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수립 조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련 수립 조약은 1922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을 형성하기 위해 체결한 조약이다. 이 조약은 외교, 국방, 대외 무역, 경제 계획 등 주요 권한을 연방 정부에 위임하고, 각 공화국은 자체적인 헌법과 정부를 가질 권리를 명시했다. 조약 체결 이후 중앙아시아의 민족 구획 정리가 이루어졌고, 1936년 헌법 채택으로 연방 구성이 재편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발트 3국과 몰도바가 소련에 병합되었다. 1991년 소련 해체와 함께 조약은 무효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의 탄생 - 유고슬라비아의 수립
유고슬라비아의 수립은 1910년대 발칸반도 슬라브족의 통일 국가 건설 과정으로, 코르푸 선언을 통해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의 단결을 강조하고 1918년 세르브인·크로아트인·슬로베인 왕국 수립으로 이어졌으나, 케른텐 지역 획득 실패 및 이탈리아와의 국경 문제 등 어려움을 겪었다.
소련 수립 조약 | |
---|---|
조약 정보 | |
이름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수립 선언 및 조약 |
원어 이름 | 러시아어: Декларация и договор об образовании СССР 우크라이나어: Декларація та договір про утворення СРСР 벨라루스어: Дэкларацыя і дагавор аб утварэнні СССР 아르메니아어: Հռչակագիր և պայմանագիր ԽՍՀՄ ստեղծման մասին 아제르바이잔어: سسری-نین یارادیلماسی حاقیندا بیاننامه و موقاویله 조지아어: დეკლარაცია და ხელშეკრულება სსრკ-ს შექმნის შესახებ |
![]() | |
유형 | 연합 조약 |
서명일 | 1922년 12월 29일 |
서명 장소 | 러시아 SFSR, 모스크바 |
발효일 | 1922년 12월 30일 |
만료일 | 1991년 12월 8일 작은 글씨: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소비에트 공화국이 서명한 벨로베자 협정) 1991년 12월 21일 작은 글씨: (나머지 연방이 협정에 가입, 알마아타 의정서 서명) 1991년 12월 26일 작은 글씨: (최고 소비에트 최종 회의에서 연방 해체) |
서명자 | 미하일 프룬제 미하일 칼리닌 그리고리 페트롭스키 알렉산드르 체르뱌코프 미하일 츠하카야 |
참여 국가 | 러시아 SFSR 우크라이나 SSR 벨로루시 SSR 자캅카스 SFSR |
언어 | 러시아어 |
소련 약사 | |
관련 항목 | 소비에트 연방의 역사 |
2. 조약 체결의 배경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는 러시아 제국 내 여러 민족과 지역에 소비에트 공화국을 수립했다.[4] 블라디미르 레닌은 민족 자결주의를 지지하며 각 공화국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정책을 펼쳤다. 붉은 군대가 구 러시아 제국과 그 국경(10월 혁명 이후 독립을 선언한 지역의 새롭게 만들어진 국경 포함)에 접근함에 따라, 그 국경을 넘을 명분이 필요했고, 대안적인 정부, 즉 소비에트 공화국을 만들어 붉은 군대가 기존 정부를 몰아낼 때 권력을 인수하도록 하였다.[4] 이것은 우크라이나, 그루지야,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경우였다. 또는 소수 민족의 존재를 이용하여 상비군을 약화시키기도 했다(예: 타타르와 바슈키르 자치 공화국 설립) 그리고 소수 민족이 없는 곳에서는 지리적 위치를 기반으로 한 정부를 설립했다. – 극동 공화국, 투르케스탄.[4]
2. 1. 러시아 내전과 소비에트 공화국의 등장
러시아 내전(1917-1922) 기간 동안 붉은 군대는 구 러시아 제국 영토 내에서 여러 소비에트 공화국을 수립하며 세력을 확장했다.[6] 이 과정에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벨라루스, 자캅카스 지역 등에서 소비에트 정권이 등장했다.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은 이들 공화국과 군사 및 경제 연합 조약을 체결하며 연방 수립의 기반을 다졌다.[6]2. 2. 레닌의 민족 정책과 코레니자치야
2. 3. 스탈린의 일국사회주의론과 중앙집권화 경향
3. 조약의 내용
소련 수립 조약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을 형성하는 데 동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조약은 외교, 국방, 대외 무역, 경제 계획 등 주요 권한을 연방 정부에 위임하면서도, 각 공화국은 자체적인 헌법과 정부를 가질 권리를 명시했다.
조약에 따르면 연방의 최고 의결 기관은 소련 소비에트 회의였으며, 회의가 열리지 않는 기간에는 소련 중앙 집행 위원회 (TsIK)가 그 기능을 수행했다. 행정 기관은 인민 위원회 위원회 (SNK)였으며, TsIK에 의해 임명된 10개의 부처 (위원회)와 의장 및 부의장으로 구성되었다.
소련 대법원과 비밀 경찰인 OGPU는 범죄 및 반혁명 세력을 극복하기 위한 조치로 창설되었다. 연방의 모든 법령은 각 구성 공화국의 공식 언어(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조지아어, 아르메니아어, ''튀르크어'')로 인쇄되었다.
각 공화국은 연방 탈퇴 권리를 명시적으로 보장받았다. 조약은 단일 소비에트 시민권을 만들고, 국가 상징 (국기, 국가, 국장)을 제정했으며, 연방의 수도를 모스크바로 명시했다.
3. 1. 주요 내용
소련 수립 조약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을 형성하는 데 동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조약은 외교, 국방, 대외 무역, 경제 계획 등 주요 권한을 연방 정부에 위임하면서도, 각 공화국은 자체적인 헌법과 정부를 가질 권리를 명시했다.조약에 따르면 연방의 최고 의결 기관은 소련 소비에트 회의였으며, 회의가 열리지 않는 기간에는 소련 중앙 집행 위원회 (TsIK)가 그 기능을 수행했다. 행정 기관은 인민 위원회 위원회 (SNK)였으며, TsIK에 의해 임명된 10개의 부처 (위원회)와 의장 및 부의장으로 구성되었다.
소련 대법원과 비밀 경찰인 OGPU는 범죄 및 반혁명 세력을 극복하기 위한 조치로 창설되었다. 연방의 모든 법령은 각 구성 공화국의 공식 언어(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조지아어, 아르메니아어, ''튀르크어'')로 인쇄되었다.
각 공화국은 연방 탈퇴 권리를 명시적으로 보장받았다. 조약은 단일 소비에트 시민권을 만들고, 국가 상징 (국기, 국가, 국장)을 제정했으며, 연방의 수도를 모스크바로 명시했다.
3. 2. 서명자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대표단에서는 미하일 칼리닌, 드미트리 쿠르스키, 이오시프 스탈린, 야니스 루드주타크, 아벨 예누키제, 예캅스 얀손스, 알렉세이 리코프, 게오르기 표타코프, 나리만 나리마노프, 사히브-가레이 사이드-갈리예프, A.두슈바예프 등이 조약에 서명했다.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대표단에서는 그리고리 페트롭스키, 알렉산드르 세르비첸코, 알렉산드르 레메이코, I.부가이, M.스미르노프, 콘스탄틴 굴리, 이반 클리멘코, 파슈코프스키, 니콜라이 파호모프, 바실 포라이코, V.베토슈킨, K.마누일스키 등이 조약에 서명했다. 자캅카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대표단에서는 가잔파르 무사베코프, 필리프 마하라제, 사르기스 함바르줌얀, 사하크 테르-가브리엘리안, 세르게이 키로프, M.쿨리예프, 레본 미르조얀, 알렉산드르 자티예프 등이 조약에 서명했다.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대표단에서는 알렉산드르 체르뱌코프, 바츠와프 보구츠키, 야니스 파브리시우스, 리오쿠모비치 등이 조약에 서명했다.4. 조약 체결 이후의 변화
1924년 10월 27일, 투르케스탄 ASSR(이전에는 RSFSR 소속)의 우즈베크인과 투르크멘인이 거주하는 지역과 부하라 및 호레즘 (이들은 바스마치 운동을 지지했음)의 해체된 공화국이 우즈베크 SSR과 투르크멘 SSR로 승격되어 연방 공화국이 되었다. 1929년 10월 16일에는 타지크 SSR이 타지크 ASSR (1924–29년에 우즈베크 SSR의 일부)에서 창설되었다. 이는 소련 중앙아시아 지역의 민족 구획 정리에 따른 결과였다.
1936년 12월 5일, 1936년 헌법 채택으로 자캅카스 SFSR이 이전 연방 구성국인 아르메니아,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SSR로 분할되었다. 또한 RSFSR이 관리하던 카자흐인과 키르기스인의 자치 공화국이 카자흐 및 키르기스 인민의 연방 공화국으로 승격되었다.
4. 1. 중앙아시아의 민족 구획과 새로운 공화국 편입
소련 중앙아시아는 러시아 내전의 주요 격전지 중 하나로, 내전 이후에도 불안정한 상태가 지속되었다. 1867년에서 1885년 사이에 러시아의 지배를 받게 된 투르케스탄 지역은, 러시아 제국의 다른 민족 경계와 달리 봉건적 행정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다. 소련 당국은 부하라 토후국과 히바 칸국을 물려받았고, 이들은 부하라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과 호레즘 인민 소비에트 공화국으로 특별 지위를 유지하며 수립되었다. 그러나 미하일 프룬제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1922년까지 바스마치 운동이 계속되며 분쟁이 이어졌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토착화'' 정책에 따라 중앙아시아의 대규모 민족 구획이 진행되었다. 1924년 10월 27일, 전(前) 부하라, 히바 인민 공화국과 RSFSR의 투르케스탄을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투르크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재편성하는 법령이 발표되었고, 이들은 1925년 5월 13일 완전한 연방 공화국이 되었다. 새로운 공화국의 경계는 민족, 사회, 언어, 부족 집단과 일치하도록 조정되었다. 처음에는 우즈베키스탄에 포함되었던 타지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29년 10월 16일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승격되어 연방에 가입했다.
4. 2. 1936년 헌법과 중앙집권화 강화
1936년 12월 5일 채택된 1936년 소련 헌법(스탈린 헌법)은 내부 구성을 크게 변경하고 소련을 연합에서 더욱 중앙집권적인 연방 국가로 재편했다.[7] 새로운 헌법은 소비에트 대회 대신 상설 의회인 소비에트 연방 최고 소비에트를 창설했다. 또한 대부분의 권한을 통합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공산당의 역할을 소련 노동 대중의 "원동력"으로 확정했다.[7]헌법 채택으로 연방 구성이 재편되어 7개에서 11개의 SSR(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로 변경되었다.[7] 자캅카스 SFSR은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분리되었다.[7] 같은 날, RSFSR(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자치 공화국 중 두 곳인 카자흐 자치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과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정식 공화국으로 재편되었다.[7]
5. 제2차 세계 대전과 영토 확장
제2차 세계 대전의 서곡에서, 여러 개의 새로운 공화국들이 소련의 다른 국가 병합의 결과로 창설되었다. 1940년 소련은 발트 3국을 침공 및 병합하였다.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는 각각 리투아니아 SSR(7월 13일), 라트비아 SSR(7월 21일), 에스토니아 SSR(7월 21일)로 전환되었으며, 8월 3일, 5일, 6일에 소련에 공식적으로 합병되었다. 마지막 공화국은 몰도바 SSR로, 베사라비아의 넓은 영토를 루마니아에서 병합하여 이전에는 우크라이나 SSR의 일부였던 몰도바 ASSR와 병합했다.
5. 1. 발트 3국 병합
1940년 소련은 발트 3국을 침공 및 병합하였다.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는 각각 리투아니아 SSR(7월 13일), 라트비아 SSR(7월 21일), 에스토니아 SSR(7월 21일)로 전환되었으며, 8월 3일, 5일, 6일에 소련에 공식적으로 합병되었다.5. 2. 몰도바 SSR 수립
제2차 세계 대전의 서곡에서, 여러 개의 새로운 공화국들이 소련의 다른 국가 병합의 결과로 창설되었다. 마지막 공화국은 몰도바 SSR로, 베사라비아의 넓은 영토를 루마니아에서 병합하여 이전에는 우크라이나 SSR의 일부였던 몰도바 ASSR와 병합했다.6. 소련의 해체와 조약의 폐기
1991년 12월 8일, 우크라이나 SSR, 벨로루시 SSR, 러시아 SFSR의 지도자들은 1922년 조약의 무효화에 합의하기 위해 만났다.[8][9] 12월 26일, 소비에트 연방 최고 회의의 상원인 공화국 최고회의는 관련 결의안을 비준하여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를 결정했다.[8][9] 하원인 연방 평의회는 러시아 대표의 소환으로 인해 12월 12일부터 정족수 미달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었다.[10]
6. 1. 주권 선언과 독립 움직임
1990년 3월 14일, 소련 공산당 (CPSU)의 헌법상 독점적 권한이 제거되면서 "민주화" 과정이 시작되었다. 1990년 6월 12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주권 선언이 러시아 인민 대표 대회에서 비준되었고, 소련의 국제 연합 회원 자격은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이 선언의 비준은 1992년부터 러시아의 날로 기념된다.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이어진 "주권 행진"은 소련 해체에 기여한 더 광범위한 요인으로 작용했다.6. 2. 벨라베자 조약과 소련 해체
1991년 12월 8일, 우크라이나 SSR, 벨로루시 SSR, 러시아 SFSR의 지도자들은 1922년 조약의 무효화에 합의하기 위해 만났다.[8][9] 12월 26일, 소비에트 연방 최고 회의의 상원인 공화국 최고회의는 관련 결의안을 비준하여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를 결정했다.[8][9] 하원인 연방 평의회는 러시아 대표의 소환으로 인해 12월 12일부터 정족수 미달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었다.[10]7. 조약의 유효성에 대한 논쟁
소련 붕괴 당시 1922년 연방 조약의 유효성에 대해 러시아 법학자들 사이에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11] 법학 박사 표트르 크렘네프는 이 조약이 국제법적 성격을 가지며, 채택된 순간부터 1991년 소련 붕괴까지 유효했다고 주장한다.[12] 반면, 드미트리 루카셰비치는 1922년 연방 조약이 국내법적 성격을 지닌 제정 행위로, 1924년 소련 헌법의 일부였기 때문에 1991년 12월에 폐기하는 것은 불가능했다고 주장했다.[13]
루슬란 하스불라토프는 연방 조약 폐기에 관한 법령에 서명한 후, 조약은 1924년 소련의 첫 번째 헌법 채택과 함께 국가 법적 문서로서 효력을 잃었다고 밝혔다.[11]
1996년 3월 15일, 러시아 연방 국가 두마는 "소련을 설립하는 조약 폐기"에 대한 RSFSR 최고 소비에트의 결정이 RSFSR 헌법, 국제법 규범 및 당시 시행되던 법률을 심각하게 위반한 위헌적인 행위라는 법적 입장을 표명했다.[14]
8. 한국과의 관계
8. 1.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
8. 2. 해방 이후 북한 정권 수립 지원
8. 3. 더불어민주당과 진보 진영의 대북 정책
참조
[1]
웹사이트
Voted Unanimously for the Union
http://region.adm.no[...]
[2]
웹사이트
Creation of the USSR
http://www.hronos.km[...]
[3]
웹사이트
ДОГОВІР ПРО УТВОРЕННЯ СРСР 1922
https://leksika.com.[...]
Юридична енциклопедія - Шемшученко Ю.С.
2021-03-28
[4]
논문
Toward an Empire of Nations: Border-Making and the Formation of Soviet National Identities
https://www.jstor.or[...]
[5]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USSR. 1924 (in Russian)
http://doc.histrf.ru[...]
[6]
웹사이트
Relationships between Russian SFSR and Belarusian SSR in 1919–21
http://evolutio.info[...]
[7]
웹사이트
Seventh All-Ukrainian Congress of Soviets (СЬОМИЙ ВСЕУКРАЇНСЬКИЙ З'ЇЗД РАД)
https://leksika.com.[...]
[8]
웹사이트
Ведомости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 52. 25 декабря 1991 г.
https://vedomosti.ss[...]
2022-06-20
[9]
서적
Russia and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Documents, Data, and Analysis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20-10-07
[10]
웹사이트
Распад СССР. Документы и факты.
https://sssr.net.ru/
[11]
서적
Полураспад СССР. Как развалили сверхдержаву.
Яуза-Пресс
[12]
서적
Распад СССР: международно-правовые проблемы.
М.
[13]
서적
Юридический механизм разрушения СССР.
М.
[14]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ДУМЫ ФЕДЕРАЛЬНОГО СОБРА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ntc.duma.gov.[...]
[15]
웹인용
Voted Unanimously for the Union
http://region.adm.no[...]
ADM
2019-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