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 동맹 (168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성 동맹은 1684년 3월 5일, 오스만 제국의 팽창에 대항하기 위해 합스부르크 군주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베네치아 공화국이 린츠에서 체결한 군사 동맹이다. 교황 인노첸시오 11세의 지원을 받아 결성되었으며, 러시아 차르국이 1686년에 가입했다. 이 동맹은 빈 전투 이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9년 전쟁을 치렀고,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종결되었다. 신성 동맹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영토를 회복하고, 유럽 열강의 세력 균형을 변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신성 동맹 (1684년)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신성 동맹 |
로마자 표기 | Sacra Ligua (라틴어) |
이탈리아어 | Lega Santa |
독일어 | Die Heilige Liga |
영어 | Holy League |
유형 | |
종류 | 군사 동맹 |
역사 | |
결성 | 1684년 3월 5일 |
해체 | 1699년 1월 26일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해체 |
이전 사건 | 바르샤바 조약 (1683년 3월 31일) |
관련 사건 | 러시아-폴란드 동맹 (1686년 4월 26일) |
참가국 | |
가입국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신성 로마 제국/합스부르크 군주국 베네치아 공화국 러시아 차르국 |
관련 정보 | |
관련 전쟁 | 대튀르크 전쟁 |
주도 인물 | 마르코 다비아노 (가칭) |
2. 역사적 배경
1683년 제2차 빈 포위와 이듬해 신성 동맹 결성은 2012년 September Eleven 1683|1683년 9월 11일영어이라는 영화로 제작되었다.[49]
2. 1. 오스만 제국의 팽창
오스만 제국은 메흐메트 4세의 지휘 아래 여러 차례의 성공적인 정복을 통해 동유럽 대부분을 병합했다. 1681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우크라이나 드네프르 강 우안 대부분을 항복한 후, 오스만 제국은 폴란드, 합스부르크 군주국, 러시아 차르국과 국경을 맞대게 되었다.[1] 오스만 제국은 동남유럽 전체를 직접 통치했으며, 왈라키아, 트란실바니아, 몰다비아와 같은 여러 자유 국가들은 에얄렛 속국이 되었다.[2] 베네치아 공화국으로부터 크레타 섬, 키프로스 등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중해 섬들도 빼앗았다.[3]오스만 제국의 진격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터키가 지배하는 모라바 계곡과 베오그라드를 거쳐 한때 합스부르크 요새였던 헝가리 왕국의 에르세쿠이바르에 이르는 군사 회랑을 건설하면서 절정에 달했다.[4][5] 이 회랑 건설로 인해 유럽에는 "무슬림 침투"라고 불리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새로운 학교, 터키식 목욕탕, 모스크 건설을 포함한 오스만 제국의 문화가 유입되었다.[5] 키오스의 베네치아 섬에서 오스만인들은 모든 로마 가톨릭 예배를 금지하고 이전 가톨릭 교회를 모스크로 개조했다. 당시 교황 인노첸시오 11세와 수사 마르코 다비아노와 같은 저명한 기독교 지도자들은 이러한 진격을 기독교에 대한 외세의 위협으로 간주했다.[6]
2. 2. 분리주의 운동
합스부르크 왕가의 레오폴트 1세는 헝가리에서 개신교에 대한 불만을 처벌하지 않았는데, 여기에는 개신교 교회의 전환과 목사 추방이 포함되었다.[7] 이러한 반종교개혁 운동으로 인해 헝가리 인구는 합스부르크 통치에 점점 더 환멸을 느끼게 되었다. 1664년 바슈바르 조약 이후, 신성 로마 제국 국경 너머로 퇴각하는 오스만 제국 군을 합스부르크가 추격하지 않아 오스만 군이 헝가리에 주둔하게 되면서 상황은 더욱 심화되었다. 이미 구축된 군사 회랑을 이용하여 오스만 관료들은 헝가리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헝가리 부유층과 엘리트에게 세금을 요구했다.[8] 합스부르크가 개입을 거부하자 헝가리인들의 왕가에 대한 신뢰는 더욱 하락했고, 신뢰 하락과 오스만 세력 증가의 복합적인 효과로 인해 헝가리를 오스만 제국으로 분리하려는 음모가 일어났다. 이는 터키 대재상과의 소통 시도로 절정에 달했지만,[9] 음모가 발각되고 주모자들이 처형되면서 중단되었다.[10] 이는 합스부르크가 서부 영토에서 오스만 세력에 대항하도록 압력을 가했다.2. 3. 바르샤바 조약
폴란드 의회에서 친오스만 제국 성향의 프랑스 지지 세력이 상당한 소수를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오스만 제국의 유럽 진출에 대한 추가적인 위협을 우려한 폴란드의 국왕 얀 3세 소비에스키는 레오폴트 1세와 동맹을 맺고자 했다.[11] 의회에서의 추가적인 협상 과정에서 상원 의원들 간의 폭력이 발생했는데, 프랑스 지지 세력은 동맹이 체결되면 프랑스의 폴란드에 대한 영향력이 약화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우려는 동맹이 빈 또는 크라쿠프가 오스만 제국의 위협을 받을 경우에만 발동된다는 합의를 통해 약간이나마 완화되었다. 교황 인노첸시오 11세의 지지가 있었기에 폴란드 궁정은 마침내 1683년 3월 31일 바르샤바 조약을 체결할 수 있었다.[12] 이러한 지원에는 교황이 폴란드에 20만 제국 탈러를 보조금으로 지급하고, 6만 명의 신성 로마 제국 군대를 동원하며, 소비에스키 3세를 추기경 보호자로 임명하는 것이 포함되었다.이 동맹은 불과 6개월 만에 오스만 제국이 빈을 포위하면서 발효되었다. 포위 공격이 끝나고 폴란드군에 의해 도시가 해방된 후, 소비에스키는 인노첸시오 11세에게 "그리스도교 신앙을 전파하는 그의 불타는 열정"을 전하는 편지를 썼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노첸시오는 불안에 휩싸였는데, 빈이 또 다른 공격을 견뎌낼 수 없을까 두려워했다. 그는 베네치아의 도움이 없이는 튀르크의 추가 진격을 막을 기회가 없다고 믿었다.[14] 베네치아는 이미 반튀르크 동맹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으며,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지중해 영토를 되찾고 싶어했지만, 신성 로마 제국과의 동맹은 베네치아 대사들이 인노첸시오 11세의 호의와 로마에서의 특권을 악용한 결과로 두 국가 간의 긴장으로 인해 복잡해졌다.[15]
3. 신성 동맹 결성
제2차 빈 포위와 이듬해 신성 동맹의 결성은 2012년에 September Eleven 1683|1683년 9월 11일영어로 영화화되었다.[49]
3. 1. 조약 체결

베네치아가 동맹에 참여하기를 원함에 따라 교황 인노첸시오 11세에 의해 신성 동맹이 구상되었다. 바르샤바 조약을 모델로 삼아, 동맹국들은 오직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대항하기 위해 군대를 동원하고, 모든 회원국이 평화 협정에 동의할 때까지 군사 작전을 계속하도록 하였다.[16] 이 조약은 1684년 3월 5일 린츠에서 합스부르크 통치하의 신성 로마 제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베네치아 공화국의 대표자들에 의해 체결되었으며, 다른 모든 기독교 국가들도 참여하도록 초청되었다. 이후 5월 24일 교황과 로마의 대부분의 추기경들에 의해 맹세되었으며, 교황은 동맹의 후원자가 되었다.
동맹은 모든 회원국이 독립적으로 행동해야 하며, 정복을 통해 획득한 모든 영토를 유지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이는 베네치아에게 어려운 문제였는데, 베네치아는 충분한 보병이 없다고 믿었으며, 이로 인해 달마티아의 이전 베네치아 영토를 레오폴트 1세가 되찾을 것으로 예상했다.[18] 이로 인해 동맹 창설 이후 며칠 안에 수정 조항이 추가되어, 베네치아는 달마티아에서 재정복한 모든 영토를 받게 되었다.
"신성 동맹"이라는 이름은 동맹국들이 벌인 전쟁의 십자군적인 성격을 강조하는 선전 용어로 불리기도 한다.[19]
3. 2. 러시아의 참여
러시아 차르국의 동맹 가입 협상은 1684년 초 폴란드 교황 사절 지롤라모 부온비시가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을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20] 이전의 영토 전쟁은 휴전으로 종결되었지만, 두 국가는 아직 정식으로 평화 조약을 맺지 않은 상태였다.[21] 러시아는 이전에 폴란드의 영토였던 키예프를 점령하고 있었는데, 이는 러시아가 동맹에 가입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두 가지 문제였다.[22]교황 인노첸시오 11세는 4월에 모스크바에 사절을 보냈고, 그 다음 달에는 러시아가 동맹에 가입하면 더 많은 돈을 주겠다는 명목으로 코사크에게 돈을 지원했다. 8월에는 차르 소피야에게 교황이 직접 러시아에게 신성 동맹 가입을 요청했다. 이는 1686년 4월 26일 폴란드와 평화 조약을 맺은 후 수락되었다.[23] 러시아는 폴란드로부터 키예프를 유지하는 대가로 을 받는 조건으로 동맹에 가입했으며, 1686년 말까지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을 시작해야 했다.
3. 3. 반대 세력
오스만 제국과의 오랜 동맹을 부활시킨 프랑스는 공개적으로 튀르키예의 침략에 대한 방어 지원을 거부할 것이라고 선언했다.[24] 바르샤바 조약 이전, 국왕 루이 14세는 프랑스 소수파를 매수하여 폴란드 의회를 장악했는데, 이들은 소비에스키 3세가 레오폴트 1세와의 동맹에 참여하려는 시도를 지연시키려 했다.[11] 이는 폴란드 전역의 요원들이 지원했는데, 이들은 합스부르크가가 오스트리아 영토를 되찾기 위해 폴란드의 도움을 구한다고 주장했다.[25] 1692년에는 프랑스 왕자를 폴란드 왕으로 옹립하려는 음모가 발각되었는데, 이는 동맹의 결성을 완전히 막을 수 있었다.[11]루이 14세는 동맹의 필요성에 대한 의구심을 심어 레오폴트 1세 자신을 상대로도 비슷한 통제를 시도했다.[26] 이 시도가 실패하고 동맹이 성사되자, 합스부르크가는 막대한 영토를 획득하고 동남 유럽으로 영향력을 더욱 확대했다. 이에 대응하여 프랑스는 1688년 합스부르크 제국을 공격하여 유럽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동시에 오스만 제국을 지원하려 두 번째 전선을 형성했다.[27][28] 이 9년 전쟁은 오스만 제국의 항복을 연장하고 대튀르크 전쟁에서 오스트리아의 노력을 훼손시켰다.[28]
4. 비회원 동맹국
페르시아는 기독교 국가는 아니었지만, 신성 동맹과 동맹을 맺고 여러 차례 동맹 참여를 제안받았다. 이는 시아파인 페르시아인들이 수니 오스만 제국에 반대하는 역사를 이용하려는 의도였다.[30] 1683년 동맹 결성 당시 페르시아 샤 술탄 술레이만에게 첫 번째 초청이 있었으나, 코사크족의 침략으로부터 페르시아 국경을 방어해야 한다는 이유로 거절했다.[31] 1684년 초 나흐치반의 대주교가 비슷한 요청을 했지만, 이 역시 거절되었다.[20]
러시아가 동맹에 참여하면서 페르시아가 코사크족으로부터 국경을 방어해야 할 필요성이 사라졌고, 1686년 7월 20일 인노첸시오 11세는 다시 샤에게 신성 동맹 가입을 권유하는 서신을 보냈다.[32] 술레이만은 오스만 제국을 공격하기 위해 3만 명의 군대를 준비하면서 "이처럼 유리한 기회를 활용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페르시아를 동맹에 참여시키지는 않았다.
4. 1. 독일 공국들
레오폴트 1세가 완전히 통제하지 못했던 여러 독일 공국들은 신성 동맹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브란덴부르크는 일반적으로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제국 통제에 저항했지만, 교황과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 사이의 광범위한 협상에 따라 1685년 동맹의 성공을 위해 7,000명의 병력과 를 약속했다.[29] 바이에른은 8,000명, 쾰른은 2,900명, 프랑코니아는 3,000명, 슈바벤은 1,400명, 상 라인은 1,500명, 그리고 스웨덴은 제국 헌법의 보증인으로서 1,000명을 약속했다.[29]4. 2. 페르시아
비록 기독교 국가는 아니었지만, 신성 동맹은 페르시아와 동맹을 맺고 여러 차례 그들을 동맹에 참여시키려 했다. 이는 주로 시아파인 페르시아인들이 수니 오스만 제국에 반대하는 역사를 활용하려는 의도였다.[30] 1683년 동맹이 처음 결성될 때 첫 번째 초청이 이루어졌는데, 페르시아 샤 술탄 술레이만은 자신의 군대가 코사크족의 침략으로부터 페르시아 국경을 방어해야 한다는 이유로 거절했다.[31] 1684년 초에 나흐치반의 대주교가 비슷한 요청을 했지만, 이 역시 거절되었다.[20]러시아가 동맹에 참여하면서 페르시아가 코사크족으로부터 국경을 방어해야 할 필요성이 사라졌고, 1686년 7월 20일 인노첸시오 11세는 다시 샤에게 신성 동맹에 가입하도록 독려하는 서신을 보냈다.[32] 이에 술레이만은 오스만 제국을 공격하기 위해 3만 명의 군대를 준비하면서 "이처럼 유리한 기회를 활용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페르시아를 동맹에 참여시키지는 않았다.
5. 외교 관계
신성 동맹은 결성 초기 외교 관계에서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오스만 제국과의 관계와 동맹 회원국들 간의 재정 문제가 주요 쟁점이었다.
5. 1. 오스만 제국과의 관계
동맹 결성 후 유럽 열강들은 광대한 영토를 획득했는데,[33] 이는 폰 함머-푸르그슈탈에 의해 "14차 십자군"이라고 불렸다.[34] 오스만 제국은 이러한 성공으로 1688년에 외교 관계를 열었고, 합스부르크 궁정에 사절을 보내 평화를 모색했다.[35] 유리한 입장에 있던 합스부르크는 영토 유지를 중심으로 헝가리의 토쾨리 임레를 넘겨줄 것을 요구하는 야심찬 평화 조건을 내걸었다. 토쾨리 임레는 헝가리 분리주의 운동의 지도자였다. 6일간의 협상에도 불구하고, 사절은 술탄과 합스부르크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지 못했고, 평화는 성사되지 못했다.[36]이러한 실패와 새 술탄의 즉위 이후, 오스만 제국은 군사적 노력을 배가했고 거의 10년 동안 동맹과의 외교적 소통을 시도하지 않았다.[33] 그러나 동맹의 영토 확장은 계속되었고, 1697년 9월 젠타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하면서 즉각적인 평화 요구가 쇄도했다.[37]
5. 2. 재정 문제
신성 동맹 회원국들은 동맹 결성 초기 1년 동안 재정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고, 이로 인해 초기에 동맹이 해체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동맹 결성 직후, 얀 3세 소비에스키는 로마에 폴란드가 준비하고 있는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더 많은 자금을 요구했다.[38] 인노첸시오 11세가 이를 거절하자, 폴란드는 요구하는 자금을 받지 못하면 동맹을 탈퇴하겠다고 통보했다. 1년 안에 인노첸시오 11세는 폴란드에 이상을 기부했다. 이는 폴란드가 오스만 제국과의 분쟁을 시작하는 것을 거부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 일이었으며, 이 사실은 인노첸시오 11세를 매우 불쾌하게 만들었다. 추기경 치보가 보낸 편지에는 "이 자금이 다른 곳에 사용되었다면 큰 도움이 되었을 텐데, 폴란드에서는 아무것도 이루어지지 않았다"라고 언급되어 있다.[39] 이러한 문제는 폴란드가 자금을 사용하고 1686년 말에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정복을 시작할 때까지 폴란드와 로마 사이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6. 신성 동맹 해체
동맹 조항에 따라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이 끝나면 동맹은 해체될 예정이었다. 1697년에 평화가 이루어지자 동맹은 여러 이유로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즉시 이를 받아들였다.[40] 특히 신성 로마 제국을 포함한 동맹국들은 1698년 말에 유럽 반대편으로 군대를 이동시켜야 했는데, 이는 스페인 왕위 계승 문제가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아이가 없는 스페인의 카를로스 2세의 죽음이 임박했고, 유럽의 다른 국가들은 스페인의 일부를 차지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41] 베네치아는 막대한 비용을 들여 새로 획득한 영토를 유지하고 있었고, 이는 평화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다.[42] 1696년 얀 3세 소비에스키의 죽음은 폴란드의 진격을 크게 멈추게 했으며, 재정 문제와 국회의 지원 부족도 영향을 미쳤다.[43]
신성 동맹의 창립 멤버 3국과 오스만 제국은 1699년 1월 26일 카를로비츠 조약 서명을 통해 공식적으로 평화를 맺었다.[44] 러시아는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고, 1년 동안 휴전에 동의하지 않았지만, 이는 빈과 크라쿠프에 대한 오스만 제국의 위협의 종식을 의미했고, 결과적으로 신성 동맹의 종말을 알렸다.[45]
7. 결과
카를로비츠 조약은 현상 유지를 보장했는데, 이는 동맹국들이 정복한 모든 영토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37] 합스부르크 제국은 토쾨리의 오스만 제국 통치하에 있던 헝가리를 되찾았고, 베네치아 공화국은 모레아와 달마티아 지역을, 폴란드는 포돌리아를, 러시아 차르국은 노보로시야 일부와 아작을 되찾았다.[46]
1688년과 1697년에 오스만 제국이 외교 관계를 열고자 한 것은 일부 역사가들에 따르면 세력의 큰 변화를 나타낸다. 윌마즈는 신성 동맹의 형성이 "합스부르크 왕가에 유리하도록 두 제국 간의 균형을 분명히 바꾸었다"고 묘사했는데, 이는 오스만 제국이 형성되기 전 세기에 누렸던 성공과는 대조적이다.[47] 이는 오스만 제국이 형식적인 외교 절차를 거의 갖추지 못하고 지속적인 군사적 승리에 외교 관계를 의존했다고 지적한 아부 엘 하지의 의견과 일치한다.[48]
8. 대중 문화
참조
[1]
서적
Dvoichenko-Markov
1990
[2]
서적
Dvoichenko-Markov
1990
[3]
서적
Setton
1991
[4]
서적
Michels
2012
[5]
서적
Treasure
2003
[6]
서적
Hyndman-Rizk
2012
[7]
서적
Michels
2012
[8]
서적
Michels
2012
[9]
서적
Yilmaz
2009
[10]
서적
Michels
2012
[11]
서적
von Pastor
1891
[12]
서적
von Pastor
1891
[13]
서적
Sobieski III
1683
[14]
서적
von Pastor
1891
[15]
서적
von Pastor
1891
[16]
서적
von Pastor
1891
[17]
서적
von Pastor
1891
[17]
서적
Dumont
1731
[18]
서적
von Pastor
1891
[19]
서적
Noland
2008
[20]
서적
von Pastor
1891
[21]
서적
Brooks
1917
[22]
서적
Lewitter
1964
[23]
서적
von Pastor
1891
[24]
서적
von Pastor
1891
[25]
서적
von Pastor
1891
[26]
서적
von Pastor
1891
[27]
서적
Hatton
1976
[28]
서적
Hatton
1976
[29]
서적
von Pastor
1891
[30]
서적
Brooks
1917
[31]
서적
Brooks
1917
[32]
서적
von Pastor
1891
[33]
서적
Treasure
2003
[34]
서적
Setton
1991
[35]
서적
Yilmaz
2009
[36]
문헌
2009
[37]
문헌
1967
[38]
문헌
1891
[39]
문헌
1891
[40]
문헌
1967
[41]
문헌
2003
[42]
문헌
1917
[43]
문헌
1917
[44]
문헌
2008
[45]
문헌
1917
[46]
문헌
2008
[47]
문헌
2009
[48]
문헌
1967
[49]
웹사이트
1684: The Holy League of Blessed Pope Innocent XI
http://history.info/[...]
2016-04-03
[50]
서적
Austria-Hungary & the Successor States: A Reference Guide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
2003
[51]
서적
The Emergence of the Great Powers: 1685-1715
[52]
서적
Pilgrimage in the Age of Globalisation: Constructions of the Sacred and Secular in Late Modern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