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혁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혁명은 1917년 러시아 10월 혁명 이후 유럽 전역에서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 봉기를 촉발시키며 대두되었다. 칼 마르크스의 "혁명은 역사의 기관차이다"라는 말처럼,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세계 혁명을 낙관했으나, 러시아 혁명을 제외한 대부분의 혁명은 실패했다. 레프 트로츠키는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를 통해 세계 혁명을 지지했지만, 스탈린의 집권과 코민테른의 해산, 그리고 흐루쇼프의 평화 공존론 제창으로 세계 혁명론은 공식적으로 포기되었다. 1960-70년대 학생 및 노동자 반란과 극좌적 움직임이 있었지만, 1980-90년대 신자유주의의 확산으로 세계 혁명론은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혁명 이론 - 게바라주의
게바라주의는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기반한 체 게바라의 포코 이론을 중심으로, 소규모 게릴라 부대가 혁명의 선봉대 역할을 수행하여 대중봉기를 촉발한다는 혁명 전략이다. - 혁명 이론 - 블랑키주의
블랑키주의는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의 사상에 기반한 혁명 이론으로, 소수 정예 혁명가 집단의 쿠데타를 통해 사회 변혁을 이루려는 엘리트주의적 성격을 띠며 폭력적인 방식과 대중과의 괴리 등으로 비판받는 혁명 이론이다. - 혁명 - 프롱드의 난
프롱드의 난은 1648년부터 1653년까지 프랑스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왕권 강화에 대한 반발과 과도한 세금 부과에 대한 불만으로 시작되어 쥘 마자랭 추기경과 귀족 세력 간의 권력 다툼으로 변질되었고, 결국 실패했으나 루이 14세의 절대주의 왕정 체제 확립에 영향을 미쳤다. - 혁명 - 공산주의
공산주의는 사유 재산 폐지와 생산 수단의 공유를 통해 계급 없는 사회를 목표로 하며,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를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실험되었으나, 경제적 비효율성과 인권 탄압 등의 비판을 받으며 그 영향력이 감소했다. - 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은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사상을 기반으로 자본주의적 세계화가 국제 체제 불안정을 심화시킨다고 보며, 유물사관을 통해 국제 체제의 구조와 경제 역할을 강조하고, 다양한 갈래로 발전하여 주류 이론을 비판하며 불평등과 권력 구조 분석 및 사회 정의 실현을 모색한다. - 마르크스주의 - 노동계급
노동계급은 마르크스주의적 정의에 따라 노동력 외에는 판매할 것이 없는 모든 사람을 포함하며, 사회의 부를 창출하지만 고등교육 접근, 노동 환경, 정치 참여 등 다양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세계혁명 | |
---|---|
개요 | |
개념 | 마르크스주의 이론에서 자본주의를 타도하는 과정 |
이론적 배경 | |
목표 | 전 세계적인 공산주의 사회 건설 |
주체 | 노동자 계급 |
전략 | 각국에서의 혁명 국제적인 연대와 협력 |
주요 주장 | |
자본주의 모순 | 자본주의는 필연적으로 모순을 내포하며 붕괴할 것이다. |
프롤레타리아 혁명 | 노동자 계급은 혁명을 통해 자본주의를 타도하고 권력을 장악해야 한다. |
공산주의 사회 건설 | 혁명 이후에는 사유 재산이 폐지되고 평등한 공산주의 사회가 건설될 것이다. |
역사적 논쟁 | |
일국 사회주의 | 사회주의를 단일 국가 내에서 건설할 수 있는가? |
영구 혁명 | 트로츠키의 영구 혁명론은 세계 혁명의 지속적인 확산을 주장한다. |
주요 인물 | |
관련 인물 |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블라디미르 레닌 레프 트로츠키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계급 투쟁 프롤레타리아 독재 공산주의 국제 공산주의 운동 |
2. 역사적 배경
1917년 러시아의 10월 혁명은 독일 혁명, 헝가리 혁명 등 유럽 전역에서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 봉기를 촉발시켰다.[3] 1918년에서 1919년 사이에는 자본주의가 유럽 대륙에서 곧 사라질 것처럼 보였고, 이는 유럽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자본주의의 종말을 의미할 수도 있었다. 1919년 3월에 창설된 코민테른은 소련이 후원하는 국제 조직으로 발전하여, 전 세계 자본주의의 혁명적 전복을 위한 활동을 조정했다.[3]
칼 마르크스는 "혁명은 역사의 기관차이다."라고 말하며 혁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3] 당시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세계 혁명의 전망에 낙관적이었으나, 유럽의 혁명들은 차례차례 진압되었고 결국 러시아 혁명가들만이 살아남았다.
레닌 사후, 소련에서 스탈린이 집권하고 권력 투쟁이 일어났다. 독일 공산당은 레프 트로츠키를 1923년 봉기 지휘에 보내달라고 요청했으나, 스탈린 등이 거부했다.[4] 아이작 도이처에 따르면, 트로츠키는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를 통해 세계 혁명을 지지했지만, 군사적 정복을 통한 수단은 반대했다.[5]
1930년대에 유럽에서 파시즘이 성장하자, 코민테른은 즉각적인 혁명 대신 파시즘에 대항하여 자유주의 자본가와 인민 전선을 선택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절정에 달했던 1943년, 코민테른은 소련의 서방 세계 동맹국의 요청에 의해 해산되었다.
2. 1. 제1 인터내셔널과 초기 혁명 운동
1864년 제1 인터내셔널(국제 노동자 협회)이 창설된 후, 세계의 공산주의자들은 혁명을 세계 전체 규모로, 적어도 유럽 전체 규모로는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1917년 당시 후진 자본주의 국가였던 러시아에서 혁명이 성공하면서 혁명의 규모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주로 두 가지 주장이 제기되었다.- 트로츠키의 주장: 독일과의 강화 조약에서 볼 수 있듯이, 러시아 혁명의 영향을 유럽 선진국에 직접 전파하려 했다.
- 레닌의 주장: 자본주의 발전 단계에서의 사회 모순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대응을 시도했다.
2. 2. 러시아 혁명과 코민테른
1917년 러시아 10월 혁명은 독일 혁명, 헝가리 혁명 등 유럽 전역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봉기를 촉발시켰다. 1919년 3월에 창설된 코민테른은 소련이 후원하는 국제 조직으로 발전하여, 전 세계 자본주의의 혁명적 전복을 위한 활동을 조정했다.[3]볼셰비키 정권은 세계 혁명에 큰 기대를 걸고 있었으며, 코민테른은 1920년에는 세계적인 규모의 '''대국제 소비에트 공화국'''이 탄생할 것이라고 선언했다.[13] 그러나 1921년 독일 혁명의 실패로 세계 혁명에 대한 전망은 좌절되었다. 1920년대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의 방침은 스탈린의 "일국 사회주의"로 대체되었고, 레프 트로츠키는 추방되었다.
하지만 "세계 혁명 없이는 인류 해방을 이룰 수 없다"는 "논리"로서의 세계 혁명은 부정되었지만, 노동자 해방 추진이라는 "이상"으로서의 세계 혁명 사상은 스탈린 정권 하에서도 유지되었다.[13]
2. 3. 혁명 실패와 일국사회주의론 대두
1917년 10월 혁명 이후, 독일 혁명 등 유럽 각국에서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 혁명 시도가 이어졌으나 모두 실패로 끝났다.[3] 블라디미르 레닌은 자본주의 발전 단계의 사회 모순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대응을 주장했다. 반면, 레프 트로츠키는 러시아 혁명의 영향을 유럽 선진국에 직접 주려고 했으나, 1923년 봉기 지휘 요청이 거부되는 등 그의 주장은 힘을 잃었다.[4] 이오시프 스탈린은 일국 사회주의론을 내세워 소련 내 사회주의 건설에 집중했고, 결국 트로츠키는 추방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 전역에 새로운 혁명적 분위기가 조성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직후만큼 강력하지는 않았다.[6] 그리스 공산당, 프랑스 공산당, 이탈리아 공산당 등은 전쟁 중 반파시스트 저항 운동을 주도하여 상당한 명성과 대중적 지지를 얻었으나, 집권에는 실패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초, 중국 문화 대혁명, 신좌파 등의 영향으로 세계 혁명이 임박한 듯 보였으나, 1970년대 중반 이후 극좌적 정신은 약화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보수주의 이념으로 회귀가 일어났고, 프랜시스 후쿠야마는 ''역사의 종말''에서 자유주의가 이상 사회이며 더 이상의 정치적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6] 테리 이글턴은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근본적인 신뢰성을 인정하면서도, 레이건주의와 대처리즘에 맞서 세계적인 적용 가능성을 부인하는 것은 모순을 낳았다고 지적했다.[7]
블라디미르 레닌의 노동 귀족 개념과 제국주의 묘사, 트로츠키의 변형된 노동자 국가 이론은 세계 혁명이 일어나지 않은 이유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많은 단체들은 여전히 전 세계 공산주의 혁명을 추구하고 있다.
스탈린은 1936년 로이 W. 하워드와의 인터뷰에서 "혁명 수출은 넌센스"라며 세계 혁명에 대한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8][9][10]
3. 1. 동유럽 공산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유럽의 여러 국가에서 공산당이 집권하며 소련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서방 언론은 이들 공산당이 권력을 잡는 과정에 자유 민주주의적 요소가 부족하다고 비판했으나, 동유럽 내 공산주의 운동은 확산되었다. 유고슬라비아에서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을 이끌고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파시즘과 추축국 점령에 맞서 싸우면서, 소련과는 독자적인 사회주의 노선을 추구했다.[6]3. 2. 서유럽 공산당의 한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리스 공산당, 프랑스 공산당, 이탈리아 공산당 등 서유럽 국가들의 공산당은 전쟁 중 반파시스트 저항 운동을 주도하여 상당한 명성과 대중의 지지를 얻었다. 이들은 선거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어 1940년대 후반에는 정기적으로 2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이들 중 어느 정당도 1위를 차지하여 정부를 구성하지는 못했다.[6]3. 3. 1960-70년대의 격변과 좌절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 전 세계적으로 학생과 노동자들의 반란이 일어났다. 중국 문화 대혁명, 신좌파의 등장, 시민권 운동, 흑표당과 같은 무장/반란 "해방 전선" 그룹의 투쟁, 그리고 노동 운동의 부활까지 겹치면서, 일부 사람들에게는 세계 혁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임박한 것처럼 보였다.[6]그러나 이러한 극좌(Far left)적 움직임은 1970년대 중반에 약화되었다.[6]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보수주의 이념으로 회귀가 일어났는데, 경제적으로는 영국의 대처리즘(Thatcherism)과 미국의 레이거노믹스(Reaganomics)가 주도했고, 중국 특색 사회주의(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의 자유 시장 개혁 및 베트남의 도이머이(doi moi)가 그 예이다.[6]
4. 냉전 종식과 세계 혁명론의 쇠퇴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영국의 대처리즘(Thatcherism)과 미국의 레이거노믹스(Reaganomics)로 대표되는 보수주의 이념의 경제적 회귀가 나타났다. 중국은 자유 시장 개혁을, 베트남은 도이머이(doi moi) 정책을 추진했다.
프랜시스 후쿠야마(Francis Fukuyama)는 저서 ''역사의 종말(The End of History and the Last Man)''에서 변증법적 유물론이 이상 사회로 이끌었다는 점에서 마르크스주의와 헤겔주의 이론이 옳았지만, 이 사회는 20세기 후반의 자유주의였으며, 자본주의와 자유주의의 경계를 넘어 더 이상의 정치적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6]
마르크스주의 문학 평론가 테리 이글턴(Terry Eagleton)은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근본적인 신뢰성을 인정하면서도, 레이건주의와 대처리즘의 독단에 맞서 세계적인 적용 가능성을 부인하는 것은 1980년대와 1990년대 사회의 핵심에 모순을 낳았다고 평가했다.[7] 그는 마르크스주의가 현실을 당혹스럽게 만드는 도전이라기보다는,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상상의 자아를 포기할 수 없는 사람들의 특이성으로 여겨지게 되었다고 분석했다.
블라디미르 레닌(Vladimir Lenin)의 노동 귀족(labor aristocracy) 개념과 그의 제국주의 묘사, 그리고 트로츠키의 변형된 노동자 국가에 대한 이론은 세계 혁명이 현재까지 일어나지 않은 이유에 대한 몇 가지 설명을 제공한다.
4. 1. 스탈린의 세계 혁명 부정
로이 W. 하워드(Roy W. Howard)와의 1936년 인터뷰에서 스탈린은 "우리는 그러한 계획과 의도를 전혀 가진 적이 없다"고 말하며 세계 혁명에 대한 거부를 명확히 밝혔고, "혁명 수출은 넌센스"라고 말했다.[8][9][10]4. 2. 흐루쇼프의 평화공존론
흐루쇼프가 "평화 공존"을 제창하면서 세계 혁명론은 공식적으로 포기되었다. 그 후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서방 자본주의 국가와의 "평화 공존" 노선을 비판하는 선진국의 좌익공산주의나 신좌익의 선진국 혁명론, 마오쩌둥의 마오쩌둥 사상, 식민지 해방 투쟁을 이끈 체 게바라(게바라주의)의 혁명론 등이 세계 혁명론의 계보를 계승했다.[13]5. 현대의 세계 혁명론
냉전 종식 이후, 세계 혁명론은 주류 정치 담론에서 멀어졌지만, 여전히 일부 좌파 세력 사이에서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5. 1. 다양한 분파와 운동
1919년 코민테른은 "1920년에는 세계적인 규모의 '''대국제 소비에트 공화국'''이 탄생할 것이다"라고 선언하며 세계 혁명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그러나 1921년 독일 혁명이 실패하면서 이러한 전망은 좌절되었다. 1920년대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의 방침은 스탈린의 "일국 사회주의"로 대체되었고, 트로츠키는 추방되었다. 그럼에도 "세계 혁명 없이는 인류 해방을 이룰 수 없다"는 세계 혁명 사상은 스탈린 정권 하에서도 유지되었다.[13]이후 흐루쇼프의 "평화 공존" 제창으로 공식적으로 포기되기 전까지, 소련의 서방 자본주의 국가와의 "평화 공존" 노선을 비판하는 선진국의 좌익 공산주의나 신좌익의 선진국 혁명론, 마오쩌둥의 마오쩌둥 사상, 식민지 해방 투쟁을 강조한 체 게바라(게바라주의)의 혁명론 등이 세계 혁명론의 계보를 이었다.
참조
[1]
서적
Marx's Teaching and its Historical Importance
1933-01-01
[2]
서적
The State and Revolution
1918-01-01
[3]
서적
Stalin in Power: The Revolution from Above 1928-1941
W. W. Norton & Company
1992-01-01
[4]
서적
Was There an Alternative? Trotskyism: a Look Back Through the Years
Mehring Books
2021-01-01
[5]
서적
The Prophet: The Life of Leon Trotsky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5-01-05
[6]
서적
The End of History and the Last Man
https://archive.org/[...]
Free Press
1992-01-01
[7]
서적
Marxist Literary Theory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2002-01-01
[8]
서적
Speeches Delivered at the Fifth Session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September-October, 1950
https://books.google[...]
Information Bulletin of the Embassy of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1950-01-01
[9]
서적
Autopsy for an Empire: The Seven Leaders who Built the Soviet Regime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1998-01-01
[10]
서적
Stalin
https://archive.org/[...]
Allen Lane
2017-01-01
[11]
웹사이트
世界革命論 - コトバンク(旺文社世界史事典 三訂版)
https://kotobank.jp/[...]
[12]
웹사이트
世界革命 -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https://kotobank.jp/[...]
[13]
서적
青年コミンテルンの綱領
https://books.google[...]
1930-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