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르어는 2개의 방언(므라수, 콘도마)을 가지며, 1938년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알타이어족의 특징인 SOV 어순, 교착어적 문법 체계, 모음 조화 현상을 보이며, 7개의 격을 가진다. 다른 시베리아 튀르크어와 마찬가지로 몽골어와 러시아어에서 유입된 어휘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카스 공화국의 문화 - 하카시야 공화국의 국가
하카시야 공화국의 국가는 하카스인들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표현하는 중요한 상징이며, 하카스어, 로마자 표기, 가사, 영어 및 한국어 번역본을 포함한다.
쇼르어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쇼르어 |
고유 이름 | шор тили (쇼르 딜리), şor tili (쇼르 딜리) тадар тили (타다르 딜리), tadar tili (타다르 딜리) |
다른 이름 | 쿠즈네츠 타타르어 |
사용 국가 | 러시아 |
사용 지역 | 케메로보주 |
사용자 | 쇼르인 |
사용자 수 | 2,840 명 (2010년 인구 조사) |
언어 계통 | 알타이 제어 |
어족 | 튀르크어족 |
어파 | 공통 튀르크어군 |
하위 어군 | 시베리아 튀르크어군 |
세부 어군 | 남부 시베리아어 |
더 세부 어군 | 예니세이 튀르크어 |
문자 | 키릴 문자 |
ISO 639-3 | cjs |
Glottolog | shor1247 |
Glottolog 이름 | 쇼르어 |
2. 방언
쇼르어는 하카스어에 가까운 무라수 방언과 알타이어에 가까운 콘도마 방언 등 2개 방언이 있다. 쇼르어 표준어는 무라수 방언을 기초로 만들어졌다.[1] 1927년에는 키릴 문자, 1929년에는 라틴 문자를 사용했다.[1] 1938년부터는 키릴 문자에 기초를 둔 정서법을 사용했다.[1]
쇼르어 문자 체계는 여러 번 변화했다. 19세기 이전에는 문자가 없었으나, 1870년대부터 정교회 선교사들이 키릴 문자를 바탕으로 알파벳을 만들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문해율은 매우 낮았다. 1920년대에 문어가 발전하면서 1927년에 키릴 문자 기반의 알파벳이 다시 만들어졌고, 1930년에는 라틴 문자 기반의 알파벳이 도입되었다. 하지만 1938년에 다시 키릴 문자로 돌아갔고, 1980년 개혁을 거쳐 현재의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두 개의 주요 방언은 각각 언어가 사용되는 계곡의 강 이름을 따서 명명된 므라수 방언과 콘도마 방언이다. 튀르크어 분류 관점에서 이 방언들은 튀르크어의 서로 다른 분파에 속한다. 원시 튀르크어(PT)의 모음 사이 -d-가 현대 언어에서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보면(PT *adak, 현대 튀르크어에서 '발' 또는 '다리'를 의미하는 단어와 비교), 므라수 방언은 -z- 변종으로 아자크(azaq)이며, 콘도마 방언은 -y- 변종으로 아야크(ayaq)이다. 이 특징은 일반적으로 튀르크어의 서로 다른 분파를 구별하며, 이는 쇼르어가 서로 다른 튀르크어 기원에서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각 쇼르어 방언은 하위 방언 변종을 가지고 있다. 상므라수와 상콘도마 변종은 콘도마 강과 므라수 강의 상류에서 화자들 간의 긴밀한 접촉 과정에서 수많은 유사한 특징을 발전시켜 왔다.
3. 문자 체계
키릴 문자 라틴 문자 키릴 문자 공통 튀르크어 알파벳 1885 1927-1930 1930-1938 1938-1980 1980–현재 А а A a A a А а А а A a (Аа аа) (Аа аа) (Aa aa) (Аа аа) (Аа аа) (Â, â) Б б Б б B в Б б Б б B b В в В в V v В в В в V v Г г Г г G g Г г Г г G g Г г Г г Ƣ ƣ Г г Ғ ғ Q q Д д Д д D d Д д Д д D d Е е Е е Е е Е е (Ye, ye), E e (Ее ее) (Ее ее) (Ee ee) (Ее ее) (Ее ее) (Ê, ê) Ё ё (Yo, yo) Ж ж Ж ж Ƶ ƶ Ж ж Ж ж J j З з З з Z z З з З з Z z И и, I i, Ѵ ѵ И и I i, Į į И и И и İ i (Ии ии), (Ii ii), (Ѵѵ ѵѵ) (Ии ии) (Ii ii), (Įį įį) (Ии ии) (Ии ии) (Î, î) Й й Й й J j Й й Й й Y y К к К к K k К к К к K k К к К к Q q К к Қ қ K k Л л Л л L l Л л Л л L l М м М м M m М м М м M m Н н Н н N n Н н Н н N n Ҥ ҥ Ҥ ҥ Ꞑ ꞑ Нъ нъ Ң ң Ñ ñ О о О о О о О о О о O o (Оо оо) (Оо оо) (Oo oo) (Оо оо) (Оо оо) (Ô ô) Ӧ ӧ Ө ө Ө ө Ӧ ӧ Ӧ ӧ Ö ö (Ӧӧ ӧӧ) (Өө өө) (Өө өө) (Ӧӧ ӧӧ) (Ӧӧ ӧӧ) (Öö öö) П п П п P p П п П п P p Р р Р р R r Р р Р р R r С с С с S s C c C c S s Т т Т т T t Т т Т т T t У у У у U u У у У у U u (Уу уу) (Уу уу) (Uu uu) (Уу уу) (Уу уу) (Û, û) Ӱ ӱ Ӱ ӱ Y y Ӱ ӱ Ӱ ӱ Ü ü (Ӱӱ ӱӱ) (Ӱӱ ӱӱ) (Yy yy) (Ӱӱ ӱӱ) (Ӱӱ ӱӱ) (Üü üü) Ѳ ѳ Ф ф F f Ф ф Ф ф F f Х х Х х Х х Х х X x Ц ц Ц ц Ц ц Ц ц (Ts ts) Ч ч, J j Ч ч C c Ч ч Ч ч Ç ç, C c Ш ш Ш ш Ş ş Ш ш Ш ш Ş ş Щ щ Щ щ Щ щ (Şç şç) ъ ъ ъ ” Ы ы Ы ы Ь ь Ы ы Ы ы I ı (Ыы ыы) (Ыы ыы) (Ьь ьь) (Ыы ыы) (Ыы ыы) (Iı ıı) ь ь ь ь ’ Э э Э э Ə ə, Е е Э э Э э E e Ю ю Ю ю Ю ю Ю ю (Yu yu) Я я Я я Я я Я я (Ya ya)
3. 1. 역사
19세기 이전에는 쇼르어가 문자로 기록되지 않았다. 1870년대에 정교회 선교사들이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최초의 쇼르어 알파벳을 만들려고 시도했다. 선교사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원주민의 문해율은 매우 느리게 증가하여 20세기 초에는 쇼르족의 약 1%에 불과했다.[1]
쇼르어 문어는 1920년대에 '황금기'를 맞이했다. 1927년,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두 번째 쇼르어 알파벳 제작 시도가 있었다. 1932년부터 1933년까지 표도르 치스피야코프(Fedor Cispijakov)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초등 교재를 저술하고 출판했다. 그러나 이것은 학습 과정을 상당히 복잡하게 만들었고, 1938년에 같은 저자가 게오르기 바부스킨(Georgij Babuskin)과 함께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초등 교재를 만들었으며, 그 이후 여러 판이 출판되었다.[1]
므라스수 방언은 1930년대와 1980년대에 쇼르어의 문어 형태가 중단(거의 50년) 이후 부활했을 때 문학 쇼르어의 기초가 되었다. 그러나 콘도마 방언 규범도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1941년에 출판된 아카데미의 쇼르어 문법은 디렌코바에 의해 므라스수 방언을 기반으로 쓰여졌다.[1]
2005년, 언어의 위기 상태를 강조하기 위해 겐나디 코스토차코프(Gennady Kostochakov)는 "나는 마지막 쇼르 시인"이라는 제목의 쇼르어 시집을 출판했다. 2017년에는 류보프 아르바차코바(Liubovʹ Arbaçakova)가 번역한 쇼르어판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출판되었다.[1]
쇼르어로 쓰여진 첫 번째 책은 1885년에 출판되었다. 이 책은 수정된 러시아어 문자(Ё ё, Ф ф, Щ щ, Ѣ ѣ 제외)에 추가 문자 Ј ј, Ҥ ҥ, Ӧ ӧ, Ӱ ӱ를 포함하여 사용했다.[1]
1927년에는 공식적인 문자가 채택되었는데, 이는 러시아어 문자 (Ё ё 와 ъ 제외)에 추가 문자 Ј ј, Ҥ ҥ, Ӧ ӧ, Ӱ ӱ를 더한 것이었다. 쇼르어의 라틴 문자는 1930년에 도입되었다: A a, B в, C c, D d, Ə ə, F f, G g, Ƣ ƣ, I i, J j, K k, Q q, M m, N n, Ꞑ ꞑ, O o, Ө ө, P p, R r, S s, T t, U u, V v, Ş ş, Z z, Ƶ ƶ, L l, Ь ь, Y y, Į į. 이후 글자 순서가 소련 내 다른 언어들의 알파벳에 맞춰 변경되었고, 문자 Ә ә는 E e로, 문자 Į į는 삭제되었다.[1]
정자법은 1927년에 키릴 문자를 채택하고, 1929년에 라틴 문자를 사용한 후, 1938년부터 다시 현재의 키릴 문자로 개정되었다.[1]
3. 2. 현대 문자
1938년에 쇼르어 문자는 라틴 문자에서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 이 문자는 Ӧ ӧ, Ӱ ӱ, Нъ нъ 문자가 추가된 러시아 문자를 사용했다.[1]
1980년 개혁 이후 현재 형태가 되었다. 현재 쇼르어 문자는 А а, Б б, В в, Г г, Ғ ғ, Д д, Е е, Ё ё, Ж ж, З з, И и, Й й, К к, Қ қ, Л л, М м, Н н, Ң ң, О о, Ӧ ӧ, П п, Р р, С с, Т т, У у, Ӱ ӱ, Ф ф, Х х, Ц ц, Ч ч, Ш ш, Щ щ, Ъ ъ, Ы ы, Ь ь, Э э, Ю ю, Я я와 같다.[1]
4. 음운
쇼르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으로 나뉜다.[1][2]
4. 1. 모음
rowspan="2" | | 전설 | 후설 | ||
---|---|---|---|---|
! | ||||
고모음 | i|이krl iː|이krl | y|위krl yː|위krl | ɯ|으krl ɯː|으krl | u|우krl uː|우krl |
중모음 | e|에krl eː|에krl | ø|외krl øː|외krl | o|오krl oː|오krl | |
저모음 | a|아krl aː|아krl |
쇼르어의 모음 체계를 이루는 기본 단모음 음소는 8개이다. 장모음을 표기하기 위한 전용 문자는 없으며, 모음 문자를 두 개 겹쳐서 이를 표기한다. 이중모음은 없으며, 반모음 й를 동반한 aй, eй 등이 있다. 모음조화는 а, ы, о, у의 4개의 후설 모음과 е, и, ö, ü의 4개의 전설 모음이다.
4. 2. 자음
양순음 | 치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비음 | м|엠krc | н|엔krc | ң|응krc | ||
파열음 | 무성음 | п|뻬krc | т|떼krc | к|쩨krc | қ|까krc |
유성음 | б|베krc | д|데krc | г|계krc | ғ|게krc | |
파찰음 | 무성음 | ч|체krc | |||
유성음 | ҷ|제krc | ||||
마찰음 | 무성음 | с|에스krc | ш|샤krc | х|하krc | |
유성음 | з|제트krc | ж|제krc | |||
유음 | 설측음 | л|엘krc | |||
탄음 | р|에르krc | ||||
접근음 | й|이krc |
5. 문법
알타이 제어와의 공통점으로는 SOV(주어-목적어-서술어) 어순을 따르며, 명사의 격이나 동사 활용을 나타내는 어미(접미사)를 어간에 붙여 표현하는 교착어라는 점 등이 있다. 이는 일본어나 한국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 현상도 나타난다. 접미사는 7종류가 있으며, 주격 (접미사 없음), 대격 (~을/를: -ni/-ny), 속격 (~의: -ning/-nyng), 여격 (~에게, ~에: -ga/-ge), 위격 (~에서: -da/-de), 탈격 (~에서부터: -dang/-deng), 구격 (~에 의해: -nang/-neng/nong)이 있다. 쇼르어에는 7개의 인칭 대명사가 있다.
5. 1. 대명사
쇼르어에는 7개의 인칭 대명사가 있다.단수 | 복수 | |
---|---|---|
1인칭 | мен|men|나cjs | пис|pis|우리cjs |
2인칭 | сен|sen|너 (단수)cjs | силер/слер|siler/sler|당신 (복수, 존칭)cjs |
3인칭 | ол|ol|그/그녀/그것cjs | ылар/лар, олор/алар|ılar/lar, olor/alar|그들 (터키어의 "onlar"에 해당, "저들"의 의미)cjs |
пылар/плар|pılar/plar|그들 (터키어의 "bunlar"에 해당, "이들"의 의미)cjs |
6. 어휘
다른 시베리아 튀르크어와 마찬가지로 쇼르어는 몽골어에서 많은 어근을 차용했으며, 러시아어에서 온 단어들도 있다.
참조
[1]
학위논문
Phonemic inventory of the Shor language
Eastern Michigan University
[2]
문서
[3]
서적
Exploring the Eastern Frontiers of Turkic
Harrassowitz Verlag
2006
[4]
서적
Грамматика Шорского Языка
Академия Наук СССР
[5]
뉴스
The dying fish swims in water
2005-12-24
[6]
웹사이트
Lewis Carroll's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 in Shor
https://www.evertype[...]
2018-12-09
[7]
웹사이트
Turkic states reach agreement on common 34-letter alphabet
https://www.aa.com.t[...]
2024-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