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 장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산 장씨는 송나라에서 고려로 망명한 장서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예종은 장서에게 아산을 식읍으로 하사하고 아산군에 봉했다. 아산 장씨는 중은공파, 연공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뉘며, 장영실, 장희춘, 장입국 등 다양한 인물을 배출했다. 조선 시대에 무과 급제자 7명, 생원시 3명, 진사시 4명 등 다수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했으며, 경기도 김포시, 충청남도 아산시 등지에 집성촌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산 장씨 - 장정일
장정일은 1984년 시인으로 데뷔하여 소설, 평론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사회 비판적인 시각과 파격적인 묘사로 평가받는 대한민국의 작가이다.
| 아산 장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아산 장씨 |
| 한자 표기 | 牙山蔣氏 |
| 로마자 표기 | Asan Jang ssi |
| 관향 | 충청남도 아산시 |
| 시조 | 장서 |
| 창성 시기 | 고려 시대 |
| 주요 거주지 | 경상남도 밀양시, 경상북도 군위군, 경상북도 청도군, 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북도 경산시, 경상북도 청송군 |
| 저명한 인물 | 장영실, 장정일 |
| 인구 (2000년) | 17,695명 |
| 대종회 | http://asanjang.kr/ 아산장씨 대종회 |
| 시조 정보 | |
| 시조 | 장서 |
| 관직 | 금자광록대부 |
| 관련 인물 | 완안종요 |
| 봉군 | 아산군 |
2. 역사
아산 장씨(牙山蔣氏) 시조 장서(蔣壻)는 송나라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겸 신경위대장군(神慶衛大將軍)이었다.[1] 고려 예종 때 금나라가 송나라를 침입하자, 상서(尙書) 이강(李綱)과 함께 항전을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장서는 배를 타고 고려 아산에 표착하였다.[1] 《기미보(己未譜)》에 따르면, 박인량(朴寅亮)과 위계정(魏繼廷)이 고려 예종에게 이 사실을 전했고, 예종은 장서를 아산군(牙山君)에 봉하고 아산을 식읍으로 하사하였다고 한다.[1] 시조 묘소는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문방리에 있다.[1]
2. 1. 시조 및 기원
아산 장씨(牙山蔣氏)의 시조 '''장서'''(蔣壻)는 송나라 때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이자 신경위대장군(神慶衛大將軍)이었다. 고려 예종 시기 금나라가 송을 침략하자, 장서는 상서(尙書) 이강(李綱)과 함께 항전을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장서는 배를 타고 고려 아산으로 망명하였다. 《기미보(己未譜)》에 따르면, 박인량(朴寅亮)과 위계정(魏繼廷)이 고려 예종에게 장서가 아산에 표착한 사실을 전했고, 예종은 장서에게 아산을 식읍으로 하사하고 아산군(牙山君)에 봉하였다고 한다. 시조의 묘소는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문방리에 있다.2. 2. 고려 시대
아산 장씨(牙山蔣氏) 시조 '''장서'''(蔣壻)는 송나라 때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겸 신경위대장군(神慶衛大將軍)을 지냈다.[1] 고려 예종 때 금나라가 송나라를 침입하자, 장서는 상서(尙書) 이강(李綱)과 함께 항전할 것을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장서는 배를 타고 망명하여 고려 아산에 표착하였다.[1] 《기미보(己未譜)》에 따르면, 장서가 아산에 표착한 사실을 좌복야(左僕射) 박인량(朴寅亮)과 재보(宰輔) 위계정(魏繼廷)으로부터 전해 들은 고려 예종이 장서에게 아산을 식읍으로 하사하고, 아산군(牙山君)에 봉하였다고 한다.[1] 시조 장서의 묘소는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문방리에 있다.[1]3. 본관
아산(牙山)은 충청남도 북부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본래 백제 시대에 아술현(牙述縣)이었다. 신라 시대에는 음봉(陰峰, 일명 음잠) 또는 온정군령이라 하였고, 고려 초기에는 인주(仁州)로 고쳤다가 그 후 아주(牙州)로 고쳤다. 1413년(조선 태종 13) 아산으로 개칭하였다. 1895년(조선 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홍주부 아산군으로 개편되었고, 1896년에 충청남도 아산군이 되었다.
4. 분파
아산 장씨에는 중은공파(仲殷公派), 연공파(延公派), 문도공파(聞道公派), 방도공파(方道公派), 숙강공파(叔岡公派), 통덕랑공파(通德郎公派), 방곡공파(芳谷公派)가 있다.
- 중은공파(仲殷公派)
- 연공파(延公派)
- 문도공파(聞道公派)
- 방도공파(方道公派)
- 숙강공파(叔岡公派)
- 통덕랑공파(通德郎公派)
- 방곡공파(芳谷公派)
5. 인물
- 장숭 - 고려 때 군기감 판사를 지냈다.
- 장균 - 고려 때 봉익대부(奉翊大夫)로 판도판서(版圖判書)에 올랐다.
- 장자방 - 고려 봉상대부로 삼사부사 겸 검교 예빈경을 역임했다. 아들 5형제(장성길·장성발·장성휘·장성미·장성우)는 판전서(判典書)로 유명하다.
- 장성발 - 정몽주의 문인이었다.[3]
- '''장영실'''(蔣英實) - 조선 세종 때 자격루, 측우기 등 천문기상기기를 발명한 과학자.
- 장처용 - 조선 성종 때 경기병사를 지냈으며 문무 겸비, 태산북두와 같은 명망을 가졌다.
- '''장희춘'''(蔣希春, 1556년 ∼ 1618년) -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자는 인경(仁敬), 호는 성재(誠齋). 울산 박씨를 어머니로 두었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이경연 등과 의병을 일으켜 박봉수를 대장, 자신은 우익장(右翼將)이 되어 함월산성과 경주 금오산 등지에서 전공을 세웠다. 1594년 장흥고직장(長興庫直長), 1595년 용양위부사정(龍驤衛副司正)을 거쳐 부사과에 올랐다. 1597년 동래·울산·장기현(장기면)감, 1598년 훈련원판관, 장례원사평을 지냈다. 1606년 형조정랑으로 쇄환사(刷還使) 여우길을 따라 일본에 다녀왔다. 저서로는 『성재실기』 4권이 있다.[4]
- '''장입국'''(蔣入國, 1562년 ∼ 1633년) - 자는 치군(致君), 호는 귀래정(歸來亭). 남양 홍씨를 어머니로 두었다. 권호문의 문인이다. 1600년(선조 33년) 의금부도사, 경상도사·사헌부감찰·공조좌랑 등을 지냈다. 1612년(광해군 4년) 이이첨의 폐모론에 벼슬을 사직, 1614년 영창대군이 살해되자 이이첨을 책망하였다. 용양위우호군(龍驤衛右護軍)·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도총부부총관·지중추부사 등을 지내고, 1623년 인조반정 이후 은둔생활을 했다. 문사(文詞)에 뛰어나고 산술·병거(兵車)에도 널리 통달했다. 저서로는 『귀래정유집』 1책이 있다.[5]
- 장후완(蔣後琬, 1572년 ∼ 1644년) - 자는 군좌(君佐). 음보로 옥포진만호, 훈련원정·문경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1605년(선조 38년) 무과 급제, 부총관으로 울산 소모대장(召募大將)을 거쳐 정평부사를 지내다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 1624년(인조 2년)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파직, 동래 귀양 후 복관, 도총부총관이 되었으나 사임하였다.[6]
- 장문익(蔣文益, 1596년 ∼1652년) - 자는 명보(明輔), 호는 조경당(釣耕堂). 밀양 박씨를 어머니로 두었다. 목장흠에게서 수업, 형제와 창원낙빈(洛濱)에 복거하며 정구·장현광의 문하에 드나들었다. 1627년(인조 5년) 정묘호란 때 장현광에게 발탁, 12읍 의병장으로 추대되었다. 병자호란 때에도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다.[7]
- 장종헌 - 조선 성종 때 지방초사
- 30대손 장승호
6. 과거 급제자
아산 장씨는 조선시대에 무과 급제자 7명을 배출하였다.[8]
| 구 분 | 이름 |
|---|---|
| 무과 | 장기인 |
| 장명원 | |
| 장승우 | |
| 장언충 | |
| 장원 | |
| 장유흠 | |
| 장명원 | |
| 생원시 | 장용규 |
| 장해주 | |
| 장후 | |
| 진사시 | 장방한 |
| 장진덕 | |
| 장후 | |
| 장희백 | |
| 역과 | 장헌주 |
| 장호원 | |
| 율과 | 장경완 |
| 의과 | 장유영 |
| 장익량 | |
| 장한익 | |
| 장한필 | |
| 취재 | 장경완 |
| 장계윤 | |
| 장률 | |
| 장백형 | |
| 장열 | |
| 장춘형 |
7. 집성촌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아산장씨 牙山蔣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3]
웹사이트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선유현연원도 Page 10a
http://yoksa.aks.ac.[...]
[4]
웹사이트
장희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5]
웹사이트
장팔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6]
웹사이트
장후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7]
웹사이트
장문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
[8]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LST_189_323_043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