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 에어로 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쌍용 에어로 버스는 1979년부터 1993년까지 생산된 동아자동차, 쌍용자동차의 버스 모델을 통칭한다. 1979년 HA20/HA20L 모델을 시작으로, HA50, HA55, HA30, HA35, HA60 코스믹 에어로, DA33/DA66 슈퍼 에어로, SB33A/SB66A 하이퍼 에어로 등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다. 초기에는 시내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후기 모델은 고속버스 시장에도 진출했으나, 경쟁 차종과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1993년 SB33A/SB66A 하이퍼 에어로를 마지막으로 단종되었고, 이후 쌍용 트랜스타가 후속 모델로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5년 도입된 자동차 - 현대 쏘나타
현대 쏘나타는 1985년 출시 이후 전륜구동 방식으로 전환, 디자인과 성능을 개선하며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현대자동차의 대표적인 중형 베스트셀링카이다. - 1985년 도입된 자동차 - 현대 엑셀
현대 엑셀은 1985년 현대자동차가 출시한 소형차로, 미쓰비시 미라주를 기반으로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디자인했으며 해치백, 세단 형태로 출시, 미국에 수출된 최초의 현대차로 1995년 엑센트로 교체될 때까지 생산되었고, 저렴한 가격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잦은 고장과 판매 부진을 겪었다. - KG모빌리티의 차종 - 쌍용 코란도 훼미리
쌍용 코란도 훼미리는 쌍용자동차에서 생산된 SUV 차량으로 다양한 엔진과 사양으로 출시되었으며, 4륜 구동 방식과 초기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에서 5링크 코일 스프링으로 변경된 서스펜션을 채택하고, 여러 미디어 작품에 등장하여 대중에게 알려졌다. - KG모빌리티의 차종 - 쌍용 코란도 스포츠
쌍용 코란도 스포츠는 쌍용자동차가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생산한 액티언 스포츠의 후속 픽업 트럭으로, 코란도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하여 레저에 최적화되었으며 대한민국 픽업트럭 최초로 차체 자세 제어 장치를 기본 장착하고 유로 6 기준에 맞춰 엔진과 변속기를 변경하기도 했으나 렉스턴 스포츠 출시 후 단종되었다. - 버스 차종 - 쌍용 트랜스타
쌍용 트랜스타는 쌍용자동차가 메르세데스-벤츠 O-404 버스를 개량하여 1994년에 출시한 대형 버스로, 혁신적인 특징과 해외 시장에서의 품질 인정에도 불구하고 1998년 경영난으로 단종되었다. - 버스 차종 - 토요타 코스터
토요타 코스터는 토요타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미니버스로, 1969년 다이나 플랫폼 기반으로 출시되어 현재 4세대까지 다양한 좌석 구성과 엔진 옵션을 제공하며 대중교통, 스쿨버스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쌍용 에어로 버스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자동차 정보 | |
이름 | 쌍용 에어로 버스 |
제조사 | KGM커머셜 |
별칭 | 동아 에어로 버스 |
선행 차량 | 하동환 버스 |
후속 차량 | 쌍용 트랜스타 |
조립 | 경기도 평택시 |
차종 | 대형 버스 |
관련 차량 | 쌍용 DA트럭 |
2. 에어로버스 이전의 차종들
쌍용자동차(당시 동아자동차)는 에어로 버스를 출시하기 이전에 다양한 버스 모델들을 생산했다. 이 시기의 모델들은 이후 쌍용자동차 버스 라인업의 기반이 되었다.
주요 차종들은 다음과 같다.
- HA20/HA20L: 1979년에 등장한 10m급 전방엔진 버스. 시내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 등 다양한 용도로 생산되었다.
- HR252/HR252L: 1982년에 등장한 10m급 후방엔진 버스. 패널 바디와 스테인리스 바디 형식이 있었으며, 시내버스, 고속버스, 관광버스 등 여러 용도로 활용되었다.
- HA25/HA25L: 1982년에 등장한 10m급 후방엔진 버스 모델. HR252/HR252L과 유사하게 다양한 바디 타입과 용도로 생산되었다. (자료에 따라 HR25/HR25L로 표기되기도 한다.)
- HA50: 1981년 일본 닛산디젤 및 후지중공업과의 기술 제휴로 탄생한 12m급 고속버스. 대한민국 최초의 하이데커급 차종이었다.
- HA55: 1983년 HA50의 하위 모델로 출시된 12m급 고속버스.
- HA30: 1983년 HA55와 함께 등장한 11.5m급 준고속버스.
- HA35: 1983년 HA30보다 약간 상위 모델로 출시된 11.5m급 준고속버스.
이들 모델은 각기 다른 시장 수요에 대응하며 생산되었으나, 일부 모델은 경쟁 차종에 비해 판매량이 저조하여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생산되었다.
2. 1. HA20/HA20L
1979년에 등장한 10m급 전방엔진 버스 차종이다. 초기에는 동아 HA20 전중문형 시내버스(중문 폴딩)로 출시되었으며, 1980년 2월에는 전문형(시내좌석, 시외, 관광, 자가용/전세용) 타입이 추가되었다.엔진은 당시 경쟁 차종이었던 새한/대우 BF101, 현대자동차 HD170/FB485, 아시아 AB185(F)/AM907 등에 탑재된 MAN사의 D0846HM-U(185마력, 7,200cc급) 엔진을 사용했다.
초기 모델은 전면과 중간 문 모두 긴 유리창을 적용했고, 전면부에는 작은 검은색 직사각형 판에 'DANG-A MOTORS' 문구가 새겨진 로고가 있었다. 경쟁 차종들과 달리 전면부 헤드램프가 가로 배열이 아닌 세로 배열인 것이 특징이었다. 1980년에는 유리창이 상하 분할 형식(중문 하부는 막힘)으로 변경되었고, 1982년에는 전면부 로고가 'DONG-A' 로마자 명조체 형식으로 커지면서 운전석 쪽으로 위치가 옮겨졌다.
1982년 1월에는 중문이 슬라이딩 방식인 HA20 전중비형 시내버스 모델이 출시되었다. 이후 몇 차례 모델 변경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판매량은 경쟁 차종에 비해 저조하여 결국 1983년 7월 초중반에 단종되었고, 이로써 쌍용자동차의 프론트엔진 버스 생산은 막을 내렸다.
HA20 시내버스(전중문형)는 서울특별시의 서부운수와 삼화상운에서 운행했으며, 대구직할시와 경상북도 안동시의 경안여객, 충청남도 서산시의 서령버스 등에서도 운용한 기록이 있다. 중문형 완행버스는 경기도 가평군의 구 삼용버스(현 진흥고속)에서, 전문형 직행/관광버스는 구 자연농원(현 에버랜드)의 사파리 버스[1], 경상남도의 삼성여객(현 거제현대고속), 삼용버스(현 진흥고속), 영종여객 등에서 운행했다.
'''HA20L'''
1980년 3월에는 HA20의 전장을 늘리고 중문을 적용한 시외버스용 모델인 HA20L이 출시되었다. 이 모델 역시 HA20과 함께 1983년 7월에 단종되었다.
2. 2. HR252/HR252L
1982년 1월에 등장한 10m급 후방엔진 버스 차종이다. 차체는 일반적인 철판을 사용한 패널 바디 형식과 스테인리스 바디 형식이 함께 생산되었다. 엔진은 MAN사의 D0846HM 엔진을 탑재하였다.HR252 모델은 다양한 용도로 생산되었다. 1982년 2월부터 시내버스 용도로는 일반 입석형(저상버스 포함)과 직행좌석형이 출시되었다. 시내버스 모델은 주로 전면에 접이식 문(폴딩 도어)을, 중간 문에는 미닫이문(슬라이딩 도어) 또는 접이식 문을 장착했으며, 자동문 옵션도 제공되었다. 또한, 고속버스, 관광버스, 자가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델도 일반형(패널 바디)과 고급형(스테인리스 바디)으로 나뉘어 생산되었으며, 주로 자동문이 장착되었다.
HR252L 모델은 주로 전면과 중간 문 모두 접이식 문을 장착한 시내 일반 입석형 버스로 생산되었다.
HR252 및 HR252L 모델은 1983년 7월에 단종되었다.
2. 3. HA25/HA25L
1982년 1월에 등장한 동아자동차(현 KG모빌리티)의 10m급 후방엔진 버스 모델이다. 원본 자료에서는 HR25 및 HR25L 모델명으로 언급되며, 패널 바디 형식과 스테인리스 스틸 바디(스텐바디) 형식이 함께 생산되었다. 엔진은 MAN사의 D0846HM 엔진을 탑재하였다.1982년 2월부터 다양한 용도의 세부 모델들이 생산되기 시작했다.
- 시내버스:
- HR25: 일반 입석 및 도시형 저상버스 사양으로, 전중문에 슬라이딩 도어 방식의 중문을 갖추었다.
- HR25L: 일반 입석 및 도시형 버스 사양으로, 전중문에 폴딩 도어 방식의 중문을 갖추었다.
- 시내직행좌석:
- HR25: 전중문형(중문 슬라이딩 도어) 또는 전문형(폴딩 도어)으로 생산되었으며, 패널 바디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바디를 선택할 수 있었다.
- 시외버스 및 기타:
- HR25: 시외버스(급행, 직행, 완행), 관광버스, 자가용 등 다양한 용도로 생산되었다.
- 바디 타입은 일반형(패널 바디)과 고급형(스테인리스 스틸 바디)으로 나뉘었다.
- 도어 타입은 전문형(폴딩 도어) 또는 중문형으로 생산되었다.
- 1983년 1월부터는 고속버스, 관광버스, 자가용 모델에 전문형 몰딩 자동문 사양이 추가되었다.
HR25/HR25L 모델은 1983년 7월에 단종되었다.
2. 4. HA50
1981년 11월에 일본 닛산디젤과 후지중공업의 기술 제휴로 등장한 12M급 고속버스 차종이다. 닛산디젤의 K-RA51T 새시와 후지중공업의 3B 모노코크 구조 차체를 이용하였으며, V8 300마력 닛산디젤 RD8(14,300cc급) 엔진을 탑재하였다. 모든 차량에 스테인레스 바디를 기본적으로 적용했으며, 대한민국 최초로 생산된 하이데커급 차종으로 오페라 글라스의 적용 등 경쟁 차종인 아시아자동차의 B909L보다 더 고급스러운 외형을 가졌다. 1985년까지 생산되었으며, 한진고속(2006년에 동양고속에 인수됨), 삼화고속, 동부고속이 주로 이용했다.2. 5. HA55
1983년 7월에 HA50의 하위 모델로 등장한 12m급 고속버스 차량이다. HA50과 같은 V8 300마력 RD8 엔진이 탑재되었다. HA50보다 전고를 약간 낮춘 차종이며 오페라 글라스가 삭제되었다. 1985년 5월까지 생산되었다. 광주고속(현 금호고속)과 속리산고속에서 많이 도입하여 운용하였다.2. 6. HA30
1983년 7월에 HA55와 동시에 등장한 차종으로, HA55를 11.5m급으로 줄인 준고속버스 차종이다. L6 236마력 D2156HM-V(10,350cc) 엔진이 탑재되었다. HA50, HA55가 단종되고도 한동안 생산되었으나, 1987년 10월에 후속 차종인 DA33이 등장하면서 단종되었다.2. 7. HA35
1983년 7월에 등장한 HA30보다 약간 상급의 11.5m급 준고속버스 차종이다.3. 차종별 모델
동아자동차 시절인 1985년부터 쌍용자동차로 사명이 변경된 이후인 1993년까지 생산된 버스 모델 시리즈이다. 크게 세 가지 주요 모델 라인업으로 구성된다.
- HA60 코스믹 에어로: 1985년 5월 출시된 첫 모델로, 12m급 고속버스 사양이다. 대우중공업에서 면허 생산한 MAN D2848M 엔진을 탑재했으나, 제동장치 결함 문제가 있었다.
- DA33/DA66 슈퍼 에어로: 1987년 10월 출시된 HA60의 개선 모델이다. 12m급 고속형(DA66)과 11.5m급 준고속형(DA33)으로 이원화되었다. DA66은 MAN D2848M 엔진 또는 미쓰비시 후소 D8AY 엔진을, DA33은 MAN D2366 엔진을 탑재했다.
- SB33A/SB66A 하이퍼 에어로: 1991년 12월 출시된 마지막 모델이다. 외관 디자인이 크게 변경되었으며, 12m급 고속형(SB66A)은 하이데커급으로 높아졌고, 11.5m급 준고속형(SB33A)은 터보 엔진(D2366T)을 선택 사양으로 제공했다. 1993년 12월 단종되었다.
3. 1. HA60 코스믹 에어로
HA50/HA55 고속버스의 후속으로 1985년 5월에 등장한 동아자동차 에어로 시리즈의 첫 모델이다. 12m급 스탠다드 데커 V8 고속형 모델로 출시되었다. 기존 HA50/HA55의 차체와 새시 구조를 기반으로 리벳 접합식 모노코크 차체를 사용했다. 엔진은 닛산디젤 RD8 대신 대우중공업에서 면허 생산한 MAN D2848M(14,618cc)을 탑재했으며, 1987년 10월까지 생산되었다. 여러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회사에서 도입했지만, 잦은 제동장치 결함으로 인해 많은 교통사고를 일으킨 차종으로 기록되었다. 이 문제로 인해 동아자동차의 명성은 크게 떨어졌고, 이후 광주고속과 한진고속을 제외한 대부분의 1군 고속버스 회사들은 동아자동차 버스를 더 이상 구매하지 않게 되었다.3. 1. 1. 고속버스 사용 회사
3. 1. 2. 시외버스 사용 회사
3. 2. DA33/DA66 슈퍼 에어로
쌍용자동차로 사명이 바뀌기 직전인 1987년 10월에 HA60 코스믹 에어로의 마이너 체인지 모델로 등장하였다. 기존 HA60 모델과 비교했을 때 외형은 거의 비슷하지만, 제동장치와 서스펜션의 성능이 개선되었고 좀 더 고급화된 사양들이 적용되었다. HA60 모델의 후면이 기울어진 형상이었던 것과 달리, DA33과 DA66은 후면이 직각에 가까운 형상으로 구별할 수 있었다.이전 모델인 HA60 코스믹 에어로가 12m급 V8 고속형 모델만 있었던 것과 달리, DA 시리즈는 두 가지 모델로 출시되었다.
- DA66 슈퍼 에어로: HA60 코스믹 에어로를 대체하는 12m급 고속형 모델이다. MAN의 V8 D2848M 엔진(14,618cc)이 기본으로 탑재되었고, 미쓰비시 후소의 V8 D8AY 엔진(16,031cc)을 선택 사양으로 제공했다. 주로 고속버스로 사용되었으나, 일부 고속버스 회사에서 소수 운용하는 데 그쳤다.
- DA33 슈퍼 에어로: HA30 모델을 대체하는 11.5m급 준고속형 모델이다. MAN의 L6 D2366 엔진(11,051cc)이 탑재되었으며, 주로 시외버스로 많이 출고되었다.
DA33/DA66 슈퍼 에어로는 1991년 12월까지 생산되었다.
3. 2. 1. 고속버스 사용 회사
쌍용 에어로 버스의 고속형 모델인 DA66은 일부 고속버스 회사에서 소수 운용하였다.3. 2. 2. 시외버스 사용 회사
3. 3. SB33A/SB66A 하이퍼 에어로
1991년 12월에 등장한 쌍용 에어로 버스의 마지막 모델이다. 이전 모델인 DA33, DA66 슈퍼 에어로의 마이너 체인지 모델에 해당하지만, 전면과 후면 디자인이 크게 변경되어 외형상 구별이 쉬웠다.12m급 고속형인 SB66A는 기존 DA66보다 차체 높이(전고)가 높아져 하이데커급 사양이 되었으며, 11.5m급 준고속형인 SB33A는 터보 엔진(D2366T)을 선택 사양으로 탑재할 수 있었다. SB33A는 관광버스나 직행좌석버스 용도로 어느 정도 판매되었으나, SB66A는 1군 고속버스 회사에서는 한 대도 도입하지 않았고, 소수의 직행버스로만 판매되는 등 상업적으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한 차종으로 평가받는다.
1993년 12월에 단종되었으며, 후속 차종은 벤츠의 기술을 도입하여 완전히 새롭게 개발된 쌍용 트랜스타이다.
3. 3. 1. 시외버스 사용 회사
4. 경쟁 차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