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레나바이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레나바이러스는 리보솜을 포함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진 바이러스로, "모래"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이 바이러스는 두 개의 단일 가닥 RNA 조각을 캡시드가 둘러싼 형태로, 음성 가닥 RNA 유전체를 가지며, 숙주 세포 내에서 증식한다. 아레나바이러스는 맘마레나바이러스, 렙타레나바이러스, 하트마니바이러스, 안테나바이러스의 4개 속으로 분류되며, 유전형과 지리적 분포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이들은 설치류를 통해 인간에게 전파되며, 림프구성 맥락수막염, 라사열, 출혈열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 현재 치료에는 리바비린이 사용되지만,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최근 루조 바이러스와 같은 새로운 아레나바이러스 발병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레나바이러스과 - 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
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LCMV)는 다양한 바이러스주를 가지며 생쥐를 통해 전염되는 바이러스로, 급성 및 만성 감염을 유발하고 장기 이식을 통해 감염될 경우 치명적인 다발성 장기 부전을 일으킬 수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 절지동물 매개 바이러스성 질병 - 에볼라 출혈열
에볼라 출혈열은 에볼라바이러스속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출혈 질환으로, 독감 유사 증상으로 시작하여 구토, 설사, 출혈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지만, 효과적인 백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치료는 증상 완화에 집중하며 감염 예방을 위한 격리 및 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 절지동물 매개 바이러스성 질병 - 신증후군 출혈열
신증후군 출혈열은 부니야바이러스과 한탄바이러스속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며 들쥐 배설물로 감염되어 발열, 출혈, 신부전 증상을 보이는 급성 열성 질환으로, 한국에서 유행 후 병원체가 발견 및 백신 개발되었고 유라시아 지역, 특히 중국에서 많이 발생한다.
| 아레나바이러스 | |
|---|---|
| 바이러스 정보 | |
![]() | |
| 분류 | |
| 계 | 리보위리아 |
| 역 | 오르토르나비라에 |
| 문 | 네가르나비리코타 |
| 아문 | 폴리플로비리코티나 |
| 강 | 엘리오비리케테스 |
| 목 | 부니야비랄레스 |
| 과 | 아레나바이러스과 |
| 속 | 안테나바이러스 하트마니바이러스 인모바이러스 맘마레나바이러스 렙타레나바이러스 |
2. 구조
아레나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에서 유래한 리보솜을 포함하고 있어, 단면에서 "모래"를 의미하는 라틴어 ''arena''처럼 과립형 입자로 보인다.[5] 리보솜이 바이러스 복제에 특별한 역할을 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바이러스 입자(비리온)는 다형태성을 가지나 주로 직경 60-300nm의 구형이며, 표면에 당단백질 스파이크가 덮여 있다.[6]
캡시드가 두 개의 단일 가닥 RNA를 구슬처럼 둘러싼 형태이다. 음성 가닥 바이러스로 분류되지만, 양방향성(ambisense) 유전체를 가진다.[7] 유전체의 일부는 음성 가닥으로, 다른 일부는 양성 가닥으로 유전자를 암호화한다. 이러한 구조는 바이러스가 생명 주기의 어느 시점에서 어떤 단백질을 합성할지 제어하는 원시적인 조절 시스템으로 여겨진다. 아레나바이러스의 생명 주기는 세포질 내에서 이루어진다.
Z 단백질은 호모 올리고머와 비리온의 구조적 구성 요소를 형성한다.[28] 이러한 올리고머 형성은 입자 조립 및 출아에 필수적이다. 비리온 감염성을 위해서는 Z와 바이러스 외피 당단백질 복합체 간의 결합이 필요하다. Z는 L 및 NP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며, 중합효소 활성은 L과 Z 단백질 간의 연관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보인다. Z와 NP 단백질 간의 상호 작용은 유전체 포장에 매우 중요하다.
당단백질(GP)은 전구체 분자로 합성된 후, 세포 신호 펩티다제와 세포 효소 서브틸리신 켁신 아이소자임-1(SKI-1)/부위-1 프로테아제(S1P)에 의해 GP1, GP2 및 안정적인 신호 펩타이드(SSP)의 세 부분으로 절단된다.[29] 이 과정은 융합 능력 및 성숙한 GP의 신생 출아 바이러스 입자 내로의 통합에 필수적이다.


2. 1. 유전체
아레나바이러스는 두 개의 단일 가닥 양방향성 RNA로 구성된 분절된 RNA 유전체를 가지고 있다.[8] 모든 음성 가닥 RNA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유전체 RNA만으로는 감염성이 없으며 숙주 세포 내에서 감염을 시작하려면 바이러스 복제 기계가 필요하다.[9] 아레나바이러스 비리온에 포장된 유전체 감각 RNA는 음성 가닥 RNA로 지정되며, 바이러스 단백질을 생성하기 위해 먼저 양성 가닥 mRNA로 복사되어야 한다.[10] RNA 분절은 소(S), 중(M; 있는 경우), 대(L)로 표시되며,[8][11] 고유한 양방향 코딩 전략으로 네 개의 바이러스 단백질을 암호화한다.[12][13] 포유류 아레나바이러스와 파충류 아레나바이러스의 경우, 각 RNA 분절은 반대 방향으로 두 개의 바이러스 단백질을 암호화하여 음성 가닥 RNA 유전체가 단일 전사 mRNA의 템플릿 역할을 하고, RNA 유전체의 양성 가닥 사본이 두 번째 mRNA의 템플릿 역할을 한다.[10] 두 바이러스 단백질의 별도 코딩 서열은 안정적인 헤어핀 구조로 접힐 것으로 예상되는 유전자간 영역 RNA 서열에 의해 구분된다.[14]각 RNA 분절의 가장자리에는 바이러스 복제 기계의 모집 및 바이러스 mRNA 전사 및 유전체 DNA 복제 개시에 중요한 19 뉴클레오타이드의 고도로 보존된 서열이 포함되어 있다.[15][16][17][18][19] 보존된 5' 및 3' RNA 말단 서열은 상보적이므로 각 RNA 분절이 말단을 근접하게 유지하고 정제된 아레나바이러스 유전체 템플릿이 전자 현미경으로 시각화될 때 원형 모양을 갖도록 하는 이중 가닥 RNA 팬핸들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20][21][22] 이중 가닥 RNA 팬핸들 구조는 효율적인 바이러스 RNA 합성에 매우 중요하지만,[18][23] 바이러스 중합효소를 모집하기 위해 잠재적인 말단간 이중 가닥 RNA 상호 작용이 일시적으로 완화되어야 한다.[19]
S 분절 RNA는 약 3.5kb이며 바이러스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 (NP)과 당단백질(GPC)을 암호화한다.[24] L 분절 RNA는 약 7.2kb이며 바이러스 RNA 의존성 RNA 중합효소(L)와 작은 RING 도메인 함유 단백질(Z)을 암호화한다.[25][26][27]
3. 진화
마마레나바이러스(포유류 아레나바이러스)의 진화 과정은 현재 연구되고 있다.[53] 구세계 아레나바이러스와 신세계 아레나바이러스는 대략 4만 5천 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보인다. 신세계 아레나바이러스종들은 41,400년 전에서 3,300년 전 사이에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서, 구세계 아레나바이러스종들은 23,100년 전에서 1,880년 전 사이에 남아프리카에서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38]
4. 분류
아레나바이러스과는 2015년에 포유류를 감염시키는 마마레나바이러스(Mammarenavirus)와 뱀을 감염시키는 렙타레나바이러스(Reptarenavirus)로 분리되었다.[30][31] 이후 하트마니바이러스(Hartmanivirus), 안테나바이러스(Antennavirus) 속이 추가되었다.[32][34]
마마레나바이러스는 유전형과 지리적 분포에 따라 구세계와 신세계 두 혈청군으로 나뉜다.[37] 구세계 아레나바이러스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서 발견되며, 라사열의 원인인 라사 바이러스와 림프구 맥락수막염을 일으키는 림프구 맥락수막염 바이러스 등이 있다. 신세계 아레나바이러스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발견되며, 볼리비아 출혈열을 일으키는 마추포 바이러스, 아르헨티나 출혈열의 원인인 후닌 바이러스 등이 있다.
렙타레나바이러스는 뱀에서 주로 발견된다. 하트마니바이러스는 뱀에서 발견되는데, 유전체 구성은 아레나바이러스와 유사하지만, 당단백질은 필로바이러스와 유사하고 매트릭스 단백질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33] 안테나바이러스는 어류에서 발견되는 바이러스로, 청개구리치, 왕연어, 홍연어 등에서 발견되었다.[34][36]
4. 1. 마마레나바이러스 (Mammarenavirus)
맘마레나바이러스는 2015년에 아레나바이러스 속에서 분리되어 포유류 숙주를 가진 바이러스는 ''Mammarenavirus'' 속으로, 뱀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는 ''Reptarenavirus'' 속으로 재분류되었다.[30][31] 렙타레나바이러스와 맘마레나바이러스는 종 간 장벽으로 분리되어, 감염된 설치류가 뱀에게 질병을 전파하거나 사육 뱀의 포괄성 장질환(IBD)이 인간에게 전염되지 않는다.뱀을 감염시키는 다른 종을 포함하는 ''Hartmanivirus'' 속도 설정되었는데,[32] 이 속의 유전체 구성은 아레나바이러스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이지만, 당단백질은 필로바이러스의 당단백질과 유사하며 매트릭스 단백질이 결여되어 있다.[33]
또한, 줄무늬 청개구리치(Antennarius striatus)에서 발견된 두 개의 아레나바이러스를 포함하는 ''Antennavirus'' 속이 설정되었으며,[34][35] 세 번째 안테나바이러스는 왕연어와 홍연어에서 검출되었다.[36]
맘마레나바이러스는 유전적 특징과 지리적 분포에 따라 구세계 복합체와 신세계 복합체로 나뉜다.
4. 1. 1. 구세계 복합체 (Old World complex)
맘마레나바이러스는 유전적, 지리적 분포에 따라 두 개의 혈청군으로 나눌 수 있다.[37] "구세계" 바이러스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와 같은 동반구에서 발견되며, "신세계" 바이러스는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베네수엘라, 브라질, 미국과 같은 서반구에서 발견된다. 림프구성 맥락수막염(LCM) 바이러스는 집쥐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유일한 맘마레나바이러스이다. 구세계 및 신세계 아레나바이러스는 약 45,000년 전에 분기되었으며,[38] 구세계 맘마레나바이러스는 약 23,100-1,880년 전 남아프리카에서, 신세계 맘마레나바이러스는 라틴 아메리카-카리브해 지역에서 약 41,400-3,300년 전에 진화했다.[38]
- 구세계 아레나바이러스 목록
| 바이러스 이름 | 약어 |
|---|---|
| 알사 바이러스 | ALXV |
| 비투 바이러스 | BITV |
| 덴데농 바이러스 | DANV |
| 다티 웰렐 바이러스 | DHWV |
| 가이로 바이러스 | GAIV |
| 그바그로브 바이러스 | |
| 이피 바이러스 | IPPYV |
| 키탈 바이러스 | KTLV |
| 코도코 바이러스 | KODV |
| 콴자 바이러스 | KWAV |
| 라사 바이러스 | LASV |
| 리장 바이러스 | LIJV |
| 로이 리버 바이러스 | LORV |
| 루조 바이러스 | LUJV |
| 루나 바이러스 | LUAV |
| 렁크 바이러스 | LNKV |
| 림프구 맥락수막염 바이러스 | LCMV |
| 마피가 바이러스 | MAFV |
| 마리엔탈 바이러스 | MRTV |
| 메리노 워크 바이러스 | MRWV |
| 메넥레 바이러스 | |
| 미누 바이러스 | |
| 모발라 바이러스 | MOBV |
| 모페이아 바이러스 | MOPV |
| 모로고로 바이러스 | MORV |
| 오카한자 바이러스 | OKAV |
| 류큐 바이러스 | RYKV |
| 솔웨지 바이러스 | SOLV |
| 수리 바이러스 | SOUV |
| 원저우 바이러스 | WENV |
- 대표적인 구세계 아레나바이러스 및 관련 질환
| 바이러스 | 질환 |
|---|---|
| 라사열 바이러스 | 라사열 |
| 림프구 맥락수막염 바이러스 | 림프구 맥락수막염 |
4. 1. 2. 신세계 복합체 (New World complex)
맘마레나바이러스는 유전적, 지리적 분포에 따라 두 개의 혈청군으로 나눌 수 있다.[37] 신세계 아레나바이러스는 서반구에서 발견되는 바이러스이다.신세계 복합체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Clade A'''
- 피친데 바이러스 / 무증상 감염
- 화이트워터 아로요 바이러스 / 출혈열
'''Clade B'''
- 타카리베 바이러스
- 마추포 바이러스 / 볼리비아 출혈열
- 후닌 바이러스 / 아르헨티나 출혈열
- 과나리토 바이러스 / 베네수엘라 출혈열
- 사비아 바이러스 / 브라질 출혈열
- 차파레 바이러스 / 출혈열
'''Clade C'''
- 라티노 바이러스
- 올리베로스 바이러스
4. 2. 렙타레나바이러스 (Reptarenavirus)
렙타레나바이러스(''Reptarenavirus'')는 뱀에서 발견되는 바이러스이다. 아레나바이러스는 이전에는 모두 ''Arenavirus'' 속에 속해 있었지만, 2015년에 포유류 숙주를 가진 바이러스는 ''Mammarenavirus'' 속으로, 뱀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는 ''Reptarenavirus'' 속으로 나뉘었다.[30][31] 렙타레나바이러스와 맘마레나바이러스는 종 간의 장벽으로 분리되어 있다. 감염된 설치류는 뱀에게 질병을 전파할 수 없으며, 사육 뱀의 포괄성 장질환(IBD)은 인간에게 전염되지 않는다.4. 3. 하트마니바이러스 (Hartmanivirus)
아레나바이러스과(''Arenaviridae'') 내에서, 뱀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는 ''Hartmanivirus'' 속으로 분류된다.[32] 이 속의 유전체 구성은 아레나바이러스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이지만, 그 당단백질은 필로바이러스의 당단백질과 유사하다. 하트마니바이러스는 매트릭스 단백질을 가지고 있지 않다.[33]4. 4. 안테나바이러스 (Antennavirus)
Antennavirus영어는 어류에서 발견되는 바이러스 속으로, 줄무늬 청개구리치(Antennarius striatus)에서 발견된 두 개의 아레나바이러스가 여기에 속한다.[34] 세 번째 안테나바이러스는 왕연어와 홍연어에서 검출되었다.[36]5. 역학
아레나바이러스는 주로 설치류를 통해 전파되며, 감염된 설치류의 배설물, 특히 마른 오줌과 직접 접촉하거나 공기 중의 에어로졸을 흡입하여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다. 대부분의 아레나바이러스 감염은 설치류 서식 환경(가정, 공장, 농경지 등)에서 발생한다.
5. 1. 숙주
각 아레나바이러스는 특정 설치류 숙주 종과 관련이 있다.[6] 아레나바이러스는 먼저 설치류를 감염시키고, 이를 통해 인간에게 전파되어 자연계에서 생존한다. 인간은 감염된 설치류에서 유래된 감염성 물질과 마모된 피부의 직접적인 접촉 또는 에어로졸에 점막이 노출되어 감염될 수 있다.[6] 에어로졸은 환경에 떨어진 설치류의 건조된 배설물, 특히 소변의 미세한 미스트 또는 스프레이다. 인간이 감염되는 대부분의 아레나바이러스는 이러한 설치류가 은신처를 찾을 때 자신의 집에서 감염된다. 이 바이러스는 공장, 오염된 음식, 또는 농업 작업 구역에서 감염될 수 있다.| 바이러스 | 질병 | 숙주 | 분포 |
|---|---|---|---|
| 덴데농[39] | 덴데농 출혈열 | 미상 | 구세계(세르비아에서 호주 사례 발생) |
| Lymphocytic choriomeningitis virus영어 | 림프구 맥락수막염 | 생쥐(Mus musculus) | 전 세계 |
| Lassa virus영어 | 라싸열 | 나탈 다유방쥐(Mastomys natalensis) | 서아프리카 |
| Junin virus영어 | 아르헨티나 출혈열 | 건조지대 밤쥐(Calomys musculinus) | 아르헨티나 |
| Machupo virus영어 | 볼리비아 출혈열 | 큰 밤쥐(Calomys callosus) | 볼리비아 |
| Guanarito virus영어 | 베네수엘라 출혈열 | 짧은꼬리 사탕수수쥐(Zygodontomys brevicauda) | 베네수엘라 |
| Sabia virus영어 | 브라질 출혈열 | 미상 | 브라질 |
| Tacaribe virus영어 | 박쥐(Artibeus) | 트리니다드 | |
| Flexal virus영어 | 인플루엔자 유사 질환 | 쌀쥐 (Oryzomys) | 브라질 |
| Whitewater Arroyo virus영어 | 출혈열 | 나무쥐 (Neotoma) | 미국 남서부 |
5. 2. 임상 질환
림프구 맥락수막염 바이러스(LCM)는 독감과 유사한 발열 질환을 일으키지만, 때로는 뇌척수액에서 다수의 림프구가 동반되는 수막염을 유발하기도 한다.[6]라싸열 바이러스는 라싸열을 유발하는데, 이는 서아프리카의 풍토병이며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다. 라싸열은 고열, 심한 근육통, 응고병증, 출혈성 피부 발진, 때로는 내장 출혈 및 간과 비장의 괴사를 특징으로 한다.[6]
후닌 바이러스, 마추포 바이러스 등은 출혈열을 유발하며, 발생 지역의 공중 보건에 큰 위협이 된다. 구세계 라싸 바이러스는 라싸열로 발전하여 상당한 사망자를 낼 수 있다. 신세계 주닌 바이러스는 아르헨티나 출혈열을 일으키는데, 이 열은 출혈 및 신경학적 증상과 함께 15~30%의 치사율을 보이는 심각한 질병이다.[6]
6. 치료
현재 아레나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에 허가된 유일한 약물은 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인 리바비린이다.[54][44] 리바비린은 질병 초기에 투여하면 라싸열, 아르헨티나출혈열 등 일부 아레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54][45] 하지만 리바비린은 심각한 아레나바이러스 질환 치료에 있어 성공률이 일정하지 않고, 상당한 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45]
더 나은 치료법을 찾기 위해 소분자 라이브러리의 고속 대량 스크리닝(HTS)을 통해 새로운 항바이러스제를 찾으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면역 치료 또한 잠재적인 치료법으로, 주닌 바이러스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가 동물 모델에서 테스트되었다. 전이인 수용체 1을 수용체로 사용하는 모든 포유류 아레나바이러스에 대해 활성을 보이는 면역 치료제가 2020년에 연구되었다.[46]
참조
[1]
논문
ICTV Virus Taxonomy Profile: Arenaviridae.
2019-08
[2]
논문
The evolutionary history of vertebrate RNA viruses
2018
[3]
논문
Genetic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ujo virus, a new hemorrhagic fever-associated arenavirus from southern Africa
2009-05
[4]
논문
A Multivalent Vaccination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f Old World Arenavirus Infection in Humans
[5]
논문
Arenoviruses: Proposed Name for a Newly Defined Virus Group
1970-05
[6]
논문
Arenavirus reverse genetics: New approaches for the investigation of arenavirus biology and development of antiviral strategies
[7]
웹사이트
Arenaviridae - Negative Sense RNA Viruses - Negative Sense RNA Viruses (2011)
https://talk.ictvonl[...]
2019-05-23
[8]
논문
RNA composition of Junin virus
1976-06
[9]
논문
NP and L proteins of lymphocytic choriomeningitis virus (LCMV) are sufficient for efficient transcription and replication of LCMV genomic RNA analogs
2000-04
[10]
간행물
Arenaviruses: Genomic RNAs, Transcription, and Replication
[11]
논문
Different classes of ribonucleic acid isolated from lymphocytic choriomeningitis virus
1973-03
[12]
논문
Sequencing studies of pichinde arenavirus S RNA indicate a novel coding strategy, an ambisense viral S RNA
1984-12
[13]
논문
Nucleotide sequence of the Lassa virus (Josiah strain) S genome RNA and amino acid sequence comparison of the N and GPC proteins to other arenaviruses
https://zenodo.org/r[...]
1989-02
[14]
논문
The sequences of the N protein gene and intergenic region of the S RNA of pichinde arenavirus
1984-04
[15]
논문
Analyses of the genomes of prototype pichinde arenavirus and a virulent derivative of Pichinde Munchique: evidence for sequence conservation at the 3' termini of their viral RNA species
1982-01
[16]
논문
Nucleotide sequence conservation at the 3' termini of the virion RNA species of New World and Old World arenaviruses
1982-08
[17]
논문
Chronic non-A, non-B hepatiti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transfusion-associated form
[18]
논문
Mutational analysis of the lassa virus promoter
2006-12
[19]
논문
Assembly of a functional Machupo virus polymerase complex
2010-11
[20]
간행물
Arenavirus Gene Structure and Organization
[21]
논문
Fine structure analysis of Pichinde virus nucleocapsids
1983-04
[22]
논문
The circular, segmented nucleocapsid of an arenavirus-Tacaribe virus
1977-09
[23]
논문
Characterization of the genomic promoter of the prototypic arenavirus lymphocytic choriomeningitis virus
2003-01
[24]
논문
Molecular organization of Junin virus S RNA: complete nucleotide sequence, relationship with other members of the Arenaviridae and unusual secondary structures
1991-09
[25]
논문
The 5' region of Tacaribe virus L RNA encodes a protein with a potential metal binding domain
1989-11
[26]
논문
Tacaribe virus L gene encodes a protein of 2210 amino acid residues
1989-05
[27]
논문
The completed sequence of lymphocytic choriomeningitis virus reveals a unique RNA structure and a gene for a zinc finger protein
1989-11
[28]
논문
Uncovering viral protein-protein interactions and their role in arenavirus life cycle
2012-09
[29]
논문
Envelope glycoprotein of arenaviruses
2012-10
[30]
간행물
ICTV proposals 2014.011a-dV et al.
http://www.ictvonlin[...]
[31]
간행물
ICTV proposals 2014.012aV et al.
http://www.ictvonlin[...]
[32]
논문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culture of highly divergent arenaviruses from boa constrictors and annulated tree boas: candidate etiological agents for snake inclusion body disease
[33]
논문
Characterization of Haartman Institute snake virus-1 (HISV-1) and HISV-like viruses—The representatives of genus Hartmanivirus, family Arenaviridae
2018
[34]
웹사이트
Virus Taxonomy: 2019 Release
https://ictv.global/[...]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2020-05-06
[35]
문서
The diversity, evolution and origins of vertebrate RNA viruses
2018
[36]
논문
Endangered wild salmon infected by newly discovered viruses
2019
[37]
논문
Chapare virus, a newly discovered arenavirus isolated from a fatal hemorrhagic fever case in Bolivia
2008-04
[38]
논문
Ancient evolution of Mammarenaviruses: Adaptation via changes in the L protein and no evidence for host-virus codivergence
https://europepmc.or[...]
2019-02-16
[39]
논문
Nosocomial Outbreak of Novel Arenavirus Infection, Southern Africa
2009-10
[40]
뉴스
Scientists identify new lethal virus in Africa
https://news.yahoo.c[...]
[41]
뉴스
Three women had organ transplants from one donor. They all died in the same week
https://www.abc.net.[...]
2020-10-11
[42]
웹사이트
Virus identified - nurse ill
http://www.news24.co[...]
News24.com
2008-10-13
[43]
웹사이트
Virus kills organ recipients
http://www.theage.co[...]
www.theage.com.au
2009-10-16
[44]
논문
Novel approaches in anti-arenaviral drug development
[45]
논문
T-705 (Favipiravir) Inhibition of Arenavirus Replication in Cell Culture
[46]
논문
Rational design of universal immunotherapy for TfR1-tropic arenaviruses
[47]
웹사이트
Virus Taxonomy: 2019 Release
https://talk.ictvonl[...]
국제바이러스분류위원회
2020-10-23
[48]
논문
ICTV Virus Taxonomy Profile: Arenaviridae.
2019-08
[49]
논문
Genetic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ujo virus, a new hemorrhagic fever-associated arenavirus from southern Africa
2009-05
[50]
논문
A Multivalent Vaccination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f Old World Arenavirus Infection in Humans
[51]
논문
Arenavirus reverse genetics: New approaches for the investigation of arenavirus biology and development of antiviral strategies
[52]
웹인용
Arenaviridae - Negative Sense RNA Viruses - Negative Sense RNA Viruses (2011)
https://talk.ictvonl[...]
2019-05-23
[53]
논문
Ancient evolution of Mammarenaviruses: Adaptation via changes in the L protein and no evidence for host-virus codivergence
https://europepmc.or[...]
2019-02-16
[54]
논문
T-705 (Favipiravir) Inhibition of Arenavirus Replication in Cell Cultu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