 내 여성의 역할 등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7] 대부분의 연구는 16세기 초부터 18세기 말까지의 살롱을 다루지만, 19세기 중반까지 살롱이 존속했다는 주장도 있다.[8][9]

20세기 초, 거트루드 스타인파블로 피카소 등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는 살롱을 주최하여 명성을 얻었다.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파리는 날마다 축제''와 우디 앨런의 ''미드나잇 인 파리''에 묘사되기도 했다. 그녀와 동시대 인물인 나탈리 클리포드 바니 또한 작가이자 파리에 거주하는 미국인 망명객으로, 어니스트 헤밍웨이F. 스콧 피츠제럴드 등이 참석하는 문학 살롱을 주최했다. 그녀는 뒷마당에 오래된 메이슨 신전이 있는 집을 "우정의 신전"이라는 뜻의 템플 데 아미티에(Temple d’Amitié)라고 불렀다.

2018년, 바나드 칼리지 교수 캐롤라인 웨버의 저서 "프루스트의 공작 부인: 세 명의 유명한 여성이 어떻게 세기말 파리의 상상력을 사로잡았는가"는 퓰리처상 후보에 올랐으며, 프루스트가 그의 최고의 허구적 인물인 게르망트 공작 부인을 창조하는 데 사용한 세 명의 파리 살롱 주최자들에 대한 최초의 심층 연구였다.[10]

5. 1. 다양한 형태의 살롱

현대에는 문학, 예술, 과학 등 특정 분야에 초점을 맞추거나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살롱이 존재한다.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샐리 퀸과 벤 브래들리 부부는 워싱턴 D.C.에서 영향력 있는 살롱을 개최했다. 이들의 조지타운 집에 초대받는 것은 수도에서 가장 탐나는 지위 상징 중 하나로, 권력 있고 재능 있는 엘리트 살롱에 들어갈 기회였다.[76] 1980년대 런던 노팅힐에서는 전직 수녀이자 음악가인 테오도라 디 마르코와 그녀의 여동생 노르마가 음악과 토론회를 열었다.[77]

2014년에는 디지털 생활의 고립에 대한 반작용으로 직접 만나는 행사와 살롱이 다시 인기를 얻었다.[78] 2021년, 팬데믹으로 인한 고립에 대응하여 수잔 맥태비쉬 베스트는 지역 사회에서 살롱을 개최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교육 자료인 'The Salon Host'를 출시했다.[79][80]

5. 2. 사회적 의미

현대의 살롱은 사적인 집이나 공공 장소에서 열리며, 문학뿐만 아니라 예술 및 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기도 한다.[75]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워싱턴 D.C.에서 샐리 퀸과 그의 남편 벤 브래들리는 영향력 있는 살롱을 개최했다. 이들의 살롱 초대는 미국의 수도에서 가장 탐나는 지위 상징 중 하나로 여겨졌다.[76] 1980년대 런던 노팅힐에서는 전직 수녀이자 음악가인 테오도라 디 마르코와 그녀의 여동생 노르마가 음악과 토론회를 열었다.[77]

2014년에는 디지털 시대의 고립감에 대한 반작용으로 직접 만나는 행사와 살롱의 인기가 높아졌다.[78] 2021년에는 수잔 맥태비쉬 베스트가 지역 사회에서 살롱을 개최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교육 자료인 The Salon Host를 출시했다.[79][80] 이러한 현대의 살롱들은 개인 간의 소통과 교류를 증진하고,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며,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기여한다. 특히, 디지털 시대의 고립감을 해소하고, 직접적인 만남을 통해 인간적인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참조

[1] 서적 Dictionnaire des lettres françaises: le XVIIe siècle Fayard 1996
[2] 서적 Madame de Rambouillet ou la magicienne de la Chambre bleue Fayard 1988
[3] 서적 French Salons : High Society and Political Sociability from the Old Regime to the revolution of 184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4
[4] 서적 Le Château de Rambouillet, six siècles d'Histoire Calmann-Lévy 1930
[5] 학술지 How Scientific Conversation Became Shop Talk https://www.cambridg[...] 2007
[6] 서적 Charles Babbage and the engines of perfection Oxford Univ. Press 1998
[7] 서적 The Republic of Letters: A Cultural History of the French Enlightenment Cornell University Press 1994
[8] 서적 French Salons: High Society and Political Sociability from the Old Regime to the Revolution of 1848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
[9] 문서 Ibid.
[10] 웹사이트 Three Celebrated Women Captured the Imagination of Fin-de-Siècle Paris, by Caroline Weber (Alfred A. Knopf) https://www.pulitzer[...] 2021-11-30
[11] 서적 Bohemian, Literary and Social Life in Paris: Salons, Cafes, Studios George G. Harrap 1928
[12] 학술지 'Enlightenment Salons: The Convergence of Female and Philosophic Ambitions' 1989
[13] 문서 Ibid.
[14] 서적 The Age of Conversation New York Review Books 2005
[15] 문서 French Salons
[16] 문서 Ibid.
[17] 서적 The Republic of Letters: a Cultural History of the French Enlightenment Cornell University Press 1994
[18] 서적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MIT Press 1989
[19] 문서 Ibid.
[20] 서적 Women and the Public Sphere in the Age of the French Revolu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88
[21] 문서 French Salons
[22] 서적 Conservative Tradition In Pre-Revolutionary France: Parisian Salon Women Peter Lang 1999
[23] 서적 Women and the Public Sphere in the Age of the French Revolution
[24] 학술지 The Theory and Practice of ''Honnêteté'' in Jacques Du Bosc's "L'Honnête femme" (1632–36) and "Nouveau receuil de lettres des dames de ce temps" (1635) https://earlymodernf[...]
[25] 서적 The Civilizing Process: The History of Manners Basil Blackwell 1978
[26] 서적 Women and the Public Sphere in the Age of the French Revolution
[27] 서적 Cartesian Women
[28] 서적 Women and the Public Sphere in the Age of the French Revolution
[29] 문서 French Salons
[30] 학술지 'Sociabilité et mondanité: Les hommes de lettres dans les salons parisiens au XVIIIe siècle' 2005
[31] 서적 Conservative Tradition In Pre-Revolutionary France: Parisian Salon Women
[32] 서적 Women of the Salons G. P. Putnam's Sons 1926
[33] 서적 La femme au dix-huitième siècle Firmin Didot 1862
[34] 문서 Conservative Tradition In Pre-Revolutionary France
[35] 서적 Uncrowned Queens: Reines Sans Couronne J. M. Dent 1970
[36] 서적 Women, Salons and Social Stratification in Seventeenth Century France
[37] 문서 Ibid.
[38] 서적 France in the Enlightenment HUP 1998
[39] 서적 The Republic of Letters
[40] 문서 Ibid.
[41] 논문 Enlightenment salons: The Convergence of Female and Philosophic Ambitions 1989-Spring
[42] 서적 French Salons : High Society and Political Sociability from the Old Regime to the revolution of 184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4
[43] 논문 Enlightenment salons: The Convergence of Female and Philosophic Ambitions 1989-Spring
[44] 논문 Salonnières and the Bluestockings: Educated Obsolescence and Germinating feminism 1976-Spring
[45] 서적 L'Europe de Coppet - Essai sur l'Europe de demain LEP Éditions Loisirs et Pėdagogie 2010
[46] Exhibit Django Reinhardt - Swing De Paris 2012-10-06
[47] 서적 Dictionnaire des femmes belges: XIXe et XXe siècles Lannoo Uitgeveri 2006
[48] 웹사이트 Dansk Kvindebiografisk Leksikon
[49] 웹사이트 Neue Galerie New York http://www.neuegaler[...] 2018-04-27
[50] 문서 Cultural Salons and Jewish Women in 19th Century Berlin 2005-07
[51] 서적 The Cambridge Handel Encycloped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52] 웹사이트 A room with a view: interpreting the Ottocento through the literary salon. http://www.thefreeli[...] 2012-04-16
[53] 웹사이트 Recuperando a Mariquita http://www.pagina12.[...] Perfil 2004-07-16
[54] 서적 Seamos libres y lo demás no importa nada Colihue
[55] 서적 La Revolución de Mayo: el pueblo quiere saber de qué se trató https://books.google[...] Ediciones Colihue SRL 1994
[56] 웹사이트 barbara-urszula-sanguszkowa-z-duninow http://www.ipsb.nina[...]
[57] 서적 The Polish Biographical Dictionary Polska Akademia Nauk i Polska Akademia Umiejętności
[58] 서적 Księżna pani na Kocku i Siemiatyczach 1936
[59] 뉴스 Shakespeare's Chair & Other Trophies: The Pilfering Polish Princess behind Europe's First Museum https://culture.pl/e[...] 2019-09-21
[60] 서적 Kvinnor vid maktens sida: 1632–1772 Nordic Academic Press
[61] 서적 Anteckningar om svenska qvinnor
[62] 서적 Personhistorisk tidskrift 1898–1899 https://runeberg.org[...]
[63] 웹사이트 Carl De Geer https://sok.riksarki[...] 2013-10-28
[64] 서적 Svenska kvinnor: föregångare, nyskapare Signum
[65] 웹사이트 C Fredrika Limnell https://sok.riksarki[...] 2015-03-15
[66] 웹사이트 Calla Curman (f. Lundström) https://sok.riksarki[...] 2015-09-05
[67] 웹사이트 El Madrid de 1900, espacios populares de Cultura y Ocio http://www.ucm.es/in[...]
[68] 서적 Autobiography Memories and Experiences of Moncure Daniel Conway. Volume 2 https://books.google[...] Elibron.com 2001-06
[69] 문서 TayODNB
[70] 문서 MunODNB
[71] 간행물 "Holland House: A History of London's Most Celebrated Salon, by Linda Kelly" https://www.spectato[...] The Spectator 2013-04-06
[72] 웹사이트 The First First Lady https://www.mountver[...] 2018-07-07
[73] 웹사이트 Roberts, Ruth Logan http://www.fofweb.co[...] 2016-02-06
[74]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American Women Playwrigh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06-28
[75] 웹사이트 Salons Around the World https://www.fourseas[...] 2015-01-08
[76] 웹사이트 Nonfiction Book Review: The Party: A Guide to Adventurous Entertaining by Sally Quinn, Author Simon & Schuster $24 (224p) ISBN 978-0-684-81144-4 https://www.publishe[...] 2021-11-29
[77] 뉴스 Scotsman Obituaries: Theodora di Marco, popular Scottish-born salonista https://www.scotsman[...] The Scotsman 2021-09-15
[78] 뉴스 The IRL Social Club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11-29
[79] 뉴스 How a SoHo Salon Host Spends Her Sunday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11-29
[80] 웹사이트 Welcome To The New Era Of Salons—Brought To You By Susan MacTavish Best https://sanfran.com/[...] 2021-08-16
[81] 웹사이트 Art News: A Brief History of the Salon Wall https://canvas.saatc[...] SaatchiArt 2022-02-10
[82] 웹사이트 The Salon Style Hang https://polkmuseumof[...] 2022-02-10
[83] 웹사이트 Floor to Ceiling: The Art of the Salon-Style Hang https://insights.fam[...] Fine Arts Museums of San Francisco 2022-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