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일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일보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정성왕후 상사 때 관직에 등용되어 영조, 정조, 순조 시대에 걸쳐 활동했다. 그는 다양한 관직을 역임했으며, 특히 정조는 서일보를 달성부원군 서종제의 봉사손으로 예우했다. 1804년에 사망했으며, 사후 순조에 의해 호조참의에 추증되었다.

2. 생애

서일보는 서종제의 아들 서명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서덕수이고, 아버지는 신천군수를 지낸 서유호(徐有祜)이며, 어머니는 남익명(南益明)의 딸 의령남씨이다. 1757년(영조 33년) 빈전도감에 참여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영조정조 시대에 걸쳐 활동했으며, 자세한 내용은 '영조 시대 활동'과 '정조 시대 활동'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1802년(순조 2년) 돈녕부도정에 다시 임명되었고, 1804년(순조 4년) 호조참의에 추증되었으나, 이는 이미 그해 1월 3일에 사망한 뒤였다.

2. 1. 영조 시대 활동

1757년(영조 33년) 2월 정성왕후의 상사 때 빈전도감에 참여하였으며, 2월 16일 영조가 그를 특별히 불러들여 별군직에 임명하여 관직에 임용되었다. 6월 5일에는 정성왕후의 상사에 참여한 이들을 포상할 때 반숙마 1필을 하사받았다. 1758년(영조 34년) 9월 7일 휘령전참봉에 임명되었다. 당시 그는 전라도용담현에 있다가 발령받고 부임하였으므로 충의의 한명현(韓命玄)이 대신 가(假)참봉에 임명되어 그의 임무를 대행하였다. 그해 12월 29일 신병으로 입직을 서지 못해 추고를 받았다. 1759년(영조 35년) 2월 3일 돈녕부주부가 되었고, 2월 11일 돈녕부참봉이 되었다가 같은 날 6품으로 승진했다. 1759년 7월 19일 장례원사평(司評), 12월 28일 돈녕부판관을 지냈다.

1761년(영조 37년) 9월 24일 진안현감으로 부임했다가 1762년(영조 38년) 9월 사직하고 되돌아왔다. 그해 12월 21일 사헌부감찰이 되었다. 1763년(영조 39년) 7월 28일 고양군수로 부임하였다가 1765년 5월 5일 면직되고 함경도 북청부로 유배되었다. 1765년(영조 41년) 6월 22일 제용감주부로 복직되어 되돌아왔다. 7월 21일 강원도 평강현감으로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아 면직되었다. 그해 윤 7월 5일 탄핵당했고, 윤 7월 20일 곤장 80대형을 받았다.

1767년(영조 43년) 달성부원군의 후손이라는 이유로 특별히 서용되었고, 창덕궁위장이 되었다. 1769년(영조 45년) 2월 22일 병조의 추천으로 부사과에 임명되었다. 1771년(영조 47년) 12월 5일 장악원주부에 임명되고, 1772년(영조 48년) 7월 28일 한성부서윤, 1773년(영조 49년) 2월 28일 청풍부사로 부임하였다. 1775년(영조 51년) 병조판서 이휘지, 참판 홍낙인 등의 추천으로 행 부사과에 임명되어 되돌아왔다.

2. 2. 정조 시대 활동

1776년(정조 즉위) 3월 7일 도감 낭청이 되고, 정조 즉위 후 같은 해 7월 28일 영조의 묘호, 시호 등을 올리는데 관여한 관료들을 포상할 때 부사과로 반숙마 1필을 하사받았다. 8월 11일 세자시강원 분익위(分翊衛)에 임명되었다가 10월 26일 평창 군수로 부임하였다. 1778년(정조 2년) 1월 24일 의릉령(懿陵令)으로 발령되었다.

1779년(정조 3년) 4월 4일 장악원첨정에 임명되었고, 5월 5일 경모궁 제관과 영우원 제관을 겸직하였다. 같은 해 12월 2일 이조의 천거로 해주판관으로 부임하였다. 정조가 즉위한 뒤에도 그는 달성부원군 서종제의 제사를 받드는 봉사손이라 하여 정조가 그를 특별히 지우하였다.

1783년(정조 7년) 1월 19일 사복시주부에 임명되었고, 1785년 판관, 1791년(정조 15년) 12월 7일 병조의 추천으로 부사과가 되었다. 12월 22일 돈녕부주부에 임명되었다. 1792년(정조 16년) 2월 13일 장악원첨정에 임명되었고, 4월 2일 금산 군수를 역임하고 1794년 2월 12일 사퇴하였다. 그가 사직하자 정조는 경관직을 그에게 제수하라고 특별 지시하였다. 같은 해 2월 12일 돈녕부판관이 되었다. 1796년(정조 20년) 5월 29일 사재감첨정에 임명되었고, 7월 19일 다시 돈녕부판관이 되었다. 같은 날 정조는 그가 서종제의 봉사손이라 하여 통정대부로 발탁하고, 7월 20일 돈녕부도정에 임명되었다.

1796년 12월 20일 공조참의 겸 부호군에 임명되었다. 1797년(정조 21년) 6월 13일 공조참의 겸 부호군에서 면직되고 부호군에 임명되었다. 12월 7일 첨지중추부사에 임명되었다.

2. 3. 사망

徐日輔|서일보중국어1804년(순조 4년) 1월 3일에 사망하였다. 사후 호조참의에 추증되었으나, 이는 이미 사망한 뒤였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부인전주 이씨1732년 - 1810년 12월 14일, 진사 이성제의 딸, 외조부 안동 김씨 현령 김민행
아들서정순
아들서건순
아들서겸순
아들서관순
아들서항순
아들서진순
대구 서씨
사위이재헌
대구 서씨
사위심능수
대구 서씨
사위조인순
이름 미상
서녀대구 서씨
서녀사위윤용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