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에쓰구 노부마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에쓰구 노부마사는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880년에 태어나 1944년에 사망했다. 그는 해군병학교를 졸업하고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해군대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했다. 1910년 해군포술학교 교관 시절에는 일제 사격 효율을 높이는 독창적인 안을 제시했고,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종군 무관으로 참전하여 잠수함 활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워싱턴 해군 군축 회의에서는 조약안에 반대했으며, 군령부 차장, 연합함대 사령장관 등을 역임했다. 정치적으로는 국가주의적 성향을 보이며 내무대신을 지냈고, 대미 강경론을 펼쳤다. 그는 지휘관으로서 뛰어난 역량을 발휘했지만, 군정 측면에서는 비판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상하이 사변 관련자 - 시게미쓰 마모루
시게미쓰 마모루는 일본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당시 항복 문서에 서명하고 외무대신을 역임했으며, 전후 A급 전범으로 기소되었으나 복귀하여 부총리 겸 외무대신으로서 일본의 국제 사회 복귀에 기여한 인물이다. - 제1차 상하이 사변 관련자 - 우에다 겐키치
우에다 겐키치는 일본 제국의 육군 대장으로, 관동군 사령관 겸 주만 대사 재임 중 노몬한 사건으로 예비역 편입, 상하이 사변 참전, 훙커우 공원 폭탄 투척 사건으로 중상을 입었으며, 전후에는 전우 단체 연합회 회장, 일본 향우 연맹 회장을 역임했다. - 연합함대사령장관 - 고가 미네이치
고가 미네이치는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연합함대 사령장관을 지냈으며, 해군병학교 졸업 후 여러 함선 근무와 주요 요직을 거쳐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후임으로 연합함대 사령장관이 되었으나 팔라우 대공습 중 사망하여 대함거포주의론자이자 영미 협조파로서 복잡한 면모를 보였던 그의 사망과 일본 해군의 몰락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 연합함대사령장관 - 요나이 미쓰마사
요나이 미쓰마사는 일본 제국 해군 군인이자 정치가로, 해군 무관으로서 국제적 경험을 쌓고 연합함대 사령장관과 해군대신을 역임했으며, 추축국 진영 참여에 반대하고 미영과의 협상을 모색하다 총리대신에 취임했으나 육군과의 갈등으로 사임, 태평양 전쟁 말기 해군대신으로 포츠담 선언 수락에 기여한 인물이다. - 일본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나구모 주이치
나구모 주이치는 1887년 출생하여 해군병학교를 졸업하고 진주만 공격을 지휘한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이며, 미드웨이 해전 패배 후 사이판 전투에서 자결하고 해군 대장으로 추서되었다. - 일본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아라키 사다오
아라키 사다오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대신과 문부대신을 역임하며 군국주의적 정책을 추진하고 국가주의 이념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후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며 그의 군국주의적 사상은 오늘날까지도 논란의 대상이다.
스에쓰구 노부마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스에쓰구 노부마사 |
원어 이름 | 末次 信正 |
출생일 | 1880년 6월 30일 |
사망일 | 1944년 12월 29일 |
출생지 | 야마구치현 |
소속 | 일본 제국 해군 |
복무 기간 | 1899년–1937년 |
최종 계급 | [[파일:Imperial Japan-Navy-OF-9-collar.svg|30px]] 해군 대장 |
경력 | |
주요 지휘 | 다마 제2함대 마이즈루 진수부 제1함대 연합 함대 요코스카 진수부 |
참전 전투 |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
수상 | 욱일장 서보장 성 미카엘 및 성 조지 훈장 |
이후 활동 | 해군 대신 최고 전쟁 회의 |
기타 정보 | |
![]() | |
가족 | 알 수 없음 |
별칭 | 알 수 없음 |
묘소 | 다마 묘원 |
2. 생애
1880년 야마구치현에서 태어나 일본 해군병학교와 일본 해군 대학을 졸업하였다. 졸업 후 해군포술학교 교관을 지냈으며, 1914년부터 1916년까지 영국으로 건너가 제1차 세계 대전을 관찰하였다. 특히 유틀란트 해전 이후 전함의 변형과 잠수함 활용에 관심을 갖고, 점감요격작전(漸減邀撃作戦) 연구를 결심하였다.
함대파의 중심인물이었으며, 1930년 런던 해군 군축 회의 때 군령부 차장으로서 군령부장과 함께 조약에 강경하게 반대하며 통수권 침해 문제를 제기하였다. 회의 이후 일시적으로 중앙에서 멀어졌으나, 1933년 11월부터 1934년 11월까지 연합함대사령장관, 요코스카 진수부 사령장관 등을 지내고 1934년 대장으로 승진하였다.
1937년 고노에 후미마로는 스에쓰구의 입각을 희망하였고, 당시 해군 대신 요나이 미쓰마사는 스에쓰구를 예비역으로 편입시켜 내쫓았다.[97] 이후 제1차 고노에 내각의 내무대신, 대정익찬회 중앙협력회의 의장으로 근무하였다. 고노에는 스에쓰구를 지원하는 우익 단체와 국수주의자의 지원을 받아 안정된 정치 기반을 쌓으려고 계획했으나, 스에쓰구의 극우 사상은 고노에가 제어하기 힘들었다.[97] 제3차 고노에 내각 해산 당시 차기 총리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도조 히데키가 총리로 지명되자 낙담하였다.
도조 내각 붕괴 후 시마다 시게타로의 후임 인사가 논의될 때, 오카다 게이스케는 요나이 미쓰마사와 스에쓰구의 복귀를 제안하였다. 요나이의 해군 대신 취임은 수락되었으나, 스에쓰구의 군령부 총장 취임은 쇼와 천황 등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1944년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80년 야마구치현에서 구 도쿠야마 번 무사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히로시마 제일 중학교를 졸업하고 해군병학교에 진학하여 27기로 졸업하였다. 졸업 당시 성적은 114명 중 50등이었다.[1] 러일 전쟁 참전 후, 해군대학교 갑종 학생(7기)을 수석으로 졸업하였다.1910년 (메이지 43년), 해군포술학교 교관 재직 시절, 스에쓰구는 함선의 중심선상에 주포를 일렬로 배치하여 일제 사격의 효율을 높이는 독창적인 방안을 학생들에게 가르쳤다. 상관은 이를 묵살했지만, 당시 세계 최고의 해군력을 보유했던 영국이 유사한 방식으로 초노급전함 "오라이온"을 건조하면서 스에쓰구의 견해가 인정받았다.[9][10]
1914년 (다이쇼 3년)에는 영국으로 건너가 제1차 세계 대전에 종군 무관으로 참전했다. 유틀란트 해전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으며, 특히 전함의 변형과 잠수함의 활용에 주목했다.[2]
2. 2. 해군 장교 경력
1910년 (메이지 43년), 해군포술학교 교관이 된 스에쓰구는 함의 중심선상에 주포를 일렬로 장비하여 일제 사격의 효율을 높이는 독창적인 안을 무단으로 학생들에게 전수했다. 상관은 묵살했지만, 당시 세계 최고의 해군국이었던 영국이 유사한 사고 방식으로 초노급전함 "오라이온"을 건조하면서 스에쓰구의 견식이 인정받았다.[9][10]1914년 (다이쇼 3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하자, 영국으로 건너가 종군 무관으로서 전함 "아가멤논"과 순양전함 "퀸 메리"에 승함하여 유틀란트 해전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특히 전함의 변용과 잠수함의 활용에 관심을 갖고, 영국 체류 중에 작성한 "대미 전략론"에서는 잠수정에 의한 파나마 운하 및 하와이 봉쇄 작전을 시작으로, 서태평양에서의 요격을 상정한 5단계의 '''점감 전략'''을 구상했다.[10]
1919년 (다이쇼 8년)에 군령부 제1과장(작전과장)이 되었다.
1922년 (다이쇼 11년) 워싱턴 군축 회의에서는 차석 수행원을 맡았다. 조약안에 반대하여 수석 수행원인 가토 칸지와 함께 전권인 가토 도모사부로에게 저항했지만 조약은 체결되었다. 같은 해 12월 1일, 관례상 소장이 보직되는 군령부 제1반장(작전부장)에 대좌로 취임했다.
일본 해군의 작전 지도서 해전요무령 작성에 관여하여 대미 작전의 개선을 추진하여, '''대미 작전의 완성자'''[12]라는 평가도 있다. 후에 군축 조약의 영향으로 인한 '''색적・점감・결전 구상'''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으며, 다카기 소키치는 스에쓰구의 연구 깊이에 감명을 받았다.[13] 또한 해군 함정은 중무장으로 인해 도모즈루 사건을 일으켰지만, 스에쓰구는 사전에 이 중무장을 경계하는 경고를 발했다.[13]
1929년(쇼와 4년), 군령부 차장으로 진급한 스에쓰구는 런던 해군 군축 회의를 맞이하게 된다.
2. 3. 정치 경력
스에쓰구 노부마사는 극우적인 국가주의 성향을 가진 인물로, 히라누마 기이치로, 마쓰오카 요스케, 고노에 후미마로 등과 교류하였다. 특히 하야시 센주로와는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고노에의 신당 결성 운동에 상담역을 맡기도 했다.[97] 대정익찬회 중앙협력회의 의장, 동아건설국민연맹 회장, 스메라 학원장 등을 역임하였다.1937년 제1차 고노에 내각에서 내각 참의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내무대신으로 취임하여 1939년까지 재직하였다.[97] 내무대신 시절, 특고에 좌익 인사 체포를 명령하는 등 강경한 정책을 펼쳤다. 또한 고노에 성명 발표를 주장하고, 나치 독일 및 파시스트 이탈리아와의 삼국 동맹을 적극 지지하였다.[5]
1939년 히라누마 내각에서도 내각 참의를 지냈다. 제3차 고노에 내각에서는 대미, 대영, 대소 강경론과 금융 국영화를 주장하였다.[97]
1941년 제3차 고노에 내각이 총사퇴했을 때, 스에쓰구는 총리 후보로 거론되기도 하였다. 당시 전국치수사방협회 회장이었던 스에쓰구는 해군 대장이면서 내무대신 경력도 있고, 추축파이자 일미 개전론자였기 때문에 총리 후보로 거론될 개연성이 있었다. 그러나 쇼와 천황을 비롯한 궁중 관계자들과 중신 회의는 스에쓰구와 우익 단체와의 연계를 우려하여 반대하였고, 결국 도조 히데키가 총리로 지명되었다.[59][60]
1944년 시마다 시게타로의 후임 군령부 총장 후보로도 거론되었으나, 요나이 미쓰마사 해군 대신의 추천에도 불구하고 쇼와 천황 등의 반대로 무산되었다.[64][65][66]
2. 4. 사망
末次 信正|스에쓰구 노부마사일본어는 1944년에 사망했다. 그의 묘소는 도쿄도 후추시의 다마 묘지에 있다.[1]3. 평가
스에쓰구 노부마사는 유능한 군인이었지만, 정치적으로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인물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에 파견되어 유틀란트 해전을 경험한 후, 전함의 변용과 잠수함 활용에 주목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점감요격작전(漸減邀撃作戦) 연구를 주도했다.[10]
런던 해군 군축 회의 당시, 스에쓰구를 포함한 함대파는 보조함 비율이 대미 7할에 약간 못 미치는 것에 불만을 품고 조약에 강경하게 반대했다. 이들이 반대한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12]
이유 | 내용 |
---|---|
주력함 부족 |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으로 인해 이미 주력함이 대미 6할로 제한됨. |
대형 순양함 부족 | 주력함을 대체할 수 있는 대형 순양함도 대미 6할로 제한됨. |
잠수함 부족 | 점감 작전의 핵심인 잠수함 수량이 부족함. |
특히, 스에쓰구는 대미 작전에서 잠수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잠수함 수량 제한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12]
당시 해전의 승패는 주력함에 달려있다는 '''대함거포주의''' 사상이 지배적이었다. 일본은 1923년 관동 대지진과 1929년 세계 대공황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러일 전쟁 전비 조달을 위해 발행한 외채 상환 문제 등으로 인해 군축 조약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었다. 조약파는 국력 차이를 고려하여 군축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으며, 가토 도모사부로는 "국방은 군인의 전유물이 아니다"라는 말로 이러한 생각을 대변했다.
이노우에 시즈미는 스에쓰구를 "중좌 정도의 인물"이라고 평가했다.[76] 카게야마 요시이치로는 "그가 해군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근현대사의 실상을 파악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54]
3. 1. 군사적 평가
스에쓰구 노부마사는 부하들에게 혹독한 훈련을 시키면서도, 솔선수범하여 잠수함에 직접 탑승하여 지휘하는 등 언행일치를 보여줘 장병들의 신뢰를 받았다.[9] 해군 기관과 문제로 기관과 장병들의 불만이 고조되었을 때도 직접 해군 기관학교를 방문하여 끈질기게 설득하는 등, '지휘관 선두'의 모범을 보였다.[9] 그의 자신감 넘치는 지휘는 부하들을 진심으로 복종하게 만들었다.[9] 전후 비판적인 평가 속에서도, 스에쓰구가 뛰어난 지휘관이었다는 점은 인정받고 있다.[70]워싱턴 해군 군축 회의 당시 미국의 압박을 경험한 스에쓰구는 미국에 대한 강한 불신을 품게 되었다.[71] 런던 해군 군축 회의에서의 그의 강경한 태도도 이러한 불신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함대파는 대미 강경론을 주장했지만, 반드시 전쟁을 원했던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스에쓰구는 만주와 내몽골 확보를 일본 해군의 최우선 과제로 여기고, 이를 위해 미국을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공공연히 영미 타도론을 펼쳤다. 이러한 점에서 스에쓰구는 대미 강경파의 중심 인물이었다.[72]
3. 2. 정치적 평가
가토 간지 등과 함께 함대파의 중심 인물로서 런던 해군 군축 조약에 강력히 반대했지만, 해군 내부 통제를 어지럽히고 '''통수권 침범 문제'''를 야기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73]런던 해군 군축 조약 반대파의 중심은 군령부장인 가토 간지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스에쓰구가 함대파의 중심이라는 시각도 있다.[74] 오카다 게이스케는 스에쓰구를 경계했고, 원로·사이온지 긴모치의 비서 하라다 구마오는 사이온지에게, 궁중 관계자로부터 불안시되던 마자키 진자부로에 비유하여 보고했다. 또한 쇼와 천황은 이때 스에쓰구의 언행에 불신감을 품었다.[75] 한편 군축 조약에 불만을 품은 해군 군인, 국가 혁신을 주장하는 육해군 장교, 우익 단체, 우익 정치인 등으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군령 측면에서의 높은 평가에 비해 군정 측면에서의 평가는 낮다.
4. 영향
스에쓰구 노부마사는 런던 해군 군축 회의에서 일본 해군의 군축에 반대하는 함대파의 중심 인물이었다. 그의 강경한 반대는 일본 해군 내부의 분열을 초래했고, 이는 5.15 사건, 2.26 사건 등 일본 군부의 정치 개입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스에쓰구는 통수권 침해 문제를 제기하며 조약에 반대했는데, 이는 군부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일본이 태평양 전쟁으로 나아가는 데 영향을 미쳤다.[73]
하지만 스에쓰구는 뛰어난 지휘관으로서 부하들의 신뢰를 받았다. 특히, 이른바 해군 기관과 문제로 기관과 장병들의 불만이 높아졌을 때, 직접 해군 기관학교를 방문하여 설득하는 등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9] 이러한 그의 노력은 기관과 장병들의 불만을 해소하는 데 기여했다.
5. 가족 관계
장남 스에쓰구 노부요시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일본 제국 해군에 입대하여, 해군병학교 제58기 113명 중 20등으로 졸업하고 소좌까지 진급했다.[77] 1945년 4월 7일, 전함 야마토에 제2함대 참모 장교로 탑승하여 보노미사키 해전에 참전했다가 교전 중 사망(KIA)했으며, 사후 대좌로 추서되었다.[78]
먼 친척으로 철학자 코지마 타케히코가 있으며, 코지마가 1940년에 창설한 오컬트 단체 스메라 학의 塾頭(수석)를 맡았다.
6. 저서
- 《비상시국과 국방 문제》 아사히 신문사, 1934년
- 《군축 결렬과 우리의 각오》 남공회 총본부, 1936년
- 《국방의 본의와 군축 문제》 군인 회관 사업부, 1936년
- 《장기전과 국민의 각오》 국민정신총동원 중앙연맹, 1938년
- 《세계 동란의 의의와 황국의 사명》 동아건설국민연맹 사무국, 1940년
- 《세계전과 일본》 평범사, 1940년
- 《신체제와 국방 문제》 대정익찬회 선전부, 1940년
- 《일본의 국방적 지위》 동아건설국민연맹 사무국, 1940년
- 《일본과 나치 독일》 아루스, 1940년
- 《일미 위기와 그 간파》 신경제정보사, 1941년
- 《대동아전의 본질과 전국의 전도》 대일본익찬장년단 본부, 1942년
7. 연보
서기 | 연호 | 날짜 | 스에쓰구 노부마사의 동향 |
---|---|---|---|
1880년 | 메이지 13년 | 6월 30일 | 출생 |
1896년 | 메이지 29년 | 11월 9일 | 해군병학교 입교 |
1899년 | 메이지 32년 | 12월 16일 | 해군소위 후보생 |
1900년 | 메이지 33년 | 8월 10일 | 후지 승무 |
12월 6일 | 마쓰시마 승무 | ||
1901년 | 메이지 34년 | 1월 18일 | 해군소위, 제이엔 승무 |
1902년 | 메이지 35년 | 10월 6일 | 해군중위 |
11월 25일 | 다케시키 요항부 제3수뢰정대 부속 | ||
1903년 | 메이지 36년 | 9월 14일 | 제5정대 부속 |
9월 26일 | 히에이 분대장 대리 | ||
1904년 | 메이지 37년 | 1월 14일 | 이와키 분대장 대리 |
7월 13일 | 해군대위, 이와키 분대장 | ||
1905년 | 메이지 38년 | 12월 12일 | 다카치호 포술장 |
1906년 | 메이지 39년 | 9월 28일 | 해군대학교 을종 학생 |
1907년 | 메이지 40년 | 4월 23일 | 포술학교 고등과 학생 |
9월 28일 | 포술학교 교관 겸 분대장 | ||
1908년 | 메이지 41년 | 4월 20일 | 해군대학교 갑종 학생 |
1909년 | 메이지 42년 | 10월 11일 | 해군소령 |
12월 1일 | 비젠 포술장 | ||
1910년 | 메이지 43년 | 12월 1일 | 포술학교 교관 |
1911년 | 메이지 44년 | 9월 21일 | 도키와 포술장 |
1912년 | 메이지 45년 | 4월 20일 | 군령부 참모 |
6월 5일 | 군령부 참모 겸 해군대학교 교관 | ||
1913년 | 다이쇼 2년 | ||
1914년 | 다이쇼 3년 | 6월 3일 | 군령부 참모 겸 해군대학교 교관 겸 교육 본부원 |
9월 1일 | 영국 주재 | ||
12월 1일 | 해군중좌 | ||
1916년 | 다이쇼 5년 | 5월 23일 | 귀국 명령 |
9월 1일 | 군령부 출사 | ||
12월 1일 | 해군대학교 교관 | ||
1917년 | 다이쇼 6년 | 12월 1일 | 제1함대 참모 |
1918년 | 다이쇼 7년 | 9월 1일 | 연합 함대 참모 겸 제1함대 참모 |
10월 15일 | 제1함대 참모 | ||
12월 1일 | 해군대좌, 쓰쿠마 함장 | ||
1919년 | 다이쇼 8년 | 8월 5일 | 군령부 작전과장 겸 해군대학교 교관 |
1921년 | 다이쇼 10년 | 9월 27일 | 워싱턴 회의 차석 수행원 |
1922년 | 다이쇼 11년 | 12월 1일 | 군령부 작전부장 대리 |
1923년 | 다이쇼 12년 | 12월 1일 | 해군 소장, 제1잠수전대 사령관 |
1925년 | 다이쇼 14년 | 12월 1일 | 군령부 출사 겸 해군대학교 교관 |
1926년 | 다이쇼 15년 | 7월 26일 | 교육국장 |
1927년 | 쇼와 2년 | 12월 1일 | 해군 중장 |
1928년 | 쇼와 3년 | 12월 10일 | 군령부 차장 |
1929년 | 쇼와 4년 | ||
1930년 | 쇼와 5년 | 6월 10일 | 군령부 출사 |
12월 1일 | 마이즈루 요항부 사령관 | ||
1931년 | 쇼와 6년 | 12월 1일 | 제2함대 사령장관 |
1933년 | 쇼와 8년 | 11월 15일 | 연합 함대 사령장관 겸 제1함대 사령장관 |
1934년 | 쇼와 9년 | 3월 30일 | 해군 대장 |
11월 15일 | 요코스카 진수부 사령장관 | ||
1935년 | 쇼와 10년 | 12월 2일 | 군사 참의관 |
1936년 | 쇼와 11년 | ||
1937년 | 쇼와 12년 | 10월 15일 | 예비역 편입, 제1차 고노에 내각에서 내각 참의 |
12월 14일 | 제1차 고노에 내각 개조에서 내무대신 | ||
1939년 | 쇼와 14년 | 1월 5일 | 제1차 고노에 내각 총사퇴 |
1월 20일 | 히라누마 기이치로 내각에서 내각 참의, 아베 노부유키 내각에서도 유임 | ||
1940년 | 쇼와 15년 | 1월 23일 | 요나이 미쓰마사 내각 발족과 함께 내각 참의 면직 |
1941년 | 쇼와 16년 | ||
1944년 | 쇼와 19년 | 12월 29일 | 사망 |
8. 서훈
; 훈장 등
수여 날짜 | 훈장 종류 |
---|---|
1905년 (메이지 38년) 11월 30일 | 훈6등 서보장[90] |
1912년 (메이지 45년) 5월 24일 | 훈4등 서보장[91] |
1915년 (다이쇼 4년) 11월 7일 | 훈3등 욱일중수장・다이쇼 3, 4년 종군기장[92] |
1920년 (다이쇼 9년) 11월 1일 | 전승기장[93] |
1926년 (다이쇼 15년) 7월 22일 | 훈2등 서보장[94] |
1931년 (쇼와 6년) 10월 31일 | 금배 1개[67] |
1934년 (쇼와 9년) 1월 9일 | 훈1등 서보장[67][95] |
1934년 (쇼와 9년) 4월 29일 | 욱일대수장[67] |
1944년 (쇼와 19년) 12월 29일 | 은배 1조[96] |
참조
[1]
웹사이트
People of the IJN
http://homepage2.nif[...]
[2]
서적
The Japanese Submarine Force and World War II
[3]
서적
Military Intervention in Pre-War Japanese Politics.
[4]
서적
Joint Operational Warfare
[5]
서적
Japanese-German Relations
[6]
서적
China and Japan at War
[7]
간행물
大衆人事録
[8]
문서
[9]
간행물
回想の日本海軍
[10]
간행물
昭和史の軍人たち
[11]
간행물
陸海軍将官人事総覧 海軍篇
[12]
간행물
歴代海軍大将全覧
[13]
간행물
自伝的日本海軍始末記
[14]
간행물
大海軍を想う
[15]
간행물
昭和海軍秘史
[16]
간행물
湛山回想
[17]
간행물
歴史と名将
[18]
문서
[19]
간행물
山本五十六再考
[20]
간행물
岡田啓介回顧録
[21]
간행물
日本海軍失敗の研究
[22]
문서
[23]
간행물
昭和天皇独白録
[24]
문서
[25]
문서
[26]
간행물
海軍と日本
[27]
간행물
海軍と日本
[28]
간행물
山本五十六再考
[29]
간행물
海軍と日本
[30]
문서
[31]
간행물
大海軍を想う
[32]
문서
[33]
문서
[34]
간행물
海軍の昭和史
[35]
간행물
提督 米内光政の生涯
[36]
서적
父と私の二・二六事件
[37]
서적
昭和海軍秘史
[38]
문서
[39]
서적
海軍の昭和史
[40]
서적
海軍と日本
[41]
서적
牧野伸顕日記
[42]
서적
海軍と日本
[43]
서적
牧野伸顕日記
[44]
서적
加藤寛治日記
[45]
문서
[46]
서적
昭和史発掘
[47]
문서
[48]
서적
一軍人の生涯
[49]
서적
山本五十六再考
[50]
서적
海軍の昭和史
[51]
서적
海軍の昭和史
[52]
문서
[53]
문서
[54]
서적
近現代日本人物資史料情報辞典
[55]
서적
四人の軍令部総長
[56]
서적
かくて、太平洋戦争は終わった
[57]
문서
[58]
서적
昭和史の軍人たち
[59]
서적
かくて、太平洋戦争は終わった
[60]
서적
海軍の昭和史
[61]
서적
かくて、太平洋戦争は終わった
[62]
서적
新版 米内光政
[63]
서적
新版 米内光政
[64]
서적
戦史叢書45 大本営海軍部・聯合艦隊〈6〉―第三段作戦後期―
[65]
문서
[66]
서적
昭和天皇独白録
[67]
간행물
故海軍大将末次信正位階追陞の件
http://www.jacar.arc[...]
[68]
서적
山本五十六再考
[69]
문서
戦藻録
1945-01-04
[70]
서적
日本海軍、錨揚げ!
[71]
서적
海軍の逸材 堀悌吉
[72]
서적
提督 新見政一
[73]
문서
[74]
서적
岡田啓介回顧録・西園寺公と政局
[75]
서적
牧野伸顕日記
[76]
서적
井上成美
[77]
문서
[78]
서적
歴代海軍大将全覧
[79]
간행물
官報
1901-04-22
[80]
간행물
官報
1902-12-26
[81]
간행물
官報
1904-09-03
[82]
간행물
官報
1909-10-21
[83]
간행물
官報
1914-11-11
[84]
간행물
官報
1924-01-23
[85]
간행물
官報
1928-03-10
[86]
간행물
官報
1931-12-23
[87]
간행물
官報
1934-03-22
[88]
간행물
官報
1937-04-02
[89]
간행물
官報
1945-01-08
[90]
간행물
官報
1905-12-04
[91]
간행물
官報
1912-05-27
[92]
간행물
官報
1916-07-18
[93]
간행물
官報
1922-07-06
[94]
간행물
官報
1926-07-24
[95]
간행물
官報
1934-01-10
[96]
간행물
官報
1945-01-06
[97]
서적
히로히토:신화의 뒤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