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야시 센주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야시 센주로는 1876년 이시카와현에서 태어난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1930년 조선군 사령관으로 재임하며 만주사변 당시 휘하 부대를 만주로 파견했다. 이후 육군대신과 교육총감을 거쳐 1937년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했다. 그는 군부의 일원으로서 민주주의를 부정하고 일당제를 옹호했으며, 1943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주사변의 인물 - 장쉐량
    장쉐량은 만주 군벌 장작림의 아들이자 동북군 지휘관으로서 만주사변 당시 부저항 정책과 시안 사건 주도를 통해 국공합작을 이끌어낸 인물이며, 그의 삶과 행적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만주사변의 인물 - 이타가키 세이시로
    이타가키 세이시로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만주사변과 중일 전쟁 등 일본 제국주의 침략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전쟁 범죄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 일본의 육군대신 - 도조 히데키
    도조 히데키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으로 육군 대신, 참모총장,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진주만 공격을 명령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고, 전범으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 일본의 육군대신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일본 제국의 내각총리대신 - 도조 히데키
    도조 히데키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으로 육군 대신, 참모총장,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진주만 공격을 명령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고, 전범으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 일본 제국의 내각총리대신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하야시 센주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립국회도서관|하야시 센주로]] ([[국립국회도서관]])
하야시 센주로 (국립국회도서관)
이름하야시 센주로
원어명林 銑十郎
로마자 표기Hayashi Senjūrō
출생1876년 2월 23일
출생지일본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
사망1943년 2월 4일
사망지일본 도쿄
묘지도쿄도 후추시 다마 묘원
서명
정치
정당대정익찬회 (1940–1943)
직업군인
경력
소속대일본제국 육군
최종 계급육군대장
주요 보직조선군 사령관
육군대신
군사참의관
수상내각총리대신
관직
작위정2위
훈장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금치훈장
주요 이력
총리 취임1937년 2월 2일
총리 퇴임1937년 6월 4일
전임 총리히로타 고키
후임 총리고노에 후미마로
재임 당시 천황쇼와 천황
육군대신 취임1934년 1월 23일
육군대신 퇴임1935년 9월 5일
문부대신 겸임1937년 2월 2일 ~ 1937년 6월 4일
외무대신 겸임1937년 2월 2일 ~ 1937년 3월 3일
소속 내각하야시 내각
사이토 내각
오카다 내각
학력
출신 학교육군사관학교
육군대학교
가족 관계
배우자하야시 하츠지
형제 자매시라카미 유키치 (동생)
자녀나카다 준코 (장녀)
사이토 야스코 (4녀)

2. 내력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 출신으로, 일본 육군사관학교(8기)와 일본 육군 대학교(17기)를 졸업했다. 청일 전쟁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연대장, 국제연맹 대표부 근무 등을 거쳤다.

1930년 육군 중장 진급 후 조선군 사령관으로 부임했다. 1931년 만주사변 발발 시, 상부 지시 없이 독단적으로 부대를 만주로 파견하여 '월경 장군'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는 군부의 독단적인 행동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1932년 대장으로 진급하여 교육총감을 지냈고, 1934년부터 1935년까지 사이토 내각오카다 내각에서 육군대신을 역임했다. 이 시기 육군 내 황도파통제파 간의 극심한 파벌 갈등 속에서 통제파의 지지를 받으며 마사키 진자부로 교육총감 경질 등 주요 사건에 관여했다. 군부 내 강경파로서 민주주의 체제에 비판적이었으며, 1937년 일본 내각총리대신에 올랐다.

2. 1. 초기 생애와 군 경력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 고다쓰노에서 사족 가문 출신인 하야시 시시로와 그의 아내 벳쇼 사하의 장남으로 1876년 2월 23일 태어났다.[1][2] 그의 아버지는 당시 토나미 지구 사무소 서기였으며, 가문은 과거 가가국을 섬기던 사무라이였다.[1][2] 형제로는 훗날 육군 대령이 된 차남 하야시 료조와 도쿄시 부시장이 된 막내 동생 시라카와 유키치가 있다.[1]

가나자와시 심상사범 부속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제4고등학교 보충과에 재학 중이던 1894년 7월, 청일 전쟁이 발발하자 학교를 중퇴하고 사관후보생으로 육군사관학교에 입교했다. 1896년 11월 26일 육군사관학교(제8기)를 졸업하고, 이듬해인 1897년 6월 28일 보병 소위로 임관하여 가나자와성 내에 주둔하던 보병 제7연대에 배속되었다. 1903년에는 육군대학교를 제17기로 졸업(45명 중 12등)하며 엘리트 군인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육군대학교 졸업 후 하야시 하쓰지와 결혼하여 슬하에 4남 4녀를 두었다.

1904년 발발한 러일 전쟁에는 제9사단 예하 보병 제6여단 부관(당시 계급 대위)으로 참전하여 뤼순 공략전에 참가했다. 특히 여순의 반룡산 동포대 공격 시, 8월 22일의 철수 명령에도 불구하고 잔여 병력 70명을 이끌고 점령에 성공하여 '오니(鬼) 대위'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제3군 사령관 노기 마레스케 대장으로부터 개인 감상을 받기도 했다.

전후에는 야전직을 거쳤으며, 1911년(메이지 44년) 3월에는 하사관 1명을 대동하고 60일간 도보로 한국 국경 지역을 답사하며 수비 방책을 보고하기도 했다. 1912년(메이지 45년) 7월 기준으로 그는 조선 주차군 사령부 부속으로 근무하고 있었으며, 육사 8기 보병 소좌 중 서열 3위에 해당했다. 1913년(다이쇼 2년)부터 3년간 독일영국으로 유학을 떠났고, 베를린에서는 마사키 진자부로, 나가타 데쓰잔 등과 교류하며 인맥을 쌓았다.

유학에서 돌아온 후, 1918년부터 1920년까지 IJA 제57보병연대 지휘관을 맡았고, 1921년에는 기술연구본부에 배속되어 군사 조사관 대리를 역임했다. 1921년부터 1923년까지 육군사관학교 예과장, 육군 교육 총감부에 배속되었다. 1923년부터 1924년까지 국제 연맹의 일본 육군 대표를 지냈으며, 1924년부터 1925년까지 육군 교육 총감부에 다시 배속되었다.

2. 2. 만주사변과 조선군 사령관

1930년 육군 중장으로 진급한 하야시 센주로는 조선 주둔 일본군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그의 재임 중이던 1931년 9월 18일 만주사변이 발발했다. 사변 발발 다음 날인 9월 19일, 하야시는 히로히토 천황이나 도쿄 중앙 정부의 승인 없이 휘하의 제20사단 병력을 분할하여 제39혼성여단을 편성하고, 이 부대에 압록강을 건너 만주로 진입하라고 독단적으로 명령했다.

당시 일본 육군 형법상 천황의 명령(봉칙 명령) 없이 군대를 움직이는 것은 専権ノ罪|센켄노자이일본어[6]라는 중죄에 해당했다. 실제로 제39혼성여단의 상급 부대인 제20사단 참모장 모리 고로쿠 대좌는 이러한 명령 없는 월경에 대해 고심하며 여단의 신의주 출발을 3일간 지연시키기도 했다. 일설에는 조선군 참모였던 간다 마사타네 중좌가 일본 육군 중앙의 일부 세력 및 관동군 참모들과 미리 공모하여 하야시가 이를 따르도록 유도했다는 주장도 있다.

하야시에게 이 압록강 도하 결정은 율리우스 카이사르루비콘강 도하에 비견될 만큼 중대한 결단이었으며, 그는 중앙 정부로부터 월경을 추인하는 연락이 올 때까지 식사도 제대로 하지 못할 정도로 불안해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만주사변을 둘러싼 군부의 움직임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일본 내각은 군부의 독단적인 행동을 사후에 승인할 수밖에 없었고, 9월 22일 제39혼성여단의 이동은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 이 독단적인 월경 명령 사건으로 하야시는 越境将軍|엣쿄 쇼군일본어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군 내부에서 명성을 떨치게 되었고, 이는 그의 군 경력에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이후 1932년 4월 대장으로 진급하여 육군 삼장관 중 하나인 교육총감 겸 군사참의관에 임명되었다.

2. 3. 육군대신과 파벌 갈등

1932년(쇼와 7년) 4월, 대장으로 진급하여 육군 삼장관 중 하나인 교육총감 겸 군사참의관에 취임했다. 1932년부터 1934년까지 교육총감 및 최고 군사 회의 위원으로 활동했다. 이 시기인 1932년 욱일대수장 (1등), 1934년 보물기장 (1등)을 받았다.

1934년(쇼와 9년) 1월, 황도파의 거두인 아라키 사다오 육군대신이 건강 문제로 사임 의사를 밝히자, 그의 후임으로 같은 황도파의 마사키 진자부로가 유력시되었다. 그러나 마사키를 탐탁지 않게 여긴 참모총장 간인노미야 코토히토 친왕 원수는 하야시를 강력히 추천했다. 마사키는 참모차장 시절 간인노미야 총장을 소홀히 대한 전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마사키는 교육총감 겸 군사참의관으로 밀려나고, 1월 22일 하야시가 사이토 내각의 육군대신 (제25대)으로 취임했다.[7] 이후 오카다 내각에서도 유임되었다.

하야시가 육군대신이 되자, 육군 내 현역 장성 및 영관급 장교 중 가가 번(가에쓰노) 출신 인사들(아베 노유키 대장, 나카무라 고타로 중장, 하스누마 시게루 중장 등)이 요직을 차지하며 "가가 육군"이라 불릴 정도로 세력을 형성했다. 한편, 하야시는 육군 내 파벌 항쟁에서 통제파의 핵심 인물인 나가타 데쓰잔 소장을 정책 최고 책임자인 육군성군무국장에 등용했다. 이는 황도파와의 대립을 더욱 격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육군 내에서 뚜렷한 권력 기반이 없었던 하야시는 과거 맹우였던 황도파의 마사키와 관계가 틀어지자, 자신의 입지를 다지기 위해 간인노미야 총장 및 나가타 데쓰잔 등 통제파 세력과 손을 잡을 필요성을 느꼈던 것으로 보인다.[8] 만주사변을 기획했던 이시와라 간지는 통제파의 의향에 따라 육군대신이 된 하야시를 두고 "하야시 대장은 우리 마음대로 고양이도, 호랑이로도 만들 수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1935년(쇼와 10년) 7월, 하야시는 통제파의 지지를 등에 업고 육군 인사에 여러 차례 개입하며 갈등을 일으켰던 황도파의 영수 마사키 진자부로 대장을 교육총감 자리에서 경질했다. 이는 간인노미야 총장과 군사참의관 와타나베 조타로 대장의 후원이 있었기에 가능한 조치였으며, 당시로서는 매우 과감한 결정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이 경질극은 군 내부의 극심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결국 아이자와 사건(나가타 데쓰잔 암살, 1935년 8월 12일)과 이듬해 2·26 사건(1936년 2월)으로 이어지는 비극적인 사건들의 도화선이 되었다.

자신의 핵심 참모였던 나가타 군무국장이 암살당하자 하야시는 큰 충격과 실의에 빠졌고, 결국 다음 달인 9월에 가와시마 요시유키 대장에게 육군대신 자리를 물려주고 사임했다. 이후 1936년 2.26 사건 당시, 마사키 경질에 동조했던 동기 와타나베 조타로 교육총감은 반란군의 습격을 받아 사망했지만, 하야시는 습격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2. 4. 내각총리대신과 그 이후

1937년 2월 2일, 제33대 일본 내각총리대신으로 취임하였다.[7]

하야시 센주로, 1937년 총리


하야시는 총리 재임 기간(약 4개월) 동안 정당의 파벌 갈등을 초월하는 내각을 구성하고자 하였으며, 내각 구성원들에게 정당 관계를 포기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4] 그러나 하야시 내각은 발족 당시부터 여러 가지로 평판이 좋지 않았는데, 이는 하야시의 성격에서 비롯된 부분도 많다고 평가된다.

총리 퇴임 후인 1940년부터 1941년까지는 추밀원 의원을 지냈다.[5] 또한, 이슬람교와 관련된 활동에도 관여하여, 본인이 무슬림은 아니었지만 大日本回教協会|다이 니혼 가이쿄 교카이일본어(대일본회교협회)의 회장을 역임했다.[3] 이 협회는 재일 회교도를 위한 시설 설립과 협회지 『회교 세계』 발행 등의 활동을 했다.

1943년 1월 중순 감기를 앓은 후 경미한 뇌출혈을 일으켰고, 도쿄도 시부야구 센다가야의 자택에서 요양했으나 상태가 악화되어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 채 2월 4일 사망했다. 향년 66세였다. 장례는 2월 7일 아오야마 장례식장에서 대일본흥아동맹장으로 거행되었으며[9], 미즈노 렌타로가 장례 위원장을 맡았다. 사후 금계훈장 (4등)과 桐花大綬章이 추서되었다. 묘소는 다마 령원에 있다.

3. 연보

연도내용
1896년육군사관학교 졸업 (제8기). 동기로 와타나베 조타로가 있음.
1897년6월 28일: 일본 제국 육군 보병 소위 임관, 보병 제7연대 부속.
1899년11월 17일: 보병 중위 임명.
1903년육군대학교 졸업 (제17기). 동기로 와타나베 조타로(수석), 하타 에이타로, 미나미 지로가 있음.
1904년1월 19일: 보병 대위 임명. 보병 제6여단 부관으로 러일 전쟁에 출정하여 뤼순 공격 참가.
1908년12월 21일: 보병 소령 임명.
1910년1월: 조선 주차군 사령부 부속.
1913년7월 ~ 1916년 11월: 독일, 영국 유학.
1914년1월 20일: 보병 중좌 임명.
1916년11월 15일: 구루메 포로 수용소장.
1917년8월 6일: 보병 대좌 임명.
1918년7월 24일: 보병 제57연대장 (지바현 사쿠라).
1920년1월 30일: 기술본부 부속 (임시 군사조사위원).
1921년7월 20일: 소장 임명, 육군사관학교 예과장.
1923년6월 ~ 1924년 9월: 국제 연맹 육해군 문제 상설 자문위원회 일본 대표로 프랑스 파견.
1925년보병 제2여단장.
1926년3월 2일: 중장 임명, 도쿄만 요새 사령관.
1927년3월 5일: 육군대학교 교장.
1928년8월 10일: 교육총감부 본부장.
1929년8월 1일: 근위사단장.
1930년12월 22일: 조선군 사령관.
1931년9월: 만주사변 발발 시 관동군의 요청을 받아 상부 승인 없이 독단적으로 예하 혼성 제39여단을 만주로 파견하여 월경 장군이라는 별명을 얻음.[6] 이 독단적 월경은 9월 22일 사후 승인됨.
1932년4월 11일: 대장 임명, 교육총감 겸 군사참의관 취임.
1934년1월 23일: 사이토 내각의 육군대신 취임 (제25대).[7] 이후 오카다 내각에서도 유임. 통제파황도파의 항쟁 속에서 나가타 데쓰잔을 군무국장에 등용.[8]
1935년7월: 황도파 영수이자 교육총감이었던 마사키 진자부로 대장을 경질시킴. 이 사건은 이후 아이자와 사건, 2·26 사건의 원인 중 하나가 됨. 9월 육군대신 사임.
1936년3월: 예비역 편입.
1937년2월 2일: 제33대 일본 내각총리대신 취임 (하야시 내각). 약 4개월 만인 6월 4일 총사직.
1940년10월: 내각 참의.
1942년5월: 대일본흥아동맹 총재.
1943년2월 4일: 도쿄도 시부야구 센다가야 자택에서 뇌출혈로 훙거 (향년 66세). 사후 정2위,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추서.[9]


4. 영전

하야시 센주로는 군인 및 정치인으로서 활동하며 일본 내에서 다수의 서위, 서훈, 포장, 기념장을 받았다. 또한 외국에서도 훈장을 받았는데, 1910년 8월 28일에는 대한제국으로부터 훈3등 팔괘장을 수여받았다.[30] 1935년 9월 21일에는 만주국 황제의 일본 방문을 기념하는 만주제국황제 방일기념장 패용을 허가받았다.[30] 자세한 서위 및 서훈 내역은 아래와 같다.

4. 1. 서위

날짜서위
1897년(메이지 30년) 10월 15일정팔위[30]
1899년(메이지 32년) 12월 26일종7위[30]
1904년(메이지 37년) 3월 22일정칠위[30]
1909년(메이지 42년) 3월 1일종6위[30]
1914년(다이쇼 3년) 3월 10일정육위[30]
1917년(다이쇼 6년) 8월 30일종5위[30]
1921년(다이쇼 10년) 8월 30일정오위[30]
1926년(다이쇼 15년) 4월 2일종사위[30]
1929년(쇼와 4년) 9월 2일정사위[30][31]
1932년(쇼와 7년) 5월 2일종삼위[30][32]
1934년(쇼와 9년) 5월 15일정삼위[30][33]
1937년(쇼와 12년) 7월 2일종이위[30][34]
1943년(쇼와 18년) 2월 4일정2위(몰시승서)[30][35]


4. 2. 서훈

4. 3. 포장


  • 1906년(메이지 39년) 4월 1일 - 메이지 37년 종군기장[30]
  • 1915년(다이쇼 4년) 11월 7일 - 다이쇼 34년 종군기장[30]

4. 4. 기념장


  • 1912년(다이쇼 1년) 8월 1일 - 한국 병합 기념장[30][37][10][27]
  • 1935년(쇼와 10년) 9월 21일 - 만주국 만주 제국 황제 방일 기념장 (외국 훈장 패용 허가)[30][10]

5. 가족 및 친족

하야시는 1903년 육군대학교 졸업 후 하야시 하쓰지와 결혼하여 4남 4녀를 두었다. 그의 가족 및 친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하야시 센주로의 가족 관계'''
관계이름설명
아버지하야시 시시로전 가가 번 번사, 이시카와현 노미군 군청 서기[1]
어머니벳쇼 사벳쇼 토게산의 넷째 딸[1]
아내하야시 하쓰지
장남렌사쿠
차남켄스케
삼남토미조육군 소좌. 육사 46기(보병과). 근위보병 제1연대 부속, 보병 제56연대 제2대대장, 교육총감부 부속 겸 병무국 과원, 대본영 육군부 부속, 제316사단 참모 등을 역임.
사남킨페이육군 대위. 육사 55기. 보병 제73연대 중대장.
장녀준코나카타 유키치의 처. (나카타 유키치는 도야마현 출신으로 전 12은행 은행장이자 약종상인 나카타 세이베의 장남)
사녀요시코사이토 요시히코의 처. (사이토 요시히코는 경시총감, 타이완 총독부 총무장관 등을 역임한 사이토 미키의 장남)
동생 (차남)하야시 료조육군 대령[1]
동생 (막내)시라카미 유키치내무 관료, 전 도쿄시 부시장[1]
조카시라카미 켄이치시라카미 유키치의 아들, 생물학자[28]
조카시라카미 잇쿠켄시라카미 유키치의 아들, 무술 연구자[29]


6. 가계도


  • '''하야시 가(林家)'''
  • * 아버지: 中田勇吉|나카타 유키치일본어
  • ** 할아버지: 中田清兵衛|나카타 세이베에일본어

(나카타 세이베에와 연결된 인물): 河合良成|가와이 요시나리일본어
* 河合良一|가와이 료이치일본어 (가와이 요시나리의 아들)
** 河合良秋|가와이 요시아키일본어 (가와이 료이치의 아들)

  • ** 큰아버지: 中田幸吉|나카타 고키치일본어

사촌: 順子|준코일본어

  • ** 큰아버지: 中田亮吉|나카타 료키치일본어

사촌: 아이치 카즈오 (愛知和男|아이치 가즈오일본어)

  • * 본인: '''하야시 센주로''' (林 銑十郎|하야시 센주로일본어)
  • ** 딸: 純子|준코일본어
  • ** 딸: 禌子|요시코일본어

참조

[1] 서적 歴史の回想・柳条湖事件 Rekishi kenkyukai 2024-02-00
[2] 웹사이트 林銑十郎|近代日本人の肖像 https://www.ndl.go.j[...] 2022-03-03
[3] 웹사이트 Islamic Research Institutes in Wartime Japan https://www.jstage.j[...] 2023-08-09
[4] 웹사이트 Hayashi Senjūrō Meiji Restoration, Imperialism & Diplomacy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7-15
[5] 웹사이트 Hayashi, Senjuro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3-07-18
[6] 문서 군사법 조항
[7] 뉴스 荒木陸相辞任、後任は林銑十郎 東京日日新聞 1934-01-23
[8] 서적 昭和陸軍の軌跡ー永田鉄山の構想とその分岐 中公新書 2011-00-00
[9] 뉴스 越境将軍が死去 毎日新聞 1943-02-05
[10] 아시아역사자료센터 陸軍大将林銑十郎特旨叙位の件
[11] 간행물 官報 1897-10-16
[12] 간행물 官報 1899-12-27
[13] 간행물 官報 1904-03-23
[14] 간행물 官報 1909-03-02
[15] 간행물 官報 1914-03-11
[16] 간행물 官報 1917-09-01
[17] 간행물 官報 1921-09-01
[18] 간행물 官報 1926-04-17
[19] 간행물 官報 1929-11-20
[20] 간행물 官報 1932-05-11
[21] 간행물 官報 1934-05-19
[22] 간행물 官報 1937-07-03
[23] 간행물 官報 1943-02-05
[24] 간행물 官報 1926-04-28
[25] 간행물 官報 1932-06-15
[26] 간행물 官報 1941-10-23
[27] 간행물 官報 1913-04-22
[28] 서적 ほんの話 教養文庫
[29] 서적 ほんの話 教養文庫
[30] 아시아역사자료센터 육군대장 임선주로 특지서위건
[31] 간행물 관보 1929-11-20
[32] 간행물 관보 1932-05-11
[33] 간행물 관보 1934-05-19
[34] 간행물 관보 1937-07-03
[35] 간행물 관보 1943-02-05
[36] 간행물 서임급사령 관보 1932-06-15 # 쇼와 7년은 1932년
[37] 간행물 사령 관보 1913-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