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카스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카스어는 튀르크어족 남시베리아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하카스 공화국에서 사용된다. 예니세이 키르기스에서 기원하여 19세기 중반부터 기록이 시작되었으며,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하카스 문어가 개발되었다. 하카스어는 9개의 단모음과 모음 조화 현상을 보이며, SOV 어순과 교착어적 특징을 가진다. 사가이, 호이발, 필텔, 후즐, 하스, 숄 방언 등이 존재하며, 표준어는 사가이 방언과 하스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카스어 - 하카시야 공화국의 국가
하카시야 공화국의 국가는 하카스인들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표현하는 중요한 상징이며, 하카스어, 로마자 표기, 가사, 영어 및 한국어 번역본을 포함한다. - 시베리아의 언어 - 아이누어
아이누어는 일본 홋카이도와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일본어 교육 강화와 차별로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부흥 운동과 언어 보존 노력으로 학습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홋카이도 방언만 남아 있고 교착어의 특징과 복잡한 음운 체계를 가진다. - 시베리아의 언어 - 부랴트어
부랴트어는 몽골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부랴트 공화국 등지에서 부랴트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몽골어와 관련이 깊고 소련 시기 공용어였으나 러시아화 정책으로 쇠퇴하여 현재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로 지정되었으며 전통 몽골 문자에서 라틴 문자, 현재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하카스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하카스어 |
고유 명칭 | Хакас тілі/Тадар тілі (Xakas tili/Tadar tili) |
사용 국가 | 러시아 |
사용 지역 | 하카스 공화국, 러시아 연방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러시아 연방케메로보 주, 중화인민공화국헤이룽장 성 등 |
사용자 | 하카스인 |
추정 화자 수 | 약 6만 명 |
문자 | 키릴 문자 |
언어 계통 | 알타이 제어 |
어족 | 튀르크어족 |
어파 | 시베리아 튀르크어파 |
공용어 지정 국가 | [[파일:Flag of Khakassia.svg|25px]] 하카스 공화국(러시아) |
언어 연구 기관 | [[파일:Flag of Khakassia.svg|25px]] |
ISO 639-3 | kjh |
사멸 위기 | 위험 |
방언 | |
주요 방언 | 푸위 키르기스어 카마스 튀르크어 (사멸) 코이발 방언 사가이 방언 카친 방언 키질 방언 |
지리적 분포 | |
![]() |
2. 역사
푸위 키르기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시베리아의 예니세이 지역에서 기원했지만, 준가르 칸국 시대에 준가르에 의해 이주되었고, 이후 청나라는 1761년에 그들을 준가리아에서 중국 북동부로 이주시켰다.[6][7] 예니세이 키르기스는 1635년 준가르와 러시아 간에 체결된 조약에 따라 조공을 바쳐야 했다.[8]
쇼르어, 출름어, 투바어, 토파어, 북알타이어와 함께 튀르크어족의 남시베리아어군에 속한다. 간쑤성의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유구르족의 서유구르어와 만주 소수 집단의 푸유 키르기스어 또한 이 어군 언어와 유사한 점이 있다.[15] 하카스어는 또한 남부 사모예드어족 언어인 카마스어와 마토르어를 포괄하는 더 넓은 언어 지역의 일부였다.[15] 이러한 언어들이 하카스어 및 쇼르어와 공유하는 특징은 비음 동화 과정인데, 여기서 단어 시작 시의 경구개 파열음(이 언어들 모두 이전 경구개 근사음 ''*j''에서 유래)은 단어 내 다른 비음 자음 뒤에 올 때 치경 비음 또는 경구개 비음으로 발달한다.[15]
하카스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으로 나뉜다.[16][4]
하카스어에 대한 최초의 주요 기록은 19세기 중반에 시작되었다. 1845년에서 1849년 사이에 북부 및 중앙 아시아를 여행한 핀란드 언어학자 마티아스 카스트렌은 코이발 방언에 대한 논문을 작성하고 서사시를 기록했다. 빌헬름 라들로프는 1859년에서 1870년 사이에 남부 시베리아 지역을 광범위하게 여행했다. 그의 연구 결과는 4권으로 된 그의 사전과 10권으로 된 튀르크어 텍스트 시리즈에 출판되었다. 두 번째 권에는 독일어 번역과 함께 그의 하카스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러시아어 번역이 제공된 아홉 번째 권은 라들로프의 제자이자 사가이 출신인 카타노프가 준비했으며, 추가적인 하카스 자료를 담고 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하카스 문어가 개발되었는데, 중앙 방언인 사가이와 카차를 기반으로 한다. 벨티르 방언은 사가이에, 코이발 방언은 카차에 대부분 동화되었다.
1924년에는 키릴 문자가 고안되었고, 1929년에는 라틴 문자로, 1939년에는 새로운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13]
3. 분류
4. 음운
하카스어에는 9개의 단모음 음소가 있으며, 모음 조화 현상이 나타난다. 자음은 순음, 치음, 구개음, 연구개음 등으로 구분된다.
4. 1. 모음
하카스어는 모음 체계의 기본이 되는 단모음 음소가 9개 있다.[16][4]
장모음을 표기하기 위한 문자는 없고, 모음자를 두 개로 표기한다. 다만 중립 모음인 i의 장모음은 없다. 이중모음은 없고, 반모음 й를 표현한 aй, eй 등이 있다.
모음 조화는 а, ы, о, у 등 4개의 후설모음과 е, и, ӧ, ӱ의 4개의 전설모음이 있다. 중립 모음 i는 전설모음의 단어뿐만이 아니라 후설모음의 단어에도 나타난다.
전설 | 후설 | |||
---|---|---|---|---|
폐모음 | i|이tr iː|이tr ɘ|에tr | y|위tr yː|위tr | ɯ|으tr ɯː|으tr | u|우tr uː|우tr |
중모음 | e|에tr[17] eː|에tr[18] | ø|외tr øː|외tr | o|오tr oː|오tr | |
개모음 | colspan="2" | | a|아tr aː|아tr |
4. 2. 자음
5. 문자
하카스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13] 1924년에 키릴 문자가 고안되었고, 1929년에는 라틴 문자로, 1939년에는 새로운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13]
하카스어 문자의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키릴 문자 (1924-1929) | 라틴 문자 | 키릴 문자 (1939-1947) | 키릴 문자 (1947-1953) | 키릴 문자 (1953-) |
---|---|---|---|---|
Аa | Аa | Aa | Аa | Аа |
Бб | Bв | Бб | Бб | Бб |
Вв | Vv | Вв | Вв | Вв |
Гг | Gg | Гг | Гг | Гг |
h (1927년부터) | Ƣƣ | ғ | Ғғ | |
Дд | Dd | Дд | Дд | Дд |
Ее | Ее | Ее | Ее | |
Ёё | ||||
Жж | Ƶƶ | Жж | Жж | Жж |
Зз | Zz | Зз | Зз | Зз |
Ии | Ii | Ии | Ии | Ии |
Ii (1927년부터) | Įį | Ii | Ii | Ii |
Йй | Jj | Йй | Йй | Йй |
Кк | Kk | Кк | Кк | Кк |
Лл | Ll | Лл | Лл | Лл |
Мм | Mm | Мм | Мм | Мм |
Нн | Nn | Нн | Нн | Нн |
Ҥҥ | N̡n̡ | нъ | нъ | ң (1962년부터) |
Оо | Оо | Оо | Oo | Oo |
Ӧӧ | Ɵɵ | Ӧӧ | Ӧӧ | Ӧӧ |
Пп | Pp | Пп | Пп | Пп |
Рр | Rr | Рр | Рр | Рр |
Сс | Ss | Сс | Сс | Сс |
Тт | Tt | Тт | Тт | Тт |
Уу | Uu | Уу | Уу | Уу |
Ӱӱ | Yy | Ӱӱ | Ӱӱ | Ӱӱ |
Фф | Ff | Фф | Фф | Фф |
Хх | Хх | Хх | Хх | Хх |
Цц | Цц | Цц | Цц | |
Чч | Cc | Чч | Чч | Чч |
Jj | ç | Ӌӌ | Ӌӌ | |
Шш | Şş | Шш | Шш | Шш |
Щщ | Щщ | Щщ | Щщ | |
ъ | ъ | ъ | ||
Ыы | Ƅƅ | Ыы | Ыы | Ыы |
ь | ‘ | ь | ь | ь |
Ээ | Әә | Ээ | Ээ | Ээ |
Юю | Юю | Юю | Юю | |
Яя | Яя | Яя | Яя |
6. 문법
하카스어는 알타이제어의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어나 일본어와 유사하게 SOV(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취하는 교착어이다. 문법 관계는 명사의 격이나 동사의 활용을 나타내는 어미(접미사)를 어간에 붙여 표현하며, 모음 조화 현상도 나타난다.
하카스어에는 주격(접미사 없음), 대격(~을/를), 속격(~의), 여격(~에), 처격(~에서), 탈격(~(으)로부터), 공격(~에 의해), 향격(~(으)로 향해) 등 8가지 격이 있다.[1]
6. 1. 격
하카스어에는 10개의 격이 있다.격 | 접미사 | 예시 |
---|---|---|
주격 | -∅ | от|풀kjh |
소유격 | -тың, -тің, -ның, -нің | оттың|풀의kjh |
여격 | -ха -ке, -ға, -ге, -а, -е; | отха|풀에게kjh |
대격 | -ты -ті, -ны, -нi; | отты|풀을kjh |
처격 | -та -те, -да, -де | отта|풀 위에/안에kjh |
탈격 | -таң, -тең, -даң, -дең, -наң, -нең | оттаң|풀로부터kjh |
지향격/향격 | -сар, -сер, -зар, -зер | отсар|풀을 향하여kjh |
도구격/동격 | -наң, -нең | отнаң|풀과 함께kjh |
동등격/경과격 | -ча -че, -ҷа, -ҷе, -нҷа, -нҷе | отча|풀을 통하여kjh |
상황-원인격 | -даңар -деңер, -таңар, -теңер, -наңар, -неңер | оттаңар|풀에 관하여, 풀 때문에kjh |
7. 방언
하카스어 방언은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뉜다. 사가이 방언, 호이발 방언(코이발 방언), 필텔 방언(벨틸 방언)으로 이루어진 그룹과 후즐 방언(키질 방언), 하스 방언(카친 방언), 숄 방언(숄어의 무라스 방언)으로 이루어진 그룹이다. 공화국의 표준어는 이 중 공화국 중앙의 사가이 방언과 하스 방언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지만, 점차 방언 차이가 없어지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들 중 호이발어 등은 우랄어족사모예드어파의 카마스어 화자(마지막 화자는 1980년대까지 생존)가 "하카스어"에 동화되어 생겨난 일종의 크리올 언어일 가능성이 있다.
참조
[1]
기타
Том 5.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и владение языками». Таблица 4. Владение языками и использование языков населением
https://rosstat.gov.[...]
[2]
서적
Language Contact in South Central Siberia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3]
서적
The Languages of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81-06-04
[4]
서적
Xakas. Languages of the world: Materials: 251
München
[5]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по национальности и владению русским языком
http://www.perepis20[...]
Федеральная служб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2011-02-16
[6]
기타
Tchoroev (Chorotegin) 2003
https://books.google[...]
[7]
서적
Tumen Jalafun Jecen Aku: Manchu Studies in Honour of Giovanni Stary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8-04-12
[8]
기타
Millward 2007
https://books.google[...]
[9]
서적
Manchuria: An Ethnic History
https://books.google[...]
Finno-Ugrian Society
[10]
서적
Manchuria: An Ethnic History
https://books.google[...]
Finno-Ugrian Society
[11]
서적
Manchuria: An Ethnic History
https://books.google[...]
Finno-Ugrian Society
[12]
서적
[13]
서적
Islamic Peoples of the Soviet Union (with an Appendix on the non-Muslim Turkic peoples of the Soviet Union)
Routledge
[14]
뉴스
NG Explorers Help Record Xyzyl Language
http://newswatch.nat[...]
2012-05-21
[15]
간행물
Areal groupings (Sprachbünde) within and across the borders of the Uralic language family: A survey
http://www.nytud.hu/[...]
[16]
문서
Donidze, 1997, p. 460-461
[17]
문서
Written э at the word beginning
[18]
문서
Written ээ at the word beginning
[19]
문서
亀井孝,河野六郎,千野栄一編著『言語学大辞典』三省堂,1988, 3巻, p.98参照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