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유 축성 미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유 축성 미사는 기독교 전례력에서 중요한 전례 중 하나로, 주교가 세 종류의 성유, 즉 성유, 예비신자 기름, 병자 성유를 축성하거나 축복하는 미사이다. 이 미사는 주로 교구 또는 대교구의 주교좌 성당에서 성목요일에 거행되며, 세례, 견진성사, 성품성사, 병자 도유 등에 사용될 성유를 축성한다. 미사 중에는 사제들의 서약 갱신이 이루어지며, 가톨릭, 루터교, 성공회 등 교파별로 유사한 형태로 거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주간 - 성금요일
    성금요일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날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날로, 부활절 전 금요일에 해당하며, 금식과 회개, 예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날로 지켜진다.
  • 성주간 - 종려주일
    종려주일은 예수 그리스도의 예루살렘 입성을 기념하는 기독교 축일로, 부활절 직전 일요일에 지켜지며, 종려나무 가지는 승리, 평화, 영생을 상징한다.
  • 가톨릭 전례주년 - 성금요일
    성금요일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날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날로, 부활절 전 금요일에 해당하며, 금식과 회개, 예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날로 지켜진다.
  • 가톨릭 전례주년 - 성모 승천
    성모 승천은 가톨릭교회에서 교리로 선포한, 성모 마리아의 육체와 영혼이 하늘로 올라간 사건으로, 외경과 전승을 통해 전해져 여러 교회에서 기념하며 예술 작품의 주제로 활용되지만, 개신교에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다.
성유 축성 미사
개요
이름성유 축성 미사
로마자 표기Seongyu Chukseong Misa
영어Chrism Mass
종류미사
전례력 시기성주간
기념최후의 만찬 제정, 성품성사 제정, 새 계약 수립
주요 의식세 가지 성유 축성, 사제 서약 갱신
집전주교
장소주교좌 성당
상세 정보
시기성주간 중 성 목요일 오전에 거행 (일반적으로)
의미한 해 동안 사용될 거룩한 기름을 축복하고, 사제들이 서약을 갱신하는 미사
성유 종류병자성사를 위한 병자유
세례성사를 위한 예비신자유
견진성사성품성사, 성전 봉헌을 위한 축성 성유 (크리스마, Chrism)
기타일부 성공회와 루터교 교단에서도 유사한 예식을 거행

2. 역사

성유 축성 미사는 기독교 전례력에서 가장 장엄하고 중요한 전례 중 하나이다. 고대 기독교 사도 전승(서기 200년경)은 "부활 성야에 두 성유를 축복하고 하나를 축성하는 의식"을 묘사했다.[15] 이 예식에서 주교는 병자 성유와 구마 성유, 두 가지 기름을 축복했다.[15]

3. 예식

성유 축성 미사는 기독교 전례력에서 가장 장엄하고 중요한 전례 중 하나이다. 고대 기독교 사도 전승 (서기 200년경)은 "부활 성야에 두 성유를 축복하고 하나를 축성하는 의식"을 묘사했다.[15] 이 예식 동안, "주교에 의해 축복된 병자 성유와 구마 성유" 두 가지 기름이 있었다.[15]

성유 축성 미사는 보통 성목요일교구 또는 대교구에서 거행되며, 성유, 예비신자 기름, 병자 성유가 축성 또는 축복된다.[3]


  • 성유: 세례, 견진성사, 성품성사에 사용되며, 제단의 축성과 성당의 봉헌에도 사용된다.
  • 예비신자 기름: 세례성사에 사용된다.
  • 병자 성유: 병자 도유 예식에만 사용된다.


예비신자 기름과 성유는 부활 성야에 교회에 완전히 들어가기를 원하는 10세 이상의 어린이 또는 어른의 세례와 견진에 사용된다.

성유는 올리브 오일과 방향성 수지인 발삼의 혼합물이다. 발삼은 기름에 부어져 달콤한 냄새를 내며, 이를 통해 표식을 받은 사람들이 추구하도록 부름받은 "거룩함의 향기"를 상기시킨다. 주교는 성유가 담긴 그릇 위로 숨을 내쉬는데, 이는 이 기름을 축성하기 위해 성령이 내려오시는 것을 상징하는 제스처이며, 요한복음 20장 22절에 나오는 예수께서 사도들에게 숨을 불어넣으며 "성령을 받아라..."라고 말씀하신 복음서의 이야기를 연상시킨다.[7][15] 미사를 공동 집전하는 사제들은 성유가 담긴 그릇을 향해 손을 뻗고 주교가 성유 위에서 이를 선포하는 동안 선택된 "축성 기도"를 침묵으로 드린다.

성유 축복


고대 라틴 전례 전통에서 특별 미사인 성유 축성 미사가 성목요일에 거행되었다. 그러나 프로스페르 게랑제 도미니코회 신부가 1800년대에 저술한 《전례력》에서 지적했듯이, "지금은 수 세기 동안 이 웅대한 예식은 우리 주님의 만찬을 기념하기 위해 이날 봉헌되는 단일 미사에서 거행됩니다."[4] 교황 비오 12세의 교황 재위 기간 동안, 성유 축복을 위한 별도의 미사가 반포되었다.[5]

전통적으로 성유 축복은 교구/대교구 주교좌 성당에서 거행되며 일반적으로 성목요일 오전에 봉헌된다. 그러나 실용적인 이유로 많은 교구에서는 성주간 중 다른 날에 이 미사를 봉헌한다.[6] 이는 대부분의 교구에서 열리는 연례 성직자와 신자들의 가장 큰 모임인 경우가 많다.[7] 일부 교구에서는 참석자가 많아 제한된 좌석 때문에 본당에 티켓을 배포하기도 한다.[8] 이 미사는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님의 말씀, "나를 기념하여 이 예식을 행하여라"를 통해 사제직의 제정을 기념하는 행사이다.[9] 미사 동안 참석한 모든 이는 자신의 세례 서약을 갱신하도록 요청받으며, 사제와 부제(서품받은 자)는 서품 시 했던 서약을 갱신함으로써 자신의 직무를 재확인하도록 요청받는다.[1][7][10]

이 미사는 1년 동안 성사에 사용되는 성유를 축복하는 데서 이름을 따왔으며, 이후 사제 또는 특별 평신도 봉사자에게 주어져 그들이 자신의 본당으로 가져가게 된다.[11] 성유 미사의 일부인 성유 봉헌 예식 동안, 모든 교구/대교구 본당의 대표자들이 세 가지 성유를 받는다. 이는 각 본당이 자신의 주교, 대주교 또는 추기경과 일치함을 의미한다.[12] 성유가 사용될 때마다 이를 축복하고 성별한 주교의 직무가 상징적으로 현존한다.[13] 배포된 성유는 일 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지만, 미사 중에 여분의 성유가 축복되어 본당에서 다 떨어질 경우를 대비하여 예비용으로 주교좌 성당에 보관된다.[14]

이 예식은 200년대 초 역사학자 로마의 히폴리토가 기록한 예식을 1967년에 복원한 것이다. 히폴리토는 부활 성야 동안 두 가지 성유를 축복하고 하나를 성별하는 의식이 있었다고 기록했다. 5세기에 성유 예식은 부활 성야에서 성목요일로 옮겨졌다. 이를 위한 별도의 미사가 제정되어 주님 만찬 미사와 구별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성 토요일 밤 부활 성야에 모인 많은 군중 때문일 뿐만 아니라, 전통적으로 최후의 만찬이라고 불리는 기간 동안 그리스도께서 서품된 사제직을 제정하신 것을 완전히 강조하기 위함이었다.[15] 교황 바오로 6세는 이 예식을 갱신하는 교령에서 “성유 축성 미사는 주교의 사제직의 충만함을 나타내는 주요 표현 중 하나이며, 사제들이 주교와 친밀함을 나타낸다.”라고 말했다.[15]

예비신자 도유와 병자 도유는 단순히 "축복"되지만, 거룩한 크리스마는 "축성"된다.

3. 1. 성유 축성 미사 순서 (한국 천주교)



(신경과 보편 지향 기도는 생략한다.)

  • 기름과 빵과 포도주의 봉헌


(곧 이어서 성유 축성을 하거나 영성체 후 기도 다음에 한다.)

  • 예물 기도
  • 감사송
  • 감사 기도


(성유 축성을 앞에서 하지 않았으면, 감사 기도의 정해진 자리에서 병자 성유를 축복한다.)

  • 영성체 후 기도


(성유 축성을 앞에서 하지 않았으면, 영성체 후 기도 다음에 예비 신자 성유와 축성 성유를 축성한다.)

4. 교파별 전통

루터교에서는 성 목요일에 주교 주례로 성유 축성 미사를 거행하며, 성유를 축성하고 성직자 서약을 갱신한다.[1]

성공회 1979년기도서에는 주교가 성유를 축성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주교가 견진성사를 위해 교구에 방문하거나, 성주간 서품 서약 갱신 예식 때 성유 축성 예식을 할 수 있다. 로마 가톨릭 전례와 유사하게, 성유 성찬례에서 주교는 다음 해 세례와 치유에 쓸 기름을 축복하며, 주교와 사제들은 서품 서약을 갱신한다.[2]

4. 1. 가톨릭

성유 축성 미사는 기독교 전례력에서 가장 장엄하고 중요한 전례 중 하나이다. 고대 기독교 사도 전승 (서기 200년경)은 "부활 성야에 두 성유를 축복하고 하나를 축성하는 의식"을 묘사했다.[15] 이 예식 동안, "주교에 의해 축복된" 두 가지 기름은 병자 성유와 구마 성유였다.[15]

성유 축성 미사는 보통 교구 또는 대교구에서 성목요일에 거행되며, 이 미사 동안 성유가 축성 또는 축복된다. 성유는 다음과 같다.

  • 성유 - 세례, 견진성사, 성품성사에 사용되며, 제단의 축성과 성당의 봉헌에도 사용된다.[3]
  • 예비신자 기름 (이전에는 축귀 기름으로 알려짐) - 세례성사에 사용된다.
  • 병자 성유 - 병자 도유 예식에만 사용된다.


예비신자 기름과 성유는 부활 성야에 교회에 완전히 들어가기를 원하는 10세 이상의 어린이 또는 어른의 세례와 견진에 사용된다.

성유는 올리브 오일과 방향성 수지인 발삼의 혼합물이다. 발삼은 기름에 부어져 달콤한 냄새를 내며, 이를 통해 표식을 받은 사람들이 추구하도록 부름받은 "거룩함의 향기"를 상기시킨다. 주교는 성유가 담긴 그릇 위로 숨을 내쉬는데, 이는 이 기름을 축성하기 위해 성령이 내려오시는 것을 상징하며, 요한복음 20장 22절에 나오는 예수께서 사도들에게 숨을 불어넣으며 "성령을 받아라..."라고 말씀하신 복음서의 이야기를 연상시킨다.[7][15] 미사를 공동 집전하는 사제들은 성유가 담긴 그릇을 향해 손을 뻗고 주교가 성유 위에서 "축성 기도"를 하는 동안 침묵으로 기도한다.[7][15]

고대 라틴 전례 전통에서 특별 미사, 즉 성유 축성 미사(Chrism Mass)가 성목요일에 거행되었다. 그러나 프로스페르 게랑제 도미니코회 신부가 1800년대에 저술한 《전례력》에서 지적했듯이, "지금은 수 세기 동안 이 웅대한 예식은 우리 주님의 만찬을 기념하기 위해 이날 봉헌되는 단일 미사에서 거행됩니다."[4] 교황 비오 12세의 교황 재위 기간 동안, 성유 축복을 위한 별도의 미사가 반포되었다.[5]

전통적으로 성유 축복은 교구/대교구 주교좌 성당에서 거행되며 일반적으로 성목요일 오전에 봉헌된다. 그러나 실용적인 이유로 많은 교구에서는 성주간 중 다른 날에 이 미사를 봉헌한다.[6] 이는 대부분의 교구에서 열리는 연례 성직자와 신자들의 가장 큰 모임인 경우가 많다.[7] 일부 교구에서는 참석자가 많아 제한된 좌석 때문에 본당에 티켓을 배포하기도 한다.[8] 이 미사는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님의 말씀, "나를 기념하여 이 예식을 행하여라"를 통해 사제직의 제정을 기념하는 행사이다.[9] 미사 동안 참석한 모든 이는 자신의 세례 서약을 갱신하도록 요청받으며, 사제와 부제(서품받은 자)는 서품 시 했던 서약을 갱신함으로써 자신의 직무를 재확인한다.[1][7][10]

이 미사는 1년 동안 성사에 사용되는 성유를 축복하는 데서 이름을 따왔으며, 이후 사제 또는 특별 평신도 봉사자에게 주어져 그들이 자신의 본당으로 가져가게 된다.[11] 성유 미사의 일부인 성유 봉헌 예식 동안, 모든 교구/대교구 본당의 대표자들이 세 가지 성유를 받는다. 이는 각 본당이 자신의 주교, 대주교 또는 추기경과 일치함을 의미한다.[12] 성유가 사용될 때마다 이를 축복하고 성별한 주교의 직무가 상징적으로 현존한다.[13] 배포된 성유는 일 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지만, 미사 중에 여분의 성유가 축복되어 본당에서 다 떨어질 경우를 대비하여 예비용으로 주교좌 성당에 보관된다.[14]

이 예식은 200년대 초 역사학자 로마의 히폴리토가 기록한 예식을 1967년에 복원한 것이다. 히폴리토는 부활 성야 동안 두 가지 성유를 축복하고 하나를 성별하는 의식이 있었다고 기록했다. 5세기에 성유 예식은 부활 성야에서 성목요일로 옮겨졌다. 이를 위한 별도의 미사가 제정되어 주님 만찬 미사와 구별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성 토요일 밤 부활 성야에 모인 많은 군중 때문일 뿐만 아니라, 전통적으로 최후의 만찬이라고 불리는 기간 동안 그리스도께서 서품된 사제직을 제정하신 것을 완전히 강조하기 위함이었다.[15] 교황 바오로 6세는 이 예식을 갱신하는 교령에서 “성유 축성 미사는 주교의 사제직의 충만함을 나타내는 주요 표현 중 하나이며, 사제들이 주교와 친밀함을 나타낸다.”라고 말했다.[15]

예비신자 도유와 병자 도유는 단순히 "축복"되지만, 거룩한 크리스마는 "축성"된다.

4. 2. 루터교

성 목요일에 루터교 신자들은 주교가 주례하는 성유 축성 미사를 거행한다.[1] 이 미사에서 성유가 축성되고 성직자들은 서약을 갱신한다.[1]

4. 3. 성공회

1979년기도서주교가 성유를 축성하도록 규정한다. 이는 주교가 견진성사를 위해 교구에 방문했을 때 행할 수 있다. 많은 교구에서 주교가 성유를 축성하는 예식은 성주간 동안의 서품 서약 재확인 예식에서 거행된다. 로마 가톨릭 전례와 유사하게, 성유 성찬례 동안 주교는 다음 1년 동안 세례와 치유에 사용될 기름을 축복한다. 또한 참석한 주교와 사제들은 서품 서약을 재확인한다.[2]

참조

[1] 서적 How is oil used in worship? Evangelical Lutheran Church in America
[2] 웹사이트 Chrism Mass 2017 http://edtn.org/chri[...]
[3] 웹사이트 Chrism Mass 2017 http://www.stjames-c[...] 2017-04-06
[4] 서적 The Liturgical Year, vol. 6 – Passiontide and Holy Week Loreto Publications
[5] 웹사이트 Compendium of the 1955 Holy Week Revisions of Pius XII: Part 8 - The Hours of the Celebration of the Holy Week Liturgies
[6] 뉴스 What is the Chrism Mass? http://catholicexcha[...] Arlington Catholic Herald 2017-03-23
[7] 웹사이트 Chrism Mass https://www.catholic[...]
[8] 웹사이트 Chrism Mass 2017 http://www.theboston[...]
[9] 뉴스 What is the Chrism Mass? http://www.themonito[...] The Monitor, McAllen, Texas 2017-04-11
[10] 웹사이트 Chrism Mass https://dol-in.org/n[...] 2017-04-04
[11] 뉴스 Chrism Mass to be celebrated at 10 a.m. at St. Louis Cathedral http://www.nola.com/[...] Times-Picayune 2017-04-11
[12] 웹사이트 Reception of the Holy Oils http://www.usccb.org[...]
[13] 웹사이트 Chrism Mass celebrates priesthood, allows for blessing of oils https://web.archive.[...] 2018-02-16
[14] 뉴스 Sacred Oils Prepared for chrism Mass http://www.theboston[...] The Boston Pilot 2017-04-07
[15] 웹사이트 Chrism Mass https://www.archbalt[...] 2008-03-27
[16] 간행물 매일미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